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0 17:24:04

뷰익 엔클레이브

파일:695D07B7-A7E5-4B84-8E87-0E37DFB7EFAD.png 뷰익의 플래그십 라인업
라크로스 엔클레이브 GL8
파일:695D07B7-A7E5-4B84-8E87-0E37DFB7EFAD.png
파일:BECmain.jpg
Enclave

1. 개요2. 상세
2.1. 1세대 (GMT967, 2007~2017)2.2. 2세대 (C1YB, 2017~2024)
2.2.1. 중국 사양 (C1UB, 2019~현재)
2.3. 3세대 (C1YB-2, 2024~현재)
3. 제원
3.1. 1세대3.2. 2세대3.3. 3세대
4. 둘러보기


BUICK Enclave[1]
别克 昂科旗

1. 개요

뷰익준대형 SUV이다.

2. 상세

2.1. 1세대 (GMT967, 2007~2017)

파일:BEC9.jpg
파일:BEC10.jpg
파일:BEC11.jpg
파일:BEC12.jpg
1세대 초기형 엔클레이브
북미 시장 광고

기존에 뷰익의 중형 SUV를 담당하던 레이니어, 랑데뷰와 미니밴인 테라자의 통합 후속으로 등장한 고급 준대형 SUV이다. 서로 다른 장르의 차량을 동시에 대체하는 역할을 맡았기에 크로스오버 성향을 띠며, 2007년 4월부터 생산을 개시했다.

차체는 GM 람다 플랫폼을 바탕으로 설계되었으며, 전장 5,126mm, 전폭 2,007mm, 전고 1,834mm, 축거 3,020mm의 거대한 크기를 갖는다. 외관은 2003년 공개한 센티엠(Centieme) 콘셉트를 바탕으로 디자인되었고, 당시 다른 뷰익 차량들과 마찬가지로 곡선 위주의 부드러운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벤티포트와 폭포수 그릴을 비롯해 옛 뷰익 차량에서 만나볼 수 있던 고전적인 디테일이 이식된 것도 특징적인 부분. 실내는 안락한 분위기를 풍기며, 우드 그레인과 아날로그 시계를 장착하고 고급 소재로 마무리한 덕에 형제차인 쉐보레 트래버스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고급스러운 편이다. 시트 구성은 7인승과 8인승의 두 가지 선택지 중에서 고를 수 있었다.

편의장비로는 원격 시동, XM 위성 라디오, 8-way 전동 시트, 오토 에어컨, 후방 카메라, 열선 시트, 네비게이션, 보스 스테레오 스피커, 온스타 등의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었다. 안전 장비로는 운전석/동반석 에어백, 측면 커튼 에어백, ABS, 차세 제어 장치 등이 제공된다.

파워트레인은 275마력의 3.6L LY7 V6 가솔린 엔진에 6T75 6단 자동변속기가 결합된 구성만 제공되었으며, 전륜구동을 기초로 사륜구동의 선택이 가능했다. 또한 뷰익의 QuietTunning이 적용된 초창기 모델 중 하나로 준수한 정숙성을 갖추고 있었고, 부드러운 서스펜션과 맞물려 상당히 편안한 주행이 가능했다.[2]

전반적으로 SUV라기엔 미니밴 같고, 미니밴이라기엔 SUV 같은 차량이지만,[3] 실용성과 편안함이라는 측면에 있어서만큼은 타사 SUV 대비 확실한 우위를 점했고, SUV의 장점과 미니밴의 장점을 모두 흡수해 북미 시장에서 나쁘지 않은 반응을 얻어내는 데에 성공했다. 2008년 북미 올해의 트럭 최종 후보에 오르는가 하면, 출시 초기부터 수요가 공급을 뛰어넘어 엔클레이브를 생산하는 GM 델타 타운쉽 공장이 3교대 근무에 들어가야 했을 정도였다.[4]

차량의 판매는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이뤄졌으며, 중국 시장에서도 제한적인 판매가 이뤄진 바 있다.

