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1 23:08:35

폭스바겐 골프

파일:폭스바겐 로고.svg파일:폭스바겐 로고 화이트.svg
파일:2024 폭스바겐 골프.jpg
Golf
Volkswagen Golf[1] / Rabbit[2]

1. 개요2. 역사
2.1. 1세대 (1974~1983)2.2. 2세대 (1983~1991)2.3. 3세대 (1991~1997)2.4. 4세대 (1997~2003)2.5. 5세대 (2003~2009)2.6. 6세대 (2008~2012)2.7. 7세대 (2013~2019)2.8. 8세대 (2019~현재)
3. 여담4. 미디어에서
4.1. 게임
5. 경쟁 차량6. 둘러보기

1. 개요

독일의 자동차 제조사 폭스바겐에서 1974년부터 생산하는 준중형 해치백 승용차로, 독일 니더작센볼프스부르크폭스바겐 공장에서 생산하고 있다.

폭스바겐 엔지니어들이 '자신이 타고 싶은 차'를 모토로 하여 신모델 출시 때마다 고급차에 적용되는 옵션이나 첨단 기술을 대중차인 골프에 덜컥덜컥 기본 적용시켜 미친 가성비로 컬트적인 인기몰이를 하여 해치백의 지배자가 되었다. 특히 골프의 고성능 버젼 모델이자 핫해치의 대표명사인 골프 GTI[3]는 서민들의 포르쉐라 불리기도 한다.

초기 디자인은 포니를 디자인한 것으로 유명한 조르제토 주지아로가 담당했다.[4]

참고로 뉴 비틀이나 티구안 등 다른 폭스바겐 차량뿐만 아니라 아우디, 스코다, 세아트 등 계열사의 소형차과 준중형차, 일부 중형차들은 모두 이 차량의 전륜구동 플랫폼에서 나왔다. 폭스바겐 그룹 내에서 무한증식 중[5]

골프는 인텔 CPU의 틱톡전략과 비슷하게 홀수세대에선 대대적 변화가, 짝수세대에선 마이너체인지가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다만, 7세대 부분변경 모델부터는 이 전통이 반쯤은 깨졌다.[6]

대한민국에는 효성그룹아우디폭스바겐의 딜러를 맡을 때부터 골프가 들어왔지만, 그 당시 골프는 인기가 별로 없었고 IMF 사건 후 효성그룹의 딜러 철수로 인해 한동안 대한민국 시장에서 골프를 볼 수 없었다. 대한민국에서 디젤 승용차의 판매가 허용된 후 140마력 2.0L TDI 디젤 모델이 추가된 5세대부터 뒤늦게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이는 당시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의 사장으로 재직했던 박동훈의 마케팅이 한몫했다.[7]

2. 역사

파일:폭스바겐 골프 1~8세대.jpg
▲골프 1~8세대 측면사진. 50년 가까이 비슷하게 유지되고 있는 활처럼 당겨진 두터운 C필러의 모양은 골프 디자인의 아이덴티티이다.

2.1. 1세대 (1974~1983)

파일:ityp17-813.jpg
파일:golf-1-cabrio-acb15886-2818-47fe-ac17-685f9d301c8f.jpg
▲ 3도어 해치백 ▲ 카브리올레
파일:vw-golf-gti-mk1-noir-10.jpg
▲ GTI

1974년에 탄생한 1세대 골프는 세계 최초로 해치백이라는 컨셉을 상용화하지는 못했지만 [8] 해치백 스타일을 대히트시키는 데에 성공하면서 새로운 세그먼트를 창출했다.

원래 개발 계획이 있던 차는 아니었다. 당시 폭스바겐은 비틀을 계속 우려먹고 있었는데 놀랍게도 이게 시장에서 통했다. 비틀이 그만큼 잘 만들어진 차라는 방증이기도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비틀을 대체할 독자 모델이 필요한 상황이기도 했다. 폭스바겐의 엔지니어들은 2박스 해치백 구성의 EA276을 비롯한 신차 개발 계획을 내어 놓지만 프로젝트 자체의 결점들도 있는데다가 높으신 분들은 "비틀도 잘 팔려."라고 거부하기 일쑤. 여기에 분노한 이들은 비밀리에 새 모델을 개발하기로 하고 신형 시로코 개발로 위장하여 개발을 하는데 이게 성능이 좋아서 인정을 받게 되고 정식 개발에 착수하게 된다.[9]

