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일본의 록밴드}}}에 대한 내용은 [[슈퍼카(밴드)]]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슈퍼카(밴드)#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슈퍼카(밴드)#|]]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일본의 록밴드: }}}[[슈퍼카(밴드)]]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슈퍼카(밴드)#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슈퍼카(밴드)#|]]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colkeepall> 🚗 자동차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차급(세그먼트) | |
| 초소형 · 경형(A) · 소형(B) · 준중형(C) · 중형(D) · 준대형(E) · 대형(F) SUV(J) · MPV(M) · 스포츠 쿠페(S) | ||
| 형태 | ||
| <colbgcolor=#eee,#000>원박스 | 승합차 · LCV · 경상용차 | |
| 투박스 | 해치백 · 왜건(스테이션 왜건 · 에스테이트 · 슈팅 브레이크) · 리프트백 | |
| 쓰리박스 | 세단 · 소형 세단 · 쿠페 · 노치백 · 패스트백 | |
| 컨버터블 | 컨버터블 · 로드스터 · 타르가 · T-탑 · 브로엄 | |
| 모터사이클 | 오토바이 | |
| 기타 | 코치 빌드 · 리무진 · 패널 밴 · 크로스오버 · 삼륜차 · 톨보이 | |
| 유형 | ||
| 승용 | 비즈니스 세단 · 쇼퍼드리븐 자동차 · 퍼스널 럭셔리 카 · 하이소카 · 패밀리카 · 택시 · SUV(오프로더 · CUV · 쿠페형 SUV) | |
| 승합 | LCV · 경상용차 · 버스 · MPV(LAV) | |
| 화물 | 트럭 · 픽업트럭 · 쿠페 유틸리티 · 세단 딜리버리 · 트레일러 | |
| 특수 | 트랙터 트럭 · 구난차 · 트레일러 | |
| 이륜 | (틀:오토바이) · 원동기장치자전거 · 사이드카 · ATV · 뚝뚝(오토릭샤) | |
| 용도 | ||
| 여가용 | RV · 캠핑카· 스포츠카(그랜드 투어러 · 포니카 · 머슬카 · 스포츠 세단 · 핫해치 · 슈퍼카 · 하이퍼카) · 고카트 · 핫로드 · 로우라이더 · 레이스 카 · 올드카(클래식카) | |
| 군용차 | 소형전술차량 · 기갑차량(장갑차 · 전차 · 자주포) | |
| 특수목적 | 상용차 · 콘셉트 카 · 긴급자동차(소방차 · 경찰차 · 구급차) · 농기계 · 건설기계 ·방탄차 · 공항 작업차량 · 항구 작업차량 · 경호차 · 방송차 · 취재차 · 현금수송차 · 장의차 · 우편차 · 운전교육 및 시험용 차량 · 헌혈차 · 수륙양용차 · 어린이통학버스 | |
| 스마트모빌리티 | 커넥티드 카 · 자율주행차 · PRT · PAV | |
| 소유 형태 | 자가용 · 법인차 · 관용차 · 렌터카 | |
| 추진 방식 | ||
| 외연기관 | 증기 자동차 | |
| 내연기관 | 가솔린(자연흡기 · TJI · 린번 · GDI · MPI · TSI · HCCI · LPG) · 디젤(CRDi · VGT) · 바이퓨얼 · 수소내연기관 · 목탄자동차 | |
| 에너지 저장 체계(연료) | 화석 연료 · 이차 전지 · 바이오디젤 · CNG · 경유 · 에탄올 · 수소(연료전지) | |
| 전기 | 전기자동차 · 수소자동차 | |
| 하이브리드 | 하이브리드 자동차(풀 하이브리드 · 마일드 하이브리드)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 |
| 부품 | ||
| 외장 부품 | 엠블럼(후드 오너먼트) · 펜더 · 라디에이터 그릴 · 문(코치 도어 · 버터플라이 도어 · 시저 도어 · 걸윙 도어 · 스완 도어) · 테일게이트 | |
| 내장 부품 | 틀:자동차 내부 장치 · 틀:차량의 등화 · 틀:자동차 외부 부품 | |
| 구동 방식 | ||
| 구동 바퀴 | 2륜구동(전(前)륜구동 · 후륜구동) · 4륜구동(4WD) · 전(全)륜구동(AWD) | |
| 레이아웃(엔진/구동) | FF · FR · RMR · RR | |
| 엔진 구성 | 수평대향 엔진(수평대향 · 플랫(박서)) · 왕복 · 단기통 · 직렬 · V형 · 반켈 | |
1. 개요
| |
| 람보르기니 레부엘토 |
마케팅으로 제시된 용어가 다 그렇듯이 절대적인 기준은 없다. 메이커에서 슈퍼카라고 주장하고, 유명 매니아들이 슈퍼카로 지칭해주면 슈퍼카다.