2009년형부터는 3.6L LLT V6 가솔린 엔진이 새로 탑재되며 출력이 288마력으로 상승했다.[5]
파일:BEC13.jpg
파일:BEC14.jpg
파일:BEC15.jpg
1세대 후기형 엔클레이브

2012년 4월엔 페이스리프트를 거친 후기형 모델이 공개되었다. 전면부에 자리잡은 폭포수 그릴의 내부 디테일이 강화되고 크기가 한층 커졌으며, 헤드램프와 안개등, 테일램프에 LED가 추가되었다. 또한 C필러에 피아노 블랙 마감이 새롭게 적용된다.

실내에선 우드 그레인이 줄어들고 가죽 소재의 사용이 확대되었으며, 푸른색 조명과 신형 인텔리링크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도입되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공조장치 조작부의 직관성도 개선되었다.

안전 장비로는 업계 최초의 1열 센터 에어백과 사각지대 경고 기능이 추가되었다.

꾸준히 연 5~6만대 선의 북미 판매량을 보이다가 2017년에 2세대 모델이 출시되며 단종되었다.

2.2. 2세대 (C1YB, 2017~2024)

파일:BEC17.jpg
파일:BEC18.jpg
파일:BEC19.jpg
파일:BEC20.jpg
2세대 초기형 엔클레이브
파일:BEC21.jpg
파일:BEC22.jpg
파일:BEC23.jpg
파일:BEC24.jpg
2세대 초기형 엔클레이브 에비니어
북미 시장 광고

2017년 4월, 뉴욕 오토쇼를 통해 2세대 모델이 공개되었다. 앞서 엔비전, 리갈 X 등이 출시되며 뷰익의 SUV 라인업이 확장되었고, 이에 따라 브랜드의 기함급 플래그십 SUV로서 막중한 역할을 맡았다.

차체는 GM C1XX 플랫폼의 장축형을 바탕으로 설계되었으며, 전장 5,189mm, 전폭 2,002mm, 전고 1,775mm, 축거 3,071mm의 크기를 갖는다. 전장이 5.2m에 근접하는 수준으로 늘어나 몇몇 프리미엄 브랜드의 대형 SUV보다도 큰 덩치를 지닌 것이 특징이다. 전반적인 기술적 요소는 1세대와 동일하게 쉐보레 트래버스와 공유한다.

외관은 3세대 라크로스에서 선보인 뷰익의 새로운 패밀리룩을 바탕으로 하며, 고전적인 뷰익 차량들을 연상시키는 유려한 캐릭터 라인이 적용되었다. 부메랑 형태의 DRL, 입체적인 폭포수 그릴, 크롬 장식 등 이전 세대부터 이어진 디자인 요소도 많다. 후드에 위치해 있던 벤티포트 장식은 휀더에 위치한 방열구 장식으로 대체되었다. 실내는 곡선형 디자인을 바탕으로 각 요소를 수평 배치했고, 신체 접촉면 대부분을 부드러운 소재로 마감해 고급감이 향상되었다.

편의 장비로는 열선 및 통풍시트, 3열 전동 시트, 서라운드 뷰 카메라, 디스플레이 룸미러, 전동 개폐 트렁크, 썬루프, 무선 충전 패드, 원격 시동, 보스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 애플 카플레이, 안드로이드 오토,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ANC),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등의 다양한 기능이 제공된다. 안전 장비로는 햅틱 시트, 사각지대 경고, 후측방 접근 경고, 전방 충돌 경고, 긴급 제동, 차선 이탈 경고, 차선 유지 보조 등이 제공된다.

