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합중국 해병대 United States Marine Corps (U.S. Marine Corps) |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16px; margin-bottom: -16px" | |||
<rowcolor=#FFD500> 기 | 휘장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다른 상징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미 해병대 모병로고 | }}}}}}}}} | ||
<colbgcolor=#CC101F><colcolor=#FFD500> 창설 | 최초창설: 1775년 11월 10일([age(1775-11-10)]주년) 재창설: 1798년 7월 11일([age(1798-07-11)]주년) | ||
활동 | 1775년 11월 10일 ~ 1783년 4월 1798년 7월 11일 ~ 현재 | ||
국가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
소속 | 미국 국방부 / 미국 해군부 | ||
군종 | 해병대 | ||
역할 | 상륙전, 원정전, 항공전 | ||
본부 | 미국 버지니아 주 펜타곤 | ||
해군장관 | 카를로스 델토로 | ||
해병대사령관 | 해병 대장 에릭 스미스 | ||
병력 | 정규군 - 177,000명[1] 예비군 - 32,400명[2] | ||
표어 | Semper Fidelis(라틴어) 언제나 충성 | ||
항공기 | 1,304기 | ||
홈페이지 | |||
SNS | | | | | |
[clearfix]
1. 개요
미합중국 해병대(USMC, United States Marine Corps[3])는 미군의 해군 육상전투부대인 해병대이다. 해군의 기동성을 이용하여 군사력을 신속히 투사(Power projection)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미국 해군부 소속으로, 미합중국 국방부(DoD, U.S. Department of Defense) 산하의 6개 군들 중에 하나이며, 8개의 현역복무 기관들 중에 하나이다.2. 역사
기원은 1775년 11월 10일 필라델피아에서 창설된 2개 대대의 대륙 해병대(Continental Marines)로 간주하고 있다. 대륙 해병대는 해상과 해안 양쪽에서 독립적인 전투 능력을 가진 보병부대로 부대 창설 이후 해병대는 계속 성장하고 발전하였으며, 미국 독립전쟁에서 조지 워싱턴의 대륙군에 합류하여 상당히 활약했으나 독립전쟁 막바지인 1783년 4월 결국 해체되었다.그후 1798년 7월 11일 프랑스와의 충돌을 대비하여 재창설되었으며, 이 당시는 육군을 관할하던 전쟁부(the War Department)[4] 소속이었다. 이후 바르바리 해적을 토벌하는데 활약했다. 미군이 그들의 근거지인 트리폴리를 두 번(1801년과 1815년)에 걸쳐 초토화시킨 전투들에서 활약한다.
1834년 6월 30일 이래로 해군부(U.S. Department of the Navy)로 이관되었으며, 군수와 수송, 훈련을 위해 미 해군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미 해병대는 육상기지에도 주둔하지만 전 세계를 항해 중인 미 해군 상륙수송함에도 승선하고 있다. 몇몇 해병전투공격 비행대대는 미 해군 항모비행단에 배속되어 미 해군 핵추진 항공모함에 승선하기도 한다.
20세기 중반, 미합중국 해병대는 상륙전 분야에 있어서 가장 주요한 연구기관이자, 세계적인 상륙전 실행자가 되었고, 해외 분쟁 발생시 촉박한 시간에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상륙전 능력은 미국 외교 정책의 시행과 실행에 있어 강력한 도구가 되었다. 또한, 미 해병대는 전투의 영역을 공중전까지 확대하여 마침내 "제2의 육군", "미국의 3번째 공군"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게 되었고, 2020년 이후 미국의 대외 분쟁 개입이 축소되고 동북아 대중전선에 미국이 들어가자 전면전에 특화되었던 구성에서 벗어나 유인전력을 감축하고 무인화, 정예화된 기동군으로 차별화되는 정책을 추진중에 있다. 2023년 기준 미 해병대는 177,000명의 현역과 32,400명의 예비역을[5] 가지고 있으며, 이는 미 국방부 내 5군 중에서 세 번째로 작은 규모이다.
미국 대통령을 경호하는 군인 인력 중 해병대의 비중이 매우 높으며, 특히 순전히 백악관의 행사 업무만 맡는 해병대 군악대가 유명하다. 대통령 전용 회전익기도 해병대 항공대에서 맡는다.
3. 상징
3.1. 해병대 찬가
From the halls of Montezuma,
몬테주마의 궁정에서,
To the shores of Tripoli[6]
트리폴리의 해안까지.
We will fight our country's battles.
우리는 조국의 전투에서 싸운다네.
in the air, on land and sea.
하늘, 땅 바다에서.
First to fight for right and freedom,
자유와 권리를 위해 최선봉에서 싸우며,
And to keep our honor clean.
우리의 명예를 지킨다네.
We are proud to claim the title.
우리는 우리가 가진 부대의 이름을 자랑스럽게 여긴다네.
Of United States Marine.
바로 미합중국 해병대.
-미 해병대 찬가 Marines' Hymn
몬테주마의 궁정에서,
To the shores of Tripoli[6]
트리폴리의 해안까지.
We will fight our country's battles.
우리는 조국의 전투에서 싸운다네.
in the air, on land and sea.
하늘, 땅 바다에서.
First to fight for right and freedom,
자유와 권리를 위해 최선봉에서 싸우며,
And to keep our honor clean.
우리의 명예를 지킨다네.
We are proud to claim the title.
우리는 우리가 가진 부대의 이름을 자랑스럽게 여긴다네.
Of United States Marine.
바로 미합중국 해병대.
-미 해병대 찬가 Marines' Hymn
3.2. 홍보 영상
미합중국 해병대 홍보 영상 |
4. 인사
4.1. 수뇌부
국방부 소속의 해군장관 지휘를 따른다.대통령 | 국방장관 | 해군장관 | 해병대사령관 | 해병대주임원사 |
조 바이든 | 로이드 오스틴 | 카를로스 델토로 | 에릭 스미스 대장 | 카를로스 루이즈 원사 |
4.2. 진급 속도
미군에서 해병대는 평균연령이 매우 젊은 편으로, 2011년 기준으로 미 해병대의 평균연령은 25세로 육군(29세), 해군(29세), 공군(30세)보다 젊다. 도전적인 이미지와 남성, 마초적인 이미지 때문에 특수부대와 공군 다음으로 해병대에 지원하는 청년이 많고, 지원자가 많기 때문에 해병대가 타군보다 더 낮은 연령제한선을 두는데다, 체력을 강조하는 특성상 타군보다 나이들면 전역하는 인원이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병대에서 18세~21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36.9%로 타군의 두 배가 넘고, 전체 병력대비 사병비율은 89%로 전군에서 해병대의 사병비율이 가장 높다. 이로 인해 해병대 사병의 진급은 전군에서 가장 빠르고, 진급 적체 없이 고속 승진이 가능하다. 그러나, 사병 비중이 높다는건 반대로 그만큼 장교 비중이 낮다는 얘기이기 때문에 해병대 장교의 진급은 그만큼 느린 편이다.전군에서 해병대의 사병비율이 가장 높은만큼 부사관계층의 부대내 권한과 권위는 타군에 비해 높다. 해병대 부사관은 타군 부사관보다 더 많고 다양한 일을 맡게 되며 그로 인해 부사관의 권위를 좀더 인정해주는 편이다. 예를들면 해병대에서 E-5에서 E-7은 Staff Sergeant, Gunnery Sergeant, Master Sergeant로 랭크를 모두 언급해 호칭하여야 하며, 육군처럼 그냥 Sergeant로 에껴서 통용하면 개념이 없다고 까인다.
물론, 미군의 인사체계는 각군 공통으로 균등하게 적용되도록 설계되었으나 각 군의 특성상 특정 구간에서 인사적체가 발생하며 직별과 보직에 따른 차이가 생긴다. 일반적으로 사병의 진급은 해병대가 가장 빠르고 육군, 해군, 공군, 해안경비대순으로 진급속도가 차이난다고 알려져있다. 사병의 진급속도는 사병의 비중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해병대 안에서도 보병병과와 항공병과 간 차이가 크게 날 수 있다. 가령 해병대 항공병과는 공군만큼이나 진급이 늦을 수 있고, 미 해병대는 항공병과의 비중이 크기 때문에 평균 진급속도가 느리게 보이지만 보병병과만 놓고 보면 해병대 사병의 진급속도가 월등하다. 또한, 링크 기사를 보면 진급속도는 시기별로도 차이가 있다. 2000년 당시 E6까지 진급하는데 육군은 8.6년 해병대는 8.3년으로 해병대가 가장 진급이 빨랐지만, 2010년에는 육군 8.2년 해병대 8.8년으로 육군이 가장 빨랐다. 장교의 진급은 위관급에서는 전군이 비슷하지만 영관급과 장성급에서는 사병과 반대로 육군과 해병대 장교가 해군, 공군 장교보다 2년 정도 늦다.
참고로 미 육군의 자체적인 대장 보직은 6개, 미 해군의 자체적인 대장 보직은 6개, 미 공군의 자체적인 대장 보직은 9개, 미 해안경비대의 자체적인 대장 보직은 2개이다. 전체 병력대비 자체적인 대장 보직 비율은 해병대가 97,000명 당 1명, 육군이 90,000명 당 1명, 해군이 52,000명 당 1명, 공군이 37,000명 당 1명, 해안경비대가 21,000명 당 1명이다. 해병대의 자체적인 대장 보직의 비율이 가장 낮은 이유는 전군에서 해병대의 사병비율이 가장 높기 때문이다. 전체 병력대비 사병비율은 해병대 89%, 해군 82%, 육군 81%, 공군 79%, 해안경비대 76% 순이다.
전체 장교 대비 자체적인 대장 보직 비율은 육군 장교 16,000명 당 1명, 해병대 장교 10,000명 당 1명, 해군 장교 8,000명 당 1명, 공군 장교 7,000명 당 1명, 해안경비대 장교 5,000명 당 1명 순이다. 장교 100,000명 당 자체적인 대장 보직 비율로 생각해 보면 육군이 6명, 해병대가 9명, 해군이 12명, 공군이 14명, 해안경비대가 20명의 보직이 있는 셈으로 전체 장교대비 자체적인 대장 보직 비율은 육군이 가장 낮고, 따라서 육군 장성급 장교의 진급이 가장 늦다. 5개 군 중 중간값인 해군을 100%로 놓고 볼 때 육군은 해군의 53%에 불과하고, 해병대는 해군의 80%, 공군은 해군의 122%, 해안경비대는 해군의 179%에 달하니 육군과 해병대 장교의 인사적체가 얼마나 심각한지 잘 알 수 있다.
다만, 이는 지상군 중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보병 병과 특성 때문이지 타군이 쪽수도 적으면서 장성 자리만 쓸데없이 늘리는 건 아니다. 지상군 역시 비보병으로 넘어가면 같은 계급의 장교가 휘하에 둘 수 있는 병력 수는 훨씬 줄어든다. 같은 해병대 소위라도 보병은 자기 밑에 30~40명의 병력을 두지만, 기갑은 겨우 11명[7]이다. 이는 지휘관의 책임 범위가 단순히 사람만이 아니라 운용하는 장비에 대한 것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당연히 보병의 주 병기인 소총은 정당 사람 하나가 붙어야 운용 가능하니 병기와 사람이 1:1이 되어야 하고 이런 총기류는 운용에 대한 책임도가 말단 병에게 지워도 될 만큼 가벼우니 소위 한 명이 수십 명의 인원을 관리할 역량을 장비 책임도가 주는 만큼 돌릴 수 있는 거고, 기갑은 그 반대라 볼 수 있다. 지상군이 아닌 해공군은 더더욱 그렇다. 해공군은 아예 편제상 장교 직할에 병이 한 명도 없을 수도 있다.
4.3. 출신인물
오랜 역사를 가진 만큼 유명한 인물들이 많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소수군인 우주군, 해병대, 해안경비대 출신의 대통령은 아직 없다. 2017년 1월 출범하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해병대 퇴역 대장인 제임스 매티스가 국방부 장관에 임명되었고, 역시 해병대 퇴역 대장인 존 F. 켈리가 국토안보부 장관을 거쳐 대통령 비서실장에 임명되어 트럼프 행정부에 해병대 출신이 많아졌다.4.3.1. 역사적 인물
가나다순- 그레고리 보잉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군 격추수 5위. 미 해병대 격추수 1위의 전쟁영웅.
- 루이스 풀러: 미 해병대 역사상 가장 많은 훈장을 받은 해병, 미군 역사상 두번째로 많은 훈장을 받은 군인. 제2차 세계대전 과달카날 전투에서 1사단 7연대 1대대장, 그리고 한국전쟁에서 1사단 1연대장을 역임하며 장진호 전투를 치렀다.
- 알렉산더 밴더그리프트: 제2차 세계대전 중 과달카날 전역에서 미 해병 제1사단을 지휘했고 이후 해병대 사령관에 올랐다.
- 에반스 칼슨: 미합중국 해병레이더스의 창립자이며 약 3년가까이 태평양 전쟁에서 공을 세웠다.
- 올리버 스미스: 한국전쟁 당시 장진호 전투를 지휘한 미 해병 1사단장. 뛰어난 지휘력으로 중공군에게 사면이 포위된 상황에서도 질서정연한 퇴각을 이끌었다.
- 존 글렌: 해병대 최초의 우주비행사, 지구궤도를 비행한 첫 번째 미국인.
- 존 바실론: 살아서 미 명예훈장을 수여받은 첫 번째 미 해병. 과달카날 전투에서 기관총 한자루로 무쌍을 펼쳐 전국적 인기를 얻는 전쟁영웅에 등극했다. 이오지마 전투에서 안타깝게 전사.
- J. D. 밴스: 최초의 해병대 출신 부통령.
- 제임스 매티스: 해병대 최초의 국방장관.
- 테드 윌리엄스: 미국 메이저리그 최후의 4할타자로 유명한 야구선수이자 제2차 세계대전과 한국전쟁에 모두 참전한 전투조종사. 존 글렌이 그의 윙맨이었다.
- 캐롤 머터: 미군 최초의 여군 중장(3성 장군).
- 프레드 헤이즈: 아폴로 13호에 달착륙선 조종사로 탑승했던 우주비행사.
- 피터 페이스: 해병대 최초의 미 합동참모의장.
- 홀랜드 스미스: 제2차 세계대전의 주요 전투에서 해병대를 지휘하고 육성해서 현대 상륙전의 아버지로 불린다. 별명은 "울부짖는 미치광이(Howlin Mad)"
4.3.2. 유명 인물
- 대니얼 유: 미 해병대 최초의 한국계 미국인 장성.
- 데일 다이: 미국 단역 영화배우, 방송인.
- 랜디 오턴[8]: 미국 프로레슬링(WWE) 선수, WWE 챔피언, WWE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 레이시 에반스: 미국 프로레슬링(WWE) 선수
- 로널드 리 어메이: 미국 영화배우.
- 로버트 넬러: 제37대 미 해병대 사령관, 미 해병대 대장.
- 리 마빈: 미국 영화배우.
- 리 하비 오즈월드: 1963년 존 F. 케네디 대통령을 저격한 암살범
- 메건 리비: 미 해병대 상병. 군견병으로 군견 렉스와 이라크전에 참전한 이야기가 영화로 만들어졌다.
- 스메들리 버틀러: 역대 최연소 미해병대 소장. 제대 후 반전 평화 운동가로 활동했다.
- 스티브 맥퀸: 미국 영화배우.
- 아담 드라이버: 미국 영화배우.
- 제임스 에이머스: 제35대 미 해병대 사령관, 미 해병대 대장. 최초의 해병 항공대 출신 대장이다.
- 제임스 카트라이트: 제8대 합동참모차장, 미 해병대 대장.
- 조지프 던퍼드: 제19대 합동참모의장, 미 해병대 대장.
- 존 R. 앨런: 이슬람국가(IS) 격퇴를 위한 국제연합 대통령 특사, 미 중부사령관 권한대행, 주아프간미군사령관 겸 ISAF 사령관, 미 해병대 대장.
- 존 F. 켈리: 제5대 국토안보부 장관, 미 남부사령관, 미 해병대 대장.
- 존 팩스턴: 제33대 미 해병대 부사령관, 미 해병대 대장.
- 진 해크만: 영화배우.
- 찰스 볼든: 제12대 미 항공우주국(NASA) 국장, 미 우주비행사.
- 찰스 잉
- 카를로스 헤스콕: 월남전 당시 미 해병대의 전설적인 저격수.
- 트래비스 헤일리: 미국의 유명 사격교관.
- 브라이언 스탠: 종합격투기 선수.
