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2 11:17:43

뷰익 엑셀

파일:695D07B7-A7E5-4B84-8E87-0E37DFB7EFAD.png
파일:EXLMAIN.jpg
Excelle

1. 개요2. 상세
2.1. 1세대 (2003~2016)2.2. 2세대 (2018~2023)
3. 둘러보기


BUICK Excelle
別克 凱越

1. 개요

뷰익의 중국 시장 전용 승용차이다. 1세대는 준중형급, 2세대는 소형급으로 분류된다.

2. 상세

2.1. 1세대 (2003~2016)

파일:EXL3.jpg 파일:EXL4.jpg
1세대 초기형 엑셀

2000년부터 중국 현지에서 뷰익 차량을 생산하기 시작한 제너럴 모터스는 예상외의 짭짤한 수익을 얻으며 중국 시장의 중요성을 깨닫는다. 이에 회사 내부에선 중국 시장을 공략할 다음 신차에 대한 논의가 한창이었는데, 마침 GM대우에서 준중형차 라세티를 출시한 참이었고, 본사 차원에서 라세티를 월드카로 낙점하며 대대적인 배지 엔지니어링 작업이 이뤄지게 된다.

그 결과 중국 시장을 위해 일부 요소를 수정하고 뷰익 브랜드 차량으로 탈바꿈한 라세티가 2003 상하이 오토쇼에 앞서 '엑셀'이란 이름으로 데뷔했고, 같은 해 중국 현지의 상하이-GM 공장에서 본격적인 생산을 개시했다.

엑셀은 배지 엔지니어링 차량답게 전반적인 구성이 라세티와 거의 같았는데, 외관상 그릴 디자인을 약간 변경하고 차체 곳곳에 붙어 있던 GM대우 로고를 뷰익 로고로 바꾼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실내 역시 오디오 조작부 등 일부 요소만 달리했고, 큰 틀은 라세티와 같았다. 이는 프리미엄을 지향하는 뷰익 브랜드에 걸맞는 구성은 아니었으나, 중국 현지에선 뷰익의 이름값 하나만으로도 구매할 가치가 있었고,[1] 비교적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뷰익 세단이란 점이 제대로 먹혀들어 성공적인 판매 실적을 거뒀다.
파일:EXL1.jpg 파일:EXL2.jpg
1세대 엑셀 HRV 1세대 엑셀 왜건

시장에서의 반응이 좋자 2005년엔 해치백(HRV)과 왜건도 추가하며 라인업을 확장했다.
파일:EXL13.jpg 파일:EXL8.jpg
1세대 중기형 엑셀

2008년엔 한 차례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는데, 뷰익 차량이라는 인상을 더 강화하기 위해 전면과 후면 디자인을 큰 폭으로 갈아엎었다. 날카로운 디자인의 프로젝션 타입 헤드램프와 폭포수에서 영감을 얻은 버티컬 그릴을 적용하고 새로운 휠을 장착했으며, 테일램프를 가로형으로 교체해 인상이 크게 바뀐 것이 특징이다. LED 사이드리피터도 추가되었다.

실내도 대시보드 디자인을 한층 현대적으로 다듬고 새로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실린더 타입 계기판을 적용해 신차 느낌을 냈다.

2009년엔 해치백과 왜건 모델이 단종되었으며, 본격적으로 세단 모델의 판매에만 주력하기 시작했다. 2010년엔 상급 모델인 엑셀 GT가 출시되며 염가형 입문형 세단으로 포지션을 전환했다.
파일:EXL6.jpg 파일:EXL5.jpg
1세대 후기형 엑셀

2013년엔 두 번째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수명을 연장했다. 헤드램프 프로젝터에 블루 아우터 링을 추가하고 그릴과 범퍼 디자인을 또다시 변경했으며, 기본 파워트레인이 1.5L I4 가솔린 엔진 + 6단 자동변속기 조합으로 업그레이드되는 등 개선된 구성을 갖췄다.
파일:EXL9.jpg 파일:EXL10.jpg
1세대 대만 사양 엑셀

한편 대만 시장에서도 2006년부터 2011년까지 판매가 이뤄진 바 있는데, 대만과 중국의 껄끄러운 관계로 인해 상하이-GM 생산분이 도입되진 못했고, GM대우가 CKD(반조립) 형태로 차량을 수출한 뒤 위룽GM을 통해 현지에서 조립되는 방식으로 생산되었다. 이 때문에 대만 사양은 중국 사양과도, 라세티와도 완전히 다른 독자적인 전면, 후면 디자인을 갖추고 있었다.

2016년 8월, 제너럴 모터스가 본사 차원에서 뷰익 브랜드의 이미지 재고를 위해 노후화된 모델을 정리한다는 결정을 내림에 따라 중국 시장에서 여전히 좋은 판매 실적을 거두고 있었음에도 단종 처리되었다. 단종될 때까지 13년간 총 268만대가 넘게 생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2.2. 2세대 (2018~2023)

파일:EXL11.jpg 파일:EXL12.jpg
2세대 초기형 엑셀

2018년 6월, 기존과 이름만 같고 완전히 다른 차량으로 다시 부활했다. 차체는 GM의 신흥국용 유니바디 플랫폼인 GEM 플랫폼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개발 도중 폐기된 오펠 코르사 F 프로토타입과 일부 기술적 연관성이 있다.[2]

일단 차급 자체가 준중형급에서 소형급으로 변경되어 체구가 상당히 작아졌는데, 전장 4,468mm, 전폭 1,765mm, 전고 1,469mm, 축거 2,611mm 수준의 아담한 크기를 지닌다.

