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20:31:18

삼국지 시리즈/장수(ㄱ)


[clearfix]

1. 개요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에 등장하는 장수들 중 (ㄱ)자로 시작하는 무장들을 정리한 문서.

2. 가규

파일:삼국지3가규.png
삼국지 3
파일:Jia_Kui_%281MROTK%29.webp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Jia_Kui_%28ROTK11%29.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68.jpg
삼국지 12, 13
파일:가규(14).jpg
삼국지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삼국지 7 이후로는 전투력을 겸비한 정치가형 능력치로 나오며, 무력이 60대인 것을 제외하면 통솔은 70대 중후반, 지력과 정치력은 80대 중반을 찍는 A급 무장이다. 여담으로 삼국지 시리즈의 사실무장 중 가나다순으로 정렬했을 때 가장 맨 처음에 있는 인물이다. 가나다순 정렬을 지원하지 않는 시리즈나 편집기에서는 아회남이 맨 위에 있다.

삼국지 8에서는 전 능력치가 70 이상이면서 성장형이 만능이라 전능이 필요없는 몇 안 되는 장수 중 하나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69/지력 82/정치력 83. 병법으로는 분전, 돌파, 제사, 조영, 파괴, 덫을 가지고 있다.

준수한 능력치이긴 한데 덫 빼고는 뭔가 강력한 병법만 피해간 병법 보유가 아쉽다. 야전은 그나마 덫으로 커버할 수 있지만 공성전에는 쓸만한 병법이 거의 없다. 그래도 좋은 장수.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5/무력 62/지력 80/정치력 86/매력 78. 전체적으로 특기가 12개이며,(농업, 기술, 보수, 치안, 일제, 진정, 은밀, 저지, 지리, 항변, 반론, 명사) 능력치 총합은 381로 전체 32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8/무력 61/지력 84/정치력 85/매력 75다. 능력치 총합은 383으로 전작보다 약간 상승했고 여전히 전체 32위에 해당한다. 병과 적성은 창병과 노병과 병기가 A, 극병과 기병과 수군이 B이다. 특기는 축성이다.

삼국지 12의 일러스트는 주방의 항복이 거짓 항복임을 간파하면서 조휴에게 주방의 말을 믿지 말라고 역설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능력치는 통솔력 78/무력 61/지력 84/정치력 85이고 병과는 창병이며 병격봉인(오리지널에서는 맹사봉인)으로 안 그래도 지력이 84이라서 전군병격도 캔슬하게 만드는 무서운 창병이다. 아들인 가충 역시 비슷한 전법인 전법봉인이 전법이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상업 5, 문화 4, 교섭 5. 전수특기는 상업이며 전법은 도발. 음성은 보통 PK로 한다면 상업을 빼고 농업을 대신 추가해주자.

삼국지 14에서는 100만인의 삼국지 일러스트로 변경되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76, 무력 61, 지력 84, 정치력 85, 매력 76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침착, 신중, 축성, 농정, 개수, PK에서는 개수 개성이 삭제되고 간파 개성이 추가되었으며 주의는 왕도, 정책은 성벽확장 Lv 4, 진형은 어린, 안행, 학익, 투석, 전법은 연노, 견제, 업화, 투석, 구축, 친애무장은 사마랑, 손자, 왕릉, 조조, 혐오무장은 조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통솔이 76으로 너프먹어도 여전히 쓸만한 능력치이며 축성까지 가지고 있어서 여러므로 만능형 장수다.

3. 가남풍

파일:external/bbsimg.ali213.net/184026vznz58mnzg9ze8z8.jpg
100만인의 삼국지

본편에는 등장하지 않았지만 100만인의 삼국지에 나왔는데 능력치는 기대 말자...

4. 가범

파일:external/kongming.net/319-Jia-Fan.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134.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존재감도 워낙 없는지라 능력치에 맞지 않게 무관A 일러스트로 나오는 등 취급은 공기에 가깝지만, 단지 반란을 일으키지 말라고 조언했다는 이유만으로 지력이 70이 넘는다.

삼국지 5, 삼국지 6에서는 공손연의 독립 이벤트로 인해 윤직과 함께 공손연을 말리다가 죽는 역할로 나온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4/무력 59/지력 71/정치력 63. 병법으로는 기사와 주사, 정란을 가지고 있다.

71이란 지력이 모략이나 책략계 병법이 없어서 아쉽지만 주사의 존재는 비연과 더불어 동연의 희망이다. 공손연과 그의 수하들이 나오기 전까지 동연의 난이도는 지옥이나 다를 바 없지만 225년 이후의 공손씨 세력은 플레이어가 잡을 경우 삽시간에 북방을 평정할 수 있을 정도로 난이도가 쾌적해졌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9/무력 60/지력 73/정치력 64/매력 61에 특기는 치안, 진정, 반목, 혼란, 간첩. 총 5개.

군사 특기를 윤직이 가져간 탓에 군사 특기도 없다. 그래도 공손연은 워낙 인재가 없어서 이런 인물이라도 전투에 데리고 나가야 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0/무력 62/지력 73/정치력 62/매력 62이고 특기는 없다. 병과 적성은 창병, 극병, 기병, 수군이 C고 노병과 병기가 B다.

삼국지 12에서는 PK에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놀란 모습으로 왼손을 펼치면서 폭주하는 공손연을 말리려 하고 있다.

그리고 공손연 진영 중 유일하게 군사 특기를 가지고 있는데 양조나 비연처럼 공손연 세력에 무장이 하도 없어서 복귀된 인물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매력만 빠진 상태에서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순찰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순찰이며 전법은 속공지휘.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0, 무력 62, 지력 74, 정치 63, 매력 62로 전작과 달리 지력과 정치력이 각각 1 상승했다. 개성은 진흥, 주의는 왕도, 정책은 호적정비 Lv 3, 진형은 안행, 전법은 치료, 진정,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5. 가비능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96.jpg
삼국지 12, 13, 14
파일:94e43803d7e59bcde5a71503247e664a.webp
삼국지 패도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삼국지 9편과 삼국지 11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84/지력 38/정치력 22/매력 35. 보유 진형은 장사, 봉시. 특기는 혼란, 무쌍, 화계, 고무, 복병, 분기.

삼국정립(219년) 시나리오에서 출현하며, 철리길의 부하로 나온다. 철리길군 에이스로 돌격이 가능한 봉시에 무쌍을 갖추고 있어서 나름대로 전쟁에서 쓸만하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7/무력 69/지력 52/정치력 59/매력 68로, 통솔력을 제외하면 평범하며 특기 6개(기술, 돌격, 기습, 회복, 기염, 반격) 중 돌격, 기습을 제외하면 3개가 일기토 특기고 지력이 50대인데 기술 특기를 받는 등 대접이 좋은 편은 아니다.

하지만 사기 병과인 돌기병을 사병으로 들고 재야로 나오기 때문에 일단 등용할 가치는 충분하다.

삼국지 12 PK에서의 일러스트는 말을 탄 채 검을 앞으로 치켜들면서 호통치고 있으며 능력치는 B급 장수 수준이지만 병과가 오환이라 매우 쓸만하다. 전법은 전의고양.

중후반부에 오환족의 군주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물론 가비능은 오환족이 아닌 선비족이고, 가비능이 군주가 되었을 때에는 오환족 장수는 모두 사망한 상태다. 부하로 보도근이 있는데 서로 혐오무장으로 설정되어 있다. 구력거가 오환군주로 되어 있어 포획의 책을 발동시킨 상황에서 본진에 못 들어가게 막기만 하면 포로로 만들 수 있다. 답돈이나 올돌골 보다는 통솔력이 낮지만 정치력 만큼은 이민족 중에서 2위다. 이민족이면서 정치력이 높은 무장이 좀처럼 없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훈련 2, 신속 4, 전수특기는 신속이며 전법은 공격명령. 음성은 무례.

보통은 다른 이민족 무장처럼 재야로 등장하는 게 대부분이지만 사이육국 시나리오에서는 기주와 유주를 지배하는 군주로 원소 세력을 휘하에 둔 강국이 되었다. 원래 그 시나리오가 이민족들이 깽판피우는 가상 시나리오여서 그렇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7, 무력 72, 지력 51, 정치 57, 매력 66으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3 상승한 대신 지력이 1, 정치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선비, 동원, PK에서는 향도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패도, 정책은 추행강화 Lv 3, 진형은 봉시, 장사, 추행, 전법은 화시, 교란, 친애무장은 선우보, 염유, 혐오무장은 없다. 그런데 전작과 달리 어투가 이민족 답지 않게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삼국지 패도에서 SSR 등급의 무장으로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82/72/56/59/74다.

6. 가신

파일:가신.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팔짱을 끼면서 매서운 눈빛을 보내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68, 무력 69, 지력 51, 정치 45, 매력 42다. 개성은 위무, 주의는 할거, 정책은 봉시강화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분전, 저지,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생년은 171년, 몰년은 220년까지 되어있다.

7. 가오

파일:attachment/sam6_gao.jpg
삼국지 6 일러스트

삼국지 6에서만 등장하는데 200년 출생으로 설정되어 219년의 한중왕 유비 때부터 강족 소속으로 등장한다.

8. 가충

파일:Jia_Chong_2_(1MROTK).webp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Jia_Chong_%28ROTK11%29.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129.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전형적인 참모형 장수. 위에 서술되었듯 실은 책사라고 부르기에는 거리가 매우 먼 사람이었지만 사마씨 핵심참모였던 부하우송 중 부하는 지력만 높은 내정형 문관으로, 우송은 아예 한 번도 못 나왔는데 가충 본인은 코에이의 버프로 후기 시나리오에선 독보적인 책사로 등장한다.

사마소사마염 밑에서 온갖 못할 짓을 진두지휘한 연의 내용을 반영했는지 전통적으로 매력만큼은 F4와 동급. 다만 최후반 장수로서는 최상급을 자랑하는 지력 및 정치력 덕분에 그런 단점은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 오히려 여포와도 같은 최하의 의리와 최고의 야망을 지닌 덕분에 충성도 관리가 귀찮다는 게 문제. 탐색이나 인재 등용은 절대 시키지 말고 내정이나 계략용으로 끊임없이 굴려주는 게 좋다.

이와 별개로 삼국지 팬들 사이에선 가충의 능력치 중 지력이 쓸데없이 높은거 아니냐면서 의견이 분분하다. 특히 백하팔인 중 한 명인 손호가 사마염에게 항복한 이후 가충을 말로 역관광시킨 일화나, 유순에게 조모 관련한 일로 털린 사건 등을 예시로 들며, 가충의 지력을 30대로 낮추든가 손호의 지력을 80 이상으로 상향시켜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8/무력 37/지력 87/정치력 81. 병법으로는 혼란, 덫, 매도를 가지고 있다. 지력이 높지만 의리 0 야망 12인지라, 이간질의 주요 타겟이 된다. 등용했다면 꼭 충성도 관리를 해야 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3/무력 32/지력 88/정치력 88/매력 8에 특기는 상업, 위압, 반박, 도발, 군사, 명사, 간첩. 총 7개다.

군사, 명사 특기를 둘 다 보유하고 있지만 제일 큰 단점은 정적인 장화조차도 계략 특기 1개(혼란) 정도 가지고 있는데 가충 본인은 계략 특기가 하나도 없는 게 흠.

삼국지 11에서 능력치는 통솔력 54/무력 31/지력 89/정치력 85/매력 10으로 통솔력이 전작보다 21이나 올랐으며 매력도 두 자리를 찍었다.

더구나 사기 특기인 백출을 갖고 있어 크게 강화된 장수 중 하나.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자연스럽게 사마의 진영의 에이스로 등극한다. 병과 적성은 극병만 B이고 나머지는 전부 C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갑옷을 입고 죽간를 든 채 뒤돌아 있으며 능력치는 전작에서 매력만 삭제되고 큰 변동점은 없다.

병과는 궁병이며 전법은 오리지널에서는 지력저하, PK에서는 전법봉인이다. 특기는 상재 하나 뿐.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언변 5 단 하나. 중신특성은 적중작적으로 전수특기는 당연히 언변이고 전법은 위병이다. 음성은 책사.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4, 무력 31, 지력 89, 정치 85, 매력 9로 개성은 봉살, 능리, 인맥, 지낭, PK에서는 감수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명리, 정책은 묵수연구 Lv 4, 진형은 방원, 투석, 전법은 저지, 도발, 매성, 친애무장은 배수, 사마소, 사마염, 순욱,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거만남으로 설정되었다.

9. 가화

파일:external/kongming.net/311-Jia-Hua.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66.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삼국지 3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8 PK에서 다시 복귀했는데 당연히 무력 빼고 잉여.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지 58/수지 38/무력 62/지력 60/정치 59/매력 52로 문무 어느쪽으로도 애매하다.

약소 세력이라도 육지와 무력의 합이 120 수준인 무관은 전력에 큰 도움이 안 되니 문관으로 내정에 굴리는게 더 효율적이다. 정치 59면 평범하다고는 못 해도 못 써먹을 정도는 아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3, 무력 67, 지력 43, 정치 34. 병법으로는 제사, 몽충 뿐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0/무력 66/지력 40/정치력 29/매력 53에 특기는 보수, 혼란. 총 2개 뿐.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9/무력 65/지력 41/정치력 29/매력 52에 특기는 없다. 병과 적성은 창병 B/극병 A에 노병, 기병, 병기, 수군이 C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검을 빼들고 유비를 해치려 하는 모습이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매력만 빠진 상태에서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이며 전법이 창방강화였지만 PK에서 도발로 변경되었다. 음성은 청년.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0, 무력 65, 지력 40, 정치 29, 매력 52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상승한 대신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호위, 주의는 왕도, 정책은 어린강화 Lv 2, 진형은 어린, 전법은 철벽, 교란, 친애무장은 송겸,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10. 가후

가후(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11. 간옹

파일:삼국지3간옹.png
삼국지 3
파일:Jian_Yong_2_(1MROTK).png 파일:external/kongming.net/280-Jian-Yong.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182.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무력, 지력으로 퉁친 스테이터스 때문에 다른건 몰라도 말은 잘 한다는 특성을 잘 살리지 못해 그냥 B급 문관으로만 나온다. 사실상 내정 및 인재 탐색, 외교 전용 장수다.[1] 전통적으로 간옹을 포함한 일명 간손미가 저평가를 당해온 것이 어제랑 오늘 일도 아니지만 다른 인물들이 재평가를 받아 능력치나 특기 등에서 상향을 받은 것과 달리 간손미는 능력치 면에서는 전체적으로 낮다. 삼국지 11부터 추가된 특기의 존재로 대접이 약간은 나아진 편이다. 그 특기가 삼국지 11 희대의 사기 특기인 논객이라는 것이 문제지만

일러스트가 삼국지 10을 기점으로 대폭 바뀌었다. 옆집에 사는 훈남 유부남이라는 느낌이다. 그런데 갈수록 방통의 초상화와 비슷해지고 있다. 둘 다 상투차림에 덥수룩한 수염을 가진 문관 캐릭터 이미지가 그대로 가는 중. 물론 능력치는 넘사벽이지만. 유비의 금주법을 재치있게 반박할 때를 고증하여 술에 대한 특기나 취향이 빠짐없이 나온다.

삼국지 1에서는 무력 22/지력 75/카리스마 29/운 35로 나온다.

삼국지 2에선 무력 46/지력 72/매력 76. 전형적인 B급 문관이다.

하지만 모든 공간에 장수를 채워야 하는 이번작의 특성상 후방에서 내정 시키기에 아주 좋은 인재다. 또한 제갈량 등장 전의 유비군에 쓸만한 내정 요원 중 하나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지 36/수지 11/무력 42/지력 68/정치 73/매력 79로 무관으로는 잉여고 문관으로는 정치와 매력이 매우 준수해 내정, 첩보, 주민선정, 인재 등용 등 활용도가 많다.

그런데 평원 시절에는 등장하지도 않다가 뒤늦게 유비의 문관으로 소속되어 있으며 제갈량이 죽은 시나리오까지 살아남아 촉을 지킨다. 전체적으로는 매우 유능한 문관이긴 한데 간손미 중에서는 가장 능력치가 떨어진다. 손건이 정치 77/매력 90으로 가장 유능하고, 미축이 정치 78/매력 78이다.

삼국지 5에서는 삼형제가 흩어졌다 다시 재회하는 이벤트 때 간옹 본인이 연의처럼 유비를 감시한다며 같이 동행하는데 이벤트 완료 후에는 간옹이 유비군에 합류하지 않는 일이 생긴다.

삼국지 8에서는 아무런 특징이 없는 장수이지만 이상하게도 전 등장하는 시나리오에서는 천문 특기를 갖고 있다.

삼국지 9에서는 통솔력 22/무력 31/지력 65/정치력 72의 능력치. 병법으로는 매도와 고무 뿐이다.

책략계 병법이 좀 있긴 하지만 모략계 병법보다 아무래도 효율이 떨어져서 주로 내정을 하게 된다. 지력도 너무 낮고. 정 간옹을 전장에서 쓰는 특이한 플레이를 하고 싶다면 책략계 병법을 쓸 때 돌아다니면서 요술이나 치료를 배우는 쪽을 생각해 보자. 분명히 온갖 위험과 고난을 겪으면서도 유비 곁을 떠나지 않았던 충신인데 능력치 측정을 어떻게 한 건지 의리가 딱 8(최대 15)밖에 안 된다. 어중간한 지력에 의리 수치도 이렇게 덕분에 낳아서 조조가 바로 옆에 있어 견제가 심한 시나리오(적벽대전/관도대전)에서는 이간지랄의 첫 번째 먹이가 되어 끊임없이 금을 처먹여야 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2/무력 33/지력 66/정치력 71/매력 74로 어정쩡한 문관. 특기가 6개지만(상업, 고무, 반목, 반박, 간첩, 주호) 능력치가 좋은 편이 아니라 그나마 상업 셔틀로만 쓸 만하다.

직접 플레이 시는 무력도 낮고 명사 특기도 없기 때문에 도적을 만난다면 난감하다. 간첩 특기를 가지고 있으니 도망치기를 선택할 수 있지만 문제는 성공율이 마냥 높은 게 아니라 잡히기라도 하면 전 재산을 털리기 때문에[2] 추천할 게 못 된다. 여담으로 황건적의 난 시나리오에서 간옹으로 시작할 시 유비, 관우, 장비를 제외하고 도원결의 이벤트를 볼 수 있는 유일한 장수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0/무력 32/지력 74/정치력 71/매력 74. 병과 적성은 병기가 B이고 나머지는 전부 C. 특기 논객과 성격 대담의 조합으로 꽤나 쓸만한 캐릭터로 탈바꿈했다.

그러나 PK에서 논객이 너프 당하면서 효용도가 줄어었다. 제갈량도 커맨드 빨 좀 받으면 격파 할 수 있지만, 사실 커맨드 빨 받으면 지력 10~20 차이는 누구나 충분히 커버 가능하고 성격이 대담이면 분개시 무적모드가 되긴 하지만 상대가 화술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순전히 대미지 줄 수 있는 턴이 쓸모가 없게 된다. 그러나 실상은 여러모로 역대 최강의 간옹이라고 할 수 있다. PK들어서 특급으로 하면 확률이 20%로 떨어져서 너프를 받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사실 버프를 받은 측면도 있는데 그건 바로 능력 개발이 가능해졌다는 점. 간옹이 마침 지력이 71~74라 지력 중 2개 + 지력 고 3개를 몰아주면 지력이 95까지 오르는데 지력 95에 책을 가지고 모든 화술을 사용하는 간옹을 이길 수 있는 외교관은 아무도 없다. 이론상 소심 논객이 최강이긴 하지만 기본 특기 보유자 중에 소심 논객은 없고 논객을 개발하려면 통솔과 정치 테크를 모두 끝까지 찍어야해서 이쯤이면 외교가 필요 없을 정도로 세력이 커졌을테니 논객을 가르치는 의미가 없다. 특히 207년 이전 시나리오의 유비는 지력 70대 중반인 손건과 관우가 군사를 맡고 있을 정도로 모사진이 처참한 시기라 어차피 지력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고 간옹의 지력을 올려놓으면 간옹이 유비군 군사를 맡고 있는 역대 삼국지 시리즈에서 보지 못한 전무후무한 광경을 볼 수 있다. 거기에 논객 자체가 설전 발생을 쉽게 하는 특기인데 설전에서 이기면 지력 경험치를 10~30이나 퍼주기 때문에 지력을 95까지 끌어올린 간옹을 지력 100으로 육성하는 건 일도 아니다.[3] 다만 80 전후의 저 지력에서는 대담이 더 낫지만 작정하고 지력을 90 이상으로 만들 거라면 상대의 화술을 봉인하고 매턴 재고가 가능한 냉정 성격이 더 효용이 높기에 결국 이마저도 손건한테 밀린다. 사실 논객 외교관이 굳이 두명씩이나 필요하진 않아서 손건을 지력 95까지 올려서 주력 외교관으로 쓰고 간옹은 지력 80까지만 올리거나 기본 지력만으로 고 지력 장수가 없는 세력을 쥐락펴락하는 용도로 쓰는 게 낫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무릎에 댄 채 왼손으로 머리를 대면서 웃고 있다. 묘하게 살쪘다 파괴력약화라는 전법이 생겼는데 덕분에 수성의 달인. 지력(75)도 나쁘지 않다.

삼국지 13에서 능력치는 통솔력 20/무력 32/지력 75/정치력 71. 중신특성은 화기생재. 병과 적성은 창병 C/기병 C/궁병 C. 특기는 상업 (2), 농업 (3), 교섭 (7) 전수특기는 교섭으로 전법은 창병수비진이다. 음성은 정중.

나름대로 괜찮은 B급 문관이지만 미축과 손건이 정치력이 80대로 훨씬 높고, 지력마저 그 둘이 근소하게 더 높아 푸대접 받는 느낌이다. 특히 손건은 외교관 적성마저도 간옹의 완벽한 상위호환. 정사에서의 말빨을 보았을 때 간옹 본인에게 언변 특기가 없는 것은 다소 아쉬운 부분이다. 애주도가 높아 친해지기가 편하다.

삼국지 14에서 능력치는 통솔력 22/무력 33/지력 70/정치력 71/매력 74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 무력이 1 약간 올라갔지만 지력은 5 떨궜다. 개성은 논객, PK에서는 특사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명리, 정책은 종횡술 Lv 3, 진형은 안행, 충차, 전법은 매성, 충차, 친애무장은 미축 손건, 유비, 전예, 진밀,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12. 감녕

감녕(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13. 감씨

파일:Ganshi_3_(1MROTK).png 파일:Ganshi_4_(1MROTK).png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63.jpg
삼국지 12, 13, 14

일부일처제 요소 때문에 미씨에 밀려서 등장하지 않다가 삼국지 12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감씨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웬만한 여성 무장 대부분은 지력, 정치가 60~70대는 무난하게 찍는반면 감씨는 유독 능력치가 낮은데 아무래도 유선이 암군인 이유를 이렇게 설명하려는 듯. 하지만 오히려 정사에서 다른 여성에 비하면 훨씬 기록이 많은 걸 넘어서 열전이 존재하며, 열전을 보면 감씨가 아둔했다거나 같은 모습은 전혀 보인 적이 없이 오히려 유비의 내조를 묵묵히 해주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것으로 보면 아들놈 때문에 부당대우를 과하게 받는다고 할 수 있다. 거기에 데뷔작인 삼국지 12의 일러스트까지 미씨에 비해 미모가 딸려 보인다. 불쌍해 보이는 얼굴로 두 손을 맞잡고 있는데, 관우가 천리행 이후 장비하고 재회하나, 장비가 관우를 배신자라며 오해하여 죽이려 할 때 말리는 상황으로 보인다.

삼국지 12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7/무력 3/지력 48/정치력 60. 전법은 문무저하인데, 저 능력치로 전장에 나갈 일은 없을 테니 그냥 좀 모자란 내정용 문관에 불과하다. 유비의 아내로 설정되어 유비 휘하일 경우 봉록이 들지 않는 것이 그나마 다행.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고 특기는 농업 1, 인덕 1 (유비 인연 효과)이고 전수특기는 농업으로 남편의 영향을 받아 주어진 특기로 보인다. 중신특성은 없으며 전법은 전진강화. 병과 적성은 창병과 기병은 C, 궁병은 B. 음성은 보통녀.

미씨보다 능력치가 낮지만 재미있는 것은 195년 시나리오부터 유비와 묶이는데 등장은 189(1시나리오), 190(2시나리오)년이기 때문에 195년 되기 이전이라면 다른 장수로 결혼할 수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27, 무력 5, 지력 58, 정치 60, 매력 72다. 통솔이 20 깎이고, 무력은 2 증가, 지력은 10 증가에 매력 72가 더해졌다. 개성은 응원, 주의는 예교, 정책은 지역진흥 Lv 3, 진형은 학익, 전법은 고무, 친애무장은 유비,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녀다.

능력치 자체는 평범한 내정 요원이지만 응원이라는 귀한 전투 버퍼를 가지고 있어서[4] 주력 무장들 뒤에서 기본 병력만 주고 버퍼로 활동하면 좋은 것으로 역대 시리즈 중 최강의 감씨가 되었다.

14. 감택

파일:삼국지3감택.png
삼국지 3
파일:Kan_Ze_2_(1MROTK).png 파일:闞澤(ROTK11).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163.jpg
삼국지 12, 13
파일:감택(14).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전형적인 책사+내정 요원으로, 통솔력, 무력은 바닥이고 지력, 정치력은 80대다. 몇몇 시리즈에서는 자신이 지은 《건상역주》를 가지고 등장한다. 말빨로 조조를 농락한 연의 내용을 구현하여 후기작들에서는 설전에 관련된 특기를 가지고 나오기도 한다.

적벽대전 때의 낚시꾼 코스프레를 하고 조조 진영을 찾아가는 장면 때문에 삼국지 4편과 삼국지 12편에서 삿갓을 쓴 일러스트로 나온다.

삼국지 3에서는 기본적으로 손견의 부하이며 신분은 군사다. 사실 손견 세력은 땅만 1개이지 부하 장수는 10명 가까이 되어 제법 많은 편이므로 군사도 정보를 포함해 2명이나 있다. 메인 군사가 정보, 부군사가 감택 본인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4/무력 50/지력 86/정치력 86으로 B급 문관이다. 병법으로는 투함, 혼란, 매도, 고무를 가지고 있으며 내정과 전투 양면에서 활약할 수 있는 장수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4/무력 48/지력 83/정치력 88/매력 73에 특기는 상업, 유인, 혼란, 천문, 항변, 반박, 논파, 도발, 명사, 간첩. 총 10개다.

논파, 도발 등을 보유하여 설전에서 좋다. 감택 본인의 저서 건상역주를 들고 나오는데 건상역주는 이번작에선 지력을 1 올려준다. 전쟁사 모드 적벽대전 편에서 역사대로 조조를 설득하러 가는데 이 때 플레이어가 조조일 때 설전으로 감택을 이기면 오히려 연합군을 역관광보낼 수 있다. 그런데 능력치, 특기 차이가 나다보니 조조로 감택 바르기가 상당히 쉽다. 물론 반론이 없으면 감택이 도발로 조조을 발라버리는 경우도 있다.

삼국지 11에서는 '논객'이라는 특기가 있는데, 자세한 것은 논객 참고.

성격이 대담이라서 안 그래도 지력도 논객 특기 보유자 중 제일 높고 화술도 다 가지고 있고 해서 설전 최강이다. PK에서는 논객 특기가 크게 약화되었지만 감택의 능력치가 좋기 때문에 나름대로 쓸 만하다. 여담으로 일러스트가 콧수염과 턱수염을 동시에 기르고 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를 보면 범용한 얼굴에다 어부로 변장해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43/무력 49/지력 83/정치력 86으로 여전히 좋다.

전법은 지력상승으로 좀 잉여지만, 감택 본인의 진정한 힘은 특기에 있다. 상재, 경작, 명사, 수집, 인맥, 변설, 군사 라는 내정 관련 특기는 전부 다 갖고 있는 인물이다. 능력치가 90 이상인 장수도 이렇게 특기가 다 있는 사람은 매우 드물다. 시장, 농원, 구인소, 외교관 그 어디에서도 제몫 이상을 해주며 보유 지책도 점량, 망기, 위보, 원망으로 참군으로나 비책발동에도 정말 좋은 장수로 전투 빼고는 다 해 먹는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농업 7, 문화 3, 설파 7, 교섭 6, 언변 7, 수영 3. 중신특성은 원정보좌이고 전수특기는 농업으로 전법은 위보교란. 음성은 보통.

전작과는 달리 상업 특기가 없어서 아쉬운데 PK로 한다면 상업 특기를 추가해주고 전수특기는 언변으로 바꿔주자. 적벽대전 무렵 조조와 설전을 벌인 일을 생각하면 언변이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삼국지 14에서는 일러스트가 다시 11때와 비슷한 모습으로 변경되었고 능력치는 통솔 43, 무력 49, 지력 83, 정치 86, 매력 73이다. 개성은 안목, 논객, 학자, 소욕, PK에서는 특사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예교, 정책은 종횡술 Lv 4, 진형은 안행, 정란, 투석, 전법은 업화, 도발, 치료, 정란, 구축, 친애무장은 손화, 육손, 정고, 조달, 황개,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책사남으로 설정되었다.

15. 강단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010.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6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삼국지 7편과 삼국지 8편, 삼국지 9편, 삼국지 11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6에서에서는 184년의 황건적의 난부터 등장했다가 223년의 소열제 승하 때부터 등장하지 않고, 166년생으로 설정되어 있어 시나리오 상으로 적어도 70세가 되기 전에 죽었다는 것이 된다.

삼국지 10에서의는 능력치는 통솔력 58/무력 83/지력 9/정치력 11/매력 29의 전형적인 무력돼지. 특기 4개(돌격, 역공, 삼단, 나선) 중 일기토 특기가 3개나(역공, 삼단, 나선) 있다.