이른바 '골프 클래스'라는 세그먼트의 이름이 만들어내기도 했다. 골프는 이미 1세대부터 GTI(1976년), D(1976년, 디젤엔진 장착), GTD(1982년, 터보 디젤엔진 장착)등 다양한 라인업을 선보였다. 특히 1979년 첫 출시된 골프 카브리올레는 월드 베스트셀링 모델로 꼽힐 정도로 당대 오픈 카 중 최고의 인기를 구사했다. 1세대 골프는 동일 플랫폼을 공유하는 제타를 포함해 약 672만대의 판매고를 올리며, 이전 폭스바겐의 자랑이었던 비틀의 명성을 이어가는데 성공했다.
파일:0TMJVtfETe6HuMHpotNJ.jpg
▲ 단종 직전 판매된 시티 골프 파이널 에디션.

동사의 올드 비틀이나 마이크로버스처럼 은근 명줄이 길었는데, 시티 골프(Citi Golf)란 이름으로 2009년까지 아프리카 지역에서 판매된 전적이 있다. 그 이후는 남아공 지역을 횡단하는 은퇴식을 마무리로 단종.

1세대는 국내에도 빨간색 GTI와 주황색 5도어, 남색과 회색 카브리오 모델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북미에서는 수출명이었던 래빗이란 별칭으로 더 유명하다. 나중에 5세대 골프가 등장했을 때 북미 수출명으로 래빗을 다시 사용한 적도 있다.

2.2. 2세대 (1983~1991)

파일:VOLKSWAGENGolf2-5doors--1726_3.jp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VW_Golf_II_front_20080206.jpg
5도어 해치백 3도어 해치백
파일:images_original_6794-thegolfgtimkii.jpg
GTI

베이비붐 세대가 본격적으로 경제활동에 들어가던 시절인 1983년 2세대 골프가 탄생했다. 이전 모델이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를 얻었던 자동차 중 하나였다면, 2세대 모델은 모든 이의 마음에 No.1 초이스로 굳게 자리잡은 모델이기도 하다. 바디 형태는 3도어 또는 5도어 해치백이 있었으며, 골프를 기반으로 한 세단 모델은 제타로 판매되었다.

2세대 모델에서는 기존 1세대 모델보다 많은 혁신이 이뤄졌다. 1986년에는 첫 ABS(Anti-lock Brake System)를 장착한 골프를 선보여 누구나 기술 혁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배려하는 폭스바겐의 철학을 반영했다.

같은 해에는 골프 최초의 파워스티어링을 장착하고 최초의 사륜구동 골프인 골프 징크로(Golf Synchro)를 선보였다. 1988년에는 이미 골프의 하이브리드 프로토타입 모델까지 개발됐다.
파일:1366_2000-1.jpg
랠리 골프

1989년에는 랠리 출전 자격을 얻기 위한 호몰로게이션 한정판 모델인 랠리 골프(Rallye Golf)가 출시되었다. 외관에서는 박스 플레어 휠 아치[10]와 전용 바디킷으로 고성능 특별 사양의 존재감을 과시했으며, 헤드램프 역시 기존의 원형 램프가 아닌 랠리 골프 전용 직사각형의 헤드램프가 적용되었다. 랠리카를 기반으로 하는 차답게 징크로 4륜구동 시스템이 적용되었고, 1,763cc 슈퍼차저 엔진으로 158마력의 출력을 냈다. 호몰로게이션 규정을 충족하기 위해 GTI보다 2배 비싼 가격에 5,000대 한정으로 생산되었다.
파일:Golf-Country-001.webp파일:Golf-Country-015.webp
골프 컨트리[11]

폭스바겐 골프 징크로의 사륜구동 시스템을 베이스로 한 세미 오프로더 '골프 컨트리(Golf Country)라는 파생모델도 있었다. 해당 모델은 세미 오프로드용으로 디자인되었으며, 21cm의 지상고, 앞뒤 캥거루 범퍼, 엔진을 보호하기 위한 프론트 스키드 플레이트, 디퍼런셜과 샤프트를 보호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 삼각형 거치대에 부착된 스페어타이어 등이 적용되었다. 해당 모델은 98마력을 내며, 1.8 8v 1P 가솔린 엔진이 장착되었고 114 마력을 내는 GTI 버전도 있었다.

데뷔 10년만인 1984년에 놀라운 속도로 1000만대 생산을 돌파시켰으며, 1991년까지 생산된 2세대 골프의 경우 약 641만대의 판매고를 올리며 화려한 전성기를 누렸다.