파워트레인은 310마력을 발휘하는 3.6L LFY V6 가솔린 엔진에 9T65 9단 자동변속기가 맞물린 구성만 제공되었으며, 구동 방식은 전륜구동을 기초로 한다. 사륜구동은 옵션으로 선택 가능하며, 이 경우 각 바퀴에 구동력을 따로 분배하는 능동형 트윈 클러치 시스템이 탑재되어 후륜에 더 많은 동력을 보낼 수도 있다. 트림에 따라 실시간으로 노면을 스캔해 감쇠력을 조절하는 CDC(Continuous Damping Control) 서스펜션도 제공된다.

1세대에 없던 최고급 트림 에비니어(Avenir)가 새로 도입된 것도 주목할만한 부분. 에비니어 트림은 20인치 대구경 크롬 휠과 각종 크롬 파츠, 고급 내장재와 전용 레터링이 장착되어 일반형과 차별화가 이뤄진다.

출시 이후 공간감과 정숙성에 대해 호평받으며 1세대 모델과 비슷한 인기를 이어갔고, 인피니티 QX60 등의 경쟁 차량보다 더 많은 판매량을 기록했다. 차량의 생산은 기존과 동일하게 미국 미시간 주에 위치한 GM 델타 타운쉽 공장에서 이뤄졌다.
파일:BEC25.jpg
파일:BEC26.jpg
파일:BEC27.jpg
파일:BEC28.jpg
2세대 후기형 엔클레이브 에비니어

2021년 1월엔 페이스리프트를 거친 후기형 모델이 공개되었다. 분리형 헤드램프와 클리어 타입 테일램프를 적용하는 한편, 그릴의 크기를 대폭 키워 외관의 인상이 기존과 크게 달라졌다. 실내엔 새로운 디자인의 스티어링 휠과 버튼 타입 변속기가 장착되는 변화가 있다.

편의 장비로는 개선형 무선 충전 패드와 무선 폰 프로젝션이 추가되었다.

파워트레인은 기존과 동일하다.

2024년에 3세대 모델이 출시되며 단종되었다.

2.2.1. 중국 사양 (C1UB, 2019~현재)

파일:BEC29.jpg
파일:BEC30.jpg
파일:BEC31.jpg
파일:BEC32.jpg
2세대 중국형 엔클레이브
중국 시장 광고

중국 시장에선 1세대 모델의 단종 이후 2세대 모델이 바로 출시되지 않고, 글로벌 사양과는 별개의 SUV가 엔클레이브의 이름을 달고 판매 중이다. 이 차량은 C1XX 플랫폼의 장축형이 아닌 단축형을 사용하며, 기술적으로 북미 사양 엔클레이브보단 캐딜락 XT6, GMC 아카디아(2세대)와 더 비슷하다. 실제로 차체 크기가 전장 4,981mm, 전폭 1,956mm, 전고 1,732mm, 축거 2,863mm 수준이라 북미 사양 대비 덩치가 많이 작은 편이다.

실내외 디자인도 글로벌 사양과 다르다. 얼핏 보면 2세대 북미 사양 후기형과 유사해보일 수 있으나, 생김새가 다르며, 외판을 단 하나도 공유하지 않는다. 대시보드 레이아웃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도 다르다.

파워트레인도 233마력을 발휘하는 I4 2.0L LSY 가솔린 터보 엔진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북미 사양보다 출력이 부족한 편이다. 다만 북미 사양에 없는 48V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적용되는 것이 특징.

생산은 중국 상하이에 위치한 상하이 GM 공장에서 이루어진다.

2024년에 북미 시장에서 신형 모델의 출시가 이뤄졌음에도 중국 시장에선 이 모델이 계속 판매 중이다.

2.3. 3세대 (C1YB-2, 2024~현재)

파일:BEC1.jpg
파일:BEC2.jpg
파일:BEC3.jpg
파일:BEC4.jpg
3세대 초기형 엔클레이브 에비니어
파일:BEC5.jpg
파일:BEC6.jpg
파일:BEC7.jpg
파일:BEC8.jpg
3세대 초기형 엔클레이브 ST
공식 홍보 영상

2024년 4월 9일, 3세대 모델이 정식으로 공개되었다. 기존과 동일하게 뷰익의 플래그십 SUV 역할을 맡으며,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판매된다.