4.3.3. 동물
5. 각종 명령 계통 및 타군과의 연계점
미국의 군대에 대한 법은 미군을 육군, 해군, 공군, 우주군, 해병대, 해안경비대로 분류하며 해병대는 '미군을 이루는 6군 가운데 하나이다'라고 못박고 있다. 타국처럼 해병대가 해군의 하부 조직이라고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는 아마도 미 해병대가 미 해군부의 통제를 받는다'는 내용이 과장, 와전된 듯으로 보인다. 미 해병대본부는 미 해군본부의 소속이 아니며, 미 해군본부와 미 해병대본부는 미 해군부의 산하에서 같이 함께 '병렬(竝列)'한다. 해병대사령관의 계급도 해군참모총장과 똑같이 대장이며, 육·해·공군참모총장과 함께 합동참모회의의 일원이기도 하다.하지만 완전하게 100%로 독립된 군종인 것은 아니다. 미 해군에 소속된 부분이 역시 많다. 회사로 치면 자회사 개념에 가깝다.[9] 일단 '해병사관학교'는 따로 없고, 한국 해군의 해군사관학교와 마찬가지로 아나폴리스(Annapolis, 미국해군사관학교)[10]에서 미 해병대의 장교도 같이 함께 배출한다. 의전 서열도 엄연히 미 해군참모총장이 미 해병대사령관보다 더 높으며, 전시에 미 육군·해군·공군의 경우 원수 진급이 가능하나 해병대는 해안경비대, 우주군과 함께 원수 계급이 아예 없다.[11] 또한 의무·군종 등의 특수병과가 필요할 경우에는, 그 자리에 미 해군의 인원이 배속[12]되며, 법무 병과는 미 해군 법무실[13]이 최상급의 기관으로서 미 해병대원의 군사 재판과 군 수사 등은 미 해군 법무실의 이름으로 실시한다.[14] 심지어 2020년에 발표된 미 해병대 대규모 개편 계획에서는, 미 해병대의 내부에 있는 미 해병대 군사경찰을 해체한 다음에 그와 관련한 업무들은 미 해군의 군사경찰으로 전부 이관할 예정이다. 결정적으로, 미 해병대의 주 임무인 '상륙전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반드시 꼭 필요한 상륙함은 미 해군에서 본격적으로 운용을 한다. 하지만 미 해군기지의 경비와 미 해군 전투함의 함내 경비는 미 해병대에서 맡는다. 해병대 자체가 근본적으로는 원래 그러라고 있는 조직이기 때문에, 미 해병대도 자연스럽게 미 해군에 기대야 하는 것들이 많아서 미 해군에 예속된 부분들도 역시나 많은 것이다. 즉, 미 해병대는 상당한 정도의 독립성을 띠고 있는 군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완전히 100% 독립된 군종' 역시도 아니기 때문에 미 해군에 예속된 부분들도 많은 반(半)은 독립된 군종 정도로 보면 된다.
미 해병대가 미군에서 차지하는 위상은 높은 편인데, 미 육군/미 해군/미 공군/미 우주군의 각 참모차장 그리고 미 해안경비대의 해안경비대부사령관과 마찬가지로 미 해병대도 역시 같은 개념으로 해병대부사령관까지 4성 장군[15]이며 미국의 제복군인 1인자인 미 합동참모의장이나 NATO군 사령관 등 대장에 상응하는 여러 고위직들을 맡을 수도 있다.[16]
'미 해병 군악대(United States Marine Band)는 미국의 수도인 워싱턴 D.C.에 주둔하면서 미국 대통령 근위대의 기능을 맡고 있기도 하다. 이들은 철저한 신원조회와 함께 공개 오디션을 통해서 선발이 되며, 미군 전체를 통틀어서 유일하게 신병훈련을 아예 받지 않는 부대이다. 또한 전투임무는 부여되지 않으며, 모든 해병대는 소총수(Every Marine is a Rifleman)'라는 미 해병대의 원칙에서도 유일하게 제외가 된다. 미 해병 군악대원들은 어떠한 경우에라도 미 해병대본부의 군악대나 미 해병사단의 군악대 등 다른 미 해병부대로 전출이 되지 않고, 오로지 미 해병 군악대 1곳에서만 근무하며, 미 해병 군악대는 그 어떠한 경우에도 다른 해병부대 예하로 절대 배속이 되지 않는다. 즉, 미 해병 군악대는 미 해병대의 1인자인 미 해병대사령관조차도 통제하지 못하는 미국 대통령의 직속 부대이다. 또한 미 해병 군악대는 미 해병대의 다른 군악대와는 다르게, 입대를 한 이후에 바로 하사 계급으로 근무를 시작한다. 백악관에서의 만찬이나 연말연시에의 연주로 유명한 미 해병 군악대의 별명은, 아예 'The president's own(대통령 전용)'일 정도이다.[17]
참고로 미국 대통령이 머무르는 백악관에 대한 경비는 미 국토안보부 산하에 있는 기관인 'Secret Service'가 담당하고, 미 내무부 산하 국립공원관리청에 소속된 '연방 공원경찰(Park Police)'이 외곽에 대한 경비를 담당한다. 미국 대통령 전용기의 호출 부호는 '에어 포스 원(Air Force One, 공군 1호기)'이지만 미국 대통령 전용 헬리콥터의 호출 부호는 '마린 원(Marine One)'인데, 이는 한마디로 '해병 1호기'이다.
해외의 미국 대사관들 중에 테러가능성 등 위험성이 높은 국가에 있는 미 대사관 경비는, 미 해병대 소속의 '대사관경비대(Marine Security Guard)'가 책임지고 있다. 그래서 중동 등에서 현지 치안이 매우 불안한 경우에는, 항상 M240 기관총 같은 중화기로 무장하며 개인화기도 실탄을 지급받고 경비 임무를 수행한다. 또한 반미 시위 발생 시 시위 진압을 할 수 있는 진압 방패 같은 비살상무기를 보유 하며, 별도의 시위 진압법 또한 훈련 받고 있다. 다만 지휘는 미 해병대 자체에서 하는게 아니라, 국무부의 DSS 소속인 해당 대사관의 '지역보안담당관(Regional Security Officer)'에게 지휘와 명령을 받는다. 경비 범위는 대사관이 위치한 곳으로부터 1~3 블록 정도다. 단, 한국처럼 치안이 좋은 미국의 동맹국들에서는 대사관의 외부 경비는 그 나라 경찰이 맡는다.[18]
이렇게 자부심도 강하고 위상도 높은 편이지만, 언제나 타군보다 국방예산이 딸린다는 것은 사실 한국의 해병대와 다르지 않다. 걸프전 당시 다국적군 총사령관도 겸한 노먼 슈워츠코프가 "105㎜로는 T-72 못 잡으니 120㎜가 필요하다"라고 하자 M1을 모조리 본토로 돌려보내고 M1A1HA를 보급받은 육군과는 달리, 해병대는 상근예비역까지 모조리 소집해서 M60A1 RISE를 투입했다. 이후에는 해병대가 강력하게 요구해서 HA를 좀더 개량한 M1A1HC 사양을 받았으나[19] 얼마 안 지나서 육군은 M1A2를 받기 시작했다. 이라크전 때 해병대 수색대원들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드라마인 제너레이션 킬에서는 "해병대의 보급과 예산이 항상 열악한 이유가, 해병대는 투견 같은 것이라 굶기고 구박하며 키워서 악에 받치게 한 다음, 적이 있는 곳에 물어뜯으라고 풀어주기 위해서"라는 대사가 있을 정도이다. 물론 이것은 일단 미군 기준에서는 그렇다는 것이고, 다른 나라의 해병대와 비교하면 넘사벽의 차이가 있다. 미 해병대만한 항공대를 운용하는 해병대가 어느 나라에 있겠는가.[20] 하지만 미 해병대가 기갑·포병·유인 항공전력 등과 같이 무겁고 돈이 많이 드는 전력들을 상당수 포기 또는 감축하는 계획이 잡히게 되면서, 타군과 중복 운용하는 장비들이 줄어들게 되어서 앞으로는 '직접적인 비교'가 어려워질 것이다.
6. 전략·전술 발전
19세기와 20세기 초반에는 해외 군사개입과 각종 소규모 전투에 대한 경험을 쌓았으며 1921년에 그런 경험을 집대성한 소규모 전쟁 교범(The Strategy and Tactics of Small Wars in 1921)을 완성했다. 이후에도 이 분야에 대한 교범(FMFRP 12-15. Small Wars Manual)을 계속 보강하고 있다.제1차 세계대전 이후 형성된 현대적인 상륙작전 개념을 습득하여 왔고, 20세기에 들어서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태평양 전역에서 실전을 통해 상륙전 경험을 쌓았다.[21]
현대에는 군사무기의 화력과 탐지기술이 발달되어 상륙부대가 초기에 격퇴당할 가능성이 높아져 느린 상륙정을 타는 대신, 수평선 밖에서 대기하고있다가 최단시간 안에 적 해안까지 도달하는 초수평선 타격개념이 각광받고 있고, 이에 따라 '해병대'라고는 하지만 항공기나 헬리콥터를 이용해 적 해안을 넘는 작전 양상을 보인다. 강습상륙함이 그런 개념을 구체화 하여 실현한 것이고, 상륙돌격장갑차와 헬기콥터, 수직이착륙 공격기와 수직이착륙 틸트로터기 같은 신무기를 도입하여 실전에 적용하는 진보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특성상 같은 지상전 임무를 맡는 미 육군과 자주 비교가 되는데, 역사적으로 제2차 세계 대전처럼, 미 육군은 유럽전선에서 상륙작전을 모두 전담하고,[22] 태평양 전선에서도 병력 규모가 육군이 더 많았기에 해병대보다 더 많은 상륙전을 수행했다. [23], 그러나 이제는 인력을 갈아넣는 상륙작전은 이미 철지난 전략이고, 만약 육군이 상륙작전을 한다쳐도 레인저나 공수부대를 먼저 갈아넣고 상륙을 해야하기에 매우 비효율적이다. 노르망디때도 먼저 후방에 공수사단을 투입하여 교란 하였음에도, 기관총 세례로 일반 육군부대가 작전을 진행하는게 불가능하자 레인저가 길을 개척해야 했다.[24] 그래서 상륙전을 전문으로 하는 부대가 필요한 것이다. 물론 지금도 상륙작전 교범#을 유지하고 있으나, 현재 육군은 기계화보병, 공수, 산악부대 등 지상전에 더 중점을 두고 약간씩만 상륙전을 연습하고 있으며, 상륙전 훈련은 해병대가 주축으로 하고 있다.# 결국 해병대가 전차와 야포 전력을 포기하는 새로운 경량화 전략을 채택하게 되면서, 고화력 기반 정규 지상전을 맡게 될 미 육군과는 확실히 차별화될 예정이다.
모든 해병은 소총수라는 구호 아래 모든 병과의 해병들이 초급 훈련 과정에서 소총수의 신조를 읆으며 소총수 수준의 소총 사격 훈련을 이수하고, 전통적인 장거리 사격과 백병전을 매우 중요시 했다. 2002년에 'MCMAP'(믹맵, Marine Corps Martial Arts Program)을 개발하여 발전/보급시키고 있는 것도 백병전을 중시하는 미 해병대의 성향이 반영된 것이다. 그러나 장거리 단발 사격에 유리한 M16A4를 제식 소총으로 고집하던 미 해병대도 결국에는 시대와 전훈에 맞추어 휴대성을 중시한 M4 카빈으로 제식 소총을 교체하게 된다. 이후 또다시 생각이 바뀌었는지 돌격소총, 분대지원화기, 지정사수소총을 모두 통합시켜 아예 전 분대원을 모든 거리에서 고화력을 쏟아붓는 자동소총수(Automatic Rifleman)로 만들어버릴 목적으로 연사 능력이 대폭 강화된 M27 IAR[25]을 제식 소총으로 도입하게 된다.
2020년에는 앞으로 미 해병대가 투입될만한 대규모 분쟁이 예상되는 지역이 중동에서 여러 섬들이 즐비한 태평양 쪽으로 빠르게 옮겨감에 따라, 대규모의 전력 개편 계획이 발표되었다. 기존의 해병대 전력이 전차, 야포부터 헬기, 전투기까지 기존에 타군이 운용하던 전력들을 중복 운용하는 통합군의 느낌이였다면, 앞으로의 미 해병대는 기동성에 걸림돌이 될 무거운 기갑, 포병 전력과 해상에서 발전된 탐측 및 타격 장비를 상당수 보유한 적에게 무력화되기 쉬운 유인 항공전력을 포기 및 감축하여,[26] 대규모의 초수평적 상륙작전의 실행을 사실상 포기하는 대신 소형 상륙정과 대함 미사일, UAV를 통한 섬에서 섬간 고기동 기습 타격 및 대함전에 특화된 조직으로 만드는게 목표이다. 자세한 것은 아래 문단 참고.
6.1. 대규모 경량화 개편 계획(Force Design 2030)
2022년 공개된 모병광고로 대규모로 개편된 미 해병대의 모습이 잘 묘사되었다. |
2020년 2월, 미 해병대 사령관 데이비드 버거 해병 대장은 향후 변화하는 전장환경에 맞추어 미 해병대에 대규모 조직개편을 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
현재 발표된 개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감축
- 전차대대를 전부 해체하고 M1A1 전차는 전부 육군으로 이관한다. 전차 지원이 필요한 경우 육군에 요청해 기갑 부대를 임시로 배속받아 운용한다.[27]
- 해병대 군사경찰대를 해체하고 해병대의 치안업무는 전부 미합중국 해군 군사경찰로 이관한다.[28]
- 보병대대를 24개에서 21개로 감축한다.
- 재래식 야포 포대를 21개에서 5개로 감축한다.
- 상륙장갑차 중대를 6개에서 4개로 감축한다.
- 공병 가교부대를 해체한다.
- MV-22 비행대, AH-1Z 공격헬기 비행대, CH-53 대형수송헬기 비행대를 감축한다.
- F-35B/C 보유 댓수를 비행대 당 16대에서 10대로 감축한다.
- 증강
- 경량화된 다연장로켓 포대를 3배로 증강한다.
- 무인 운용이 가능한 신형 이동식 지대함/지대지 미사일 포대를 대폭 증강한다.
- 감축되는 헬기 전력 대신 UAV 전력을 크게 증강한다.
- 해군에 저피탐 성능을 갖춘 신형 경량 고속 상륙함정들을 개발, 배치해 상륙시 피해를 최소화한다.
- 보병분대 정원을 15명으로 늘리고, 화기 전량을 M27 IAR로 통일한다. 또한 3명(분대장, 부분대장, 드론/통신기/전자전장비 운용병) 구성의 분대본부팀과 각각 4명(팀장, 소총수, 자동소총수 또는 지정사수, 유탄수)으로 구성되는 3개 소총팀(2개 팀은 자동소총수 편제, 1개 팀은 지정사수 편제)으로 편제하여 최말단 제대인 보병분대의 화력과 정보력을 크게 강화한다.
전차와 유인 항공전력을 대폭 감축하는 대신 드론, 미사일, 소형 고속 상륙함정 등을 크게 증강하는 이번 개편의 목적은, 그동안 세계대전과 6.25 전쟁, 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이라크 전쟁 등을 거치면서 해병대가 사실상의 '작은 육군(Mini Army)' 노릇을 하며 해병대 본연의 능력을 잃어버렸다는 반성과 앞으로 미국의 제1의 주적이 될 중국과의 주 전장이 대만, 남중국해, 말레이 지역 등 열대 섬들 지역이 될 것이라는 예상에 따른 것이라고 한다.
실제로 이와 관련하여 버거 장군은 2020년 9월에 '현대 해병대 군사 박람회(Modern Day Marine Military Expo)'에서 "우리는 커다란 육군이 필요하다. 그들은 우리의 전쟁을 이긴다. 하지만 해병대는 전쟁을 이기지 않는다. 우리는 전투를 이긴다.(We need a big Army. They win our wars. The Marine Corps doesn’t win the wars. We win the battles.)"라고 발언하였다.#
중국의 반접근·지역거부 전략을 기존의 대규모 초수평적 상륙작전이라는 정공법으로 뚫기에는 현대의 무기 기술이 발전할수록 방어자가 너무나도 유리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공격자 측의 막대한 희생이 불가피하다. 그러므로 무거운 전차/야포 전력과 적의 레이더에 쉽게 피탐될 대형 함정/항공 전력은 과감히 포기하고, 대신 중대급 전투단이 중심이 되어 가벼우면서 고화력인 유도탄/로켓탄, 적의 레이더에 잘 피탐되지 않을 드론과 소형 고속상륙정 등을 사용하고 중국군 소부대와 조우 시 강화된 보병분대 화력으로 적을 제압하면서 여러 섬들 사이를 이동하며 중국군을 치고 빠지며 강력한 적 전력을 발견하면 타군의 중무장 병기를 유도하여 격파한다. 그리고 차례차례 섬의 접수가 완료되면 상륙함 또는 수송기로 실어나른 신형 무인 대함미사일 포대를 박아놓아 방어선을 구축하고 또 다른 섬으로 이동하는 식이다.
향후 미해병대가 활동할 것으로 여겨지는 남서태평양 해역에는 수천 개의 섬이 있으며, 이 섬들 일부에는 레이더 기지 등이 설치되어 중국 해군의 활동을 돕고 있다. 그런데 그러한 지원 네트워크가 파괴되고 어느 섬에 대함미사일이 숨어있을지 알 수 없다면 중국 해상전력의 활동은 크게 위축된다. 설령 이지스급의 방공함을 보유하고 있다 해도 위험요소에는 접근하지 않는 것이 우선시되기 때문이다. 이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태평양 전역의 주요 작전개념이었던 '개구리뛰기(Leapfrogging) 전술'을 현대적으로 계승한 것으로, 과거의 레시프로 전투기만 오늘날의 지대함 미사일 발사대와 임시 F-35B 보급기지로 바꾼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2020년 12월까지 미 해병대의 모든 전차는 미 육군으로 이관되었다.# 해병대 기갑 병과 인원들도 본인 희망에 따라 전역 혹은 육군으로의 전군 조치가 취해졌다. 인사적으로도 해병대 기갑 병과 및 예하 특기들이 모두 삭제됐다. 다만, 압도적으로 많은 인원들이 자존심 강한 해병대답게 "땅개가 되느니 집에 가고 만다"며 전역을 택해, 전차 대비 인원을 덜 인계받은 육군에서 부랴부랴 예비역 재소집 및 신병 중 기갑 병과 선발 확대 등을 실시했다는 후문이다.
