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c1c1c1,#4a4a4a> 고대 (BCE 23c~CE 10c) | <colbgcolor=#eeeeee,#222222> 시 · 가요 | [[고조선| 고조선 ]] 저자 미상(공무도하가) |
| [[신라| 신라 ]] 월명사(제망매가), 충담사(찬기파랑가), 처용(처용가), 최치원(추야우중), 득오(모죽지랑가) | |||
| [[고구려| 고구려 ]] 유리명왕(황조가), 을지문덕(여수장우중문시) | |||
| [[백제| 백제 ]] 저자 미상(정읍사), 무왕(서동요) | |||
| [[가야| 가야 ]] 저자 미상(구지가) | |||
| 설화 · 소설 | [[신라| 신라 ]] 설총(화왕계) | ||
| 산문 | [[신라| 신라 ]] 원효(금강삼매경론), 혜초(왕오천축국전), 최치원(토황소격문) | ||
| 중세 (CE 10c~14c) | 시 · 가요 | [[고려| 고려 ]] 저자 미상(청산별곡), 저자 미상(가시리), 저자 미상(동동), 저자 미상(쌍화점), 정서(정과정), 이규보(동명왕편), 우탁(탄로가), 이방원(하여가), 정몽주(단심가) | |
| 설화 · 소설 | [[고려| 고려 ]] 한림의 유생들(한림별곡), 이규보(국선생전), 임춘(국순전), 저자 미상(조신의 꿈), 김부식(온달 설화), 일연(단군 신화 · 주몽 신화 · 만파식적) | ||
| 산문 | [[고려| 고려 ]] 김부식(삼국사기), 일연(삼국유사), 이승휴(제왕운기), 이규보(동국이상국집), 이인로(파한집), 최자(보한집), 이제현(역옹패설) | ||
| 근세 (CE 14c~19c) | 시 · 시조 | [[조선| 조선 전기 ]] 정인지 등(용비어천가), 정극인(상춘곡), 성삼문(이 몸이 죽어 가서), 황진이(동짓달 기나긴 밤을), 정철(관동별곡 · 사미인곡), 허난설헌(규원가) | |
| [[조선| 조선 후기 ]] 박인로(누항사), 윤선도(어부사시사 · 오우가), 김천택(청구영언), 김수장(해동가요), 김인겸(일동장유가), 정학유(농가월령가), 저자 미상(사설시조) | |||
| 소설 | [[조선| 조선 전기 ]] 김시습(금오신화) | ||
| [[조선| 조선 후기 ]] 허균(홍길동전), 김만중(구운몽 · 사씨남정기), 조성기(창선감의록), 박지원(허생전 · 양반전 · 호질), 저자 미상(임경업전), 저자 미상(유충렬전), 저자 미상(최고운전), 저자 미상(운영전), 저자 미상(박씨전), 저자 미상(임진록), 저자 미상(춘향전), 저자 미상(심청전), 저자 미상(흥부전), 저자 미상(토끼전) | |||
| 산문 | [[조선| 조선 전기 ]] 유효통(향약집성방), 서거정(동문선), 김구(화전별곡), 이황(성학십도), 이이(성학집요) | ||
| [[조선| 조선 후기 ]] 류성룡(징비록), 이순신(난중일기), 이중환(택리지), 박지원(열하일기), 혜경궁 홍씨(한중록), 박제가(북학의), 정약용(목민심서 · 경세유표 · 흠흠신서), 의유당(의유당관북유람일기) | |||
| 근대 (CE 19~20c) | 시 | [[대한제국| 대한제국 ]] 최남선(해에게서 소년에게) | |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 한용운(님의 침묵), 심훈(그날이 오면), 김소월(진달래꽃 · 초혼), 윤동주(서시 · 별 헤는 밤), 이상(오감도), 정지용(향수 · 유리창), 백석(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이육사(광야 · 청포도), 김영랑(모란이 피기까지는) | |||
| 소설 · 극 | [[대한제국| 대한제국 ]] 이인직(혈의 누 · 은세계), 이해조(자유종), 안국선(금수회의록) | ||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 홍명희(임꺽정), 이광수(무정), 염상섭(삼대 · 만세전), 김동인(감자 · 배따라기), 현진건(운수 좋은 날 · B사감과 러브레터), 채만식(태평천하 · 레디메이드 인생 · 탁류), 이효석(메밀꽃 필 무렵), 김유정(동백꽃 · 봄·봄), 이상(날개), 박태원(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천변풍경), 계용묵(백치 아다다), 오영진(맹진사댁 경사) | |||
| 산문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 신채호(조선상고사), 김구(백범일지), 이태준(무서록) | ||
| 현대 (CE 20c~21c) | 시 | ||
| 소설 · 극 | [[대한민국| 해방·전후 ~ 1970년대 ]] 황순원(소나기 · 카인의 후예), 박경리(토지 · 김약국의 딸들), 박완서(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최인훈(광장), 이청준(당신들의 천국), 김승옥(무진기행), 윤흥길(장마 ·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조세희(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황석영(장길산 · 삼포 가는 길 · 황석영 삼국지), 오정희(중국인 거리 · 유년의 뜰), 이강백(파수꾼 · 결혼) | ||
| [[대한민국| 1980년대 ~ 1990년대 ]] 조정래(태백산맥), 이문열(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 이문열 평역 삼국지), 최인호(고래사냥 · 상도 · 해신), 복거일(비명을 찾아서), 양귀자(원미동 사람들), 신경숙(엄마를 부탁해), 은희경(새의 선물), 윤대녕(은어낚시통신), 공지영(고등어 ·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전동조(묵향), 이우혁(퇴마록) | |||
| [[대한민국| 2000년대 이후 ]] 김훈(칼의 노래), 김영하(살인자의 기억법), 한강(채식주의자 · 소년이 온다), 이영도(드래곤 라자), 조남주(82년생 김지영), 산경(재벌집 막내아들), 싱숑(전지적 독자 시점) | |||
| 산문 | |||
| 만화 | |||
| 세계의 문학사 둘러보기 동양문학( 한국문학(고전문학 · 현대문학 · 장르문학) | 중문학 | 일문학 ) 서양문학( 영문학 | 불문학 | 독문학 | 노문학 | 이문학) | |||
관련 문서: 한국 문학 | 향가 |고려가요 | 시조 |가사|고전소설|판소리|신소설|참여문학|순수문학|민중문학|장르문학|웹소설 | }}}}}}}}} | ||
1. 개요
시인 김영랑의 시.2. 본문
모란이 피기까지는 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둘리고 있을 테요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나는 비로소 봄을 여읜 설움에 잠길 테요 오월 어느 날 그 하루 무덥던 날 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 버리고는 천지에 모란은 자취도 없어지고 뻗쳐 오르던 내 보람 서운케 무너졌으니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 삼백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네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기둘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