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22:42:56

한강(소설가)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rowcolor=#cd9f51> 1901 1902 1903 1904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쉴리 프뤼돔 테오도르 몸젠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외른손 프레데리크 미스트랄
<rowcolor=#cd9f51> 1904 1905 1906 1907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파일:폴란드 입헌왕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호세 에체가라이 헨리크 시엔키에비치 조수에 카르두치 러디어드 키플링
<rowcolor=#cd9f51> 1908 1909 1910 1911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루돌프 오이켄 셀마 라겔뢰프 파울 폰 하이제 모리스 마테를링크
<rowcolor=#cd9f51> 1912 1913 1915 1916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인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게르하르트 하웁트만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로맹 롤랑 베르네르 폰 헤이덴스탐
<rowcolor=#cd9f51> 1917 1919 1920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카를 기엘레루프 헨리크 폰토피단 카를 슈피텔러 크누트 함순
<rowcolor=#cd9f51> 1921 1922 1923 1924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1919-1927).svg
아나톨 프랑스 하신토 베나벤테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브와디스와프 레이몬트
<rowcolor=#cd9f51> 1925 1926 1927 1928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조지 버나드 쇼 그라치아 델레다 앙리 베르그송 시그리드 운세트
<rowcolor=#cd9f51> 1929 1930 1931 1932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토마스 만 싱클레어 루이스 에릭 악셀 카를펠트 존 골즈워디
<rowcolor=#cd9f51> 1933 1934 1936 1937
파일:러시아 국기2.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이반 부닌 루이지 피란델로 유진 오닐 로제 마르탱 뒤 가르
<rowcolor=#cd9f51> 1938 1939 1944 1945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칠레 국기.svg
펄 벅 프란스 에밀 실란패 요하네스 빌헬름 옌센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rowcolor=#cd9f51> 1946 1947 1948 1949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헤르만 헤세 앙드레 지드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 윌리엄 포크너
<rowcolor=#cd9f51> 1950 1951 1952 1953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영국 국기.svg
버트런드 러셀 페르 라게르크비스트 프랑수아 모리아크 윈스턴 처칠
<rowcolor=#cd9f51> 1954 1955 1956 1957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어니스트 헤밍웨이 할도르 락스네스 후안 라몬 히메네스 알베르 카뮈
<rowcolor=#cd9f51> 1958 1959 1960 1961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살바토레 콰시모토 생존 페르스 이보 안드리치
<rowcolor=#cd9f51> 1962 1963 1964 1965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존 스타인벡 요르기우스 세페리스 장폴 사르트르(거부) 미하일 숄로호프
<rowcolor=#cd9f51> 1966 1967 1968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슈무엘 요세프 아그논 넬리 작스 미겔 앙헬 아스투리아스 가와바타 야스나리
<rowcolor=#cd9f51> 1969 1970 1971 197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칠레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사뮈엘 베케트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파블로 네루다 하인리히 뵐
<rowcolor=#cd9f51> 1973 1974 1975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패트릭 화이트 에위빈드 욘손 하뤼 마르틴손 에우제니오 몬탈레
<rowcolor=#cd9f51> 1976 1977 1978 197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1977-1981).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솔 벨로 비센테 알레익산드레 아이작 바셰비스 싱어 오디세우스 엘리티스
<rowcolor=#cd9f51> 1980 1981 1982 1983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체스와프 미워시 엘리아스 카네티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윌리엄 골딩
<rowcolor=#cd9f51> 1984 1985 1986 1987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야로슬라프 사이페르트 클로드 시몽 월레 소잉카 조지프 브로드스키
<rowcolor=#cd9f51> 1988 1989 1990 1991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나기브 마푸즈 카밀로 호세 셀라 옥타비오 파스 나딘 고디머
<rowcolor=#cd9f51> 1992 1993 1994 1995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1979–2002).svg.pn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데릭 월컷 토니 모리슨 오에 겐자부로 셰이머스 히니
<rowcolor=#cd9f51> 1996 1997 1998 1999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비스와바 심보르스카 다리오 포 주제 사라마구 귄터 그라스
<rowcolor=#cd9f51> 2000
파일:프랑스 국기.svg
가오싱젠
}}}
}}}}}}}}}
[ 21세기 ]
##
||<tablebgcolor=#663334><rowcolor=#cd9f51> 2001 || 2002 || 2003 || 2004 ||

}}}}}} ||
물리학 | 화학 | 생리학·의학 | 평화 | 경제학
한강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1px; background: #663334"
{{{#!wiki style="margin: -7px"
<tablebordercolor=#663334><tablebgcolor=#66333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대한민국의 역대 노벨상
2회 수상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cd9f5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rowcolor=#ddd> 이름 연도·부문 사유 비고
김대중 2000
평화
대한민국과 동아시아 전반의 민주주의와 인권에 대한 공로 그리고 남북화해와 평화에 대한 노력 한국인 노벨상 최초 수상 · 평화상 최초 수상
한강 2024
문학
역사적 상처에 맞서며 인간 삶의 연약함을 드러내는 강력한 시적 산문 문학상 최초 수상 · 아시아 여성 최초 수상
* 대한민국 국적 인물만 기재함.
}}}}}}}}}}}} ||