시나리오 5부터 등장하지 않으며, 168년생으로 설정되어 있어 시나리오 상으로 40년 정도 밖에 살지 못했다는 것이 된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으로 검 손잡이를 잡은 채 요격하고 있다.

저족이 강족과 합쳐졌지만, 강족은 시나리오 후반에야 나오기에 초중반에는 혼자서 저강족의 군주를 맡고 있다. 군주가 강족인 철리길로 바뀌면 부하가 된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5/83/48/3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7 오르고 지력이 3배, 정치력이 거의 2배 정도 올랐다. 특기는 훈련 1, 신속 3, 일기 1. 전수특기는 신속이고 전법은 창속강화. 음성은 난폭. 생몰년도가 168~230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무도에서 재야로 등장하기 때문에 인재가 부족한 장로군으로 플레이 한다면 등용을 해서 전투요원으로 써주자.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0, 무력 77, 지력 26, 정치 43, 매력 41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13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5, 무력이 6, 지력이 22 하락했는데 특히 지력이 2배 깎여나갔다. 개성은 강저, 저돌, PK에서는 난폭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할거, 정책은 추행강화 Lv 3, 진형은 봉시, 추행, 전법은 분전, 교란,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사망년도가 237년으로 변경되었으며 어투가 전작처럼 난폭남이다.

적색 개성 저돌 탓에 명령하기가 어렵지만 그래도 장로군 입장에서 쓸만한 무장이며 무엇보다 장사 진형 밖에 없어서 성능이 너프먹은 양임보다 에이스 무장으로 활용될 수 밖에 없다.

16. 강서

파일:강서(위).jpg
삼국지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4에서 오랜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3에서는 무력 79, 매력 70, 육지 72, 수지 71로 인지도나 활약상에 비해 능력치가 꽤 좋은 편이었다.

삼국지 14에서의 일러스트는 손을 턱에 갖다댄 채 고심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41, 무력 35, 지력 56, 정치 47, 매력 65다. 개성은 소심, 주의는 왕도, 정책은 지세연구 Lv 2, 진형은 방원, 전법은 업화, 저지, 친애무장은 양부, 위강, 조앙, 혐오무장은 마초다. 어투는 보통남. 여담으로 여기서는 자가 백섭으로 나왔다.

17. 강유

강유(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18. 거비

파일:attachment/sam6_geobi.jpg
삼국지 6 일러스트

삼국지 6에서만 등장한다.

19. 건석

파일:external/san.nobuwiki.org/772.jpg
삼국지 10, 11

삼국지 10에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무장으로 직접 나오지는 않으나, 비중 자체는 있는 인물인지라 역사 이벤트에서 장양과 더불어 종종 나타나지만 바로 썰린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16/7/78/62/18. 나름 군대를 이끌기도 한 인물인데 통솔력과 무력이 바닥이고 병과 적성도 올 C에 성격도 소심이다. 물론 이벤트용 무장이라 인게임에서 이 능력치를 직접 볼 수 있지는 않으니 큰 의미는 없다. 군사 능력이 저리 젬병 수준인 건 환관 출신이라서 그런 것이다. 다른 환관들인 장양, 잠혼, 황호 등을 보더라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20. 견씨

파일:Zhenshi_4_29.webp 파일:external/kongming.net/580-Madame-Zhen.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71.jpg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99.jpg
삼국지 12, 13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7 콘솔판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견씨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일본어판에서 甄의 읽기가 견에 해당하는 ケン이 아닌 진에 해당하는 シン이므로 원래라면 오역이겠지만 한국에서는 흔히 견씨로 통용되므로 이에 맞춘 표기라 볼 수 있다[5] 전체적인 이미지는 진삼국무쌍 시리즈와 매우 닮았다. 왼쪽 눈 아래 눈물점까지도. 보통 삼국지 시리즈에 나온 인물이 진삼국무쌍 시리즈에도 등장하게 되는 경우와 달리 이쪽은 진삼국무쌍 2에서 견희라는 이름으로 먼저 나온 후 삼국지 9에서도 공식적으로 추가된 반대 경우다. 진삼국무쌍에서 역수입된 캐릭터라 그런지 전체적인 이미지는 진삼국무쌍 시리즈와 비슷하다. 특히 삼국지 11탄의 일러스트는 진삼국무쌍의 견희와 옷색깔만 빼고서는 매우 닮았다.

100만인의 삼국지에서도 다른 시리즈와 비슷한 모습으로 나오지만 삼국지 12, 삼국지 13 속 견씨의 헤어 스타일보다는 진삼국무쌍 속 견희의 헤어 스타일과 더 비슷하다.

삼국지 9에서는 콘솔판 챌린지 모드 통상 시나리오인 후계자 싸움을 클리어하면 신무장으로 등장하는데 능력치는 통솔력 35/무력 26/지력 76/정치력 75로 평범한 문관형이지만 병법으로는 혼란, 배반, 그리고 환술[6] 등의 고급 병법을 소유하고 있다.

삼국지 10에서 202년 이후 조비를 총대장으로 업성을 함락시키면 견씨와 결혼 이벤트가 발생한다.

삼국지 11에서도 조비와 견씨의 결혼 이벤트가 존재한다. 능력치는 통솔력 15/무력 4/지력 71/정치력 66/매력 94. 여무장 중에서는 초선과 함께 매력 수치가 가장 높고 특기가 경국이라는 여성이 없는 부대에 한해 계략 성공률이 두 배가 되는 엄청난 특기를 들고 나왔기 때문에 사마의 등과 조합하면 위군의 미니 제갈량이 탄생한다.

게다가 코에이는 등장하는 여성 무장들의 지력/매력 등의 능력치를 대체적으로 높게 평가해주기 때문에 개별 부대로도 쓸 만하다. 본래 지력이 낮은 부대가 지력이 높은 부대에 계략을 걸면 성공률이 20퍼센트 대로 떨어지지만, 이 특기를 가진 견씨와 초선은 그런거 없다. 시나리오에 첫 등장하는 것은 원소군의 휘하 무장으로서인데, 무특기인 전풍, 철벽을 가진 심배 등보다 견씨가 더 쓸 만하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부채를 든 채 의자에 앉아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35/무력 4/지력 72/정치력 66. 전법은 문무저하.

매력 삭제에 대한 보정은 사실상 없는 수준이기 때문에 초선과 함께 매력 삭제의 최대 피해자다. 통솔력이 20이나 올랐고, 지력도 1이 올랐지만 백하팔인급의 저질 무력은 그대로고, 통솔력이 대폭 증가했다지만 그래봤자 35로는 전장에서 제대로 써먹기도 힘들다. 문무저하라는 전법 덕분에 다른 무장들의 통솔력, 무력, 지력을 일시적으로 낮출 수 있지만, 대전판 이외에서는 낮은 전투 능력치로 인해 전장에 나갈 일은 없을 것이다. 원소군에서는 곽도가 문무저하를 가지고 있으니 곽도가 자주 참전할 것이다. 대전판에서는 SR 카드로 병력 11000에 1 코스트다. 1 코스트 중에서 최고 통솔력인 39를 찍는 데다가 병력도 1000 더 많아서 필수 카드 중의 하나로 취급 받는다. 친애무장은 유일하게 한 사람만 등록되어 있는데 그게 실제 남편인 조비도 아니고 시동생 조식이다. 참고로 조식의 전법도 문무저하다.[7] 여기서도 결혼 이벤트가 있는데 먼저 관도대전 이벤트와 창정 전투 이벤트 후 원소가 사망하고 원상원담 분열 이벤트가 뜨길 기다린다. 그 다음 견씨가 있는 성을 쳐서 견씨를 포로로 잡고 군주를 견씨가 포로로 있는 성으로 이동시키면 이벤트가 뜬다. 사실 이건 꼭 위의 과정을 거칠 필요도 없고 조조와 조비만 해당 이벤트가 뜨는 것도 아니다. 원소가 하북을 평정한 이후 다른 세력으로 원소를 쳐서 견씨를 사로잡으면 이 이벤트가 뜨는 경우가 있다.

삼국지 13 오리지널에서는 전작의 일러스트와 동일했지만 PK에서 변경되었으며 바뀐 일러스트는 요염한 모습으로 왼손을 가슴에 올리고 있다. 능력치는 전작과 동일하고, 중신특성은 원정보좌. 전법은 도발이며 특기는 상업 1, 문화 3,[8] 위풍 1(조비 인연 효과), 견수 1(원희 인연 효과). 전수특기는 문화이며 병과 적성은 모두 C. 음성은 요염녀.

기본적으로는 그냥 일러스트 감상용이지만 문화와 상업 특기가 있으니까 필요하면 내정요원으로 굴리자. 수명에 고증오류가 있는데, 연의와 정사에서는 조비에게 자결을 강요받아 죽은거라 비자연사로 책정해야 하만, 에디터나 편집 기능을 열어보면 자연사로 설정됐다. 조식이나 다른 장수로 견씨와 결혼하려면 원희나 조비와의 혼인관계를 정리해야 하는데, 직접 처형하면 견씨와 원수가 되므로 원희/조비가 다른 장수에게 죽기를 기다리거나[9] 에딧으로 혼인을 풀고 결혼해야 한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5, 무력 7, 지력 72, 정치 66, 매력 90으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3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20 하락했다. 일러스트는 전작 PK의 일러스트를 재활용했으며 개성은 경국, 주의는 예교, 정책은 본초학 Lv 4, 진형은 학익, 전법은 저지, 고무, 친애무장은 조식, 혐오무장은 곽여왕이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요염녀다.

21. 견초

파일:external/kongming.net/411-Qian-Zhao.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45.jpg
삼국지 12, 13, 14

정사에서만 나오는 인물이기 때문인지 쭉 등장하지 않았다가 정사 인물들이 제법 추가된 삼국지 11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삼국지 11에서 비록 잉여 특기인 친오를 가지고 있지만 능력치가 무력 빼고 전부 70대라(통솔력 72/무력 69/지력 73/정치력 75/매력 73) 다용도로 굴리기 좋다. 시나리오 초반에는 원소군 소속이라서 큰 도움이 된다. 삼국정립 시나리오부터는 조조군 소속으로 속한다.

삼국지 12에서는 짤렸으나 PK에서 추가되었는데 일러스트는 말을 타고 고삐를 쥔 상태에서 창을 든 채 소리치면서 돌격하고 있으며 무력이 79로 상향되어서 고람 뒤에 버금간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상업 1, 순찰 1. 전수특기는 상업이고 전법은 화공계. 음성은 청년.

전장에서 쓸만한 전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원소군이든 조조군이든 전투를 할 때 반드시 데리고 나가야 한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2, 무력 71, 지력 73, 정치 75, 매력 72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8 하락했다. 개성은 친오, 친선, PK에서는 향도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왕도, 정책은 방원강화 Lv 3, 진형은 방원, 장사, 추행, 전법은 급습, 저지, 혼란, 친애무장은 전예,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22. 견홍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42.jpg
삼국지 13, 14

아버지 견초삼국지 11에서부터 등장하고 그 전에 안 나온 것에 비해 견홍 본인은 연의에서도 출현하여 삼국지 4부터 등장했는데 무력과 통솔력은 70대, 지력과 정치력은 60대인 밸런스형 B-급 무장. 삼국지 6편과 삼국지 7편,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10]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4/70/67/64. 병법으로는 돌파, 제사, 정란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6/72/66/64/58에 특기는 총 6개.(치안, 돌격, 은밀, 반목, 지리, 나선) 통솔 76을 살릴 수 있는 치안 특기와 전투에서 유용한 돌격 특기가 있어 아쉬운 대로 굴릴 수 있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0/74/66/65/57에 특기는 답파. 적성은 병기 A가 있다. 이번작부터 아버지 견초가 등장한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창을 두 손으로 들면서 요격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0/74/66/65, 특기는 순찰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순찰로 전법은 궁공강화.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0, 무력 72, 지력 66, 정치 64, 매력 58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2, 정치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장구, 산전, 주의는 패도, 정책은 병기강화 Lv 3, 진형은 장사, 정란, 충차, 전법은 돌격, 매성, 정란, 충차, 친애무장은 없고 혐오무장은 진건이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23. 경기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296.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4를 제외한 삼국지 3부터 삼국지 8까지 등장하고 나서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조조를 죽이기 위해 오른손으로 주먹을 쥔 채 다짐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36/무력 21/지력 60/정치력 74. 특기는 농업 2, 교섭 1. 전수특기는 농업이고 전법은 화공계. 음성은 보통. 생년이 184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아마 반란을 일으킬 때 불을 사용한 것을 생각하면 꽤나 좋은 전법을 준 것 같은데 특이하게 문관형임에도 허사와 마찬가지로 무기 수집에 관심을 보인다. 동료 김의, 위황 등과 함께 조조에게 반란을 일으킨 것을 생각하면 병기흥미에 관심이 많이 있을 듯.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6, 무력 25, 지력 60, 정치력 69, 매력 55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4 상승한 대신 정치력이 5 하락했다. 개성은 법률, 주의는 왕도, 정책은 정령철저 Lv 2, 진형은 학익, 전법은 혼란, 매성, 친애무장은 김의, 혐오무장은 조조다. 전작과 달리 출생년도가 182년으로 변경되었으며 어투가 전작처럼 보통남이다.

사례 하남윤 사람이지만 영웅집결, 성씨패란 시나리오에서는 출신지인 낙양이 아닌 허창의 재야로 등장하는데 하필 조조가 세력으로 잡고 있는 도시다. 그래서 조조군으로 했을 때 탐색하여 발견했더라 하더라도 결코 경기를 등용하지 못한다.

24. 경무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297.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25년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10에서는 원소의 업 이벤트에서 나오는데 NPC라는 클론 무장으로 나온다. 얼굴은 NPC 문관 포트레이트로 쓴 것이며 나오는 대사는 개그 짤방"으… 음, 생각이 분하다..."로 유명한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한복에게 원소를 받아들이지 말라고 오른쪽 손가락으로 가리키면서 항의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12/무력 44/지력 53/정치력 71[11]. 특기는 상업 1, 농업 2, 설파 1. 전수특기는 농업이며 전법은 창공강화. 음성은 보통. 생년이 154년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문관치고는 통솔력이 무력보다 굉장히 낮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32, 무력 40, 지력 62, 정치 71, 매력 55로 전작에 비해 통솔력이 2배, 지력이 9 상승한 대신 무력이 4 하락했다. 개성은 동지, 주의는 왕도, 정책은 정령철저 Lv 3, 진형은 학익, 전법은 대갈, 매성, 친애무장은 관순, 한복, 혐오무장은 원소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25. 계옹

파일:external/kongming.net/351-Li-Yong.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290.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11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고작 이 정도 기록 뿐인 별볼일 없는 인물이지만 장수가 부족한 공손찬군원소군을 위하여 등장한다. 다만 원소는 물론이고, 인재가 없다시피한 공손찬의 입장에서도 전투용으로나 내정용으로나 거의 써먹지 못할 정도로 후진 능력치를 달고 나온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3/52/41/40/58. 일단 기병 적성이 A이긴 하나 의리도 낮고 수명도 짧아 쓸 기회는 없을 것이다. 상성은 공손찬에 가깝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갑옷에 피가 묻은 것으로 보아 이미 주령의 가족들을 죽인 것을 반영한 것 같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3/52/41/40. 특기는 공성 1 달랑 하나. 그런데 전수특기는 보유 특기와 무관한 훈련으로 전법은 기병돌격. 음성은 보통. 편집해서 전수특기를 공성으로 변경해주자. 생몰년도가 170~192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3, 무력 52, 지력 41, 정치 40, 매력 58이며 개성은 공명, 주의는 할거, 정책은 추행강화 Lv 2, 진형은 추행,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과 혐오무장 역시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26. 고간

파일:external/kongming.net/441-Gao-Gan.jpg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52.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연의에서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다 보니 재능이 넘치고 문무 양면에 탁월한 야망가라는 기록이 무색하게도 통솔력만 간신히 70대를 찍고 나머지는 잡장에 가까운 수준의 능력치를 가지고 있다. 대신이라긴 뭣하지만 전반적으로 야망 수치는 낮고 의리 수치는 평균 이상에 속하는 편. 능력치를 팔아 의리 수치를 산 꼴 그러나 원수 관계가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낮다고 처형했다가는 원소 일족과 원수 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12] 삼국지 4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65/지력 55/정치력 58. 병법으로는 분전, 제사, 정란, 조영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4/무력 59/지력 60/정치력 62/매력 66. 특기는 보수, 징병, 진정, 저지, 명사. 총 5개다.

명사 특기가 있는 건 좋지만 통솔이 74라도 변변한 특기가 없어서 전장에서 쓰긴 뭐하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4/무력 56/지력 48/정치력 59/매력 66으로 왠지 지력이 대폭 하향되었다.

삼국지 12에서 일러스트가 변경되었는데 전작까지만 해도 연의를 따라 강직하고 충직한 이미지로 나왔지만 이번작부터 실제를 따라서 간사하게 나왔다. 자세히 보면 왼손으로 칼집을 쥔 채 오른손에 검 손잡이 들고 있다.

능력치도 시스템상 삭제된 매력을 제외하면 전작과 동일하다. 전법은 색적이지만 지력이 낮아서 효과가 없을 정도로 큰 의미는 없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공성 2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공성이며 전법은 사기를 올려주는 수비지휘를 들고 나와서 쓸만해졌다.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4, 무력 59, 지력 53, 정치 60, 매력 66으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3, 지력이 5, 정치력이 1 상승했다. 개성은 견뢰, 동원, 주의는 할거, 정책은 공법개혁 Lv 3, 진형은 방원, 장사, 투석, 전법은 연노, 철벽, 견제, 친애무장은 곽원,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27. 고담

파일:external/san.nobuwiki.org/487.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01.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능력치는 정치 특화의 평범한 문관. 고옹아들로 나오기 때문에 잘못 알려졌지만 이는 아버지인 고소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아들로 설정한 것이다. 그래도 원수 관계가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낮다고 처형했다가는 할아버지인 고옹과 원수 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37/무력 30/지력 71/정치 82. 병법으로는 누선, 파괴, 배반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33/21/69/79/75에 특기는 농업, 반목, 명사. 총 3개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턱에 올리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3/23/77/83. 특기는 설파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설파이며 전법이 창방강화였지만 PK에서 단일도발로 변경되었다. 음성은 청년. 생몰년도가 203~244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33, 무력 23, 지력 69, 정치 77, 매력 75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배, 지력이 8, 정치력이 6 하락했다. 개성은 명경, 능리, 인맥, 주의는 예교, 정책은 태학 Lv 3, 진형은 장사, 전법은 구축, 친애무장은 손등, 장온, 장휴, 제갈각, 진표, 혐오무장은 양도다. 전작과 달리 생몰년도가 205~246년으로 변경되었고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으며 이번작부터 아버지 고소가 추가되어 정상적으로 부자 관계가 제대로 수정되었다. 그러나 무력에 비해 무력의존 전법인 구축을 살릴 수가 없다.

28. 고당륭

파일:external/san.nobuwiki.org/792.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84.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1에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이름이 고당융으로 표기되는 경우가 있다. 능력치는 정치력이 80대 중반인 B+급 문관.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32/24/76/85/70. 병기 적성 A에 특기는 없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털보 아저씨다운 수염을 덥수룩하게 기른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아래를 가리키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35/24/75/86. 특기는 문화 5, 언변 2로 이게 전부다. 전수특기는 문화로 전법은 창속약화다.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청년.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35, 무력 21, 지력 76, 정치 85, 매력 69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1 상승한 대신 무력이 3, 정치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학자, 주의는 예교, 정책은 병기강화 Lv 4, 진형은 정란, 충차, 전법 역시 정란, 충차, 친애무장은 설제, 조예, 혐오무장은 마균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그런데 연주 태산군 평양현 사람임에도 불구하고 어째선지 영웅집결과 성씨패란 시나리오에서 출신지인 복양이 아닌 진류의 재야로 등장하는데 이는 명백히 고증오류다.

29. 고람

파일:삼국지3고람.png
삼국지 3
파일:Gao_Lan_2_(1MROTK).png 파일:고람.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88.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원소군의 장수로 나와 삼국지 7부터는 80대의 무력을 마크하며 서원팔교위의 한 명이었던 순우경보다도 월등히 좋은 능력치를 지니고 있고 장합한복 수하의 장수로 생각하면 원소군 내에서 3번째로 좋은 장수다. 초기작에서는 의리가 낮고 세력 상성도 완전히 조조 쪽이라 허유나 다른 항장들과 마찬가지로 원소의 입장에선 폭탄을 안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 충성도를 최고로 관리해줘도 심심찮게 배반해버렸다. 후기작에서는 의리도가 보통 정도로 나와서 충성도 관리만 해주면 된다.

삼국지 3에선 두음법칙을 이름에도 적용한 탓에 '고남'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78/지력 65/정치력 54. 병법으로는 돌파, 주사 뿐이지만 기병계와 궁기병계 병법 숙련도가 300이라 쓸 만한 장수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5/무력 82/지력 67/정치력 55/매력 61에 특기는 훈련, 일제, 저지, 기염, 역공, 삼단. 총 6개. 에이스가 되긴 무리지만 그럭저럭 쓸 만하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6/82/66/55/62에 적성은 기병 A에 창병 B. 특기는 없다.

약소 세력이라면 에이스를 맡고도 남았겠지만 소속이 원소나 조조다보니 입지가 약간 미묘하다.

삼국지 12에서 일러스트의 표정이나 포즈를 보면 격분한 상태에서 도검을 휘둘러 원소의 사자를 죽이는 장면으로 추측된다.

능력치는 통솔력 76/무력 82/지력 68/정치력 55. 전법이 무력저하인데 안량의 대타격과는 찰떡궁합이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훈련 3, 순찰 1, 신속 2, 일기 4. 전수특기는 일기로 전법은 기병수비진이다. 음성은 무례.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6, 무력 82, 지력 68, 정치 55, 매력 62이며 개성은 앙양, 절약, PK에서는 금강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패도, 정책은 추행강화 Lv 4, 진형은 어린, 봉시, 추행, 전법은 분전, 견제, 교란, 친애무장은 장합, 혐오무장은 곽도다. 전작과 달리 어째선지 어투가 일러스트와 맞지 않게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30. 고번

파일:고번.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고개를 갸우뚱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62, 무력 56, 지력 34, 정치 28, 매력 47이다. 개성은 조타, 경솔, 주의는 명리, 정책은 수군육성 Lv 2, 진형은 추행, 전법은 강습,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간신배 스러운 콧수염을 달고 있는 일러스트임에도 불구하고 어투는 보통남.

특이하게도 원소군에서 유일하게 수군관련 특성을 가지고 있다.

31. 고상

파일:Gao_Xiang_(1MROTK).png 파일:external/kongming.net/447-Gao-Xiang.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57.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맨날 지기만 하는 것을 반영하여 능력치가 그리 좋진 않다. 통솔력과 무력이 60대 후반이고 나머지는 40~50정도인 C-급 무관. 목우유마와 연관된 일 때문에 운반 같은 특기가 있으면 거의 100% 들고 나온다. 그런데 어째선지 형주 남군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영웅집결 시나리오 때 출신지로 추정되는 강릉이 아닌 자동의 재야로 등장하는데 이는 명백히 고증오류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70/지력 51/정치력 43. 병법으로는 분전, 제사, 정란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67/지력 51/정치력 43/매력 54에 특기는 보수, 화시, 기염. 총 3개 뿐이다.

삼국지 11부터 바이킹 느낌나는 투구를 쓴 일러스트로 나오는데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8/68/52/44/55에 특기는 운반.

PK에서 운반 특기를 타 장수에 부여할 수 있게 되면서 희소성이 떨어졌지만 후방에 둘 무장으로서는 나쁘지 않은 편이다. 생몰년도는 194년~252년으로 오래 써먹을 수 있다.

삼국지 12에서는 일러스트가 환골탈태하여 그의 별명 쌀셔틀(...)답게 목우유마에 실린 쌀포대를 앞에 둔 상태에서 정황상 "됐다. 여기서 군량을 버리고 사마의를 유인한다!"라고 말하는 모습으로 보이는데, 쓸데없이 초간지 포스다.

능력치는 그저 그런데 병과가 기병에 전법이 공성강화로 백 도어에 능한 장수가 되었다.

삼국지 13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68/지력 53/정치력 44로 그저 그렇다. 특기는 순찰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순찰이고 전법은 포인트 2를 사용하여 자부대 창병의 방어력을 1단계 올려주는 창방강화였지만 PK에서 단일도발로 변경되었다. 음성은 청년.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 무력 68, 지력 51, 정치력 43, 매력 55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2, 정치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운반, 주의는 왕도, 정책은 안행강화 Lv 2, 진형은 안행, 정란, 전법은 제사, 업화, 정란,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32. 고소

파일:고소.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펼쳐 올리면서 안내하는 듯한 모습을 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14, 무력 9, 지력 64, 정치 79, 매력 70이다. 개성은 명성, 안목, 허약, PK에서는 자비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예교, 정책은 정령철저 Lv 3, 진형은 방원, 전법은 구축, 친애무장은 방통, 오찬, 육적, 은례, 전종,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정중남.

가상이나 장수모드가 아니면 수명이 184년~214년으로 설정되어 짧다.

33. 고순

고순(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34. 고승

파일:고승(자직).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왠지 모르게 바로 전에 공개된 가신과 일러스트가 대비되어 보이며 서로 다른 방향을 보면서 팔짱 낀 모습이 특히 그렇다. 능력치는 통솔 64, 무력 62, 지력 54, 정치 52, 매력 66이며 개성은 둔전, 숲전, 주의는 예교, 정책은 묵수연구 Lv 2, 진형은 학익, 장사, 전법은 철벽, 견제, 고무, 친애무장은 손화, 육모, 장휴,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정중남. 37살에 요절하기 때문에 생년은 210년, 몰년은 246년까지 설정되어 있다.

35. 고승

파일:external/kongming.net/448-Gao-Sheng.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58.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5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장비단백질 공급원 레벨업 소스가 되기 위해 언제나 등장하는 사망전대.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8/72/42/22. 병법으로는 분전, 기사, 정란을 가지고 있다.

황건적 장수로서는 드물게 기사를 가지고 있는데 황건적 장수 중에 공성전에 써먹을 수 있는 병법을 가진 건 장각 3형제, 주창의 매도, 요화의 제사, 등무의 기사 밖에 없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3/73/40/21/22에 특기는 반격 단 1개 뿐.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7/73/41/21/27에 창병 적성 A로 표준적인 황건적 무장. 여담으로 이번작부터 일러스트가 턱수염만 기르는 모습으로 변경되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이를 악문 상태에서 두 손으로 도검을 든 채 장비와 맞서려 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7/73/41/21에 전법은 창공격강화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훈련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훈련이고 전법은 방어강화다. 그런데 어째선지 젊은 상태의 일러스트인데다가 턱수염만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장 음성이 들린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8, 무력 74, 지력 41, 정치 22, 매력 23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 무력, 정치력이 각각 1 상승했다. 개성은 저돌, 적도, 주의는 아도, 정책은 장사강화 Lv 3, 진형은 장사, 전법은 화시, 경파,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난폭남으로 설정되었다.

36. 고옹

파일:삼국지3고옹.png
삼국지 3
파일:Gu_Yong_2_(1MROTK).png 파일:Gu_Yong_(ROTK11).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06.jpg
삼국지 12, 13, 14
파일:c99cf0a5c11d91d4f58fba949b1a0939.webp
삼국지 패도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정치력에 특화된 문관형 능력치 보유자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9/무력 19/지력 82/정치력 94. 병법으로는 누선, 교사, 배반을 가지고 있다. 교사 덕분에 전장에서도 굴릴 수 있는 장수.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3/무력 18/지력 81/정치력 94/매력 78. 특기는 상업, 기술, 치안, 진정, 반목, 항변, 반박, 명사 총 8개다.

상업, 기술 특기가 있으니 내정 요원으론 최상급. 농업 특기가 없는게 조금 아쉬울 뿐이다. 명사 특기는 덤. 술을 전혀 먹지 않았다는 기록 때문에 이번작에서는 고옹으로 플레이하여 술을 먹이는 플레이와 인증샷이 유행하기도 했었다. 술을 먹인 후의 대사를 보면 평소에 술을 자주 즐기는 듯한 모습이 압권. 물론 데이터상 주량은 소량이긴 하다.

삼국지 11의 경우 정치력이 90이라 내정용으로 좋지만 특기가 잉여인 안력.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를 보면 오른손을 펴서 거부하는 모습인데 특이한 손 모양 때문에 애칭은 '오만원'.

능력치는 통솔력 43/무력 18/지력 80/정치력 90, 전법으로는 공성강화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3에서는 다른 능력치는 전작과 같고 정치력이 2 깎인 88이다. 특기는 농업 3, 언변 3, 수영 1. 전수특기는 농업으로 전법은 방어강화. 음성은 책사.

중신특성이 매우 좋은 합리철저이기 때문에 관직 등으로 어떻게 정치력을 90 넘겨서 임무장을 2개로만 만들면 내정중신 쪽은 든든하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3, 무력 18, 지력 80, 정치 90, 매력 78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2 상승했다. 개성은 명성, 진흥, 안목, 여망, PK에서는 자비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예교, 정책은 지역진흥 Lv 5, 진형은 방원, 정란, 전법은 진정, 정란, 친애무장은 장굉, 장온, 채옹,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고 이번작부터 아들 고소와 둘째 손자인 고승이 추가되었다.

삼국지 패도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1/31/82/90/80이다.

37. 고유

파일:external/kongming.net/451-Gao-Rou.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55.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삼공을 모두 지낸 그의 능력을 높게 평가해 높은 정치를 주기는 70대 후반 밖에 되지 않는다.. 나오면 다행이고 그나마도 언제나 B급 문관 취급받았다. 원소랑 친족인 관계로 혈연보정을 받는다. 이 때문에 원수 관계가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평범하다고 처형했다가는 원소 일족과 원수 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13]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1/59/72/79. 병법으로는 투석, 파괴, 혼란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6, 무력 44, 지력 73, 정치 82, 매력 76. 특기는 3개에(치안, 반목, 명사) 불과했지만 명사 특기를 가지고 나와서 원소군에서는 아쉬운대로 굴릴 만 했다.