또한 신형 스텔스 고속 경상륙함 개발도 해군과 협조하여 30척을 조달하기로 결정되었다.# 미군 및 해병대 내에서도 지나치게 급진적인 개편이라는 주장도 있었으나 꾸준히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많은 이들이 미 해병대의 이 조직개편을 영국 해병대처럼 소규모의 특수부대 형태처럼 바꾸는걸로 알고 있지만, 그동안 육군의 형식을 갖춰왔던 해병대가 '첨단화, 정예화된 보병 위주의 상륙기동군'으로 개편될 뿐이고 증강하는 다른 부류 때문에 인원이 많이 축소되진 않을 것이다.
미 해병대를 부러워하며 대한민국 해병대의 덩치를 키워야 한다고 주장하던 일부 밀덕들에겐 꽤 충격으로 다가왔다. 이와 반대로, 해병대의 슬림화와 본연의 임무인 상륙전 분야 집중을 주장해 온 밀덕들에겐 호재가 되었다.
7. 장비
미 해병대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미 해병대 소총수는 M4 카빈을 사용한다.[29] 2017년 초 미 해병대 보병부대 사격조용 제식화기를 M4 카빈에서 M27 IAR로 교체하는 결정이 내려졌고, 2020년 말까지 교체될 예정이다. 소총분대장과 소총분대 이상의 상급부대에서는 계속 M4 카빈을 사용할 예정이다.해병대의 표준 부무장은 베레타 M9 및 베레타 M9A1 권총이다. 해병대 포스리컨이나 해병대 특수작전부대 MARSOC 등의 특수부대에서는 M45A1 권총을 사용하다가 글록 19M(제식명 M007)으로 교체할 예정이다. M45A1은 특수부대가 아닌 (전차병 등 부무장이 필요한) 일반부대로 재배치되어 M9A1을 대체한다.
4명의 소총수로 구성된 해병대 사격조는 M4A1 소총/M27 IAR 소총 3정[30], M27 IAR[31] 보병자동소총 1정, M203A2 또는 M320A1 유탄발사기 1정, 케이바(KA-BAR) 나이프 2정, OKC-3S 총검 2정을 장비한다. 세부적인 구성은 자주 바뀐다. 이전에는 케이바 나이프 1정과 OKC 총검 3정을 장비했다.
미 육군의 소총분대는 소총분대장과 4명으로 구성된 사격조 2개로 총 9명인 것과 달리, 해병대는 소총분대장과 4명으로 구성된 사격조 3개로 총 13명으로 구성된다. 소총분대는 이외에도 각종 수류탄과 M18A1 클레이모어 지뢰, 84㎜ M136 AT4 무반동총으로 화력을 보강할 수 있다.
해병대 소총소대는 소총소대장과 부소대장, 부부소대장(소대가이드), 무전병, 해군의무병3명, 13명으로 구성된 소총분대 3개, 이렇게 총 43명으로 구성된다. 그 밖에도 소대 전령이나 대대 화기중대 박격포소대에서 파견나온 전방관측병 2명이 추가되기도 한다.
해병대 소총중대는 3개 소총소대와 1개의 화기소대, 1개 중대본부로 구성되는데, 소총중대 화기소대는 60㎜ M224 박격포, 83㎜ Mk.153 SMAW 로켓, 7.62㎜ M240B/G 기관총을 장비한다.
해병대 보병대대는 3개 소총중대와 1개 화기중대, 1개 본부중대로 구성되는데, 보병대대 화기중대는 81㎜ M252 MERM 박격포와 FGM-148 재블린 대전차미사일, BGM-71 TOW 대전차미사일, 12.7㎜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40㎜ Mk.19 고속유탄기관총을 장비하고, 보병대대 본부중대 정찰저격소대는 7.62㎜ M40A5/M40A7 저격소총, .300구경(7.62㎜) Mk.13 Mod.7 저격소총과 7.62㎜ M110 SASS 저격소총, 12.7㎜ M82A3 SASR 대물저격총을 장비한다.
해병대 보병연대는 3개 보병대대와 1개 본부중대로 구성된다.
미 해병대 해병사단은 3개 보병연대와 1개 포병연대, 1개 본부대대, 사단 직할대(수색대대, 경기갑수색대대, 상륙장갑차대대, 전차대대, 전투공병대대 등)로 구성되는데, 포병연대는 155㎜ M777 견인포, M142 HIMARS(High Mobility Artillery Rocket System)와 MTVR(Medium Tactical Vehicle Replacement) 7톤 포차를 장비하고, 전차대대는 M1A1 에이브람스 전차와 M88A2 허큘리스 구난전차, M60A1 AVLB 교량전차를 장비하고, 상장대대는 AAV-7A1 장갑차를[32] 장비하고, 경기갑수색대대는 LAV-25 장갑차를[33] 장비하고, 전투공병대대는 M9 ACE 전투장갑도저와 M1 ABV 슈레더 공병전차, 불도저, 지게차, 로더, 각종 트럭과 덤프트럭, 유조차, 트레일러, 견인차, 기중기, 도로공사용 그라인더·롤러·스크레이퍼·콘크리트 믹서, 도로청소용 증기분사 트레일러, 발전기, 조명, 정수기, 이동식 샤워부스를 장비한다. 이외에도 해병사단과 연대, 대대는 험비 등의 차량을 운용한다. 또한, 수색대대는 CRRC 고무보트를 운영하기도 한다. 미 해병사단은 이 밖에도 120㎜ M327 EFSS 박격포 등을 보유하고 있다.
미 해병대 해병군수단은 본부연대와 2개의 전투군수연대, 의무대대, 치의대대, 공병지원대대로 구성되며, 각각의 해병군수단은 1개 해병사단과 1개 해병항공단에 대한 군수지원을 담당한다. 전투군수연대는 험비와 MTVR 7톤 트럭 외에도 LVSR 같은 대형 트럭도 사용한다. 공병지원대대는 사단공병대대가 가진 각종 공병장비 외에도 각종 임시가설 교량을 장비한다. 의무대대는 M997A2 야전구급차를 장비한다.
미 해병대 해병항공단은 미 해병대의 항공부대로 미 해상공군의 일부이다. 다른나라 해병대의 항공대는 대부분 헬리콥터나 수송기 운용이 주인 반면, 미 해병대는 제2차 세계 대전 때부터 해병대 소속 전투기를 날리고 있었다.[34] 항공모함 운용 불가 딱지를 맞은 초기형 F4U 콜세어는 해병항공단에 돌아갔다. 이게 바로 'USMC F4U-1A 커세어'이다. 584기나 운용되었으며 주로 태평양 전쟁시 해병대의 주 작전구였던 남태평양의 섬에 설치된 육상기지에서 운용되었다. 같은 지휘 계통에서 해병대를 직접 지원하겠다는 것인데 이들 해병대 전투기 조종사들은 당연히 육군, 해군 전투기 조종사들과의 경쟁의식도 심했다. 심지어 전기 후반에 해군 항공대 소속 커세어 조종사들이 대지 공격용 로켓을 달고 일본 구축함 사냥을 나선다는 걸 알고 자신들도 로켓을 달라고 떼를 썼을 정도. 그리고 기어코 한 척을 격침시켰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에도 여전하여 F/A-18 호넷 전투기, F-35C 라이트닝II 전투기, AV-8B 해리어II 공격기, F-35B 라이트닝II 전투기, EA-18G 그라울러 전자전기, KC-130J 슈퍼 허큘리스 공수기 등의 고정익 항공기와 AH-1W/Z 슈퍼 코브라/바이퍼, UH-1Y 베놈, CH-53E 슈퍼 스텔리온[35], MV-22B 오스프리 등 회전익 항공기, AAI RQ-7 섀도, 스캔 이글 등의 무인항공기(UAV)도 운용하고 있다. 이 밖에도 해병항공단에는 A/S32P19A 항공소방차와 M-970 급유트레일러, 이동식 급유펌프, 항공기 견인용 45톤 MAC-50 기중기, 항공기 견인트럭, 활주로 복구용 굴삭기, 그레이더, 롤러, 불도저, 덤프트럭, 제설작업용 제설차량, 야전세탁기, 항공화물 하역용 지게차, 로더, 트럭을 장비하고 있다. 미 해병대 예비군 제4해병항공단 401해병전투훈련 비행대대(VMFT-401)에서는 가상적기로 F-5E/F/N 타이거II 전투기를 운영 중이고, 미 해병대본부 제1해병헬기 비행대대(HMX-1)는 VH-3D 시킹 헬기와 VH-60N 화이트호크 헬기를 운영 중이고, 미 해군 시범비행대대 "블루 엔젤스"에 팻 알버트라는 별명을 가진 C-130T 허큘리스 공수기를 파견 운영 중이다.
2021년 10월 2일에 미 해병대는 MADIS(Marine Air Defense Integrated System) 프로그램의 일부로 원격 무기 시스템(RWS)을 제공하기 위해 Kongsberg Protech Systems USA와 계약을 체결했으며, 계약 규모는 '9,400만 달러 규모라고 한다. #
8. 미 해병대 항공대
8.1. 역사
1912년에 창설되었다. 4개의 항공단을 두고 있다.[36] F/A-18과 해리어 등을 운용하며 F-35 라이트닝 Ⅱ의 B, C형을 운용중이다. 간혹 미 공군-미 해군-러시아 항공우주군-미 주방위군의 뒤를 잇고 노후 전투기 보관소를 뒤에 둔 공군력이란 농담도 돌긴 하지만 매우 과장이 섞인 말이라 사실과 다르다. 하지만 세계의 해병대 가운데서 가장 강력한 항공전력을 갖춘 곳임은 맞다. 해병대가 자체 항공모함을 운용하는거냐는 오해를 받기도 하지만, 강습상륙함은 엄연히 해군 소속이며 해병대 항공대 인원이 강습상륙함에 배속되어 활동하는 것 뿐이다.(그외에 해군 함정의 함내 경비를 맡는 인원들도 있다.) 정규 항모전단에서 F/A-18, F-35C를 운용하는 해병대 항공대 인원이면 말할 것도 없다. 그리고 강습상륙함/항공모함 외에도 필요에 따라 공군처럼 지상 기지에 배치되어서 활동하기도 한다. 지상전을 수행하는 해병대를 지원하는 해병 항공대의 특성상 강습상륙함/항공모함에서 발진하기 어려운 지역에서도 활동해야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미 해병대 내에선 미 해군의 해군 항공대에 후달리고 있단 평가를 받지만 파일럿들의 기량은 역시 우수해서 적지 않은 수의 우주 비행사를 배출하기도 했다. 출신 유명인사로는 전 미 해병대사령관 제임스 에이머스 장군이 조종장교 출신이고, NASA 국장을 지내고 있는 찰스 볼든 前 해병소장도 해병대 항공대 출신의 우주왕복선 파일럿이었으며, 메이저리그 최후의 4할타자 테드 윌리엄스도 해병대 파일럿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6.25 전쟁에 참전했다. 머큐리 계획 시절의 레전드 우주비행사 중에도 존 글렌이 있다.
또한 수도 워싱턴 D.C.에서 상시 대기하며 대통령 전용헬기 '해병 1호기'(마린 원) 헬리콥터를 운용하는 비행대대도 있다. 에어 포스 원의 헬리콥터 버전이라 하면 적절하며, VH-3D나 UH-60N이 운용된다고 알려져 있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마린 원 기종을 돈지랄로 마구마구 새로 뽑으려던 계획을 세웠다가 철회하기도 했다.
1990년대 초반에 테일후크 스캔들로 성폭력에 연루된 해군의 항공장교들이 옷을 벗을 때 해병 항공장교들도 덩달아 썰려나가기도 했다. 또한 해병대 항공단은 해군에서 훈련을 받는 특성상 해군에서 임관했다가 전군한 인원도 상당히 많아서 보병 위주로 굴러가는 해병대 지상부대와는 동떨어진 분위기를 자아낸다. 제임스 에이머스 해병대사령관은 이렇게 항공 계열을 따돌리는 분위기 때문에 임기 동안은 물론 전역 후에도 필요 이상으로 까이기도 했다. 해병대 출신으로 비슷한 시기에 가장 합창의장이 된 피터 페이스 前 합참의장과 제임스 카트라이트 前 합참차장에 대한 해병들의 평가를 보면 알 수 있다.
진급 상한선은 대장이지만 별자리가 적은 미 해병대의 특성상 보병 출신들에게 주기도 급급한지라 항공 출신에게 4성 자리가 상시 주어지는 것은 아니다. 대개 해병대부사령관까지 지내고 전역하는 편으로, 제임스 에이머스의 경우 부사령관으로 전역할 양반이 갑자기 사령관에 내정되니 족보가 꼬인다는 반발이 생기기도 했다.
운영은 해병비행기지에서 해병항공단이 독자로 운영되기도 하고, 해군 항모비행단에 배속되거나, 해병대 지상부대와 연계된 Marine Air-Ground Task Force(MAGTF)[37]라는 형태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MAGTF는 크게 세가지로 나뉜다. Marine Expeditionary Unit(MEU, 해병원정대)은 연대급 부대[38]이며, 이 때 항공부대는 보통 크거나 작은 대대급으로 구성된다. Marine Expeditionary Brigade(MEB, 해병원정여단)는 여단급[39]이며, 이 경우 전대급 항공부대가 구성된다. Marine Expeditionary Force(MEF, 해병원정군)는 군단급 부대인데, 이 경우 항공단이 항공부대가 된다. 항공부대로만 이뤄진 해병항공단은 해병사단과 격을 맞추기 위해 대령이 비행단장으로 보임되는 해,공군과 달리 소장이 보임된다. 또한 해군 원정타격단(Expeditionary Strike Group)[40]이 운영되어 해병대 상륙부대와 헬리콥터, VTOL 고정익기로 구성된 항공부대, 군수부대, 직할부대를 싣고 다닌다.
8.2. 특징
위 단락에서 서술한 것처럼 미 공군이나 해군 항공전력에 비하면 열세인 것은 사실이나, 전체적인 규모와 전력으로 보면 어지간한 중소 국가들의 공군력과도 단독으로 충분히 겨룰만한 세력이다.특히 미 해병대 항공단은 미합중국 해병대라는 부대의 특성상 지상 병력에 대한 근접항공지원 분야에서 뛰어난 실력을 보유하고 있다. 미군 내에서도 근접항공지원에 대해서는 미 해병대 항공단을 가장 높게 쳐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미 해병대 항공단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태평양의 여러 섬들을 배경으로 한 전투에서 지상병력을 필사적으로 지원하며 실력을 키워나갔고, 한국전쟁에서는 이를 더 발전시켜 공지 합동 전투의 개념을 창설하여 지상병력을 효율적으로 지원하였다. 그 밖에도 공중전의 작전도 수행한다
미 해병대는 "모든 해병은 본질적으로 소총수"라는 개념 하에 병과를 막론하고 초등군사반을 동일하게 이수하게 하여 보병소대장으로서의 역할을 맡을 수 있도록 하며, 여기에는 항공병과 장교들이라도 예외가 아니다.
미국의 모든 병종 중 특수부대 다음으로 가장 마초적인 이미지가 강한 부대다. 미육군 중 일반 사단은 그나마 병영생활의 똥군기가 어느정도 사라졌지만 미 해병대는 아직도 똥군기가 남은 상황인데 일부 문화 중 처음 온 신병 놀리기는 물론 신병에게 소속감을 준다고 마취도 안 한 채 문양 인두질을 하기도 하며 최악의 경우에는 등에 다트판을 그려 그 등에 다트를 던지는 놀이를 하는 게 대중매체로 나올 정도다. 그럼에도 미 공군 다음으로 해병대 지원율이 높은 것은 기본적으로 미국인들이 마초이즘을 꽤 선호하는 문화를 갖고 있기도 하거니와 특히 모병에 지원할 정도의 인력이면 개중에서도 더욱 마초이즘을 선호하거나 거부감이 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41]
8.3. 미 해병대 항공대 소속 항공기 일람(2018년 기준)
현대의 미합중국 해군 항공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00518a> 미합중국 해군 United States Navy, USN | ||||
회전익기 | CMV-22B, MH-60R/S/H, MH-53E, CH-46R, AH-1(W/Z), UH-1(N/Y) | ||||
전투기 | <colbgcolor=#00518a> 4세대 / 4.5세대 | F-14(A/B/D)R, F/A-18(A/BR, C/D해병), F/A-18E/F | |||
5세대 | |||||
6세대 | {F/A-XX} | ||||
공격기 | |||||
수송기 | UC-12, C-26D, 걸프스트림 V, C-40, C-2A, PC-12NG, C-130T | ||||
지원기 | 조기경보기 | E-2(C/D), E-6 | |||
대잠초계기 | P-3C, | ||||
정찰기 | HC-144해경 | ||||
공중급유기 | KC-130 | ||||
전자전기 | EA-6BR, EA-18G, EP-3 | ||||
훈련기 | 프롭 | DHC-3, T-34, T-44A, T-6 II | |||
제트 | T-45, T-45C, T-2 벅아이, 걸프스트림 G100, T-38A/C, TAV-8B해병 | ||||
헬리콥터 | TH-57, UH-72 | ||||
가상적기 | F-21AR, F-16(A/B), (T)F-16N | ||||
다목적기 | UC-35D | ||||
무인기 | MQ-4C, RQ-7, MQ-8B, 스캔이글, RQ-21 블랙잭, {MQ-25} | ||||
※ 윗첨자해병: 해병항공대 운용 장비 ※ 윗첨자해경: 해안경비대 운용 장비 ※ 윗첨자R: 퇴역 항공기 ※ 윗첨자M: 개조/개량 항공기 ※ 윗첨자U: 업그레이드/업그레이드 예정 ※ ※ {중괄호}: 도입 예정 항공기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미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
8.3.1. 공격기
Ground Attack
* AV-8B+(108기 운용 중)
8.3.2. 제공 전투기
Air superiority fighters8.3.3. 공중 급유기
Tanker- KC-130J(현재 53기 운용 중이며 추가로 9기가 양산될 예정이다.)