제12회 김유정문학상 수상
황정은
웃는 남자
(2017)
한강
작별
(2018)
편혜영
호텔 창문
(2019)

파일:한국갤럽 CI_White.svg
한국인이 좋아하는 소설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2004년 한국갤럽이 창립 30주년을 맞이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인이 좋아하는 것들에 대해 알아보는 한국인이 좋아하는 조사 시리즈를 기획해 2004년부터 5년 주기로 발표하고 있다.
2004년
※ 2004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소설가'를 선정.
1위 2위 3위 5위
이문열 박완서 박경리 김홍신 이외수
6위 7위 8위 9위
황석영 최인호 조정래 김진명 한수산
2009년
※ 2009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소설가'를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이외수 박경리 공지영 이문열 황석영
6위 7위 8위 9위 10위
박완서 조정래 신경숙 김홍신 최인호
김유정
2014년
※ 2014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소설가'를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이외수 공지영 박경리 이문열 신경숙
6위 7위 8위 9위 10위
박완서 김홍신 조정래 최인호 박범신
2019년
※ 2019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소설가'를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이외수 박경리 공지영 이문열 조정래
6위 7위 8위 9위 10위
박완서 김홍신 김영하 박범신 황석영
11위 12위 13위
신경숙 한강 김유정
2024년
※ 2024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소설가'를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박경리 이외수 조정래 공지영 김유정
6위 7위 8위 9위 10위
박완서 이문열 한강 김진명 신경숙
같이 보기: 한국인이 존경하는 인물, 좋아하는 스포츠선수, 좋아하는 소설가, 좋아하는 탤런트, 좋아하는 영화배우, 좋아하는 가수, 좋아하는 노래, 좋아하는 예능인, 좋아하는 유튜버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한강
韓江|Han Kang
<nopad> 파일:한강(소설가/노벨문학상 수상자/맨 부커상 수상자).jpg
2024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출생 1970년 11월 27일[1] ([age(1970-11-27)]세)
전라남도 광주시 중흥동
(現 광주광역시 북구 중흥동)[2]
본적 전라남도 장흥군 회진면 신상리 신덕마을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본관 청주 한씨 (淸州 韓氏)[3]
직업 소설가, 시인, 아동문학가[4]
학력 광주효동국민학교[5] (전학)
서울백운국민학교[6] (졸업)
신경여자중학교[7] (졸업)
풍문여자고등학교[8] (졸업)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 / 문학사)[9]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 문학석사)[10]
가족 아버지 한승원, 어머니 임감오
오빠 한규호[11], 남동생 한강인[12]
아들(2000년생)[13]
종교 무종교[14]
등단 | 1993년 계간문학과사회』 겨울호 「서울의 겨울」 외 4편
소설 | 1994년 『서울신문신춘문예 「붉은 닻」
경력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 (2007~2018)
수상
[ 수상 내역 보기 ]
1999년 한국소설문학상
2000년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2005년 이상문학상
2010년 동리문학상
2014년 만해문학상
2015년 황순원문학상
2016년 맨 부커 국제상
2017년 말라파르테 문학상
2018년 김유정문학상
2019년 인촌상 언론문화부문
2022년 용아문화대상
2022년 김만중문학상 소설부문 대상
2023년 메디치 외국문학상
2024년 삼성호암상 예술상
2024년 노벨문학상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서명 파일:한강서명.svg
1. 개요2. 활동3. 작품 목록
3.1. 장편 소설3.2. 소설집3.3. 산문집·동화·시집 외3.4. 중·단편 소설3.5. 기타
4. 수상 목록5. 방송6. 논란 및 사건 사고
6.1. '6.25 전쟁은 강대국의 대리전' 발언
6.1.1. 당사자의 해명6.1.2. 민주언론시민연합의 반론
6.2. 박근혜 정부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피해
6.2.1. 본인 반응
7.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한강 작가.jpg
대한민국시인이자 소설가. 대한민국 최초이자 아시아 여성 최초의 노벨문학상 수상자이다.[15]

