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GM-148 FGM-148 Javelin (AAWS-M) 재블린 대전차 미사일 | |||
조준기(CLU)와 발사관(LTA)이 결합된 사진.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대전차 미사일 | ||
원산지 | 미국 | ||
{{{#!folding 【펼치기 · 접기】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96년~현재 | ||
개발 |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마틴 마리에타 | ||
개발년도 | 1989년 | ||
생산 | 레이시온 록히드 마틴 | ||
생산년도 | 1996년~현재 | ||
단가 | US$175,203 (미사일) | ||
사용국 | 미국 영국 프랑스 사우디아라비아 대만 우크라이나 | ||
사용된 전쟁 |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
기종 | |||
원형 | FGM-148A | ||
파생형 | FGM-148B FGM-148C FGM-148D(수출형) FGM-148E(블록 I형) FGM-148F(다목적형) | ||
세부사항 | |||
전장 | 1.2m(발사기), 1.1m(미사일) | ||
중량 | 22.3kg(전체) 6.4kg(조준기), 15.9kg(미사일 장착 발사관) | ||
구경 | 142mm | ||
탄약 | 127mm 미사일 | ||
탄두 | 탠덤형 대전차고폭탄(HEAT) 다목적탄(MPWH)[1] | ||
유도 방식 | 적외선유도식 자율추적식 | ||
최대 사거리 | 원형 CLU - 2,500m 경량형 CLU - 4,000m 차량 장착형 - 4,750m | }}} |
[clearfix]
1. 개요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farm8.staticflickr.com/18328642516_51f5e85da5_c.jpg|width=100%]] | |
M1126 스트라이커 상부의 복합식 RWS에서 발사되는 모습. |
이름인 '재블린' 또는 '자벨린'은 본래 의미는 '투창(投槍)'이며, 주로 영미권 국가들의 병기의 이름으로서 애용이 되었다. 영국군에서는 동명의 재블린 지대공미사일이 따로 존재한다.
2. 개발사
1991년에 진행된 최초의 발사 실험을 기준으로 FGM-148A 재블린(Javelin)이라는 제식명칭을 부여받았고, 후에 1996년부터 초기작전능력(IOC)을 부여받은 후 본격적으로 미 육군에 배치가 이루어졌다.[3] 1999년에는 단가 절감형인 FGM-148B에서 발전된 FGM-148C 재블린 블록 0과 그 수출형인 FGM-148D가 뒤이어서 등장하였다.
현재는 미사일 본체의 탄속과 조준부(CLU)의 소프트웨어와 탐지 범위를 향상시킨 FGM-148E 재블린 블록 I 2,150기가 일선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미 육군 항공미사일연구소(AMRDEC)에서 개발된 신형 다목적탄두(Multi-Purpose Warhead)를 내장한 FGM-148F의 성능 시험이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참조
2021년 7월 30일 미 국무부는 태국 왕립 육군이 구식 106mm 무반동포 대체를 위해서 관심을 보인 재블린 미사일 300여발과 CLU 50대의 판매를 승인하였다고 밝혔으며, 계약 규모는 약 8,350만 달러이다. 플로리다 주 올랜도와 애리조나 주 투손에 있는 Raytheon/Lockheed Martin Javelin Joint Venture에서 관련 패키지에서는 발사대 및 관련 교육 훈련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
3. 특징
크게 M98A1/2 CLU(조준기, Command Launch Unit), LTA(발사관, Launch Tube Assembly)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사기에는 냉각을 겸하는 외장형 배터리의 장착이 필요하다. 적외선 영상을 탐지하는 방식을 따르기에 자율 추적(발사 후 망각)에 의한 명중률이 높고, 사정거리도 구형인 M47 드래곤보다 더 길다.FGM-148 JWS | M98A1 CLU(조준부) |
LTA(발사기) | 미사일 본체 |
CLU 뷰파인더의 인터페이스 | CLU와의 조립 예 |
3.1. 조준기(CLU)
M98A1 CLU(발사지휘장비, Command Launch Unit)는 목표물 추적과 발사 명령을 내리는 고정밀 컴퓨터로, 개당 125,000달러(약 1.53억 원) 가량의 고가 장비이다. 일회용인 발사관 과는 달리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구비된 4배율의 주간 조준경과 4, 12배율의 적외선 영상 조준경 덕분에 목표물의 관측과 획득이 매우 편리하다. 때문에 정찰시에 CLU만 들고 가서 간이 열상으로서 사용하기도 한다.
FGM-148C 재블린 블록 0에 들어서면서 크기가 70%, 중량이 40% 가량 줄어들고 500만 픽셀의 카메라를 포함하여 적외선 추적 시간, 탐지 거리와 범위가 향상된 M98A2 경량(Lightweight) CLU로 개량이 이뤄지기도 했다. 이 LWCLU는 FIM-92 스팅어와 연결하여 발사할 수도 있다.
3.2. 발사관(LTA)
LTA(조립형 발사관, Launch Tube Assembly)는 양 끝에 마개(End Cap)가 각각 부착된 일자 형태의 미사일 내장형 발사기이다. M98A1/2 CLU와의 연결을 통해 발사가 이루어지며 재활용이 불가능하다. 상단 부분에는 미사일 본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리튬 배터리와 냉각을 위한 압축 아르곤 가스가 들어있는 BCU(배터리 및 냉각부, Battery Coolant Unit)가 부착된다.
LTA의 경우 CLU와 BCU가 없다면 발사를 제대로 못 하는 거대한 짐덩어리에 불과하다. 조준은 물론이고 심지어 완전히 밀봉되어 발사조차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실제로도 만약 급하게 도주해야 할 상황에는 CLU와 BCU만 챙겨서 도주하는 것이 전술이라고 한다.
3.3. 미사일
재블린 미사일은 평소 LTA에 밀봉되어 있다. 미사일 자체의 길이는 1,081mm, 날개 폭은 277mm이며 중량은 11.8kg이다. 사거리는 최소사거리 65m, 최대사거리 버전별로 2,000~2,500m이며 일부 자료에 따라서는 3,000m 이상도 가능하다는 얘기도 있다.
최근에는 재블린을 스트라이커 장갑차 RWS에 통합하려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참조
3.3.1. 탐색기 및 유도장치
미사일의 눈 역할을 하는 탐색기는 열영상 방식으로 일종의 적외선 카메라다. 탐색기는 미사일 머리부분에 투명돔 형태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 안에는 짐벌(Gimbal) 구조물에 얹어져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열영상 센서가 탑재되어 있다. 열영상 센서는 초기형은 64x64 화소의 초점평면배열(FPA) 방식 센서를 사용하였으며 향후 128x128 화소로 업그레이드 될 가능성도 있다. 센서 소자는 텔루륨화 수은 카드뮴(HgCdTe)으로 8~12μm(마이크로미터) 파장의 장파장 적외선을 주로 감지한다. 이는 주변 지형지물에서 반사된 열기로 인한 잡음을 최소화 하고 전차의 엔진 등에서 나오는 적외선의 감지를 위해서다.유도조종장치는 사수가 CLU를 통해서 지정한 표적 영상을 토대로 탐색기가 표적을 인식하도록 한다. 즉 사수가 CLU를 통해 표적의 영상을 보면 미사일 탐색기 역시 같은 곳을 바라보며, 최종적으로 미사일의 탐색기는 적외선으로 바라 본 표적의 형상을 인식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유도방식은 단순히 카메라를 사용하는 유도 방식에 비하여 야간이나 수풀 등에 숨어있는 있는 적 전차를 상대로도 잘 작동하며, 단순히 적외선 신호를 포착하는 유도 방식에 비하면은 주변 지형지물에 반사된 열기를 표적과 오인할 확률을 크게 줄인다.
단, 재블린은 반드시 발사 전에 미사일 스스로가 표적의 형상을 주변지형 지물과 구분하여 인식할 수가 있어야 한다. 즉 재블린은 LOBL(Lock on Before Launch) 방식으로만 운용 가능하며 만약 운이 나쁘게도 주변 지형지물의 열기로 인해 생긴 패턴이 적 전차와 비슷하거나, 적 전차가 공격을 눈치채고 적외선까지 차단하는 연막을 펼치거나하면 표적을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유도가 안된다.
또한 적외선 영상 탐색기는 최적의 효율을 내기 위해 매우 낮은 온도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재블린은 발사 직전 수 초가량의 탐색기 냉각단계가 필요하다. 다만 일반적으로 사수가 표적을 직접 조준하고 식별하는 동안 냉각과정이 끝난다. 재블린은 여타의 적외선 미사일들과 비슷하게 미사일 발사관에 달려 있는 냉각가스를 관을 이용하여 탐색기로 연결, 센서 부분에 가스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순간적으로 온도를 낮추는 방식을 사용한다. 발사 후에는 미사일 내부의 내장된 냉각가스가 계속 적외선 영상 탐색기를 냉각한다.
일단 재블린이 표적을 정상적으로 인식하고 발사되면 이후 유도 과정은 미사일 스스로 수행하며 사수는 더 이상 할 일이 없다. 즉 재블린은 발사 후 망각(Fire & Forget) 방식이기에 사수는 발사 직후 적의 역습을 피하여 이탈할 수 있어 명중 시까지 미사일을 조준해줘야 하는 BGM-71 TOW 미사일과 비교 시 사수의 생존성이 훨씬 높다.
한편 비행 중에 필요한 전기 전원은 열전지가 공급한다.