8.3.4. 수송기
Cargo transport- Citation Encore/Sovereign/Ultra(현재 12기 운용 중이며 추가로 2기가 양산될 예정이다.)
- Gulfstream IV(현재 1기 운용 중)
- King Air 200/350(UC-12)(현재 13기 운용 중이며 추가로 2기가 양산될 예정이다.)
8.3.5. 헬리콥터
Helicopter- AH-1Z(현재 143기 운용 중이다.)
- CH-53E(142기 운용 중)
- CH-53K(200기가 양산될 예정이다.)
- UH-1Y(현재 150기 운용 중이며 추가로 21기가 양산될 예정이다.)
- MV-22B(현재 309기 운용 중이며 추가로 13기가 양산될 예정이다.)
8.3.6. 훈련기
Trainer- F-5F/N(현재 13기 운용 중)
- T-34(현재 3기 운용 중)
- TAV-8(현재 16기 운용 중)
8.3.7. 무인기
Multi-mission Remote Piloted Aircraft- RQ-7
- Scan Eagle
- MQ-9 리퍼
- RQ-11 Raven
- RQ-20 PUMA3 AE
- VAPOR 55(무인헬리콥터)
9. 기초군사훈련
매년 2천명 이상의 장교와 3만 8천명의 사병을 배출한다. 이들은 모두 해병대 모병사령부(Marine Corps Recruiting Command)를 통해 해병대에 지원한다.해병대 신병은 부트 캠프(Boot camp)로 알려진 샌디에이고와 패리스 아일랜드 해병대 신병훈련소, 이렇게 두 곳의 신병훈련소 중 한 곳에서 훈련을 받는다. 훈련소 배정은 역사적으로 미시시피강을 경계로 강 서쪽 거주자는 샌디에이고로 입소하고, 강 동쪽 거주자는 패리스 아일랜드로 입소를 했지만, 교통이 발달한 요즘은 모병지구를 기준으로 양쪽 훈련소에 균등한 신병이 배정되도록 조정한다. 다만, 여군은 패리스 아일랜드 해병대 신병훈련소(MCRD) 제4신병교육대대 한 곳으로만 입소한다.
모든 신병들은 신병훈련을 시작하기 전에 기초체력 시험(Initial Strength Test, IST)을 통과해야만 한다. 미 해병대 지원자의 기초체력시험 기준은 남성의 경우 턱걸이 2회, 윗몸일으키기 35회(제한시간 2분), 2.4㎞ 달리기 완주(제한시간 13분 30초) 여성의 경우 철봉 메달리기 12초, 윗몸일으키기 남성과 동일, 1.6㎞ 달리기 완주(제한시간 10분 30초)이다. 기초체력에 미달되는 경우 최저기준점에 도달할 때까지 개별적으로 체력 훈련을 받은 후 신병훈련 과정에 들어갈 수 있다. 신병훈련 탈락자나 포기자가 많으면 인력수급에 차질이 생기고 예산이 낭비되기 때문에, 사전에 전군 공통 필기시험인 Armed Services Vocational Aptitude Battery(ASVAB) 시험을 통해 저지능 지원자를, 신체검사(MEPS)로 마약중독자나 알콜중독자 등 각종 질환자를, 체력시험을 통해 체력미달자를 걸러낸다.
미 해병대 병의 신병 교육 기간은 현재 13주이다. 첫째 주는 가입교와 오리엔테이션을 하는 프로세싱 위크로 이 기간중 신병들의 신체 검정과 피복 지급, 예방 접종, 특기 분류에 필요한 면접 및 서류 작업 등으로 보내고, 마지막 평일에 훈련 소대 배치 및 당당 DI진들 소개까지 완료한다. 나머지 12주동안 훈련을 받는다. 미 해병대의 DI 3명[42]이 훈련병 한 명을 둘러싸고 바로 코 앞과 귀에 바싹 다가서서 몇 분간 고래고래 소리지며 온갖 쌍욕을 퍼붓는게 훈육 방식이다. 그 덕에 고막이 멍해지고 교관 3명이 내뿜는 침으로 범벅이 되는 건 덤이다. 마치 가짜사나이 2기의 교관들을 연상시킨다. 교관들이 하루종일 발광하듯이 길길이 날뛰며 속사포로 고함 지르기 때문에, 훈련받는 신병들보다 교관들이 훨씬 더 고생한다.[43] 말을 많이 하기보다는 무게 있는 카리스마를 앞세우는 스타일인 한국군 교관/조교의 훈육방식과는 매우 다른 분위기와 방식인데, 사실 이는 의도된 것이다. 제 아무리 훈련을 받았다 해도 막상 실제로 총알과 포탄이 날아다니는 전장에 처음 투입되면 패닉에 빠져 상관의 명령도 귀에 잘 안 들어오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미리 적응시키는 것.
'The Few, The Proud'라는 구호처럼, 소수라는 것에 자부심을 가지며, 신병훈련 탈락자가 많다고 주장하는 해병대원도 있지만 실제 통계자료를 보면 이는 사실이 아니다. 신병훈련소 탈락률은 공군이 7~8%로 가장 낮고, 육군, 해군, 해병대는 11~14% 정도로 거의 동일하다, 해안경비대는 탈락률이 25~30%대에 이르러서 가장 높다. 탈락률은 변수가 많다. 가령 전쟁 중에는 지원자가 없기 때문에 아무나 모병을 받아서 탈락률이 높고, 평시에는 탈락률이 낮다. 또, 사전에 스크린을 철저히 해서 우수 인력을 충원받으면 탈락률은 낮아진다. 미 해군 홈피에 따르면 1999년 18%에 달하던 해군 신병훈련소 탈락률이 2002년에는 9.18%까지 낮아졌다고 한다. 알콜중독자와 마약중독자를 걸러내는 등 모병자원을 철저히 스크린 한 결과이다.[44] 더군다나 탈락률로 군대를 평가하는게 어폐가 있는게, 탈락자가 많으면 지원자가 나약하다고 까일 수 있고, 탈락자가 적으면 훈련이 편하다고 까일 여지가 있다. 즉 어떤 식으로든 우기기 나름이다.
타군보다 우리군이 더 강하다는 경쟁 의식은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간에만 있는 게 아니라 해병대 안에서도 존재한다. '전투 부대의 해병들이 비전투 부대[45]의 해병들을 무시하고, 전투 부대 내에서도 전투 병과의 해병들이 비전투 병과의 해병들을 무시하고, 전투 병과 내에서도 정예인 사단 수색대원들이 해병대 일반 보병을 무시한다. 그리고 포스리컨 대원들은 사단수색대원들을 무시하고, 미 해병대에서도 최정예인 해병특전사령부(MARSOC) 레이더연대(해병특전단) 대원들은 포스리컨을 무시한다.'
롤링스톤지 기자가 해병대 수색대에 배속되어 같이 지내며 목격한 해병대의 생생한 현실을 실제 그대로 영상화한 드라마 제너레이션 킬에서도 사단 수색대원들이 해병군수단의 보급 부대원들을 보고 후방 땡보들이라며 무시하는가 하면, 평소 땅개라고 무시하던 해병대 일반 보병들이 묵고 있는 건물에 들어가려다 일반 보병들의 쪽수에 밀려서 못들어가고 결국 몰래 벽타고 올라가는 장면이 나온다. 심지어 같은 수색대대 안에서도 파트타임 예비군인 D중대가 대대에 합류한다고 하니까 아예 상종도 하기 싫어서 도망을 다니는 장면이 나온다. 수색대원들은 해병대 보병을 땅개(Grunts)라고 부르고, 나머지는 땡보직(POG, Person Other than Grunts)이라 불린다.
신병훈련소가 두 곳이다 보니 자기가 나온 신병훈련소 간에도 경쟁이 있어서 서로 얕잡아 보는 경향이 있다. 즉, 각자 자신들이 나온 훈련소가 더 힘들고, 자기 훈련소 출신이 진짜 해병이며, 상대편 훈련소 출신은 나가리 해병이라며 깎아내리는 식의 주장이 난무한다.
가령 패리스 아일랜드 출신들은 자신들의 훈련소가 몇 년 먼저 창설되었고, 신병1대대~4대대까지 단대호가 앞서 있으니 자신들이 원조이고 상대 훈련소는 짝퉁이라고 주장하거나, 자신들의 훈련소는 여름 기온이 평균 33도에 습도가 96%까지 오르는 열악한 환경인 반면 샌디에이고 훈련소는 여름 평균 온도가 22도 밖에 안되는 쾌적한 환경이라 이건 훈련소가 아니고 리조트를 나온 헐리우드 해병이라며 무시하곤 한다.
반대로 샌디에이고 출신들은 상대편 훈련소는 여군들이나 훈련하는 계집아이들 놀이터에 모병구역상 푸에토리코와 버진 아일랜드 원주민들이 입소하는 잡동사니 부대지만, 자신들의 훈련소는 태평양 1사단쪽에 있어서 전통을 계승한 적통이고, 쾌적한 기후에서 훈련에만 전념할 수 있어 휠씬 힘들게 훈련을 받아 신병훈련 탈락률이 10%에 달하는 반면, 상대 훈련소는 나쁜 기후 때문에 훈련에 전념하기 힘들고 그만큼 편하게 훈련하기 때문에 신병훈련 탈락률이 7%밖에 안된다는 이유를 들어 자신들이 더 힘들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어차피 똑같은 프로그램으로 훈련하는 거라 아무 의미 없고, 그냥 내 똥이 더 굵다는 초딩들의 라이벌 의식에 불과하다. 그렇지만 아무래도 이빨싸움에서는 기후가 더 열악한 패리스 아일랜드 출신들이 더 유리한 법이라 그들의 자부심이 더 강하고, 그래서 해병대 지원자는 패리스 아일랜드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결국, 샌디에이고는 배정, 패리스 아일랜드는 지원이라는 구도가 성립해서 샌디에이고 훈련소의 입지가 더 좁다. 영화 풀 메탈 재킷에 등장하는 훈련소도 패리스 아일랜드.
링크된 영상은 미 샌디에이고 훈련소 입소에서 훈련과정을 촬영한 영상이다. 보시다시피 입소 때부터 분위기가 살벌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상 시간이 1시간이 넘으므로 각자가 원하는 장면부터 보면 될 것이다. 미 해병대 내무반 입소부터 신병 교육 리얼한 모든 과정 이 동영상의 13분에 나오는 내무반 영상을 보면 교관들이 거의 잡아먹을 듯한 기세로 훈련병들을 갈구는데 너무나 뛰어다니는 나머지 상의 정복이 다 땀에 젖은 모습을 볼 수 있다.
신병훈련을 수료하려면 이외에도 미 해병대의 체력시험(USMC Physical Fitness Test, PFT)을 통과해야 한다. 시험기준은 20세 미만 남성의 경우 턱걸이 최소 4회(봉 잡는 방법 무관, 만점 20개), 윗몸일으키기 70회(만점 105회), 4.8㎞ 달리기 27분 40초 내에 완주(만점 18분 내 완주). 20세 미만 여성의 경우 턱걸이 최소 1회(만점 7회), 윗몸일으키기 50회(만점 100회), 4.8㎞ 달리기 30분 50초 내에 완주(만점 21분 내 완주)이다. 턱걸이의 경우 팔굽혀펴기로 대체가 가능하고, 이 경우 남성은 최소 42회(만점 82회) 여성은 최소 19회(만점 42회)가 기준점수이다.
체력시험 뿐 아니라 소총 사격 시험도 통과해야 한다. 사격을 중시하는 해병대답게 사격은 DI들이 아닌 별도의 사격 교관의 통제하에 훈련받는다. 총 350발을 사격하며 신병 때의 사격 훈련에서 최소한의 등급인 일반사수(Rifle Marksman) 등급을 취득 즉 250발 이상 표적에 명중시켜야 수료할 수 있으며, 그 위 등급인 우수사수(Sharpshooter), 특등사수(Expert) 등급을 취득하면 각각 등급별로 추가 수당도 주어진다. 일반사수 휘장은 일부 해군 파입 인원 정도를 제외하곤 다들 취득했기 때문에, 해병대 내에서도 그 모양에서 따온 변기통이란 모양으로 부르며 별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 실무에선 권총 사격 교육을 받고 권총 사수 휘장도 3등급으로 취득 가능하다. 소총 사수 휘장의 등급별 취득 조건은 아래와 같다.
- 일반: 250발 이상
- 우수: 280발 이상
- 특등: 305발 이상
이 훈련을 통과하면 나머지는 수료를 위한 병기 반납 등 행정 절차와 수료식 연습 등으로 보내며, DI들의 태도도 꽤 부드러워진다. 수료식은 가족들이 보는 앞에서 녹색 Green Dress 정복 차림으로 치러진다. 이 때, 해당 기수 최고 성적의 수료자는 유일하게 해병대 최상위 피복인 드레스 블루 예복을 착용하는 특권이 주어져 다른 이들과 구분된다. 식이 끝나면 가족들과 만남의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우리와 달리 신병 훈련 기간 중 PX 이용이 제한적으로 가능한데, 일요일에 분대 단위로 대표자가 분대원들의 주문 및 대금을 받아 PX에 가서 사오는 식이다. 신문은 분대당 1명만 구매 가능한 등 제약이 있다. 수료 전까지 급여에서 공제되는 PX용 쿠폰이 지급되므로, 수료시까지 현금을 쓸 일이 없다.
신병교육을 마친 해병들은 후반기 교육을 받게 되는데, 캠프 펜들턴 해병대 기지와 캠프 가이거 해병대 기지에 위치한 해병대 보병학교(The School of Infantry, SOI)에서 보병훈련을 받게 된다. 보병 주특기를 배정받은 해병들은 해병대 보병학교 보병훈련대대(Infantry Training Battalion, ITB)에서 59일 과정의 전문적인 보병전투 교육을 받고, 보병 주특기가 아닌 해병들은 해병대 보병학교 해병전투훈련(Marine Combat Training)반에서 29일 과정의 기초적인 보병훈련을 받은 후 각자의 특기에 맞는 병과학교로 이동한다. 과거 여군은 보병훈련 없이 신병 교육 후 바로 후반기 병과학교로 이동했었지만 2017년경부터는 남녀 구분없이 모두 보병을 훈련을 받는다. 또한, 보병훈련은 신병교육과 달리 성별을 구분하지 않고 함께 훈련을 받는다.[46] 후반기 교육 기간에는 영내에 거주하긴 해도 PX 이용이나 일과 후 개인 시간 보장, 주말 외출 등으로 신병 때보다 훨씬 자유롭게 보낼 수 있으며, 교육을 마치게 되면 2주간의 장기 휴가가 주어진 뒤, 실무 부대로 이동한다.
해병대 장교는 주로 해군학생군사교육단(해군학군단, Naval Reserve Officer Training Corps, NROTC)과 사관후보생(학사장교, Officer Candidates School, OCS), 미합중국 해군사관학교(USNA) 이렇게 3가지 경로을 통해 임관한다. 그 경로에 마련된 교육과정에서 소정의 기본교육(약 10주 가량)을 이수하고 해병대 장교로 임관 후에는 다시 미 버지니아 주 콴티코 해병대 기지(MCB Quantico)에 있는 기초교(The Basic School, TBS)에 입교하여 26주 과정의 강도높은 교육을 받게 된다. 기초교에서는 해병대 신임 소위와 신임 준위, 외국군 신임 장교 위탁교육생들이 보병훈련과 제병과 연합 훈련을 받는다.
미 해병대 기초교(TBS)에서 장교 후보생들이 받는 신임장교 지휘참모과정교육(BOC)은 미 해병대 병들이 받는 신병 훈련보다 훈련 강도가 휠씬 더 높고, 훈련 기간도 2배나 더 길기 때문에 해병대 신병 훈련은 그야말로 애들 장난에 불과할 정도다. 미 해병대 신병훈련은 소대에 한 명의 선임교관(S.D.I, 악명 높은 블랙 벨트)과 2명의 훈련교관(D.I., 그린 벨트)이 있지만, 장교훈련은 교관 전원이 S.D.I.다. 신임장교 지휘참모과정에서 해병대 장교는 병과와 무관하게 기본적으로 소총소대장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을 받는다. 해병대는 기본적으로 "모든 해병대는 소총수"라는 개념 아래 초등군사반을 이수하도록 요구받기 때문이며, 기술행정 계열 뿐 아니라 항공기 조종사 등도 유사시 보병 소대 정도는 지휘할 수 있다.
신임장교 지휘참모과정을 수료한 해병대 장교들도 후반기 교육을 받게 되는데, 크게 지상병과, 항공병과, 군수병과, 지휘통제병과 이렇게 4가지로 구분된다. 해병대 장교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보병 장교는 미 해병대 훈련 중에서 가장 혹독하고 강인한 훈련으로 인정받는 악명 높은 15주 과정의 보병장교 과정(IOC)을 거치게 되는데[47], IOC 과정의 체력기준과 훈련강도는 너무나 혹독하여 현실적이지 못하다는 평으로 유명하다. 이 과정을 통과하면 화기소대장 등 보병대대 내의 모든 소대장직을 모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IOC 수료 후 경기갑수색대(LAR)이나 수색대(Recon)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다시 추가로 교육을 받게 된다. IOC 과정은 과거 여군이 지원할 수 없었지만 현재는 여군도 지원할 수 있고, 2017년 9월 25일 Marina A. Hierl 해병대 대위가 여군으로는 처음으로 IOC 과정을 수료하였다. IOC 과정은 성별 구분없이 남성과 여성이 함께 훈련을 받고, 남녀 모두 동일한 체력기준과 훈련강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미 해병대 예비역(Reserve)은 우리나라와 달리 민간에서 바로 예비역으로 입대하며, 예비역 병과 장교 모두 위에 나온 양넝 과정 및 병과별 교육을 현역과 동일하게 이수한다. 그러나 파트타임으로 출퇴근하는 복무 특성상 현역으로부터 파트파임 군인, 주말 군인, 시민군이라며 놀림감이 되기도 하고, 전시 동원소집된 예비역 장교가 현역병을 지휘하는데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근무는 주말에만 출퇴근을 하고 연간 2주일은 입소훈련도 받는다. 복무기간은 총 8년으로 복무기간 중 연방정부에 의해 동원소집이 되어 3~6개월간 파병근무를 하는 경우가 있다. 아주 운이 나쁜 사례로 8년 복무 중 전쟁이 2번 나는 바람에 제2차 세계대전에 동원소집된 예비역이 6.25 전쟁에도 동원소집되거나 이라크전에 소집된 예비역이 아프간전에 다시 소집되는 경우가 있다. 예비역은 복무기간 8년 중 최대 24개월까지 동원소집이 가능하고, 이 기간은 특별볍으로 연장이 가능하다. 예비역으로 직역하면 의미가 혼동되기 때문에 비상근예비역으로 의역하는게 이해가 빠르다.