1980년대 수입차의 정식 수입판매가 허용되면서 GTI를 시작으로 최초로 정식 수입되었으며, 현재도 여러대가 남아있다. [12]

2.3. 3세대 (1991~1997)

파일:5cfc4b01-vw-golf-mk3-18-1024x683.jpg파일:96a96c9ddb7432dcbbffd80ab130ce2c.jpg
5도어 해치백 VR6
파일:VOLKSWAGEN-Golf-III-Cabrio-1443_28.jpg파일:D96_7082_web_1600.jpg
카브리오 바리안트

1991년 등장한 3세대 골프는 특히 안전에 있어 혁신을 보여준 모델이다. 운전석은 물론 조수석까지 에어백을 제공했으며, 전 차종에 ABS를 기본 사양으로 장착했다. 당시만 해도 듀얼 에어백, ABS 등은 소형차에 기본사양으로 적용되기 힘든 고급 사양에 속했다. 이처럼 안전과 관련된 다양한 첨단 기술들 중에서는 골프를 통해 대중화되고, 전체 자동차 업계에서도 표준이 되는 과정을 거친 기술들이 상당히 많다.

또한 3세대 골프는 동급 최초로 6기통 엔진 탑재했을 뿐 아니라, 에코매틱 기어, 크루즈컨트롤, 디젤 최초의 산화촉매 변환제(1991년), 최초의 직분사 디젤엔진(1993년. TDI/1995년: SDI)을 장착하는 등 드라이빙의 재미를 한층 더 극대화시킨 모델이기도 하다.

1993년에는 3세대 모델을 기반으로 한 골프 카브리오(컨버터블)가 출시되었고 새로운 골프 사륜구동 모델과 바리안트(왜건) 모델이 처음 선보여졌다.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1995년 5월 골프 누적생산량 1500만대 생산이 달성됐으며, 1991년부터 1997년까지 3세대 골프의 전세계 판매량은 496만대를 육박한다.

2.4. 4세대 (1997~2003)

파일:1997 폭스바겐 골프 1.6 3도어_(1).jpg파일:1997 폭스바겐 골프 1.6 3도어_(2).jpg
1.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1999 폭스바겐 골프 2.8 V6 4모션 3도어_(1).jpg파일:1999 폭스바겐 골프 2.8 V6 4모션 3도어_(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9 폭스바겐 골프 2.8 V6 4모션 3도어_(3).jpg
2.8 V6 4모션
파일:2001 폭스바겐 골프 1.6 FSI 3도어_(1).jpg파일:2001 폭스바겐 골프 1.6 FSI 3도어_(2).jpg
1.6 FSI
파일:2001 폭스바겐 골프 GTI 3도어_(1).jpg파일:2001 폭스바겐 골프 GTI 3도어_(2).jpg
GTI
}}}}}}}}} ||
3도어 해치백
파일:1997 폭스바겐 골프 1.6 5도어_(1).jpg파일:1997 폭스바겐 골프 1.6 5도어_(2).jpg
1.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1997 폭스바겐 골프 1.9 TDI 5도어_(1).jpg파일:1997 폭스바겐 골프 1.9 TDI 5도어_(2).jpg
1.9 TDI
파일:1997 폭스바겐 골프 2.3 V5 5도어_(1).jpg파일:1997 폭스바겐 골프 2.3 V5 5도어_(2).jpg
2.3 V5
파일:1999 폭스바겐 골프 2.8 V6 4모션 5도어_(1).jpg파일:1999 폭스바겐 골프 2.8 V6 4모션 5도어_(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9 폭스바겐 골프 2.8 V6 4모션 5도어_(3).jpg
2.8 V6 4모션
}}}}}}}}} ||
5도어 해치백

4세대 골프가 출시된 당시에는 폭스바겐 그룹 디자인 총괄 하르무트 바르쿠스(Harmurt Warkus)의 총 지휘 하에 폭스바겐 고유의 디자인 DNA가 완성된 때이다. 이 때문에 4세대 골프는 오늘날 출시되는 골프의 스타일 아이콘 또는 표본이 되는 모델이기도 하다.
파일:2002 폭스바겐 골프 R32_(1).jpg파일:2002 폭스바겐 골프 R32_(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2 폭스바겐 골프 R32_(3).jpg
골프 R32

1999년에는 ESC를 기본사양으로 채택하고, 2002년에는 전, 측면 및 헤드 에어백을 기본으로 장착하면서 자동차의 안전성을 높이는 혁신에 선구자적 역할을 했다. 2.8 V6와 3.2 R32, 1.8T후기형[13]에는 6단 변속기가 장착되었다. 일부 자동모델에는 4단 자동기어 대신 5단 팁트로닉변속기가 장착되었다.