2. 활동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4학년 때인 1992년에 연세춘추 주관 연세문화상에서 시 부문인 윤동주 문학상을 수상했다. 인스타, 기사 1993년 대학 졸업 후 잡지 샘터에서 기자로 근무하며 습작을 준비하다가 그 해 계간지문학과 사회 24호(1993년 겨울호)에 <얼음꽃> 외 4편(얼음꽃, 유월, 서울의 겨울 6, 뱃노래, 서울의 겨울 12)을 발표하여 시인으로 먼저 등단했다. 시보다 소설 쪽에 집중해서 시집은 한참 후인 2013년('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 이 시집에는 데뷔작 5개 중 '서울의 겨울 12'만 수록됨)에야 나왔다. 이듬해인 1994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소설 부문에 단편소설 <붉은 닻>이 당선되면서 소설가로서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신춘문예로 등단할 당시 '한강현(韓江賢)'이라는 필명을 사용했으나 차기작부터는 한강이라는 본명을 사용했다. 기사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現 문예학부 문예창작전공) 전임교수로 2007년부터 2018년까지 12년간 재직하다가 창작에 전념하기 위해 그만두고 현재는 전업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2004년 서울디지털대학교 문예창작학과에서 한강 소설작가 특강을 하기도 했다. #

2005년 이상문학상을 수상하였다.[16]

인물의 독백 등 심리적으로 중요(차후의 복선이나 전하려는 메시지)하거나 시적인 부분을 이탤릭체로 표현한다. 대중적인 재미와 거리가 먼, 인체를 주제로 한 불편하고 파격적인 소설을 쓰는데 대표작으로는 <내 여자의 열매>와 이상문학상 수상작 <몽고반점>이 있다. <아기 부처>는 한강의 소설집 <내 여자의 열매>에 수록된 중편 소설이며, <몽고반점>은 《채식주의자》라는 소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연작 《채식주의자》는 제작비 3억 원대의 독립영화로 제작되어 비록 흥행에는 실패했지만 선댄스 영화제에서 아시아 영화 중 유일하게 월드시네마 드라마 경쟁 부문 본선에 진출했다. 그러나 영화화 과정에서 작가의 의도가 변질되었다는 관람평도 있다. 노벨문학상 수상을 기념하여 2024년 10월 17일 CGV 전국 45개 극장에서 재개봉되었다. 한국소설문학상을 수상한 중편 소설 <아기 부처>도 영화화되었으며 감독은 《채식주의자》와 같은 임우성. 다만 제목은 《흉터》로 수정했다. 이 영화 역시 노벨문학상 수상을 기념하여 CGV에서 재개봉하였다.

교보생명 산하 대산문화재단의 번역지원을 통해 《채식주의자》가 영국 문학 시장에 출판되고, 높은 작품성을 인정받아 2016년 5월 17일, 오르한 파묵, 옌롄커 등 해외 유명 작가들을 제치고 아시아 최초로 영국의 '부커 상 인터내셔널 부문'을 수상했다. 수상 순간 비디오

2019년 인촌상(언론 문화 부문)을 수상했다. 유튜브 영상

2.1. 노벨문학상 수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강(소설가)/노벨문학상 수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작품 목록

3.1. 장편 소설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000><rowbgcolor=#000><rowcolor=#fff><tablebgcolor=#fff,#1c1d1f> 연번 || 표제 || 출판 연도 || 출판사 || ISBN || 비고 ||
1 검은 사슴 1998 문학동네 8982811338 연연문학상(스토리텔링부문)
2017 9788954648905 문학동네 한국문학전집판
2 그대의 차가운 손 2002 문학과지성사 8932013047
3 바람이 분다, 가라 2010 문학과지성사 9788932020006
4 희랍어 시간 2011 문학동네 9788954616515
5 소년이 온다 2014 창비 9788936434120
2020 9788936434410 특별 한정판
6 2016 문학동네 9788954640718 [17]
2018 9788954651134 재판
7 작별하지 않는다 2021 문학동네 9788954682152 『눈 3부작』 제3부

3.2. 소설집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000><rowbgcolor=#000><rowcolor=#fff><tablebgcolor=#ffffff,#1c1d1f> 연번 || 표제 || 출판 연도 || 출판사 || ISBN || 비고 ||
1 여수의 사랑[20] 1995 문학과지성사 8932007500 제1 소설집
2012 9788932022802 재판
2017 9788932029993 특별 한정판
2018 9788932034812 3판
2 내 여자의 열매 2000 창작과비평사 8936436570 제2 소설집
2018 문학과지성사 9788932034829 출판사 바뀜
3 채식주의자 2007 창비 9788936433598 제3 소설집
2022 9788936434595 개정판
4 노랑무늬영원 2012 문학과지성사 9788932023533 제4 소설집
2018 9788932034836 재판