3.3.2. 추진기관
재블린의 추진 기관은 2단으로 작동한다. 로켓연료를 담고 있는 연소관 안에는 2종류의 추진연료가 들어있으며, 사수가 버튼을 눌러 발사하면 뒤쪽의 발사용 추진기관이 먼저 점화한다. 이 추진기관은 0.2초라는, 아주 짧은 시간만 작동하며, 재블린이 연소관을 빠져나오는 순간 이미 작동이 끝난다. 이렇게 짧은 시간 동안만 작동하는 이유는 사수가 로켓에 의한 후폭풍을 뒤집어 쓰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4] 이 추진기관의 힘에 의해 재블린은 약 4m 정도 앞으로 튕겨져 나와 사수와의 안전거리를 확보한다. 이후 정해진 타이머에 의해 약 1.5kg 정도 들어 있는 두 번째 비행용 추진 기관이 작동하며 미사일을 최대 510km/h 정도의 속도로 가속한다. 재블린은 탑어택 모드일 경우 급상승해야 하므로 로켓 분사구 뒤쪽에 로켓추진방향을 바꾸어 더 급격한 기동이 가능한 제트베인(Jet Vane) 구조물을 갖고 있다.3.3.3. 탄두
재블린은 일반적인 대전차 미사일과 마찬가지로 대전차고폭탄 탄두를 사용하며, 반응장갑에 대응하기 위하여 전방에 작은 탄두가 하나 더 있는 탠덤탄두 방식을 사용한다. 즉 표적에 충돌시 탐색기 바로 뒤에 있는 미사일 전방의 작은 탄두(선구탄두, Precusor)가 먼저 작동하여 적 반응장갑을 파괴하며, 뒤이어 유도조종장치 뒤쪽에 있는 주 탄두(Main Warhead)가 폭발하여 적 전차의 장갑을 관통한다. 만약 적 전차에 반응장갑이 없을 경우 전방 탄두가 먼저 일정 부분 적 전차의 장갑을 관통하므로 관통력을 늘리는 효과가 있다. 재블린 탄두는 극초기형(블록 0)에 비해 개량형은 탄두의 폭약과 형상을 개선하여 동일관 관통력을 유지하는 한편,파편양을 늘려 경장갑/보병상대로 살상률을 높였다.재블린의 탄두의 관통력에 대한 설명이 자료마다 약간씩은 다르며 대체로 균질압연장갑(RHA)을 기준으로 600~800mm를 관통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최신 개량형인 FGM-148F부터는 대구조물 및 대인 능력을 높인 다목적탄두(Multi-Purpose Warhead)로 교체되기도 했는데, 이는 지난 테러와의 전쟁에서 얻은 전훈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탄두는 전기식 안전장전점화장치(Electonic Safe, Arm and Fire)에 의해서 기폭이 되며. 이 장치는 평소 안전상태를 유지하여 탄두가 오폭되는 것을 방지하며, 미사일이 발사관을 떠난 것을 감지하면(정확히는 미사일이 추진기관에 의해 일정수준 이상 가속도가 걸린 것을 감지하면) 그때서야 장전 상태로 바뀐다. 이후 안전장전점화장치는 전방의 충돌센서가 표적과의 접촉을 감지하면 그 신호에 의해 탄두를 기폭시킨다. 단 안전장전점화장치는 미사일이 비행 중 탐색기가 표적을 인식하고 있는 경우에만 장전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렇게 하는 이유는 중간에 표적을 잃은 눈먼탄이 민간인이나 아군에게 불필요한 피해를 주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만약에 안전장전점화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탄두를 기폭하지 않으면 탄두의 폭약은 표적, 혹은 지면에 충돌하는 정도로는 폭발하지 않는다.[6]
한편으로 안전장전점화장치는 발사 단계에 따라 발사로켓과 비행 로켓을 점화시키는 역할도 겸한다.
3.3.4. 조종
재블린은 유도조종장치의 명령을 따라서 4개의 꼬리날개 및 4개의 제트베인을 전기 모터로 움직여서 방향을 바꾼다. 또한 자세안정화와 양력 발생을 위하여 미사일 앞쪽에 8개의 고정날개가 달려 있다. 꼬리날개 및 고정날개는 평소 동체 안쪽에 접혀 있다가 발사 직후 스프링의 힘에 의해서 미사일 바깥쪽으로 펼쳐진다.3.3.5. 비행모드
상단 공격 방식의 비행 경로 | 직격 방식의 비행 경로 |
재블린의 큰 특징 중 하나는 탑어택(Top Attack) 모드이다. 사수가 탑어택 모드를 선택할 경우 재블린은 발사직후 표적의 거리에 따라 최대 160m까지 급상승한다. 이후 표적이 미사일의 시야각(FOV)안에 들어오는 한계치까지 고도를 유지하다가 다시 표적을 향해 급하강한다. 이러한 탑어택 모드는 전차와 같이 상부가 상대적으로 약한 표적을 공격하는데 최적화되어 있으며 또한 전체적으로 포물선 궤적을 그리기에 사거리가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만약 정지 비행중인 헬리콥터나 벙커, 보병 등과 같이 탑어택 공격이 필요치 않은 경우에는 직사공격(Direct Attack)도 가능하다. 이 때 미사일은 최대 60m 정도까지만 상승하며 이후 표적을 향해 일직선에 가깝게 날아간다. 이 방식은 최대사거리가 짧아진다는 단점이 있으나 대신 최소사거리 역시 짧기 때문에 표적이 500m 이내에 있는 경우에도 사용 가능하다.
4. 장점
- 강력하고 확실한 대전차 화력
신형기준 최대 700~750mm 두께의 장갑을 관통할 수 있는 HEAT 폭약이 충전된 탠덤 탄두를 사용하기 때문에 탑어택 모드로 공격하는 경우 렐릭트 같은 탠덤 탄두에도 대응하는 최신 반응장갑을 두르지 않는 이상 그 어떤 전차도 막기 힘들다. 전차 상부의 장갑은 152mm나 155mm 곡사포의 지근탄이나 공중폭발공격 정도에만 대응 가능한 수준으로 만들어져서 복합장갑도 없고 두께도 RHAe 50mm를 넘기기 힘들기 때문이다. 또한 일반 반응장갑은 단일 탄두에 대응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재블린에게는 효과가 매우 떨어진다.[7]
- 긴 사거리
매우 긴 파장으로 적외선을 추적하는 탐색기(Seeker)를 갖추고 있고, 미사일 자체가 대형이라 무거운 대신 다른 휴대용 대전차 미사일보다 사거리가 길다.
- 사수의 높은 생존성
발사 후 망각(Fire and Forget) 방식이라 한 번 쏴올리면 미사일이 알아서 표적을 향해 날아가므로 발사 후 재빠르게 현장을 이탈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영상 유도방식을 사용하므로 상대 측에서는 조준 여부를 전혀 알 길이 없다. 적외선 영상 유도방식의 높은 정확도 덕분에 불발 가능성이 낮은 것은 덤.
- 높은 발사 활용도
후폭풍이 약해서 후방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실내 공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무슨 1평짜리 좁쌀만 한 원룸이나 교통호 등 매우 협소한 공간에서는 당연히 사수와 인접 동료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 이는 다른 대전차 미사일이나 로켓들도 마찬가지지만 재블린은 그중에선 매우 나은 편에 속한다는 것. 예로 구식 로켓 발사기의 대명사인 RPG-7의 경우 후방 10~15m 정도의 공간이 확보되지 않으면 되돌아오는 후폭풍에 사수가 상해를 입을 수 있다. 반면 재블린은 발사기 뒤로 약 5m 정도의 빈 공간만 있으면 사수가 다치는 일 없이 발사할 수 있다.[8] 이는 재블린의 추진 방식 때문인데, 일단 다른 통상 대전차미사일은 발사관 내에서 추진체까지 폭발하여 그 후폭풍이 엄청나지만 재블린의 경우 발사관에서 미사일이 빠져나올 때는 작은 발사용 추진기관으로 먼저 푹 하고 빠져나온다. 그 후 연료를 이용한 폭발적인 가속이 시작되는 것. 그러나 후폭풍의 압력이 빠져나갈 창틀이나 문 같은 통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여전히 쓰지 않는 것이 이롭다.
- 다양한 목표물 타격 능력
지상 목표물 뿐만 아니라 헬리콥터 같은 공중 목표물에도 쓸 수 있다. 애초에 헬기에도 사용할 수 있게끔 설계를 했기 때문. 하지만 공중 목표물을 향해 쏘려면 다이렉트 어택 방식으로 쏴야 한다. 탑 어택 방식은 70km/h가 넘는 고속으로 움직이는 지상 목표물에도 명중을 보장할 수 없는데[9] 하물며 공중을 날아다니는 목표물에는 설명이 필요없다.
- 압도적인 신뢰성
최근에 미군과 우크라이나군이 대량으로 운용해 전과를 입증하면서 동급 무기체계 중에 재블린만큼 실전 많이 겪으며 검증된 무기가 없다. 이 막대한 실전 경험 속에서 비싸다는 타박은 들을지언정 그 신뢰성 만큼은 극찬했다. 인터넷으로 사용법과 기초적인 고장대응법을 확인할 수 있어서 전투 중에 뭐가 막히면 스마트폰으로 검색해서 찾아보기까지 하는 편의성은 덤.