삼국지 11에서는 지력 71에 정치 79로 너프당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왼손에 죽간을 든 채 오른손을 펼치고 있으며 전작과 달리 지력이 72로 1 상승했지만 아무리 연의 중심이라지만 심하다는 의견이 많다. 삼국지 14 능력치 보면 연의도 반영 안 하는 것 같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7/43/72/79. 특기는 농업 1, 설파 3. 전수특기는 설파로 전법은 고무.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6, 무력 44, 지력 72, 정치 79, 매력 76으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1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법률, PK에서는 감수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왕도, 정책은 정령철저 Lv 3, 진형은 방원, 학익, 전법은 저지, 치료,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정중남이다.

38. 고정

파일:external/kongming.net/439-Gao-Ding.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83.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능력치는 기대하지 말자. 옹개삼국지 11에서 군주로 등장하기도 하면서 능력치가 재평가되기라도 하지만 고정 본인은 그런거 없다. 연의 설정대로 남만 평정 이후 촉나라 무장으로 소속되어 있다.

삼국지 2에서 등장하는데 오랑캐 답지 않게 문관으로 등장한다. 능력은 오랑캐 답게 당연히 형편없다. 영문명이 Gao Ding으로 나와서 당시 영어를 모르는 게이머들은 '고등어'로 불렀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4/무력 63/지력 33/정치력 39로 옹개 3인방 중에서도 최악의 쓰레기. 병법으로는 분투, 매도 말고는 뭐 하나 봐 줄게 없다.

심지어 보병계 병법도 특기가 아니라서 숙련도가 느리게 올라가는데 그래도 분투 때문에 쓰이기는 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5/무력 62/지력 38/정치력 48/매력 53에 특기는 회복 꼴랑 단 1개. 옹개 세력이 따로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이런 놈 쓸 곳은 없다.

삼국지 12 일러스트에서는 제갈량이 옹개에게 보내는 것처럼 속인 편지를 보자 분노하여 찢는 장면이 그려졌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5/무력 63/지력 43/정치력 42,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이고 전법은 궁방약화. 생몰년도가 190~251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음성은 난폭.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6, 무력 63, 지력 43, 정치 44, 매력 46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정치력이 2 상승했다. 개성은 우유, 주의는 할거, 정책은 삼령오신 Lv 2, 진형은 장사, 전법은 견제, 친애무장은 악환, 혐오무장은 없고 전작에 비해 출생년도가 188년으로 변경되었지만 사망년도가 225년이 아닌 연의 기준를 상징하는 251년으로 여전히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전작과 달리 어째선지 어투가 일러스트에 맞지 않게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39. 고패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85.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능력치가 양회와 비슷한데 물론 둘 다 쩌리.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2/무력 60/지력 68/정치력 64. 병법으로는 연사, 정란, 덫을 가지고 있는데 다행히 연사가 있어서 그거 하나는 쓸만하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6/무력 62/지력 72/정치력 52/매력 41에 특기는 보수, 화시, 지리. 총 3개 뿐.

유장군에도 이 정도 인재는 부족하지 않고, 특기라도 잘 받은 게 아닌 이상 그냥 쩌리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약올리 듯이 왼손을 올리면서 손짓하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6/61/69/57. 특기는 순찰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순찰이고 전법은 기병도발.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6, 무력 65, 지력 69, 정치 57, 매력 52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4 상승했다. 개성은 산전, 개수, 경솔, 주의는 할거, 정책은 안행강화 Lv 2, 진형은 안행, 장사, 전법은 화시, 철벽, 저지, 친애무장은 양회,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40. 곡리

파일:곡리.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100만인의 삼국지의 관해를 재활용했으며 능력치는 통솔 43, 무력 68, 지력 33, 정치 15, 매력 40이다. 개성은 혈로, 주의는 왕도, 정책은 방원강화 Lv 2, 진형은 방원, 전법은 철벽, 구축, 친애무장은 손권, 혐오무장은 없다. 험상궂어 보이는 일러스트임에도 불구하고 어투는 보통남.

잡무관이지만 공격용 전법이 수상전용 말고는 하나도 없어서 전법의 서가 필요하다.

41. 골진

파일:83df9ce82a16168af0520605241f469a.webp
삼국지 패도

삼국지 6에서만 등장하는데 181년생으로 설정되어 200년의 하북쟁란 때부터 등장했다가 234년의 오장원의 지는 별부터 나오지 않는다. 즉, 길게 잡아도 시나리오상으로는 50대 중반이 되기 전에 죽었다는 것이 된다.

삼국지 패도에서는 R등급 무장으로 등장해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9/61/23/24/49다.

42. 공도

파일:external/kongming.net/359-Gong-Du.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18.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5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언제나 유벽과 함께 등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능력치는 유벽에 비해서 언제나 영 낮은 편. 무력은 대체로 비슷하거나 공도 본인이 근소하게 더 높지만 통솔이나 정치는 유벽이 더 높다. 아무래도 둘이 세트라고는 해도 유벽이 약간 더 우두머리처럼 보여서일 듯. 황건적 출신답게 유벽과 마찬가지로 보병 적성에 능한 모습으로 많이 나온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4/무력 72/지력 38/정치 30. 병법으로는 분전 하나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5/무력 72/지력 25/정치 23/매력 32에 특기는 회복 단 1개. 이 정도면 안 짤리고 나온 게 용하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9/무력 70/지력 23/정치 22/매력 37로 무력 하나만 70을 찍는 잡장. 통솔이 낮고 특기도 없으며 심지어 적성 A도 없는 등 유벽과 비교하면 많이 뒤처진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를 보면 오른손으로 주먹을 쥔 상태에서 위로 올린 채 소리치고 있으며 능력치는 매력이 삭제된 것 이외에는 전작과 동일.

병과는 기병에 전법은 방어강화로 전공격강화를 지닌 유벽과 비교할 것까지도 없이 잉여 무장이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견수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견수로 전법은 방어강화. 어째선지 음성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용장.

반동탁 연합 시나리오 때 복양에서 재야로 등장하기 때문에 인재가 부족한 유대군으로 플레이 한다면 등용해서 전투용으로 써주자.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7, 무력 70, 지력 23, 정치 22, 매력 37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운반, 적도, 주의는 아도, 정책은 지역순회 Lv 3, 진형은 장사, 전법은 제사, 매성, 친애무장은 유벽,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일러스트에 맞게 어투가 난폭남으로 설정되었다.

43. 공경

삼국지 5에서만 등장하는데 184년 황건적의 난 시나리오에서 북해의 군주로 나와 공융, 무안국을 부하로 두고 있다. 능력치는 무력 34, 지력 72, 정치력 66, 매력 69로 그저 그렇다.

44. 공손강

파일:공손강.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66.jpg
삼국지 12, 13, 14

상징색은 연보라색이다.

아버지 공손도와 마찬가지로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언제나 그랬듯이 이 공손씨 일족들은 좋은 능력치를 받지 못한다. 그래도 삼국지 3을 제외한 모든 시리즈에서는 그나마 아버지, 동생, 아들에 비하면 능력치 합으로 볼 때 제일 나은 편. 본인이 군주로 나올 때는 자신에게 의탁해 있던 원상원희, 보너스로 순심까지 부하로 지니고 있기에 공손 시리즈들 중에서는 그나마 진용이 갖춰져 있으나 적벽대전이 일어나기 직전이기에 조조가 가장 강력할 시기라는 게 문제다.

삼국지 3에서는 아버지처럼 육전지휘 70/수전지휘 70/무력 70/지력 62/정치력 56/매력 72이라는, 장군에 임명될 수 있는 능력치를 자랑한다.

시나리오 4부터 위나라 소속으로 등장하고 그 이전에는 203년부터 양평에서 수색을 하면 공손공과 함께 재야로 등장한다. 위나라 소속일 때는 좀 묻히는 편이지만 원소로 플레이 할 때는 매우 소중한 인재니 반드시 등용하자. 더불어 수명이 매우 길었는데 이는 삼국지 4까지 이어진다.

삼국지 8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66/지력 54/정치력 60/매력 58. 4 레벨 전법인 기습이 있어서 전장에서 나름대로 활약하며, 상재 특기가 있어 상업 수치 올리는 내정용으로 쓸 만하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64/지력 71/정치력 68. 병법으로는 돌파, 주사, 혼란을 가지고 있다.

능력치는 고만고만하지만 주사를 보유한 덕에 그나마 쓸 만한 장수라고 할 수 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군주로서 플레이는 그냥 지옥. 아버지가 군주일 때는 대규모 세력이 없어 어부지리라도 노리는데, 공손강 때부턴 그딴 거 없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4/무력 60/지력 68/정치력 70/매력 57이며 전 능력치가 50~70대에 포진해 있어서 총합이 무려 300을 넘는다. 특기는 치안, 진정, 유인 총 3개 밖에 없긴 하지만 통솔력을 살릴 수 있는 치안 셔틀로 쓰면 되고 이쪽 공손씨 일족에서는 그래도 에이스급이다.

삼국지 11에선 특기가 있지만 킹잉여매복이다. 능력치는 통솔 72/무력 66/지력 61/정치 58/매력 56으로 총합 313, 병과 적성은 기병 A, 수군 B를 제외한 나머지 모두는 C다.

그나마 요동 공손씨 일족 중 가장 준수한 능력치를 보유하고 있으며 특이하게도 북방 출신 인물이면서 아버지와 같이 수군 적성이 B인데, 공손도가 한창 발흥할 때 바다 건너로 군사를 보내 청주 동래군 일대의 현들을 점령하기도 했었다는 역사적 사실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삼국지 12에서는 전작까지만 해도 일러스트가 좀 찌질하게 등장했는데 이번작부터는 좀 그럴듯하게 투구를 쓴 모습으로 나왔다. 자세히 보면 말을 타고 고삐를 쥔 상태에서 오른손을 목에 갖다대고 있는데 원상, 원희를 죽이라는 명령을 내리는 것 같다.

전법은 전군색적이며, 감시 특기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2/무력 66/지력 65/정치력 58이며 특기는 순찰 2, 신속 1. 전수특기는 순찰이며 전법은 적군의 방어와 사기를 깎고 도발하는 선동도발. 음성은 보통.

공손도 진영의 전법들이 워낙 낙후된 지라 거의 유일하게 쓸 만한 전법을 보유하고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3, 무력 66, 지력 65, 정치 62, 매력 57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정치력이 4 상승했다. 개성은 봉살, 주의는 할거, 정책은 지역진흥 Lv 3, 진형은 방원, 장사, 전법은 급습, 저지, 구축, 시람,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거만남으로 설정되었다.

45. 공손공

파일:external/kongming.net/430-Gongsun-Gong.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65.jpg
삼국지 12, 13, 14

상징색은 연보라색이다.

아버지 공손도, 형 공손강과 마찬가지로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공손도, 공손강, 공손연도 그렇듯이 요동의 공손씨 일족들은 좋은 능력치를 받지 못한다. 특히 공손공은 고자라는 점과 무능했다는 기록을 반영했는지 무력이 20대로 매우 낮은데 다행히 백하팔인은 아니다. 지력, 정치합으로만 보통 100은 넘는다. 보통 총합 200수준.[14] 게다가 공손도 가문 중에서 유일하게 문관형이었지만 삼국지 14에서 첫째 조카 공손황이 추가됨에 따라 더 이상 유일한 문관이 아니게 되었다.

그러나 본인의 낮은 능력치와 더불어 부하들의 능력치도 낮기 때문에 하드코어 플레이를 하라면 충분히 가능하다. 하지만 공손연의 무력이 비교적 준수하기 때문에 그가 임관하면 좀 할 만해진다. 그러나 난이도는 공손도, 공손강이나 공손연보다 더 어려우며 시나리오에 따라 공손공말고 부하가 1명도 없는 시나리오도 있기 때문에[15] 이 때는 엄백호공주[16]보다 훨씬 어렵다. 난이도는 부하 장수가 없고 이미 조조 세력이 화북을 접수한 210년경 시나리오에서 절정을 찍는다.

시나리오에 따라 조조 근처에 있는데 다행히 그가 있는 양평(요동)이 다른 도시에서 비교적 멀다. 그래서 이를 이용하여 공손찬의 역경루에 버금가는 우주방어를 구사하면 버틸 만 하다. 따라서 야리코미를 하고 싶다면 한 번 해볼 만하다.

과거작에서 관심을 못받아서 삼국지 6까지는 일반 무장으로 그려지다가 삼국지 7부터는 무능했다는 정사를 반영하여 겁많고 찌질해보이는 문관으로 자주 등장한다. 그나마 게임 시스템 상 고자는 구현되지 않았으니 결혼하고 애낳고 할 건 다한다. 그래도 원수 관계가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낮다고 처형했다가는 공손도 일족과 원수 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72/수전지휘 70/무력 71/지력 67/정치력 52/매력 74인데 마이너 장수 치고는 좋은 능력치를 받았다. 거기에다 공손공을 포함한 아버지, 형, 조카도 이 혜택을 누렸다. 다만 세력은 없고 위나라 소속이다.

삼국지 5의 능력치는 무력 40/지력 75/정치력 60/매력 61. 이만한 능력치는 내정으로 돌리겠지만,[17] 세력이 공손도다. 공손도군의 유일한 희망. 그것도 200년이 아닌 201년부터 성인으로 임관하기에 그 1년은 공손도, 공손강 2명으로 어떻게든 보내야 한다.[18] 임관하면 무조건 인사담당관으로 돌려야 한다. 유표의 두 아들인 유기와 유종도 공손공과 능력치가 비슷비슷하지만 이 쪽은 괴량이나 괴월 같은 문관들이 있어서 인사담당으로 쓸일이 없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9/무력 20/지력 67/정치력 58. 병법으로는 기사, 정란, 덫을 가지고 있지만 병법 숙련도는 0.

거기다가 이번작에서는 바로 위에 오환족이 있어 가지고 정말 어렵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0/무력 24/지력 64/정치력 61/매력 47에 특기는 상업, 혼란, 반박 총 3개 뿐으로 역시나 암울하다.

특이하게도 공손도 세력에서는 유일하게 설전 관련 특기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39/무력 17/지력 68/정치 61/매력 42이고, 특기는 없으며 병과 적성은 기병 B를 제외하고는 모두 C다.

모든 시나리오를 통틀어 가장 천하통일이 어려운 군주로 유명한데, 유비입촉 시나리오를 플레이하면 상기한 대로 부하가 없고 공손공 혼자 있기 때문이다. 옆에는 조조가 버티고 있고... 정공법으로는 거의 방법이 없다고 보면 된다. 이 시나리오를 플레이해 본 유저들의 후일담으로는 재야 장수[19]도 몇 년 지나야 나온다니, 묵념. 그러나 이걸 해낸 사람이 있다. 유비입촉 공손공 천하통일 1편, 2편, 3편, 4편. 핵심은 조조와 동맹을 맺고 약 220년까지 내정만 하며 버티다 하나하나 도시를 먹는 것이라 한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를 보면 밝은 얼굴로 말을 타고 고삐를 쥔 채 오른손을 펼치면서 올리고 있다.

동관 전투 시나리오를 플레이하면[20] 떡하니 혼자 등장한다. 그나마 발탁무장 시스템이 존재하는 시리즈라 좀 낫고, 유비와 마초가 3년 동맹, 유비와 손권이 2년 동맹인 상황이라 조조가 압도적인 국력을 지니고도 밀리는 상황이 자주 나오기에, 발탁무장 좀 뽑고 뒷통수를 치면 전작보다는 그나마 가능성이 보인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9/무력 17/지력 69/정치력 61로 특기는 농업 1, 설파 2 밖에 없는 문관형이지만 공손도군으로 봤을 땐 유일한 내정요원으로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21] 전수특기는 설파이며 전법은 기속강화. 음성은 관리.

장수제로 돌아왔지만 조조가 양평을 노리기 전에 최대한 많이 인재를 데려와야 한다. 214년 시나리오의 경우 비연과 윤직이 시작부터 임관한 상태이긴 하지만 이들의 능력치도 좋은 편이 아닌 데다, PK에서 추가된 211년 시나리오의 경우 전작과 마찬가지로 군주 한 명뿐이라 암울하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0, 무력 17, 지력 69, 정치력 61, 매력 47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상승했다. 개성은 소심, 나약, 허약, 주의는 예교, 정책은 정령철저 Lv 3, 진형은 장사, 전법은 혼란, 구축, 친애무장은 공손황,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 어투로 설정되었다.

DLC로 등장한 동관전투 시나리오에서는 전작까지만 해도 항상 혼자서만 떡 하니 있는 상태에서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는데 이번작부터 공손강의 부하인 한충이 추가되어서 그나마 괜찮아졌다.

46. 공손도

공손도(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47. 공손범

파일:external/kongming.net/431-Gongsun-Fan.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73.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6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기록이 별로 없는데도 장수가 없는 공손찬 세력에서는 어쩔 수 없이 쓰게 된다. 그래서 프로필이 폼나보이는 듯 다만 공손씨 버프로 삼국지 9에서는 궁기 최강 병법 비사를 가지고 있고 삼국지 11에서는 기병 적성 S에 특기 백마를 가지고 있다. 공손찬을 제외한 다른 공손씨 일족 보다는 그나마 균형있고 준수한 능력치를 지니고 있다. 발해 태수 제의를 받긴 했다. 그래도 원수 관계가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평범하다고 처형했다가는 공손찬 일족과 원수 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68/지력 67/정치력 59. 병법으로는 돌파, 비사, 조영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대로 궁기병계 최강 병법인 비사를 가지고 있는데 기병계 병법인 돌파는 비사랑 위력이 같아 거의 버려진다. 원래대로라면 C급 취급을 받았겠으나 가문 덕에 비사를 익혀서 좋은 장수.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7/무력 66/지력 63/정치력 57/매력 61에 특기는 징병, 일제, 반목. 총 3개.

공손찬을 제외한 공손씨 일족 중에선 그나마 무난한 능력치다. 특기가 구린 게 아쉽지만 통솔력이 77이라 전장에선 그냥저냥 쓸 만하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69/지력 64/정치력 62/매력 61. 상기한 대로 기병 적성이 S에 백마 특기를 가지고 있다.

백마 특기 하나만으로도 실질 부대 공격력은 어지간한 메이저 무장보다 높다. 지력도 평범한 수준은 되기 때문에 위보나 혼란을 가끔 방어한다. 공손찬 군에서는 엄연한 주력이다.

삼국지 12에서는 일러스트가 전작까지만 해도 무난한 모습이였으나 이번작부터 조금 표정이 망가져서 나왔는데 자세히 보면 위에서 설명했 듯 원소에게서 제의받은 발해 태수 인수를 왼손으로 든 상태에서 내려보고 있다.

카드 중 맨 처음 나온 160명 중 하나로 나왔으며 전법은 전공격강화인데, 같은 전법을 가진 공손월의 지력이 매우 낮고 공손범의 지력이 공손월의 지력보다 높아[22] 기군신속과 조합하면 무시무시한 공격력이 된다. 다만 공손범 본인은 뜬금없이 궁병으로 나와서 기군신속을 적용받지는 못한다. 그래도 원소의 주력 병과는 궁병의 밥 창병이니 그리 나쁘지만은 않을지도 모른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69/지력 66/정치력 62. 특기는 순찰 1, 신속 1이고 전수특기는 순찰이다. 기병이 주류인 공손찬군 소속인데,[23] 전법이 궁병수비진이라 쓸모가 없다. 음성은 관리.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3, 무력 68, 지력 63, 정치 61, 매력 62로 전작과 달리 무력과 정치력이 각각 1, 지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위무, 개수, 주의는 할거, 정책은 성벽확장 Lv 3, 진형은 봉시, 학익, 전법은 급습, 경파, 교란,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48. 공손속

파일:Gongsun_Xu.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71.jpg
삼국지 12, 13, 14

숙부인 공손범과 마찬가지로 삼국지 6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이렇게 기록이 별로 없는데도 장수가 없는 공손찬 세력이라 그런지 꾸준히 등장하긴 한다. 공손씨 버프가 있는 시리즈에서는 그 수혜를 입기는 해도 그 능력치가 다른 공손찬군 무장들보다도 형편없이 떨어지기 때문에 어지간하면 쓰이지 않는다. 공손찬 군의 다른 무장들이 어지간하면 통솔은 70을 넘기는 것에 비하여 무력, 통솔 모두 70도 넘지 못하는 상황이 대부분. 그래도 원수 관계가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낮다고 처형했다가는 공손찬 일족과 원수 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66/지력 56/정치력 68로 좋다고는 빈말로도 못 하는 수치다. 병법으로는 비사, 배반을 가지고 있다.

공손씨 버프를 받아 궁기 최강 병법 비사를 가지고 있으며 배반도 있지만 지력이 낮고 병법 숙련도도 0이다. 그래도 비사가 있으니 쓰게 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0/무력 69/지력 53/정치력 61/매력 62에 특기는 치안, 화시, 기습. 총 3개 뿐.

공손찬 소속이라 공손찬으로 플레이 시 공손속을 쓰긴 써야 하나, 조운, 전예 등의 인재도 있기 때문에 그렇게 중용할 상황은 아니고, 이번작 공손찬이 상대적으로 원소를 밀기 쉽기 때문에 공손찬이 기주를 손에 넣을 때가 되면 공손속은 후방에 버려지는 신세가 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3/무력 68/지력 54/정치력 63/매력 66. 공손씨 버프로 기병 적성 S에 특기 백마를 가지고 있다.

무력이 약하긴 하지만 백마 특성과 공손씨 보좌 공격까지 하면 생각보다 딜링은 괜찮은 편이다. 대신 계략에 매우 취약하니 취급에 주의를 요한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백마를 탄 채 한 포권을 하고 있으며 카드 중 맨 처음 나온 160명 중 하나로 나왔다. 물론 능력치는 구리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3/무력 68/지력57/정치력 63. 특기는 순찰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순찰이며 전법은 창공약화.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4, 무력 68, 지력 53, 정치력 61, 매력 64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상승한 대신 지력이 4, 정치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동원, 주의는 패도, 정책은 시설개발 Lv 2, 진형은 장사, 추행, 전법은 돌격, 매성, 친애무장은 장연,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49. 공손수

삼국지 3에서만 등장하는데 무력과 정치가 60대 수준으로 육전은 50대이지만 나머지 능력치는 낮아서 무장으로서는 평범한 수준이다.

50. 공손연

파일:삼국지3공손연.png
삼국지 3
파일:Gongsun_Yuan_2_(1MROTK).webp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Gongsun_Yuan_%28ROTK11%29.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64.jpg
삼국지 12, 13
파일:공손연.jpg
삼국지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역사대로 의리 바닥에 야망이 최고치다.[24] 그래서 과거 공손씨 세력이 따로 편성되지 않고 위나라 소속으로 양평 태수를 맡았을 경우 툭하면 반란을 일으키곤 했다. 이벤트가 많은 시리즈에서는 전용 이벤트까지 있다.

삼국지 5를 제외한 모든 시리즈에서는 공손연의 능력치며 세력이며 모든 게 영 좋지 않지만, 그나마 휘하에 가범, 윤직, 양조, 비연이 있어서 공손도, 공손강, 공손공보다는 할 만하다. 물론 이 넷의 능력치가 딱히 좋진 않지만 말이다.

삼국지 2에서는 시나리오 6을 플레이 하면 높은 확률로 반기를 들고 독립한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지 73/수지 71/무력 72/지력 65/정치 60/매력 74로 그나마 좋은 능력치다. 다만 야망이 최고라서 양평이나 북평에서 거병을 자주 한다. 그러니 위나라로 플레이할 때는 가능한다면 공손씨 일족들을 전부 낙양으로 소환시키자.

삼국지 5에서는 무력치가 84라서 인재가 부족한 후기 시나리오에서는 쓸 만하다. 다만 의리가 너무 낮은 게 흠.

삼국지 6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4/무력 79/지력 64/정치 22/매력 79다.

237년 1~6월 사이 반란을 일으켜 연왕으로 독립하는 이벤트가 따로 마련되어 있으며, 발동 조건은 다음과 같다. 1.낙양과 양평을 동시에 지배하는 군웅이 있으며, 해당 세력의 본부가 양평에 위치하지 않을 것. 2. 공손연이 가범, 비연, 양조, 윤직과 함께 양평에 주둔하고 있을 것. 이벤트가 발동되면 가범과 윤직은 독립에 반대하다 참수된다. 일부러 보려고 들면 어렵지는 않으나 자연적으로는 상당히 보기 힘든 이벤트. 234년 오장원에 지는 별 시나리오로 시작하면 해당 조건이 예쁘게 충족되어 있으니 그대로 3년만 버티면 되지만, AI가 위나라를 조작할 경우 저 5명을 양평에 그대로 내버려두는 경우가 드물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4/무력 71/지력 55/정치력 39. 병법으로는 돌파, 기사, 제사, 혼란, 매도 등 1단계만 있어서 좋다고 하긴 좀 그런 장수. 성격은 저돌이다.

거기다가 숨겨진 의리 수치에서도 아주 독보적인 수치를 기록하는데 의리 0에 야망 15다. 천하의 여포도 야망이 13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그 와중에 완벽하게 0과 15로 개막장을 그리는 어떤 의미로는 제일 무서운 장수. 어지간하면 등용하지 않는게 좋다. 충성도 관리가 안 되는 상황에서는 백하팔인보다 더 암적인 존재로 재야나 포로 상태에서 등용하더라도 오자마자 배신하거나 독립하는 골때리는 상황이 자주 연출된다. 참고로 이번작에서 의리 0에 야망 15로 설정되어 있는 장수는 공손연을 포함해서 딱 4명이다. 나머지 3명은 원술, 동탁, 손침. 나름대로 공손연을 대단한 인재로 평가해준 셈이다. 물론 별로 안 좋은 의미로. PK에서는 그래도 장수발탁 시스템이 있기 때문에 1단계 병법으로라도 고루 적성이 분포된 공손연이 직접 발탁장수를 가르치면 나름 쏠쏠한 성장은 가능하다. 물론 공손연의 의리가 저 모양이므로 공손연이 장수 발탁하면 잘 키워도 이간질 때문에 못 쓴다는게 함정.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7/무력 69/지력 58/정치력 50/매력 51로 매력이 바닥인 공손도보다 능력치 합은 2 높지만 공손강에게는 많이 밀린다. 특기는 기술, 돌격, 반목, 혼란, 회복. 총 5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5/무력 70/지력 56/정치 35/매력 55로 전작에 비해 통솔, 무력, 매력은 소폭 상승했으나 지력이 소폭 하락했고, 정치가 15나 하락했다. 병과 적성은 창병 B, 기병 B를 제외하고 모두 C다.

여전히 다른 세력에서는 잡장 1이지만 요동 공손씨 일족으로 플레이 할 경우 굉장히 귀한 인재다. 특히 영웅집결에서는 군주인 공손도 다음가는 무력을 자랑한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말을 탄 상태에서 두 손을 펼친 채 음흉한 얼굴로 웃어대고 있다.

능력치는 전작들과 비슷해 여전히 잉여지만 절도지책을 보유한 채 시작한다. 군사가 없어 군사 아이템을 달아줘야 하나, 절도지책을 보유한 장수가 몇 안 된다는 사실[25]을 기억하자. 사실 절도지책이라도 없으면 공손연 세력으로 플레이 하기에는 너무나도 하드코어해서 준 듯.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70/지력 60/정치력 35. 특기는 순찰 1, 신속 2에 전수특기는 신속으로 전법은 창병공격진이다. 음성은 일러스트와 맞는 난폭.

특이한 점은 PK판에서 고유위명인 '연왕'을 가지고 있다. 엄백호의 동오덕왕과 같은 천하명장을 바탕으로 한 위명이고, 군령은 '면종복배'로 외교초기 교섭률↑・순찰성과↑↑・도시내구↑↑의 효과를 갖고 있다. 다만 후반기 시나리오인 오로침공과 출사표에서 공손연은 둘 다 공손공의 휘하장수로 있는 상태라 시작부터 군주로 플레이할 기회는 없지만, 연왕 위명은 공손씨 일족 모두가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왕 위명을 써보고 싶다면 공손도나 공손강으로 하면 된다.

삼국지 14에서는 일러스트가 오른손으로 턱을 잡고 있으면서 음흉하게 웃음을 짓고 있는 모습으로 변경되었는데 아마도 연왕이 될 생각을 품고 있는 듯한 이미지다. 능력치는 통솔 67, 무력 70, 지력 60, 정치 42, 매력 5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 정치력이 7 상승했다. 개성은 사역, 징세, 낭비, 오만, 탐욕, 주의는 아도, 정책은 묵수연구 Lv 4, 진형은 방원, 학익, 장사, 전법은 업화, 도발, 매성, 시람,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고 PK에서는 도발 전법이 삭제된 대신 고유 전법으로 적군에게 도발을 부여하면서 동시에 적군의 사기를 저하시키는 현조쌍황이라는 무력 의존 전법을 부여받았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거만남으로 설정되었고 이번작부터 형 공손황과 부하 장수인 한기가 추가되어서 비교적 할만해졌다.

51. 공손월

파일:삼국지3공손월.png
삼국지 3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63.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사실상 듣보잡 엑스트라 캐릭터고, 능력치가 보잘 것 없다. 그래도 공손찬은 워낙 인재 없는 진영이다보니 공손월이라도 써야 한다. 그나마 공손월이 가장 쓸만한 시리즈는 삼국지 9삼국지 11로, 나머지는 쩌리급이다.

삼국지 2에서는 무력 63/지력 49/매력 65라는 능력치를 달고 나온 주제에 고유 일러스트를 받았다. 자세한 항목은 공손월(삼국지 2) 참조.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7/무력 70/지력 48/정치력 55로 병법으로는 돌파, 비사를 가지고 있다.