모든 교육을 마치고 실무에 배치된 후에도 병과 무관하게 꾸준히 체력 단련을 한다. 미 해병대의 각 부대마다 체육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체력 단련의 강도 역시 빡세다. 대대별로 1개 체육관을 보유하고 있으며 여기서 매크맵을 훈련한다. 훈련 방식도 고되기로 악명높은데 자유대련 - 체력단련 - 자유대련 - 체력단련의 무한반복이다.
10. 참가한 주요 전투
- 1차 바르바리 전쟁
- 신미양요
- 의화단 운동
- 제1차 세계 대전
- 미드웨이 해전
- 과달카날 전투
- 타라와 전투
- 글로세스터 곶 전투
- 사이판 전투
- 펠렐리우 전투
- 이오지마 전투
- 오키나와 전투
- 한국 전쟁 - 마산 전투, 장진호 전투, 인천 상륙 작전
- 베트남 전쟁 - 케산 전투, 후에 전투
- 그레나다 침공
- 파나마 전쟁
- 걸프전 - 카프지 전투
- 이라크 전쟁 - 팔루자 전투
-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11. 편제
미 해군의 명명 규칙에 따라 태평양 지역 부대의 단대호는 홀수이고, 대서양 지역 부대는 짝수이다.미 해병대의 최상급 지휘부인 미 해병대본부(Headquarters Marine Corps, HQMC)는 해군부 산하 기관으로 군령권은 없고, 군정권만 행사한다. 따라서 미 해병대사령관은 해군본부 산하작전사령관으로서 해병대의 최고 전술 지휘관인 우리나라의 해병대사령관과는 역할이 다르며, 군정권을 행사하며 편제, 인사, 훈련 등의 권한을 가진 미국과 우리나라의 육해공참모총장들과 같은 임무를 수행한다. 수행하는 임무만 놓고 보았을 때는 해병대사령관이라기보다는 미국 해군부 산하에서 해군참모총장과 병렬하는 '해병참모총장'에 가깝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미 해병대의 최상급 전투부대는 군단급 부대인 해병원정군(MEF)으로 태평양과 대서양에 모두 3개의 해병원정군이 존재한다. 미 해군 함대전력 사령부의 함대해병대(FMF)인 해병대 전력사령부(United States Marine Corps Forces Command)와 미 해군 태평양함대 사령부의 함대해병대(FMF)인 태평양 해병대 사령부(United States Marine Corps, Pacific)가 해병원정군에 대한 군정권을 가지고 해병원정군을 행정적으로 관리한다. 미 해병대본부와 마찬가지로 각 함대해병대 사령부는 해군 함대사령부의 행정조직에 가깝다.
실제 전투부대인 해병원정군(MEF)은 군령권을 가진 각 통합군사령관이 작전지휘하며, 해병원정군은 통합군사령부의 해병구성군이 된다.
미 해병대의 최선임 장교는 해병대 사령관과 부사령관으로 모두 대장이다. 대서양과 태평양의 사령부는 각각 중장이 사령관을 맡는다. 해병원정군 사령부도 각각 중장이 사령관을 맡는다.
아래의 세부 편제는 2022년도 기준이다.
- 미 해병대 5연대
- 미 해병대 26연대
- 미 해병대 1전투공병대대
- 해병 2사단
- 해병 3사단
- 해병 4사단 (예비역, 루이지애나 주에 사단본부가 있다)
11.1. 세부 편제
- 해병대전력사령부 / Marine Corps Forces Command
- 태평양해병대 / Marine Corps Forces, Pacific
- 해병특수작전사령부 / Marine Forces Special Operations Command
- 해병대예비군 / Marine Corps Forces Reserve
- 중부해병대사령부 / Marine Corps Forces Central Command
- 해병대사이버공간사령부 / Marine Corps Forces Cyberspace Command
- 해병대전투개발사령부 / Marine Corps Combat Development Command
- 해병대훈련교육사령부 / Marine Corps Training and Education Command
훈련사령부 / Traning Command
교육사령부 / Education Command
패리스 아일랜드 해병대 신병훈련소 / Marine Corps Recruit Depot Parris Island
샌디에이고 해병대 신병훈련소 / Marine Corps Recruit Depot San Diego
해병공지기동부대훈련사령부-해병대 공지기동센터 / Marine Air Ground Task Force Training Command - Marine Corps Air Ground Combat Center - 해병대대사관경비단 / Marine Corps Embassy Security Group
제1지역 / Region 1[48]
제2지역 / Region 2[49]
제3지역 / Region 3[50]
제4지역 / Region 4[51]
제5지역 / Region 5[52]
제6지역 / Region 6[53]
제7지역 / Region 7[54]
제8지역 / Region 8[55]
제9지역 / Region 9[56] - 해병대전투연구소 / Marine Corps Warfighting Laboratory
- 해병대시설사령부 / Marine Corps Installations Command
- 해병대동부시설 / Marine Corps Installations East
해병대 알바니 군수기지 / Marine Corps Logistics Base Albany
해병대 보퍼트 비행장 / Marine Corps Air Station Beaufort
해병대 블라운트 섬 사령부 지원시설 / Marine Corps Support Facility Blount Island Command
해병대 체리 포인트 비행장 / Marine Corps Air Station Cherry Point
해병대 캠프 르준 기지 / Marine Corps Base Camp Lejeune
해병대 뉴리버 비행장 / Marine Corps Air Station New River - 해병대서부시설-해병대 캠프 펜들턴 기지 / Marine Corps Installations West - Marine Corps Base Camp Pendleton
해병대 미라마 비행장 / Marine Corps Air Station Miramar
해병대 유마 비행장 / Marine Corps Air Station Yuma
해병대 캠프 펜들턴 비행장M / arine Corps Air Station Camp Pendleton
해병대 트웬티나인 팜스 공지전투센터 / Marine Corps Air Ground Combat Center Twentynine Palms
해병대 바스토 군수기지 / Marine Corps Logistics Base Barstow
산악전훈련센터 / Mountain Warfare Training Center - 해병대태평양시설 / Marine Corps Installations Pacific
해병대 스메들리 D. 버틀러 기지 / Marine Corps Base Camp Smedley D. Butler
해병대 하와이 기지 / Marine Corps Base Hawaii
해병대 이와쿠니 비행장 / Marine Corps Air Station Iwakuni
해병대 후텐마 비행장 / Marine Corps Air Station Futenma
캠프 후지 제병연합훈련센터 / Combined Arms Training Center Camp Fuji
캠프 무적 / Camp Mujuk - 해병대 콴티코 기지 / Marine Corps Base Quantico
- 해병대군수사령부 / Marine Corps Logistics Command
- 블라운트 섬 사령부 / Blount Island Command
- 해병대기지정비사령부 / Marine Corps Depot Maintenance Command
알바니 생산공장 / Production Plant Albany
바스토 생산공장 / Production Plant Barstow - 해병대보관사령부 / Marine Force Storage Command
- 해병대모병사령부 / Marine Corps Recruiting Command
- 제1해병대지구 / 1st Marine Corps District
알바니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Albany
볼티모어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Baltimore
해리스버그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Harrisburg
뉴저지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New Jersey
뉴욕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New York
피츠버그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Pittsburgh
보스턴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Boston
스프링필드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Springfield - 제4해병대지구 / 4th Marine Corps District
랜싱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Lansing
클리블랜드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Cleveland
콜럼버스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Columbus
루이빌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Louisville
내슈빌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Nashville
랄리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Raleigh
리치먼드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Richmond
프레드릭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Frederick - 제6해병대지구 / 6th Marine Corps District
애틀랜타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Atlanta
배턴루지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Baton Rouge
컬럼비아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Columbia
포트로더데일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Fort Lauderdale
잭슨빌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Jacksonville
몽고메리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Montgomery
샬럿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Charlotte
탬파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Tampa - 제8해병대지구 / 8th Marine Corps District
앨버커키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Albuquerque
댈러스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Dallas
덴버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Denver
포트워스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Fort Worth
휴스턴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Houston
솔트레이크시티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Salt Lake City
피닉스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Phoenix
샌안토니오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San Antonio - 제9해병대지구 / 9th Marine Corps District
캔자스시티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Kansas City
시카고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Chicago
디모인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Des Moines
인디애나폴리스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Indianapolis
세인트루이스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St. Louis
밀워키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Milwaukee
트윈 시티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Twin Cities
오클라호마 시티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Oklahoma City - 제12해병대지구 / 12th Marine Corps District
시애틀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Seattl
포틀랜드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Portland
새크라멘토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Sacramento
샌프란시스코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San Francisco
로스앤젤레스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Los Angeles
샌디에이고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San Diego
오렌지 카운티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Orange County
리버사이드 모집소 / Recruiting Station Riverside
12. 역대 사령관 및 주임원사
12.1. 사령관
미합중국 해병대사령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새뮤얼 니콜라스 | 윌리엄 버로우즈 | 프랭클린 와튼 | 앤서니 게일 | 아치볼드 헨더슨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존 해리스 | 제이콥 제일린 | 찰스 맥콜리 | 찰스 헤이우드 | 조지 앨리엇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윌리엄 비들 | 조지 바넷 | 존 A. 러전 | 웬델 네빌 | 벤 풀러 |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존 H. 러셀 주니어 | 토머스 홀컴 | 알렉산더 밴더그리프트 | 클리프턴 B. 케이츠 | 르무엘 셰퍼드 |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
랜돌프 페이트 | 데이비드 M. 슈프 | 월리스 M. 그린 | 레너드 F. 채프먼 | 로버트 커슈먼 |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제30대 | |
루이스 윌슨 | 로버트 배로 | 폴 캘리 | 알프레드 그레이 | 칼 먼디 | |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제34대 | 제35대 | |
찰스 크룰럭 | 제임스 L. 존스 | 마이클 헤이지 | 제임스 콘웨이 | 제임스 에이머스 | |
제36대 | 제37대 | 제38대 | 제39대 | ||
조지프 던퍼드 | 로버트 넬러 | 데이비드 버거 | 에릭 스미스 | ||
※ 사령관 취임 당시 계급 일람 제1 ~ 2대 : 소령 / 제3 ~ 5대 : 중령 / 제6 ~ 9대 : 대령 / 제10 ~ 17대 : 소장 / 제18대 : 중장 / 제19대 ~ 현재 : 대장 | }}}}}}}}} |
현직 |
해병 대장 에릭 스미스 |
4성제독인 해군참모총장 및 해군참모차장과 마찬가지로 해병대 정, 부사령관도 4성장군으로 해군과 동격이며, 합동참모회의의 정식 구성원이다. 다만 미 해군 함께 미 해군장관의 지휘를 받으며, 사령관이라는 직책명과는 달리 각군 참모총장과 마찬가지로 군령권 없이 군정권만 가지며, 문민인 국방장관, 해군장관의 참모 역할에 가까운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원수 진급이 불가하다고 한다.
첫 사령관인 새뮤얼 니콜라스(Samuel Nicholas)는 소령으로 지휘관을 맡았으나 7대인 제이콥 질린(Jacob Zeilin)이 처음으로 준장이 되었고 9대인 찰스 헤이우드(Charles Heywood)부터 소장이 보임되었다. 17대인 토머스 홀컴(Thomas Holcomb)이 처음으로 중장이 되었고 그 다음인 18대 알렉산더 밴더그리프트(Alexander Vandegrift)부터 계속 대장이 보임되고 있다.
5대인 아치볼드 헨더슨(Archibald Henderson) 같은 경우엔 1820년부터 1859년 사망할 때까지 39년 동안 해병대 사령관을 지내기도 했다.
해병대 사령관들 중에 사관학교 출신은 20% 정도이고,[57] 미 해병대 사령관의 병과는 100% 보병이다.[58]
미 육해공군의 참모총장들에 비해 연령대가 높은 편이다. 1980~2018년까지 각 군 참모총장의 부임일 기준 평균 연령은 육군 56.4세, 해군 55.7세, 공군 55.1세, 해병대 58.2세, 해안경비대 56.4세로 전체 장교 수 대비 자체적인 대장보직 비율이 해병대보다 더 작은 미 육군과 비교해도1.8세나 더 많고, 병력이 해병대의 반의 반도 안되는 해안경비대보다 1.8세가 더 많다.
데이비드 버거 사령관 퇴임 이후 민주당과 공화당 간에 여성 군인 임신중절지원법안에 대한 갈등으로 후임자로 지명된 에릭 스미스 부사령관이 상원 군사위원회에서 바로 인준되지 못해 잠시 공석으로 남겨지게 되었다. 이는 아치볼드 헨더스 사령관이 1859년 갑작스럽게 사망하여 해병대사령관이 공석이 된 이후 무려 164년만에 해병대사령관이 공석으로 남은 것이다. 일단, 7월 11일부로 부사령관이자 사령관내정자인 에릭 스미스 부사령관이 직무대행을 맡고 있다.
- 역대 미 해병대사령관(재임 기간)
- 초대 새뮤얼 니콜라스(Samuel Nicholas) 소령(1775-11-28~1783-08-27)
- 2대 윌리엄 워드 버로스(William Ward Burrows I) 소령→ 중령(1798-07-12~1804-03-06)
- 3대 프랭클린 와턴(Franklin Wharton) 중령(1804-03-07~1818-09-01)
- 4대 앤서니 게일(Anthony Gale) 중령(1819-03-03~1820-10-08)
- 5대 아치볼드 헨더슨(Archibald Henderson) 중령→ 대령(1820-10-17~1859-01-06)
- 6대 존 해리스(John Harris) 대령(1859-01-07~1864-05-01)
- 7대 제이콥 질린(Jacob Zeilin) 대령→ 준장(미국육군사관학교)(1864-06-10~1876-10-31)
- 8대 찰스 매콜리(Charles Grymes McCawley) 대령(1876-11-01~1891-01-29)
- 9대 찰스 헤이우드(Charles Heywood) 대령→ 소장(1891-06-30~1903-10-02)
- 10대 조지 엘리엇(George F. Elliott) 소장(미국육군사관학교)(1903-10-03~1910-11-30)
- 11대 윌리엄 비들(William P. Biddle) 소장(1911-02-03~1914-02-24)
- 12대 조지 바넷(George Barnett) 소장(미국해군사관학교)(1914-02-25~1920-06-30)
- 13대 존 A. 러전(John A. Lejeune) 소장(미국해군사관학교)(1920-07-01~1929-03-04)
- 14대 웬델 네빌(Wendell Cushing Neville) 소장(미국해군사관학교)(1929-03-05~1930-07-08)
- 15대 벤 풀러(Ben Hebard Fuller) 소장(미국해군사관학교)(1930-07-09~1934-02-28)
- 16대 존 H. 러셀 주니어(John H. Russell, Jr.) 소장(미국해군사관학교)(1934-03-01~1936-11-30)
- 17대 토머스 홀컴(Thomas Holcomb) 소장→ 중장[59](1936-12-01~1943-12-31)
- 18대 알렉산더 밴더그리프트(Alexander Vandegrift) 중장→ 대장[60](1944-01-01~1947-12-31)
- 19대 클리프턴 B. 케이츠(Clifton B. Cates) 대장(1948-01-01~1951-12-31)
- 20대 르무엘 셰퍼드(Lemuel C. Shepherd, Jr.) 대장(1952-01-01~1955-12-31)
- 21대 랜돌프 페이트(Randolph M. Pate) 대장[61](1956-01-01~1959-12-31)
- 22대 데이비드 M. 슈프(David M. Shoup) 대장(1960-01-01~1963-12-31)
- 23대 월리스 M. 그린(Wallace M. Greene) 대장(미국해군사관학교)(1964-01-01~1967-12-31)
- 24대 레너드 채프먼(Leonard F. Chapman, Jr.) 대장(1968-01-01~1971-12-31)
- 25대 로버트 커슈먼(Robert E. Cushman, Jr.) 대장(미국해군사관학교)(1972-01-01~1975-06-30)
- 26대 루이스 윌슨(Louis H. Wilson, Jr.) 대장(1975-07-01~1979-06-30)
- 27대 로버트 배로(Robert H. Barrow) 대장(1979-07-01~1983-06-30)
- 28대 폴 켈리(Paul X. Kelley) 대장(1983-07-01~1987-06-30)
- 29대 앨프리드 그레이(Alfred M. Gray, Jr.) 대장[62](1987-07-01~1991-06-30)
- 30대 칼 먼디(Carl Epting Mundy, Jr.) 대장[63](1991-07-01~1995-06-30)
- 31대 찰스 크룰랙(Charles C. Krulak) 대장(미국해군사관학교)(1995-07-01~1999-06-30)
- 32대 제임스 존스(James L. Jones) 대장(1999-07-01~2003-01-12)
- 33대 마이클 헤이지(Michael Hagee) 대장(미국해군사관학교)(2003-01-13~2006-11-13)
- 34대 제임스 콘웨이(James T. Conway) 대장(2006-11-13~2010-10-22)
- 35대 제임스 에이머스(James F. Amos) 대장(2010-10-22~2014-10-17)
- 36대 조지프 던퍼드(Joseph F. Dunford, Jr.) 대장(2014-10-17~2015-09-24)[64]
- 37대 로버트 넬러(Robert B. Neller) 대장(2015-09-24~2019-07-11)
- 38대 데이비드 버거(David H. Berger) 대장(2019-07-11~2023-7-10)
12.2. 주임 원사
대수 | 사진 | 성명 | 재임기간 |
1 | 윌버 베스트윅(Wilbur Bestwick) | 1957-1959 | |
2 | 프랜시스 라우버(Francis D. Rauber) | 1959-1962 | |
3 | 토마스 맥휴고(Thomas J. McHugh) | 1962-1965 | |
4 | 허버트 스위트(Herbert J. Sweet) | 1965-1969 | |
5 | 조셉 데일리(Joseph W. Dailey) | 1969-1973 | |
6 | 클린턴 퍼킷(Clinton A. Puckett) | 1973-1975 | |
7 | 헨리 블랙(Henry H. Black) | 1975-1977 | |
8 | 존 마사로(John R. Massaro) | 1977-1979 | |
9 | 릴랜드 크로퍼드(Leland D. Crawford) | 1979-1983 | |
10 | h | 로버트 클리리(Robert E. Cleary) | 1983-1987 |
11 | 데이비드 서머스(David W. Sommers) | 1987-1991 | |
12 | 해럴드 오버스트리트(Harold G. Overstreet) | 1991-1995 | |
13 | 루이스 리(Lewis G. Lee) | 1995-1999 | |
14 | 올퍼드 맥마이클(Alford L. McMichael) | 1999-2003 | |
15 | 존 에스트라다(John L. Estrada) | 2003-2007 | |
16 | 칼턴 켄트(Carlton W. Kent) | 2007-2011 | |
17 | 마이클 배럿(Micheal P. Barrett) | 2011-2015 | |
18 | 로널드 그린(Ronald L. Green) | 2015-2019 | |
19 | 트로이 블랙(Troy E. Black) | 2019- |
마이클 배럿 원사는 2014년 4월에 급여인상을 억제하자는 국방부의 의견에 전적으로 찬성하는 발언을 하는 바람에 해병대 예비역과 현역의 반발을 샀다.