2003년에는 골프 R32에 6단 DSG(Direct Shift Gearbox)를 상용화시켰는데, 수동변속기자동변속기의 장점을 절묘하게 결합해 편안한 승차감과 경제성 그리고 빠른 가속력과 운전의 재미를 동시에 만족시켰다. 또한 옵션으로 제논(Xenon)전조등이 있는 모델 역시 존재한다.
파일:1999 폭스바겐 골프 1.9 TDI 바리안트_(1).jpg파일:1999 폭스바겐 골프 1.9 TDI 바리안트_(2).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1999 폭스바겐 골프 1.9 TDI 바리안트_(3).jpg파일:1999 폭스바겐 골프 1.9 TDI 바리안트_(4).jpg
}}}}}}}}} ||
1.9 TDI
바리안트 / 에스테이트[14]
파일:1998 폭스바겐 골프 카브리오 1.6_(1).jpg파일:1998 폭스바겐 골프 카브리오 1.6_(2).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1998 폭스바겐 골프 카브리오 1.6_(3).jpg파일:1998 폭스바겐 골프 카브리오 1.6_(4).jpg
파일:1998 폭스바겐 골프 카브리오 1.6_(5).jpg파일:1998 폭스바겐 골프 카브리오 1.6_(6).jpg
}}}}}}}}} ||
1.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1998 폭스바겐 골프 카브리오 1.8_(1).jpg파일:1998 폭스바겐 골프 카브리오 1.8_(2).jpg
1.8
파일:1998 폭스바겐 골프 카브리오 2.0_(1).jpg파일:1998 폭스바겐 골프 카브리오 2.0_(2).jpg
2.0
파일:2002 폭스바겐 골프 카브리오 라스트 에디션_(1).jpg파일:2002 폭스바겐 골프 카브리오 라스트 에디션_(2).jpg
라스트 에디션[15]
}}}}}}}}} ||
카브리오

왜건형인 바리안트(Variant)의 경우 1999년부터 2006년 까지 생산되었다. 다만 오픈형 모델인 카브리오(Cabrio)의 경우는 사실 3세대 카브리오 모델에서 외형과 내장재만 4세대 부품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다른 4세대 모델과는 부품이 호환되지 않는다.

세단형이자 제타의 4세대 모델인 보라(Bora)의 경우 전면 페이스가 골프와는 다른데, 앞쪽휀더, 본넷, 전조등 그릴, 범퍼만 바꿔주면 보라와 골프사이를 왔다갔다 할 수 있다. 특히 바리안트 모델의 경우 전면 페이스를 제외한 모든 부분이 같은 차량이다. 다만 2.3 VR5와 2.5 V5, 2.8 V6모델은 보라로만 출시되었기 때문에 보라를 구입후 골프 4세대의 페이스로 변경하는 경우가 많다.

전 세계에 판매된 4세대 골프 생산대수는 총 492만대이다.
2000년 폭스바겐 골프 카브리오 광고

당시 나왔던 '은하수' 광고는 상당히 유명하며, 삽입곡으로 쓰인 뮤지션 닉 드레이크의 인지도를 올려주는데 큰 역할을 했다. 감독은 미스 리틀 선샤인로 유명해진 조나단 데이턴발레리 페리스.[16]
파일:2007 폭스바겐 골프 스포트라인_(1).jpg파일:2007 폭스바겐 골프 스포트라인_(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7 폭스바겐 골프 스포트라인_(3).jpg
스포트라인 (2007~201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2007 폭스바겐 골프 GTI_(1).jpg파일:2007 폭스바겐 골프 GTI_(2).jpg
GTI
파일:2008 폭스바겐 골프 GT_(1).jpg파일:2008 폭스바겐 골프 GT_(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8 폭스바겐 골프 GT_(3).jpg
GT (2008~2013)
파일:2008 폭스바겐 골프 테크_(1).jpg파일:2008 폭스바겐 골프 테크_(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8 폭스바겐 골프 테크_(3).jpg
테크 (2008~2013)
파일:2012 폭스바겐 골프 스포트라인_(1).jpg파일:2012 폭스바겐 골프 스포트라인_(2).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2012 폭스바겐 골프 스포트라인_(3).jpg파일:2012 폭스바겐 골프 스포트라인_(4).jpg
}}}}}}}}} ||
스포트라인 (2012~2013)
}}}}}}}}} ||
브라질 사양 골프 Mk4.5 (2007~2013)
파일:2009 폭스바겐 골프 시티_(1).jpg파일:2009 폭스바겐 골프 시티_(2).jpg
골프 시티 (2008~2010)
캐나다 사양 골프 (2007~2010)

아메리카 시장에서는 2007년 페이스리프트를 거치고 캐나다에서 2010년, 브라질에서 2013년까지 생산됐다.