3.3. 산문집·동화·시집 외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000><rowbgcolor=#000><rowcolor=#fff><tablebgcolor=#fff,#1c1d1f> 연번 || 표제 || 출판 연도 || 출판사 || ISBN || 비고 ||
1 내 이름은 태양꽃 2002 문학동네 8982814795 동화(김세현 화백)
2 붉은 꽃 이야기 2003 열림원 8970633332 동화(우승우 화백)
3 가만가만 부르는 노래 2007 비채 9788992036276 산문집[23]
4 사랑과, 사랑을 둘러싼 것들 2003 열림원 8970633693 산문기행집
5 눈물상자 2008 문학동네 9788954605816 동화(봄로야 화백)
6 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 2013 문학과지성사 9788932024639 시집
2020 9788932038049 리커버 한정판
7 디 에센셜 : 한강 2022 문학동네 9788954686891 선집(소설, 시, 산문)

3.4. 중·단편 소설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000><rowbgcolor=#000><rowcolor=#fff><tablebgcolor=#fff,#1c1d1f> 표제 || 연도 || 발표 지면 || 비고 ||
붉은 닻 1994 서울신문 등단작
1994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당선작
진달래 능선 1994.3 샘이깊은물
질주 1994.5-6 한국문학
야간열차 1994. 여름 문예중앙
여수의 사랑 1994. 겨울 문학과사회
어둠의 사육제 1995. 여름 동서문학
철길을 흐르는 강 1996. 봄 문학동네
흰 꽃 1996. 여름
하이텔문학관
내 여자의 열매 1997. 봄 창작과비평
어느 날 그는 1998. 여름 세계의문학
아기 부처 1999. 여름 문학과사회 단편 드라마
해질녘에 개들은 어떤 기분일까 1999. 여름 창작과비평
아홉 개의 이야기 1999. 겨울 문학동네
붉은 꽃 속에서 2000. 봄 작가세계
회복하는 인간 2001. 봄 작가세계
노랑무늬영원
2003. 봄 문학동네
채식주의자
2004. 여름 창작과비평
몽고반점 2004. 가을 문학과사회
『채식주의자 연작』 제2부
나무 불꽃 2005. 겨울 문학 판
『채식주의자 연작』 제3부
파란 돌 2006.8 현대문학
왼손 2006. 가을 문학수첩
훈자 2009. 겨울 세계의문학
에우로파 2012. 봄 문예중앙
밝아지기 전에 2012. 여름 문학과사회
눈 한송이가 녹는 동안 2015. 여름 창작과비평 『눈 3부작』 제1부
작별 2017. 겨울 문학과사회 『눈 3부작』 제2부
교토, 파사드 2020. 봄 문학과사회

3.5. 기타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000><rowbgcolor=#000><rowcolor=#fff><tablebgcolor=#fff,#1c1d1f> 표제 || 연도 || 발표 지면 || 비고 ||
사랑하는 아들에게 2014
2114
미공개 작품
2114년 노르웨이 공공도서관에 의해 출간 예정 #
깃털 2024 보풀[24] 900여자의 짧은 산문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4. 수상 목록

5. 방송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rowbgcolor=#000><rowcolor=#fff><tablebgcolor=#fff,#1c1d1f><width=15%> 날짜 || 방송사 || 제목 || 비고 ||
1996년 EBS 20대 시절 작가 한강의 발자취를 따라|문학기행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99년 4월 18일 KBS 작가와 화제작 : 한강 '검은사슴' - TV 책방 98회|문학기행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4년 9월 19일 EBS 한강 작가가 들려주는 중편소설 「아기부처」|한국소설문학상 수상작품집|문학산책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5년 9월 7일 KBS 소설가 한강에게 읽고 쓰는 것의 가치란?|TV문화지대 낭독의 발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7년 3월 7일 KBS 소설가 한강의 특별한 노래 선물 '안녕이라 말했다 해도' - 낭독의 발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16년 5월 10일 KBS 한강 작가님이 직접 알려주는 『채식주의자』, 『소년이 온다』에 담긴 의미.. TV, 책을 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11월 1일 MBC 노벨문학상 기념🏅 한강 작가와 신형철 평론가의 대담 : 5.18과 소년이 온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1년 KBS 한국 최초 노벨문학상 쾌거 한강이 말하는 나의 작품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4년 10월 13일 KBS 전세계가 주목한 작가 한강은 누구? | 노벨문학상 수상 특별기획 - 한강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 논란 및 사건 사고

6.1. '6.25 전쟁은 강대국의 대리전' 발언

2017년 10월 7일 미국의 일간지 뉴욕타임스에 게재된 '미국이 전쟁을 말할 때, 한국은 몸서리친다(While the U.S. Talks of War, South Korea Shudders)'라는 제목으로 평화를 호소하는 글을 기고하였다. 기고문 원문, 최초 보도 기사, 전문 번역 1 지면 배치, 일러스트 설명 기사 청와대가 본 기고문을 페이스북, 트위터 등 공식 SNS를 통해 인용했다.[25] 기고문이 게재된 후 원문 기사의 댓글란에 외국인들의 다양한 반응이 담긴 댓글이 올라왔다.[26]

전술한 한반도 전쟁 위기 상황에서 평화를 호소하는 취지의 기고문 속의 일부 표현으로 논란이 된 적이 있었다.[27]

