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0 10:50:16

피아트 브라보

파일:피아트 로고.svg
파일:2012 피아트 브라보.jpg
Bravo

1. 개요2. 역사
2.1. 1세대 (Type 182, 1995~2003)2.2. 2세대 (Type 198, 2007~2014)
3. 둘러보기


Fiat Bravo / Brava
Fiat Bravissimo[1]

1. 개요

이탈리아의 자동차 제조사인 피아트에서 1995년부터 2003년까지, 그리고 2007년부터 2014년까지 생산한 준중형 해치백.

2. 역사

2.1. 1세대 (Type 182, 1995~2003)

파일:피아트 브라보 & 브라바.jpg
초기형 차량 (1995~1998)[2]
Meet the car that could change your life.
당신의 인생을 바꿀 수 있는 자동차를 만나보세요.
- 피아트 브라바 브로슈어, 1996년. #
1995년에 티포의 후속 모델로 공개되었다. 쿠페바르케타에서 먼저 선보인 피아트의 새로운 디자인 언어를 도입하여 단정한 직선/평면 위주의 종이접기식 스타일링에서 벗어나 피아트 자체 디자인 센터인 첸트로 스틸레 피아트(Centro Stile Fiat)가 작업한 곡선과 굴곡을 적극 활용한 파격적인 디자인을 선보였다.[3] 라인업은 3도어 해치백 브라보와 5도어 리프트백 브라바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의 설계를 기반으로 1996년 출시된 파생형 4도어 세단과 5도어 왜건 모델은 마레아(Marea)라는 독자 라인업으로 판매되었다.[4] 일본 시장 한정으로는 미쓰비시 브라보와의 상표권 갈등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브라비시모(Bravissimo)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파워트레인은 4종의 가솔린 엔진과 2종의 디젤 엔진으로 구성되었다. 가솔린 엔진 기준으로 기본형 모델은 80마력을 내는 1,370cc 직렬 4기통 엔진이 탑재되었으며, 최고 사양의 경우 1,998cc 직렬 5기통 엔진이 탑재되어 147마력의 출력을 냈다.

두 차량은 서로 다른 컨셉을 지향했는데, 브라보는 정밀한 핸들링과 스포티한 주행 감각에 초점을 둔 세팅을 지향한 반면 브라바의 경우 부드럽고 안락한 주행질감에 초점을 두는 등의 차이가 있었다. 스타일링에서도 브라바는 세단이 연상되는 툭 튀어나온 세미노치백형 리어 엔드를, 브라보는 정석적인 2박스 해치백 패키징을 갖추어 실루엣 단위에서부터 차별화를 두었다.

브라보/브라바는 출시 직후 재미있고 견고한 운전 감각과 시선을 잡아끄는 디자인, 넓은 실내공간, 수준급의 품질, 합리적인 가격 등으로 호평받았으며,[5] 1996년에는 유럽 올해의 차에 선정되면서 피아트는 1995년의 푼토에 이어 자사의 차량이 2년 연속 유럽 올해의 차에 선정되는 영광을 누렸다. 반면 단점으로는 유로앤캡 별 2개에 그친 다소 미흡한 안전성을 지적받았다.

1999년에는 페이스리프트가 진행되어 범퍼 등 전후면 디자인을 약간 손보았고, 파워트레인도 업데이트되었다.

유럽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에서는 2001년까지, 브라질 시장에서는 2003년까지 판매되었다. 후속 모델로는 1998년부터 개발을 진행하던 스틸로가 바통을 이어받았다.

2.2. 2세대 (Type 198, 2007~2014)

파일:2007 피아트 브라보_(1).jpg파일:2007 피아트 브라보_(2).jpg
초기형 차량 (2007~2010)
2007년에 스틸로의 후속 모델이자 1세대 브라보/브라바의 계보를 잇는 2세대 모델로 부활하였으며, 크롬 테두리에 붉은색 배경이 삽입된 피아트의 신규 로고를 채용한 최초의 모델이기도 했다. 1세대와 달리 5도어 해치백 바디로만 판매되었고, 모델명도 브라보로 단일화되었다.

첸트로 스틸레 피아트에서 담당한 외장 디자인은 BMW 그룹 출신의 프랭크 스티븐슨(Frank Stephenson)[6]이 지휘하여 선대 모델의 스포티하고 역동적인 분위기를 계승하되 굵고 대담한 선과 면의 사용, 힘 있는 터치로 견고한 느낌을 주도록 마무리하였으며, 균형 잡힌 비율과 약간의 디자인적 기교를 더해 미적으로도 아름다운 디자인을 추구했다. 특히 디자이너들이 신차에 바라는 버킷 리스트를 구축하여 기술적인 사항을 고려하지 않고 감성적이면서 아름다운 차를 스케치해보라는 전달사항으로 시작하여 넓고 낮은 스탠스로 대표되는 역동적인 디자인을 잡아갔다. 차체는 마그나 슈타이어가 설계하였으며, 개발 과정에서 대규모의 CAD 엔지니어링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이 동원되었다.#

2세대 브라보의 생산은 2014년 7월에 종료되었고, 후속으로는 2세대 티포/에게아로 계보가 이어졌다. 이외에도 비슷한 크기의 소형 SUV인 500X 역시 간접적인 후속 포지션을 맡았다.