이 차의 룸미러와 대시보드가 나오는 짤방이 존재한다.

2.5. 5세대 (2003~2009)

파일:2003 폭스바겐 골프 2.0 TDI 3도어_(1).jpg파일:2003 폭스바겐 골프 2.0 TDI 3도어_(2).jpg
3도어 해치백
파일:2003 폭스바겐 골프 1.6 FSI 5도어_(1).jpg파일:2003 폭스바겐 골프 1.6 FSI 5도어_(2).jpg
5도어 해치백
파일:2007 폭스바겐 골프 바리안트_(1).jpg파일:2007 폭스바겐 골프 바리안트_(2).jpg
바리안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폭스바겐 골프/5세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6. 6세대 (2008~2012)

파일:2008 폭스바겐 골프 3도어_(1).jpg파일:2008 폭스바겐 골프 3도어_(2).jpg
3도어 해치백
파일:2008 폭스바겐 골프 5도어_(1).jpg파일:2008 폭스바겐 골프 5도어_(2).jpg
5도어 해치백
파일:2009 폭스바겐 골프 바리안트_(1).jpg파일:2009 폭스바겐 골프 바리안트_(2).jpg
바리안트
파일:2011 폭스바겐 골프 카브리올레_(1).jpg파일:2011 폭스바겐 골프 카브리올레_(2).jpg
카브리올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폭스바겐 골프/6세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7. 7세대 (2013~2019)

파일:2012 폭스바겐 골프 TSI 5도어_(1).jpg파일:2012 폭스바겐 골프 TSI 5도어_(2).jpg
초기형
파일:2017 폭스바겐 골프 TDI 5도어_(1).jpg파일:2017 폭스바겐 골프 TDI 5도어_(2).jpg
페이스리프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폭스바겐 골프/7세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8. 8세대 (2019~현재)

파일:골프8세대앞.jpg파일:골프8세대뒤.jpg
초기형
파일:2024 폭스바겐 골프 e하이브리드_(1).jpg파일:2024 폭스바겐 골프 e하이브리드_(2).jpg
페이스리프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폭스바겐 골프/8세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여담