공손찬, 공손범, 공손속과 마찬가지로 궁기 병법 중 최강인 비사를 가지고 있으며 공손찬군에서는 조운, 공손찬, 전예 다음가는 장수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2/무력 71/지력 48/정치력 53/매력 65에 특기는 훈련, 돌격, 회복. 총 3개.

통솔이 70은 넘기 때문에 일단 공손찬군에선 초반엔 주력으로 쓸 수 밖에 없고, 훈련 특기가 있으니 잉여까진 아니다.

삼국지 11에서는 역시 공손찬, 공손범, 공손속과 마찬가지로 특기 백마와 기병적성 S를 부여받았기 때문에 상당히 강하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백마를 탄 상태에서 왼팔을 잡고 있는데 살짝 괴로워하는 표정을 짓는 걸 보면 원소군에게 기습받을 때 상황을 묘사한 모양이다.

전공격강화라는 전체 버프의 전법을 받았는데 정작 공손월의 지력이 낮아서 잘 쓰이진 않는다. 같은 세력 내의 공손범도 전공격강화이고, 공손월보다 지력이 훨씬 높기에 다만 공손월은 기병이라 궁병인 공손범과는 달리 주군인 공손찬의 기군신속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은 있다. 기군신속과 전공격강화가 중첩되면 공격력 증가량이 엄청나기 때문.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4/무력 72/지력 47/정치력 54. 특기는 훈련 4, 신속 1, 견수 3. 전수특기는 훈련으로 전법은 기병수비진.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4, 무력 71, 지력 48, 정치력 53, 매력 66으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1 상승한 대신 무력과 정치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불굴, 직정, 주의는 할거, 정책은 시설개발 Lv 3, 진형은 봉시, 학익, 전법은 돌격, 격려, 저지,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52. 공손찬

공손찬(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53. 공손황

파일:공손황.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소심해 보이는 얼굴로 두 손을 올린 채 고개를 숙이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52, 무력 42, 지력 64, 정치 49, 매력 67이다. 개성은 소욕, 소심, 주의는 예교, 정책은 정령철저 Lv 2, 진형은 방원, 전법은 진정,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어투는 정중남.

54. 공수

삼국지 3에서만 등장하는데 능력치는 무력을 제외하면 60이 되는 것이 없어서 매우 구리다.

55. 공융

공융(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56. 공주

공주(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57. 공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16.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김선 휘하의 장수로 나오며, 지력과 정치 모두 60대를 오락가락하고 있다. 활을 쐈다는 것 때문에 궁술 관련 스킬들도 있다. 수명은 원작에서 항복 이후 등장이 없어서 7로 설정되고 생몰년이 있는 시리즈에서 242년으로 설정되어 장수한 것으로 설정한 모양으로 어차피 연의의 가공인물이라 코에이의 설정이 완전히 틀렸다고 하기에도 뭣하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44/54/63/68에 병법으로는 제사, 정란 뿐이지만 공성전에 종종 쓰인다. 특히 김선군에서는 유일한 부하이자 아주 중요한 인재.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45/59/61/63/52에 특기는 보수, 화시, 반목 총 3개 뿐.

김선으로 플레이할 때나 좀 써볼 것이다. 그리고 이번작에서 김선의 아들인 김의가 추가되어 더 이상 외롭지 않게 되었다.

삼국지 11에서의 일러스트는 후덕한 모습의 아저씨.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43/53/61/65/48로 정치 이외가 너프되었다.

문관이라도 전투에 나설 수 밖에 없는 김선군 입장에서는 참으로 뼈아픈 너프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충격과 공포로 변경되었는데 김선을 배반하고 그에게 분노하여 화살을 쏘아 죽이는 장면이다. 전작의 일러스트는 중후했음을 감안하면...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43/53/62/65에 병과는 궁병, 전법은 사정강화다. 특기도 보수 하나 있으므로 김선군이 아니라면 후방 도시 시장에 박혀 있을 것이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이고 전법은 궁방강화. 그런데 음성이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게 관리로 설정되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4, 무력 53, 지력 62, 정치 65, 매력 48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상승했다. 개성은 소심, 주의는 명리, 정책은 종횡술 Lv 2, 진형은 안행, 전법은 연노, 매성,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책사남으로 설정되었다.

58. 곽가

곽가(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59. 곽도

파일:삼국지3곽도.png
삼국지 3
파일:Guo_Tu_2_(1MROTK).webp 파일:Guo_Tu_(ROTK10).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95.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지력이 그나마 좀 쓸만한 문관으로 등장한다.

삼국지 1 PC판의 경우, 모사인 주제에 무력이 무려 90이나 되어 문추(무력 95) · 안량(무력 89)과 함께 원소군 3대 간판 무장으로 활약한다.[26] 그야말로 맹장 곽도. 사실 방덕의 능력치 데이터와 뒤바뀌어서 그렇다고 한다. 그래서 방덕은 무력 44, 지력 87의 능력치를 받고 서량의 대현자가 되었다. 이 오류는 리메이크된 삼국지 리턴에서도 수정되지 않았다.[27]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지 31/수지 8/무력 34/지력 76/정치 81/매력 40으로 원소군 최고의 정치력을 가지고 등장하기 때문에 원소군에서는 심배와 함께 중요한 내정 요원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1/무력 45/지력 83/정치 72. 병법으로는 매도, 혼란을 가지고 있는데 병법 숙련도가 100밖에 안 된다. 사고친 걸 감안해서 너프한 모양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1/무력 50/지력 82/정치력 70/매력 28에 특기도 4개(반목, 유인, 반박, 군사) 밖에 안 되나 그 중 하나가 군사 특기라 전장에서 엄청 쓸만해졌다. 막상 내정용 특기는 하나도 없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2/무력 50/지력 82/정치력 68/매력 37이고 특기가 없다.

애초에 이번작에서는 전풍 조차도 특기가 없다. 원소군 참모 중에서는 심배만 특기가 있는데 그나마도 철벽이라 쓸모가 없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팔짱을 낀 채 누군가를 째려보는 듯한 표정을 짓고 있다.

전법은 문무저하로 꽤나 좋은 전법을 받았고, 군사 특기가 있으며 비책은 수탈지책과 위보지책을 가지고 있다. 알짜같은 전법과 비책들을 보유하고 있어 전장에서나 참군에서나 충분히 쓸만해졌다.

삼국지 13의 능력치는 삼국지 11편과 같다.[28] 병과 적성은 창병 C/기병 B/궁병 C이며 특기는 언변 3 하나 뿐이다. 전수특기도 당연히 언변으로 전법은 궁병동요. 음성은 책사.

그럭저럭 B-는 되는 능력치에 비해 적성, 특기, 전법 등은 황폐하기 이를 데 없고 이상위명은 명경지수로 설정되어 있다. 곽도 본인의 인성을 생각해 보면 권위나 거괴가 더 잘 어울리지만...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6, 무력 50, 지력 83, 정치 69, 매력 4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4, 지력과 정치력이 각각 1 상승했다. 개성은 선동, 공명, 나약, 탐욕, 주의는 명리, 정책은 병기강화 Lv 4, 진형은 봉시, 충차, 전법은 업화, 혼란, 충차, 친애무장은 없고 혐오무장은 고람, 심배, 장합, 저수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책사남이다.

60. 곽마

파일:external/kongming.net/326-Guo-Ma.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280.jpg
삼국지 13 PK, 14

자신의 주인인 수윤과 마찬가지로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후반부에 등장하는 인물답게 능력치가 그렇게 좋지는 않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6/74/40/20. 병법으로는 분투, 몽충, 충차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8/71/49/30/50에 특기는 4개.(징병, 혼란, 기염, 반격) 징병 특기를 가지고 있으나 매력이 50 밖에 안 되는 관계로 없는 것보단 나은 수준에 불과하다.

특이하게 사병을 가진 재야 장수로 등장하지만 병력 3천의 일반 보병대라 가치를 많이 높여주는 것은 아니다. 결과적으로 의리는 무시, 성격은 저돌, 음주는 대량, 관심은 무예, 물욕은 탐욕이다. 이번작부터 주인인 수윤이 삭제되어 헤어지게 되었다.

삼국지 11에선 무력, 통솔이 70언저리라 후반부에는 쓰일 수 밖에 없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으로 턱수염을 쓰다듬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8/71/47/21. 특기는 훈련 1, 공성 1, 일기 1. 전수특기는 훈련으로 전법은 창병공격진. 그런데 전작에 비해 의리가 경시, 성격은 대담에다 보물흥미에 관심있고 애주도가 보통으로 되어있으며 이상위명이 저돌맹진이다. 음성은 무례.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8, 무력 71, 지력 47, 정치 21, 매력 50으로 개성은 숲전, 동원, 주의는 할거, 정책은 장사강화 Lv 3, 진형은 장사, 전법은 급습, 대갈, 강습, 친애무장은 수윤,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호걸남으로 설정되었고 드디어 17년 만에 주인인 수윤과 극적으로 상봉하게 되었다.

61. 곽사

파일:삼국지3곽사.png
삼국지 3
파일:Guo_Si_%281MROTK%29.webp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81.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별로 안 좋은 능력치로 나오고 있다. 슬픈 것은, 삼국지 관련 게임에서 이각은 군주로, 곽사는 그 휘하 장수로 등장한다는 것이다. 정사나 연의 모두 이각=대사마, 곽사=대장군이어서 동격이었던 셈인데, 그나마 이각은 헌제가 정식으로 대사마에 임명이라도 했지만 곽사는 끝까지 자칭이었던 탓이 크다. 물론 대사마와 대장군은 같은 계급장이긴 하지만 관직 특성상 대한민국 국군으로 따지자면 대장군 = 대대장, 대사마 = 사단 참모 같은 포지션인지라 대사마가 같은 계급에 보직이 높은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실제로도 조인은 대장군을 지내다가 대사마로 영전했다.

정사에 기록된 군사적 역량을 보면 최소한 무력과 통솔은 높게줘도 될 듯한데 정사 반영도가 대폭 올라간 최근작까지도 별다른 상향은 없다. 그래도 아직까지는 연의 75:정사 25 수준에 불과하다. 만약 정사가 그렇게나 많이 반영되었더라면 조인, 손견,[29] 고순, 국의, 문앙 등의 장수들은 그야말로 굇수들로 나왔을 것인 반면 하후돈, 관흥, 장포, 관해, 오란 같은 장수들이 되려 잡장 찌끄레기로 나왔을 것이다. 물론 8%가 25%로 올라간 건 대폭 올라간 게 맞긴 하다. 패하긴 했지만 여포와 1:1 대결을 했다는 기록을 반영해서인지 이각보다 무력이 높다. 그나마 둘 다 백하팔인 수준은 아니라는게 본인들에겐 다행인 점이다.

다만 여기서 한 가지 생각할 것이 있다. 코에이 시리즈는 전통적으로 쓰레기같은 인성을 가진 장수들은 무능아로 설정하는 경향이 있고 그래서 손호, 마막, 잠혼, 황호가 완전히 무능아로 나오고 반장 역시 능력이 +B급으로 박하게 나오는 것이다. 매력은 친구인 이각이나 촉한의 성격파탄자 양의와 동급으로 셋 다 매력이 다른 능력치에 비해 독보적으로 낮은데 곽사는 이각과 마찬가지로 사람을 너무 많이 죽여서 매력이 저지경인 것이다.

삼국지 3에서는 이각의 부하로 등장한다. 능력치도 육지 59, 수지 20, 무력 61, 지력 33, 정치 33, 매력 37에 야망 9, 운 11, 냉정 8, 용맹 8이라 숨겨진 능력치는 이각보다 높긴 하지만 암울하긴 '토끼다람쥐나' 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이각과 별 차이 없이 암울하다.

삼국지 4에서도 이각의 부하로 등장한다. 통솔 59/무력 64/정치 34/지력 33/매력 39로 특기는 화계, 보병, 수복을 가지고 있다. 반면 이각은 통솔 47/무력 63/정치 40/지력 44/매력 28의 정보, 기병, 화계 특기를 가졌다. 그래도 군주인 이각보다 통솔력이 있고 무력이 비록 1인지만 높고 더욱 매력 있다! 반면 정치, 지력에서 패했다.. 그리고 이각보다 2살 나이 많은 것으로 출연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3/74/18/19. 병법으로는 이각과 마찬가지로 돌진이 없고 돌파, 매도 뿐이라 돌진의 경우 세력 병법으로 써야 한다. 참고로 이각이 군주일 때는 세력 병법이 돌파여서 돌진을 못 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6/76/18/11/13에 특기는 돌격, 기염, 반격. 총 3개로 이각보다 별 나을게 없는 취급.

삼국지 11에서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4/76/13/14/13에 특기도 없고, 적성도 기병만 A일뿐 나머지는 모조리 B, C여서 아무런 쓸모도 없는 잡장으로 등장한다.

삼국지 12에서는 이각과 세트라는 설정 때문에 일러스트의 동작도 이각과 동일하며 카이저 수염을 달고 있지만 이각하고는 다르게 손을 배에 대지 않은 상태에서 오른손에 도검을 들고 있다.

이각이 뚱뚱이이고 곽사가 홀쭉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거의 무슨 팔레트 스왑을 연상케 한다. 전작과 같은 능력치지만 전법이 전공격강화다. 드디어 이각과 같이 완벽한 세트가 되었는데 물론 찌질한 능력치 덕분에 조루포스를 자랑한다.

삼국지 13에서는 역시 같은 능력치에 특기는 훈련 2, 신속 1, 연전 2, 공성 4, 일기 6을 가지고 있으며 전수특기는 일기다. 중신특성은 없고, 전법은 기병공격진. 병과 적성은 창 B/기 A/궁 C. 음성은 난폭.

감녕, 장료, 손책, 태사자, 안량, 문추, 하후돈 등과 동일한 수치임을 생각하면 파격적이다. 여포와 1대 1로 대결했다는 영웅기의 기록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물론 곽사 본인은 70대 무력 주제에 90대 무력인 저들과 일기토로 맞붙어서 승산이 있을 거라는 생각을 하면 무력 차이가 커서 1합 만에 목이 따인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5, 무력 76, 지력 13, 정치 14, 매력 13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상승했다. 개성은 징세, 공명, 악명, 탐욕, PK에서는 강탈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침략황폐 Lv 3, 진형은 어린, 봉시, 전법은 분전, 화시, 매성, 친애무장은 이각,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난폭남이다.

62. 곽석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93.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8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2 PK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는데 보통 구성이 군주로 나오고 주조와 곽석 본인은 부하로 나온다.

삼국지 11에서는 구성 밖에 없어서 혼자 쓸쓸하게 군주 역할을 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으로 창을 짚은 채 왼손으로 주먹을 쥐면서 가슴에 올리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9/71/48/42. 특기는 일기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일기이고 전법은 기속약화. 음성은 난폭.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8, 무력 62, 지력 43, 정치 32, 매력 4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무력이 9, 지력이 5, 정치력이 10 하락했다. 개성은 저돌, 적도, PK에서는 난폭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침략황폐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화시, 친애무장은 구성, 주조,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호걸남으로 설정되었다.

63. 곽여왕

파일:Guo_Nuwang_2_(1MROTK).png 파일:external/bbsimg.ali213.net/18394211s55cscttqs01ta.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57.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1 콘솔판에서 추가되었는데 이름이 삼국지 11~삼국지 13탄까지는 를 미표기한 곽씨(郭氏)로, 삼국지 14탄부터는 자를 반영한 곽여왕(郭女王)으로 나온다.

삼국지 11 콘솔판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2/무력 6/지력 79/정치력 74/매력 85. 자못 심술궂게 생긴 일러스트지만 보유 특기는 경국이라서 꽤 좋다.

연의 설정을 반영해서 그런지 견씨가 혐오무장인데, 어차피 문소황후의 특기도 경국이라 둘이 함께 엮어쓸 일은 전혀 없다. 대신 보유자 중 가장 낮은 매력치가 눈길을 끄는 정도.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왼손을 가슴에 올리면서 오른손을 펼치고 있는데 조비가 후계자 경쟁을 할 때 그에게 진언하던 모습으로 보인다.

거기다가 매력이 없어졌기 때문에 능력치는 씁쓸하며 일러스트 감상용 캐릭터.

삼국지 13에서는 통솔 42/무력 4/지력 69/정치 64에 특기는 상업 2, 위풍 1(조비 인연 효과). 전수특기는 상업이며 전법은 창속약화. 중신특성은 없고 병과 적성은 모두 C. 음성은 현명녀.

도토리 키재기지만 전체적으로 견씨만 못하다. 그런데 능력치가 낮다고 처형했다가는 남편 조비와 원수 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22, 무력 6, 지력 70, 정치 64, 매력 68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배인 20이나 깎인 대신 무력이 2, 지력이 1 상승했다. 또한 매력도 11때보다 17이나 깎였는데 아무래도 데뷔작인 삼국지 11 콘솔판 때부터 그랬던 것 같지만 코에이에게 어지간히도 밉보이는 모양이다.[30] 개성은 재원, 주의는 패도, 정책은 본초학 Lv 2, 진형은 학익, 전법은 혼란, 매성, 친애무장은 조비, 혐오무장은 견씨, 조예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요염녀로 설정되었다.

64. 곽원

파일:external/kongming.net/323-Guo-Yuan.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279.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11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복귀했는데 종요와의 관계는 언급되지 않고 혈연관계도 설정되지 않았을 뿐더러 나이까지 비슷하게 나왔다. 하지만 애초 삼국지연의에 등장하지 않는 인물이라 일러스트만 종종 회자될 뿐 영 인지도가 없다.

삼국지 13 PK에서는 삼국지 11 시절과 비슷하면서도 기존의 휴고스러운 이미지는 버리고 전형적인 맹장 스타일로 일러스트가 바뀌었는데 정확히 말하자면 이를 악문 채 오른손에 도검을 든 상태에서 방덕과 맞서려 하고 있다.

능력치는 맹장과 거리가 좀 있지만. 능력치는 통솔력 66/무력 73/지력 36/정치력 33으로 특기는 훈련 1, 분전 3, 일기 1이고 전수특기는 분전이다. 음성은 난폭. 그냥 C급 무장 수준이지만 그 대신 전법이 같은 세력의 S급 무장인 문추, 장합, 또 다른 S급 무장인 위연도 보유하고 있는 불굴강장이다. 그래서 실제 역사속 포지션대로 문추, 장합을 대신하는 역할 정도로 그냥저냥 굴릴 만하다. 거기다 기병 적성은 A급이다. 원소 세력에서 특히 통솔력이 높은 편인 안량이나 장합이 중신특성으로 기마조련을 갖고 있어서 이들이 군무중신으로 있으면 기병 적성 S급까지도 나올 수 있다. 낮은 지력이 발목을 잡지만 좋은 전법과 높은 기병 적성으로 부장[31]만 적당히 채워주면 1인분 이상을 할 수 있는 무장이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6, 무력 73, 지력 36, 정치 33, 매력 45이며 개성은 맹자, 저돌, 경솔, 주의는 아도, 정책은 추행강화 Lv 3, 진형은 봉시, 추행, 전법은 급습, 교란, 친애무장은 고간,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난폭남이다.

65. 곽유지

파일:삼국지3곽유지.png
삼국지 3
파일:external/kongming.net/320-Guo-Youzhi.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97.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연의에서는 출사표에 언급된 정도 외에 활약이 없음에도 괴량, 공손연 등의 훨씬 더 비중 있는 장수도 개근까지는 못한 것에 비하면 은근히 대접은 받은 편. 대체로 통솔과 무력이 바닥을 기고, 지력 6~70대에 정치 7~80대, 매력 60~80을 마크하고 있다. 특기 또한 전투에 쓸모 있는 것은 전혀 없고 농업, 상업 등 내정과 관련이 있는 것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내정 요원으로 나온다. 윤묵과 비슷한 취급.

삼국지 4에서는 정치 85를 찍어 처음부터 시중 임명이 가능하다. 정치 능력치에 메리트가 아주 높은 이번작 특성상 곽유지의 리즈시절로 볼만한 시리즈.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5/무력 9/지력 67/정치력 78이고 병법도 조영 밖에 없어서 내정 요원일 뿐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5/무력 10/지력 60/정치력 74/매력 60에 특기는 농업, 명사. 총 2개 뿐이다. 그냥 농업 셔틀로 쓰라는 소리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출사표의 내용을 따서 문서를 살펴보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28/9/69/79. 특기는 상업 3, 농업 3, 설파 2. 전수특기는 상업으로 전법은 기속약화. 음성은 관리.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3, 무력 9, 지력 66, 정치 78, 매력 61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5, 지력이 3, 정치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소욕, 소심, PK에서는 자비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예교, 정책은 정령철저 Lv 3, 진형은 정란, 전법은 없으며 친애무장과 혐오무장 역시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66. 곽익

파일:external/kongming.net/317-Huo-Yi.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98.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아버지 곽준과 비슷하게 모든 능력치가 70 전후인 낮은 만능형 장수다. 무장 수가 적고 무장의 질이 떨어지는 후기 시나리오에 등장한다는걸 감안하면 효용도로는 오히려 아버지보다 높다고 할 수 있겠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70/지력 72/정치력 73. 병법으로는 분전, 연사, 정란, 조영을 가지고 있어 야전과 공성전에서 모두 활용할 수 있다.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모든 병법 소유가 똑같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67/지력 70/정치력 71/매력 74의 만능형. 특기로 보수, 치안, 화시, 유인, 회복. 총 5개를 가지고 있다.

초기 시나리오 장수였다면 특색없는 평범한 장수였겠지만 등장하는 시나리오가 워낙 뒤여서 다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69/지력 69/정치력 74/매력 74의 균형잡힌 포지션. 특기는 침착이며, 교란에 걸리지 않아 유용한 편이다.

그리고 유선 시대의 촉의 인재라는 특성상 이 정도의 능력치를 가진 장수는 중용된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이라는 막대를 두 손으로 들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69/지력 69/정치력 74로 전법은 화계.

그렇지만 마충과 마찬가지로 화계의 효과를 보기에는 지력이 애매하다. 그래도 병과가 수성전에 특화된 아버지 곽준과 같이 궁병이라 쓸만하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고 특기는 농업 2, 순찰 1. 전수특기는 농업이며 전법은 적의 사기를 낮추는 소침공작. 음성은 책사.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2, 무력 69, 지력 69, 정치 72, 매력 74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 정치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불굴, 숲전, 친만, PK에서는 간파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버지인 곽준과 같은 왕도, 정책은 묵수연구 Lv 3, 진형은 안행, 방원, 장사, 투석, 전법은 연노, 철벽, 저지, 투석, 친애무장은 제갈교,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용장남으로 변경되었다.

67. 곽준

파일:Huo_Jun_%281MROTK%29.webp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83.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기록이 부실하지만 정사와 연의의 일화를 반영해서 그런지 작 중 한 거에 비해 능력치가 좋은 편. 특출난 능력치는 없지만 전반적으로 70언저리는 다 찍어줘서 총 능력치 합도 340~350 언저리. 유비군이라면 아쉬운 능력치지만 유표군 소속으로 등장할 때는 이 정도도 쏠쏠하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62, 수전지휘 18, 무력 67, 지력 65, 정치력 52, 매력 73. 매력이 높다는 장점은 있지만 지휘력이 낮아 일제를 못 쓰고 무력도 장군이 되기엔 기준 미달이라 무관으로서의 입지가 없는데 지력과 매력에 비해 정치력도 낮게 평가받아 문관으로도 쓸모가 적다. 그래도 무관보다는 문관이 굴리기 요긴한 이번작의 특성상 문관으로 굴리는게 더 합리적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7/무력 62/지력 72/정치력 68. 병법으로는 분전, 연사, 정란, 조영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6/무력 65/지력 71/정치력 64/매력 70에 특기는 보수, 치안, 화시, 진정, 저지, 지리. 총 6개.

특기 자체는 좋은 게 별로 없는데 그나마 가장 높은 능력치인 통솔력을 살릴 수 있는 치안 특기가 있다. 200년, 207년에는 유표군 소속이라 유표군으로 플레이 시엔 쏠쏠한 캐릭터. 물론 감녕, 위연, 황충의 S급, A급이라 할 만한 문빙엔 밀리지만 채모에는 크게 떨어지지 않는 비슷한 수준이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0/무력 66/지력 73/정치력 62/매력 70. 특기로 불굴을 가지고 있어 무력만 높여주면 꽤 괜찮은 장수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왼손에 창을 들고 앉아 있는데 연의에서 그의 몇 없는 비중인 가맹관에서 적의 모습을 관찰하는 상황으로 추측된다. 정사라면 수백의 병사로 유장의 군대를 상대로 방어하면서 적의 빈틈을 확인하는 모습으로 보이는데 전법은 전군원사.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66/지력 73/정치력 62. 특기는 농업 4, 순찰 2. 전수특기는 농업으로 전법은 궁병속공진. 특이하게 젊은 장수로 나오는 일러스트임에도 불구하고 어째선지 노장 음성으로 설정되었다.

어째서 곽준이 특기와 전수특기에 농업이 있는지는 미지수로, 연의나 정사나 그가 수비에 능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적은 수의 병력으로 반격을 하여 적장을 격퇴하는 활약을 보여줬으니 차라리 연전과 견수로 했어야 고증에 맞는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6, 무력 65, 지력 72, 정치력 63, 매력 7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3, 정치력이 1 상승한 대신 무력과 지력이 각각 1 하락했다. 개성은 담력, 견뢰, PK에서는 감수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왕도, 정책은 묵수연구 Lv 3, 진형은 안행, 방원, 투석, 전법은 철벽, 고무, 투석, 친애무장은 맹달,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68. 곽혁

파일:삼국지3곽혁.png
삼국지 3
파일:external/kongming.net/324-Guo-Yi.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75.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태사향, 전만과 함께 아버지 잘 만나서 등장한 케이스다. 허나 능력치는 역시 그저 그렇다. 그래도 원수 관계가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낮다고 처형했다가는 아버지 곽가와 원수 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삼국지 3에서는 뭐가 어찌 됐는지 번역이 뭐가 잘못됐는지 간에 곽혁이나 곽회이나 둘다 똑같이 곽회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게다가 곽가의 아들이라는 설정은 어디로 날아가고 곽가의 자식무장으로 설정되어 있지도 않은 채 재야 무장으로 등장한다. 능력치는 정치력이 80으로 군사가 가능하지만 지력이 고작 65라 삼국지 3의 군사들 중에서 지력이 제일 낮아서 의미가 없다. 의도된건지는 알 수 없으나 아버지 곽가와 능력치 배분이 비슷하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3/무력 29/지력 70/정치력 76의 그저그런 문관. 병법으로는 조영과 혼란 뿐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9/무력 23/지력 75/정치력 74/매력 28의 흔하디 흔한 문관계. 왕창의 평가 덕에 매력까지 낮다. 특기는 반목, 유인. 총 2개인데 특이하게도 모두 계략계다.

삼국지 12에서는 삭제되었다가 PK에서 추가됐는데 일러스트는 아버지를 닮아서 술을 좋아한다는 것을 강조하려고 오른손에 술잔을 들고 있다.

지력이 70이지만 이번작에서 군사 특기를 가진 무장 중 가장 지력이 낮다. 하지만 위보의 책같은 쓸만한 전투용 비책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전법은 복병이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3/무력 29/지력 70/정치력 76이다. 특기는 상업 3, 문화 3, 교섭 2. 전수특기는 상업. 중신특성은 없고, 전법은 자신의 부대가 창병이면 공격력이 증가하는 창공강화다. 음성은 정중.

그러나 능력치는 전투에 적합하지 않으며 병과 적성도 올 C에 불과하니 상업과 문화, 교섭이 있다는 점을 살려 내정에나 열심히 굴려주자.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20, 무력 24, 지력 70, 정치 74, 매력 28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3, 무력이 5, 정치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언독, 주의는 명리, 정책은 태학 Lv 3, 진형은 안행, 전법은 도발, 매성, 친애무장은 왕창,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언독 개성과 도발 전법이 있지만 전투 능력이 낮아서 내정용으로 쓰인다.

69. 곽회

파일:삼국지3곽회.png
삼국지 3
파일:Guo_Huai_4_(1MROTK).png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99.jpg
삼국지 12, 13
파일:곽회(14).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초기에는 그저 평범한 무장들 중 하나였지만, 시리즈가 계속될수록 재평가가 되어 모든 능력치가 70~80대인 만능형 장수로 등장하여 꽤 쓸모 있다. 연의와 정사의 사망연도가 약간 차이가 있는데 갈수록 정사 반영 비중을 늘리는 추세여서 그런지 최근작에선 사망연도가 연의의 253년이 아닌 정사대로 255년으로 나오고 있다.[32]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이후 작품에서와는 달리 영 좋지 않다. 육전지휘 53/수전지휘 20/무력 58/지력 66/정치력 67/매력 50/야망 8/운 7/냉정 5/용맹 8로 완전히 잡장이다. 덕분에 오습이나 동형 같은 허접들도 될 수 있는 장군도 못 해먹는 굴욕을 당했다. 그리고 뭐가 어찌 됐는지 번역이 뭐가 잘못됐는지 간에 곽회나 곽혁이나 둘다 똑같이 곽회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79/지력 72/정치력 65/매력 66로 균형잡힌 편이다. 기본 보유 진형은 봉시, 횡액, 방원. 특기는 복병, 화계, 진화, 화시, 격려, 침착이다.

삼국지 6에서는 통솔 77/무력 75/지력 71/정치 71/매력 70에 꿈은 정복, 성장은 보통으로 등장은 와룡과 봉추 시나리오부터다.

만능형의 평범한 무장인데 어디든 써먹을 수 있으나 특출난 부분은 없기에 아쉬움이 따른다. 네임드 무장들이 거의 사라진 최후반기 시나리오인 오장원의 지는 별에서는 유용한 인적 자원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4/무력 77/지력 82/정치력 73. 병법으로는 분전, 돌진, 기사, 투석, 매도, 고무를 가지고 있는 B+~A급 무장이자 문관.