해병대는 타군에 비해 미국 백인의 비중이 높은 반면 해병대주임원사는 역대 18명 가운데 4명이 미국 흑인이다.
13. 미 해병대 문화와 창작물
미 해병대는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진보된 해병대이기 때문에 다른 나라의 해병대에 많은 문화적 영향을 주었다.미 해병대의 공식 군가는 Marines' Hymn, 공식 신조는 'Semper Fidelis'(라틴어 '셈페르 피델리스'를 줄여서 '셈퍼 파이'라고도 한다)이다. 미 해병대 공식 군기를 보면 독수리가 Semper Fidelis 문구가 새겨진 리본을 물고 있다. Semper Fidelis(셈퍼 파이)는 원래 영국 육군과 프랑스 육군의 일부 부대에서 사용하던 신조였고, 미국에서는 미 합중국 링컨 대통령이 1861년 미 육군 제11보병연대에 'Semper Fidelis'(셈페르 피델리스)라는 부대신조를 부여했다. 미 해병대에서는 1883년부터 이 신조를 스스로 채택하여 사용 중이다.[66] 뜻은 "언제나 충성." 퇴역/현역을 막론하고 해병끼리 만나 인사를 할때 주로 쓴다. 비공식적으로 일선부대에서 그때그때 만들어 쓰는 해병대의 전투구호(Battle Cry)는 Get some!, Ooh-Rah나 Gung-Ho, Kill, Yut 등이 있다.
미 해병대의 공식 상징(엠블럼)은 독수리, 지구, 닻((Eagle, Globe, Anchor 줄여서 EGA)이다. 이 상징은 영국 해병대의 상징에서 영국 왕실을 상징하는 왕관만 미 합중국을 상징하는 독수리로 바꾼 것이다. 이 상징은 미 해병대의 공식 군기에 들어가 있다. 미 해병대 공식 군기는 미 해병대의 공식 색상인 붉은 색(Scarlet red)과 황금색(Gold)으로 구성된다. 이 색상은 영국 해병대의 상징색을 가져온 것이고 영국 해병대는 영국 육군 보병의 상징색을 가져온 것이다. 미국의 우방국 해병대에서 빨간색(Scarlet red)을 많이 쓰는 것도 미 해병대의 영향이다.[67]
미 해병대 및 우방국들의 해병대에서 흔히 쓰는 '한 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이라는 구호는 사실 미 해병대의 'Once a marine, always a marine.'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대항해시대 영국 선원들의 격언인 "한 번 뱃놈은 영원한 뱃놈"에서 따온 것이다.
미국 및 우방국들의 해군·해병대·해안경비대에서 흔히 쓰는 팔각모의 경우는 사실 처음 원조는 미 육군이고 이어서 미 해군이 쓰다가 미 해병대한테까지 전파된 건데, 미군의 영향을 받은 세계 여러 나라들의 해군·해병대·해안경비대가 팔각모를 채택하는데 영향을 미치게 된다.[68]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 해군에는 육상전투용 장비가 없었기 때문에 미 해병대는 미 육군의 전투장비를 많이 사용했다. 허리띠(요대, Web Belt)의 경우 당시 미 육군은 M1937 벨트에 버클만 장교용과 사병용 두 가지가 있었는데, 미 해병대는 육군용 벨트와 육군 사병용 버클을 장사병 공용으로 도입해서 사용했고, 미 육군은 1950년대 중반부터 장교와 사병의 구분을 없애고 장사병 모두 장교용 버클로 통일해서 사용했다. 나중에 미국의 우방국들이 장비를 도입할 때 이런 내용을 모르고 M1937 사병용 버클이 해병대용, 장교용 버클이 육군용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은 원래 둘 다 육군용이다.
미 해병대에서 사단 마크를 만든건 미 해병대 제1사단이 최초이다. 미군의 사단마크는 미 육군이 최초이고, 세계 '해병대' 중에서 최초로 사단 마크를 만들어 쓴 건 유럽 국가들의 해병대가 최초이다.[69] 과달카날 전투가 끝난 뒤 미 해병대 제1사단이 미 해병대에서 최초로 사단마크를 도안했다.[70]
타군과 다르게 1990년대까지도 군복에 명찰과 소속군 휘장을 달지 않았다. 다만 고무로 된 이름 스탬프 키트가 개인에게 하나씩 지급되어 성과 이름 이니셜을 조합하여 상의와 하의에 각각 찍거나 아예 매직펜으로 대충 휘갈겨 적는 경우는 있었는데, 이는 공동 세탁시 분실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찍는 위치도 상의의 경우 타군과 다르게 가슴 오른쪽이 아닌 가슴 왼쪽에 위치했었다.
물론 이것도 예외는 있어서 1950년대부터 60년대 초까지 오키나와에서 근무한 인원들은 가슴 왼쪽에 군복천으로 만든 명찰을 달았던 사례가 있었고, 이는 극동 지역에서 유행했던 것으로 베트남 파병까지 이어지나 1965년부터는 부착이 전면 금지되었다.
그외 베트남 현지에 파견된 미해병 군사고문단이 타군과 동일한 위치에 명찰과 소속군 휘장을 달았던 사례가 있다.
"One Shot, One Kill"[71]이라든가, "Pain is weakness leaving the body(고통은 나약함이 네 육체를 떠나는 증거다)"라든가, "You can run, but you will die tired(도망치더라도 힘들어 죽을 것이다.)" 같은 저격수 관련 문구,"Forgiving Bin Laden is God's job. Our job is to arrange the meeting(빈 라덴을 용서하는 건 신의 일이지만, 둘이 만날 수 있게 주선해드리는 건 우리 일이다)" 같은 문구를 즐겨 쓴다.
악마의 개(Devil Dogs)라는 별명도 있는데, 제1차 세계 대전시의 독일군이 호전성 넘치는 미 해병대를 악마의 개(Teufel Hund)라고 부른 데서 유래됐다는 썰이 미 해병대에서 전해져 온다. 다만 해당 용어는 실제 독일어의 문법에 맞지 않으며 Teufelshunden이 맞다. 그리고 그마저도 독일에서 '악마의 개'를 뜻하는 실제 명칭은 Hollenhund이다[72] 이 때문에 저 별명과 그 유래에 대한 썰이 실제 독일군에게서 받은 것이 아니라 마초이즘을 추구하는 미 해병들 스스로 지어낸 얘기라는 의견이 존재한다.
해병대의 음주문화와 관련해서 2017년 2월에는 로버트 넬러 해병대 사령관이 술 좀 줄이고 책 더 읽으라는 명령을 내려서 화제가 됐다. 2016년에 사망한 해병대원이 모두 152명인데, 그 중 전사는 ISIL의 로켓포 공격으로 숨진 하사 한 사람 뿐이고 나머지는 음주 후 자살, 음주운전, 음주난동으로 사망한 사람들이다. 주어진 필독서 목록 중 5권 이상을 읽으라고 목표량까지 함께 하달했는데 이 명령이 내려온 지 한 달도 안 되어 해병들이 애용하는 페이스북 그룹에 여성 해병들의 누드 사진이 나돌아다닌 것이 알려져 발칵 뒤집어졌다. 이 건으로 인해명령을 내린 해병대 사령관과 해병대 주임원사를 포함 해병대 모든 현역·예비역들이 다시는 이런 짓을 하지 말라는 명령에 대해 교육받고 그 교육을 이해했다는 문서(Page 11)에 서명을 해야했다.[73]
미 해병대는 미 해군의 영향을 받았기에[74] 보수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다. 백인 비율이 높고[75], 여성과, 성소수자에 대해서 폐쇄적이다. 또한, 타군에 대해 배타적인 편이다. 과거 흑백분리 시절부터 바야흐로 베트남전 시기 인종혼합으로 부대운영이 되던 시기 타군과는 다르게 해병대는 인종이나 성별에 장벽이 높았다. 이는 해병대는 가족이며 형제다 라는 모토와 부합하지 못하여 모순되지만 현재는 개선을 위해 지휘 계통을 통해 끊임없이 많은 부분 노력을 하고 있다.
13.1. 모병광고
누구나 혼돈을 들을 수 있다. 해병대는 혼돈을 잠재우기 위해 전진한다. - 2013년 모병광고 포스터 4개 중 하나.
모병 광고 중 하나. 분명 해병대 광고인데 웬만한 나라의 육군·해군·공군 소개영상보다도 더 많은 장비가 등장한다는 점이 천조국의 위상을 보여준다.
90년대에 게임과 만화에 친숙한 신세대들을 타겟해서 만든 광고. 하지만 워낙 손발 오그라드는 연출 덕분에 다른 의미로 유명해졌고 제너레이션 킬에서도 언급된다. #
역시 90년대 광고.
미국 현지 신문이나 잡지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모병광고. 주로 젊은세대가 즐겨보는 자동차, 비디오 게임 잡지 등에서 접할 수 있는 광고이다.
2017년 광고. 미 해병이 참전한 모든 전장을 동상화했다.[76]
2022년 뉴욕의 모병부스에서는 아니메에 익숙한 밀레니얼 세대를 겨냥한 것인지 자위대처럼 일본 애니메이션 풍의 모병 포스터를 활용하는 것이 포착 되었다.
13.2. 영상물
- 1987년작 영화 풀 메탈 재킷 - 악질 교관의 클리셰, 하트먼 중사의 가공할 포스를 여기서 볼 수 있다! 문제는 이 영화가 해병 정신의 상징이나 마찬가지였던 훈련소 교관 역인 하트먼 교관을 굉장히 악질적으로 묘사한 것인데, 해병대 수뇌부에서는 하트먼 중사의 마초 돋는 모습을 보고 영화 개봉 15년 뒤인 2002년에 명예 중사 계급을 상으로 줬다고 한다.[77]
- 1989년작 7월 4일생에서는 고등학교를 방문한 해병대 모병관의 화려한 제복에 혹해서 해병대에 입대해 베트남에 갔다가 반신불수가 된 상이군인 론 코빅(톰 크루즈)의 실화를 다루고 있다.
- 1992년작 어 퓨 굿 맨에서도 한국에 못지 않은 미 해병대 내부의 문제를 잘 볼 수 있다. 관타나모 기지에서 해병대 특유의 가혹행위(코드 레드)로 사망한 병의 사건을 조사한다. 여기서 해병대의 높으신 분에게서 내려진 코드 레드 지시를 파헤치는 변호인단이 해군 법무관(톰 크루즈)으로 이뤄졌다는 사실은 의미심장하다. 또한 미 해군과 미 해병대의 미묘한 알력 다툼도 잘 드러난다.
- 1992년작 스나이퍼에서는 미 해병대 저격수 토마스 베켓 상사(톰 베린저)가 올림픽 메달리스트 출신의 민간인 저격수(빌리 제인)와 함께 암살임무를 펼친다.
- 1996년작 영화 더 록에서는 프랜시스 험멜 준장(에드 해리스)을 비롯한 포스리콘 대원들이 등장한다. 험멜은 비밀 작전에 투입되어 지원없이 싸우다 죽어간 부하들의 명예와 사후 보상을 위해 애쓰지만 차가운 반응에 절망하고, 결국 부대원 중 소수를 규합해 VX 가스 로켓탄을 탈취하여 정부의 즉각 보상을 요구하게 된다.
- 1996년작 SF 영화 인디펜던스 데이에서는 해병 항공대 소속 F/A-18 호넷 조종사인 주인공 스티브 힐러 대위(윌 스미스)와, 전투조종사 출신의 토머스 휘트모어 미 대통령(빌 풀만)이 등장한다. 지구를 침략한 외계 침략주의 괴뢰에 맞서 야이 외계인놈의 새끼들아!! 니들 거기 꼼짝말고 있어!! 를 외친다. 애초에 이 영화가 해병대의 지원을 크게 받은지라… 영화 속의 미군 합참의장도 해병대 대장이다.
- 2000년작 룰스 오브 인게이지먼트에서는 주인공인 미 해병대 칠더스 대령(사무엘 L. 잭슨)은 예멘 주재 미 대사관을 포위한 시위대와 맞서다 발포를 명령하여 예멘 민간인 학살죄로 기소되는데, 변호를 맡은 칠더스의 월남전 시절 전우인 하지스 해병대 법무대령(토미 리 존스)은 시위대 속의 무장세력이 먼저 총격을 했기 때문에 칠더스의 대응은 정당했음을 밝힌다. 이 영화는 월남전에서 해병대 장교로 맹활약하며 많은 무공훈장을 받은 짐 웹 前 해군장관이 각본을 썼으나 각본의 수정을 놓고 웹과 할리우드 제작진들과의 마찰이 알려지며 말이 좀 있었던 작품이다.
- 2002년작 윈드토커는 나바호족 원주민 해병대원과 백인 해병대원(니콜라스 케이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 CSI : NY(2004년~)의 맥 테일러(해병대 소령 출신), NCIS의 리로이 제스로 깁스(해병대 중사, 저격수)가 해병대 출신이다.
- 락 밴드 Green Day의 Wake Me Up When September Ends 뮤직 비디오에서 남자친구가 해병대에 입대 후 파병을 떠난다.
- 2005년작 영화 자헤드에서는 1991년 걸프전 당시 미 해병 보병부대의 따분하게 시간만 보내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특이한 점이라면 전쟁영화 치고 총격전이 거의 없음에도 작품성이 매우 뛰어나다. 이쪽의 경우 실제 걸프전에 참전했던 미해병대 저격수 앤소니 스워포드가 낸 책인 자헤드로 영화화한 것이다. 그래서 작중에서 앤소니 스워포드 역을 맡은 제이크 질렌할이 당시 상황을 독백하는 식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 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2007년~)에서는 미 해병대의 위상을 잠깐 엿볼 수 있다. 극중 미군 합참의장인 모샤워 장군이 해병대 대장이며, 후반부에 네스트팀 지원 병력 중에도 해병들이 보인다.[78]
- 2007년작 아버지의 깃발에서는 이오지마 전투 당시 깃발을 세운 미 해병들의 이야기를 담고있다.
- 2008년 HBO에서 제작한 드라마 제너레이션 킬은 2003년 이라크전쟁 초기에 해병대 수색대가 겪은 실제 경험담을 시니컬하지만 유머러스하게 그리고 있다.허구와 미화가 전혀 없이 모두 실제 인물과 실화들만 그대로 재현한 작품으로서 철저한 리얼리티를 추구한 작품이다 [79] HBO작품답게 수작으로 평가받는다.[80]
- 2008년 HBO에서 제작한 TV 영화 테이킹 챈스는 이라크에서 전사한 챈스 펠프스 해병대 일병의 시신을 운구하는 장교(케빈 베이컨)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다만 HBO의 다른 해병대 관련 작품들과 달리 이쪽은 '해병'이라는 것은 실제 인물의 이야기일뿐 큰 소재는 아니며, 미국이란 나라가 전사한 군인을 대하는 태도를 다루고 있다.
- 2009년작 아바타에서 주인공 제이크 설리는 해병대 포스리컨 출신으로, 한때는 주인공과 같이 일했던 악역 마일스 쿼리치 대령 역시 해병대 포스리컨 출신으로 나온다.