4. 미디어에서

4.1. 게임

5. 경쟁 차량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184F><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184F>
파일:폭스바겐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colbgcolor=#00184F> 경차 - 업! · 루포 · 폭스
소형차 폴로 · 버츄스 비틀/뉴 비틀/더 비틀 · 포인터 · 아메오 ·
준중형차 제타 · 보라 · C-트랙 · 골프 · 라만도 · 라비다 · ID.3 1500/1600 · 브라질리아 · 코라도 · 이오스 · 시로코 · 산타나(2세대)
중형차 파사트 · 마고탄 · 아테온 411/412 · CC · 코르사 · 산타나(1세대)
준대형차 ID.7 -
대형차 피데온 페이톤
스포츠카 - 카르만 기아 · SP2 · XL1
초소형 SUV T-크로스/타쿠아/타이군 크로스폴로
소형 SUV 티록 -
엔트리 준중형 SUV 타루/타오스 -
준중형 SUV 티구안 · 테이론 · ID.4 -
중형 SUV 타벤더 -
준대형 SUV 투아렉 · 아틀라스/테라몬트 · 탈라곤 · ID.6 -
쿠페형 SUV 타이고/니부스 · 티구안 X · 테이론 X · 테라몬트 X · ID.5 -
MPV 투란 · 비로란 골프 플러스 · 골프 스포츠밴 · 루탄 · 수란 · 샤란 · 크로스투란
픽업트럭 아마록 -
LCV 크래프터 · 트랜스포터 · 카라벨 · ID.버즈 LT80
군용 차량 - 일티스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000>
파일:VWGK 신규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E5E7A,#191919> 차급 판매 차량 단종 차량
소형차 - 폭스바겐 비틀, 폭스바겐 폴로, 아우디 A1
준중형차 폭스바겐 골프, 폭스바겐 제타, 아우디 A3, 아우디 A4 폭스바겐 시로코, 폭스바겐 이오스
중형차 폭스바겐 아테온, 아우디 A5 폭스바겐 파사트, 폭스바겐 CC
준대형차 아우디 A6, 아우디 A7, 아우디 e-트론 GT 아우디 100
대형차 아우디 A8, 벤틀리 플라잉 스퍼 폭스바겐 페이톤, 벤틀리 뮬산
그랜드 투어러 벤틀리 컨티넨탈 -
스포츠카 - 아우디 TT
슈퍼카 람보르기니 레부엘토출시 예정 람보르기니 우라칸, 아우디 R8, 람보르기니 무르시엘라고, 람보르기니 가야르도, 람보르기니 아벤타도르
소형 SUV 아우디 Q2 폭스바겐 티록
준중형 SUV 폭스바겐 티구안, 폭스바겐 ID.4, 폭스바겐 ID.5출시 예정, 아우디 Q3, 아우디 Q4 e-트론 -
중형 SUV 아우디 Q5 -
준대형 SUV 폭스바겐 투아렉, 폭스바겐 아틀라스출시 예정, 아우디 Q7, 아우디 Q8, 아우디 Q8 e-트론 -
대형 SUV 벤틀리 벤테이가, 람보르기니 우루스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파일:유럽 올해의 차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역대 수상 차량
1971년 1972년 1973년 1974년 1975년
파일:1971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72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73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74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75 유럽 올해의 차.png
시트로엥 GS 피아트 127 아우디 80 메르세데스-벤츠 450SE 시트로엥 CX
1976년 1977년 1978년 1979년 1980년
파일:1976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77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78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79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80 유럽 올해의 차.jpg
생카 1307/1308 로버 3500 포르쉐 928 생카 호라이즌 란치아 델타
역대 경합 후보
1971년 1972년 1973년 1974년 1975년
폭스바겐 K70 르노 15 / 르노 17 르노 5 피아트 X1/9 폭스바겐 골프
시트로엥 SM 메르세데스-벤츠 350SL 혼다 시빅 아우디 50
역대 경합 후보
1976년 1977년 1978년 1979년 1980년
BMW 3시리즈 아우디 100 BMW 7시리즈 피아트 리트모 오펠 카데트
르노 30 TS 포드 피에스타 포드 그라나다 아우디 80 푸조 505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 원래 1970년대1970년부터 1979년까지여야 하지만, 시작 연도가 2001년부터 후보 차량이 7대로 늘어나면서 틀의 크기가 안 맞는 현상을 조정하고자 1980년을 해당 부분에 포함하였음.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파일:유럽 올해의 차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역대 수상 차량
1981년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파일:1981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82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83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84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85 유럽 올해의 차.jpg
포드 에스코트 르노 9 아우디 100 피아트 우노 오펠 카데트/복스홀 아스트라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파일:1986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87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88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89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0 유럽 올해의 차.jpg
포드 스콜피오 오펠 오메가/복스홀 칼튼 푸조 405 피아트 티포 시트로엥 XM
역대 경합 후보
1981년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피아트 판다 오펠 아스코나 포드 시에라 푸조 205 르노 25
폭스바겐 폴로 볼보 760 폭스바겐 골프 란치아 테마
역대 경합 후보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아우디 80 시트로엥 AX 오펠 벡트라 메르세데스-벤츠 SL
메르세데스-벤츠 200-300E BMW 7시리즈 혼다 프렐류드 폭스바겐 파사트 포드 피에스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1] 원래 1980년대1980년부터 1989년까지여야 하지만, 시작 연도가 2001년부터 후보 차량이 7대로 늘어나면서 틀의 크기가 안 맞는 현상을 조정하고자 1990년을 해당 부분에 포함하였음.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파일:유럽 올해의 차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역대 수상 차량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파일:1991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2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3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4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5 유럽 올해의 차.jpg