- 높은 보급률
미군의 경보병이라고 할 수 있는 ICBT 보병 소대 편제 기준, 1개 소대는 9명으로 구성된 3개 소총 분대와 마찬가지로 9명으로 구성된 1개 화기 분대, 6명으로 구성된[10] 소대본부로 구성된다. 이 때 화기분대는 GPMG조 2개와 대전차조 2개, 분대장 1인으로 9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만약 재블린이 필요하다면 대전차조에 보급된다.[11][12] 이보다 더 탑어택 대전차 미사일을 광범위하고 보급하는 나라는 아예 사격조마다 탑어택 대전차 미사일과 기타 대전차무기를 꽉꽉 채운 우크라이나군 밖에 없다. 하지만 우크라이나군은 현재 비정상적인 상황이라 일반화가 불가능하다. 우크라이나군의 재블린은 거의 대부분 우방국로부터 지원받은 무기이며 수만 발 이상의 재블린을 포함한 대전차무기들의 재고가 이미 2022년 3월 말에 거의 떨어진 상황에 몰렸다. 2022년 6월 즈음에는 탄약이 완전히 고갈되었다고 말할 정도.# 국군의 경우 판처파우스트 3이 소대급으로 배치되고 동원사단은 M67 무반동포가 중대급 화기로 배치되는 실정이며 현궁은 대대급에서나 배치되는 실정이다. [13]
5. 단점
- 적은 생산량
재블린은 1996년에 처음 배치된 이후 지금까지 45,000발, 발사관 12,000기 이상 생산해 왔다. 연산량은 2,100발 정도이다. 막 쓰기엔 다소 적은 물량이다.
- 상당히 비싼 가격
미사일 한 개당 8만 달러다. 1억원에 가까운 엄청나게 비싼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다보니 재블린은 판처파우스트나 RPG와 같은 일반적인 대전차병기처럼 도저히 막 쓸 수가 없다. 값싼 보병용 대전차 무기여야 함에도 쇼미더머니의 미국조차 너무 비싸다고 충분히 줄 수 없으니까 군인들에게 무유도 발사기를 대신 쓰라고 할 정도면 말이 필요 없는 수준. 개발 주체인 미군이 상대하는 적 중에는 전차 수천 대는 커녕 수백 대를 보유한 적도 없고, 잘해봐야 정부군이 유기한 T-55, T-62, T-72 등으로 무장한 일개 테러리스트나 반군들인 경우가 많고, 그마저도 보유하지 못해서 테크니컬에 포탑이나 철판 붙인 급조차량을 쓰는 경우도 있다. 그렇다 보니 실전에서 뛰는 미군들도 처음에는 미사일을 마구 쓰다가 정부가 보충해줄 돈이 없다고 손들어버리자 별 수 없이 창고에 처박혀 있는 M72 LAW 로켓발사기와 M67 무반동포를 다시 꺼내서 쓰는 형편이다. 값싸게 마구잡이로 쏠 수 있는 로켓을 찾던 미군은 결국 자신들을 가장 많이 괴롭혔던 RPG-7을 서방제 카피하여 PSRL-1이란 이름으로 개발해보거나 하는 등의 이런저런 시도 끝에 레인저들이 먼저 시범적으로 쓰던 칼 구스타프 무반동포를 전 육군에 확대 도입하였다.
그래서 재블린은 테러리스트 같은 비정규 무장집단보다는 체계적으로 개발된 중국 장갑집단군이나 러시아 전차집단군의 뚜껑을 따는 용도로 써야 가성비를 맞출 수 있다.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개발 이후 처음으로 개발 목적에 걸맞게 동구권에서 가장 발전된 형태의 러시아 전차집단군을 방어하는데, 엄폐물에 숨어 운용하여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 무거운 중량
발사기와 미사일의 무게를 합쳐서 22.3kg이다. 여기에 유도와 발사기를 긴 시간동안 쓰기 위한 예비 배터리까지 포함하면 이걸 넘는다. 이런 자비 없는 무게 때문에 사수와 부사수가 들고 다닐 수 있는 건 발사기와 미사일 3발이 한계라고 한다. 따라서 이 녀석을 제대로 쓰고 싶다면 운반 차량이 필수다. 그나마 기계화와 차량화가 잘 된 미군이니까 험비에 넣고 다니다가 필요할 때 꺼내 쓰는 정도고, 우크라이나군도 익숙한 자국 영토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기에 큰 문제는 아니었으나, 만일 기계화가 제대로 안되어있거나, 대한민국처럼 기계화와 차량화가 어려운 지형이라면 단점이다. 상술한 NLAW는 12.4kg로 재블린의 절반이기 때문에 우크라이나군은 NLAW를 대전차로켓 쓰듯 1km 내 근거리까지 접근해 쏘고 퇴각하는 식으로 활용하고 재블린은 더 먼거리에서의 탱크 요격에 활용한다.
- 긴 준비 및 조준 시간
콜 오브 듀티 시리즈같은 밀리터리류 게임처럼 발사기 들고 잠깐 목표물에 조준점 걸고 몇 초 기다리면 땡이 아니다! 이론적으로는 숙련된 사수라면 20초 정도면 가능하다고 하는데 이건 사실이 아니고 실제로는 조준 준비인 조준기의 냉각부터 30초 정도의 긴 시간이 걸린다. 암만 사거리가 2,500m, 차량탑재형 같은 개량형은 4km까지 간다지만 30초나 조준하고 있으면 사거리 다 까먹고도 남는다.[14] -조준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무기임에도 미국에서 채용한 이유는 유럽의 평야 같은 전장에서 소련 해체 후에도 여전히 건재한 막강한 러시아군의 전차들이나 중동의 넓은 사막에서의 전투를 상정하고 만든 물건이기 때문. 한마디로 기본적으로 시야가 트인 곳에 먼저 진지를 구축하고 먼 곳에서 접근하는 적을 쏘려고 만든 물건인데 한반도처럼 지형이 험난하고 복잡하며 나무가 빽빽한 산지에서는 조준기 냉각하다가 목표 전차가 지나가 버릴 가능성이 높다. 물론 탑 어택이 아닌 다이렉트 어택의 경우 조준을 위한 최소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서 발사 준비 시간이 줄어들지만, 이러면 재블린의 최대 장점이 무용지물이 돼버린다. 단 이는 사용국가에 따라 다르다. 다이렉트 어택 시 단점은 강력한 방어력과 기동성을 갖춘 3세대~3.5세대 전차를 상대할 때 두드러지는 단점이고 북한에서 굴려대는 전차 상대로는 다이렉트 어택도 과하다.
- 미군이 치르는 전투에 비해 오버스펙으로 발생하는 낮은 가성비
FGM-148은 미군의 요구에 맞게 설계하고 제작한 새로운 대전차 무기로 그 성능 하나만큼은 대단한 물건이 맞고, 예상 상대는 당연히 러시아군이나 중국군을 목표로 했을 것이다. 그러나 2003년 이라크전 이후 미군이 상대하는 게 러시아 같은 강대국이 아닌 아프간 등지의 무장 수준이 그 정도로 높지 않은 가난한 테러리스트들 정도라서 이걸 이용해 마땅히 공격할 만한 전차 같은 목표물이 많이 없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야심차게 준비한 재블린은 창고에서 처박힌 채 먼지가 쌓여가고 있고, 오히려 떨어지는 대전차 능력 때문에 창고에 박아둔 M72 LAW 같은 싸고 간편한 물건들을 창고에서 꺼내 군인들에게 다시 지급하는 상황. 물론 모조리 창고에 쌓여 있는건 아니고 보병이 휴대하는 통상 중화기로 처리가 까다로운 고지대의 요새 같은 거점이나 땅에 매설된 IED 등을 처리할 때 요긴하게 쓰고 있다고 보였지만, 이마저도 전쟁 자체가 완전히 소강 상태에 접어들고 땅에 매설되거나 건물에 설치된 IED보다는 시간도 덜 걸리고 보다 정확한 타격이 가능한 자살 폭탄 테러가 테러리스트들의 주 공격 수단이 되다보니 소지하고 다니다가 그냥 대충 먼거리의 표적 비스무리 한 것이 있으면 '쏴버리는 무시무시한 사용법이 디스커버리 채널에 목격되고 말았다. 아프가니스탄의 미군 주둔 기지가 산발적인 소화기 공격을 받자 해당 위치를 지키던 중대의 부대원이 소지 중이던 재블린을 1마일 - 즉 1.6km 밖에서 AKM 소총으로 사격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남자 셋을 날려버리는 데 쏴버린 것이다.[15][16] 엄밀히는 재블린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실제 미군이 작전을 수행하는 전장의 규모와 소모전 양상이 이전보다 확 줄어들면서 병사들을 함부로 못 갈아넣을 바엔 돈을 갈아넣자라는 미군의 운용 철학에 따라 문제가 되는 점이라고 보는 게 정확하다.[17] 물론 계속 지적되듯이 이런 무기가 필요할 때 사용하면 압도적인 효율을 보여주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는 상대적으로 기갑전력이 빈약한 약소국인 우크라이나가 강대국 러시아군의 기갑부대를 방어할 대 유용히 사용되면서 좋은 가성비를 보여주었다. 물론 우크라이나에 전차가 없는 건 아니다. 분명히 우크라이나 역시 방어전의 주전력은 전차였다. 전차를 잡을 땐 연산 2,100발, 경제적인 생산량은 3,600발 정도에 정밀 부품이 대량으로 들어가는 재블린 같은 값비싼 무기가 필요하지만 사람을 잡을 때는 비싸도 단돈 1달러짜리 총탄 1발이면 충분하다. 즉, 생존성 문제로 전차가 주전력이 되면서 방어전을 벌일 때 가장 효율적인 무기로, 기갑부대를 동원한 전쟁을 일으킬 수 있는 잠재적 적국인 중국과 러시아의 적대적인 주변국에 제공할 때 가장 효과를 보기가 좋다는 결론이 나온다.