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AC2341><tablealign=center><tablebgcolor=#AC2341>
파일:피아트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초소형차 토폴리노(2세대) -
경차 500e 토폴리노(1세대) · 126 ·
친퀘첸토 · 세이첸토(1998~2010)
소형차 크로노스 · 아르고 푼토 · 우노 · 600 · 850 · 127 · 듀나 · 오기
· 알베아 · 팔리오 · 펄라 · 리네아 · 시에나
준중형차 티포/에게아 리트모 · 스트라다해치백 · 브라보/브라바 ·
비아지오/오티모 · 스틸로 ·
레가타 · 템프라 · 124 · 128 · 131 ·
파노라마/마렝고 · 마레아
중형차 - 125 · 132 · 아르젠타 · 크로마(2세대)
준대형차 - 2100 · 2300 · 130 · 크로마(1세대)
스포츠카 - 124 스파이더 · 쿠페 · X1/9 · 바르케타 ·
디노 · 8V
경형 SUV 모비 · 판디나 판다
소형 SUV 500X · 펄스 · 패스트백 · 600 · 그란데 판다 세디치
중형 SUV - 프리몬트
소형 MPV - 600 물티플라 · 피오리노/큐보 ·
이데아 · 500L
준중형 MPV - 물티플라
중형 MPV 울리세 -
소형 LAV 도블로 -
LCV 두카토 일렉트릭 · 스쿠도 · 피오리노 900E/900T · 데일리 · 238 · 242 ·
탈렌토(1989) · 탈렌토(2016)
픽업 트럭 스트라다 · 토로 · 티타노 풀백
트럭 - 241 · 캄파뇰라
장갑차 - CM6614 · 611
전차 C1 아리에테 2000 · 3000 · L3/33 · L3/35 · L3/38 ·
L6/40 · M11/39 · M13/40 · M15/42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파일:유럽 올해의 차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역대 수상 차량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파일:1991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2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3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4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5 유럽 올해의 차.jpg
르노 클리오 폭스바겐 골프 닛산 마이크라 포드 몬데오 피아트 푼토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파일:1996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6 유럽 올해의 차.png 파일:1997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8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9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2000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2000 유럽 올해의 차.png
피아트 브라보 피아트 브라바 르노 메간 세닉 알파 로메오 156 포드 포커스 토요타 야리스 토요타 야리스 베르소

역대 경합 후보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닛산 프리메라 피아트 친퀘첸토 시트로엥 잔티아 폭스바겐 폴로
오펠 칼리브라 시트로엥 ZX 르노 사프란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역대 경합 후보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푸조 406 포드 카 폭스바겐 골프 오펠 아스트라 피아트 멀티플라
아우디 A4 폭스바겐 파사트 아우디 A6 푸조 206 오펠 자피라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1] 원래 1990년대1990년부터 1999년까지여야 하지만, 시작 연도가 2001년부터 후보 차량이 7대로 늘어나면서 틀의 크기가 안 맞는 현상을 조정하고자 2000년을 해당 부분에 포함하였음.
}}}}}}}}} ||



[1] 1세대 모델의 일본 시장 판매명[2] 왼쪽이 브라바, 오른쪽이 브라보이다.[3] 당시 첸트로 스틸레 피아트의 책임자였던 피터 데이비스(Peter Davis)는 브라보/브라바를 디자인하면서, "기존의 틀을 깨고 디자인을 한계까지 끌어올렸으며, 차량의 모든 측면을 자세히 파헤쳐 경쟁 차량과 완전히 차별화하고 싶었다" 라고 밝혔다.[4] 괴상한 디자인 탓에 피아트의 괴작으로 불리는 물티플라 역시 브라보/브라바의 C1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5] 1995년 제레미 클락슨탑기어에서 브라보와 브라바를 리뷰하면서, "조금만 노력하면 평범한 차도 이렇게 좋게 보일 수 있으며, 운전 또한 정말 재미있고 1만 파운드 이하에 구입할 수 있어 가격까지 저렴하다", "그저 빛 좋은 개살구가 아닌 보기에도 좋고 타기에도 좋은 차" 라는 후한 평가를 남겼다.[6] BMW 그룹 시절에는 미니 쿠퍼의 디자인으로 명성을 떨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