굳이 흠이라면 모략계 병법이 없어 지력 82를 써먹기 좀 안 좋다는 것 정도다. 특이하게도 얼굴 사진이 측면을 바라보는 방향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6/무력 77/지력 82/정치력 75/매력 78. 총합 398로 이는 전체 22위에 해당하며 특기도 14개(보수, 치안, 징병, 돌격, 일제, 진정, 고무, 은밀, 저지, 유인, 지리, 기합, 삼단, 간첩)나 된다.

후기 장수라는 걸 감안하면 가치는 더더욱 올라가며 이 때부터 투구의 모양이 정립됐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7/무력 78/지력 81/정치력 75/매력 77에 병과 적성은 극병 S/창병 A/기병 A/노병 C/병기 B/ 수군 C. 특기는 다소 별 볼 일 없는 불굴이어서 정사에서 나오는 대촉방면 방어군 에이스의 느낌은 전혀 나지 않는다.

그래도 우금(규율), 학소 등과 더불어 모든 통/무/지 모두 평타 이상을 쳐주는 B+급 올라운더 무장 중의 하나. 곽회가 나타나는 시점엔 곽회 급의 능력치를 소유한 무장들이 그리 많지 않고 있더라도 금방 수명이 다하기에 능력치에 비해 굉장히 좋은 무장으로 굴릴 수 있다. 수명도 정사를 따라 69세까지 살기에 대부분의 경우 삼국 통일 때까지 위나라의 주요 전력으로 사용된다.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주변에 워낙 쟁쟁한 호걸들이 넘쳐나는 지라 단독으로 굴리기 좀 애매하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했듯, 통/무/지가 모두 괜찮은 편이라 혼자 다녀도 계략 관광을 당하지는 않는다. 학소와 더불어 불굴 특기를 소유하고 있어서 통/무/지가 70 이하인 무장들이 활개치고 있는 전장에서는 여포와 같은 존재이기도 하다. 친애무장으로는 상관이었던 조진하후연이 설정되어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말을 타고 고삐를 쥔 채 오른손으로 손짓을 하고 있다.

능력치는 전작에서 매력이 삭제된 통솔력 87/무력 78/지력 81/정치력 75에 기본적으로 군사 특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비책으로는 수탈지책, 고무지책 등이 있다. 전법은 수성전에서 매우 쓸 만한 궁군강사. 수성전에서의 궁병의 위상은 상상을 초월하기 때문에, 정사에서의 곽회의 능력을 한껏 살릴 수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4/무력 78/지력 82/정치력 77. 특기는 상업 3, 훈련 7, 순찰 5, 교섭 5, 신속 5, 분전 6, 연전 2, 견수 5로 전수특기는 훈련이다. 그야말로 만능의 특기에 중신특성은 기마조련이다. 적성은 창병과 기병이 A/궁병 C. 전법은 포인트 3을 소모하는 방원진. 음성은 어째선지 이상하게도 관리. 생년이 불명인데 187년생, 연의대로인 253년 사망이 아닌, 정사대로 255년 사망으로 설정되어 있다.

능력치는 그다지 변한 게 없지만 전작들에 비해 통솔력이 하락하고 지력과 정치력이 소폭 상승하여 총합으로는 동일하다. 그 대신 특기, 중신특성 등이 대폭 상향되어서 위나라의 필수 인재가 되었다. 하지만 나이가 차면 바로 등장하지는 않고 206년에 재야로 등장한다. 다만 특기, 중신특성에 비해 방원진이라는 매우 부실한 전법을 가지고 있는데 버티기에는 상당히 좋지만 서북을 책임진 장수의 전법이라기에는 매우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삼국지 11의 특기를 이어받은 것 같기도 하다.

삼국지 14에서는 100만인의 삼국지의 모습으로 변경되었고 능력치는 통솔력 87, 무력 78, 지력 82, 정치력 75, 매력 76으로 통솔력이 3 상승한 대신 정치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견수, 불굴, 신중, 산전, 후위, 주의는 패도, 정책은 지세연구 Lv 4, 진형은 어린, 봉시, 방원, 장사, 고유전법은 아군의 방어를 상승시키면서 적군에게 혼란을 부여하는 불요불굴이며 그 이외의 전법으로는 분전, 업화, 저지, 진정, 친애무장은 왕릉, 조진, 하후연, 혐오무장은 하후패다. 출진 화면에서 견수 개성 설명 때 "이 곽회, 끈기라면 그 누구에게라도 지지 않는다."라는 전용 대사가 뜬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용장남으로 설정되었다.

DLC로 등장한 성씨패란에서는 남피의 군주로 나오며 부하로는 곽가, 곽도, 곽마, 곽사, 곽석, 곽여왕, 곽원, 곽유지, 곽혁까지 총 9명을 두고 있으며 소속 도시의 재야 무장으로는 견초, 견홍, 계옹, 문추, 봉기, 석포, 수원진, 안량, 음기, 초촉, 최주평 총 11명이 있다.

70. 관구검

파일:삼국지3관구검.png
삼국지 3
파일:Guanqiu_Jian_(1MROTK).png 파일:external/kongming.net/100-Guanqiu-Jian.jpg 파일:external/kongming.net/293-Guanqiu-Jian.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9, 10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152.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능력치는 그냥저냥 굴릴 수 있을 정도다.

삼국지 2에서 딱 한 번 무력 90을 찍고 나와서 먼치킨 장수가 된 적이 있다.

삼국지 3에서도 무력은 75이지만 저조한 수준의 수전지휘 때문에 장군이 되지 못한다. 야망도 개쩔게 높아서 구호탄랑이 아주 잘 걸리는 무장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1/무력 76/지력 47/정치력 64로 병법으로는 돌파, 주사, 제사, 정란을 가지고 있다. 가진 병법도 좋아서 거의 삼국지 2에 이은 제2의 전성기.

대신, 야망이 14로 이간질의 타겟이 되기 쉽다. 지력이 저 모양이니, 충성도 유지 비용으로 들어가는 돈 100도 아까운 초반에는 어쩔 수 없이 써야하지만, 반 연합이 걸리면, 이간질로 충성도가 떨어진 관구검은, 열에 아홉은 부대 전병력을 거느리고 도망간다. 성격이 신중인지라, 조금만 병사 사기가 떨어져도, 명령을 무시하고 튀는 성격 때문에, 전장에서 굴리기도 힘들다. 촉에 장서가 있다면, 위에는 관구검이 있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 물론, 위나라 인재풀로 보자면, 관구검 같이 신중에 무관인 녀석은 별로 없다. 때문에, 포로로 잡는다면, 속 편하게 참수가 답이다. 일기토도 걸지 않는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9/무력 74/지력 51/정치력 58/매력 53의 무관형. 특기는 농업, 기술, 치안, 화시, 기습, 유인, 회복, 반격. 총 8개다.

그래도 후기에 등장하는 장수라 저 정도면 인재풀이 제일 나은 위나라 소속이더라도 그냥저냥 굴려먹을 수 있다. PK 전용인 253년 고전분투 시나리오 정도로 가면 모든 장수를 통틀어서 통솔 80 넘는 장수가 20명도 안 되는지라. 무력 70이 넘는 무장임에도 불구하고 성격이 소심이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8/무력 74/지력 52/정치력 56/매력 54. 특기는 없다.

영웅집결에서는 수춘을 근거지로 하는 군주로 등장한다. 특이하게 친애무장에 자기를 토벌한 제갈탄이 포함되어 있으며 제갈탄과 그 부하들도 부하로 두고 있다. 제갈탄도 수춘에서 반란을 일으켰고 11은 도시 수가 적어서 둘을 나누기도 곤란해서 이렇게 처리한 듯. 휘하에는 듣보잡들 정도밖에 없지만 내정형 모사인 하후현과 맹장인 문앙문흠 등이 쓸만하다. 주위에는 원술, 도겸, 공주 등이 있기에 초반에는 어느 정도 세력을 확장할 수도 있겠지만 그 후부터는 조조, 손견, 여포 등 강대국들을 상대해야 한다. 수춘 자체가 방어하기에 영 좋지 않은 지역이라 최소 4세력(조조, 여포, 장각, 손견) 이상에서 최대 8세력(조조, 여포, 장각, 도겸, 유요, 원술, 손견, 유표) 정도까지를 어떻게든지 잘 막아야 진출할 길이 생긴다. 그러니 인재 쑥쑥 흡수시키고 내정을 탄탄히 다지자.

삼국지 12 일러스트는 찡그린 얼굴을 하고 있으며 어째 관정의 포즈와 동일한데 옷만 갑옷이며 칼만 다른 걸 들고 있다. 전법은 기군신속.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8/무력 74/지력 55/정치력 56. 특기는 순찰 1 단 하나. 전수특기 역시 당연히 순찰이다. 전법은 자부대의 공격력을 올려주는 공격강화로 네임 분류에 비해 평범한 전법.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보통.

강유북벌 시나리오에서 반란군으로 등장한다. 이 때의 근거지는 수춘이 아니라 유주 일대인데, 고구려 동천왕을 격파하고 기고만장해서 반란을 일으켰다는 설정인데, 문흠 일가와 제갈탄은 관구검 부하가 아니라 따로 논다. 제갈탄이야 그렇다 쳐도 문흠, 특히 문앙이 휘하에 없는 건 아쉬운 대목. 그나마 나온 DLC 시나리오에서는, 군주로 나오는 경우가 좀 있다. 물론, 능력치와는 별개로, 특기가 거의 없는 수준인 만큼, 버리는 게 제일 낫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8, 무력 74, 지력 55, 정치 56, 매력 53이며 개성은 독려, 농정, 개수, 소침, PK에서는 금강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패도, 정책은 군제개혁 Lv 4, 진형은 어린, 학익, 정란, 전법은 돌격, 경파, 업화, 도발, 정란, 친애무장은 이풍, 제갈탄, 조상, 조예, 하후현, 혐오무장은 사마사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위엄남으로 설정되었고 이번작부터 아버지 관구흥이 추가되었다.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 다시 수춘의 군주로 복귀하고 부하로는 관구수, 관구전, 관구흥, 당자, 문앙, 문호, 문흠, 오강, 윤대목, 이풍, 장반, 장집, 제갈정, 제갈탄, 초이, 하후현까지 총 기존 13명과 추가된 아버지, 당자, 윤대목 3명을 합친 16명을 두고 있다. 소속 도시의 재야 무장으로는 유엽, 장구, 주광, 창자, 호질 총 5명이 있다.

수춘이 방어하기가 어려운 도시이나 정치 94의 하후현과 무력 91의 문앙, 등용한다면 지력 93의 유엽이 있어서 조조, 유비, 손견, 원소에 꿀리지않은 인재진을 자랑한다. 옆에 공주, 원술 밖에 없는지라 의외로 영웅집결 세력들 중에서 난이도가 쉬운 축에 속한다. 메이저 세력인 손견은 개발력이 낮은 시상이라 초반에 고전한지라 사실상 조조와 여포만 주의하면 되고 공식 난이도는 별 3개인데 실질적으로 별 2개로 불과한다. 좀 더 쉽게 하려면 옆 동네 광릉을 점령하는 것도 추천한다.[33] 영웅난무 시나리오에서는 수춘의 재야로 등장한다.

71. 관구수

파일:external/kongming.net/294-Guanqiu-Xiu.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153.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아마도 영웅집결에서 세력을 만들다보니 장수가 너무 부족해서 등장한 듯. 물론 능력치는 형 관구검이랑 비교해도 많이 처진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그래도 원수 관계가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낮다고 처형했다가는 형 관구검과 원수 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2/61/32/43. 병법으로는 기사, 제사 뿐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8/63/35/38/51. 특기는 진정 단 1개. 관구검 진영이 아닌 이상에야 이런 녀석 써먹을 곳은 없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검을 든 채 물가에 숨어있는데, 관구검의 난이 실패하자 물가에 숨어다는 기록을 참고한 것이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8/62/33/38로 안 그래도 구린 능력치가 더 너프되었다.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이고 전법 역시 잉여한 궁방강화.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9, 무력 62, 지력 33, 정치 38, 매력 51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상승했다. 개성은 모집, 주의는 할거, 정책은 성벽확장 Lv 2, 진형은 어린, 전법은 연노, 구축, 친애무장은 없고 혐오무장은 형 관구검과 마찬가지로 사마사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72. 관구전

파일:external/kongming.net/292-Guanqiu-Dian.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154.jpg
삼국지 13, 14

숙부 관구수와 마찬가지로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불쌍한 얼굴을 하고 있다. 능력치도 그저 그렇다. 아버지 관구검이 독립해서 군주로 나올때나 쓸 장수가 없으니 할 수 없이 쓸 정도. 그래도 후기 장수들 중에서는 만능형 구색을 맞추고 있는 장수라서 나쁘지 않게 쓸 수 있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그래도 원수 관계가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낮다고 처형했다가는 아버지 관구검과 원수 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4/51/72/75의 문관형 능력치. 관구검보다 지력이 훨씬 좋은데 병법으로는 기사, 제사, 고무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3/58/68/70/58에 특기는 치안, 반목. 총 2개 뿐.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연의에서 두 손을 주먹쥐고 올리면서 부친 관구검에게 거병할 것을 권유하고 있는 모습이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3/60/69/70. 특기는 농업과 순찰을 각각 1씩 보유했다. 전수특기는 농업이며 전법은 궁공강화.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2, 무력 58, 지력 68, 정치 70, 매력 61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과 지력이 각각 1, 무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운반, 주의는 할거, 정책은 어린강화 Lv 3, 진형은 어린, 전법은 격려, 업화, 친애무장은 없고 혐오무장은 부친 관구검, 숙부 관구수와 마찬가지로 사마사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73. 관구흥

파일:관구흥.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왼손에 검을 쥔 상태로 팔짱을 끼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68, 무력 64, 지력 50, 정치 68, 매력 70이다. 개성은 축성, 위무, 친강, PK에서는 보좌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왕도, 정책은 시설개발 Lv 3, 진형은 어린, 장사, 전법은 분전, 견제, 매성, 친애무장은 소칙, 장기,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용장남.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 아들인 관구검의 부하로 배치되어 있다.

74. 관녕

파일:external/www.gamecity.ne.jp/warriors_photo11L.jpg
삼국지 11

삼국지 11 콘솔판에서만 등장했는데 관평과 친형제로 설정되어서 인지 복장 색깔만 제외하면 관평과 매우 닮았다. 능력치는 통솔력 48/무력 62/지력 73/정치력 75/매력 70, 특기발명이다. 적성은 창병 B/극병 C/노병 B/기병 C/병기 A/수군 B로 그럭저럭 내정용으로는 적절한 무장이다. 애초에 짧게 나온 인물이니 이 정도 능력치도 높게 쳐준 편이다.

75. 관로

파일:삼국지3관로.png
삼국지 3
파일:external/kongming.net/279-Guan-Luo.jpg
삼국지 11
파일:관로14.jpg
삼국지 14

조안의 일화를 반영하여 주로 수명연장 이벤트에 등장한다.

삼국지 3에서는 화타, 좌자, 사마휘, 간길 등과 마찬가지로 나그네로 설정되어 있지만 뭔가 물려주는건 없고[34] 이런저런 예언[35]을 해준다.

삼국지 4에서는 매월 다른 도시로 이동하며, 말을 걸어보면 주로 플레이어의 지배하에 있지 않은 도시나 재야 장수에 대한 정보 등을 알려주지만 낮은 확률로[36] 말을 건 장수의 수명을 늘려준다. 이 점은 보정도 같다.

삼국지 5에서는 특수 무장으로 등장.

특기는 점술, 진립, 수습, 기우, 도술, 반계로 다른 특수 무장처럼 아이템이 있는것도 아니라 조금은 떨어지는 편이지만 도술 만큼은 쓸만하기 때문에 사마휘, 허자장보다는 낫다.

삼국지 8에서도 특수 무장으로 등장.

조조 성향의 인물이고 주로 하북 지방을 떠돌아다니며, 친해질 경우 천문 특기를 전수해준다. 또한, 수명이 다해 죽을 때가 된 장수로 플레이하면서 관로와 신뢰관계 이상일 경우 남두, 북두가 나타나서 수명 1(약 10년)을 늘려주기도 한다.

삼국지 9에서는 신망이 일정 수치 이상인 상태에서 평원 옆의 둔구를 탐색하면 관로 방문 이벤트가 발생한다. 그리고 계양을 탐색하면 수명 연장 이벤트를 볼 수 있다.

삼국지 10에서도 특수 무장으로 등장.

이곳저곳을 떠돌아다니며 플레이어가 해당 조건을 만족했을 경우 무상으로 특기를 가르쳐준다. 무려 내정, 전투, 계략, 일기토, 면박을 제외한 설전 특기를 가르쳐주는 특수 무장 중에서도 가장 유용한 무장이며 조건을 만족할 경우 수명을 10년 늘려주는 남두성군북두성군의 이벤트도 존재한다. 수명이 얼마 없는 인물로 시작할 경우에는 필히 친해져야될 인물. 나이 때문에 후기 시나리오에서만 등장하는 것이 단점이다. 그나마 연의의 영향을 받아서인지 191년 생으로 설정되었기 때문에 207년 시나리오부터 볼 수 있는 것은 다행. 원래대로 209년생으로 설정할 경우엔 10원본에선 226년 출사표 시나리오를 제외하면 볼 수가 없게 된다.

삼국지 11에서는 관로가 있는 도시에서 탐색할 경우 해당 무장의 친애, 혐오 무장을 알려준다.

이후 삼국지 12부터 나오지 않았다가 삼국지 14에서 무려 14년 만에 복귀했다. 일러스트를 보면 두 손으로 점술 도구를 들고 있다.

76. 관색

파일:삼국지3관색.png
삼국지 3
파일:Guan_Suo_4_(1MROTK).png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Guan_Suo_%28ROTK11%29.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158.jpg
삼국지 12, 13
파일:관색14.jpg
삼국지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쓸만한 무력에도 불구하고 관흥, 장포 콤비는 물론 관평보다도 존재감이 없는 편이다. 하지만 장포, 관흥과 무력이 엇비슷하지만 조금 더 오래 살기 때문에 종합 평가는 더 높다. 후반 시나리오에서는 정말 귀중한 인재다. 게다가 아버지의 유품인 청룡언월도의 부가 무력까지 합쳐지면 무력이 90대가 된다.

삼국지 2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91/지력 68/매력 69로 관우를 부하 장수로 두었을 경우 자동으로 임관하게 된다. 최후반 시나리오의 경우엔 강유와 함께 촉나라의 투톱이 된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80/수전지휘 70/무력 85/지력 68/정치력 59/매력 70/야망 9/운 9/냉정 9/용맹 10으로 관우의 아들이라는 설정 덕분인지 후반 장수 치고는 대우가 후하다.

무력이 85에 육전지휘가 80대라서 제갈량 사후인 마지막 시나리오에서는 조광, 마대, 강유, 맹획, 왕평과 더불어 촉의 핵심 장수 중 하나로 활약한다. 야망, 운, 냉정, 용맹은 보통보다 살짝 좋은 수준이다. 같은 가공인물인 주창에 비하면 주창보다 지력과 정치력이 훨씬 좋아서 상당히 유용하다. 주창은 지력이 심각하게 낮아서 모조전령과 자군공격에 무조건 걸리지만 관색은 어느정도 회피한다.

삼국지 5에서의 기본 능력치는 무력 86/지력 62/정치력 47/매력 76. 청룡언월도를 소지한 경우인 오장원에 떨어지는 별 시나리오에서는 무력 95로, 93인 강유보다 높아서 유선군의 에이스다. 진형은 학익, 안행. 특기는 내분, 복병, 무쌍, 화시, 분기, 낙석.

다만 수명이 2로 매우 낮아 40대에만 들어서도 사망률이 꽤 높은데 시작 시점에 이미 41세다. 다행히 유선군엔 이미 점술을 익힌 상태인 초주허정이 존재하므로 둘을 이용해 어떻게든 수명을 보완해주자. 아울러 용맹이 6이기 때문에 생각만큼 일기토 성능이 뛰어나지 않다. 후반기 시나리오의 능력치 하향평준화가 있다지만 그 허저가 240년대까지도 팔팔한 이번작의 특성상 안심할 수 없다.

삼국지 6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9/무력 85/지력 67/정치력 29/매력 74로 전형적인 무관 능력치다.

무력이 85로 B+급은 되는데 관색의 등장 시점은 후반부에 이번작의 무장들 반쯤이 스탯이 낮은 편이라 파워 디플레이션을 적용하면 사실상 A급 이상이다. 그리고 아버지의 유품인 청룡언월도를 합하면 무력이 93으로 후반부 장수 중 S급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81/지력 57/정치력 48로 등장하는데 병법으로는 분투, 돌진, 기사, 충차를 가지고 있다.

분투와 돌진을 가진 것 까지는 형제들과 같지만 유독 혼자서만 아버지와 형들과는 달리 제사가 아닌 기사를 가지고 있어서 병법 연계를 노릴 때 좀 불편하다. 물론 그냥 장수 1명이라고 생각하면 이 쪽도 장점이 많다.

삼국지 10부터 일러스트가 요상한 턱수염을 달고 나온다. 모든 능력치가 관흥보다 떨어지는 통솔력 72/무력 82/지력 55/정치력 49/매력 70에(관흥은 통솔력 76/무력 86/지력 63/정치력 52/매력 72) 특기 6개는 일제, 은밀, 회복, 역공, 삼단, 나선으로 모두 전투와 일기토에 집중되어 있다.

은밀 특기는 이릉대전 때에 부상을 입고 숨어서 요양한 것을 반영한 듯. 청룡언월도도 관우 사후 시나리오에선 관흥이 들고 나온다. 수명은 관흥보다 5년 더 오래 살게 설정되어 있지만(관흥은 234년, 관색은 239년) 어차피 227년 시나리오에선 둘 다 나오고, PK전용 시나리오인 253년 고전분투에선 둘 다 죽어서 안 나오니 별 의미는 없다. 이번작에선 제갈량 사망 시나리오가 없고 출사표 시나리오 밖에 없기 때문에 문제가 된 것. 특기도 6개로 관우 아들들 중 가장 적은 등(관평 9개, 관흥 8개) 여러모로 홀대받았다. 가공 인물이 실존 인물보다 홀대받는 이번작의 특징이다. 특이사항으론 연의의 내용대로 형주 함락 시 요양하는 걸로 되기 때문에 이릉전투 시나리오에선 유비군 소속이 아닌 재야 장수로 등장한다.

삼국지 11의 능력치는 통솔력 74/무력 88/지력 52/정치력 47/매력 74이고 기병 적성이 S인데다가 1티어 특기인 질주를 달고 나와 에이스의 반열에 올랐다.

관우가 기병 적성이 A이므로 기병 적성 S인 관색을 부장으로 붙이고 기병으로 출전해 기병 전법 크리티컬을 날려댈 수 있다.[37] 관우가 죽은 후에도 충분히 혼자서, 아니면 계략 방지용으로 지력 높은 부장을 데리고 다니면서 기병 전법 난사를 해대면 전투가 엄청나게 쉬워진다. 질주의 특성상 활용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폭풍 공적 상승으로 인해서 어느순간 조운 같은 맹장보다 더 높아진 공적수치를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수명은 그리 길지 않아서 주의를 해줘야 한다. 묘하게 아폴로 안톤 오노와 닮은 일러스트. 이번작부터 관색의 아내인 포삼랑화만이 등장하고 콘솔판에서 왕도, 왕열이 추가되면서 삼국지 11 콘솔판은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중 관색의 부인 4명을 모두 등장시킨 유일한 작품이 되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포권을 하고 있으며 전작에 비해 얼굴이 많이 준수해졌다. 전법은 복병신속으로 지휘채가 5소비라서 소비가 크지만, 공격 강화+속공+복병이라서 좀 괜찮은 편이다.

삼국지 13의 능력치는 통솔력 74/무력 88/지력 56/정치력 47, 특기는 훈련 2/ 순찰 1(포삼랑 인연 효과)/ 신속 5(화만 인연 효과)/ 일기 5/ 호걸 2, 병과 적성은 창 B/기 A/궁 C, 중신특성은 호단맹진, 전법은 자부대 기병 특정방향 돌격, 공격 +1을 부여하는 3 포인트를 소모하는 기병돌격, 전수특기는 일기다. 음성은 청년.

포삼랑과 화만을 모두 아내로 지니고 있어, 주군인 유비와 더불어 시작부터 하렘이다. 가장 후반부 시나리오인 강유의 북벌땐 동생 관은병과 함께 강유가 있는 한중에 주둔해 있는데 동생과 함께 강유의 시름을 덜어줄만한 몇 안 되는 무장. 동생이 전투 특기로 신속 5, 분전 1, 견수 3, 수영 1, 일기 3를 가지고 있으니 관색 플레이 시 인연으로 연계가 가능하고 특기도 부대에 더 부여해 줄 수 있는 동생을 부관으로 두고 가성비 좋은 기병돌격을 써주면 꽤 괜찮은 성과를 얻을 수 있다.

PK 영웅십삼걸 시나리오로 1인 독고다이 플레이를 할 수 있는 최적의 장수다.영웅십삼걸 추천무장 관색 추천글(가입필요) 가입안한 유저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우선 적당히 육성의 재미가 있는 준수한 능력치. 위에서 보듯 관색은 스탯이 맹장형이고 영웅십삼걸 플레이시 인연빨로 특기가 신속 6렙에 일기가 7렙까지 오른다. 여기에 호걸까지 있으니 한 마디로 무관 위명 타기에 최적화 되어있는 장수라는 것이다. 또 전법 특성이나 적성상 거의 기병으로만 나가게 될 것인데 기병돌격이 알고 보면 1인 무쌍 장수 플레이를 원하는 플레이어들에겐 즐기기엔 최적의 효율성, 가성비를 가진 전법이댜. 채배는 겨우 3포인트인데 이 게임에서 돌격의 사기성이야 말할것도 없고 어차피 무장컨셉 플레이하는 만큼 전투에 활약하는 관색의 모습을 보고자하면 단기 필마로 적진에 돌격해 무쌍을 찍는 맹장으로 성장시킬수 있다. 따라서 굳이 공적을 많이 올려 지휘관으로 키우지 말고 관색을 플레이 할 시 되도록 타무장 공적 많이, 자무장 공적 적게 함으로 최대한 진급을 느리게 하고 돌격형 맹장으로 키워보는걸 추천한다.[38] 이러면 엄청난 스탯에 10년 가까이 키워도 7품관 수준에 머무르는 맹장 관색을 볼 수 있다.

거기다가 관색은 관우의 3남이라는 입장상 충실한 인간관계를 유지하는게 가능하다, 아버지나 큰형의 위상은 물론이거니와 시작과 동시에 관색과 얼추 비슷한 스텟이고 품관도 낮은편인 작은 형 관흥과 동생 관은병을 동지로 편입이 가능하다. 일단 여동생 영입하고 친서 송부로 하후씨 보내면 줄줄이 촉나라 주변 여캐들 다 끌어모을 수 있다.이 엄청난 여캐 영입수준을 보라 거기에 이미 화만과 포삼랑이라는 A급 여캐 무장이 아내로 되어 있다. 화만은 맹획소속이지만 플레이 시작과 동시에 유비 목표는 맹획 멸망이기 때문에 1, 2년 안에 화만 데려올 수 있고 축융도 덤으로 데려올 수 있다. 포삼랑은 바로 나오지 않고 성도에서 조사시 재야무장으로 등장하는데 굳이 관색이 있는 강주에서 성도 갈 것도 없고 맹획 멸망하고 화만 영입할 때쯤 포삼랑도 알아서 누군가 조사해서 등장하는데 관색 화만 포삼랑 3인 파티나 취향에 따라 여기서 한명 빼고 동생 관은병을 파티에 넣으면 부대가 아주 든든해진다.

물론 직접 모든 부대를 컨트롤하기 원하는 사람에겐 비추, 어디까지나 무장의 일생에 맞춰 모든 전투는 주인공 혼자만 컨트롤해야 재밌다는 사람에게 추천하는 플레이. 강유 북벌 시나리오에서는 포삼랑도 화만이 죽었기 때문에 없는데, 정작 화만의 부모인 맹획과 축융도 살아있다.

삼국지 14에서는 일러스트가 창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변경되었으며 능력치는 통솔 73, 무력 88, 지력 54, 정치 45, 매력 72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지력과 정치력이 각각 2 하락했다. 개성은 과감, 숲전, 강건, 저돌, 주의는 아도, 정책은 장사강화 Lv 4, 진형은 봉시, 장사, 추행, 전법은 급습, 대갈, 교란, 강습, 친애무장은 관은병, 포삼랑, 화만,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게 난폭남으로 설정되었고 고유전법을 받은 형제들에 비해 관색만 유일하게 고유 전법이 없다. 역시 가짜 아들이라 고유 전법이 없다

77. 관순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285.jpg
삼국지 13 PK, 14

동료 경무와 마찬가지로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25년만에 복귀했는데 보통 관순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삼국지 3에서는 시나리오 1 한복 진영의 문관으로 등장하는데 B급 중에서도 아래 능력치의 인재지만 내정 인재 기근에 시달리는 시나리오 1의 유비를 플레이하는 플레이어들에게는 귀중한 문관 캐릭터라서 초반에 자주 영입을 시도한다. 특히 조조원소가 업성을 자주 털어서 한복 멸망 후 낮아진 충성도의 관순을 영입하는 일도 많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허리에 댄 상태에서 왼손으로 턱을 잡은 채 고심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62/무력 42/지력 61/정치력 69.[39] 특기는 상업 1, 설파 1. 전수특기는 상업이며 전법은 고무. 음성은 청년. 생년이 169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특이하게도 원소 앞에서 발악한 모습을 반영하여 무기 취향이 활이며 무관으로 분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일정확률로 일어나는 일기토에 얄짤없이 휘말린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35, 무력 38, 지력 71, 정치 60, 매력 61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10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거의 3배인 27, 무력이 4, 정치력이 9 하락했다. 개성은 동지, 주의는 예교, 정책은 성벽확장 Lv 3, 진형은 안행, 전법은 매성, 진정, 친애무장은 당연히 경무, 혐오무장 역시 경무와 마찬가지로 원소다. 전작과 달리 출생년도가 158년으로 변경되었고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78. 관승

파일:관승14.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도검을 든 채 어깨에 메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63, 무력 71, 지력 24, 정치 16, 매력 25다. 개성은 수전, 적도, 주의는 아도, 정책은 수군육성 Lv 3, 진형은 안행, 전법은 급습, 강습,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어투는 난폭남. 생년은 158년, 몰년은 207년까지 되어있다.

