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몰년도미상
1. 개요
삼국시대 촉한의 정치가이자 형주 남양군 사람으로 삼국지집해에 따르면 자는 연장(演長).2. 정사 삼국지
<동윤전>에 주석으로 달린 《초국선현전》에 따르면 곽유지는 인물과 학식에 의해 당대 사람들에게 알려졌다. 유비에게 등용되었고 관직은 시중[1]을 역임했다.<요립전>에 따르면 요립이 이소와 장완에게 촉의 인재들을 까대면서 말하길 중랑 곽연장(곽유지)도 다른 사람들을 따라 했을 뿐이므로 큰 사업을 함께 경영하기에는 부족하여 시중이 된 것이라고 했다.
제갈량의 출사표에 따르면 시중, 시랑인 곽유지, 비의, 동윤 등은 모두 선량하고 성실하며 뜻과 헤아림이 충성스럽고 깨끗하니, 이 때문에 유비가 이들을 뽑아 쓰고 유선에게 남긴 것이라고 했다. 궁중의 일은 크건 작건 모두 이들에게 묻고 그 연후에 시행한다면 필시 부족한 점을 보충해 널리 보탬이 될 것이라고 했다. 손익을 헤아려 극력으로 충언을 올리는 것은 곽유지, 비의, 동윤의 임무라고 했다. 또한 만약 덕을 흥하게 하는 말이 없으면 곽유지, 비의, 동윤 등의 태만함을 꾸짖어 그 허물을 분명히 드러내라고 했다.
<동윤전>에 따르면 출사표가 상주된 후 제갈량은 이어서 비의는 참군, 동윤은 시중 겸 호분중랑랑으로 승진시켜 황궁을 수비하는 근위병을 총관리하도록 했다. 곽유지는 성정이 본디 온순하며 화해로워 정한 인원을 채울 뿐이었다. 대신 동윤이 헌납, 즉 임금에게 충언을 올리던 일을 전담하였다고 한다. 아마도 유선이 곽유지에게는 궁중의 일을 묻기만 하고 곽유지가 유선에게 따로 지적하는 일은 동윤과 달리 없었던 듯 하다. 다만 유선이 곽유지에게 궁중의 일을 묻고 곽유지가 출사표 표현대로 덕을 밝히는 말을 했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3. 삼국지연의
제갈량의 출사표로 내용이 그대로 언급되며 비의, 동윤과 함께 시중 직위를 맡았다고 한다. 북벌에 나서는 제갈량이 곽유지, 비의, 동윤 셋에게 성도의 수비를 맡겼다.4. 미디어 믹스
4.1.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
삼국지 3 |
|
100만인의 삼국지 |
|
삼국지 11 |
|
삼국지 12, 13, 14 |
연의에서는 출사표에 언급된 정도 외에 활약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놀랍게도 삼국지 1부터 삼국지 14까지 전 시리즈에 개근하였다. 대체로 통솔과 무력이 바닥을 기고, 지력 6~70대에 정치 7~80대, 매력 60~80을 마크하고 있다. 특기 또한 전투에 쓸모 있는 것은 전혀 없고 농업, 상업 등 내정과 관련이 있는 것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내정 요원으로 나온다. 윤묵과 비슷한 취급. 괴량, 공손연 등의 훨씬 더 비중 있는 장수도 개근까지는 못한 것에 비하면 은근히 대접은 받은 편.
삼국지 4에서는 정치 85를 찍어 처음부터 시중 임명이 가능하다. 정치 능력치에 메리트가 아주 높은 이번작의 특성상 곽유지의 리즈 시절로 볼만한 시리즈.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5/무력 9/지력 67/정치력 78이고 병법도 조영 밖에 없어서 내정 요원일 뿐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5/무력 10/지력 60/정치력 74/매력 60에 특기는 농업, 명사. 총 2개 뿐이다. 그냥 농업 셔틀로 쓰라는 소리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출사표의 내용을 따서 문서를 살펴보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28/9/69/79. 특기는 상업 3, 농업 3, 설파 2. 전수특기는 상업으로 전법은 기속약화.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3, 무력 9, 지력 66, 정치 78, 매력 61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5, 지력이 3, 정치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소욕, 소심, PK에서는 자비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예교, 정책은 정령철저 Lv 3, 진형은 정란, 전법은 없으며 친애무장과 혐오무장 역시 모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