차체는 C1XX 플랫폼의 개선형인 GM VSS-S 플랫폼을 바탕으로 하며, 전장 5,273mm, 전폭 2,022mm, 전고 1,803mm, 축거 3,072mm의 크기를 지닌다. 기존 모델도 컸지만 그보다 더 커져서 동급에서 전장이 긴 편인 마쓰다 CX-90이나 렉서스 TX보다도 큰 덩치를 갖는다.

외관은 높아진 A필러 각도, 사다리꼴 휠하우스의 적용으로 기존의 크로스오버 이미지보다 SUV 이미지에 더 가까워졌으며, 와일드캣 콘셉트로부터 비롯된 뷰익의 퓨어 디자인 테마가 적용되었다. 실내는 30인치 대화면 OLED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대대적인 재설계를 거쳤고, 고급 내장재로 마무리해 현행 뷰익 차량 중 가장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띤다. 칼럼식 기어 레버의 장착과 함께 플로팅 타입 센터 콘솔이 적용되어 공간 활용성도 좋아졌다. 2열 시트 원터치 폴딩 기능이 추가되어 3열 접근성도 개선되었다.

편의 장비로는 열선 및 통풍 기능을 지원하는 마사지 시트, 3열 전동 시트, HUD, 서라운드 뷰 카메라, 디스플레이 룸미러, 전동 개폐 트렁크, 파노라마 썬루프, 무선 충전 패드, 무선 폰 프로젝션, 원격 시동, 자동 주차, 보스 퍼포먼스 오디오 시스템,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ANC),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등의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며, 뷰익 차량 최초로 GM의 핸즈프리 드라이빙 시스템인 슈퍼크루즈를 선택할 수 있다.

안전 장비로는 햅틱 시트, 사각지대 경고, 후측방 접근 경고, 전방 충돌 경고, 교차로 대향차 기능, 전후방 긴급 제동, 차선 이탈 경고, 차선 유지 보조, 회피 조향 보조, 교통 표지판 인식, 후석 승객 알림 등이 제공된다.

파워트레인은 328마력을 발휘하는 2.5L LK0 I4 가솔린 터보 엔진에 8단 자동변속기가 맞물린 구성만 제공되며, 전륜구동을 기초로 한다. 사륜구동은 기존과 동일하게 옵션 사항이다. 실시간으로 감쇠력을 조절하는 CDC(Continuous Damping Control) 서스펜션도 계속 제공된다.

트림 구성은 북미 기준으로 기본형인 프리퍼드(Preferred)와 스포티한 디자인이 적용된 ST, 최상급 트림인 에비니어(Avenir) 등 3단계로 나뉜다. 이 중 에비니어 트림은 22인치 대구경 휠과 각종 크롬 파츠, 고급 내장재와 클리어 타입 테일램프, 바디 컬러 클레딩, 전용 레터링이 장착되어 일반형과 차별화가 이뤄지는 것이 특징이다.

차량의 생산은 기존과 동일하게 미국 미시간 주에 위치한 GM 델타 타운쉽 공장에서 이뤄진다.

3. 제원

3.1. 1세대

Enclave (북미 사양 기준)
코드네임 GMT967
차량 형식 5도어 준대형 SUV
생산지
[[미국|]][[틀:국기|]][[틀:국기|]]
GM 랜싱 델타 타운쉽 공장
플랫폼 GM 람다 플랫폼
전장 5,126mm(초기형)
5,128mm(후기형)
전폭 2,007mm
전고 1,834mm(초기형)
1,821mm(후기형)
축거 3,020mm
엔진 3.6L V6 DOHC
(LY7(MY08), LLT(MY09~MY17))
구동방식 FWD
AWD
최고출력 275hp/6,600rpm(MY08)
288hp/6,300hp(MY09~MY17)
최고토크 340Nm/3,200rpm(MY08)
366Nm/3,400rpm(MY09~MY17)
전륜 현가장치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후륜 현가장치 멀티링크 서스펜션
전륜 제동장치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후륜 제동장치
견인능력 2,041kg
연료탱크 83ℓ