보수 언론을 포함한 보수 진영은 6.25 전쟁을 강대국의 대리전으로 평가하는 문구가 담긴 일부 내용이 있는 이 글을 청와대가 SNS로 소개했다는 점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하였다. 자유한국당은 우방인 미국에 앞서 남침한 북한을 먼저 비판해야 한다며 청와대가 이 기고문에 동조하는 것이냐고 반문했다.[28]

조선일보 기사에 따르면 "대화와 평화적 해법이 필요하다는 (한씨) 주장과 청와대 입장이 다르지 않아 기고문을 소개한 것", "청와대가 '6.25 전쟁이 대리전'이라는 부분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청와대 관계자가 해명하였다고 한다. 강경화 외교부장관은 국정감사에서의 질의에 "표현과 역사인식에 문제가 있다"고 답변하였다.[29] 문화일보는 한반도 위기 상황이 전쟁 없이 평화적으로 해결돼야 한다고 강조하면서도 6.25 전쟁을 강대국 간의 '대리전(proxy war)'으로 표현하고 6.25 전쟁 당시의 '노근리 학살 사건'을 언급하며 미국의 전쟁 책임을 묻는 듯한 논지를 보이고 있다고 비판했다.[30] 조영기 교수는 문화일보 컬럼을 통해 "6·25가 강대국의 '대리전'이라는 주장은 종북(從北)의 뿌리"이며 "수정주의 역사관이 북한과 결탁하며 '한국은 태어나지 말았어야 할 나라'라는 종북(從北)이 정상으로 정착돼"라고 비판했다.[31]

유승민 의원은 "한강 씨는 기고문에서 "6.25 전쟁은 강대국의 대리전"이라고 했는데, 청와대가 이 글을 페북에 올린 건 이런 황당한 역사인식이 청와대의 생각과 같다는 자백인가?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의 남침이 김일성은 원치 않은 전쟁을 구 소련이 시켜서 했다는 말인가?"라며 "김일성의 남침으로 수많은 생명이 희생된 한국전쟁에 대해 이런 왜곡된 역사인식을 보인 글을 버젓이 페북에 올린 청와대 책임자는 누구인가?"라고 비판했다.[32] 이후 본 기고문의 주제와 동떨어진 글의 일부분만을 문제 삼아 정치 논란과 역사관 논란이 벌어지는 상황에 대해 비판과 반론이 제기되었다. 문학계 인사들은 일부 표현을 문제 삼아 작가가 던지려는 메시지의 본질을 호도하려 한다고 착잡한 심경을 드러냈다. 이시영 전 한국작가회의 이사장은 "성숙한 민주국가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할 수 있는 최소한의 발언을 했다"면서 "기고문의 핵심은 전쟁이 일어나면 우리가 가장 큰 피해 당사자이며, 전쟁을 그만 두자는 내용"이라고 했다.[33][34]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 소식이 전해진 후 동아일보 송평인 논설위원신문 칼럼을 통해 한강이 2017년 뉴욕타임스 기고에서 한국전쟁을 미소의 대리전으로 언급했지만, 이는 전쟁의 복잡성을 간과하는 발언이라고 강조했다. 한반도가 미소 대립의 최전선에 있다고 해서 전쟁이 불가피한 것은 아니며, 실제로 전쟁으로 이어진 것은 북한의 행동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대리전 논의는 공산주의자들의 전쟁 도발 책임을 간과하는 무책임한 접근이라고 비판했다.[35]

6.1.1. 당사자의 해명

한강은 뉴욕타임스(NYT)에 기고한 글과 관련해 자신의 기고 배경과 정치적 논란에 대한 입장을 계간지 '문학동네 겨울호' 에 실었다. 한강은 원래 기고문 제목을 '누가 승리의 시나리오를 말하는가?'로 제안했으나 NYT 측의 요청에 따라 제목이 변경되었고, 이후 30일간의 저작권 제약이 끝난 뒤 한글 번역문과 함께 기고문을 공개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기고문을 쓰게 된 이유에 대해 "한국에 구체적인 사람들이 살고 있다는 실감을 전하고 싶었다"고 밝히며, 한국인들이 평화를 믿고 전쟁의 가능성에 맞서 연대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한강은 기고문에서 '말들의 전쟁'이 가속화되면서 전쟁을 쉽게 말하는 정치인들의 태도에 대해 깊이 고민했다고 전했다. "한국에는 어떤 위기에도 무감각하고 둔감한 익명의 대중만 존재하는 것처럼 여겨지는 국외의 분위기가 염려스러웠다"고 덧붙이며, 외부의 단순한 시각이 한국의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고 우려를 표했다. 평화를 믿는 사람들이 2017년 가을의 한반도 전쟁 위기에 맞서 연대하길 바랐으며, 한국인을 적극적으로 평화를 옹호하는 사람들로 묘사하려고 노력했다고 한다.[36][37] 기고문에서 논란을 일으킨 부분 중 하나인 "한국전쟁은 한반도에서 실행된 일종의 이념적 대리전"이라는 표현에 대해 한강은 "북한독재 권력의 부당성은 모두가 당연하게 공유하는 상식적인 전제로 깔려 있으며, 한국전쟁의 성격에 대한 거시적이고 복합적인 인식은 북한이라는 구체적 전쟁 발발자에 대한 지극히 상식적인 비판적 인식과 모순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 글이 이념적이거나 정치적인 색채를 띤다고 생각하지 않으며, "국가의 단위를 넘어 보편적 인간의 관점에서 전쟁과 학살에 대한 의미에 대해 간결한 질문을 던지고자 했다"고 말했다.