- 2010년 HBO에서 제작한 드라마 더 퍼시픽은 태평양 전쟁 중 각지에서 활약한 해병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 2011년작 영화 월드 인베이젼에서도 인디펜던스 데이에 이어 본격 지구방위대 역을 맡았다. 이쪽은 파일럿들이 아니라 보병들이 주인공으로 나왔다.
- 2012년작 레지던트 이블 5에서 백악관 전투 신에서 주요 전투원들이 얘네다. 근데 한가지 의문은 어찌하여 좀비 아포칼립스에서 M1 에이브람스 전차, 그리고 AH-1 같은 군 중장비가 남아있냐 이거다.
- 2018년 대한민국 방송채널 tvN에서 방영한 미스터 션샤인의 등장인물 유진 초이가 미해병대 대위라는 설정이다.
- 2019년부터 방영중인 드라마 포 올 맨카인드에서 달 해병대가 등장한다.
- 2020년 영화 엽문 4에서도 주인공인 엽문(견자단)이 중국 무술을 탄압하려는 미 해병대 중사 바턴 게디스(스콧 앳킨스)와 대립한다.
-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의 인디아나 존스 박사의 아들, 머트 윌리엄스도 아버지에 대한 반항 차원에서 미 해병대 사병으로 입대했다 베트남전에서 전사한 것으로 처리됐다.
- 이세계 피크닉에서 이세계에 전이된 상태로 경계근무중인 주일미군 소속 미합중국 해병대들이 비중있게 등장하며 주인공들과 합동작전으로 현실 세계로 돌아가는데 성공한다.
13.3. 게임
- 메탈기어 시리즈
- 메탈기어 솔리드 2에서는 오셀롯이 메탈기어 렉스의 설계도와 모의실험 데이터를 암시장에 내놓게 되었고, 이것들은 여기저기에 팔려, 렉스를 비롯해 이 기술을 이용 혹은 개조한 각종 아류들이 전세계적으로 늘어나게 된다.[81] 이 사태를 우려하던 미합중국 해병대는 스캇 돌프 대령의 주도하에 증가일로를 걷고있는 렉스의 대비책으로 극비리에 메탈기어 레이를 개발하지만, 애국자들의 스파이인 오셀롯에 의해 강탈당한다.
- 메탈기어 솔리드 4에서는 리퀴드 오셀롯이 벌이는 건즈 오브 패트리어트 계획을 저지하기 위해 솔리드 스네이크와 솔리드를 지원하는 USSOCOM 소속 특수부대이자 백업팀인 RAT PAT 01 분대의 지원군으로 등장하여 액트 4에서 동유럽 주재 차출병력이 동유럽 주재 미육군 차출병력들과 함께 리퀴드의 체포 작전을 실행하나, 이미 SOP 시스템을 탈취한 리퀴드의 사병대인 헤이븐 트루퍼에 의해 미 육군 차출병력과 함께 수많은 사상자를 내고 장비 손실을 내며[82] 몰살당한다.[83] 이후 액트 6에서는 드레빈의 도움으로 미 해군 병력과 함께 아이오와급 전함인 미주리에 해병대 병력이 탑승해 ID 세탁을 마치고 솔리드와 RAT PAT 01 분대의 지원병력으로서 활약하며, 리퀴드에 의해 이용당해 세뇌에서 풀려난 헤이븐 트루퍼들을 구출한다.
- 배틀필드 시리즈
- 배틀필드 3에서는 중동 주둔 미 해병대 5만명이 이슬람 근본주의 급진 반군집단 PLR이 점거한 이란을 안정화 작전을 펼쳐 이라크 북부와 이란 국경지대를 침공한다. 미 해병대 제1수색대대 소속의 병사 헨리 블랙번 병장과 미 해병대 제1사단 1전차대대 소속의 전차장 조나단 밀러 병장 시점으로 플레이 할 수 있다. 참고로 배틀필드 3 첫 싱글 미션 이름이 미 해병대 모토인 언제나 충성(SEMPER FIDELIS)이다.
- 배틀필드 4에서는 미 해병대 특수부대인 MARSOC 산하 해병레이더연대 작전팀 "툼스톤 분견대"가 주인공으로 나오며, 2020년 차기 중국 국가주석 후보인 진졔의 암살을 주도한 창 제독의 강경파 인민해방군의 동향을 살피기 위해 미 제7함대 소속이자 가상의 와스프급 강습상륙함[84] 인 USS "발키리"호, 해병원정군 병력과 함께 급파된다.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 오리지널 모던 워페어 1편에서 포스리콘 소속인 폴 잭슨 병장이 등장한다. 칼레드 알 아사드의 군대를 무찌르고 수도까지 진격하는데 성공하나, 막판에 수도에서 발견된 핵탄두가 폭발하는 바람에 잭슨을 포함한 많은 수의 미 해병대원들이 핵의 불길 아래 전사한다.[스포일러2] 이후 그릭스 하사를 포함한 포스리콘 생존자들은 영국 육군 SAS와 합동작전을 펼친다.
- 월드 앳 워에서는 제1해병사단 소속인 C. 밀러 이병을 비롯해 미군측 주역으로 등장하며, 태평양 전역에서 일본군과의 치열한 혈투를 벌인다. 현실에서도 지옥이었던 전장과 버프를 받은 일본군[86] 탓에 엄청나게 죽어나가며, 결국 남은 것은 죽은 전우의 군번줄이라는 새드 엔딩으로 이들의 이야기가 끝나고 만다.
- 블랙 옵스에선 주인공과 CIA를 보조하는 역으로 등장한다.
- 모던 워페어 리부트에서는 첫 미션과 오마르 술라만 생포 미션에서 CIA 소속 알렉스와 함께 행동한다. 이번 작에선 묘하게 푸대접을 받는데, 첫 미션에선 특수부대인 레이더연대 소속 오퍼레이터들이 전멸당하고 생포 미션에서는 일반 해병대원 일부가 적에게 인질로 잡혀 구해주어야 한다. 후속작인 모던 워페어 리부트 2 에서는 태스크 포스 141을 해병레이더연대 및 미합중국 해병수색대가 백업부대로서 지원하며 알카탈라와 코니 그룹을 포함한 러시아 국수주의파 세력과 맞선다.
- 크툴루의 부름 지구의 음지에서는 FBI, 해군과의 합동 작전으로 인스머스를 레이드 가서 인스머스를 탈환하지만 그 과정에서 온갖 괴물들에 의해 적지 않은 사상자를 냈다.
- 엠파이어: 토탈 워에 DLC 유닛으로 들어있다. 미국 독립전쟁에서 미영 전쟁 시기의 정예 보병으로 등장.
- 오퍼레이션 플래쉬 포인트 : 드래곤 라이징의 플레이어 측 세력으로 등장. 가상의 분쟁지역이자 러시아와의 영토분쟁 문제가 있는 스키라 섬을 무력점거하고 영토침탈을 주장하면서 방 빼를 시전하는 러시아에게 삐대며 스키라 섬에서 무력농성하는 중국군 공수부대를 중국과 러시아와의 확전을 방지하기 위해 소탕하러 가는것이 게임의 주요 내용이다. 후속작 오퍼레이션 플래쉬 포인트 : 레드 리버에서는 국제안보지원군의 일원으로서 타지키스탄에 평화유지 병력으로서 파병되어 타지키스탄 내에 암약하는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리스트를 소탕하고 타지키스탄군과 함께 지역 안정화작전을 펼치러 갔다가 미국과 마찬가지로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리스트를 소탕할 겸 타지키스탄의 친서방화를 경계한 중국 인민해방군과 조우하여 삼파전을 치러 격퇴한다.
- 용호의 권 시리즈의 존 크로리가 미 해병대 교관 출신이다. 계급은 대령, 교관으로서 가르친 과목은 항공기 조종술이다.
- 토탈 워: 쇼군2의 확장팩인 사무라이의 몰락에서는 19세기 전열보병 시절의 케피 군모를 착용한 남북전쟁~신미양요 시기의 군장과 군복을 착용한 미 해병대 전열보병대가 등장한다. 이들을 전투에 사용해보는 도전과제가 있는데 과제 이름이 Semper Fi(언제나 충성).
- 크라이시스 / 크라이시스 워헤드 - 초반에는 북한군이나 랩터팁만 만나지만 게임 중반부터 미군의 본격적인 개입이 시작되면서 아군으로 등장한다. 워헤드에 새로 등장한 캐릭터이자 미해병대 파일럿 오닐은 사이코와 아는사이로 랩터팀을 지원(志願)하다 탈락한다. 이후 파일럿으로 지원(支援)하다가 미 해병대 소속으로 작중 가상의 수직 이착륙기인 벌쳐 VTOL을 몰고와 마지막까지 도와준다.
- 크라이시스 2 - 알카트라즈(크라이시스 2), 치노 등 게임 극초반부에는 포스리컨이 등장하며, 중후반부터 일반 해병대원들이 사단 규모로 등장한다. 뉴욕을 침공한 Ceph에 맞서 외계인을 때려잡는 천조국 지구방위군 해병대의 위엄넘치는 모습을 보여줬다. 허나 민간인 구출 후 핵폭격이 국방부에서 결정되자 뉴욕에서 대다수 병력들을 빠르게 철수시킨다.
- 프로토타입 1에서는 뉴욕 맨해튼에서 블랙 라이트 바이러스가 퍼지기 시작하자 블랙 워치의 지휘 하에 계엄령 선포와 동시에 섬에 상륙해 육해공 모두 봉쇄하고 도심 내 전초기지를 곳곳에 설치했다. 감염지역에서의 최우선 공격목표로 하이브를 두고 있으며 시시때때로 감염체 필드와 하이브로 쳐들어가 감염체들을 제압하고 하이브에 공격을 가한다.[87] 2편에서는 바이러스가 또다시 맨해튼에 퍼지게 되는데 1편과는 차원이 다른 규모로 감염이 확산되어 맨해튼 외부로까지 바이러스가 퍼지자 감염으로 완전히 작살난 맨해튼을 레드존으로 규정하고 아직 통제가 가능한 뉴욕시 일부를 엘로우존과 그린존으로 나눈다. 이로 인해 블랙 워치가 전면전에 나서게 되면서 해병대는 옐로우존, 그린존 거리 순찰과 블랙워치 기지 및 젠텍 연구소 방어 등 2선 임무로 밀려나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해병대(프로토타입 시리즈) 참조.
- 하프라이프 시리즈
- 하프라이프: 어포징 포스: 본편에서는 단순히 군대(Military)와 군인(Trooper)이라고만 칭해졌던 적군이 기어박스 소프트웨어에서 미 해병대 예하 특수부대 유해 환경 전투 부대, 통칭 HECU(Hazardous Environment Combat Unit) 이라는 설정이 붙어서 등장한다. 그에 맞춰 RECON(리콘)이라고 새겨진 활동복을 입은 훈련병[88]이나, 하트먼 상사를 모티브로 한 교관이 등장하기도 한다.
- 블랙 메사(게임): 1편의 팬 리메이크인 본작에서는 미 해병대 단독 투입설을 적극 차용해 21세기 초반 미 해병대의 모습으로 작중 등장하는 군대와 군인을 재해석해 등장시킨다. 덕분에 미 육군과 공군 장비가 섞여 있던 원작과 달리 미 해병대의 장비를 주로 사용하며, [89] 정식구호인 'Semper Fidelis'가 언급되기도 한다.
- ARMA2 오리지날에 등장한다. 체르나루스 내전이 극단적으로 치닫자, 이 지역의 평화 유지를 위해 파병되었다는 설정. 캠페인 전장이 숲이 많은 곳이라 Woodland MARPAT 전투복을 착용하고 있고 미 해병 수색대(Force Recon)과 더불어 현재 운용중인 미 해병대 장비들이 대거 등장한다.
- ARMA3에서는 "승리" 캠페인에서의 아군으로 미 육군과 함께 합동군으로 등장한다. "적응" 캠페인에서 극 초반 스트라티스에 주둔하고 있던 북대서양 조약기구 소속 "이지스" 기동대 미 육군 잔존세력이 생존 캠페인을 거치며 AAF와 CSAT이 꾸민 흉계에 의해 전멸하고, 생존자이자 주인공인 미 육군 소속 벤 케리 상병이 현지 반군 세력인 FIA 와 영국군 특수부대인 CTRG의 도움을 받아 미 중부사령부(MEDCOM)과의 교신에 성공하여 미 중부사령부에서 재침공 밎 사건의 진상을 알기 위해 미 육군과 함께 본대로 투입시킨다. 합동군 사령부의 호출부호는 크로스로드.
- Broken Arrow
미군 팩션의 하위 전투단으로 등장하며, 2020년대의 미 해병대까지 모두 구현한 만큼 ACV 상륙장갑차와 CH-53K가 차량 유닛과 헬기 유닛으로 등장하며, 데모 캠페인인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의 도시인 발티스크 상륙작전의 플레이어블 진영으로 등장하여 칼리닌그라드 주 주둔 러시아군 병력을 축출하고 칼리닌그라드 주를 점령한다. - Squad
정규군 진영 중 하나로 등장한다. 미 육군의 장비가 중장갑, 고화력 컨셉이라면 미 해병대의 장비는 신속대응군이라는 컨셉에 맞게 기동성 특화, 신속대응 특화 위주이다. 보병장비는 3점사인 M16A4, M4가 주류여서 근접전에서 불리하다. 중기관총 사수가 쓰는 M240의 경우 전 진영 중 가장 높은 배율조준경(6배율 ACOG) 을 사용한다는 장점이 있다.
13.4. 기타
- 김경진의 2차한국전쟁소설 《남북》에서도 당연히 등장하지만 아군 항공기(미 해병 항공대)의 오폭[90] 으로 제3여단 직할 제1돌격상륙대대가 통째로 날아가는 대참사를 겪는다.
- 노가미 타케시의 마린코 유미는 바로 이 해병대에 입대하여 우여곡절을 겪는 만화다.
- 요르문간드에서 사단직할 수색대인 포스 리컨 등장한다.
- AKIRA의 마지막 권인 6권에서 동맹국인 일본과 일본 국방군을 지원해 아키라와 시마 테츠오의 초능력 깽판질로 한순간에 삶의 터전을 잃은 네오도쿄 난민들을 구호하기 위해 모든 일이 마무리됨과 동시에 폐허가 된 네오도쿄 지구에 미 해군의 엄호 하에 상륙한다.
- 미국의 팝 가수인 케이티 페리의 곡인 'Part Of Me'의 뮤직비디오 내용이 남친과의 실연으로 주인공인 케이티가 이곳에 입대하여 미 해병대 여군으로 거듭나는 내용이다.