슈퍼카와 스포츠카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희소성, 뛰어난 퀄리티 및 원자재, 성능, 그리고 이러한 차이로 인해 형성되는 엄청난 가격이다. 일반 스포츠카로 분류되는 차량들은 가격 면에서는 슈퍼카보다 비교적 저렴한 경우가 많아, 중산층이나 일반 서민들도 살 수 있을 정도로 가격대가 낮은 차량이 종종 있다. 그러나 슈퍼카는 기본적으로 억대를 호가하는 초고가의 물건인 만큼 카 푸어보다는 실제 갑부들이 주로 구매하는 편이다. 물론 슈퍼카 브랜드에서 제작한 그랜드 투어러처럼 고급 스포츠카 차량들은 웬만한 슈퍼카 뺨치는 가격을 자랑하기도 한다. 게다가 최근에는 스포츠카 차량들의 성능 향상 및 고급화 전략으로 인해 기본적인 가격대가 슈퍼카와 비슷할 정도로 고가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아 가격으로 스포츠카와 슈퍼카를 비교하는 건 옛말이 되었다.
슈퍼카의 가격이 매우 비싼 이유는 먼저 제작 시 투입되는 원자재 자체가 엄청나게 비싸다. 가죽을 쓰더라도 일반 가죽보다 훨씬 더 좋은 질의 고급 가죽이나 알칸타라 등 비싼 재료를 사용하고, 스포츠카에는 외장 부품 일부에만 들어가는 카본 파이버를 아예 차체 전체를 구성하는 재료로 쓰는 경우도 있다. 그 밖에도 더 사치스러운 차량은 금이나 보석 등 비싼 사치재를 장식으로 박아넣는 경우까지 있다.
또한 성능 자체도 슈퍼카라 불리는 만큼 일반 스포츠카와는 격을 달리한다. 가장 빠른 양산차 기록을 대부분의 슈퍼카나 하이퍼카 차량들이 가지고 있는 것만 봐도, 극한의 성능을 끌어내기 위한 파워트레인과 차체 설계를 통해 슈퍼카들은 압도적인 속도를 갖게 된다.
그 밖에도, 다수의 슈퍼카 및 하이퍼카 제조사들은 차량을 수작업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다. 자동차 장인들이 모여 손수 제작하는 수작업 차량은 당연히 인건비도 엄청나게 들고, 장인 한명 한명이 가진 기술 자체가 높은 가치가 있기 때문에 수제 슈퍼카는 그 수도 일반적인 양산차에 비해 숫자도 훨씬 적어 일종의 명품, 공예품과도 같은 희소성을 가지게 된다. 게다가 코치 빌드와 같은 구매자 개개인을 위한 맞춤형 차량들은 구매자가 원하는 어떤 옵션이든 넣을 수 있기 때문에 가격이 훨씬 더 비싸진다.
아래의 글을 본다면 슈퍼카의 정의에 대한 애매한 기준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희귀해야 한다. 모양과 성능이 보기 드물게 우수해야 하고, 봤을 때 한눈에 '저건 슈퍼카다'라고 직감적으로 느껴야 한다. 당연히 도로에서 쉽게 보여서도 안 된다. 슈퍼카 기업은 슈퍼카 사업에만 집중해야 하고[2], 수요보다 적게 생산하는 것도 중요한 요건이다.
슈테판 빙켈만, 람보르기니의 CEO - 원문[3]
슈테판 빙켈만, 람보르기니의 CEO - 원문[3]
2. 브랜드에서의 기준
다소 의외라고 할 만한 점은, 모두가 슈퍼카로 인지하고 있는 대부분의 슈퍼카 메이커들은 자사의 제품에 그런 이름을 붙이는데 인색하다. 페라리 홈페이지에는 GT & 스포츠카라는 카테고리만 있을 뿐이며[4], 슈퍼카의 개념을 제시했다고 볼 수 있는 람보르기니도 일단은 Models만 있으며 항목 소개에나 슈퍼 스포츠카라는 다소 겸손한 표현을 쓴다. 포르쉐도 그냥 스포츠카. 맥라렌은 직접적으로 슈퍼카라고 지칭하고 벤츠 SLS 역시 초고성능 스포츠카라는 표현에서 머문다. 후발주자인 파가니는 조금 직설적으로 슈퍼카3. 슈퍼카의 역사
1966년부터 생산된 람보르기니 미우라를 첫 번째 슈퍼카라고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이 시기부터 슈퍼카는 최소한 400마력 이상의 8-12기통의 엔진을 탑재한 2인승 미드쉽 스포츠카이며 최고 시속 290km/h를 가지는 차 정도로 알려졌으나, 사실 슈퍼카는 어떤 것이라고 정확히 정의된 적은 없으며, 그 이후로도 계속 슈퍼카의 정의가 무엇인지는 논란이 되는 영역이다.람보르기니 미우라에 맞서 람보르기니의 공인된 라이벌 페라리는 그동안 만들던 그랜드 투어러에서 조금 벗어난 365 GTB4 데이토나를 출시하였으며 이후 진짜 슈퍼카인 308 GTB, 512 BB를 연달아 출시하였고, 드 토마소나 마세라티 등의 회사들도 슈퍼카를 내놓았다. 포르쉐 911 초대 터보나 람보르기니 쿤타치 LP400도 이즈음에 출시된 차량이다.