3.2. 2세대

Enclave (북미 사양 기준)
코드네임 C1YB
차량 형식 5도어 준대형 SUV
생산지
[[미국|]][[틀:국기|]][[틀:국기|]]
GM 랜싱 델타 타운쉽 공장
플랫폼 GM C1XX 플랫폼
전장 5,189mm(초기형)
5,201mm(후기형)
전폭 2,002mm
전고 1,775mm
축거 3,071mm
엔진 3.6L V6 DOHC
(LK0)
구동방식 FWD
AWD
최고출력 310hp/6,800rpm
최고토크 359Nm/2,800rpm
전륜 현가장치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후륜 현가장치 멀티링크 서스펜션
전륜 제동장치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후륜 제동장치
견인능력 2,268kg
연료탱크 73.4ℓ(FWD)
82.1ℓ(AWD)

3.3. 3세대

Enclave (북미 사양 기준)
코드네임 C1YB-2
차량 형식 5도어 준대형 SUV
생산지
[[미국|]][[틀:국기|]][[틀:국기|]]
GM 랜싱 델타 타운쉽 공장
플랫폼 GM VSS-S 플랫폼
전장 5,273mm
전폭 2,022mm
전고 1,803mm
축거 3,072mm
엔진 2.5L I4 DOHC
(LFY)
구동방식 FWD
AWD
최고출력 328hp/5,500rpm
최고토크 442Nm/3,500rpm
전륜 현가장치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후륜 현가장치 멀티링크 서스펜션
전륜 제동장치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후륜 제동장치
견인능력 2,268kg
연료탱크 73.4ℓ(FWD)
82.1ℓ(AWD)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파일:Buick 2023 emblem.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차종 생산 차량 단종 차량
<colbgcolor=#323232> 소형 - 세일
준중형 베라노 · 벨라이트 6 스페셜(1961~1963) · 아폴로 · 스카이호크 ·
엑셀 · 엑셀 XT · 엑셀 GT · 벨라이트 5
중형 리갈 스탠다드 식스 · 스카이락 · 소머셋 ·
스페셜(1964~1969) · 센추리 · 스포트 왜건
준대형 라크로스 -
대형 - 모델 B · 4 · 식스 · 마스터 식스 · 슈퍼 · 리미티드 ·
로드마스터 · 스페셜(1936~1958) · 스카이락(1953~1972) ·
엘렉트라 · 르세이버 · 인빅타 · 와일드캣 · 센추리온 ·
리비에라 · 에스테이트 · 파크 애비뉴 · 로이엄 · 루체른
컨버터블 - 카스카다 · 레아타
소형 SUV 앙코르 GX · 엔비스타 벨라이트 7 · 앙코르
준중형 SUV 엔비전 -
중형 SUV 엘렉트라 E4 · 엘렉트라 E5 레이니어 · 랑데뷰 · 리갈 투어X
준대형 SUV 엔클레이브 -
MPV GL8 테라자 · GL6
대전차 자주포 - M18 헬캣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000>
파일:SAIC-GM.png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0; min-width: 25%"
{{{#!folding [ 쉐보레 ]
{{{#!wiki style="margin: 2px -1px -11px"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F9835><tablealign=center><tablebgcolor=#CF9835>
파일:쉐보레 로고(화이트).svg
}}}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소형차 <colbgcolor=#fff,#000> 오닉스 · 세일 <colbgcolor=#fff,#000> 아베오[i] · 스파크[i] · 로바[C]
준중형차 멘로[C] · 몬자[C] 크루즈[C] · 카발리에 · 코르시카[i]
중형차 말리부 XL[C] 에피카
대형차 - 카프리스 클래식[i]
스포츠카 - 카마로[i]
슈퍼카 - 콜벳[i]
소형 SUV 시커[C] · 트랙커[C] 트랙스
준중형 SUV 이쿼녹스 · 이쿼녹스 EV[i] -
중형 SUV 블레이저 · 트레일블레이저 캡티바[i]
준대형 SUV 트래버스 -
픽업트럭 - 실버라도[i] · 콜로라도[i]
MPV - 올란도[C] · 로바 · 루미나[i]
기울어진 글씨: 중국 생산 차종
}}}}}}}}}
[ 캐딜락 ]
||<-3><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height=70><width=800>
||<tablebordercolor=#000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0000>
파일:캐딜락 로고 화이트.svg
|| ||
||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중형차 <colbgcolor=#fff,#000> CT4 <colbgcolor=#fff,#000> ATS · ATS-L[i][C]
준대형차 CT5 CTS[i] · SLS[C]
대형차 CT6[C] XTS · 플리트우드 브로엄[i] · 플리트우드[i]
스포츠카 - XLR[i]
준중형 SUV GT4[C] · XT4 -
중형 SUV XT5[C] · 옵틱 SRX[i]
준대형 SUV XT6 · 리릭 -
대형 SUV - 에스컬레이드[i]
기울어진 글씨: 중국 생산 차종
[ 뷰익 ]
||<-3><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ffffff><height=70><width=800>
||<tablebordercolor=white,#1f2023><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1f2023>
파일:Buick 2023 emblem.png
|| ||
||
<colbgcolor=#000>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준중형차 베라노 프로[C] · 벨라이트 6[C] 벨라이트 5[C] · 엑셀[C] · 엑셀 XT[C] · 엑셀 GT[C]
중형차 리갈[C] 센추리
준대형차 라크로스[C] -
대형차 - 파크 애비뉴 · 로드마스터[i] · 로이엄
소형 SUV 앙코르 GX · 엔비스타 벨라이트 7[C] · 앙코르[C]
준중형 SUV 엔비전 S / 엔비전 플러스[C] -
중형 SUV 엘렉트라 E4[C] · 엘렉트라 E5[C] -
준대형 SUV 엔클레이브 -
MPV GL8[C] GL6[C]
기울어진 글씨: 중국 생산 차종
각주 [ 펼치기 · 접기 ]