- 다른 유사 대전차 무기체계에 비해 뒤떨어지는 장갑관통력
대한민국 국군에서 개발되고 제식 주력 대전차 미사일로 운용되며 재블린처럼 전차의 상부를 타격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현궁의 장갑관통력은 RHA 기준 900mm 수준인데 재블린은 700mm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 그나마 전차에서 가장 약한 상부를 공격하는 탑 어택 방식이니 조금은 무마 가능한 단점. 사실 현궁같은 유사 재블린들은 재블린 대비 한참 뒤에나 나온 무기체계들로 당연히 성능이 그만큼 향상 되었을 것이다. 재블린은 1996년 무기고 현궁은 2016년 무기인데 20년이나 차이가 나는만큼 재블린이 뒤처지는건 어쩔 수 없다. 그런데 사실 뒤처진다고 해도 900mm나 700mm나 큰 성능 차이도 아니다. 다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실제로 사용해보니 생각보다 치명적인 단점은 아니었는지, 쏠쏠하게 성과를 내고 있다. 사실 상부공격 대전차 미사일에게 있어서 600mm니 700mm니 900mm니 하는 관통력은 동구권 전차보다 더 방호력이 충실하다는 서방권 전차조차 포탑 상부장갑은 155mm 포탄에 장갑이 대놓고 뚫리지 않게 하는 수준의 40mm정도 이므로 별 의미가 없는 오버 스펙이다. 심지어 러시아가 대응책으로 만들어낸 상부 슬랫 아머 지붕과 반응장갑도 큰 의미가 없는 것이 러시아 장갑차가 피격당하는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미사일이 포탑 상부가 아니라 구조적으로 방호력이 약한 부분인 엔진룸같은 차체 후방을 타격하기 일쑤라서 별 의미가 없다. 재블린의 공격 방식은 고각곡사공격이다. 그래서 착탄되는 시점에는 비스듬한 각도로 목표물을 타격한다. 다만 반응장갑 무용론이 나무위키에 심심치 않게 서술되므로 깊게 작성한다면 2002년 월드컵 끝나고 나온 렐릭트나 아르마타와 함께 데뷔한 모노리스라고 부르는 말라킷같은 신형취급받는 반응장갑은 재블린에 대해 내성이 있다. 하지만 이들은 배치자체가 저조한 수준이므로 제외하고 러시아군의 주력인 콘탁트-5를 대상으로 이야기 한다면 제작사 기준 전작인 콘탁트 5의 ce탄 방어력은 7호 발사관 같은 대전차 로켓 상대 800~900mm, 재블린같은 대전차미사일 상대 700~900mm이다. 일단 700mm 방호력을 제공한다고 보면 구형 재블린은 700mm지만 신형 재블린은 750~760mm 정도를 관통한다. 그렇다면 관통력이 50~60mm정도는 남는다. 그렇다면 상부장갑에 남는 것은 반응장갑장착구조물과 생짜 주조장갑 또는 380bhn으로 추정되는 균질압연강판이 남는다. 그렇게 되면 운에 맡겨야 하는 것이다. 재블린을 추종해서 만든 중국제 재블린인 hj-12 같은 경우는 얘는 직경과 무게를 확 늘려서 관통력을 확 늘려 이런 아슬아슬함을 없애버렸다. 직경이 135mm라 서방제 미사일로 대입 할 때 보통 10mm는 미사일 자체 두께인 것을 빼면 90년대 기술이며 재블린에게도 적용된 7cd 기준이어도 최대 관통력을 875mm를 뽑고 만약 현궁처럼 2000년대 서방에 나온 군사 신기술인 9cd를 나중에라도 적용하면 1,125mm를 관통가능하다. 만약 NLAW에 적용된 70년대 나온 기술인 5cd를 적용하면 625mm 관통력이겠지만 이는 너무 구식기술이므로 제외. 물론 이런 것을 다 따지기 전에 재블린은 1990년대 초 사양까지의 T-64/72/80/90 계열들을 잡으러 96년에 나온 미사일이다. 그리고 이 미사일이 실전에 투입된 2022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용도에 알맞는 환경이며 중국군과의 전투 역시 중국군의 전차들의 베이스는 동구권 기반의 하위호환 수준이므로 재블린이 상대하는데 부족함이 없다.
6. 실전
6.1. 테러와의 전쟁
재블린은 미 육군과 미 해병대의 주력 보병 대전차화기 중에 하나임에도 실전에서는 활약할 기회는 그렇게 많지 않은 편이었다. 개발 이후 미군이 개입된 대규모 전쟁이 잘 없었고, 그나마 벌어진 전쟁에서도 압도적 제공권을 바탕으로 작전을 수행하는데다가 전차 전력도 강한 미군 특성상 보병이 전차를 잡을 일이 잘 없었기 때문. 그래서 테러와의 전쟁 시기에는 전차보다는 주로 적 진지나 거점 등을 공략하는 무기로 쓰였다. 전차 상부 노려서 잡으라고 만든 고성능의 엄청나게 비싼 유도미사일을 보병 몇 명이나 기관총 진지 정도 파괴하는데 마구 쏴대는 것은 미군의 돈지랄을 상징하는 요소 중 하나가 되었다.아울러 미군의 몇몇 전방부대의 경우 M98A1 CLU를 BGM-71 TOW 발사대의 경우처럼 간이 TOD로 쓰기도 하였다. TOD가 필요할 때 열상 모드로 목표 지역을 감시하고, 혹시 화력이 필요한 경우가 생기면 발사기를 장착해 곧바로 미사일을 날리는 식. 하지만 그리 자주 쓰이지는 않았는데, 현재 미군이 이런 간이 TOD를 갖고 돌아다닐 만큼 경량화할 필요가 없기 때문. 미군이 아프간에서 전방작전기지에 틀어박혀 있다가 정찰을 나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 이럴 경우 기존의 TOW 발사대만으로도 충분히 대처가 가능했다. 기지나 FOB에서는 전망 좋은 장소에서 TOW 발사대를 설치해서 쓰면 되고, 지역 순찰 시에도 미군은 험비나 MRAP을 끌고 다니기에 이런 순찰대 차량들 속에 TOW를 단 험비와 MRAP들을 한두 대씩 섞어 배치하는 것으로 대처하는 방식이다.
또한 탈레반의 기지 공격에 재블린 미사일을 동원하지 않고 그냥 TOW 장착 험비 및 MRAP을 차고에서 끌고 나와서 바로 대응 사격을 날리는 경우도 있다. 헬파이어나 재블린이 탈레반 몇몇 잡는데 너무 고성능&고화력[18]이어서 효율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는 것을 감안하면 미군 입장에서는 나름대로 TOW 쪽이 몇 배나 효율이 좋은 셈이다.[19] 다만 2000년대 말~2010년대 초에 미군을 중심으로 ISAF 측에서 Operation Moshtarak, Operation Mountain Fury 등의 대규모 공세 작전 시 차량이 갈 수 없는 장소에서 보병들이 탈레반 저격수나 PKM 사수들로부터 원거리 공격을 받을 때 적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종종 쓰이기도 했다고 한다.
6.2.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일명 우크라이나의 성창(聖槍).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기갑 웨이브가 장기인 러시아군을 굉장히 곤혹스럽게 하는데 한몫했으며, NLAW, 바이락타르 TB2, 무기대여법 이후 공여된 M142 HIMARS와 더불어 우크라이나의 방어전에서 가장 크게 기여하는 무기 중 하나이다. 단순히 유용한 병기가 아니라 이 전쟁의 상징, 구국 영웅의 위상을 점했다.2018년 3월 미국 국무부는 내전 중인 우크라이나에게 재블린 미사일 판매를 승인하였다. # 그리고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영국제 NLAW와 함께 수도 키이우 등을 노리는 러시아군을 방어하는데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사거리가 짧은 대신에 더 가볍고, 빨리 쏠 수 있으며 일회용이라서 발사후 신속한 이탈이 가능한 NLAW는 엄폐가 용이한 시가지에서 근거리용으로 운용하고, 무겁고 조준에 시간에 걸리는 대신 사거리가 길고, 재사용이 가능한 재블린은 원거리에서 저격총처럼 운용한다. 둘 다 키이우 공방전을 비롯한 방어전에서 대단한 활약을 했다.
다만 이번 전쟁에서 재블린 같은 휴대용 대전차 미사일이 유용함을 드러내는 것은 맞으나, 전과를 과장함에 따른 정보 오염이 섞여 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군인들에 의해 재블린이나 다른 대전차 무기들의 공격으로 인해 파괴된 전차들의 수는 진지하게 받아들이기가 어렵습니다. 대부분 소셜 미디어에 나타나는 이 숫자는 우크라이나인에 의해 과장되고 러시아인에 의해 축소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반적인 전장의 안개는 정확한 숫자를 확인하는 것을 훨씬 더 어렵게 만듭니다."라고 머피는 썼다.#
However, the numbers of tanks killed by Ukrainian soldiers, with the Javelin or other anti-tank weapons, are difficult to take seriously. Mostly appearing on social media, these numbers are likely to be exaggerated by the Ukrainians and downplayed by the Russians. The usual fog of war makes it even more difficult to ascertain accurate numbers," Mr Murphy wrote.
However, the numbers of tanks killed by Ukrainian soldiers, with the Javelin or other anti-tank weapons, are difficult to take seriously. Mostly appearing on social media, these numbers are likely to be exaggerated by the Ukrainians and downplayed by the Russians. The usual fog of war makes it even more difficult to ascertain accurate numbers," Mr Murphy wrote.