본격적인 슈퍼카 회사들 간의 속도 경쟁은 1980년대 중반 그룹 B 랠리 폐지에서부터 시작됐다. 첫 스타트틀 끊었던 차량은 그룹 B 폐지로 설 자리를 잃었던 페라리 288 GTO로, 양산차 최초로 300km/h를 돌파하며 페라리 플래그십 슈퍼카 계보의 첫 모델이 된다. 하지만 288 GTO가 등장한 지 2년이 지나서 포르쉐 역시 랠리 출전을 목표로 개발한 모델을 시장에 내놓았는데, 이게 포르쉐 959였다. 이 차가 288 GTO가 가지고 있던 세계에서 가장 빠른 차의 타이틀을 뺏자, 자존심이 상한 페라리는 엔초 페라리의 유작인 페라리 F40을 내놓았고, 최고속도 200마일을 최초로 돌파함과 동시에 가장 빠른 차의 타이틀을 탈환했다. 이후 90년대에는 람보르기니가 람보르기니 디아블로를 출시해 F40보다 더 빠른 최고속도를 냈고, 뒤이어 부가티 EB 110, 재규어 XJ220이 차례로 기록을 경신했다. 이 와중에 벡터 W8, 치제타 V16, 야마하 모터의 야마하 OX99-11 등 실험적인 슈퍼카들도 여럿 나왔지만 경쟁의 종지부를 찍은 차는 맥라렌 F1이었으며 최고속도 386km/h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자연 흡기 차량이라는 압도적인 기록을 달성해 모두의 입을 다물게 만들었다. 이 최고 속도 기록은 부가티 베이론 16.4이 최초로 400km/h를 넘기기 전까지 10년 가까이 깨지지 않았으며, 페라리가 50주년 기념모델인 페라리 F50을 50주년이 되기 2년 전에 앞당겨 부랴부랴 내놓았지만, 맥라렌 F1의 아성을 넘지는 못함으로써 슈퍼카 전쟁이 일단락됐다.
이후 2000년대 초반 람보르기니 무르시엘라고, 포드 GT, 엔초 페라리, 포르쉐 카레라 GT, 메르세데스-벤츠 맥라렌 SLR[5] 등이 순차적으로 출시되며 다시 90년대 초반의 경쟁 구도를 재현했고, 2000년대 중후반에는 부가티 베이론 16.4, 코닉세그 CC 시리즈, 파가니 존다와 같은 하이퍼카들도 나오면서 가장 빠른 차의 타이틀을 놓고 각축전을 벌이게 된다. 또 슈퍼카 영역에서 크게 두각을 드러내지 못한 메이커들 또한 자사의 기술력 과시와 이미지 향상을 위해 슈퍼카를 소량 생산하기도 했는데, 마세라티 MC12나 애스턴 마틴 One-77, 살린 S7, 포드 GT, 렉서스 LFA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최고속도가 슈퍼카에서 차지하는 의미가 많이 줄어들어서 페라리나 람보르기니, 포르쉐, 맥라렌 등의 전통적인 브랜드들은 가속력과 차량의 밸런스 등 다른 부분의 성능 향상을 추구하며 최고속도 경쟁에서 이탈했으며,[6] 코닉세그와 부가티가 여전히 최고속도 경쟁을 하고 있다. 2010년대에 등장한 슈퍼카들 중 일부는 파워트레인에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채용함으로써 진일보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포르쉐 918 스파이더를 필두로 페라리 라페라리, 맥라렌 P1, 코닉세그 레제라 등이 대표적인 하이브리드 슈퍼카들이다. 최근에는 이들 같은 한정 생산 슈퍼카들 외에도 혼다 NSX와 같은 하이브리드 스포츠카는 물론, 리막 C-Two나 로터스 에바이야 같은 전기 슈퍼카도 출시되고 있어 다른 슈퍼카들에도 파워트레인의 변화가 보편화되는 추세다.
재미있게도 2010년대부터 본격화된 SUV 열풍 역시 슈퍼카 경쟁을 피해 갈 수 없었다. 포르쉐 카이엔을 시작으로 여러 브랜드에서 슈퍼카에 준하는 성능을 자랑하는 SUV를 출시했고, 결국 람보르기니 우루스나 페라리 푸로산게같이 웬만한 하이엔드 슈퍼카에 버금가는 SUV도 나오게 되었다.
4. 대한민국의 슈퍼카 문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동차 애호가#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동차 애호가#한국의 자동차 문화|한국의 자동차 문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일반적으로 슈퍼카로 분류되는 차량들
앞서 말했듯이 기준이 상당히 들쭉날쭉하므로 작성자 주관의 개입은 불가피하다. 사람들마다 의견 차이도 상당히 존재하기에 맹신은 금물. '이런 차들을 슈퍼카라고 하는구나' 정도로만 받아들이자.- 가장 빠른 양산차 문서에 있는 차량 대부분
- 벤틀리
- 유노디에르[8]
- 아우디
- 프로젝트 로제마이어 - 컨셉트카. W16 엔진과 4륜 구동이라는 특성 때문에 일부 기술이 몇가지 뜯어고쳐져서 베이론으로 이어졌다.
- R8 - 람보르기니 가야르도와 많은 부분을 공유하는 형제차량. 처음 공개인 V8 버전은 슈퍼카가 아니라고 까였으나, V10 버전이 출시되면서 확실히 슈퍼카로 인정되고 있다. V12 디젤 콘셉트카도 있었지만 변속기가 토크를 버티지 못해 양산이 취소되었다.
