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몰년도 미상
[clearfix]
1. 개요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수로 방덕의 아들.2. 생애
평구장군, 임위정후를 지내면서 257년에 제갈탄의 난을 진압할 때 노번과 함께 부하를 이끌고 성문을 뚫고 나와 조정으로 돌아왔다는 것으로 보아 어쩔 수 없이 제갈탄에게 가담했다가 제갈탄의 토벌에 참가한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위나라에서 향후로 봉했다.263년, 종회가 촉한을 토벌하기 위해 군사를 일으키자 방회는 종회의 부장으로 촉 토벌전에 참가했으며, 부현에 도달하자 종회의 명령으로 전속, 호열 등과 함께 강유를 추격했다.
촉한의 유선에게 항복을 받아내자 아버지 방덕이 관우와 싸워 패하고 붙잡혀 전사하여 관우를 아버지의 원수로 여기고 있었던지, 이 때 방회는 이 기회를 틈타 촉한 지역을 샅샅이 뒤져서 관이를 포함한 관우의 후손들을 모두 찾아내 멸족시켰다고 한다.[1]
방회는 용렬(勇烈)함이 아버지 방덕에 버금갔고 관위는 중위장군까지 올라 열후에 봉해졌다.
3. 삼국지연의
방덕이 우금을 따라갈 때 어머니 이씨와 함께 울면서 배웅하는 장면에서 나오는데 이 때 방덕이 자신이 죽으면 아들을 잘 기르라면서 특이한 상이 있으니 자라서 자신을 위해 원수를 갚을 것이라 언급하는 장면이 나오며(모종강본 74회) 한참 지나서 종회가 촉한을 치기 위해 장수들을 모았을 때 장수 중 한 명으로 잠깐 언급된 것이 전부다.(116회)이문열 평역 삼국지에서는 이 장면 뿐만 아니라 방회가 관이를 포함한 관우의 자손을 멸했다는 언급이 잠시 나온다.
4. 의혹
하지만 배송지가 주로 달아놓은 이 내용의 출처가 어환의 《위략》만큼이나 진실성을 의심받는 왕은의 《촉기》인지라 액면 그대로 믿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다만 방회의 기록이 그 이후에는 전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관씨 일가를 몰살하지 않았다고 단정하기도 어려우며, 종회의 난 당시 살해당한 인물들 중에는 장익, 유선(劉璿)(촉한의 2대 황제 유선(劉禪)의 태자 겸 유비의 태손) 일가, 장완의 아들들이 있다. 물론 종회의 난 당시 발생한 구 촉한 인사의 죽음은 서주대학살이나 사마의의 요동성 학살 마냥 계획적으로 일어난 일이 아닌, 강유가 촉한부흥을 위하여 종회를 부추겨 자립시켜 위나라 장교들을 갱살하고 분리독립을 계획하며 반란을 일으켰다 진압된 사태였던지라 처벌할 이유가 없는 사건이었다.방회의 관씨멸족설이 말 그대로 아무 근거 없는 낭설이었다면, 그것을 짐작할만한 기록이나 반박을 하는 주석이 있을 법도 한데[2] 그것도 찾기 힘들기 때문에 관씨멸족설이 나올 정도의 언동은 실제로 했을 것이라는 가능성이 있다.
5. 미디어 믹스
5.1.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삼국지 12, 13, 14 일러스트 |
삼국지 8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평범한 무장이지만 무력은 70대로 후반기 장수 치고는 그럭저럭 괜찮게 나온다. 아버지 방덕의 후광에다가 열전도 아버지에 버금 갔다는 기록을 강조하기 때문에 그렇게 나온 모양이다. 다만 매력은 관우의 일족을 멸했다는 기록 때문인지 40대~50대로 낮게 나온다. 원수 시스템이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낮다고 처형했다가는 아버지 방덕과 원수 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0/무력 73/지력 48/정치력 46으로 병법으로는 돌진, 정란 뿐이다. 그저 그렇지만 돌진 하나는 쓸만하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75/지력 45/정치력 44/매력 61에 특기는 4개.(치안, 화시, 반목, 반격) 위나라에 이 정도 인재는 암만 후기 시나리오라도 넘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9/무력 75/지력 49/정치력 42/매력 52다.
삼국지 12에서 등장한 그의 일러스트에서는 방덕의 아들임을 나타내기 위함인지 방덕의 두건을 쓰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9/무력 75/지력 49/정치력 42다. 특기는 훈련 1, 순찰 2, 신속 2, 공성 4, 일기 1. 전수특기는 공성이며 전법은 부동.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 무력 75, 지력 47, 정치력 42, 매력 52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지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과감, 주의는 패도, 정책은 시설개발 Lv 3, 진형은 봉시, 투석, 전법은 대갈, 투석, 친애무장은 없고 혐오무장은 관우, 관이, 관통, 관흥이다.
5.2. 삼국전투기
아버지 방덕의 패러디인 슬래시를 이어받았다. 덤으로 검각 전투 (12)에서 서촉에 들어온 후 방덕이 한 복수에 대한 언급도 나온다. 최훈은 이 학살을 언급하며 세상에 착한 침략자는 없고, 점령당한 이는 어떤 식으로든 짜먹히게 되어 있으며 그렇기에 목숨 바쳐 나라를 지키는 것이라 평하며 무작정 항복한 유선과 그에 동조한 사람들를 비판했다.검각 전투 편에서 처음 등장. 종회의 촉한 정벌군에 참전했다고 묘사되지만 전장에서의 활약은 묘사되지 않고 작중에서는 위에 서술된 학살 행위만 묘사됐다.
[1] 촉한멸망전 때 장수로 활약했다면 방덕이 전사한 형주 공방전 때는 44년 전이니 어린 아이였을 확률이 높다. 이 와중에 관씨란 관씨는 모조리 잡아죽이는 방회의 대학살극을 관평의 후손들은 천신만고 끝에 촉을 도망나와 각지로 흩어지고 현대 중국의 관우 후손들은 모두 관평의 후손이라고 한다.[2] 유선노예설 같은 근거없는 헛소리였다면 배송지가 "일단 사서에 기록된 이야기니 써넣기는 한다만 내 생각엔 말도 안 되는 소리"라는 식으로 디스 주를 달았을 가능성이 높다. 배송지는 성격 상 할 말을 다 하는 사람이다. 실제로도 배송지는 삼국지 위서 유표전 주석에 유표는 동탁, 원씨형제와 똑같은 놈들이다라고 대놓고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