우크라이나의 성창, 성녀 재블린 | ||
성 재블린 | 키이우의 유령 | 성 NLAW |
성 하이마스[20] |
3월 초에 공개된 무선 녹취록들 중 일부에서는 우연히 러시아군과 주파수가 겹친 우크라이나 군인들이 러시아군을 조롱하는 무전이 잡혔다.#
이처럼 재블린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효과적인 무기라는 것이 재확인된 뒤 에스토니아와 네덜란드에 이어서미국에서도 재블린을 추가 지원하였다.[23] 같이 사용하는 영국의 NLAW 대전차 미사일보다 보급량이 적고 무거우며 사용법도 좀 더 어렵지만, 대신 사거리가 NLAW보다 긴 덕분에 원거리에서는 재블린으로, 근거리에서는 NLAW로 전차를 격파하는 역할 분담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 동구권 최강이자 세계 군사력 2위라는 러시아군을 방어하는데 활약하면서 NLAW, 바이락타르 TB2와 함께 이 전쟁의 상징이 되었다.
서방에서는 스팅어와 같은 대공무기를 비롯한 무기 지원을 약속했고, 지원하기로 약속된 무기 중에 대량의 재블린 미사일들이 포함되어있다. 백악관의 2022년 3월 16일 발표에 의하면 이미 2,600발의 재블린이 제공되었으며 2,000발이 추가로 제공될 예정이다.
이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재블린이 활약하는 이유는 재블린 자체의 성능 외에도 몇 가지 요인이 있다.
- 방호대책이 부실한 러시아군 전차
이미 직사로 공격하여 정면을 관통시키는 대전차 미사일은 AGM-114 헬파이어나 9K135 코넷 등의 개발로 사실상 기술적인 고점에 진입했고, 이런 고성능 대전차미사일에 대항한 신형 복합장갑과 경사장갑, 능동방호, 반응장갑 관련 기술들이 크게 진보하며 헬파이어나 코넷마저 이젠 정면장갑 격파는 포기해야 할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이라크에서 에이브람스 전차를 포기할 때 헬파이어로는 격파가 안 돼 아군 전차포나 매버릭까지 동원했단 일화는 유명하며, 이미 80년대 후반 1세대 HAP 열화우라늄 장갑을 채용했던 M1A1HA 시절부터 헬파이어로 전차 정면장갑을 조준하여 격파하는 일은 어렵게 되어있었다. 이후로는 어떻게든 방패를 우회해서 뚫기 위한 신형 헬파이어나 TOW-2B, 재블린, NLAW 같은 대전차 미사일이 정면이 아닌 상면을 노리는 탑어택 중간유도 방식으로 진보하였다. 이 점 자체는 지금까지의 정면장갑 강화에 방어구획 설계를 대부분 집중한 현대 전차로서는 상당히 위험한 약점이기에 당연히 탑어택 미사일을 개발 및 도입한 서방 역시 이에 대한 대응책은 손을 놓은 상태가 아니라 계속 개발되고 있으며, 서구권 최신예 주력전차들은 어느정도 대항책들을 구비하고 있다. 능방의 발달로 미국의 M1A2 SEPv3, K-2 흑표의 수출형 제안 등 하드킬 미사일 요격체계가 달리는 전차들이 늘고 있으며, 소프트킬까지 넓히면 상부 공격에도 대응가능하도록 발전해왔다. 또한 하드킬의 단점인 파편문제는 열압력탄두로 바꿔서 파편을 줄이는 등 지금 이시간에도 요격과 교란에 대한 연구는 계속 진행되고 있다.
러시아 전차들의 경우 가령 T-72계열과 T-80계열의 전차들은 케로젤 같은 자동장전 장치의 분리장약 특성상 민감한 화약으로 구성되어 있는 장약들이 승무원들에게 격벽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고 그대로 노출되어있고 포탑 사수는 사실상 장약을 아래에 깔고 임무를 수행하는 등의 방호대책이 부실하기도 하다. 게다가 T-72의 경우 케로젤 장전장치의 특성상 분리 장약을 옆으로 눕혀서 원형으로 배열하는데 이 경우 전면이나 측면에서 공격이 관통할 경우 장약의 피탄면적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으나 위에서 작정하고 돌입하는 재블린 같은 수직타격 대전차 무기의 경우 오히려 치명적인 피탄 면적이 넓어져서 운이 좋아 위험 피탄 범위를 벗어나 장약이 유폭 되지 않는 이상 전차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런 상황에서 T-72, T-80전차들은 능동방호체계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 러시아군 내에서도 그나마 T-90A가 쉬토라 교란장비가 달린 최소한의 능동방호가 가능한 사양인데 소프트킬이라 한계가 있고 현재 러시아군에서 유일하게 재블린에게 효과가 있는 능동방어장치는 열영상 추적을 교란하는 다영역 연막탄 뿐이다. 그나마도 보통 재블린 같은 대전차무기는 대전차조들도 전차가 보고 피하는 일 없게 자기 목숨걸고 최대한 근접해서 발사하고 재블린은 추적 중이던 목표를 놓치면 충격을 받을 때까지 강하하는 게 아니라 놓친 즉시 자폭하기 때문에 피해를 볼 가능성이 높다.
- 우크라이나군의 높은 재블린 사용률
사실 재블린은 이렇게 난사가 불가능한 무기이다. 외국의 자료를 보면 1996년에 전개한 이후(First deployed in 1996) 45,000발과 발사기 12,000기 이상 정도가 생산된 정도이다.(# ## # #) 현재는 연간 2,100발 정도밖에 생산하지 못한다.# 하지만 2022년 3월 말까지 우크라이나에 들어간 재블린은 미사일만 17,000발 이상이다. 그리고는 이 재고를 거의 다 소진한 상황이었다.# 이렇게 난사할 무기가 아니며 이렇게 난사하면 제아무리 에이브람스, 챌린저, 흑표와 같은 서방제 전차라도 살아남긴 힘들다. 재블린은 무게 20kg, 발당 1억 원짜리 미사일이다. 개도국인데다 러시아 무기체계권인 우크라이나는 자국 경제력과 군사편제상 미국 무기가 감당하기 힘들 물건이었으나, 재블린은 크고 무겁긴 하지만 어쨌든 개인이 쏠 수 있는 개인화기고, 전차나 전투기같이 무기 체계 관리도 필요 없어서 마음껏 공여가 가능한 무기이다. 우크라이나는 이전부터 러시아 기갑전을 두려워했으며, 돈바스 전쟁의 확전을 이전부터 예상했던 미국과 서방 세계의 지원을 받고 있어 결사항전을 각오하고 이번에 재블린을 아낌없이 쏠 수 있었다. 미국과 서방 세계는 러우전쟁이 대리전이기는 해도 실전 경험과 전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비싼 가격이 무색하게 미국의 주도로 한 번에 수천 발씩 추가로 지원되고 있다. 또한 방어 전략을 수립하고 러시아와 벌일 전면전과 주요 도시 공략에 대비하며 평원이 아닌 매복이 용이한 도로망과 시가지를 중심으로 제병협동에 충실한 방어선을 구축했고, 러시아군은 라스푸티차 때문에 차량들만 포장된 도로를 따라 밀고 들어온 결과 재블린을 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되었다.
- 러시아군의 잘못된 전차 운용 방식
재블린은 발사 전 30초 가량 조준해야 하는 특성상 기계화보병이 전차와 함께 움직이며 제대로 엄호해 줘도 재블린 운용 난이도는 대폭 상승하는데, 러시아군은 그냥 대놓고 들판을 돌아다니다 재블린을 맞고 포탑던지기를 하거나, 홀로 시가지에 들어갔다가 옆구리에 NLAW에 피격당해 격파되는 사례가 발생하였다.
이렇듯 큰 전공을 세웠으나 어디까지나 방어용 무기라는 사실도 재확인되었다. 막대한 대전차화기로 러시아군을 막아낸 우크라이나군이지만 공세로 전환하려니 전차와 자주포 같은 중장비가 필요해 서방측에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또한 6월에 들어 러시아도 포병을 끌어모아 민간인 지역이고 뭐고 화력을 쏟아붓고 있으며, 우크라이나도 이에 자주포로 대응하며 각종 전투 보고에서 대전차화기보다 중화기의 이름이 많이 오르내리는 현황이다.
2022년 9월, 우크라이나의 반격에서 우크라이나 육군과 국토방위군이 실지회복을 위해 선봉으로 내세워 일선에서 싸우고 성과를 얻은 것은 바로 전차를 위시로 한 기갑부대와 SUV와 트럭, 차륜형 장갑차 등을 대량으로 장비한 보병부대였다는 것에서 재블린을 위시로 한 대전차 미사일은 방어에 사용하는 무기임을 다시 증명했다. 따라서 공세에서는 쓸 일이 많지 않지만, 바흐무트 전투처럼 더 큰 물량으로 밀고 들어오는 러시아군을 막아야 하는 방어전에서는 여전히 기갑 차량을 원거리에서 제거하기 위해 필수적인 병기로 사용되고 있다.
미군이 재블린은 줬지만 운용 안내서도 제대로 안 줄 정도로 기술 지원을 안해서 전투효율이 낮다는 보고가 있다.# 다만 22년 7월 공개된 우크라이나 전차부대 지휘관의 인터뷰에 따르면 NLAW는 동계전투 시 추적장치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고, 자국산 Stugna-P는 로켓추진계에 고장이 생겨운용에 차질이 있었으나 재블린만은 그런 문제가 없었다고 극찬했다.#
7. 영상
T-72 전차를 향해 탑 어택 방식으로 발사한 영상[24] | 슬로우 모션으로 본 발사 장면 |
ISIS의 자폭 차량을 상대로 재블린을 쓰는 영상[25] |
8. 유사 체계
- 현궁 - 정확한 명칭은 현궁 대전차 유도탄이다. 대한민국 육군의 대전차 유도탄 플랫폼으로 개발된 체계다. 보병 휴대용을 기본으로 하고 장갑차 탑재형을 시작으로 이스라엘의 스파이크 대전차 미사일처럼 헬기 탑재형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플랫폼이다.[26]
- 01식 경대전차유도탄 - 일본판 재블린. 일본 육상자위대 보병 및 차량 탑재용으로 개발되었다. 용도는 재블린과 비슷하고 화력도 마찬가지이다.