- 아이코나 불카노 - 중국 자본과 이탈리아 기술로 만든 하이브리드 슈퍼카다.
- 스바로 알카도르 - 스위스산
- 스펙터 - 영국 회사
- R42
- R45
- 반다 일렉트릭스
- 덴드로비움 - 싱가포르에서 만든 전기 슈퍼카이다.
- 양왕
- 파노즈
- 에스페란테 GTR-1
- 아브루치
6. 애매한 차량들
- 페라리의 2+2인승 프론트 엔진 라인 - 퍼포먼스와 브랜드 밸류, 가치 등은 슈퍼카급임에 틀림없으나 차 자체의 성향은 람보르기니 등 경쟁 차량과 달리 그랜드 투어러에 가깝다. 사실 페라리 자체가 레이싱 기술이 들어간 그랜드 투어러를 만드는 회사였었다.
- 벌칸, 발할라, 발키리 등 슈퍼카를 제외한 애스턴 마틴의 전 차종 - 고성능 차량들의 경우 프론트 엔진 페라리처럼 초고성능 그랜드 투어러에 가까우며, 엔트리 모델들은 마세라티와 흡사한 점이 많다.
- 메르세데스-벤츠, 렉서스, BMW, 아우디, 캐딜락 등 프리미엄 브랜드의 고성능 디비전 - 메르세데스-AMG나 렉서스 F, BMW M, 아우디 RS, 캐딜락 V-시리즈 등의 스포츠카가 이런 부류에 해당한다. 이러한 차들은 단순 스펙상으로는 슈퍼카로 볼 만 하지만 비교적 일반적인 쿠페나 세단, 해치백, 왜건의 형태를 띄고 있기에 슈퍼카라 부르기 어려우며, 스포츠카의 범주에 들어간다.
- BMW i8 - 이 분야의 뜨거운 감자. 슈퍼카가 맞냐 아니냐로 시끄럽다. 일단 스포츠카임에는 틀림없으며 멋진 디자인과 기술적 혁신의 측면에서는 대단하지만, 스펙만 놓고 보면 엔진이 3기통 1500cc에 배기음은 사운드 제너레이터로 내고 성능은 절반 가격인 동사의 M3보다도 떨어지며, 멋진 디자인과 별개로 인테리어 품질은 5시리즈보다도 떨어진다고 까이기도 한다. BMW 빠로 유명한 까진남자처럼 슈퍼카가 맞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으나, 다수의 자동차 저널리스트들은 슈퍼카가 아니라고 보는 쪽이 중론이다. 애초에 이 차는 BMW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스포츠카의 개념 실증을 위해 내놓은 것이으로 일반적인 기준으로 평가하기엔 불합리한 측면이 있다.
- 로드스터를 제외한 테슬라 전 차종 - 모델S P100D의 2017년 2.275초라는 0-60 mph 기록(제로백 2.4초)을 찍는 등 이미 몇몇 차량들은 슈퍼카의 성능을 달성하고도 남았다. 다만 전기자동차가 아직 도입 초기 단계라 이걸 어떻게 분류해야 하는지 불분명하다. 그리고 모터라는 특성상 저속에서도 최대 토크가 나와서 초기 가속력은 어마어마하지만, 고속 가속이나 횡가속이 약하고 최고속력이 좀 낮아서 레이싱을 할 경우 슈퍼카로 인정받는 대부분의 차량에게 진다. 배터리 특유의 높은 무게도 있어서 트랙 레이싱에서 불리하기도 하다. 2020년 출시될 플래드 버전의 성능 개선을 한번 볼 필요가 있으나 그 대단하다는 제로백도 배터리 예열 등 온갖 준비 과정이 필요하고 두 번에서 다섯 번만 반복하면 성능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전기차의 특성 때문이라고 하기에도 어폐가 있는 게, 포르쉐 타이칸은 테슬라의 차량보다 우월하면서도 열 번이상 일정한 성능을 유지했다. 또한 테슬라 로드스터(0-60 mph = 1.9초 프로토타입)가 이미 회사 차원에서 슈퍼카로 공인되어 있으므로 굳이 슈퍼카보다는 슈퍼카가 아닌 차량 중 최고 성능 정도로 분류하는 게 적절할 것으로 볼 수 있다.
- MC12, MC20를 제외한 마세라티의 전 차종 - 계열사에 페라리라는 넘사벽의 형을 두고 있다 보니... 게다가 마세라티는 자기들 로고를 박은 고급 스포츠 세단인 기블리나 콰트로포르테[14]도 만들기 때문에 전문 스포츠카 메이커가 아니라 프리미엄 스포츠 세단/럭셔리 GT카 메이커로 인식하는 편도 많다. 모회사인 피아트 입장에서도 페라리가 있는데 굳이 마세라티까지 슈퍼카를 개발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배기음은 예술이지만 그와 별개로 차량 성능은 페라리보다 훨씬 부족하다.