한강의 말에 따르면 북한이 6.25 전쟁의 직접적인 발발자가 아니라고 부인하려는 의도는 분명히 아니었다는 것이다.[38]

6.1.2. 민주언론시민연합의 반론

진보 성향의 민주언론시민연합(민언련)에서는 한강 작가의 당시 발언을 문제 삼은 조선일보의 입장에 대해 "현재 위기 상황에 북한의 책임은 매우 크다. 그러나 현재 한반도의 위기 상황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경한 행보와 적절치 못한 언행에도 큰 책임이 있다"며 "특히 한강 작가는 미국의 일간지에서 미국의 시민들을 향해 평화를 호소했다. 그렇기에 생경한 북한의 협박 메시지를 강조하기보다는, 미국 시민들이 뽑은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 메시지를 인용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전쟁을 주변 강대국의 대리전이라고 규정한 것은 잘못된 기술이라는 조선일보 지적에 대해서도 "한국전쟁을 당시 냉전 체계의 일부 속에서 미소 간 대리전의 양상으로 해석하는 경우는 이전부터 꾸준히 있었다. 전쟁의 원인을 한반도 외부에서 찾는 시각들은 대체로 한국전쟁을 스탈린의 영향력 아래 시작한 전쟁으로 파악한다"며 "그렇기에 한강 작가의 표현은 문제 될 것이 없다"고 덧붙였다.[39]

6.2. 박근혜 정부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피해

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에 작품뿐만 아니라 작가 본인도 포함되어 있었다. 5.18 민주화운동을 다룬 한강의 《소년이 온다》 등 현대사의 굵직한 사건에 관한 도서들이 다수 배제된 것으로 드러났고, 일부 다른 분야 심사 과정에서 해당 도서의 '사상적 편향성' 등을 문제 삼는 등 정부가 비판적 목소리를 억누르고 문화계를 통제하기 위해 '사상검증'을 해 온 흔적들이 확인되었다.[40] 한강은 "아주 많은 작가들과 예술가들이 그 명단에 이름을 올렸고, 저는 그 중 한 사람이었습니다. 물론 저에게도 불이익이 있었겠지만, 저보다는 출발선상에 서 있는 작가들이나 예술가들에게 훨씬 피해가 컸겠지요. 그런 일이 결코 반복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고 밝혔다.[41]

파일:147922593436_20161117.jpg

부커 상 수상 당시에도 박근혜 대통령은 자신의 명의로 축전을 보내지 않도록 했다. 결국 김종덕 문체부 장관 명의로 축전을 받게 되었다. [단독] '맨부커상' 한강, 박근혜 정부 '블랙리스트' 공식 확인한겨레

6.2.1. 본인 반응

한강은 5·18기념문화센터에서 광주트라우마센터 주최로 열린 '치유의 인문학' 강좌에서 당시 문화계 블랙리스트와 관련된 논란에 대해 언급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서울 연희문학창작촌 옆에 전두환의 사저가 있다. 저는 아무래도 그곳에서 잘 수 없을 것 같다"며 "그러나 저 역시 소설을 쓸 때 가끔 자기검열을 하고 싶을 때가 있었고 뒤늦게 자신에게 소스라치게 놀랐다. 저는 검열 없이 작품을 쓴 것 같은데 블랙리스트에 올랐다더라"고 쓴웃음을 지었다. 한강은 "요즘 이런저런 일들로 우리가 마음이 매우 아프지 않았냐"며 "1980년에도 비슷한 일이 있었다. 평화적 염원을 가진 사람들이 일어나 서울의 봄이 왔지만 군부가 집권했다"며 "이번이 기회가 돼 제대로 자리 잡는 기회가 된다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글을 쓴다는 것'을 주제로 5·18을 다룬 소설 '소년이 온다'를 강독한 한강은 5·18과 5·18을 다룬 자신의 소설, 그리고 자신의 정신적 체험을 독자들에게 털어놨다. 그는 "5·18이 아직도 계속되고 있어 뼈아프다"며 "저는 저의 고통의 원인을 알 수가 없었다. 쓰면서도, 쓰고 나서도 악몽을 꾸고 고통스러웠다. 읽으면서도 고통스럽다는 분들도 있었다. 그 고통의 원인은 우리가 인간을 사랑해서 그런 것"이라고 말했다.[42]