9. 미디어
9.1. 게임
- 레이븐필드 - 'SCALPEL'으로 등장한다. 조준경을 통해 락온 과정을 거친 후에야 발사가 가능하며, 조준하는 동안에는 지형지물 등에 의해 목표가 가려지면 락온이 풀린다. 헬리콥터는 한 방, 전차는 두 방에 터진다. 전투기에도 공격은 가능하지만, 전투기의 속도와 회피기동이 겹치면 명중시키기가 쉽지 않다. 조준경으로 땅을 클릭하면 그 지점을 공격하는 것도 가능하다.
- 메탈기어 솔리드 4 - 발사 후에 오른쪽 아날로그 스틱으로 유도가 가능하다. 그리고 무기 중 제일 무겁다. 그리고 리로드시 재장전을 안하고 새 걸 꺼낸다.
- 배틀필드 시리즈
- 배틀필드 3 - 초기에는 현실의 사기급의 성능과 명성이 무색할 정도로 쓰레기라 많은 욕을 먹었으나 계속된 상향으로 인해 현실의 명성을 되찾았다. 스팅어와 이글라가 항공 필드가 되는 것을 막고 있다면, 재블린은 기갑 필드가 되는 것을 막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 그러나 2012년 3월, 휴대용 대공 미사일이 엄청나게 하향당하면서 본의 아니게 대공 분야까지 담당하게 되었다. 안타깝게도 자체적으로 탑 어택 방식을 이용해 장비를 공격할 수 는 없고 아군의 레이저 지시기 - 소플람이나 전차의 CITV 지원을 받아야만 탑 어택을 사용할 수 있다. 근데 공중 장비를 잡을 때는 뭐가 어떻든 간에 레이저 지시기의 도움이 필요해서 공중 장비를 공격할 때는 탑 어택을, 지상 장비를 공격 할 때는 다이렉트 방식을 사용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나온다. 싱글플레이 캠페인에도 등장하는데[27], 탑 어택이 아닌 다이렉트 어택으로 공격한다.[28]
- 배틀필드 4 - 전작과는 달리 자체적으로 탑어택을 할 수는 있으나 장비들의 장갑이 전반적으로 상향된 본편에서는 탑어택 한 방으로는 무력화도 못 얻고 심지어 조준 방식이 고증 오류인 레이저 유도로 바뀌었기 때문에 일단 미사일을 발사한 후 계속해서 조준유도를 해줘야 한다. 가장 좋은 장점은 원래는 대전차 미사일이기 때문에, 헬기나 전투기를 맞히기만 하면 골로 보낼 수 있다. 하지만 자체적으로 공중유도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정찰병과 함께 다니면서 정찰병이 락온을 해주고 발사해 잡으면 좋다.
- 배틀필드 2042 - 포털 모드에서 BF3 공병 보조 장비로 재등장했으나, 패치를 통해 2042 본편에도 공병 전용 장비로 추가되었다.
- 스틸비스트 - 냉각부터 조준까지 플레이어가 직접 해야한다. 사격까지 필요한 시간이 20초 이상이지만 레오파르트2E까지 포탑사출시키는 강력한 위력을 발휘한다.
- 아머드 워페어 - 르클레르 T40과 섀도우의 무장으로 등장. 몇 초간의 락온 이후 발사 가능하며 일단 락온만 끝나면 F&F 유도로 적이 숨건 뭘 하건 때려박힌다. 탑어택 특성 상 Object 490을 제외한 모든 차량의 머가리를 깨 부수는데 문제가 없으며 자동 유도 또한 이 게임의 셀프 호밍 ATGM 중 최고로 악랄하다. 락온만 되면 되므로 3인칭 모드에서 아군이 잡아준 적에 락온을 하거나 슬쩍 관측창만 내놓고[29] 락온을 건 다음 건물 뒤나 언덕 뒤에 있는 적을 때려버리는 악랄한 짓거리를 서슴지 않는다. 이걸 막는 방법은 고증처럼 급가속을 하거나 그냥 빨리 달려서 피하는 수 밖에 없다.
-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 - 나가요시 스바루의 하이 노멀 카드에서 스바루가 분해되어 있는 재블린을 들고 있다.
- 액트 오브 워 - 미군의 보병유닛 재블린 대전차 보병이 등장.
- 워록 - 앉아서만 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누워서도 사격 가능하다.
몸이 어떻게 된 거야?게임이야 무시해.트럭을 제외한 경차량과 장갑차 비젤은 한방이고, 비젤 외 다른 전차를 딸피만 남아서 유탄이나 RPG-7 스쳐 맞아도 터질 수준이 된다.[30] 재활용이 안 되는 발사관임에도 잔탄 수가 2발이라 2회 사격 가능하다. 단점은 유도 미사일이라 그런지 락온 시간이 10여초 정도로 꽤 긴데다 근처에 포격이 있거나 유탄이 터져서 지면이 조금이라도 흔들리면 취소되기 일수인 탓에 안전한 곳이 아니면 락온을 못한다는 점이다. 대신 직접 보지 않고 아군 시야에만 들어있으면 락온이 가능하므로 나무나 벽 너머에 숨어서 락온을 마친 다음 빼꼼샷으로 발사하는게 좋다. 락온만 하면 헬리콥터나 전투기 등에도 피해를 입힐 수는 있지만[31] 대미지가 높진 않다. 실험 영상.
- 이터널시티2 - 95등급 로우 계열 로켓런처 'FGM-148 Javelin'으로 등장한다.
- 컴뱃미션 블랙씨 - 미군의 제식 대전차 유도탄으로 출연하며, 상당히 고증과 비슷하면서도 강력한 모습을 보여준다. 빗나가는 일이 거의 없고 각도가 높아 APS도 거의 통하지 않는다. 무엇보다 열상 조준이라 일반 연막탄으로는 조준을 막을 수 없다. 무거워서 운용병을 막 굴리면 체력이 빠르게 고갈되고, 조준시간이 길다는 단점은 있지만, 위력 하나는 확실하다. 강력한 에이브럼스 SEP v2보다도 미군을 더더욱 무섭게 만들어주는 요소. 단, 보통 한 개 분대당 최대 3발의 장탄수를 가지며, 브래들리 기계화 소대 기준 한 개 소대당 9발이라는 비교적 많지 않은 미사일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미사일이 너무 비싸서 마구 보급되기는 힘들다는 점을 구현한 것이다.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모던 워페어 시리즈에서는 어떤 방식으로든 모두 등장한다. -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 - 수렁(The Bog) 미션에서 알 아사드의 T-72를 날려버리는 데 첫 등장한다. 삐이익 하는 조준 음성과 쏘자마자 공중으로 솟구쳐 적 전차의 상부를 직격하는 특유의 박력으로 AC-130 및 핵무기와 함께 큰 인상을 남겨준 무기였다. 이후 열(Heat) 미션에서도 등장하며, 올 인(All in) 미션에서도 숨겨져 있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 싱글플레이에서만 등장했던 전작과는 달리 멀티플레이 부무장으로도 등장한다. 싱글플레이에서는 T.F.141과 미 육군 레인저 대원들이 사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멀티플레이에서는 앞서 말했듯이 부무장으로 등장하는데 주로 적 항공기 격추에 사용되며 지상 조준을 할 경우 탑 어택으로 날아가 일종의 박격포 비슷한 개념으로 쓸 수 있다. 대공용으로 사용하면 스팅어에 비해서 장탄 수에 밀리지만 지상 공격도 가능한 재블린 쪽이 더 다재다능하다. 대미지가 AC-130의 105mm 포와 범위 및 효과가 같기 때문에 실내에서 사용하면 천장에 부딛힐 때 폭발하면서 어지간한 건물 내부의 적들
과 본인은 한 번에 순삭당한다. 한 때, 악명 높은 버그가 있었는데, 시전자가 재블린을 들고 있을 때 쏘는 즉시 미사일이 터지거나 죽을 때 터지는 버그였다. 죽을 때 터지는 것을 이용해 마라톤 퍽 달고 적들이 밀집한 장소로 달려드는 버그유저는 그야말로 민폐의 극치.자살특공대그리고 가끔가다 생성되는 버그방에 들어가면 재블린을 무한히 쏠 수 있는데, 공중에 아치형의 구름이 그려진다는 점에서 다른 무기보다 확연히 뽀대가 난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 - 전작과 마찬가지로 싱글플레이와 멀티플레이 둘 다 사용이 가능하다. 멀티플레이에서는 탑 어택의 낙하 속도가 조금 더 빨라진 것을 제외하면 전작과 비슷한 성능을 지녔다. 다만 본 게임에서는 킬스트릭으로 불러들인 장비를 파괴할 경우 스트릭 포인트가 지급되는 방식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더 많은 장탄 수를 지닌 스팅어가 더 자주 쓰인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 JOKR라는 이름으로 멀티플레이어에서 부무장으로 사용 가능하여, 역시나 탈것이나 지면에 락온해 발사 가능하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II - 전작과 동일한 명칭으로 등장.
- 포트나이트 배틀로얄 -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에 매출 전액을 기부하던 시점에서 업데이트로 등장했다. 재블린 이름을 사용한 건 아니고 "앤빌 로켓 런처"라는 이름으로 추가 되었으나 4배율 적외선 락온 기능이 탑재된 조준경이나 미사일이 수직 상승해 아래로 내리꽂히고, 특히나 대전차용도로 막강한 위력을 구사하기에 사실상 재블린을 모티브로 한 것은 확실시된다.