대신 비교적 편하다. 하지만 유지비는 페라리폭스바겐이 포르쉐, 람보르기니와 부가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굳이 벤틀리에서까지 슈퍼카를 만들지 않는 것과 비슷한 상황. 하지만 2016년 페라리가 피아트를 나가면서 마세라티가 FCA 그룹 (피아트-크라이슬러)의 최고 럭셔리 그룹이 된 상황이며, 실제로 슈퍼카인 MC20을 출시하였다.
- 벤틀리 - 앞서 언급한 대로 스포츠카라고 보기 애매하기 때문. 벤틀리의 2인승 컨티넨탈 슈퍼스포츠는 GT3 차량을 도로 주행용으로 만든 R 버전을 제외하면 럭셔리 GT 쿠페로 보는 쪽이 적당하다. 다만 그와 별개로 엔진 성능 자체는 충분히 슈퍼카 이상이다. 페라리 458 이탈리아보다 벤틀리 뮬산의 출력과 토크가 훨씬 더 우월하다. 104kg.m의 사기적인 토크는 롤스로이스 팬텀은 물론 현대 메가트럭보다도 강력하다.
- 에바이야를 제외한 로터스의 차량들 - 분명 초반 가속력과 코너링 등은 슈퍼카로 쳐줄 만 하지만, 그 성능이 강력한 엔진에서 나오는 것이 아닌 극한의 차체 경량화에서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슈퍼카로 인정하는 데는 무리가 있고 경량 퓨어 스포츠카로 보는 것이 낫다.
불편함으로 따지자면 하이퍼카인데
- 케이터햄 세븐(고출력 모델 제외) - 출력이 지나치게 빈약하고, 고속 성능도 떨어져 슈퍼카로 보기 어렵다.
- 알파 로메오 4C - 세븐과 마찬가지로 무게가 가볍지만 중고속 성능이 빈약하다.
- 쉐보레 카마로 ZL1, ZL1 1LE[15] - 쉐보레는 콜벳 C7 Z06에 들어가는 6.2L V8 슈퍼차저 LT4 650마력 엔진을 카마로에도 얹어서 '카마로 ZL1' 과 이 차량의 공력 성능 증가 버젼으로 'ZL1 1LE'[16]를 출시하였다.[17] 카마로는 슈퍼카와는 성격이 다른 카테고리인 머슬카에 속한 차량으로서 엄연히 다른 길을 걷고 있는 퍼포먼스 카이기 때문에 슈퍼카로 취급하긴 힘들다. 하지만 엔진은 슈퍼카와 동등한 것이 장착되어 있고, 공력 성능, 주행성능 등은 절대 슈퍼카에 비해 뒤지지 않는데다가 전 세계 자동차 회사 특허기술 중 최고 및 최다를 차지하는 GM의 모든 기술이 집약되었기에 슈퍼카에 비견되는 성능을 발휘한다(650마력에 330kph). 그러면서도 북미 기준 가격은 기껏 해봐야 9천만원 이하다. 즉 제네시스 GV80 3.5터보 AWD에 옵션 좀 넣은 것보다 싼 가격으로 슈퍼카를 몰 수 있는 게 된다.
- 포르쉐 911 카레라 - 911 터보 라인업 이상[18]은 슈퍼카는 물론 몇몇 하이퍼카들과 비교해 봐도 가속력이나 트랙 타임 등 일부 스펙에서는 훨씬 우위이나 카레라의 경우 이전에는 논란이 여럿 있었다. 다만 2021년에 생산되는 992 카레라는 출력이 400~480마력까지 향상되고, 450마력 모델인 카레라 S는 람보르기니 우라칸의 뉘르부르크링 랩타임을 압도하여 논쟁은 더 심해졌다. 브랜드 밸류나 퍼포먼스로는 슈퍼카라고 불러도 무방하나, 슈퍼카라고 하기에는 2억이 채 되지 않는 가격대 및 희소성이 논쟁의 중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 어울림 스피라 - 대부분의 조건을 충족하긴 하는데 현대 엔진을 얹었다고 취급 안하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어울림모터스가 세계 기준에선 신생 회사인 데다 현재 회사가 존폐 위기에 놓여 있기도 하고, 성능에 따라서 트림을 여러 개로 나눴는데 가장 성능이 낮은 175마력 모델이 판매량의 절대 다수라는 점도 논란이 될 수밖에 없는 이유.
하지만 고급형 모델들은 600마력 이상의 출력과 300km/h 이상의 속도가 나오기 때문에 슈퍼카가 맞다.420마력 터보조차도 한 대 팔렸다고 하는 게 무려 회사측 공식 주장이다. 고급형 모델은 나무위키에도 스펙이 정리가 안 되어 있는 편이다.스피라가 슈퍼카냐에 대한 논쟁은 여기에서도 볼 수 있다.
- 재규어 F-타입 - 디자인에 비해서 슈퍼카로서의 성능은 부족한 차량이다.
- 닷지 챌린저 SRT 헬캣, 데몬 - 진정 슈퍼카 잡는 머슬카라는 별칭이 붙을 정도로 강력한 출력을 가졌지만 머슬카라는 카테고리가 따로 있기도 하며 일반적으로 보는 슈퍼카들과는 다르게 무식하게 무거운 중량과 높은 출력으로 상당히 이질적인 차량이다 보니 슈퍼카로 분류하는 경우는 적다.
7. 한국산 슈퍼카?
