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고려시대 음식점포인 쌍화점}}}에 대한 내용은 [[쌍화점]]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쌍화점#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쌍화점#|]]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전통 차}}}에 대한 내용은 [[쌍화차]]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쌍화차#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쌍화차#|]]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한약}}}에 대한 내용은 [[쌍화탕]]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쌍화탕#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쌍화탕#|]]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고려시대 음식점포인 쌍화점: }}}[[쌍화점]]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쌍화점#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쌍화점#|]]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전통 차: }}}[[쌍화차]]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쌍화차#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쌍화차#|]]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한약: }}}[[쌍화탕]]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쌍화탕#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쌍화탕#|]]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실크로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54A0><colcolor=#FFF> 역사 | 서역 |
사건 | 탈라스 전투 · 정화의 대원정 ·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정복 | |
인물 | 누란의 미녀 · 소하공주 · 처용 | |
탐험가 | 장건 · 니콜로 폴로 · 마페오 폴로 · 마르코 폴로 · 정화 · 페드루 알바레스 카브랄 · 페르낭 멘데스 핀투 · 야쿱 벡 · 피에르 사보르냥 드 브라자 · 스벤 헤딘 | |
외교 | 로마 제국-중국 관계 · 고구려-돌궐 관계 · 신라-중동 관계 · 중앙아시아-만주 관계 | |
문화 | 쌍화 · 호선무 | |
주요 도시 | 경주시 · 뤄양시 · 시안시 · 사마르칸트 · 부하라 · 바그다드 · 이스탄불 | |
지류 | 차마고도 | |
민족 | 소그드인 · 색목인 | }}}}}}}}} |
1. 개요
통일신라부터 고려 시대까지 개성, 경주, 평양 등지에서 아랍인들과 위구르인들이 정착하여 팔던 빵 계통의 음식. 소고기를 비롯한 양고기와 돼지고기, 닭고기 등등 많은 종류의 고기를 사용하여 만들었다고 전해지지만 현재 구체적인 요리법은 전해지지 않는다.쌍화를 파는 가게를 쌍화점이라고 하는데 동명의 고려가요가 유명하다.
2. 실전된 레시피
현재 쌍화가 정확히 어떤 음식인지는 알 수 없다. 고려시대에는 위구르인들이 많이 팔았다고 하나 조선 시대부터 이슬람교와 불교를 억압하고 외국인들을 추방하고 동화시키면서 자연스레 사라졌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명맥이 끊겨 전해지지 않는다.쌍화가 무엇인지에 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다. 보통 만두 비슷했겠거니 하지만 일부에서는 찐빵#으로, 또 어디에서는 술떡#으로 보기도 하며 이슬람 문화권에서 넘어온 디저트의 일종인 바클라바라는 주장도 있다. 신라~고려조 위구르인 상인들의 고향인 중앙아시아 일대에서는 '삼사'라고 불리는 페이스트리형 고기빵이 현재까지 존재하며 한국에서도 러시아인, 중앙아시아인 거리에서 사먹어 볼 수 있다.
인하대학교 국어교육과 박덕유 교수는 중한사전(1989)에 '霜花(솽화, shuanghua)'가 "① 성에, ② 서리 모양의 細工(세공)"으로 풀이되어 있음에 착안해 "쌍화"를 "(유리) 세공품"으로 보아야 한다고 설명한다. 특히 뒷부분의 새끼광대에 대한 언급을 살펴보면 이 점이 더 자연스럽다는 풀이이다.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