- America's Army 2 - 락온 시간과 장전 시간을 제외하면 게임 속에서 나온 재블린 중에서 가장 현실적인 재블린이라고 볼 수 있다. 매우 현실적이게도 발사 후 발생하는 후폭풍, CLU와 재블린 튜브 간의 연결 불량이 낮은 확률로 발생하는 것도 구현하였으며 플레이어가 탑 어택 모드와 다이렉트 어택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1~2km 이상 떨어진 적 전차나 장갑차를 100%나 다름없는 확률로 신속하게 단 한 번의 공격만으로도 격파시킬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며 이는 America's Army 2에선 어떠한 대전차 무기도 흉내조차 내지 못할 성능이다. 다만 단점이라고 한다면 장전되어 있는 재블린은 등에 매거나 뛸 수 없으며 뛰거나 등에 매려면 재블린 튜브와 CLU를 서로 분리해야 한다. 또한 락온을 해야지만 발사할 수 있는지라 빠른 대응이 어려우며 차량 외 목표에는 발사할 수 없는 점도 있는 데다가 무거운 중량 때문에 이동속도가 매우 느려지고 엎드려서 쏘지 못하며 앉아서 쏘지 않을 경우 흔들림이 커져서 제대로 사용하기 힘들다.
26분 39초에서부터 27분 52초까지 |
- ARMA 시리즈
- ARMA
- ARMA 2 - 한번 소지하면 최대 2~3발 정돈 들고다닐 수 있다. 현실처럼 탄이 위로 올라가는데,
승천이상하게도 락온이 필요없다. 말 그대로 그냥 들고 사격이 가능하다. 다만, 이렇게 되면 미사일 하나 날리는 꼴이 된다.방생?포켓재블린목표물을 줌 인으로 바라보고 쏘면 된다. 그러면, 알아서 찾아가 전차의 윗뚜껑을 따준다. 뭣도 모르고 건물 안에서 쏘다가 팀킬하는 경우까지 생긴다. 이렇게 되면 욕은 욕대로 먹는다. 잘못하다 킥은 물론 밴은 덤으로 먹고간다. 일반 대전차 미사일보다 까다롭지만 그것대로 이득은 있다. 우선 범위가 상판노리고 쏘는 것이라 주변에 있는 보병 또는 다른 탑승물도 데미지를 줄 수 있다. 일반 대전차 미사일은 맞은 곳을 기준으로 180˚정도에 스플래시 데미지를 입는데에 비해 이쪽은 360˚이다. 상판에 대한 데미지가 크기에 일반 대전차 미사일로 2발 내지 3발로 터지던 전차들이 1발 내지 2발로 줄어든다. 그리고 그만큼의 페널티가 일단 여러발 못 갖고 다니는 것과 앉아서 쏘기에 대한 노출, 그리고 엄호가 가장 필요하다. 왜냐하면, 재블린을 3발까지 들고 다니려면 소총과 권총을 모두 장비하지 못한 채 다녀야 해서 개인 자위용 무기가 없다.
- Tower Defense X
작중 타워인 미사일 트루퍼가 상단 업그레이드를 최대로 하면 장비하는 무기로서 등장한다. 3초간의 조준 시간이 추가되는 패널티가 생기지만 데미지와 사거리가 크게 늘어나서 매우 쓸만하다.
9.2. 영화
- 우주전쟁(2005) - 방어막이 사라진 외계인의 트라이포드를 AT4 무반동포, FGM-172 SRAW와 함께 격파하는 것으로 등장한다. 발사한 뒤에 발사관과 광학장치를 분리하여 광학장치만 가져가는 고증을 보여준다. 왓챠 자막으로는 박격포(...)라고 오역했다.
- 클로버필드 미군 병사 몇 명이 들고 나오는 것으로 등장한다.
- 화이트 하우스 다운 - 테러리스트들이 델타포스의 헬기를 격추할 때 사용했다.
- 배트맨 대 슈퍼맨: 저스티스의 시작 - 아나톨리 크냐제프가 배트카를 추격할 때 들고 나오는 것으로 등장한다.
10. 관련 문서
11. 둘러보기
현대 영국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현대의 영국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L85A2, L85A3, L22A2, C7, C7A1, L119A1, L119A2, SCAR-H, M6A2 UCIW, MCX, L403A1 | |||
지정사수소총 | L86A2, L2A1, L129A1 | |||||
저격소총 | L115A1, L115A3, L118A1, L118A2, L121A1, AWC, AX50, L135A1 LRPAS | |||||
기관단총 | L2A3, L34A1, L80A1, L90A1, L91A1, L92A1 | |||||
산탄총 | L128A1, L74A1 | |||||
권총 | L9A1, L105A1, L106A1, L107A1, L117A1, L131A1, L137A1, P230, P11 | |||||
지원화기 | 기관총 | L108A1, L108A3, L110A2, L7A2, L111A1, M3M, Mk.44 | ||||
유탄발사기 | L17A1, L123A2 UGL, L134A1 | |||||
대전차화기 | L4, L6, LAW 80, ILAW (L2A1), MBT LAW, FGM-148, L2A1 ASM | |||||
박격포 | M6-895, L16A2 | |||||
맨패즈 | Javelin, Starstreak HVM | |||||
비치사성무기 | ARWEN 37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영국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 프랑스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1f2257> 현대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1f2257> 소총 | <colbgcolor=#1f2257> 돌격소총 | FAMAS F1/G2, G36(E/C/K/V), SG551, M16A2, HK416F, HK416(A5/D14.5RS), SCAR-L, CZ-806 브렌 2, SIG MCX | ||
지정사수소총 | G3SG/1, MSG90, HK417, SCAR-H PR | ||||
저격소총 | FR-F2, PGM 에카트 II, 울티마 라시오, TRG-42, AW, AWSM | ||||
기관단총 | MAT-49, MP5(A5/F), MP5SD6, UMP9, MP7A1, FN P90 | ||||
산탄총 | 베넬리 M3 슈퍼 90, 모스버그 500, 발트로 PM5, FN TPS, Sensied S&F K1, SPAS-12, Kel-Tec KSG, 베넬리 슈퍼노바 | ||||
권총 | MAC 50, PA-MAS G1, MR 73, PAP F1, 글록 17, USP.SD, FN Five-seveN, M686, P11 | ||||
지원화기 | 기관총 | AA-52, FN MAG, FN 미니미, FN EVOLYS, M2HB, M134 | |||
유탄발사기 | AG36, M203, APAV 40 | ||||
대전차화기 | APILAS, AT4 CS, MILAN, ERYX, FGM-148 재블린, LRAC F1, 아케론 MP | ||||
박격포 | LGI Mle F1, LLR 81mm, MO 120 RT | ||||
맨패즈 | 미스트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 아일랜드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 ||||
<colbgcolor=#169B62> 개 인 화 기 | <colbgcolor=#169B62> '''[[소총| 소총 ]]''' | <colbgcolor=#169B62> '''[[돌격소총| 돌격소총 ]]''' | AUG Mod 14 | FN FAL | |
'''[[저격소총| 저격소총 ]]''' | AI 92 | AWM | |||
권총 | USP | 브라우닝 하이파워R | |||
수류탄 | M72 | |||
지 원 화 기 | '''[[기관총| 기관총 ]]''' |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 FN MAG | |
'''[[기관총#s-5.1| 중기관총 ]]''' | M2HB 브라우닝 | |||
유탄발사기 | M203 | GMG | |||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 '''[[무반동총| 무반동포 ]]''' | AT4 SRAAW | 칼 구스타프 84mm AAW | Pvpj 1110R | ||
미사일 | FGM-148 재블린 | 밀란 F2R | |||
맨패즈 | RBS 70 | |||
박격포 | 벡터 M1 | 호치키스-브란트 LLR | RUAG M87 | |||
견인포 | L119 LG | L118 LG | |||
'''[[특수부대| 특 ]]''' 수 전 화 기 | '''[[소총| 소총 ]]''' | '''[[돌격소총| 돌격소총 ]]''' | HK416A5 | AUG (A2/A3) | |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 HK417 | |||
'''[[저격소총| 저격소총 ]]''' | AW50 | |||
기관단총 | P90 | MP5(A3/F) | MP5SD6 | MP5K | |||
산탄총 | 베넬리 M4 | 베넬리 M3T | SPAS-12 | 레밍턴 M870 | |||
권총 | P228 | P226 | |||
기관총 | 미니미 Para | |||
의장용 화기 | 오드넌스 QF 25 파운더 예포 | |||
※ 윗첨자R: 퇴역 화기 | ||||
※둘러보기 : 아일랜드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현대 체코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체코 공화국군 (1993~현재) Armáda České Republiky | |||
<colbgcolor=#7CB9E8> | <colbgcolor=#7CB9E8> | 스파이크-LR | FGM-148 재블린 (특수부대용) | ||
탑재형 | 기갑차량 스파이크-LR | 9M113 콘쿠르스R | |||
공대지 | 회전익기 AGM-114K 헬파이어 II | 9M17P 플랑가R고정익기 AGM-65G 매버릭 | Kh-25(ML/MR)R | Kh-23MR | |||
유도로켓 | 공대지 | APKWS (70mm, AH-1Z) | ||
OTR-23 오카R | ||||
RBS 70 NG | ||||
단거리 | PLRK S-10MR | |||
중거리 | {SPYDER-MR} | PLRK 2K12 M2 쿠프R | |||
장거리 | S-200VE 베가-ER | S-75(M) 드비나R | |||
단거리 | {AIM-9X 블록 II} · AIM-9L 사이드와인더 | R-73R | R-60(T/M)R | |||
중장거리 | AIM-120({C-8}/C-7/C-5) AMRAAM | R-27R1R | R-24(R/T)R | |||
Kh-25MPR | ||||
유도폭탄 | {GBU-53/B 스톰브레이커} | {GBU-31 JDAM} | GBU-(12/16) 페이브웨이 II | |||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무장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