14. 관련 문서
[1] "FY2023 NDAA: Active Component EndStrength"[2] 2022년 미 해병대 현황[3] '콥스'가 아니라, '코어'로 발음한다.[4] 전쟁부는 2차 대전이 끝나고, 1947년 9월 18일에 육군부와 공군부로 분할되었다. 육군항공대는 공군부로 독립하였다.[5] 미국의 예비역은 한국의 예비역과는 다르고, 차라리 한국의 상근예비역과 유사하다. 복무기간은 8년으로 연간 2주 정도의 훈련이 있고, 주말과 방학을 이용해 훈련일수를 채운다. 운이 나쁘면 연방정부에 의해 동원소집 되어 파병을 갈 수 있다. 미국의 예비군은 주방위군과 동일한 복무제도이다.[6] 몬테주마의 궁정은 미국-멕시코 전쟁에서 비롯된 가사이며 트리폴리의 해안은 미국 최초의 국제전쟁이었던 바르바리 전쟁에서 비롯된 가사다. 이 가사에서 따온 제2차 세계대전 영화도 있다.[7] 전차소대는 전차 3대로 구성되는데, 1대당 4명이 들어가고 소대장도 전차에 탑승하므로 4+4+(4-1)=11명[8] 폭력 행위와 탈영 사건으로 인해 불명에 제대했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9] 자회사라고 해서 지주회사와 예산을 공유하지는 않는다.[10] 미국의 해군사관학교가 위치해 있는 매릴랜드 주의 항구도시이며, 미 해군사관학교를 지칭하는 이름이기도 하다.[11]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해병대는 더글러스 맥아더와 체스터 니미츠라는 걸출한 원수들의 잔소리를 듣던 입장이다.[12] 해군에서 '파견'하는 것이 절대 아니다. 파견은 원 소속부대와 근무지가 다르나 배속은 동일하다. 예를 들어, 해병대에는 해군의 군의관·치의관, 간호장교, 의무·치무 직별의 부사관과 수병들이 근무하는데, 이들은 (최상급 예복인 드레스 블루를 제외한) 해병대의 모든 피복을 지급받아 착용하게 되며, 피복류에 다는 소속군 표지와 계급장, (해병대는 달지 않는) 병과장만 해군의 것을 단다.[13] 사실 미 해병대도 별도의 인원을 선발하여 해병 부대 내부에 있는 법무 관련 부대·서에 배치하기는 한다.[14] 영화 《어 퓨 굿 맨》에서, 해병대원 두 명의 재판이 열린 해군 법원의 풍경을 통해 잘 알 수 있다. 해군 법원 내의 재판정에서 해병 대령이 판사로, 해병 대위가 검사로, 그리고 해군 소령·중위 두 사람이 변호사로 배정되며, 해군과 해병대의 고급 장교 및 상급 부사관들이 배심원으로 앉아 있다. 그리고 영화 초반에 이 사건의 변호사를 맡길 장교를 지정하는 회의를 해군 대령을 포함한 해군 법무장교들이 하고 있다.(물론, 이 배치는 사건마다 바뀐다.) 동명의 드라마로도 유명한 미 해군 범죄 수사대 역시 해군 산하 기관이지만, 같은 이유로 해병대의 범죄도 수사한다.[15] 2011년 현재 해병대 사령관은 아이다호 주립대학교 ROTC를 마치고 1970년 항공 조종 병과로 임관한 제임스 에이머스 대장이다. 에이머스 대장은 역대 최초의 조종장교 출신 사령관이다.[16] 16대 합참의장인 피터 페이스, 19대 합참의장인 조지프 던퍼드, 2대 합참주임원사인 브라이언 바탈리아가 미 해병대이다.[17] 반면에, 미 해병대본부 소속의 군악대인 '미 해병 고적대(United States Marine Drum and Bugle Corps)'의 별명은 'The Commandant's Own(사령관 전용)'이다.[18] 이런 나라들에서도, 대사관 건물 내에 들어가면 MARPAT(분위기 괜찮을 때에는 예복이나 근무복)을 입고, 출입증을 교부하는 미 해병대원들을 소수나마 볼 수 있는 경우가 있다.[19] 그나마 해병대만 받은 게 아니라 육군도 덤으로 끼어서 개량형이 보급되었다.[20] 오죽하면 세계 공군력의 순위는 '미 공군 - 미 해군 - 러시아 항공우주군 - 미 주방위군 - 미 해병대 - 노후 전투기 보관소'라는 유머가 있을까. 한국 공군의 보유 항공기 대수가 약 1500대인데, 미 해병대 자체에서 보유한 항공기 수가 약 1300대다. 일개 해병 항공대의 항공기 전체의 대수가 세계 10위권 군사 강국 공군의 보유량과 맞먹는다는 뜻이다![21] 그러나 일반적인 인식과는 다르게 태평양 전선에서도 미 육군이 더 많은 상륙전을 수행했다. 이는 규모상 육군이 더 많으니 당연한 것이고, 중요지역에서의 상륙작전은 해병대가 주로 1파로 먼저 상륙하고 활약한것 또한 사실이다.[22] 물론 해병대가 상륙작전의 참모기획, 훈련교관 역할을 하거나 비공식 작전에 참여했다. https://en.m.wikipedia.org/wiki/United_States_Marine_Corps.역사부분 참조[23] 이 때문에 전후 미군은 육군과 공군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고, 결국 인천 상륙 작전에서 해상작전의 중요성을 다시금 증명하기 전까지 (제독들의 반란이 보여주듯) 해군과 해병대는 푸대접을 받았다.[24] 이때 생긴 구호가 지금의 레인저의 구호 '레인저가 앞장선다.' 이다.[25] 지정사수소총 모델의 명칭은 M38 SDMR이지만 아주 미세한 차이만 있다.[26] 물론 해당 전력들이 정 필요할 경우에는 소속만 해병대가 아닐 뿐 타군의 지원을 충분히 받게 된다.[27] 2차 세계대전의 태평양 전쟁 때부터 항상 해병대와 육군은 의견충돌과 기싸움이 있었다. 그러나 이를 버리고 육군의 도움을 받는다는 것은 많이 변한 것이다.[28] 군사경찰의 해군 이관은 과거 해병대 헌병이 해군의 치안까지 맡았던 것과 정반대의 상황이 된 것으로, 격세지감이라 할 만하다.[29] 2016년 9월부터 미 해병대 보병대대와 소총경비중대는 M4A1 카빈을 사용하고 있으나, 보병이 아닌 대다수의 해병부대는 여전히 M16A4가 제식소총이다.[30] 과거(2000년대 기준) 에는 M16A4와 M4A1을 사용했으나, 현재(2019년 기준)는 M16A4는 2선급 장비 및 훈련용 장비로 돌려지고 M4A1과 M27이 모두 사용되고 있으나, M4A1은 2020년 말까지 전량 M27로 교체 예정이다.[31] 이전까지는 분대지원화기로 M249와 M27 두 가지가 사용되었지만 2017년부터 M27 IAR이 M249를 완전히 대체하였다.[32] 구난장갑차, 지휘통제장갑차 등 다양한 바리에이션으로 사용한다[33] 대전차미사일 장착버전, 박격포 장착버전, 전자전 버전등 다양한 바리에이션으로 사용한다.[34] 2차대전과 한국전 시기에 해병대 파일럿으로 복무한 유명인사로 메이저리그의 마지막 4할타자 테드 윌리엄스가 있다.[35] 2018년부터 CH-53K 킹 스텔리온으로 업그레이드 예정이다.[36] 항공단장이 소장이 보임된다. 아무래도 하술할 원정군 구성에 있어 일반 지상군 사단과 동급으로 행정처리를 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아무래도 원정군에서 보병 출신 소장만 있으면 항공은 목소리가 작아질 수밖에 없으니까. 때문에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에서는 홈페이지의 군사용어 해설에서 미 해병대의 항공단을 비행사단으로 번역하기도 한다.[37] 맥-태프 같은 식으로 읽는다.[38] MEU에 배속된 수색소대가 특수훈련을 이수하면 MEU는 특수작전 능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어 MEU(SOC)로 표기된다.[39] 여단이라고는 하지만 사실 소장이 사령관을 맡는 경우도 많다.[40] 항모전단이 항공모함 대신 강습상륙함 위주로 운영되는 형태라고 보면 된다. 사실 이 전단도 이지스 떼거리와 공격원잠이 따라다니는지라 정규 항모전단보다 약하다 뿐이지 끝내주는 화력을 자랑한다. 물론 상륙전을 위한 부대이기 때문에 강습상륙함 외에도 샌 안토니오급 등이 함께 다닌다.[41] 여담으로 해공군의 경우 보통 경기가 나빴을 때 지원율이 높은 경향이 있어왔는데, 아무래도 각종 병기나 장비 운용의 비중이 큰 기술군이다 보니 언젠가 사회로 나가 재취업을 할 때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는 기술을 배우려는, 즉 생계형이 많아서 그런 경향이 생겼던 걸로 보인다.[42] 각 소대마다 교관이 3명씩 있다.[43] 이때 훈련병은 차려 자세에 눈은 반드시 정면으로 향해야 한다.[44] 그런 이유로 인해 미군은 훈련병으로서의 자격에 커다란 결격사유나 문제가 있는게 아니라면 웬만한 경우 그대로 끌고가는 편이다. 물론 체력이나 정신력이 현격히 모자라서 아예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는 탈락하는게 어쩔 수 없지만, 간발의 차로 낙오하거나 탈락할 위기에 있는 훈련병의 경우에는 웬만하면 재시도를 통해 기초군사훈련 전과정을 수료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편이 많다.[45] 해병군수단이나 해병항공단, 해병대본부나 예하 사령부의 행정병들[46] https://www.marinecorpstimes.com/news/your-marine-corps/2018/03/06/female-marines-to-enter-mct-at-camp-pendleton-for-first-time/, https://www.defense.gov/Photos/Essay-View/CollectionID/18308/[47] 12주에서 15주로 연장되었다.[48] 동유럽, 유라시아[49] 남아시아, 중동[50] 동아시아, 태평양[51] 북아메리카[52] 서유럽, 스칸디나비아[53] 동아프리카, 남아프리카[54] 북아프리카, 서아프리카[55] 중유럽[56] 남아메리카, 카리브해[57] 전군 신임장교의 사관학교 출신 평균은 17.3%이고, 미 해병대 신임 장교의 임관 루트는 해군사관학교가 19.3%, ROTC 학군사관 2.3%, OCS 76.9%, 직접임관 1.5%이다. 미 육군의 신임 장교 임관루트는 사관학교 13.8%, ROTC 학군사관 38.5%, OCS 28.8%, 직접임관 16.3%, 기타 2.72%이다. 미 육군참모총장의 60%, 미 해군참모총장의 80%, 미 공군참모총장의 65%가 사관학교 출신인 점을 감안하면 미 해병대 사령관의 사관학교 출신 비율은 이례적으로 적다. 미군이 학군이나 OCS 과정도 대장까지 진급하는 게 가능하긴 하지만 그래도 장성급은 사관학교 출신이 가장 많고, 각 군 참모총장은 보통 사관학교 출신들이 차지한다. 역대 미 해병대 사령관 중 해군ROTC 출신은 20%, OCS 출신은 60%였다. 해병대에서 ROTC 학군사관 2.3%인데 미 해병대 사령관 중 ROTC 출신이 20%면 확률이 가장 괜찮다. 미 해병대 신임 장교 중 OCS는 76.9%인데, 미 해병대 사령관 중 OCS 출신은 60%면 확률은 나쁜 편.[58] 미 해병대 사령관은 100% 보병 병과에서 부사령관은 100% 항공병과에서 하는게 관례이고, 역사상 보병 출신이 아닌 미 해병대 사령관은 딱 한 번 있었다.[59] 이임 직후 대장으로 특진해 전역.[60] 과달카날 전투 당시 해병1사단장으로 혁혁한 전공을 세워 명예 훈장을 수훈, 이후 1상륙군단장으로 부건빌 전투를 지휘하였으며, 해병대사령관으로 영전하였다. 해병대 최초의 현역 4성 장군이자 대장급 사령관.[61] 미 육군 병으로 단기복무를 마치고, 미 버지니아 군사대학에 입교 후 미 해병대 소위로 임관했다.[62] 1950년 미 해병대 현역병으로 입대, 부사관인 Sergeant(E5)을 거쳐, 1952년 해병대 보병 소위로 현지임관. 즉 사병 출신 장성.[63] 1953년 대학 입학과 동시에 해병대 상근예비역 병으로 입대하여 군생활과 학업을 병행하여, 재학 중 상근부사관인 Sergeant(E5)까지 진급했다. 또한, 재학 중 학사장교 과정인 PLC 과정에 지원하여 1957년 대학 졸업과 동시에 미 해병대 현역 보병 소위로 임관했다.[64] 합참의장으로 영전되었다. 두 번째 해병대 출신 합참의장이다.[65] 지금은 원사에 상당하는 계급이지만 당시엔 이 계급을 가진 사람이 한 명이었다.[66] 당시에는 미 육군 제11보병연대와 미 해병대의 서로 규모가 비슷해서, 11연대장도 대령, 미 해병대 사령관도 대령이었다.[67] 미군에선 미 해병대와 미 육군 포병대가 빨간색을 상징처럼 사용하는데 이는 영국 육군에서 유래한 것이다. 영국 육군은 1642년부터 빨간색을 사용했다. 미 육군 포병대는 1851년 포병 병과색(Branch color)으로 빨간색을 지정했고, 미 해병대는 1925년 해병대 색상(Marine Corps Colors)으로 빨간색을 지정했다.[68] 팔각모는 원래 미 육군 전투모인데, 해군에서 육군 전투모를 해군 육상부대용으로 지급한 것이다. 미 육군은 1941년에 팔각모를 M1941 전투모로 제식화해서 사용하다가, 1943년 좀 더 두꺼운 면재질로 소재를 개선한 M1943 전투모를 채택하였다. 미 해군은 육군용 M1943 전투모를 해군 육상 부대용 작업모로 도입하여, 해병대에도 지급했다. 이 육군용 M1943 팔각모는 뾰족한 꼭지점이 정면을 향하고 있었는데, 해군은 1944년 평평한 모서리가 정면을 향하도록 디자인을 개선하서 M1944 전투모로 제식화했다. 이 M1944 전투모가 지금 미 해군과 해병대, 해안경비대가 사용하는 팔각모와 완전히 동일한 모양의 전투모이다.[69] 사단마크가 세계적으로 유행을 타기 시작한건 제1차 세계대전 당시부터이고 영국 해군사단(Royal Naval Division)도 1차 세계대전 중에 이미 사단마크를 만들었다. 당연한 얘기지만 해병사단도 미국보다 영국·프랑스에서 먼저 창설되었다. 프랑스는 1700년대부터 이미 해병사단이 있었다. 미국의 사단마크(Shoulder sleeve insignia, SSI)는 제1차 세계대전 당시인 1918.10.19일 미 육군 제81보병사단에서 처음으로 제정하여, 전투복에 부착했고, 이후 미 육군 전 사단에 확대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미 해병대 제4해병여단은 미 육군 제2사단에 배속되어 미 육군 제2사단 마크인 인디언 헤드 마크를 달고 전쟁에 참전했다. 참고로 미 해병대에 사단이 처음 생긴건 1941.2.1일로, 이 날 해병대 제1사단이 창설되었다. 미 해병대에 사단마크가 처음 생긴건 과달카날 전투가 끝난 뒤인 1943.2월 경이고, 사단마크 부착이 공인된건 1943.3.15일이다.[70] 정작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인 1947년 미 해병대는 사단마크 부착을 금지했다. 사람도 20만 명이 채 안 될 정도로 적은데 부대까지 나눠대면 단결을 해친다는 게 이유. 이 때문에 미 해병대는 제복에 병과장도 안 단다.[71] 이 문구는 1800년대 미국 소설가 James Fenimore Cooper의 소설에서 주인공인 사냥꾼 Natty Bumppo가 자주 하는 말인데, 작가 또한 이 문장을 새로 창작한 것은 아니고, 아마 현지 사냥꾼들이 하는 말을 옮겨 적었을 가능성이 높다.[72] 헬하운드, 케르베로스를 지칭하는 용어이다.[73] 사령관이 이 문서에 사인하는 영상까지 배포됐다.[74] 사관학교만 봐도 육군사관학교는 1877년에 첫 흑인 장교를 배출했으나, 해군과 해병대 장교를 양성하는 해군사관학교는 약 70년 뒤인 1949년에 첫 흑인 장교를 배출하는 등, 해군 계통은 폐쇄적인 성향이 짙다. 다만 현재 해군은 이러한 비판을 받아들이면서 크게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해병대와 해안경비대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75] 전군에서는 해안경비대가 가장 백인 비율이 높다.#[76] 35초에서 40초에는 장진호 전투(추정)도 나온다. 아마도 장진호 전투가 확실해 보인다. 태평양 전쟁과 베트남 전쟁 사이 특기할 만한 해병대의 동계전투는 장진호 전투와 일련의 한국전쟁 수행과정의 전투들이 유일하기 때문. 살며시 보이는 전차도 퍼싱으로 보인다.[77] 정작 영화촬영지원을 요청했을 때는 자기들을 까는 영화라며 극렬히 반대해서 국방부에서 지원을 못하게 했다.[78] 미군에서 코브라를 쓰는 부대는 해병대밖에 없다.[79] 심지어 해병수색대의 각종 뻘짓들과 미숙한 실수들까지 동행 기자가 실제 목격했던 사건들을 모두 그대로 담았다.[80] 실제 극중에서 나오는 루디 '프루티 루디' 레예스 병장은 극의 배경이되는 전투에 진짜로 참여했었던 군인으로 극중 자기 자신을 그대로 연기했다.[81] 크고 작은 국가들은 물론이거니와, 일개 테러리스트들까지 렉스를 제작해 핵무장화를 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현실에 오타콘은 핵 발사 병기가 너무도 일반화되었다면서 한탄했을 정도.[82] 상공 저격수 팀이 탑승한 미 육군의 UH-60 블랙호크[91] 2기가 SOP 시스템의 탈취로 인해 오작동이 나며 추락해 파괴되고, 미 해병대의 Mk.V SOC 고속정 1대가 리퀴드와 헤이븐 트루퍼들이 탑승한 CB-90 고속정의 박격포에 맞아 중파당한다.[83] 험비 차량에 분승해 다리 위에서 차단선을 짰던 미 육군 지상팀 중대병력은 다수가 사상자가 나고 험비 차량들이 대거 파괴 밎 파손되며 무력화되고, RAT PAT 01 분대와 함께 강변에서 차단선을 형성했던 Mk.V SOC에 분승한 미 해병대 중대병력도 마찬가지로 다수 사상자가 발생하며, 헬기 3기에 탑승하여 상공엄호를 맡은 미 육군 저격수와 감적수 6명과 6명의 헬기 조종사와 항법사들은 추락으로 인해 전원 사망한다.[84] 소설 "카운트다운" 에서는 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으로 추정된다.[스포일러2] 최종 시리즈에서야 밝혀지지만 이 핵폭탄은 모던 워페어 세계관의 진 최종 보스 인 블라디미르 마카로프가 터뜨렸다. 당시 지휘관의 휘하병력이었던 3만명이 사망했으며, 이 사건으로 인해 해당 지휘관은 주인공 세력까지 이용하여 미국을 위험으로 몰고 갔다.[86] 시도때도 없이 하던 자살 돌격이 적당한 타이밍에 시도되는 전술이 되었으며, 100식 기관단총과 무한 탄창 92식 중기관총 그리고 M4 셔먼과 대등한 싸움이 가능한 치하를 가지고 나온다.[87] 하지만 하이브를 부수진 못한다. 아무리 공격을 해도 하이브에는 피해가 안들어간다. 플레이어가 공격하면 들어간다. 오히려 감염체들의 공세로 역으로 공격당하는 경우가 많다.[88] 리콘 활동복을 보아 미 해병수색대(Force Recon) 대원들을 차출해 구성한 것 같기도 하다.[89] 원작에서의 M2 브래들리는 미 해병대의 차륜형 장갑차인 LAV-25로, F-16은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AV-8B로 교체되었다. 이외에도 M977 HEMTT와 험비도 추가로 등장한다.[90] 3권 후반부 내용으로 해당 AV-8 해리어 공격기 조종사들은 모함인 해리 트루먼에서 착함사고가 나는 바람에 상공에서 대기하다가 연료부족으로 인해 로널드 레이건에 착함하는데 이게 화근이 되어 CAS 목표변경을 제때 통보받지 못하는 바람에 애꿎은 아군에게 폭탄세례를 신나게 퍼붓고 난 직후 전선통제기 통제관에게 왜 거기 아군이 있는데 씨발 니들 좆대로 폭격질을 했냐며 쌍욕을 거하게 얻어먹고 멘붕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