||
IIHS 탑 세이프티 픽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파일: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2008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승용차 부문)
소형차 부문 혼다 시빅 · 미쓰비시 랜서 · 사이언 xB · 스바루 임프레자 · 폭스바겐 래빗
중형차 부문 아우디 A3 · 포드 퓨전 · 혼다 어코드 · 머큐리 밀란 · 스바루 레거시 · 폭스바겐 파사트
아우디 A4·사브 9-3 세단/컨버터블 (고급 중형차)
폭스바겐 이오스 · 볼보 C70 컨버터블 (컨버터블)
대형차 부문 포드 토러스 · 머큐리 세이블
아큐라 RL · 아우디 A6 · 캐딜락 CTS · 링컨 MKS · 볼보 S80
파일:2008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SUV 부문)
소형 SUV 부문 포드 이스케이프 · 혼다 CR-V · 혼다 엘레먼트 · 마쓰다 트리뷰트 · 머큐리 마리너 · 미쓰비시 아웃랜더 · 닛산 로그 · 스바루 포레스터 · 폭스바겐 티구안
중형 SUV 부문 포드 엣지 · 포드 플렉스 · 포드 토러스 X · 혼다 파일럿 · 현대 싼타페 · 현대 베라크루즈 · 닛산 무라노 · 새턴 뷰 · 스바루 트라이베카 · 토요타 하이랜더
고급 중형 SUV 부문 아큐라 MDX · 아큐라 RDX · BMW X3 · BMW X5 · 인피니티 EX · 링컨 MKX · 메르세데스-벤츠 M클래스 · 볼보 XC90
대형 SUV 부문 아우디 Q7 · 뷰익 엔클레이브 · 쉐보레 트래버스 · GMC 아카디아 · 새턴 아웃룩
파일:2008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미니밴 부문)
미니밴 부문 혼다 오딧세이 · 기아 세도나 · 현대 앙트라지
파일:2008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픽업트럭 부문)
소형 픽업트럭 부문 토요타 타코마 크루 캡
대형 픽업트럭 부문 토요타 툰드라 익스텐디드 캡

