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08:17

처용

실크로드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0054a0> 역사 <colcolor=#000,#fff>서역
사건 탈라스 전투 · 정화의 대원정 ·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정복
인물 누란의 미녀 · 소하공주 · 처용
탐험가 장건 · 니콜로 폴로&마페오 폴로&마르코 폴로 · 정화 · 페드루 알바레스 카브랄 · 페르낭 멘데스 핀투 · 야쿱 벡 · 피에르 사보르냥 드 브라자 · 스벤 헤딘
외교 로마 제국-중국 관계 · 고구려-돌궐 관계 · 신라-중동 관계 · 중앙아시아-만주 관계
문화 쌍화 · 호선무
주요 도시 경주시 · 뤄양시 · 시안시 · 사마르칸트 · 부하라 · 바그다드 · 이스탄불
지류 차마고도
민족 소그드인 · 색목인
기타 코리아 }}}}}}}}}

1. 개요2. 출신에 대한 추측3. 현대4. 대중문화에서

1. 개요



處容

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처용랑 망해사(處容郞望海寺)에 실려 있는 신라 헌강왕 때의 인물.

나라가 태평을 누리자 이 재위 5년(879년)에 개운포(開雲浦)[1] 바닷가로 놀이를 나갔는데, 돌아오는 길에 구름과 안개가 자욱하게 덮이면서 갑자기 천지가 어두워졌다. 갑작스런 변괴에 왕이 놀라 좌중에 물어보니 일관이 말하되 “이것은 동해 의 짓이므로 좋은 일을 행하여 풀어야 합니다”라고 하였다. 왕이 용을 위하여 절을 짓도록[2] 명한 즉, 바로 어두운 구름은 걷히고[3] 왕의 절 건축에 기분이 좋아진 동해 용왕이 일곱 아들을 데리고 나와 춤을 추었으며 그 중 하나가 왕을 따라오니 곧 그가 처용이었다.[4]
헌강왕 5년(879년) 3월에 나라 동쪽의 주와 군을 순행(巡幸)하고 있었는데, 어디서 왔는지 알 수 없는 네 사람이 왕의 수레 앞에 와서 노래부르고 춤을 추었다. 생김새가 해괴하고 옷차림과 두건이 괴상하였다. 당시 사람들은 그를 산과 바다의 정령(精靈)이라 일컬었다. <고기에 이르기를 『왕의 즉위 원년(875년)의 일이다.』라고 하였다.>

삼국사기에는 헌강왕 5년(879년)에 신라의 수도에 "어디서 왔는지 알 수 없는 네 사람이 어가(御駕) 앞에서 가무를 하였다"는 기록이 있어서 삼국유사와 미묘하게 다르다.[5] 왕을 따라온 처용은 달밤이면 거리에 나와 가무(歌舞)를 하였다고 하며 왕은 그를 미녀와 짝지어 주고 급간(級干) 벼슬을 주었다. 처용가를 불렀다고 한다.

2. 출신에 대한 추측

남아있는 기록의 용모에 대한 묘사, 현존하는 처용탈의 이국적인 외모를 근거로 중동 사람 혹은 이를 모델로 한 인물이라는 주장이 있다. 참고로 이 학설은 정수일 교수가 처음으로 주장했다.

실제로, 아라비아 상인이 신라에 찾아왔다는 기록도 많아서[6] 역사학계에서도 논의되고 있는 가설이다.

하지만 현존하는 문헌들에서는 처용이 외국에서 왔다는 기록을 찾아볼 수 없어서 추정 단계에 그치고 있다.

3. 현대

처용의 고향이라고 할 수 있는 울산에서는 해마다 9월 말부터 10월 초까지 처용문화제를 여는데, 처용문화제의 이름은 1991년 초대 문화부장관을 지냈던 이어령이 제안한 이름으로, 그 이전까지는 공업도시 울산을 알리기 위해 1967년부터 울산시에서 해마다 울산공업축제를 열어 오다가 온산병이 터지며 공해가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공업'이라는 단어가 공해와 연결될 수 있다는 지적이 일자 당시 문화부 장관이던 이어령이 신라 처용설화의 발상지가 울산임을 착안해서 그 이름을 처용문화제로 바꿀 것을 제안한 것이라고 한다.

이 이름에 대해 울산 개신교계 단체에서#1#2#3#4 ‘처용문화제 명칭 폐지 시민운동본부’를 조직해 "부인과 누워 있는 역신(疫神)을 보고 노래하며 춤춘 처용을 축제 이름으로 사용하는 것은 비교육적이며[11] 특정 종교에 편향된 것"이라며 '처용문화제'라는 명칭의 폐지를 거듭 주장했다.[12][13] 반면 울산시와 울산예총 등은 “설화를 과학으로 해석해서는 안 되며 처용설화는 종교와 무관하다”며 명칭 변경에 반대했다.

이에 대해 문화계와 지역 상공계 일각에서는 불필요한 명칭 논란을 없애고 울산이 한국의 ‘산업수도’가 된 것을 기리는 ‘윈윈’ 방안으로서 ‘울산공업축제’로 환원하는 처용을 이름에서 빼면 처용문화제측은 지게 되는 건데 어째서 윈윈? 안을 내놓기도 했으나 2017년에도 처용문화제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그리고 처용문화제라는 이름을 지어준 이어령 본인도 만년에 개신교로 개종한 인물이지만 자신이 붙인 '처용문화제'라는 이름에 대해 별 이견을 제시한 적이 없다.