르노 클리오 폭스바겐 골프 닛산 마이크라 포드 몬데오 피아트 푼토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파일:1996 피아트 브라보.jpg 파일:1997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8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9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2000 유럽 올해의 차.jpg
피아트 브라보/브라바 르노 메간 세닉 알파 로메오 156 포드 포커스 토요타 야리스/야리스 베르소
역대 경합 후보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닛산 프리메라 오펠/복스홀 아스트라 피아트 친퀘첸토 시트로엥 잔티아 폭스바겐 폴로
오펠 칼리브라 시트로엥 ZX 르노 사프란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오펠 오메가
역대 경합 후보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푸조 406 포드 카 폭스바겐 골프 오펠 아스트라 피아트 멀티플라
아우디 A4 폭스바갠 파사트 아우디 A6 푸조 206 오펠 자피라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1] 원래 1990년대1990년부터 1999년까지여야 하지만, 시작 연도가 2001년부터 후보 차량이 7대로 늘어나면서 틀의 크기가 안 맞는 현상을 조정하고자 2000년을 해당 부분에 포함하였음.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파일:유럽 올해의 차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역대 수상 차량
2011년 2013년 2014년 2015년
파일:2011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2012 유럽 올해의 차.png 파일:2012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2013 유럽 올해의 차.png 파일:2014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2015 유럽 올해의 차.jpg
닛산 리프 쉐보레 볼트 PHEV 오펠 암페라 폭스바겐 골프 푸조 308 폭스바겐 파사트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파일:2016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2017 유럽 올해의 차.png 파일:2018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2019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2020 유럽 올해의 차.png
오펠/복스홀 아스트라 푸조 3008 볼보 XC40 재규어 I-페이스 푸조 208
역대 경합 후보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BMW i3 시트로엥 C4 칵투스
폭스바겐 파사트 포드 포커스 볼보 V40 테슬라 모델 S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3위권 외 후보
포드 C-맥스 랜드로버 레인지로버 이보크 포드 B-맥스 시트로엥 C4 피카소 포드 몬데오
시트로엥 DS3 피아트 판다 메르세데스-벤츠 A클래스 마쓰다 3 닛산 캐시카이
볼보 S60 시트로엥 DS5 르노 클리오 스코다 옥타비아 BMW 2시리즈
다치아 더스터 토요타 야리스 푸조 208 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 르노 트윙고
역대 경합 후보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볼보 XC90 세아트 이비자 알핀 A110 테슬라 모델 3
마쓰다 MX-5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BMW 5시리즈 기아 씨드 포르쉐 타이칸
3위권 외 후보
아우디 A4 볼보 S90 기아 스팅어 포드 포커스 르노 클리오
재규어 XE 시트로엥 C3 시트로엥 C3 에어크로스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포드 퓨마
스코다 수퍼브 토요타 C-HR 아우디 R8 푸조 508 토요타 코롤라
BMW 7시리즈 닛산 마이크라 메르세데스-벤츠 A클래스 BMW 1시리즈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1] 원래 2010년대2010년부터 2019년까지여야 하지만, 시작 연도 2001년부터 후보 차량이 7대로 늘어나면서 틀의 크기가 안 맞는 현상을 조정하면서 10년 단위를 맞추기 위해 2020년을 해당 부분에 포함하였음.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파일:모터트렌드 올해의 차.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역대 수상 차량
1980년 1982년 1983년 1984년
파일:1980 쉐보레 사이테이션.jpg 파일:1981 크라이슬러 K카.jpg 파일:1982 쉐보레 카마로 Z28.jpg 파일:1983 르노 얼라이언스.jpg 파일:1984 쉐보레 콜벳.jpg
쉐보레 사이테이션
1981년형 크라이슬러 K카
쉐보레 카마로 Z28 르노 얼라이언스 쉐보레 콜벳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파일:1985 폭스바겐 GTi.jpg 파일:1986 포드 토러스.jpg 파일:1987 포드 썬더버드 터보 쿠페.jpg 파일:1988 폰티악 그랑프리.jpg 파일:1989 포드 썬더버드 슈퍼 쿠페.jpg
폭스바겐 GTi 포드 토러스 LX 포드 썬더버드 터보 쿠페 폰티악 그랑프리 포드 썬더버드 슈퍼 쿠페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올해의 트럭 부문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파일:모터트렌드 올해의 차.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역대 수상 차량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파일:2010 포드 퓨전.jpg 파일:2011 쉐보레 볼트.jpg 파일:2012 폭스바겐 파사트.jpg 파일:2014 테슬라 모델 3.jpg 파일:2014 캐딜락 CTS.jpg
포드 퓨전 쉐보레 볼트 PHEV 폭스바겐 파사트 테슬라 모델 S 캐딜락 CTS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파일:2015 폭스바겐 골프.jpg 파일:2016 쉐보레 카마로.jpg 파일:2017 쉐보레 볼트 EV.jpg 파일:2018 알파 로메오 줄리아.jpg 파일:2019 제네시스 G70.jpg
폭스바갠 골프 쉐보레 카마로 쉐보레 볼트 EV 알파 로메오 줄리아/줄리아 콰드로폴리 제네시스 G70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올해의 트럭 부문
올해의 SUV 부문
}}}}}}}}} ||