2007년형 2008년형 2009년형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파일: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2009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승용차 부문)
경차 부문 혼다 피트
소형차 부문 포드 포커스 쿠페 · 혼다 시빅 · 혼다 인사이트 · 기아 쏘울 · 마쓰다 3 · 미쓰비시 랜서 · 닛산 베르사 · 사이언 xB · 스바루 임프레자 · 토요타 코롤라 · 토요타 프리우스 · 폭스바겐 래빗
중형차 부문 아우디 A3 · 크라이슬러 세브링 · 닷지 어벤저 · 포드 퓨전 · 혼다 어코드 · 머큐리 밀란 · 스바루 레거시 · 스바루 아웃백 · 폭스바겐 제타 · 폭스바겐 파사트 · 볼보 C30
아큐라 TL · 아큐라 TSX · 아우디 A4 · BMW 3시리즈 · 링컨 MKZ ·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 사브 9-3 세단/컨버터블 · 폭스바겐 CC (고급 중형차)
폭스바겐 이오스 · 볼보 C70 컨버터블 (컨버터블)
대형차 부문 뷰익 라크로스 · 포드 토러스 · 머큐리 세이블 · 토요타 아발론
아큐라 RL · 아우디 A6 · 캐딜락 CTS · 현대 제네시스 · 링컨 MKS · 볼보 S80
파일:2009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SUV 부문)
소형 SUV 부문 포드 이스케이프 · 혼다 CR-V · 혼다 엘레먼트 · 마쓰다 트리뷰트 · 머큐리 마리너 · 미쓰비시 아웃랜더 · 닛산 로그 · 스바루 포레스터 · 토요타 RAV4 · 폭스바겐 티구안
중형 SUV 부문 쉐보레 이쿼녹스 · 닷지 저니 · 포드 엣지 · 포드 플렉스 · 포드 토러스 X · GMC 터레인 · 혼다 파일럿 · 현대 싼타페 · 현대 베라크루즈 · 닛산 무라노 · 새턴 뷰 · 스바루 트라이베카 · 토요타 FJ 크루저 · 토요타 하이랜더 · 토요타 벤자
고급 중형 SUV 부문 아큐라 MDX · 아큐라 RDX · 아우디 Q5 · BMW X3 · BMW X5 · 캐딜락 SRX · 인피니티 EX · 렉서스 RX · 링컨 MKT · 링컨 MKX · 메르세데스-벤츠 M클래스 · 볼보 XC90
대형 SUV 부문 아우디 Q7 · 뷰익 엔클레이브 · 쉐보레 트래버스 · GMC 아카디아 · 메르세데스-벤츠 R클래스 · 새턴 아웃룩
파일:2009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미니밴 부문)
미니밴 부문 혼다 오딧세이 · 기아 세도나
파일:2009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픽업트럭 부문)
소형 픽업트럭 부문 토요타 타코마 크루 캡
대형 픽업트럭 부문 포드 F-150 크루 캡 · 혼다 릿지라인 크루 캡 · 토요타 툰드라 익스텐디드 캡