능력치는 잡장이라 평소에 내정용으로 쓰이지만 수군이면 스탯이 높아지는 수전이 있어서 쓸모없는 수준이 아니다. 황건적의 난 시나리오에서 장각 휘하의 장수로 나오며 소방거수 직책을 가지고 있다.

79. 관우

관우(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80. 관은병

파일:Guan_Yinping_4_29.webp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Guan_Yinping_%281MROTK%29.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62.jpg
삼국지 12, 13
파일:삼14관은병.jpg
삼국지 14
파일:5fbba1c110ff3dc0f9824a1dcb95ec1f.png
삼국지 14

삼국지 11 콘솔판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능력치는 통솔력 70/무력 82/지력 52/정치력 56/매력 78이다.

특기혈로에 창병, 극병, 기병 적성이 A로 능력치를 요약하자면 여성 버전 요화라 할 수 있는데, 무력이 제법 높은 편이라 지력만 보충해 주면 필드에서도 제법 쓸 만한 성능이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언월도를 든 채 째려보는 듯한 눈빛을 보내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78/지력 42/정치 24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 이외의 능력치가 크게 너프되었다. 전법은 돌파에 특기는 연병, 감시, 보수, 일기, 신속으로 무려 5개나 된다. 통솔력이 20밖에 안 되는 장씨(경애황후)에 비하면 전장에서 써먹을 수 있는 능력치. 거기에 경애황후처럼 일찍 퇴장하는 게 아니라 역사상 촉이 망하는 이후인 271년까지 살아 있기 때문에 오래 키울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다. 특기는 훈련 2, 순찰 2, 신속 5, 분전 1, 견수 3, 수영 1, 일기 3으로 전수특기는 신속. 음성은 용감녀. 전법은 전법포인트 3의 연격으로 자부대 연격효과(공격 -2, 공격속도 2배)를 지니는데 70% 대미지로 같은 시간에 2번 더 공격할 수 있는 효과다. 병과 적성은 창병 A/기병 A/궁병 B, 중신적성은 아버지와 동일하게 창술조련. 똑같이 창술조련을 가진 큰오빠가 아버지랑 활동 시기가 겹쳐서 중신으로 있을 일이 거의 없는 것과 달리 이쪽은 아버지랑 오빠 사후인 후반기 시나리오에 나와서 중신으로 자주 볼 수 있다.

전작에 이어 민간전승과는 달리 전 시나리오에서 미혼으로 등장하며,[40] 여기서도 수명이 전작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어서 최후반기 시나리오에서도 현역으로 등장한다. 수명이 짧고 중신특성이 없는 둘째 오빠보다 오히려 쓸모있는 부분이 많다. 장비가 살아 있을 때 관은병이 있다면 신속이 없는 장비의 약점을 보완해주는 부장으로 좋지만 관은병이 나올 시점이 늦다. 보통 219년 시나리오를 선택하고 장비로 플레이 할 경우 시작하면 관은병이 나와 있고 장비는 부자연사 판정으로 240년대까지는 활동에 문제가 없으므로 인연을 맺어두고 부장으로 삼아 두면 좋다. 전체적인 이미지 컬러가 진삼국무쌍 7과 8의 관은병과 비슷하다.

관은병 본인 플레이도 꽤 할 만한 편인데 일단 활동 시기가 엄청나게 긴 데다가 가지고 있는 특기도 괜찮고 중신적성까지 있어 조금만 신경쓰면 인연을 맺은 무장(관우 등)들을 사사하거나 전장에 참여해서 능력치를 마음껏 육성할 수 있다. 단적으로 후반 시나리오인 253년 강유의 북벌 시나리오[41]를 기준으로 촉한 진영에 군무중신 특성으로 창술조련을 가진 장수가 관은병 밖에 없으며 관은병을 군무중신으로 기용하면 상당수의 장수들은 물론 관은병 본인도 창병 S가 된다. 여기에 기병까지 A 적성이니 적성이나 중신특성으로 따지면 포텐셜은 물론이고 후반부에 엄청나게 도움이 될 만한 장수인 셈. 다만 전법 자체가 아주 좋다고는 할 수 없는 연격인데 관평, 관흥의 돌진지휘, 철벽지휘를 사사하거나 아버지 휘하의 진도, 요화 등에게 공격지휘를 사사하면 좋다. 진도, 요화보다 관은병이 무력이 높은고로 전법을 사사하긴 쉬울 것이다.

삼국지 14에서는 100만인의 삼국지 일러스트로 변경되었으며 통무지정매 순으로 71/72/39/48/70으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24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2, 무력이 6, 지력이 3 하락했다. 무난한 수준인데다가 개성도 숲전(숲이나 밀림에서 능력치 상승), 혈로(범위 내 아군이 포로가 되지 않음), 친만(소속도시에 남만병 미출현, 매복지독으로 남만병 소환 가능)으로 쓸만한 편이다. 주의는 왕도, 정책은 어린강화 Lv 3. 진형은 어린, 봉시, 장사, 전법은 분전, 격려, 견제, 친애무장은 관우, 관평, 장비, 조운, 혐오무장은 여몽이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용감녀다.

삼국지 패도에서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84/87/67/55/85.

81. 관이

파일:external/kongming.net/283-Guan-Yi.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136.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능력치는 무력을 제외하면 잉여다. 그 무력마저도 60대에 그칠 때도 있고 전반적으로 적자인 형 관통보다는 능력치가 떨어지는 인상.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그래도 원수 시스템이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낮다고 처형했다가는 관우 일족과 원수 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삼국지 6에서는 문관의 이미지로 나왔지만 이후부터는 무장의 이미지로 나오게 되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4/무력 64/지력 46/정치력 51. 병법은 제사, 정란 뿐이다.

관우의 후손 보정받은 무력이 64라 최후반기에도 별 쓸모가 없다. 촉나라 멸망 시나리오에서는 청룡언월도를 보유하고 있어서 무력이 69로 오르고 분투 병법도 들어오지만, 하도 떨어지는 스탯에 어딘지 미묘한 충성도 때문에 이간지랄의 희생자 1순위가 되어 전투엔 거의 내보내지도 못한다. 물론 내보내도 장준과 비교하면 눈물이 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3/무력 65/지력 49/정치력 48/매력 63로 무력을 제외하곤 관통보다 모든 능력치가 10 정도씩 낮음에도 불구하고 막상 특기는 꼴랑 보수 1개밖에 없는 관통과 다르게 무려 특기가 4개나(치안, 화시, 고무, 저지) 된다.

그런데 특기라고 준 것 중에서 3개가 통솔력 관련인데(치안, 화시, 고무) 관이의 능력치 중 가장 낮은 게 통솔력(43)이고 나머지 하나의 특기가 저지다. 애초에 저지 자체가 효용도도 낮은 계략이고 무력 65로 저지를 써봤자 의미가 없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창을 든 채 입을 벌리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50/무력 62/지력 44/정치력 52. 특기는 일기 2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일기이며 전법이 기공강화였지만 PK에서 금족으로 변경되었다.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0, 무력 62, 지력 44, 정치력 48, 매력 59으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4 하락했다. 개성은 모집, 주의는 왕도, 정책은 방원강화 Lv 2, 진형은 방원, 전법은 연노, 친애무장은 없고 혐오무장은 방회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정중남이다.

형 관통이 교련 개성을 갖고 있는데 비해 자신은 모집 개성을 가지고 있으니 후방에서 병사를 모으는 데 사용하자.

82. 관정

파일:external/kongming.net/306-Guan-Jing.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161.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8 PK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무장이 없어서 고생하는 공손찬군의 문관으로 등장한다. 삼국지 9에서부터 기본적으로 공손찬의 군사로 설정되어 있으나, 조운이나 전예의 지력이 관정보다 더 높아 대부분의 유저들이 시작하자마자 군사를 교체한다. 그리고 일부 시리즈에서는 의리가 낮게 설정되어 있는데 관정 본인에게는 억울한 설정이다.[42] 그리고 참모들 중에선 시리즈 대대로 묘하게 무력이 높다. 정예 기마대로 유명한 공손찬 군의 참모라서 그런 듯하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39/무력 61/지력 72/정치 65. 병법으로는 돌파, 기사를 가지고 있다. 지력, 정치력은 그럭저럭 턱걸이 수준인 문관형 능력치이지만 모략이나 책략계 병법이 하나도 없다. 그래도 무력이 61은 되고 공손찬군은 세력 병법이 주사라 그럭저럭 써먹을 수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35/무력 50/지력 73/정치 68/매력 51이며 특기가 총 5개다.(상업, 화시, 반목, 유인, 군사)

공손찬 진영의 유일한 군사 특기 소지 무장인데 나머지 특기는 상업, 화시, 반목, 유인. 성격은 대담. 군사 특기는 사기지만 지력이 73이라 조언 성공율은 구리고, 통솔이 35라 생각만큼 턴이 그리 자주 오진 않는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36/무력 52/지력 72/정치 63/매력 42이며 특기는 없다.

지력이 72로 애매하지만 이번작의 계략 성공 확률 계산식 관계상 지력 차이가 20 정도 나는 전풍의 계략도 부장으로 견씨가 딸려오지 않는다면 약 50%의 확률로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부장용으로 없는 것보다는 훨씬 낫다. 그런데 이번작부터 성격이 소심으로 설정되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공손찬이 자결한 뒤 그 뒤를 따르려 결의를 다잡기 위해 검을 뽑으려 하고 있다.

하지만 군사 특기를 가지고 있지 않아서 그냥 쩌리 무장. 안 그래도 비책이 중요한 게임인 만큼 공손찬 진영은 약소 세력이 되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36/52/73/63.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이고 전법은 기병속공진. 음성은 관리.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36, 무력 52, 지력 73, 정치 63, 매력 41이며 개성은 신중, 징세, 소심, PK에서는 감수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명리, 정책은 지세연구 Lv 3, 진형은 방원, 전법은 업화, 매성, 친애무장은 공손찬,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간신배 출신이라서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83. 관통

파일:external/kongming.net/286-Guan-Tong.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165.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6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그래도 원수 시스템이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낮다고 처형했다가는 관우 일족과 원수 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삼국지 6에서는 70이 되는 능력치가 없는 평범한 무장이었다.

삼국지 7부터 갑자기 외모와 함께 능력치가 상향돼서 무력은 80대, 정치를 제외한 나머지도 70대인 수준으로 꽤나 괜찮은 능력치를 가진 무장으로 나온다. 그러나 이후 다시 하향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55/지력 62/정치력 63. 병법은 분투, 제사, 누선, 정란을 가지고 있다.

할아버지인 관우의 영향을 받아서인지 수군계 병법을 가지고 있으니 전투에 나갈 일이 없다면 누선 셔틀로 사용하자.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4/무력 58/지력 60/정치력 62/매력 72에 특기는 보수 단 1개.

파워업키트 전용 시나리오인 고전분투에서는 할아버지의 청룡언월도를 가지고 나와 실질 무력은 63.

삼국지 11에서도 전작과 비슷한 능력치에 출생지가 관우의 출생지인 하동군 해현으로 적혀 있는데 이는 코에이의 고증 오류보다 1세대인 관우가 태어난 곳에서 그대로 설정한 것이다.[43] 물론 관흥이나 그의 아들인 관통은 1서대인 관우가 형주 쪽으로 이주했기 때문에 하동군 해현은 아니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밝은 표정으로 포권을 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63/무력 60/지력 61/정치력 63. 특기는 훈련 1, 순찰 1, 신속 1. 전수특기는 훈련이며 전법은 기방강화.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3, 무력 60, 지력 61, 정치 62, 매력 72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교련, 주의는 왕도, 정책은 삼령오신 Lv 3, 진형은 안행, 전법은 제사, 고무,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용장남으로 설정되었다.

교련 개성을 가지고 있으니 후방에서 병사를 훈련하는데 사용하자.

84. 관통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286.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13 PK에서 추가되었는데 일러스트는 오른손으로 투구를 눌러쓰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69/지력 27/정치력 28.

특기는 분전 1, 견수 4, 일기 1. 전수특기는 견수이며 전법은 창공강화. 음성은 일러스트와 맞게 용장. 처자식을 버리면서까지 원담에 대한 충정을 지켰다는 것을 반영해서인지 의리 수치가 매우 중시로 설정되어 있다. 하지만 어처구니 없게도 원담과 원상이 갈라서는 이벤트가 나온 이후에는 원상의 세력에 사관해 있다. 생몰년도가 177~205년으로 설정되었는데 조조에게 투항한 이후 기록이 없다보니 수명이 단명하도록 설정되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4, 무력 68, 지력 32, 정치 25, 매력 53으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5 상승한 대신 통솔력과 무력이 각각 1, 정치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불굴, 주의는 왕도, 정책은 방원강화 Lv 2, 진형은 방원, 전법은 철벽, 교란, 친애무장은 원담,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에 비해 출생년도가 161년으로 변경되었고 어투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게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잡무관이지만 공격용 전법이 하나도 없어서 전법의 서가 필요하다.

85. 관평

파일:삼국지3관평.png
삼국지 3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Guan_Ping_%28ROTK11%29.png
삼국지 11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Guanping-rotk12.jpg
삼국지 12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178.jpg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180.jpg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179.jpg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181.jpg
삼국지 13
파일:관평.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전반적인 능력치는 아버지의 마이너 버전. 능력치를 표시한 그래프를 보면 그래프의 모양이 비슷하다. 관우의 능력치와 비교할 수는 없겠지만, 나름대로 밸런스가 잡혀있는 괜찮은 장수다. 전반적으로 모든 능력치가 관우보다 10에서 20정도씩 낮다고 보면 된다. 그래도 아버지가 워낙 먼치킨이라 B+급 장수는 된다.

허나 초기 시리즈에서는 동생인 관흥, 관색보다 무력은 10 가까이 낮으면서, 매력과 지력은 비슷하여 동생들에 비해 푸대접을 받았다.[44] 시리즈가 거듭될수록 무력의 격차가 좀 줄어들고 다른 능력치들은 동생들보다 조금이나마 확실하게 앞서면서 총 능력치 면에서 동생들보다 나은 대접을 받고 있으며 삼국지 12편부터는 B+급 무장으로 크게 상향되었다. 다만 관평은 유비 진영 올스타가 다 모여있는 중반부에 등장하며, 관흥과 관색은 장수들의 평균 능력치가 대하락하는 후반부에 활약하기 때문에 동생들의 평가가 더 높다.

일러스트를 보면 완전히 수염 없는 관우를 기본 베이스로 하고 있다.

삼국지 5, 삼국지 6, 삼국지 7편에서는 두건을 쓴 이미지로 계속 같은 일러스트를 계속 유지했고 삼국지 8, 삼국지 9편에서는 투구를 쓴 젊은 장수의 일러스트로 바뀌었지만 삼국지 10편 이후로 다시 두건 일러스트로 돌아왔다. 삼국지 11편 이후 시리즈부터는 삽화가 강유와 비슷해지고 있다. 강유와 원래부터 아이덴티티가 초록 두건이었는데, 녹갈색 두건을 쓰던 관평이 삼국지 10부터 강유의 두건과 같은 색을 쓰기 시작했다. 그래도 두건 디자인은 자세히 보면 꽤 다른 편이다.

삼국지 5에서는 무력 82/지력 70/정치 52/매력 80으로 등장한다. 진법은 학익과 안행, 특기는 화계, 복병, 내분, 분기, 강행, 화시를 사용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무난한 장수.

삼국지 8에서는 역시 관우의 아들로써 플레이 할 수 있으며 무력 82/지력 69/정치 52/매력 75/의 장군으로 항상 그렇듯 유비군에서 관/장/조 바로 다음 가는 무장 포지션이다. 관우의 양자로 들어가는 이벤트가 존재해 14세에 임관 할 수도 있다.(이벤트를 보지 않아도 때 되면 관우의 아들로 등장한다.) 일러스트는 조운과 마찬가지로 미남.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7/무력 82/지력 69/정치력 56으로 등장한다. 병법으로는 분투, 돌진, 제사, 몽충, 충차를 가지고 있다.

병법 숙련도는 0이지만 관평, 관흥, 관색 3형제는 모두 분투와 돌진을 갖고 있어 연계가 쉽다. 의외로 수군계 병법을 가지고 있어서 몽충 셔틀을 시키는 것도 나쁘지 않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7/무력 81/지력 69/정치력 55/매력 75로 특기는 치안, 훈련, 화시, 일제, 은밀, 유인, 기합, 반격, 삼단. 총 9개다.

관우의 아들들 중에선 능력치 총합이 가장 좋고, 관우의 아들 손자들 중에서 유일하게 성격이 냉정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지력이 그리 높지 않음에도 계략 방어를 엄청나게 잘한다. 수명이 219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게 문제지만,[45] 관우의 아들들 중 독보적으로 빠른 200년부터 등장한다.(관흥은 213년, 관색은 214년에 등장.) 양자로 설정된 지라 200년 시나리오에서는 하내에서 재야장수로 등장하고, 이후 시나리오부터는 촉한군에 합류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또 양자라서 특이한 점은 관우와 다른 가문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관평을 죽이면 관우와는 원수 관계가 되더라도, 관우의 아들 및 손자와는 원수 관계가 되지 않는다. 유봉유비의 관계도 마찬가지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7/무력 82/지력 68/정치력 60/매력 76으로 적성은 창병 S/극병과 병기가 A이며 특기는 보좌다.

능력치도 중견급은 되고 특기도 지원 공격을 통한 피해량 뻥튀기에 유용한 특기이나, 특기 효과를 살리기 쉬운 노병 적성은 B밖에 안 되어 약간 활용이 애매하다. 노병 적성 S인 왕평 등과 엮어 쓰는 것이 적절하다. 전법 발동 시의 고유 대사는 관흥과 마찬가지로 '아버지의 명예를 걸고!'로 이며 그 밖에도 성인식 후 임관 시의 대사와 처단 시의 대사 모두 아버지를 언급한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허리에다 손을 대고 있는데 스토리 탤링을 넣은 이번작의 일러스트임을 감안하면 어떤 상황을 묘사한 건 분명한데 그게 뭔지 불분명하다.

능력치는 통솔력 80/무력 82/지력 72/정치력 60으로 삼국지 11 때에 비해서 통솔이 3, 지력이 4 늘었다. 그리고 전법은 전군병격이라는 범위내에 자기 아군들에게 특수공격이 가능한 전법이다. 특기 호걸이 없는 무장들과 조합하면 더욱 좋다. 전 시리즈 중에서 가장 쓸 만한 관평 본인이다. 백도어에 특화되어서 전방에 방어용으로 배치된 동생들(관흥, 관색, 관은병)보다 우위에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0/무력 84/지력 72/정치력 60으로, 전작보다 무력이 2 올랐다. 특기는 훈련 5, 순찰 2, 신속 5, 분전 1, 연전 6, 공성 5, 견수 6, 일기 4, 호걸 1로 전수특기는 연전이다. 음성은 정중. 중신특성은 아버지와 동일하게 창술조련이고 병과 적성은 창병 A/기병 A/궁병 B. 전법은 하후돈과 같은 돌진지휘로 전법 포인트 6(PK에서는 4)을 사용하여 범위 내 아군전체에 공격 20&사기 20상승&돌격 효과를 준다. 놀랍게도 서서등애가 보유한 돌격지휘보다 공격력이 10 더 상승하는 상위호환 전법이었다.

중신특성 덕분에 창병 S로 출전이 가능하지만 관우의 자식들 중 관평과 더불어 창술조련을 들고 나온 관은병이 관우 사후 후반기 시나리오에 나와 관우와 겹치지 않는 것과 달리 관평이 나올 시기면 정말 재수가 없어 아버지가 급사하는 상황이 아니고서야 아버지가 건재하여 중신특성이 겹치기에 본인이 중신으로 있을 일은 보기 드물다. 만약 기마조련을 가진 장수를 데려와 중신에 임명할만큼 굴렸다면 기병 S로 나갈 수도 있다. 매우 다재다능해 A급은 아니지만 확실한 B+급 이상인 우수한 장수로 상향되었다. 하지만 PK에서는 공격 10 방어 10 사기 10상승으로 변경되었으며, 돌격지휘 쪽이 공격 20 사기 10 상승으로 변경되어 소소한 차이가 생겼다. 돌격의 효과를 정확히 말하자면 연격+범위공격을 합친게 돌격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연격은 대미지가 70%로 감소하지만 공속은 두 배가 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공격력이 40% 증가한다. 또 돌격의 범위공격의 판정은 만인적 등에 붙어있는 범위공격보다 훨씬 좋으며 위보 등 상태 이상에 면역이다. 방향만 잘 잡으면 적중앙을 지나가면서 4~5부대 히트가 가능하다. 운제와 함께 쓰면 성벽을 무시하고 점프해서 성 내로 진입하는 관평부대의 모습을 감상할 수 있다. 무엇보다 조운, 장비, 관우 등의 S급 무장과 조합해서 사용하면 어지간한 잡장들은 물론이고 A급 무장의 부대마저 순식간에 괴멸시키는 위력을 보여준다.[46] 코에이가 밀어주려고 작정을 한 듯. 일러스트는 영락없이 강유다. 아예 군단장 일러스트도 강유처럼 망토를 쓰고 있다. 코에이가 촉에 새로 밀어주려는 무장으로 보인다. 차고 있는 칼과 휘두르는 칼이 미묘하게 다르다. 최종적으로 내정 일러스트는 왼쪽 손가락으로 가리키면서 조언을 하고 있고 전투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검을 든 채 소리치면서 휘두르려 하고 있다. 다소 아쉬운 점이라면 186년생으로 설정되어있어 200년 시나리오에서 그동안 쓸 수 있었는데 이번작에선 관우천리행 후 이벤트로 합류하게 처리해놔서 그런지 그냥 다른 장수로 플레이하다보면 200년에 재야로 등장하는데, 막상 본인으로 200년 시나리오를 플레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207년 시나리오부터 플레이 가능하며 당연히 쭉 유비군 소속이다.

삼국지 14에서는 일러스트가 삼국지 12와 구도가 정반대스럽고, 검을 뽑으려는 모습으로 변경됐으며 능력치는 통솔 77, 무력 82, 지력 68, 정치 60, 매력 76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3, 무력이 2, 지력이 4 하락했다. 개성은 일심, 불굴, 교련, PK에서는 보좌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왕도, 정책은 학익강화 Lv 4, 진형은 어린, 봉시, 학익, 고유 전법은 적군에게 피해를 입히면서 아군의 사기를 상승시키는 충용의열이며 그 이외의 전법으로는 경파, 견제, 구축, 친애무장은 관우, 관은병, 요화, 유봉, 조루, 주창,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용장님으로 설정되었다.

관도대전 시나리오(200년)에서는 연의의 양자라는 설정을 반영하여 미발견 재야 무장으로 되어있다. 나오는 위치가 하필 조조가 차지하고 있는 낙양인지라 정작 유비군에선 쓰질 못한다. 안 그래도 소패와 하비에는 재야 무장도 적어서[47] 전투는 관우 장비 2명으로만 버텨야 하는데 그나마 공백지라 몇명이나마 건질 수 있는 수춘(장훈, 진란, 뇌박) 여남(주창, 요화, 진도, 유벽 등. 조운은 3턴만 버티면 이벤트로 입수 가능)과는 달리[48] 조조군을 뚫고 낙양까지 가야 얻을 수 있는지라 대부분의 경우 낙양에서 조조군 증원으로 나오는 관평의 모습을 보게되는 경우가 더 많다. 그것도 아니면 플레이어가 낙양 점령 시까지 미발견 상태로 있는 경우가 있다.

86. 관해

파일:Guan_Hai_(1MROTK).png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Guanhai-rotkxi.jpg
100만인의 삼국지[49]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151.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5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관우와 수십 합 이상 싸웠다는 연의의 묘사로 묘하게 처우가 좋아서 전반적으로도 무력이 준수한 편. 높은 무력치 덕분에 황건적, 공융 입장에서는 아주 소중한 무장이다. 시랑군림 시나리오 때 무안국이나 장패를 굴리는 공융이나 도겸에게 있어서는 반드시 얻어두어야 하는 장수.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93/지력 41/정치력 23/매력 47로 무력 하나는 최고 수준이다.[50] 진형은 구행, 장사. 특기는 무쌍, 화계, 내분, 고무, 화시, 분기.

황건적의 난 이후 시나리오에서도 세력 자체가 강한 조조원소, 관우와 장비를 보유한 유비에게는 별 쓸모가 없지만[51] 엄백호나 공융 같은 장수들이 몇 없는 군주들이 보유하게 되면 꽤 좋다. 같은 황건적인 배원소와 함께 리즈 시절이었던 시리즈라서 원소으로 플레이할 때도 꽤나 도움이 되어준다. 궁합은 3이라서 동탁, 조조, 원술, 한복, 장각과 상성이 잘 맞으며 유비, 마등, 공손찬, 도겸 등과는 상성이 영 좋지 않다. 의리는 2에 야망이 13이고 성격은 극악으로, 장수로 부리는 생각은 접는게 좋다. 생각보다 구호탄랑이나, 내통에 응하는 빈도가 굉장히 높은 관계로, 보통은 처형당하는게 태반이다. 해방 시, '은혜 따위는 생각하지 않는다' 이거나, '어수룩하군 언젠가 죽여주마 꼭!' 점술로 부상을 입은 상태로 포로로 처형할 시 '살려주십시요! 저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라는 비굴한 멘트로 목숨을 구걸하는 소인배로 전락하고 만다.

삼국지 6에선 황건적 잔당을 이끌었기 때문인지 군주로 나온다. 여기서도 무력이 90을 넘지만 그러나 무력을 제외하면 능력치가 암울해서 난이도는 높다.

동태사 주살에서 공융이 있었던 북해로 이사를 갔다. 하지만, 인구가 딸랑 800밖에 되지 않아서 난이도가 상당히 높다. 재수 없으면 유비나 원소에게 일격에 목이 달아나는 경우가 부지기수인데다가, 인덕이 딸랑 30 꿈은 출세라, 패권을 가진 무장들을 우선적으로 영입해야 하는게 급선무다. 북해의 인구가 말라서 진출로가 막히면, 신종요구에 응하는 경우가 태반이며, 권고로 세력을 흡수해도 별 탈이 없는 관계상 쓸만해 보일지는 몰라도, 꿈 자체가 쓸데없는 출세라서, 유비라면 거의 추방하거나, 처형당히는게 태반이다.

삼국지 7에서도 192년 PK 추가 시나리오에서 군주로 나온다. 하지만 능력치가 무력 71/지력 43/정치 31/매력 48로 무력이 많이 낮아졌다. 특기는 일기, 강행. 부하로는 유벽, 공도가 나온다.

삼국지 8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76/지력 40/정치 26/매력 38, 전법은 돌격 2, 교란 2에 특기는 도발 뿐이다.

드디어 군주로 나오는 시나리오가 없고, 장각군 시절에는 제남태수, 그 이후로는 재야로 굴러다니는데, 황건적 특성인지는 몰라도 악명 600을 달고 다니기 때문에, 교류가 굉장히 힘들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9/무력 80/지력 17/정치력 10. 병법으로는 돌파, 충차 뿐이다.

지력도 저 모양인데다가, 의리2 야망7의 전형적인 소인배라서, 이간지랄의 먹이가 되기 쉽다. 당연히 처단이 답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80/지력 14/정치력 6/매력 25에 특기는 6개(돌격, 기습, 저지, 기합, 역공, 삼단) 중에서 3개가 일기토 특기고(기합, 역공, 삼단) 나머지는 돌격, 기습, 저지. 전형적인 무력돼지다.

황건적의 난 이후에는 북해에서 재야로 등장하기 때문에 공융군으로 플레이 한다면 등용을 해서 전투 요원으로 써주자.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0/무력 82/지력 10/정치력 5/매력 25에 기병 적성 A로 황건적 장수 중 순수 무력 2위라 중용된다.

PK의 하진포위망 시나리오에서는 북해에서 군주로 등장한다. 무력과 통솔력을 빼면 바닥을 찍는 능력이라 군주 플레이의 난이도는 꽤 어렵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이를 악문 상태에서 월도를 두 손으로 휘두르고 있는데 정황상 관우하고 싸운 모습으로 추정된다.

능력치는 통솔력 70/무력 82/지력 10/정치력 5에 전법은 마공격강화로 특기는 병심 하나 뿐인데 일기토로 유명한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일기 특기가 없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훈련 1, 공성 1, 일기 3. 전수특기는 일기로 전법은 기병공격진. 음성은 난폭. 전작에 없었던 일기 특기가 돌아왔다.

삼국지 10편 때와는 달리 황건적의 난 이후에 소패에서 재야로 등장하기 때문에 전투 요원이 부족한 도겸군으로 플레이 한다면 등용을 하게 될 시 전투용으로 써주는 것이 좋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3, 무력 83, 지력 13, 정치 8, 매력 25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 지력, 정치력이 각각 3, 무력이 1 상승했다. 개성은 호걸, 저돌, 적도, PK에서는 강탈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봉시강화 Lv 3, 진형은 봉시, 추행, 전법은 경파, 대갈,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난폭남이다.

