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10폭 병풍으로 만든 성학십도. |
율곡은 이 저술을 가리켜 퇴계의 평생 학문이 응축된 것이라고 인정하였다. 그리고 자신이 훗날 선조에게 올린 성학집요의 참고 자료로도 활용하였다.
2. 내용
서론, 10가지 도표, 도표의 해설로 구성되어 있다. 7개는 선현이 작성한 것을 인용하여 내용을 보완하였고, 소학도·백록동규도·숙흥야매잠도는 이황이 새롭게 만들어 총 10가지로 구성하였다.- 진성학십도차: 서론성학에는 커다란 단서가 있고, (……) 백성의 지도자가 된 분의 한 마음은 온갖 징조가 연유하는 곳이고, 모든 책임이 모이는 곳이며, 온갖 욕심이 잡다하게 나타나는 자리이고, 가지가지 간사함이 속출하는 곳이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태만하고 소홀해 방종이 따르게 된다면, 산이 무너지고 바다에 해일이 일어나는 것 같은 위기가 오고 말 것이니, 어느 누가 이러한 위기를 막을 수 있겠습니까? (……) 그래서 조심하고 두려워하며 삼가는 애틋한 마음가짐으로 날마다 생활을 해도 오히려 부족하다고 생각했던 것입니다.
- 천도(天道)
- 태극도: 우주의 원리
- 서명도: 효도
- 소학도: 입교(가르침의 방법), 명륜(오륜), 경신(몸가짐)
- 대학도: 명명덕, 신민, 지어지선, 수신제가치국평천하, 정심, 격물, 치지, 성의
- 백록동규도: 오륜, 격물
- 심성(心性)
- 심통성정도: 인간의 마음
- 인설도: 인을 지키는 법
- 심학도: 인간의 마음, 경을 실천하는 법
- 경재잠도: 주일무적, 몸가짐, 일의 처리, 경을 지키지 않으면 일어나는 일
- 숙흥야매잠도: 경을 하루 동안 지키는 법
3. 같이보기
[1] 進은 '임금에게 올림', 箚는 상소문, 幷圖는 '그림과 함께'라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