파워트레인은 108마력을 발휘하는 1.3L I3 엔진에 CVT가 맞물린 구성을 기본으로 한다. 차량의 생산은 기존과 동일하게 상하이-GM에서 담당했다.

2022년에 뷰익의 신형 트라이실드 로고가 발표된 이후에도 별다른 변화 없이 판매되다가 2023년 중순에 라인업 개편[3]의 칼질이 또 한 번 일며 중국 시장에서 후속 없이 단종되었다.

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fff><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
파일:Buick 2023 emblem.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차종 생산 차량 단종 차량
<colbgcolor=#323232> 소형 - 세일 · 오펠 · 엑셀 (2세대)
준중형 베라노 프로 · 벨라이트 6 스페셜(1961~1963) · 아폴로 · 스카이호크 ·
엑셀 (1세대) · 엑셀 XT · 엑셀 GT · 벨라이트 5 · 베라노
중형 리갈 스탠다드 식스 · 스카이락 · 소머셋 ·
스페셜(1964~1969) · 센추리 · 스포트 왜건
준대형 라크로스 -
대형 - 모델 B · 4 · 식스 · 마스터 식스 · 슈퍼 · 리미티드 ·
로드마스터 · 스페셜(1936~1958) · 스카이락(1953~1972) ·
엘렉트라 · 르세이버 · 인빅타 · 와일드캣 · 센추리온 ·
리비에라 · 에스테이트 · 파크 애비뉴 · 로이엄 · 루체른
컨버터블 - 카스카다 · 레아타
소형 SUV 앙코르 GX · 엔비스타 벨라이트 7 · 앙코르
준중형 SUV 엔비전 -
중형 SUV 엔비전 플러스 · 엘렉트라 E5 랑데뷰 · 리갈 투어X · 엘렉트라 E4
준대형 SUV 엔클레이브 레이니어
MPV GL8 테라자 · GL6
대전차 자주포 - M18 헬캣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000>
파일:SAIC-GM.png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0; min-width: 25%"
{{{#!folding [ 쉐보레 ]
{{{#!wiki style="margin: 2px -1px -11px"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F9835><tablealign=center><tablebgcolor=#CF9835>
파일:쉐보레 로고(화이트).svg
}}}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소형차 <colbgcolor=#fff,#000> 오닉스 · 세일 <colbgcolor=#fff,#000> 아베오[i] · 스파크[i] · 로바[C]
준중형차 멘로[C] · 몬자[C] 크루즈[C] · 카발리에 · 코르시카[i]
중형차 말리부 XL[C] 에피카
대형차 - 카프리스 클래식[i]
스포츠카 - 카마로[i]
슈퍼카 - 콜벳[i]
소형 SUV 시커[C] 트랙스 · 트레일블레이저 · 트랙커[C]
준중형 SUV 이쿼녹스 · 이쿼녹스 EV[i] -
중형 SUV 블레이저 캡티바[i]
준대형 SUV 트래버스 -
픽업트럭 - 실버라도[i] · 콜로라도[i]
MPV - 올란도[C] · 로바 · 루미나[i]
기울어진 글씨: 중국 생산 차종
}}}}}}}}}
[ 캐딜락 ]
||<-3><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height=70><width=800>
||<tablebordercolor=#000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0000>
파일:캐딜락 로고 화이트.svg
|| ||
||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중형차 <colbgcolor=#fff,#000> CT4 <colbgcolor=#fff,#000> ATS · ATS-L[i][C]
준대형차 CT5 CTS[i] · SLS[C]
대형차 CT6[C] XTS · 플리트우드 브로엄[i] · 플리트우드[i]
스포츠카 - XLR[i]
준중형 SUV GT4[C] · XT4 -
중형 SUV XT5[C] · 옵틱 SRX[i]
준대형 SUV XT6 · 리릭 -
대형 SUV - 에스컬레이드[i]
기울어진 글씨: 중국 생산 차종
[ 뷰익 ]
||<-3><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fff,#fff><height=70><width=800>
||<tablebordercolor=#fff,#fff><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
파일:Buick 2023 emblem.png
|| ||
||
<colbgcolor=#000>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준중형차 베라노 프로[C] · 벨라이트 6[C] 벨라이트 5[C] · 엑셀[C] · 엑셀 XT[C] · 엑셀 GT[C]
중형차 리갈[C] 센추리
준대형차 라크로스[C] -
대형차 - 파크 애비뉴 · 로드마스터[i] · 로이엄
소형 SUV 앙코르 GX · 엔비스타 벨라이트 7[C] · 앙코르[C]
준중형 SUV 엔비전 S / 엔비전 플러스[C] -
중형 SUV 엘렉트라 E5[C] 엘렉트라 E4[C]
준대형 SUV 엔클레이브 -
MPV GL8[C] GL6[C]
기울어진 글씨: 중국 생산 차종
각주 [ 펼치기 · 접기 ]

||



[1] 자동차가 흔치 않던 시절,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푸이중국의 초대 총리 저우언라이 모두 뷰익 차량을 이용했기 때문에 현지 소비자들에겐 뷰익 차량이 고위 관료가 타는 고급차로 비춰졌고, 한동안 뷰익의 브랜드 가치가 매우 높았었다.[2] 다만 GEM 플랫폼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G2XX 플랫폼 기반으로 개발되던 초기 코르사 F와 구조적으로 완전히 동일하진 않다. 디자인과 파워트레인 등에서 연관이 있는 정도.[3] 브랜드 이미지 재고를 위한 현지전략형 모델 대거 단종(앙코르, 엑셀, 엑셀 GT, 엑셀 GX, GL6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