87. 관흥

파일:삼국지3관흥.png
삼국지 3
파일:Guan_Xing_(ROTKHD).png 파일:external/kongming.net/299-Guan-Xing.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157.jpg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88.jpg
삼국지 12, 13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연의의 영향 때문인지 관우의 장남이 관흥으로 되어 있어서 관우가 죽고 유품(아이템 예를 들어 청룡언월도)을 받는다. 통솔력은 초기작에서 80대였지만 70대 중반을 찍고, 무력은 80대,[52] 지력, 정치력은 60대, 50대로 장포보다 더 높다. 매력은 70대의 장수로 나온다. 문제라면 후반기 시나리오의 중요 장수임에도 수명이 짧은 편이라서 수명을 늘려주는 수단이 있는 시리즈면 반드시 획득해야 한다. 단 공명이 죽는 시나리오가 없고 출사표 시나리오만 있는 삼국지 10이라면 그리 페널티는 없다. 연의에서 활로 하늘의 기러기를 맞춘 내용이 있음에도 왠지 궁술 쪽으로는 삼국지 14편 외에는 별로 부각되지 않는다. 사실 아버지 관우도 연의에서는 마궁수 직책을 맡은 적이 있고, 형주 공방전에서는 궁병대를 적극적으로 운영하였음에도 궁술 쪽 특기들은 부실하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85/수전지휘 70/무력 88/지력 70/정치력 61/매력 72에 야망 9, 운 9, 냉정 10, 용맹 10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6/무력 86/지력 60/정치력 50으로 병법으로는 분투, 돌진, 제사, 누선을 가지고 있지만 그 대신 수군계 병법 숙련도는 없다. 그래도 수군계 병법이 있으니 누선 셔틀을 시키는 것도 나쁘지 않다.

삼국지 10에서의는 능력치는 통솔력 76/무력 86/지력 63/정치력 52/매력 72로 특기 8개는(치안, 돌격, 일제, 저지, 회복, 기염, 역공, 나선) 모두가 통솔력, 무력에 의존하는 특기들로 두 능력치가 제일 높은 관흥 본인한테는 당연히 최적의 배치다.

무력을 제외하면 관평보다 능력치보다 떨어지지만 관색이랑 비교하면 모든 능력치에서 앞선다. 관평보다 15년을 더 살며(관평의 몰년은 219년, 관흥의 몰년은 234년) 관우 사후 출사표 시나리오에선 청룡언월도까지 들고 나와서 기본 무력은 86이지만 실질 무력은 91이 된다. 이 수치는 서황과 동급이자 시나리오 전체 4위의 무력이다.[53]

삼국지 11의 특기는 앙양인데, 앙양은 잉여 특기라서 특기를 활용하기가 쉽지 않다.[54]

하지만 촉의 1세대 명장들이 대부분 사라진 이릉대전 이후의 후반기 시나리오에서는 장포와 함께 그 능력치와 적성만으로도 충분히 중요한 인재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으로 창을 든 채 위로 올리면서 소리치고 있다.

전법이 돌파에 병과이 기병이지만 백 도어에 능한 무장이 되었다.

삼국지 13의 오리지널에서는 전작 일러스트를 우려먹었지만 PK에서는 일러스트가 개편되어 아버지를 쏙 빼닮은 모습으로 변화했다. 특히 투구가 흰색에서 녹색으로 변경되었고 언월도를 부각시켜 확실히 관우의 자식이란 느낌으로 표현했다. 이는 장포 역시 마찬가지. 다만 언월도가 아래로 내려가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76/무력 86/지력 67/정치력 58에 특기는 훈련 2, 순찰 5, 신속 6(장포 인연 효과), 일기 5, 호걸 3을 보유한 중상급무장이다. 병과 적성은 창병과 기병이 A, 궁병이 B.[55] 전수특기는 신속보다 1 낮은 순찰. 음성은 용장. 전법은 철벽지휘로 지휘소모 5의 범위강화형 전법이다. 방어+70 사기+20 사기 유지 특성을 지니고 있어 대규모 공방전에서 큰 힘을 발휘한다. 하지만 중신특성이 없어서 중신으로 배치해봤자 의미없다. PK를 할 때 뭔가 중신특성을 달고 싶다면 넣어주자.

삼국지 14에서 일러스트는 전작 PK를 그대로 사용하며 능력치는 통솔력 76/무력 86(청룡언월도 보유시 무력+5 효과로 무력 91)/지력 63/정치력 58/매력 74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4 하락했다. 개성은 원시, 일심, 호걸, 주의는 왕도, 정책은 안행강화 Lv 4, 진형은 어린, 봉시, 안행이 있고, 고유 전법은 적군에게 피해를 입히면서 저지를 부여하는 용양용전이며 그 이외의 전법으로는 제사, 격려, 저지를 가지고 있다. 인간관계에 부친 관우, 의형제 장포, 친애무장은 관우, 장포, 관은병,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용장남이다.

88. 괴량

파일:삼국지3괴량.png
삼국지 3
파일:Kuai_Liang_(ROTK11).pn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65.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연의에서 손견을 죽이는 계책을 낸 덕에 지력과 정치는 높게 나온다. 다만 수명은 짧은 편. 연의에서 동생인 괴월과 비교하면 지력은 더 높고 정치는 낮은 편을 보인다. 최근작 기준으로 둘 다 머리쓰는 분야갸 각각 88, 82인데 괴월이 정치 특화라면 괴량은 참모 특화다. 그래서 괴량은 지력 쪽이 88, 괴월은 지력 쪽이 82다.

삼국지 8에서는 손견을 죽인 낙석 전법의 임팩트 때문인지 전체 장수 중 법정과 함께 둘 밖에 없는 '낙석' 전법을 마스터한 무장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9/무력 36/지력 88/정치력 82. 병법으로는 연사, 정란, 파괴, 혼란, 덫을 가지고 있다. 연사를 보유하고 있지만 무력 때문에 있으나 마나고 파괴, 혼란, 덫을 주로 활용하게 될 것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9/무력 37/지력 88/정치력 82/매력 66에 특기가 14개나 된다.(상업, 기술, 보수, 화시, 진정, 은밀, 유인, 혼란, 지리, 항변, 반론, 반박, 군사, 명사)

군사 특기가 일단 사기고 지력이 88이라 유표군의 참모로 쓸 만하다. 내정쪽으로도 상업, 기술 특기가 유용하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33/지력 88/정치력 82/매력 71이다.

특기가 매복으로 잉여지만 노병 적성 S인 얼마 안 되는 무장 중 하나라 무력 높은 무장에 부장으로 붙이기 아주 적절한 인재다. 그 대신 내정용으로서의 활용도는 괴월보다는 다소 떨어진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연의 기준으로 죽었다는 것 때문에 늙어 보이게 나왔는데 같은 유표 진영의 동생 괴월과 비교하면 푸근한 인상인데 자세히 보면 왼손을 가슴에 올리고 있다.

특기 인맥을 보유하고 있어 인재 등용에는 더 도움이 된다. 능력치는 전작과 동일하며 전법은 심히 잉여한 진정. 전법 때문에 전장에 나갈 일은 없다.

삼국지 13에서의 특기는 상업 4, 설파 4, 교섭 5, 언변 5, 신속 1, 수영 1이며 전수특기는 교섭, 언변보다 1 낮은 상업이다. 제사지휘가 전법인지라 전작과는 달리 유표군에서는 전장에 반드시 나가야 한다. 궁병 적성도 A. 중신특성은 화기생재. 음성은 노옹. 지력이 88이니 관직이나 보물을 줘서 빨리 90 이상으로 올려주자.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8, 무력 33, 지력 88, 정치 82, 매력 71이며 개성은 봉살, 숲전, 능리, 견뢰, PK에서는 교사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명리, 정책은 지세연구 Lv 4, 진형은 안행, 장사, 정란, 투석, 전법은 연노, 도발, 정란, 투석, 시람,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89. 괴월

파일:삼국지3괴월.png
삼국지 3
파일:Kuai_Yue_(1MROTK).webp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64.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보통 유표 진영에서 괴량 다음 가는 모사로 등장하며 정치력 같은 경우는 괴량보다 더 높다. 다만 괴량의 경우 수명이 짧아서 괴월이 더 좋을 수도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2/무력 32/지력 82/정치력 86. 병법으로는 조영, 배반, 고무를 가지고 있지만 꽤나 심심한 능력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9/무력 33/지력 84/정치력 87/매력 71에 특기는 농업, 기술, 치안, 고무, 반목, 반박, 논파, 군사, 명사로 총 9개다.

내정 쪽으론 농업, 기술 특기가 매우 유용하며 사기 특기인 군사 특기는 참모로서의 조언도 조언이지만 전장에서 많은 도움이 된다. 지력이 84로 높지 않은 편이라 그렇지 통솔력 49 자체는 책사들 기준으로는 그리 떨어지는 통솔력이 아니라 군사 특기를 전장에서 그럭저럭 활용할 수 있기도 하고. 문제는 유표군에는 본인의 상위호환인 괴량이 있고,[56] 괴월이 조조군에 들어갔을 땐 괴월 정도의 인재가 깔렸다는 게 문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7/무력 27/지력 82/정치력 88/매력 73에 특기는 능리.

정치력이 상당히 높고 특기가 최고급 내정용 특기인 능리라 내정용으로서는 최고급 인재 중 하나다. 괴량과 달리 병과 적성은 평범하고, 지력도 82로 약간 불안하므로 전장에 내보내기보다 성에서 열심히 병기를 찍어내는 식으로 주로 쓰인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형 괴량과는 달리 험상궂은 얼굴에다가 왼손을 아래로 펼치고 있다.

전작의 능력치에서 매력만 삭제되었으며 통솔력과 무력은 낮은 편이지만 전법이 최상급 전법 중 하나인 병격봉인이라 전장에서는 상당히 무섭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고 특기는 상업 5, 문화 4, 설파 5, 언변 4, 수영 2로 전수특기는 상업이다. 전법은 위보교란으로 적군에게 위보를 걸고 기동과 사기를 깎는 전법이다. 중신특성은 상업중시이고 괴량과 마찬가지로 보물이나 관직 등으로 정치를 빨리 90 이상 찍는 게 좋다. 음성은 일러스트에 맞게 무례. 둘 다 초기 능력치가 88인 건 동일하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7, 무력 27, 지력 82, 정치 88, 매력 73이며 개성은 명경, 진흥, 위무, 책사, PK에서는 감지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할거, 정책은 시설개발 Lv 4, 진형은 어린, 학익, 전법은 업화, 저지, 매성, 구축,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일러스트에 맞지 않게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90. 교모

교모(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91. 교유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17.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7부터 다시 복귀하여 현재까지 쭉 등장하고 있는데 같이 죽은 동료들과 비슷한 능력치를 가지고 있다. 그냥저냥한 통, 무 60~70의 능력치. 삼국지 3, 삼국지 9, 삼국지 10에서는 이름이 교수로 잘못 나왔다. 유(蕤)를 일본어로는 '즈이'(ずい)로 읽는데 이 음은 한국 한자음에선 보통 '수'에 해당하기 때문에 혼동할 수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8/72/45/48. 병법으로는 분전, 돌파, 제사, 누선, 충차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7/69/39/41/34. 특기는 농업, 일제, 진정, 반목, 역공. 총 5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4/ 무력 69/ 지력 38/ 정치 41/ 매력 58에 특기는 없으며, 병과 적성은 창병이 A, 노병, 수군이 B이고 나머지는 전부 C다.

묘하게 장훈보다 낮은 능력치를 지니고 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말을 탄 채 왼손으로 고삐를 잡은 상태에서 오른손에 든 도검을 휘두른 채 고함을 치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4/69/38/41에다거 특기는 훈련 1, 순찰 1, 견수 2, 일기 1. 전수특기는 견수이며 전법은 궁공강화. 음성은 일러스트에 맞게 무례.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6, 무력 69, 지력 38, 정치 41, 매력 55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 상승했다. 개성은 교련, 주의는 명리, 정책은 시설개발 Lv 2, 진형은 어린, 전법은 분전, 격려, 업화, 친애무장은 장훈,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는 달리 정사에서 197년 사망인데 연의 기준도 아닌 195년 사망으로 되어있고 어투가 일러스트에 맞지 않게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92. 교현

파일:喬国老.jpg 파일:external/kongming.net/360-Qiao-Xuan.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삼국지 5, 삼국지 6, 삼국지 8, 삼국지 10, 삼국지 11에서만 등장하는데 대부분 이교 결혼 이벤트에 출연하며 모두 교국로와 설정이 섞여있다. 하지만 생몰년도에서 나온 것처럼 황건적의 난이 일어나기 1년 전에 죽었기 때문에 사실 나올 수가 없다. 무엇보다 삼국지연의에서는 교현이 등장하지도 않았는데 어떻게 나왔는지는 알 수 없다.[57]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30, 지력 52, 정치 70, 매력 77인데 비교적 능력치가 좋지 않으며 황건적의 난 시나리오에서 복양의 군주로 나오며 부하로 교모를 두고 있다. 이 당시에는 동군태수로 교모가 있었는데 교현을 넣으면서 군주로 잘못 설정한 것으로 보인다.

삼국지 6에서는 184년에 시작하는데도 교모 휘하의 부하로 나오며 삼국지 11에서는 교현 = 교국로로 착각한 것 때문에 나온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정작 삼국지연의에서는 교현 = 교국로라는 언급이 전혀 없는데 역사상으로 보면 이미 교현은 교국로가 나올 때 쯤 이미 죽었기 때문에 나올 수가 없다. 무엇보다 교현은 인사 담당관으로써는 엄청난 효율을 보여주는 인물인데 인사 담당으로 최고의 능력을 가진 장소, 종요, 순욱, 만총, 왕윤, 조조, 유비 등에 못지 않게 인재들을 대거 모아주는 훌륭한 존재다. 능력치 자체는 그저 그렇고 전쟁에서도 도저히 써먹기가 불가능하지만 인사 담당관으로 굴리기에는 최적의 존재다. 특히 반동탁연합 시나리오에서 교모는 본인 능력치도 썩 좋지 않고 겨우 부하가 교현 하나 뿐이지만 교현이 인재 등용이 탁월해서 생각보다 할만한 세력이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12/6/66/74/82인데 손책과 이교 이벤트에서만 나온다. 생몰년도는 역사와 다르게 158~216으로 되어있다.

93. 구건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05.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8 PK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능력치는 평범하기 그지없고 후반부에 가서나 나오기 때문에 존재감은 없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6/무력 51/지력 66/정치력 49. 병법으로는 파괴, 혼란 뿐인 문관에 가깝지만 공격계 병법은 아예 없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3/무력 56/지력 69/정치력 60/매력 65에 특기도 반목, 혼란, 간첩. 총 3개 뿐. 일러스트와는 달리 묘하게 책사스러운 대우를 받았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을 모은 채 호연에게 진언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39/무력 52/지력 65/정치력 52.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이고 전법은 창방강화. 음성은 관리.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2, 무력 52, 지력 66, 정치 53, 매력 55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3, 지력과 정치력이 각각 1 상승했다. 개성은 침착, PK에서는 감지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왕도, 정책은 안행강화 Lv 2, 진형은 안행, 전법은 저지, 도발, 친애무장은 호열,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94. 구력거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97.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6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통솔력만 80대로 높은 편이지만 나머지는 5, 60대의 능력치를 가졌다. 삼국지 9편과 삼국지 11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0/무력 68/지력 56/정치력 55/매력 60으로 특기는 징병, 돌격, 일제, 기습, 반격, 나선. 총 6개다.

통솔력을 제외하면 특별할 게 없으나 사병으로 돌기병 8천을 가지고 나오기 때문에 일단 등용하고 보는 게 무조건 이득이다. 그 외엔 징병 특기가 있긴 한데 매력이 60이라 조금 미묘하다.

삼국지 12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수염을 덥수룩하게 기른 상태에서 백마를 타고 있는데 이민족 무장으로 등장하여 오환족의 군주를 맡고 있다.

능력치는 삼국지 10 때와 비슷하고, 오환 전용 특수기인 폭격 맞으면 정말 답이 안 나올 정도로 막강하다. 전법은 신속맹사이지만 등용해서 무장으로 쓸 수 없다. 왜냐하면 이민족의 군주는 해방 또는 처단만 선택할 수 있기 때문. 대신 아들인 누반이 같은 전법을 가지고 있다. 구력거가 죽으면 군주자리를 답돈이 잇고 그 다음으로는 선비족인 가비능이 잇는다. 그러니까 오환족은 선비족까지 포함해서 무장이 5명이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0/무력 68/지력 56/정치력 55. 중신특성은 없으며 특기는 훈련 4, 신속 5, 공성 3. 전수특기는 신속으로 전법은 수비명령. 병과 적성은 창병 B/기병 B/궁병 A. 음성은 무례.

다만 사망년도가 193년이고 자연사로 설정되어 있어 수명이 매우 짧다. 역사 시나리오에서는 황건적의 난(184년)과 반동탁연합(190년)에서만 등장한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80, 무력 69, 지력 56, 정치 52, 매력 6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과 무력이 각각 1 상승한 대신 정치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오환, 동원, 주의는 패도, PK에서는 향도 개성이 추가되었고 정책은 장사강화 Lv 4, 진형은 안행, 장사, 추행, 전법은 돌격, 견제, 고무, 친애무장은 유우, 혐오무장은 공손찬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위엄남으로 설정되었다.

95. 구본

파일:external/kongming.net/368-Qiu-Ben.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07.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임팩트 없는 가공인물 주제에 자주 나온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3/35/72/59. 병법으로는 정란, 혼란 뿐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2/41/70/54/53에 유일한 특기로 반목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손깍지를 끼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0/41/67/56. 특기는 언변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언변으로 전법은 궁속강화.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0, 무력 41, 지력 68, 정치 55, 매력 53으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1 상승한 대신 정치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언독, 주의는 명리, 정책은 안행강화 Lv 2, 진형은 안행, 전법은 화시, 도발,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책사남으로 설정되었다.

언독 개성과 도발 전법이 있지만 능력치가 평범해서 내정용으로 쓰인다.

96. 구부

파일:구부.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오른손으로 허리에 대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74, 무력 72, 지력 67, 정치 53, 매력 60이다. 개성은 산전, 모집, PK에서는 보좌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할거, 정책은 군제개혁 Lv 3, 진형은 방원, 장사, 전법은 화시, 철벽, 진정, 친애무장은 왕평,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보통남.

평범한 무장이지만 보좌 개성이 있기 때문에 이번작 추가 신무장 중에서 젤 밥값을 한다.

97. 구성

파일:external/kongming.net/276-Qu-Xing.jpg
삼국지 8,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50.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8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몇몇 시리즈에서는 군주로까지 등장한다. 삼국지 9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8에서는 곽석주조를 부하로 거느리고 있지만 그저그런 약한 세력.

삼국지 10에서는 그냥 일반 무장으로만 등장하며 능력치는 통솔력 56/무력 71/지력 31/정치력 29/매력 40에 특기는 반격 단 1개 뿐.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5/무력 70/지력 38/정치력 29/매력 53에 특기가 없고 병과 적성은 창병 C/극병 A/노병 C/기병 C/병기 A/수군 C.

주조와 곽석이 등장하지 않으면서 군주로 있는 하진포위망이라는 가상 시나리오가 있기 때문에 부하 하나가 있는 엄백호보다 더한 난이도를 자랑하게 된다. 다행히도 장사를 수색하면 환계가 나오니 찾아서 꼭 등용하자. 의외로 상성도 잘 맞아서 포상을 잘 주면 배반할 일도 없으니 포상 잘 주면서 잘 써먹는 게 좋다. 그리고 장사를 버리고 영릉의 유도, 시상의 진기, 강릉의 동화를 등용해서 인재를 모은 뒤 양양에 자리잡은 누규를 어떻게든 격파하면 괴량, 괴월 형제를 얻을 수 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왼손에 검을 든 상태에서 앉아있으며 PS3와 PK의 한조소란이란 시나리오에서 군주로 등장한다.

여기서는 주조와 곽석이 나오지만, 부하는 그게 전부. 게다가 셋 다 능력치가 시원찮아서 여러모로 하드코어한 군주. 장사가 거점이고 자신을 토벌했던 손견은 바로 옆 도시인 시상에 붙어 있다. 다행히도 시상 외에 주변은 모두 비어 있으니 손견과 동맹을 맺고 주변 도시를 점령하면서 플레이하는 것이 낫다. 전법은 전공격강화로 정확히 손견의 전군맹공의 하위호환이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3/무력 70/지력 38/정치력 33. 특기는 훈련 3, 연전 1, 일기 1. 전수특기는 훈련이고 전법은 공격명령. 음성은 난폭.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6, 무력 68, 지력 38, 정치 29, 매력 53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7, 무력이 2, 정치력이 4 하락했다. 개성은 공명, 적도, PK에서는 강탈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봉시강화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분전, 경파, 구축, 친애무장은 곽석, 주조,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난폭남이다.

98. 구안

파일:external/kongming.net/gouan.jpg
삼국지 8, 9 일러스트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294.jpg
삼국지 13 PK, 14

후기 장수들에게 가장 신경을 많이 쓴 작품인 삼국지 8 PK와 삼국지 9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68/지력 46/정치력 51의 평범한 능력치. 병법으로는 분전, 제사 뿐이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창을 짚은 채 노려보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65/무력 71/지력 46/정치력 51로 특기는 순찰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순찰이고 전법은 기공강화. 음성은 보통. 생몰년도가 214~265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5, 무력 68, 지력 48, 정치 52, 매력 45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2, 정치력이 1 상승한 대신 무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축성, 동요, 주의는 할거, 정책은 성벽확장 Lv 2, 진형은 장사, 전법은 제사, 경파, 매성, 친애무장은 이흠, 혐오무장은 없고 전작에 비해 사망년도가 264년으로 변경되었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능력치는 평범하고 축성 개성이 있기 때문에 시설 건설용으로 쓰자.

99. 국연

파일:external/kongming.net/457-Guo-Yuan2.jpg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90.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10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모든 둔전제에 관련된 인물이 그렇듯 좋은 정치 능력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2/무력 21/지력 71/정치력 88/매력 74에 특기는 5개(농업, 상업, 기술, 치안, 명사) 밖에 안 되지만 농업, 상업, 기술 특기를 모두 가지고 있는 내정 특화 요원으로 나머지 2개의 특기는 치안과 명사다.

시랑군림에서 관도대전 시나리오까지 양평에서 재야로 등장하며 인재가 부족한 공손도군에서 등용을 하면 내정 요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0/무력 19/지력 71/정치력 86/매력 74이며 특기는 둔전이다. 병과 적성은 병기 A/노병 B에 나머지가 C다.

위나라 임관전에는 양평에서 재야로 있는데, 공손도 일족 입장에서는 거의 유일한 재야인데다 괜찮은 지정매를 보유하고 있어 필수적으로 데려와야 한다. 그러나 상성 차이가 큰 편이라 컴퓨터가 잡을 시 놓쳐서 공손찬이나 원소에게만 영 좋은 일 시켜주는 경우가 흔하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왼손에 지도를 든 채 오른쪽 손가락으로 가리키면서 둔전제를 지휘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50/무력 19/지력 71/정치력 86. 특기는 농업 4, 문화 3, 교섭 3. 전수특기는 농업이며 전법은 기공약화. 음성은 정중. 전작에 비해 북해에서 재야로 있다가 삼고초려 시나리오 때 부터 조조군의 부하가 된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1, 무력 19, 지력 71, 정치 86, 매력 74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상승했다. 개성은 둔전, 조달, 농정, 능리, 소욕, 주의는 예교, 정책은 병참개혁 Lv 4, 진형은 어린, 정란, 투석, 전법은 치료, 투석, 구축,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정중남이다.

둔전이라는 개성과 병참개혁이라는 정책이 있어서 선택했을 때 군량 소모를 줄일 수 있다.

100. 국연

파일:국연.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말을 탄 채 검을 위로 치켜든 상태로 돌격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68, 무력 69, 지력 50, 정치 25, 매력 37이다. 개성은 친강, 공명, 적도, PK에서는 강탈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침략황폐 Lv 2, 진형은 장사, 추행, 전법은 급습, 화시,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어투는 호걸남. 몰년은 이상하게도 220년에 죽었는데 221년까지 되어있다. 추행진이 있어서 보급로 끊기용으로 쓰인다.

101. 국의

파일:external/kongming.net/370-Qu-Yi.jpg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199.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7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는데 초기작에서는 잡장으로 나왔다가 서영과 비슷하게 삼국지 10부터 통솔력이 80대 초반으로 상향되어 무난하게 쓸 수 있는 B급 무장으로 나온다. 항상 연의 기준대로 사망년도를 정하는 것까지 서영과 비슷하다. 궁노병으로 공손찬의 백마의종을 막아낸 기록이 있어서 궁병 관련 특기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삼국지 3에서는 그냥 원소 휘하의 잡무관으로 등장 능력치는 육전 65/수전 24/무력 73/지력 39/정치 31/매력 53로 연의 기준으로도 뭔가 아쉬운 능력치. 수명은 연의 반영인지 매우 짧다.

삼국지 8에서는 무력이 70인 주제에 차현이 4 레벨, 제사가 5 레벨이다. 전법 레벨만 따지면 다섯 손가락 안에 든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7/무력 72/지력 62/정치력 25. 병법으로는 돌파, 주사, 연사를 가지고 있다.

이번작 시스템의 특성상 적당한 무력과 2단계 병법은 다른 게 시궁창이어도 쓸 만하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3/무력 79/지력 50/정치력 20/매력 29에 특기는 돌격, 화시, 기습, 기합, 삼단 총 5개.

전투 특화 장수로 전투로는 나쁘진 않다. 안량, 문추가 지력이 국의만도 못하기 때문에 더더욱 그렇다. 문제는 계교 전투 이벤트가 벌어지면 조운한테 죽는다.[58] 국의가 아깝지 않으면 그냥 이벤트 보고 버리고, 아깝다면 이벤트가 벌어지기 전에 공손찬을 조져버려야 하는데, 업 탈취 이벤트 후 금방 발생하는 데다가 공손찬 사이에 유우가 있기 때문에 좀 귀찮아진다. 물론 업을 탈취하기 전에 조운을 얻는게 더 편하지만. 심지어 황건동란 시나리오에서는 조운이 아직 나오기 전의 시대이라서 계교 전투에서 조운 대신에 장비에게 죽는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2/무력 78/지력 51/정치력 18/매력 37에 특기는 궁장이다.

공손찬의 제장인 엄강의 기마대를 박살낸 전적이 있어 노병 적성이 S이고, 공손찬의 백마의종을 상대로도 잘 싸웠다는 점이 반영되어 창병 적성도 A다. 더불어 기병도 A로, B급 중에서는 훌륭한 장수. PK에서는 장수 육성으로 무력을 키워주면 꽤나 괜찮은 무장이 된다. 실제의 실적이 매우 뛰어난데 손상향보다 능력치가 떨어져서 논란이 되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공손찬의 기병을 향해 활을 쏘고 있으며 전법은 총맹사.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0/무력 77/지력 51/정치력 19. 특기는 훈련 6, 순찰 1, 신속 6, 분전 3, 연전 1. 전수특기는 훈련이고 전법이 위무였지만 PK에서 금족으로 변경되었다. 음성은 무례.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2, 무력 78, 지력 50, 정치력 19, 매력 27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 2, 무력 1 상승하여 삼국지 11 때로 회귀하고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원시, 앙양, 친강, 저돌, 탐욕, 주의는 아도, 정책은 안행강화 Lv 4, 진형은 봉시, 안행, 추행, 전법은 돌격, 제사, 매성,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호걸남으로 설정되었다.

우수한 능력치를 가진 무장답게 좋지만 문제는 적색 개성 저돌 탓에 공격하면 그대로 진격한지라 안행진으로 편성할 때 앞의 부대가 먼저 앞서가야 한다는 것이 단점이다.

102. 규람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32.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2에서 패치로 추가되었는데 일러스트는 교활한 얼굴로 오른손을 들어올린 채 서씨를 꼬시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55/무력 70/지력 58/정치력 41. 보유 특기는 보수와 원사. 전법은 사정강화.

건업에 재야 장수로 등장하는데 기본적으로 지력과 정치력이 암울한 데다 내정용 특기도 보수 하나 뿐이라 도저히 살림살이에는 도움이 되질 않고 통솔력이 낮아 평타 대미지까지 수준 이하지만, 활피단의 천국 건업에서 등장하는 무력 70짜리 원사 특기 궁병이라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서주변천 시나리오의 유요로 플레이한다면 건업의 태사자와 시상의 여몽을 등용하지 못했을 경우 꿩 대신 닭으로써 활용도가 제법 뛰어나다. 여담으로 특기 중에 원사가 있어서 대전판에서는 조성과 함께 가끔씩 보이는 무장이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이다. 의리 수치가 '무시'이며, 전법이 궁공약화였지만 PK에서 단일도발을 들고 나오게 된다.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난폭.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0, 무력 64, 지력 38, 정치력 32, 매력 13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5, 무력이 6, 지력이 2배, 정치력이 9 하락했다. 개성은 저돌, 경솔, 탐욕, PK에서는 강탈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침략황폐 Lv 2, 진형은 안행, 전법은 교란, 친애무장은 대원, 서씨, 혐오무장은 손익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일러스트에 맞게 거만남으로 설정되었다.

103. 극정

파일:external/kongming.net/422-Xi-Zheng.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40.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B급 문관으로 나온다.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사례 하남윤 언사현 출신으로 삼국지 11 한정으로 낙양의 재야로 고증되었나 다른 시리즈에서는 행보가 거의 정착된 성도의 재야로 등장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무력 4/지력 63/정치력 74. 병법으로는 쓰레기 같은 투석, 조영 뿐이다. 내정이나 시키자.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무력 6/지력 63/정치력 73/매력 61에 특기는 반박, 명사. 총 2개를 가지고 있지만 특이하게도 내정 관련 특기가 하나도 없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0/무력 4/지력 63/정치력 75/매력 61에 발명 특기를 가지고 있다.