[1] 스포츠 골프가 아니고, 멕시코 만류로 인해 부는 편서풍 걸프스트림에서 따온 것이다. 폭스바겐 차량의 상당수는 바람에서 이름을 따 왔다. 예를 들면 제타, 시로코, 파사트 등.[2] 1세대와 5세대의 북미 수출명.[3] Grand Tourer Injection (Gran Turismo Iniezione)의 약자. 장거리를 편안하게 운전할 수 있는 고성능 차량인 그랜드 투어러 중 연료분사장치를 사용한 고성능 차량을 의미한다. 1960년대에 연료분사는 적용차량을 찾기 어려운 고급기술로 이를 강조하기 위해 이름에 Injection을 넣었다. (1961 마세라티 3500 GTi) 해치백은 그랜드 투어러와는 거리가 멀지만 골프 GTI (1976) 나 푸조 205 GTI (1984) 등 고성능 핫해치에 GTI라는 이름이 붙으면서 지금은 핫해치의 네이밍으로 유명해졌다.[4] 처음에 주지아로가 폭스바겐에 디자인을 제안했을 때, 당시 폭스바겐의 수석디자이너가 골프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제안을 거부했다. 골프의 경우는 취소하기에 너무 늦었다고 그대로 개발을 이어갔지만, 예상과 달리 골프는 상업적으로 성공을 터뜨렸다.[5] 골프 플랫폼으로 트렁크를 달면 제타, 그 제타에서 크기가 커지면 파사트, SUV로 만들면 티구안, 껍데기를 바꾸면 시로코와 비틀이 되고, 뚜껑이 열리면 이오스와 골프 카브리올레가 된다. 그 외에도 크로스오버인 골프 올트렉과 MPV이 된 투란이 있다.[6] 8세대 또한 7세대를 크게 뜯어고친 모델이기 때문에 전통이 완전히 깨진 것은 아니다. 비슷한 예로는 페라리 F8 트리뷰토가 있다. F8 트리뷰토 또한 458 이탈리아488 GTB로 페이스리프트 된 후 한 번 더 대대적으로 뜯어고친 모델이기 때문.[7] 국내에서 절대 팔릴 수가 없던 디젤 엔진 + 해치백 조합의 골프를 대세로 만들어버린 대단한 양반으로, 한국에서 폭스바겐을 독일 3사 수준까진 아니더라도 준 프리미엄 브랜드로 인식시켜 대박을 터뜨린 공은 있다. 2013년 본사 임원진과 미묘한 갈등을 보이며 QM3의 출시를 앞두고 있었던 르노삼성자동차(現 르노코리아)로 이직했다. 1989년 한진건설의 볼보 사업부장을 맡은 이래 수입차 분야의 전문가로 발돋움한 인물이다. 2008~2012년에는 제7·8대 한국수입자동차협회장으로 재직했다.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가 2005년에 설립됐을 때부터 사장을 맡아 아우디 - 폭스바겐의 약진을 이끌었다. 하지만 이후 벌어진 폭스바겐의 디젤게이트사건의 결과로 징역 8개월에 집행유예 2년 선고를 받는 등 어두운 면도 없지 않다.[8] 세계 최초로 해치백을 상용화시킨 자동차는 1965년에 등장한 르노 16이다. 좀더 거슬러올라가면 1961년에 등장한 르노 4를 최초의 해치백으로도 볼 수 있는데, 이 차의 스타일 자체는 해치백이라기보다는 길이가 짧은 왜건이라고 하는 것이 더 타당해 보이므로 논란의 여지가 있다. 반면 르노 16은 논란의 여지가 없는 그냥 해치백. 참고로, 르노를 대표하는 해치백 모델인 르노 5는 1972년에 등장했다.[9] 그동안 비틀의 레이아웃으로 만들었던 카르만-기아, 마이크로버스, 411이나 1600, 브라질리아 등은 시대의 아이콘으로서 성공한 경우도 있었으나, 후자의 411같은 차는 상업적으로 크게 실패한 사례였다.[10] Box Flare Wheel Arch. 박스 모양으로 각지게 튀어나온 형태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며, 아우디 콰트로, BMW E30 M3, 란치아 델타 HF 인테그랄레 등 1980년대 고성능 자동차, 특히 랠리카 베이스의 차량에 많이 채택되던 디자인이다.[11] 아무것도 튜닝하지 않은 순정 상태이다.[12] 소유자 중 대표적인 유명인은 빽가가 있다.[13] 엔진코드 AUQ, 2001년 6월 ~ 2003년 6월 생산분[14] 영국 시장 이름.[15] 1500대 한정 생산.[16] 이 둘은 부부 감독이다.[17] 니드 포 스피드: 언더그라운드 2에서는 아우디 A3, 아우디 TT, (북미 및 영국 외 지역판 한정) 오펠 코르사가 추가적으로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