대한민국이 세계에서 손꼽히는 자동차 강국으로 올라섰지만, 한국을 대표하는 슈퍼카는 없다. 한국이 슈퍼카를 만들 수 있는 경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먼저 현대자동차그룹에서 슈퍼카를 출시하는 것은 고급 기술력의 부족 때문에 아직은 무리라는 것이 중론이다. 사실 현대자동차만 해도 요즘은 아반떼 N 같은 성능과 가성비 좋은 스포츠 세단을 만들고 있긴 하지만, 슈퍼카들이 요구하는 기술력은 차원이 다르다. 당장 슈퍼카의 문턱이라 불리는 쉐보레 콜벳이나 포르쉐 911 카레라만 해도 제조사가 70년 넘게 쌓아온 노하우를 전부 녹여내며, 여기에는 후륜조향이나 서스펜션, VGT 등 단순 테스트로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분야들도 있다. 이들은 수많은 모터스포츠에 출전하며 노하우를 쌓아왔고, 쉐보레와 포르쉐는 모터스포츠의 전설로 불릴 정도로 여러 국제 내구 레이스 대회에서 수많은 트로피를 차지해왔다. 2010년 후반에 와서야 WRC나 WTCR에 소형차로 참가를 시작한 국산 업체와의 차이는 매우 크다.
또한 슈퍼카 분야의 경우 단순 퍼포먼스 뿐만이 아니라, 수요층이 과시 목적을 고려하는 면이 있기 때문에 브랜드 밸류가 굉장히 중요하다. 따라서 미래에 현대자동차그룹이 슈퍼카를 양산하게 되는 날이 오더라도, 이미 값싸고 가성비 좋은 대중차 브랜드로 인식되어 있는 현대나 기아로 출시하기보다는, 토요타의 렉서스 LFA처럼 제네시스의 헤일로 카로서 출시할 확률이 그나마 높다. 근래 들어서 전기자동차들이 등장하는 와중에 기아자동차의 준중형 전기 SUV인 EV6 GT 모델이 585마력으로 등장하였고 아이오닉 5 N의 경우는 650마력에 진짜로 슈퍼카들과 성능 비교를 받는 등 어느 정도 슈퍼카들의 스펙에 준하는 차량들이 조금씩 등장 하기 시작했지만 아이오닉 5 N은 어디까지나 성능이 슈퍼카들에 필적하다는 것이지, 여전히 브랜드 대표성의 한계로 해외 매체 등에서도 슈퍼카 네이밍을 붙이지는 못하고 있다.
또 다른 방법은 엔진이나 차대 등은 해외 업체에서 공급받고 독립적인 차체를 얹는 방식으로 독립 회사에서 슈퍼카를 만드는 것인데, 이것은 슈퍼카를 팔아서 순이익을 올리는 브랜드가 얼마 없다는 이유 때문에 어려울 수 있겠다. 대부분의 슈퍼카 브랜드는 거대 기업 휘하에 있는데, 이들이 슈퍼카 브랜드를 버리지 않거나 지속해서 슈퍼카를 만드는 이유는 수익적인 목적도 있겠지만 회사의 기술력을 과시하기 위함이다.[19]
사실 이 방법은 딱 한 번 시도된 적이 있었다. 캐나다의 모터스포츠 전문 제조사인 멀티매틱이 제작하였기 때문에 완성도는 매우 좋았다. 자동차 전문가들은 상당히 우수한 평을 내렸지만 막상 여러 가지 외적인 문제 때문에 실제 차량은 단 한 대만 만들어지고 회사도 없어진 상태이다.
그러다 2025년 공개된 현대의 N 비전 74가 한정판매가 확정되었다는 소식이 공개되었다. 해당 차량의 성능이 슈퍼카로 보기에도 큰 부족함이 없고, 차량의 가치 자체가 매우 높게 평가받고 있기 때문에 드디어 한국산 슈퍼카라고 할 만한 차량이 등장했다고 볼 수 있다.
8. 한국에서의 법인 슈퍼카
조사 결과 포르쉐의 70%, 람보르기니의 90%가 법인차 라고 할 만큼 유독 한국의 슈퍼카들은 대부분이 법인 소유인 경우가 많다. 심지어 국내에 몇 대 없는 부가티마저도 모두 법인 소유이다.[20]정상적인 회사라면 장거리 운행용으로 승차감도 좋지 않고, 소수의 인원만 태울 수 있고 엄청나게 비싸기만 한 비실용적인 슈퍼카를 업무용 차량으로 기용할 일이 없다. 이는 법인으로 구매된 슈퍼카 대부분이 사실상 개인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이며, 심심하면 기업 오너나 그들의 배우자 혹은 자녀들이 법인 구매된 슈퍼카를 개인용으로 운용하다가 적발되는 경우가 뉴스에 뜨는걸 볼 수 있다. 심지어 법인차 등록만을 목적으로 유령회사를 설립하는 경우도 심심찮게 있다.