성도에서 등장하는 사실 시나리오에서는 동일한 특기에 소속이 같은 윤묵과 활용이 겹친다. 하남윤 출신이라 영웅집결에서는 낙양에서 등장하는데, 이 때는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얼굴에 대고 왼손을 펼치면서 "그러시면 안 됩니다!"라고 말하는 듯, 유선과의 이야기를 묘사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42/무력 23/지력 68/정치력 75로, 전작보다 통솔력과 무력이 대폭 상승하고 지력도 5나 상승했다. 존재감 없는 무장 대부분이 전작 능력치를 그대로 계승한 이번작에서 이례적인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전법은 지력상승에 특기는 경작, 감시, 냉정으로 동급 무장 중에서는 많은 편이나 경작 이외에는 유명무실하다.

삼국지 13에서는 전작과 마찬가지인 통솔력 42/무력 23/지력 68/정치력 75의 능력치로 등장하는데, 언변이 무려 7이나 된다. 전제척으로 특기는 상업 3, 농업 2, 문화 2, 언변 7. 전수특기는 언변으로 전법은 위무. 음성은 관리.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0, 무력 6, 지력 63, 정치 74, 매력 61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32, 무력이 17, 지력이 5, 정치력이 1 하락했는데 특히 통솔력이 3배가 넘게 깎여나갔다. 개성은 진흥, 문화, 학자, 소욕, 주의는 예교, 정책은 병기강화 Lv 3, 진형은 투석, 전법 역시 투석, 친애무장은 강유, 유선,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전투 능력이 낮은 문관형이라 내정용으로 쓰인다.

104. 금환삼결

파일:삼국지3금환결.png
삼국지 3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Jinhuan_Sanjie_%28ROTK11%29.pn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35.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금환결이라는 이름으로 나오지만 능력치가 매우 구려서 백하팔인 수준이다.

삼국지 3에서도 금환결이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육전지휘 64, 수전지휘 20, 무력 60, 지력 12, 정치력 14, 매력 15에 야망 2, 운 5, 냉정 7, 용맹 7을 달고 등장하긴 하는데 별 쓸모가 없다.

차라리 이번작까지 등장하지 않은 올돌골이나 목록대왕이 훨씬 유능한 인재다.

삼국지 9의 국내판 이름에서 김환삼결이라고 나왔다. 능력치는 통솔력 69/무력 74/지력 29/정치력 22로 보병계 최강 병법인 분신 하나만 가지고 있지만 이 덕분에 역대 시리즈 중에서 가장 유용하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4/무력 76/지력 19/정치력 17/매력 44에 특기는 돌격, 삼단, 나선. 총 3개 뿐. 전반적으로 남만 장수들 능력치는 다 저렇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4/무력 76/지력 19/정치력 19/매력 42으로 나온다. 이번작부터 일러스트가 야만족스럽게 그려지기 시작했다.

삼국지 12에서는 일러스트로 인하여 흑드라군이라고 불리는데 자세히 보면 주먹 쥔 두 손을 위로 들고 알통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 하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4/무력 76/지력 19/정치력 19. 특기는 훈련 1, 공성 1. 전수특기는 훈련이고 전법은 창병속공진이며 병과 적성은 B/B/C. 음성은 무례.

통솔력과 지력, 정치력은 이미 박살난 지 오래고 무력도 전닥부터 이어져 오는 일러스트만 보면 단기접전, 즉 일기토가 걸렸다하면 무기 없이도 상대를 찢어 죽일 것 같이 생겼는데 무력이 90은 커녕 범용 NPC인 대장장이의 무력 수치인 80도 안 된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4, 무력 76, 지력 19, 정치력 17, 매력 44로 안 그래도 낮은 능력치인데 전작에 비해 정치력이 2 더 하락했다. 개성은 남만, 공명, 직정, 주의는 아도, 정책은 운반개발 Lv 3, 진형은 어린, 장사, 전법은 분전, 친애무장은 동도나, 아회남,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난폭남으로 설정되었다.

105. 기령

파일:삼국지3기령.png
삼국지 3
파일:Ji_Ling_2_29.webp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33.jpg
삼국지 12, 13
파일:기령.jpg
삼국지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관우와 일기토로 30합을 겨뤘다는 연의의 내용 덕분에 무력이 보통 80대 초반 정도는 찍혀 나온다. 소유 보물인 삼첨도의 능력치 보정까지 합하면 무력이 무려 80대 중반까지 상승. 그리고 통솔력도 보통 70대 중후반은 찍어주어 대부분의 시리즈에서 원술 세력의 희망이 된다. 그러나 다른 세력의 일류 무장들과 비교하면 70대의 통솔력, 80대의 무력은 평범한 수준이라는 점은 단점. 실제로 인 게임상에서 관우와 일기토를 붙인다면 초살이나 안 당하면 다행인 수준이다. 그나마도 시리즈 초반에는 무력마저 매우 낮았으나 나름 세력별 균형을 맞춰보려는 의도였는지 시리즈 중반 쯔음부터 능력치가 상향되었다. 어찌보면 수혜자다.

삼국지 2에서는 원술 무력이 무려 80인데 기령 본인의 무력이 64로 이상하게 되었다. 악취보다 무력이 낮을 정도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70/수전지휘 70/무력 70/지력 35/정치력 30/매력 50에 야망 8, 운 6, 냉정 8, 용맹 10으로 용맹은 연의의 내용을 반영한 결과이고 저 듣보잡스러운 능력치는 정사에 가까운 능력치다.

가끔 낙양염상 시나리오로 하면 기령 본인이 안 보이는데, 동탁군의 매복으로 항상 이용당하고 버려진다. 가끔씩 "동탁군의 기영이 매복이었다" 이런 메시지가 뜨면 그냥 그렇거니 하고 넘어가자.

삼국지 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2/무력 80/지력 34/정치력 29/매력 49인데 처음부터 무력+3인 삼첨도를 들고 있어 실제 무력은 83으로 나온다.

원술군 휘하 장수 중에서 유일하게 장군 임명이 가능하고, 보병, 기병 특기가 있어 에이스로 쓸 수 밖에 없다.

삼국지 5에서는 무력이 83에 전용 무기로 들고나오는 삼첨도 보정(+7)을 받아 총 90이다.

헌데 지력이 33임에도 계략용 특기를 많이가지고 있지만 그다지 쓸모가 없고, 무쌍, 분기마저 없다. 다만 초반부터 용명이 생각보다 높아서 병력을 많이 데리고 갈 수 있어서 원술로 플레이할 시에는 초반 전투에서는 유용하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4/무력 81/지력 54/정치력 50. 삼첨도가 무력 3을 더해줘서 실질 무력은 84로 제법 높다. 병법으로는 분투, 돌파, 몽충, 충차를 가지고 있어 야전과 수전에 폭넓게 활용 가능하지만 노병계나 궁기병계 병법이 없어 공성전에선 활용도가 제한된다.

이릉전투 이후 시나리오라면 주장으로도 활용 가능한 능력치이지만, 기령이 활동하는 시대는 네임드 맹장들이 도처에 넘쳐나는 시대라서 원술 이외의 세력에 등용되면 부장으로 쓰게 된다. 엄밀히 말해 원술 세력도 가상 시나리오인 영웅집결과 한의 충신 들고 일어나다를 제외하면 에이스로 쓸 일은 없는데, 원술이 등장하는 사실 시나리오 2개 중 190년 반동탁연합 시나리오에는 원술의 영역에 감녕(완)과 황충(완 양현)이 재야로 있다. 1년 지나면 이엄(완)까지 나온다. 그리고 장흠(수춘)과 주태(시상 구강)도 상성 때문에 낮은 신망과 정치에도 불구하고 등용이 잘되는 편이다. 194년 시나리오에는 공백지인 완에 감녕과 이엄, 원술의 근거지인 수춘과 가까운 시상에 여몽(시상)과 주태(시상 구강)가 있다. 보통 이들을 등용해서 주장으로 쓴다. 가상 시나리오 백마 장군의 위세에선 손견 세력이 통째로 원술 휘하에 있으니 더 말할 필요가 없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8/무력 81/지력 58/정치력 50/매력 59의 맹장형에 특기는 보수, 훈련, 돌격, 일제, 은밀, 저지, 기염, 역공, 나선으로 9개다.

전투 쪽으로는 원술군의 에이스이고, 내정 쪽으로도 보수, 훈련 특기가 있으니 어디로든 써먹을 수 있다. 직접 플레이시 꽤 유용한 점이 있는데 기염, 역공, 나선이 각각 일기토 30회 분량을 요구하는 특기인데 기령은 처음부터 이걸 다 가지고 있으니 15회만 채우면 일기토 특기 마스터가 가능하다. 오히려 일기토 특기가 6개여도 하필 30회짜리 나선이 없어서 30회를 꽉 채워야하는 허저보다 일기토 마스터가 빠르다.

삼국지 11에서는 특기가 없는데 무특기 무장 중 가장 무력이 높은 무장이자 통솔력 2위 무장(1위는 하후상).

특기가 없다는 점과 기령이 살아있을 시점에는 다른 맹장들도 많다는 점에서 밀리지만, 원술 플레이나 무특기 플레이를 하면 과장 좀 보태어서 여포급으로 격상된다. 또 특기가 없는 무장 중 무력이 제일 높아 묘 발견이나 특기 개발로 좋은 무력형 특기가 나오면 우선 배정되므로(보통 유저들은 무력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뒤 특기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 스캔할 것이므로) 유리한 편. 오히려 무력이 높은데 특기가 있긴 있어도 애매해서 후순위로 밀리는 하후연, 허저, 장합 같은 장수보다 낫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삼첨도를 든 채 맞서려 하고 있다.

전작에서 매력만 삭제된 능력치는 통솔력 78/무력 83+3/지력 51/정치력 48. 통솔력, 무력이 괜찮고 전법은 공격력, 파괴력, 기동력이 상승하는 돌파에 신속, 공성 특기까지 가지고 있어 백도어에 특화된 장수. 여전히 원술군에서는 제일 쓸만한 무관이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8/무력 83/지력 51/정치력 48이며 특기는 훈련 2, 순찰 3, 신속 1, 일기 6이고 전수해 주는 특기는 일기. 전법은 부동으로 코스트 대비 성능은 나쁘지 않다. 병과 적성은 창병 A/기병 A/궁병 C이며 어지간한 A급 무장도 못받는 중신특성을 부여받았고, 심지어 그 특성이 본작 최고 병과인 기병의 적성을 한 단계 상승시키는 기마조련이다. 음성은 용장.

이전 시리즈도 대우가 나쁜 편은 아니었지만 이번작은 더더욱 군계일학. 본인도 중신특성 버프로 기병 S가 될 수 있다. 다만 군무중신 고정으로 쓰기에는 통솔력이 다소 부족해 게임이 어느정도 진행되어 인재들이 영입된 후에는 밀려나게 된다. 물론 원술의 휘하라면 원술 세력의 인재 영입력은 암담한 수준이므로 어느 세력을 멸망 시켜 포로를 등용하거나 반대로 원술 세력이 멸망하지 않는 한 군무중신 자리를 꽤 오래 유지할 수 있다.

군웅할거 시나리오에서 유비손책 진영으로 플레이한다면 기령의 기마조련을 활용하기 위해서라도 원술을 때려잡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59] 역대 시리즈 중 최고 성능의 기령이다.

삼국지 14에서는 일러스트가 검 손잡이를 쥐고 있는 모습으로 변경되었으며 능력치는 통솔 78, 무력 83, 지력 51, 정치 48, 매력 60이다. 개성은 일심, 불굴, 후위, PK에서는 금강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패도, 정책은 어린강화 Lv 4, 진형은 어린, 봉시, 안행, 전법은 분전, 격려, 저지, 구축, 친애무장은 원술,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용장남이다. PK에서 고유 전법으로 적군에게 피해를 입히면서 동시에 적군의 공군을 저하시키는 위령삼첨이라는 무력 의존 전법을 부여받았다.

106. 길평

파일:삼국지3길평.png
삼국지 3

삼국지 3에서만 등장하는데 질병, 부상이 발생한 성에서 장수 수색을 하면 등장한다.

107. 김상

파일:김상.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턱에 갖다 대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47, 무력 36, 지력 60, 정치 73, 매력 63이다. 개성은 신중, 진흥, 주의는 예교, 정책은 정령철저 Lv 3, 진형은 방원, 전법은 제사, 혼란,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어투는 정중남. 생년은 152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군웅할거 시나리오에서 원술 소속인 수춘의 무장으로 관직은 치중종사로 시작한다.

108. 김선

파일:삼국지3금선.png
삼국지 3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36.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등장하여 꾸준히 개근하고 있는데 일부 시나리오에선 군주로도 등장하나 상황은 매우 좋지 않다. 특히 최근작에서는 중앙 관직을 지냈다고는 도저히 믿을 수 없는 구린 능력치가 두드러진다. 지력과 정치가 폐급 수준으로 낮은데 이 정도까지 폄하받을 것은 아니기 때문에 피해자라 할 만하다. 내정용으로 김의가 있지만 전투용 인재가 없다는 것이 문제. 그나마 장비와 싸웠다는 점을 반영해서 통솔력과 무력이 조금 받쳐주는지라 한현처럼 백하팔인까지는 아니라는 점이 위안거리.

삼국지 5에서는 시나리오 5인 와룡 출현에서 군주로 나오는데 세력도 약하고 김선 본인 능력치도 영 좋지 않은데다가 하필 위치도 가장 강력한 세력인 조조랑 인근이라서 플레이 시작부터 조조한테 허망하게 망해버린다.

더군다나 김선은 상성이 원소 쪽이라서 조조랑 상성이 완벽하게 반대인 것도 크다. 장수도 겨우 공지 정도고 사마가 같은 강력한 무장을 등용한다고 해도 용명이 낮아서 제대로 써먹기도 힘들다. 조조랑 겨우 동맹을 어찌어찌 맺는다고 해도 주변의 형주 군주들을 차례대로 박살낼 전력을 갖추기도 어려우며 유저가 할때도 엄백호를 능가하는 무지막지한 난이도라서 답이 없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4/무력 65/지력 22/정치력 38로 병법으로는 돌파 하나 뿐이다.

군주로서 중요한 통솔력과 정치력이 모두 구리며 일단 무릉 지역에 재야 장수가 좀 있으니 공지로 그들을 등용하도록 하자. 영웅집결 기준으로 무릉에 사마가, 반준, 담웅, 왕업이 있고 형양 지역에 장남, 이이가 있다. 또 가까운 강릉에 곽준곽익 부자, 풍습, 조루 등 몇 명의 재야 장수가 더 있다. 이들로 일단 한현을 제압하면 황충, 위연, 한호가 들어오니 유도와는 달리 희망이 없지는 않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3/무력 69/지력 16/정치력 29/매력 42에 특기는 돌격 단 1개. 그래도 이번작부터 아들인 김의가 추가되어서 그나마 나아졌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2/무력 68/지력 13/정치력 29/매력 47. 특기는 없다.

금선이라고 표기되었는데 일관성이 없게도 김의(금의)의 열전에서 그의 조상을 금일제가 아니라 김일제로 번역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찡그린 얼굴로 팔짱을 끼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52/무력 68/지력 13/정치력 29에 특기도 하나도 없고 전법도 마공격강화로 역시나 구리다.

삼국지 13부터 공식 한글판에서도 김선으로 표기되기 시작했다.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이고 전법은 기공약화.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노장으로 설정되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2, 무력 68, 지력 13, 정치 29, 매력 45이며 개성은 저돌, 단려, 주의는 할거, 정책은 봉시강화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돌격,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영웅집결에서는 부하로는 공지, 김의 총 2명을 두고 있다. 소속 도시인 무릉의 재야 무장으로는 담웅, 반준, 사마가, 왕업, 요립, 이이, 장남, 좌혁 총 8명이 있으며 윗 동네 강릉을 점령하면 곽익, 곽준, 동윤, 동화, 등방, 성만, 염우, 오연, 은관, 조루, 포삼랑, 풍습 총 12명이 있다. 일단 처음부터 군사가 없어서 윗 동네 강릉부터 점령한 뒤 지력 70 이상의 무장들인 곽준, 동윤, 동화 중 1명이라도 먼저 등용되면 반드시 군사로 임명한 다음에 전력을 쌓도록 하자.

109. 김의

파일:external/kongming.net/352-Jin-Ri.jpg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34.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0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금의'로 등장해 일부 판본에는 조상도 금일로 만들어 놓고 자를 덕위로 만든 데다가 능력치도 나쁘다. 통솔력, 무력은 바닥에 나머진 60대의 C급 문관. 거기다가 김선과 혈연 관계로 설정되어 있는데, 정사 선주전에 주석으로 달린 삼복결록주에서 김선의 아들이 김의라고 명백히 적혀있기 때문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8/무력 40/지력 63/정치력 65/매력 67에 특기는 치안, 명사. 총 2개 뿐. 아버지도 없는 명사 특기를 가지고 있는 걸 빼면 딱히 볼 건 없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7/무력 38/지력 64/정치력 68/매력 60. 삼류 문관이나 김선으로 플레이할 때는 재야로 있는 사마가 등을 등용하려면 쓸 수 밖에 없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등을 돌린 채 놀란 얼굴을 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32/무력 38/지력 65/정치력 68에 특기는 없다. 병과는 창병이며 전법은 색적으로 잉여. 전작에 비해 통솔력이 15, 지력이 1 상승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문화 3, 설파 1, 언변 1. 전수특기는 문화로 전법은 기병도발. 음성은 책사.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8, 무력 38, 지력 64, 정치 68, 매력 64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4,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선동, 주의는 왕도, 정책은 화계연구 Lv 2, 진형은 방원, 전법은 혼란, 매성, 친애무장은 경기, 왕필, 혐오무장은 조조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1] 그런데 통솔과 무력도 어떻게보면 저평가를 당했다고 볼 수 있는데, 간옹 본인은 그 관우, 장비와 함께 유비의 초창기 거병동지이고, 익주 평정 후 받은 직위가 무관직인 소덕장군이다. 그러나 유염의 예에서도 알 수 있듯, 무관직 수여는 군사적인 재능에 의해서가 아니라 단순히 관례적으로 주어졌을 가능성이 높다.[2] 그냥 얌전히 상납하면 금 500정도로 막을 수 있다.[3] 정확히 말하면 190년 시나리오 기준으로 간옹의 지력은 71이다. 지력 고까지 올리는데 1년 정도는 소요되므로 최종적으로 지력은 72, 여기에 지력 중 2개를 써서 80까지 만들고 지력 고 3개를 쓰면 95가 된다. (삼국지 11 능력 연구로 올리는 능력치는 20~24가 한계인데 마침 지력 중을 2개 써도 지력이 10이 아닌 8만 오르기에 가능한 꼼수다) 거기서 2년만 더 흐르면 지력이 97이 되므로 설전 10~15번 정도만 하면 지력 100이 된다. 주변국과 정전 2개월을 지속적으로 맺으면 이 정도 설전 횟수는 쉽게 채울 수 있다.[4] 응원은 남자 무장 한정으로 10%의 능력치 증가를 가지고 있는데 수치상으론 조조의 황금 개성인 간웅과 똑같다. 대부분의 무장이 남성인 이 게임에서는 그냥 10% 능력치 증가 버퍼로 봐도 무방하다.[5] 한편 비슷한 케이스인 부융이나 진밀과 같은 경우 일본어 판에서의 한자의 독음이 각각 동, 복에 해당하는 읽기인 ドウ, フク이라 오역이 아니고, 일본어판의 오기를 그대로 옮긴 것이라 볼 수 있다.[6] 좀 뜬금없지만 조비를 홀딱 반하게 만들고 조조도 입맛을 다시며 아쉬워했다는 이야기를 참고한 모양이다.[7] 코에이가 낙신부 모델 견씨설을 채택한 듯하다.[8] 상업 1은 굉장히 억지스럽지만 어릴 적 기근이 일어났을 때 식량을 팔아 재물을 모으는 부모님께 그러지 말고 오히려 은혜를 베풀어 무료로 나눠주자고 조언한 것을 참고한 것으로 보이며 문화 3은 그녀가 총명하고 독서를 좋아했다는 점과 시를 남겼다는 일화를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9] 조비는 자연사여서 처형당하지 않으면 견씨보다 늦게 죽는다.[10] 삼국지 8 PK에서 복귀했지만 말이다.[11] 소울메이트 민순과 더불어 무력, 지력이 영걸전때의 수치 그대로다.[12] 특히 장수제인 삼국지 10이 그렇다.[13] 특히 장수제인 삼국지 10이 그렇다.[14] 백하팔인에 드는 건 쉬운 게 아니다. 시리즈별로 600명이 넘는 무장 중 안 좋은 쪽으로 10위 안에 들어야 된다는 거니까 말이다.[15] 그래서 100% 확률로 AI 조조의 항복권고에 넘어가거나 정벌당한다.[16] 이 쪽은 그나마 엄여, 허정이라는 부하가 한 명이라도 있기에 처지가 나은 편이다.[17] 이 정도 능력치로는 유표의 두 아들인 유기유종이 있다.[18] 공손도, 공손강의 정치력은 20대로 정말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19] 215년 비연 등장, 216년 윤직 등장. 시나리오가 211년에 시작한다는 걸 감안한다면 4년 동안 공손공 혼자 있어야 한다는 소리다.[20] 사실 이름만 다르지, 전작의 유비입촉 시나리오와 거의 똑같다.[21] 나머지는 대부분 내정 관련 특기가 없거나 거의 군사 관련 특기밖에 없다.[22] 공손범의 지력이 60대, 공손월의 지력은 40대다.[23] 공손찬의 기마조련 특성이 적용되면 기병 적성이 S가 된다. 참고로 궁병 적성은 A다.[24] 다만 실제 행적으로 봤을 때 공손연은 야심가라기보다는 어설픈 기회주의자라는 주장도 있다. 의리가 바닥인 건 몰라도 야망이 최고인 건 고증에 맞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25] 고대무장 빼고는 법정, 사마의, 가후, 여몽, 그리고 잠재로 가진 공손연, 단 5명이 보유한다. 고대무장은 악의와 여상이 갖고있다.[26] 장합은 86으로, 곽도가 더 무력이 높다.[27] 고증같은 걸 신경쓰지 않는 플레이어라면 오류를 그대로 놔두는게 나은 선택이긴 하다. 원소군 입장에서는 인재면에서는 문무 양쪽으로 충분하니 곽도가 맹장으로 변하든 원래대로 문관이든 그닥 악영향이 없고, 마등군은 돌대가리 무장 뿐이니 방덕이 서량의 대현자가 되어주는게 도움이 된다.[28] 매력은 삭제된 상태다.[29] 손견은 이미 통솔 95 전후, 무력과 매력은 90대에 지력 정치가 70대인 시점에서 저평가라고 보긴 어렵다. 오히려 연의 + 오나라 시조 버프를 받아서 능력치가 아주 높은 편에 속하며 정사를 반영했다면 외교든 내정이든 바닥이라 정치는 저거보다 낮아져야 하며 무명장수에 불과한 화웅을 이기고 서영에게 졌으니 통솔도 저렇게까지 높게 평가될 여지가 없다. 심지어 지력도 모사도 아닌 장군인 황조 따위의 복병에 걸렸으니 높을 여지가 없고 매력 마저도 정사에서 왕예장자 같은 인물을 단지 본인과 사이가 안 좋다는 이유로 죽여버렸으니 오히려 깎이는 게 정상이다. 오히려 연의 반영 + 코에이의 충의지사 버프로 능력치가 뻥튀기 되었으면 되었지 연의 반영으로 손해를 봤다고는 절대 말할 수 없는 장수가 손견이다.[30] 야사에서 문소황후를 참소했다는 이야기와 조예가 문덕황후를 죽인 이유가 친모를 참소해 죽게 만들었다고 확신해서라는 말이 있는데 이 내용들만 보면 탐욕스러운 악녀로 보이지만 정작 사료를 보면 황실 외척이 된 자기 친정 사람들에게 지위를 악용하지 말고 처신을 잘 하라고 충고하거나 장마로 누각이 파손됐을 때 거처를 옮기지 않는 대범한 모습을 보여줬고, 물을 막아 낚시를 하는 걸 막는 등 악녀와는 거리가 멀다. 당장 수십년 뒤의 가남풍이나 손노반 등과 비교하면 문덕황후가 무슨 사치나 막장 행위를 저질러 나라에 악영향을 끼쳤다는 이야기가 없다.[31] 문관 계열[32] 당장 2013년에 출시된 진삼국무쌍 7 엠파이어스까지만 하더라도 열전에서 곽회의 사망연도는 253년으로 표기되어 있었다.[33] 광릉의 재야 인재진 중 보즐, 서선, 여대, 장굉, 진교 5명이 있다.[34] 화타는 청낭서, 좌자는 둔갑천서를 물려준다.[35] 해당 군주의 영토에 있는 재야 장수, 적대국의 내정 상황, 아군 장수의 사망 등등 말이다.[36] 말을 건 장수의 예상 수명이 짧은 경우[37] 굳이 전법 크리티컬이 아니어도 혼란이 터지므로 꼭 관우가 아니더라도 공격적인 면에서 다소 부족할 수 있는 조운의 부장으로 편성해도 좋다. 다만 부대 공격력에 의존하는 특성 상 관색이 부장이 될 경우 주장은 가급적이면 관색보다 무력이 높은 장수가 좋다. 관색보다 무력이 낮을 경우 부대 공격력이 관색 주장일 때보다 떨어질 수 있기 때문.[38] 품관 높으면 전투 들어가면 지휘권을 거절해도 몇개부대는 자꾸 플레이어에게 주는데 그냥 태수도 아니고 군사중신도 아니고 일반인데도 품관 높으면 타부대 컨트롤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39] 베프 경무와 똑같이 무력,지력이 영걸전 시절에서 그대로 왔다.[40] 민담 속 이회의 아들 이울도, 실제 이회의 아들 이유도 등장하지 않기 때문이다.[41] 강유가 주둔한 한중에 오라버니 관색과 함께 있다.[42] 비록 아첨이나 잘하고 악독한 관리이자 간신이였지만 항복하거나 공손찬을 팔아 넘기거나 자기만 살겠다고 도망가지 않고 공손찬과 끝까지 함께 하며 최후를 맞이했으니 의리 만큼은 뛰어나다 할 수 있다.[43] 그 중 후주 유선은 정사나 연의에서 신야에서 태어났지만 1세대인 유비탓에 유주 탁현으로 설정되었다.[44] 기본적으로 연의의 이미지대로 그려진 셈이다. 삼국지연의를 보면 관평은 번성 공방전 당시 방덕을 상대로 싸우는 등 무력이 강하긴 하지만 활약상 자체가 많지 않다. 아무래도 관우 옆에서 종군하는지라 포커스가 관우에게 가기 때문이다. 그러나 관흥은 관우가 죽은 뒤 그의 빈자리를 채우는 관우 마이너 버전에 가깝게 나오는지라 엄청나게 활약한다. 사실 정사에서는 관평과 관흥 모두 언급이 적고, 기록된 군공도 없다. 관흥은 심지어 별다른 활약을 할 시간도 없이 20대에 병사한다. 심지어 삼남인 관색은 실존인물도 아니니, 만약 정사를 따르면 관우의 자식들 중 활약할 만한 인물이 아예 없어진다.[45] 아버지와 같이 전사했다는 점으로 인해 비자연사 설정이라 사망 이벤트를 방지하거나 끄면 더 오래 활용이 가능하다.[46] 관우와는 인연 효과로 인한 전법 강화 효과도 볼 수 있다.[47] 200년 시점에선 창희온회 2명 뿐이고, 201년에 위풍, 203년에 정의가 나오면 다음으로는 218년에 환범이 나올때까지 15년을 기다려야 한다. 그나마 이 중 전투형 무장은 창희 하나 뿐이다.[48] 하지만 초기 전력상 수춘 먹고 여남까지 먹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에 미발견 무장인 진도가 운 좋게 안걸리는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 조조군에 등용된다. 심지어 운 나쁜 경우에는 2턴째에 여남을 먹은 조조군에서 3턴째에 이벤트 발생 전의 조운을 먼저 채가는 경우도 가끔 나온다.[49] 삼국지 14곡리 일러스트로 재활용 되었다.[50] 이름이 잘 알려진 하후연(91), 화웅(90), 황개(88)보다도 높다. 무력은 거의 하후돈(94)에 가깝다.[51] 물론 이런 메이저 군주들도 관해 정도의 성능을 가진 무장을 보유하면 매우 좋다.[52] 무력이 90대로 상승된 몇몇 시리즈가 있다.[53] 1위는 청공검 든 조운 96+3, 공동 2위는 위연 92, 사모든 장포 87+5.[54] 심지어 의형인 장포도 잉여특기 소탕이다.[55] 아버지 관우나 형 관평이 살아있을 때는 아버지나 형이 중신으로 있는 도시에서, 아버지와 형이 없는 후반기 시나리오에서는 여동생이 중신으로 있는 도시에서 창술조련을 통해 창병 S가 될 수 있다.[56] 통솔력, 지력 모두 괴월보다 높고 특기도 군사 특기를 포함하여 14개나 된다. 물론 정치력은 괴월이 낫고 특기도 괴량은 상업, 기술이라 서로 완전히 겹치진 않기도 하고, 괴량, 괴월 둘 다 전장에 놓고 굴려도 된다.[57] 애초에 생년을 고려해봐도 교국로보다 나이가 훨씬 많아야 정상이고 몰년도 최소 16년은 차이가 나는데 동일인물일 가능성은 없다. 199년에 대교, 소교의 나이가 15세 전후 혹은 그 이하란걸 감안해보면 교현이 사망한 이후에 대교, 소교가 태어났다는 소리인데 교현=교국로라는건 여러모로 말이 안 맞는다.[58] 국의로 플레이할 경우 해당 이벤트를 NPC무관이 대신 수행하고, 국의는 생존한다.[59] 손책의 중신특성도 기마조련이라 기령과 중신특성이 중복되지만 손책 자신으로 플레이하는게 아닌 이상 손책은 이벤트로 죽으니 보험용으로 잡아두면 나쁘지는 않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5
, 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