다만 처용문화제 자체는 가 봤자 별로 볼 것도 없고 재미도 없다는 평가가 대다수. 울산에서는 처용문화제 대신 울산고래축제를 울산의 상징 축제로 밀고 있다. 다만 고래 축제 역시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로 인해 고래의 인기가 높아져 2022년 한해 누적 관광객 100만명 돌파가 눈앞이 되었다고는 하지만 이 인기가 얼마나 갈지는 미지수다.

2022년 이후에는 처용문화제라는 명칭을 폐지하고 울산공업축제로 명칭을 환원하게 되었다. 때문에 개신교 단체에서 하던 움직임이 결국 성공하게 되었다는 의미가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다만 애초에 처용문화제라는 이름만 걸었지 처용과 별 관련이 있는 행사도 아니었으니 향후에 또 처용문화제라는 이름을 건 다른 축제로 부활하게 될지 어떨지도 지켜봐야 할 일이다. 무엇보다 이름을 바꾸든 말든 축제 자체가 재미없고 별 볼 것 없는 상태로 지속된다면 의미가 없기도 하고. 울산시는 일단 처용제, 처용무, 처용탈 등 축제 콘텐츠는 계속 유지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4. 대중문화에서


[1] 지금의 울산광역시 남구(울산) 황성동과 울주군 온산읍 사이의 외황강 하류. 그래서 온산읍 쪽 지명도 '처용리'이다. 구 동해남부선 선암역이 이 일대에 있었는데 동해선 광역전철이 개업하면서 개운포역으로 이름을 바꿔 개업했다.[2] 이 절은 망해사(望海寺)라고 해서 지금도 울산 울주군 청량읍 울주군청 뒤에 남아 있다. 현존하는 건물들은 모두 1960년대에 다시 지은 것이고 신라 망해사 당시의 흔적은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된 승탑만 남아 있다.*[3] 이로부터 이 곳을 '구름이 걷힌 포구', 즉 '개운포'라고 했다.[4] 동해 용왕과 일곱 아들들이 등장한 장소로 전해지는 처용암이라는 작은 암초가 있는데, 외황강 하류에 위치한다.[5] 삼국사기에 기록된 이 이야기의 '해괴한 사람들'이 처용을 떠올리게 한다. 이를 근거로 처용은 저 무리 중 한 명이고 역신은 헌강왕이라고 하는 해석도 있다.[6] 당나라 문화를 수용한 이후의 신라왕릉에는 본격적으로 당의 황릉 배치를 모방한 석인상이 세워지기 시작했는데 석인상의 복식이나 외모가 아무리 봐도 일반적인 동아시아인의 외모가 아니다.[7] 다만 비형은 진평왕 시대의 인물이고 처용은 헌강왕 시대의 인물이라서 시대가 거의 2백 년이나 차이가 난다.[8] 1869-1943, 일제강점기의 조선 종교·역사·민속학자이자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9] 노량진의 어느 무속인이 소장하고 있던 책이라고 한다. 현재는 전하지 않는다.[10] 이능화와 같은 시대의 학자로 조선의 민속을 연구했던 무라야마 지준도 저서 <조선의 귀신>에서 이 설을 소개했는데, 무라야마 지준도 그렇고 이능화도 그렇고 일본의 식민지 조선 지배를 정당화할 건수를 찾으려 조선 민속을 연구한 어용학자라는 비판이 있는지라 현재에는 처용과 어비대왕과의 관련은 참고로만 인용될 뿐 크게 중요하게 다뤄지지는 않는다.[11] 간통을 미화한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인데, 그런 식으로 따지면 색욕마인이 신들의 왕이랍시고 난동 부리고 다니는 그리스 로마 신화는 19금 딱지 붙여야 하냐는 반론도 있다.**[12] 그러나 처용설화의 내용은 처용이 자기 부인과 누워있는 역신을 보고 즐거워서 노래하고 춤추었다는 단순 음담패설이 아니라 그런 상황에서도 초연한 마음으로 자신을 배신하고 부정을 저지른 아내나 아내와 간통한 역신마저도 너그럽게 용서함으로써 역신이 그의 관용에 감동하고 물러간다는 이야기의 얼개에 핵심이 있다. 여담으로 조선 시대의 성호 이익이나 그 제자 순암 안정복은 삼국유사에 실린 처용의 기록을 다른 시각에서 해석했는데, 당시 나라가 어지러워지고 지혜로운 사람은 모두 떠나 버려서 산천의 신들이 사람으로 위장하고 나타나서 나라가 망할 것이라는 경고를 하기 위해 노래와 춤으로 풍자한 것임에도 신라의 군신들이 그들의 춤과 노래 자체에만 집중하고 더욱 신나게 놀아제낀 덕분에 나라가 망할 수밖에 없었다는 신라 멸망의 징조 가운데 하나로써 처용의 존재를 해석하였다.[13] 근본주의 개신교도들이 장승을 비롯한 한국 토속문화나 전통 축제에 대해서 이렇게 극렬하게 반대하며 어떻게든 없애려고 하는 것은 하루이틀 일이 아니다. 전통 문화를 비롯한 민족적 개성을 아끼고 발전시키고자 하는 입장에서는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 (이전 역사)
문서의 r24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