7. 여담


[1] 음력 10월 29일.[2] 초등학생이던 1979-80년 무렵 상경하여 서울특별시 도봉구 수유동(現 강북구 수유동) 일대에서 학창 시절을 보냈다. 기사.[3] 양혜공파 36세. '근'자 항렬이지만 항렬자를 쓰지 않았다. 또한 이름 자체가 본명이다. 족보.[4] 작가로서의 활동 외에도 다양한 텍스트, 사운드, 미디어 등의 매체를 활용하여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자세한 건 공식 홈페이지 참고.[5] 現 광주효동초등학교[6] 1980년 1월 서울 도봉구 우이동으로 이사하면서 다니게 된 학교이며 1회 졸업생이다.[7] 작가가 졸업한 해인 1985년 선덕중학교와 통합되었다.[8] 서울특별시 종로구 안국동에 있을 당시에 졸업했다. 2017년에 서울 강남구 자곡동으로의 이전과 함께 남녀 공학으로 전환하면서 교명을 풍문고등학교로 변경하였다.[9] 재수하여 89학번으로 입학했다. 연세 동문 페이지 참조. 아버지 한승원의 인터뷰에 따르면 고교 시절 영어를 잘해서 영어영문학과에 진학하길 권했으나 스스로 소설가의 길을 원해 국문과에 수석으로 입학했다고 한다. # 대학에서는 정현종 교수의 시창작론 시간에 시 <이월>을 선보이고 "무당기 같은 게 보인다"는 평을 들은 후 작가로서의 꿈을 다졌다고 한다. #[10] 석사 학위 논문: 이상의 회화와 문학세계(2012), 지도교수 김영민. 석사 논문 지도 교수인 김영민 명예교수는 2007년도 인문·사회분야 우수학자에 선정된 바 있으며, 본인의 대표 저서 중 하나인 한국 근대소설사를 1997년 1판에 이어 2024년 개정증보판으로 출간하였다.[11] 저서 받침없는동화, 소설을 쓸 때는 필명 한동림을 사용한다.[12]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를 졸업한 소설가만화가이다.[13] 전 남편 홍용희 문학평론가와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인터뷰에서 아들에 대해 언급했다.[14] 20대 때 푹 빠졌던 게 불교였다고 한다. 다만 지금은 종교적일 수는 있어도 특별히 종교를 가지지는 않는다고 한 인터뷰에서 밝혔다. 아버지 한승원은 여전히 불교 신자다.[15] 한국인 중 김대중 전 대통령 이후 두 번째 노벨상 수상자다.[16] 부녀가 모두 수상하는 최초의 기록을 남겼다. 후술.[17] The Elegy(애가(哀歌) 혹은 비가(悲歌)) of Whiteness. 흰 것에 대한 65개의 이야기. 2018년 맨 부커 상 인터내셔널 부문 최종 후보에 올랐다.[18] 박근혜는 맨부커상 수상자 한강에게 축전 보내자는 제안을 거부했다.허프포스트코리아[19] 여담으로 아버지 한승원도 <어둠꽃>이라는 5.18 민주화운동에 관련된 소설을 집필한 바 있다.[20] EBS, 27세 당시.[21] 『채식주의자』 번역한 '데보라 스미스' 인터뷰yes24.[22] 5.24[고발뉴스 생중계] 맨부커상 수상 한강작가 기자간담회유튜브[23] 작가가 직접 노래를 한 CD가 들어있다.[24] 한강 작가가 자신이 동인으로 활동하는 뉴스레터 형식의 무크지, 제3호.[25] 문재인 정부 청와대페이스북.[26] 소설가 한강의 기고문이 드러낸 '불편한 진실', NYT독자들은 어떻게 읽었나경향신문, '오직 평화해법' 외친 소설가 한강 NYT기고…美서 반향연합뉴스.[27] 2017년 가을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대북 선제 타격을 고려하면서 한반도 전쟁 위기가 닥쳤던 시기였다. 美 브룩스 전 사령관 "2017년 北선제공격 검토.. 전쟁 위기"국민일보.[28] 靑 "'6·25는 강대국 대리전 주장'이 소개할 만하다"는데…TV조선.[29] 강경화 "한강 NYT 기고문, 표현과 역사인식에 문제"(종합)연합뉴스.[30] "6·25는 대리戰"… 소설가 한강 美기고문 논란문화일보.[31] "6·25가 강대국의 '대리전'이라는 주장은 종북(從北)의 뿌리"...