법인차의 경우 사고시 보험처리 등에 여러 제한이 걸리는 등의 페널티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행위가 이루어지는 것은 법인차 등록을 통해 세금을 감면받으려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회사의 자산으로 본인의 과시욕을 충족시키려는 목적 역시 무시할 수 없는데, 이는 하/허/호 등 특정 번호를 부여받는 장기 렌터카들은 소위 '없어 보이기 때문'에 개인 소유 슈퍼카보다 상당한 금액을 아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기가 거의 없다. 따라서 법인차 역시 일반 개인 소유 차량과 명백히 구별되도록 별도의 색상 번호판 등을 부여하는 방법 등이 제기되었고 결국 녹색 번호판을 부착하도록 법이 변경되었다.
여기에 법인 차량의 개인 운용에 대해서는 매년 적발이 이루어지지만, 명백히 탈세 목적인 법인 슈퍼카가 성행하는 것에 대해 사실상 정경유착을 통해 서로 봐주기를 한다는 비판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9. 실용성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포츠카#s-8|8]]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포츠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0. 여담
- 일반 승용차보다 운전하기 어려워 운전에 능숙해야 한다.[21] 출력이 워낙 강해 세심한 액셀링이 요구되고 공기역학적 설계 때문에 사이드미러와 후방 시야가 좁기 때문. 또한 지상고가 낮은 차량이 많기 때문에 한국에선 특유의 과속방지턱을 넘거나 경사면을 주행하기 위해 요령이 필요하다. 숙련도의 문제로 출고하자마자 사고가 나거나 발렛파킹을 맡겼다가 파손되는 등의 사례가 은근히 많다. 슈퍼카 전문 대리운전 업자도 있을 정도이다. 반면에 그랜드 투어러 성향 차량이나 부가티 베이론 16.4 등 일부 슈퍼카들은 일반 승용차들보다 약간 난이도가 있는 정도에 그치거나 오히려 슈퍼카답지 않게 운전의 난도가 낮은 사례도 있다.
- 트랜스포머나 용자 시리즈 같은 거대로봇물의 주인공이나 주연급 로봇들은 슈퍼카에서 변신하는 경우가 많다. 이유는 별거 없이 그냥 멋있어서. 당장 람보르기니 아벤타도르에서 변신하는 로봇 등이 대표적이다. 이렇기 때문에 일본 일개 파출소의 경찰차가 람보르기니거나 암행이 주 임무면서 페라리를 쓰는 등의, 할리우드 영화나 두바이에서나 볼 법한 그림이 나오곤 한다.
- 한국에서는 그냥 좀 고급스럽고 가격이 억대를 넘는 차량의 경우엔 그 형태와 성능을 불문하고서 죄다 슈퍼카로 퉁치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예를 들면 지바겐, 마세라티, 벤틀리, 롤스로이스 같은 차들이 대표적이다. 차에 대해 상대적으로 모르는 일반인들에게도 비싼 자동차라는 점을 직관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단어이기 때문에 사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 대부분의 슈퍼카는 배기음이 굉장히 크고 시끄러운데, 여기에 노비텍 등의 애프터마켓 파츠를 장착해 더 우렁찬 배기음을 내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증폭된 배기음은 거의 전투기 수준인데 이 배기음을 차 바로 앞에서 들으면 고막이 터질 수도 있다. 반면 차 안에서는 그만큼 방음처리가 확실히 되어있어 잘 안 들린다. 고속도로에서 뭔가 특이하게 생긴 차가 매우 시끄러운 배기음을 나며 매우 빠른 속도로 달리고 있다면 높은 확률로 슈퍼카다. 그 외에는 사설 구난차나 튜닝카가 전부. 엄연한 불법이고 소음공해인데다 자기과시라서 상당한 민폐이다.
11. 관련 문서
[1] 이 용어는 코닉세그에서만 쓰인다.[2] 하지만 나중엔 모순적이게도 럭셔리 스포츠 SUV 시장을 개척한 포르쉐 카이엔의 성공을 본 이후, 람보르기니 뿐만 아니라 페라리, 애스턴 마틴 등 여러 슈퍼카 브랜드들과 롤스로이스, 벤틀리 등의 하이엔드 브랜드들이 모두 SUV 시장에 뛰어들었다.[3] 한 가지 우스운 점은 람보르기니는 폭스바겐그룹 산하 아우디의 자회사이다. 게다가 빈켈만의 기준대로라면 아우디 R8은 슈퍼카가 아니게 된다. 그러나 퍼포먼스로 보나 디자인으로 보나 원화기준 2억 5천만 원을 넘어가는 가격 접근성으로 보나 R8은 대다수 사람들에게 슈퍼카로 인정받고 있다. 이렇듯 슈퍼카의 기준은 극히 애매하고 주관적이다.[4] 사실 페라리의 역사와 방향성을 봤을 때 이는 지극히 당연한 것이다. 