2008년형 2009년형 2010년형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파일: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2011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승용차 부문)
소형 미니카 부문 피아트 500 · 포드 피에스타 세단/해치백
소형차 부문 쉐보레 크루즈 · 쉐보레 소닉 · 쉐보레 볼트 · 포드 포커스 · 혼다 시빅 · 현대 엘란트라 · 기아 포르테 · 기아 쏘울
렉서스 CT · 마쓰다 3 세단/해치백 · 미니 컨트리맨 · 미쓰비시 랜서 · 닛산 큐브 · 닛산 주크 · 닛산 리프 · 사이언 tC
사이언 xB · 스바루 임프레자 · 토요타 코롤라 · 토요타 프리우스 · 폭스바겐 골프/GTi
중형차 부문 아우디 A3 · 쉐보레 말리부 · 크라이슬러 200 · 닷지 어벤저 · 포드 퓨전 · 현대 쏘나타 · 기아 옵티마 · 스바루 레거시 · 스바루 아웃백 · 폭스바겐 제타/제타 스포트왜건 · 폭스바겐 파사트 · 볼보 C30
아우디 A4 · 링컨 MKZ ·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 폭스바겐 CC · 볼보 S60 (고급 중형차)
대형차 부문 뷰익 라크로스 · 뷰익 리갈 · 크라이슬러 300 · 닷지 차저 세단 · 포드 토러스 · 토요타 아발론
BMW 5시리즈 · 캐딜락 CTS · 현대 에쿠스 · 현대 제네시스 · 인피니티 M37/M56 · 링컨 MKS ·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쿠페 ·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 사브 9-5 · 볼보 S80 (고급 대형차 부문)
파일:2011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SUV 부문)
소형 SUV 부문 혼다 엘레먼트 · 현대 투싼 · 지프 패트리어트 · 기아 스포티지 · 스바루 포레스터 · 폭스바겐 티구안
중형 SUV 부문 쉐보레 이쿼녹스 · 닷지 듀랑고 · 닷지 저니 · 포드 엣지 · 포드 익스플로러 · 포드 플렉스 · GMC 터레인 · 현대 싼타페 · 지프 그랜드 체로키 · 기아 쏘렌토 · 사브 9-4X · 스바루 트라이베카 · 토요타 하이랜더 · 토요타 벤자
고급 중형 SUV 부문 아우디 Q5 · 캐딜락 SRX · 인피니티 EX · 렉서스 RX · 링컨 MKT · 링컨 MKX · 메르세데스-벤츠 GLK · 볼보 XC60 · 볼보 XC90
대형 SUV 부문 뷰익 엔클레이브 · 쉐보레 트래버스 · GMC 아카디아 · 폭스바겐 투아렉
파일:2011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미니밴 부문)
미니밴 부문 크라이슬러 타운 & 컨트리 · 닷지 그랜드 캐러밴 · 혼다 오딧세이 · 토요타 시에나 · 폭스바겐 루탄
파일:2011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픽업트럭 부문)
대형 픽업트럭 부문 포드 F-150 크루 캡 · 토요타 툰드라 익스텐디드 캡

2010년형 2011년형 2012년형
}}}}}}}}} ||



[1] 원래 프랑스어에서 온 단어라서, 미국식 영어로는 프랑스어 원음과 비슷하게 '앙클레이브'라고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뷰익 측 공식 자료들에서도 '앙클레이브'라고 발음한다. '엔클레이브'는 영국식으로 발음한 것.[2] 다만 이와는 별개로 변속기가 저단 변속에서 문제를 일으켜 시내 주행이 불편하다는 컴플레인이 종종 접수되긴 했었다.[3] 이러한 성격은 1세대 아우디 Q7과도 유사하다.[4] 실제로 엔클레이브는 출시 첫 해인 2007년부터 29,286대가 팔려나가며 경쟁 차량인 머큐리 마운티니어를 확실하게 찍어눌렀고, 2008년엔 마운티니어의 4배 가까이 판매되며 아큐라 MDX의 판매량도 뛰어넘었다.[5] 이 연식부터 출력 상승 덕분에 변속기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