조영기 교수 작가 ‘한강’ 기고문 비판월간조선.[32] 유승민 "청와대 페북에 '한강씨 기고문' 올린 책임자 해임"한국경제TV.[33] 소설가 한강 NYT 기고문 두고 정치공세 벌이는 야당경향신문.[34] "강경화? 윤병세 다시 돌아온 줄" 한강 기고문 비판 논란노컷뉴스.[35] [송평인 칼럼]한강, 문학과 역사.[36] 소설가 한강 "전쟁 가능성에 맞서 보통사람 심정 전해"동아일보.[37] 한강, "오직 한 가지, 여기에 구체적인 사람들이 살고 있다"는 뉴욕타임스 기고 후기 밝혀경향신문.[38] “이념·정치적 글 아니다”…한강이 NYT 기고문 쓴 이유이데일리.[39] 한강 '트럼프 비판' 뉴욕타임스 기고에 조선일보 "딴죽걸기" 재조명한겨레.[40] [단독] 블랙리스트 만든 정부, 한강 소설도 '사상검증' 정황한겨레.[41] [단독]한강 "문화계 블랙리스트, 결코 반복돼서는 안 돼"②연합뉴스.[42] 소설가 한강 "'소년이 온다' 출판 후 블랙리스트 올라"연합뉴스.[43] 강수연, 진영미 주연의 영화로 더 알려져 있지만 원작은 1985년에 소설가 한승원이 집필한 장편 소설이다. 아제 아제 바라아제는 불경으로 유명한 반야심경의 마지막 구절에 쓰여있는 범어 문구로도 유명하다.[44] 그것도 여자 이름임을 감안하면 더더욱 그렇다.[45] 인터뷰 내용에 따르면 본인이 태어나기 전에 어머니가 첫째 딸이자 본인의 언니를 낳았으나 2시간만에 죽게 되었는데, 어머니는 이때 몸이 너무 쇠약해서 약을 많이 복용하였고, 임신중절까지 생각하였기에 만약 첫째 딸이 살았으면 더 이상 자식을 낳지 않았을 수도 있었지만 배 속에서 본인의 움직임을 느껴 낳기로 결정하였다고 한다. 한강 작가는 태어난 지 얼마 안 되어 죽은 언니에 대해 상실감을 느끼면서도 본인의 소중함을 깨달았다고 하며, 본인의 탄생 과정에 대하여 삶이 잠깐 머물다 가는 것일 뿐이고, 본인이 태어난 건 운이 좋았던 일이라고 답하였다. 또한 10대 때부터 지금까지 만성 질환인 편두통을 앓았기에 편두통 증상이 시작되면 글을 쓰거나 읽는 일을 모두 중단하였다고 하며, 그 과정에서 본인의 한계를 느끼며 겸손해질 수 있었기에 만약 100% 건강했다면 작가가 되기는 불가능했을 것이라는 생각을 밝혔다. 참고로 14세 때부터 작가가 되고 싶다는 마음을 가졌다고 하는데, 작가들도 자신이 원하는 해답을 찾지 못하면서도 글을 쓰는데 자신이라고 못할 것도 없다고 생각하였다고 한다.[46] 당신이 알고싶어 : 소설집 한국. 페미니즘. 일본.[47] 82년생 김지영의 저자.[48] 한국 잡지 기고분 맺음말에서 일본 문예지 편집자로부터 "일본에 대한 어떤 글이든 자유롭게 써보면 어떻겠느냐게 어떻겠느냐"는 제안을 받았다고 밝혔다. 해당 단편은 한국의 '나'가 일본에 이민을 갔던 친구 '너'에게 말하는 독백의 형태로 피상적인 관계(파사드)를 다룬다.[49] 한강이 가장 오랫동안 유년기를 보냈던 강북구 우이동과 옆동네 수유동, 도봉구 쌍문동 일대는 서울 토박이가 많은 지역이다.[50] [낭독] 한강 작가 목소리로 직접 듣는 신작 장편 『작별하지 않는다』.[51] 한강처럼 5.18 소설을 쓴 작가이기도 하다. 장편 봄날 외에도 여러 단편에서 다루었다. 1954년생인 그는 26세였던 1980년 당시 전남대학교 학생으로 광주에서 당시 그 모든 상황을 직접 겪었던 당사자이기도 하다. 사실 그가 5.18 소설들을 쓴 것도 당시 그다지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했던 자기 자신을 부끄러워했기 때문이다.[52] 한강 남편 홍용희 문학평론가 "옆에서 보기에 경이로워"서울신문.[53] MBC, 조선일보, 매일경제.[54] 해당 권호는 온라인 서점에 표시된 책 소개 목차가 알아보기 어렵게 소개되었지만# ebook을 구매해서 살펴보면 제대로 한강 작가의 자전 소설 <침묵>으로 표기되어 있고, 해당 내용도 본문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