페라리는 첫 양산차를 만들 때부터 레이싱 기술이 녹아든 그랜드 투어러를 만들던 회사였고 현재도 2+2 그랜드 투어러는 물론 12기통 프론트 엔진 플래그십 모델들 역시 람보나 맥라렌 등에 비해 그랜드 투어러 성향이 강하다.[5] 메르세데스-벤츠와 맥라렌의 콜라보로 탄생한 차량이다. 공동 개발이지만 지향점은 맥라렌보다는 벤츠의 주장이 더 반영됐다고 한다.[6] 사실 최고속도는 차량 성능의 극히 일부분을 보여주는 지표일 뿐이며, 실제로 전술한 브랜드의 차량들이 부가티나 코닉세그의 차량들에 비해 전체적으로 더 좋은 평을 받는다.[7] 기본 AMG 차량은 공도와 트랙을 두루 아우룰 수 있는 차량이라 한다면 블랙 시리즈는 기본 AMG 차량을 본격적인 트랙용으로 튜낭된 차량이다. 이하 AMG 블랙 시리즈 차량은 다음과 같다. SLS AMG 블랙 시리즈, SL 65 AMG 블랙 시리즈, CLK63 AMG 블랙 시리즈, C63 AMG 블랙 시리즈, SLK 55 AMG 블랙 시리즈가 있으나 SLS AMG 블랙 시리즈, SL 65 AMG 블랙 시리즈만 슈퍼카라 칭할 수 있다. 나머지 CLK 63 AMG 블랙 시리즈, C63 AMG 블랙 시리즈, SLK 55 AMG 블랙 시리즈는 슈퍼카라 칭하기보단 튜닝된 고성능 스포츠카에 가깝다. 하지만 희소성 하나는 양산형 슈퍼카에 상응하거나 그 이상이다.[8] 1999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공개된 623마력의 W16 엔진과 4륜 구동을 단 컨셉트카였으며 이 특성은 아우디 로제마이어와 마찬가지로 베이론으로 이어졌다. 당시 벤틀리는 롤스로이스의 자회사로, 롤스로이스 차량의 개조판을 만드는데 주력하는 회사였다. 즉 '최고급 차량의 스포츠 패키지'라는 의미에서 잘 어울린다 할 수 있다. 덤으로 그 이전에는 레이싱 대회에서 여러 번 우승을 거두는 회사이기도 했다.[9] 뱅퀴시는 1세대의 경우 모두 슈퍼카로 취급되었지만 2세대는 2015년형부터만 슈퍼카급으로 취급된다. 그런데 애스턴 마틴의 경우 기준에 따라 나머지 차량들도 슈퍼카로 인정해 주기도 한다. 마세라티와 비슷한 위치. 다만 이쪽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전문 스포츠카 브랜드로 인식된다는 점이 약간 다르다. 사실 애스턴 마틴은 정장이 더 잘 어울리는 스포츠카라는 수식어에서도 알 수 있듯이 기본적으로는 그랜드 투어러 성향이 매우 강하다.[10] 발키리와 함께 하이퍼카로 분류된다.[11] 프론트 엔진 페라리들의 경우 (트랙튠 모델인 599XX를 제외한) 12기통 플래그십 모델들은 슈퍼카임에 틀림없으나 차의 성향, 페라리 측의 분류 등으로 인해 그랜드 투어러에 가까운 슈퍼카이며 페라리 GTC4루소 같은 2+2인승의 차량은 그랜드 투어러로 분류된다.[12] 992 터보 S의 경우 650마력을 발휘한다.[13] 마이크로카 전문업체 엑상의 정식 자동차 부문으로, 실험적인 차량들을 몇 종류 제작했다. 2003년 이후 엑상의 상용차 부문으로 개편된 후 2017년부터 엑상 프로로 통합되었다.[14] 콰트로포르테는 이탈리아 대통령 공식 의전차량이다. 포르쉐 파나메라처럼 최근에 등장한 게 아니라 1960년대에도 있었던 유서 깊은 차종이다.[15] 기존의 ZL1의 범퍼에 친 스포일러와 카나드를 달고 뒷쪽 스포일러를 크게 키운 형태[16] 1 Less Equipment의 약자로, 카마로 SS의 트랙 패키지 모델이다.[17] 6세대 1LE 버전의 경우 트랙 성능이 콜벳 C7 Z06에 근접하는 성능을 낸다.[18] 터보, 터보 S, GT3, GT3 RS, GT2 RS, GT1 스트라스빈센[19] 물론 포르쉐처럼 슈퍼카와 스포츠 세단 등 다른 카테고리의 차량을 동시에 생산하면서도 전 모델이 흑자를 올리는 경우도 있다.[20] 다만 이에 대해선 반박할 것이 있는데, 람보르기니의 딜러에 따르면 판매차량의 대부분(90%)는 개인이 구매한 차량이고, 리스를 해도 개인 리스로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또한 현재 법인차 통계를 낼때 리스사가 법인이고 리스를 하는 사람이 개인이라도 차량 명의는 법인인 리스사로 잡히기 때문에 한국에서 돌아다니는 람보르기니제 차량의 90%가 법인이라고 통계가 잡히는 불합리한 구조로 되어있다.[21] 물론 1990년대 이전의 슈퍼카들처럼 목숨 걸고 타야 할 수준은 아니고 2000년대 후반부터는 슈퍼카도 자동 변속기가 적용되는 경우가 보편적으로 증가하였고 트랙션 컨트롤 등의 보조 장치를 장착해서 운전도 과거에 비하면 많이 쉬워졌다. 그래도 입문자라면 V12 등 고출력 플래그십이나 후륜 차량은 반드시 피해야 한다. 아무리 보조 장치가 있다 해도 모든 자동차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런 한계를 모르고 객기를 부렸다가는 위험해질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