※둘러보기 : 체코·슬로바키아의 운용장비 | 유도무기 | }}}}}}}}} |
현대 루마니아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루마니아군 (1991~현재) Forțele Armate Române | ||
<colbgcolor=#002B7F><colcolor=#FFF> | <colbgcolor=#002B7F><colcolor=#FFF> | 스파이크-LR | FGM-148F 재블린 (특수부대용) | 9K111 파곳 | |
탑재형 | 기갑차량 스파이크-(LR/LR2) | 9K113 콘쿠르스 | 9K11 말륫카R | ||
공대지 | 회전익기 스파이크-ER고정익기 AGM-65K 매버릭 | Kh-23R | ||
유도로켓 | ''' 지대지 ''' | M30A1 · M31A1 GMLRS (227mm, HIMARS) | |
MGM-164 ATACMS 2000 | |||
함대함 | {NSM} | P-22 · P-21 · P-15(M) 테르밋 | ||
지대함 | {NSM} | P-22 · P-21 (4K51 루베즈) | ||
어뢰 | 경어뢰 | 스팅레이 Mod 0 | |
중어뢰 | TEST-71 | 53-65K | ||
신궁 | CA-94(M) | |||
단거리 | TABC-79 CA-95 | 9K33M3 오사-AKMR | ||
중거리 | MIM-23P I-호크 XXI | 2K12 쿠프R | S-125M 페초라R | ||
장거리 | MIM-104E PAC-2 GEM-T | MIM-104F PAC-3 MSE | ||
''' CIWS ''' | CA-94 (즈보룰급) | ||
단거리 | AIM-9(X/M) 사이드와인더 | 파이썬-3R | R.550 매직 IIR | R-73ER | R-60MR | R-13MR | ||
''' 중장거리 ''' | AIM-120C-5 AMRAAM | R-27RR | R-23RR | ||
유도폭탄 | GBU-38 JDAM | GBU-12 페이브웨이 II | IAI 그리핀 | 엘빗 오퍼(Opher) | MAM-L | ||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
{{{#!wiki style="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 |
현대 불가리아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불가리아군 (1952~현재) Българска Армия | |||
<colbgcolor=#009B75> | <colbgcolor=#009B75> | 9K115 메티스 | 9K113 콘쿠르스 | 9K111 파곳 | 9K11 말륫카R | ||
탑재형 | 기갑차량 {FGM-148 재블린 (M1296)} | 3M6 쉬멜R | |||
포발사 | 9K117 바스티온 | |||
공대지 | 고정익기 Kh-29R | Kh-23R | |||
OTR-21 토치카 | OTR-23 오카R | R-17 엘브루스R | ||||
함대함 | {RBS 15 Mk.3} | MM38 블록 1 엑조세 | P-15(MC/M/U) 테르밋 | |||
지대함 | P-15M (4K51 루즈베) | |||
어뢰 | 경어뢰 | {Mk.46 Mod 5} | ||
중어뢰 | L5 Mod 4 | SET-40U | 53-65KR | 53-56VAR | |||
9K38 이글라 | 9K310 이글라-1 | 9K34 스트렐라-3R | 9K32 스트렐라-2R | ||||
단거리 | 9K35 스트렐라-10M | 9K33M2 오사-AK | 9K31 스트렐라-1MR | |||
중거리 | {IRIS-T SLM} | S-125 네바 | 2K12M1 쿠프-M1 | 2K11 크루그R | |||
장거리 | S-300PMU | S-200VE 베가-E | S-75 드비나R | |||
'''[[근접 방어 무기 체계| CIWS ]]''' | 4K33M 오사-MA | 9K32 스트렐라-2 | |||
개함방공 | {VL-MICA EM} | RIM-7P 시스패로우 | |||
단거리 | R-73 | R-60R | R-3SR | |||
중장거리 | {AIM-120C-7 AMRAAM} | R-27R | R-23RR | |||
유도폭탄 | {GBU-38 JDAM} | {GBU-54 LJDAM} | {GBU-49 인핸스드 페이브웨이} | {GBU-39 SDB} | |||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또는 대표 발사 플랫폼 | ||||
※둘러보기 : 불가리아군의 운용장비 | 유도무기 | }}}}}}}}} |
현대 크로아티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크로아티아 공화국군 (1991~현재) Oružane snage Republike Hrvatske | |||
<colbgcolor=#FF0000> 개 인 화 기 | <colbgcolor=#FF0000> '''[[소총| 소총 ]]''' | <colbgcolor=#FF0000> '''[[돌격소총| 돌격소총 ]]''' | VHS-2 | VHS | 자스타바 M70 | FN FAL · FALOR | |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 HK417 | 자스타바 M76R | |||
'''[[저격소총| 저격소총 ]]''' | TRG-42 | RT-20 | MACS M3 | |||
기관단총 | 아르마 ERO | MAC-10R | Vz.61R | 쇼카치 기관단총R | |||
권총 | HS2000 | |||
지 원 화 기 | '''[[기관총| 기관총 ]]''' | '''[[기관총#s-5.2| 경기관총 ]]''' | M249 | 울티맥스 100 | |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 MG4X | FN MAG | HK21 | 자스타바 M84R | |||
'''[[기관총#s-5.1| 중기관총 ]]''' | M2 브라우닝 | |||
유탄발사기 | Mk.19 Mod 3 | RBG-6 | VHS BG | |||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 '''[[무반동총| 무반동포 ]]''' | AT4 | ||
로켓 | RGW90 | M79 오사 | M80 졸야R | RPG-22R | RPG-7R | |||
미사일 | 참고: 틀:현대전/크로아티아 유도무기 | |||
맨패즈 | ||||
박격포 | M57 | M96 | M75 | |||
'''[[특수부대| 특 ]]''' 수 전 화 기 | '''[[소총| 소총 ]]''' | '''[[돌격소총| 돌격소총 ]]''' | HK416 | SCAR-L | M4 | G36 | F2000 | 자스타바 M85R | |
'''[[저격소총| 저격소총 ]]''' | M40A5 | 바렛 M82 | |||
기관단총 | MP7 | UMP9 | MP5SD3 | |||
권총 | XDM | |||
기관총 | 미니미 | |||
유탄발사기 | AG36 | |||
※ 윗첨자R: 퇴역 화기 ※ 윗첨자X: 연구/실험용 화기 | ||||
※둘러보기 : 크로아티아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현대 코소보 보안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word-break: keep-all" | 코소보 보안군 Forca e Sigurisë së Kosovës | Косовске Безбедносне Снаге | |||||
<colbgcolor=#244AA5> 개 인 화 기 | <colbgcolor=#244AA5> '''[[소총| 소총 ]]''' | <colbgcolor=#244AA5> '''[[돌격소총| 돌격소총 ]]''' | MPT-55 | MPT-76 | G36V | SIG M400 | M4A1 | 갈릴 | |||
'''[[저격소총| 지정사수 소총 ]]''' | SIG716 | |||||
'''[[저격소총| 저격소총 ]]''' | M24 SWS | M82 | M107 | M99 | |||||
권총 | 글록 17 | SIG M17 | Five-seveN | |||||
기관단총 | MP5 | |||||
지 원 화 기 | '''[[기관총| 기관총 ]]''' | '''[[기관총#s-5.2| 경기관총 ]]''' | M249 | |||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 PMT-76/57A | M240 | M60E6 | |||||
'''[[기관총#s-5.1| 중기관총 ]]''' | M2A1 브라우닝 | |||||
유탄발사기 | HK269 | Mk.19 | |||||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 '''[[대전차 로켓| 로켓 ]]''' | M72 LAW | ||||
미사일 | {FGM-148F 재블린} | OMTAS | |||||
박격포 | MKEK 코만도 | MKEK NT1 | M69 | M75 | |||||
의장용 화기 | 자스타바 M59/66 PAP | |||||
※ {중괄호}: 도입 예정 화기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코소보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 노르웨이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노르웨이군 (1945~현재) Forsvaret | ||
<colbgcolor=#BA0C2F><colcolor=#00205B> | <colbgcolor=#BA0C2F><colcolor=#00205B> | FGM-148 재블린 | ERYXR | |
탑재형 | 기갑차량 BGM-71D TOW-2 | SS.11R | ENTAC | ||
공대지 | 고정익기 AGM-12B 불펍R | ||
'''[[지능탄| 유도포탄 ]]''' | 지대지 | BONUS 155 (155mm, K-9 VIDAR) | |
공대지 (ALCM) | JSM | ||
함대함 | {3SM 티르빙} | NSM | 펭귄 Mk.1R | ||
공대함 | AGM-119 펭귄 Mk.3R | ||
어뢰 | 경어뢰 | 스팅레이 Mod 0 | Mk.46 Mod 2R | |
중어뢰 | DM2A3 제헥트 | Mk.37R | Tp 612R | T1 Mod 1R | ||
PPZR 피오룬 | FIM-92A 스팅어R | RBS 70R | |||
단거리 | NOMADS | ||
중거리 | NASAMS 3 | MIM-23C I-호크 · NOAHR | ||
장거리 | MIM-14B 나이키 허큘리스R | ||
''' CIWS ''' | 미스트랄 1 | ||
''' 개함방공 ''' | RIM-162C ESSM | RIM-7M 시스패로우R | ||
단거리 | AIM-9X 사이드와인더 | IRIS-T | AIM-9(L/J)R | ||
''' 중장거리 ''' | AIM-120(B/C-7) AMRAAM | ||
유도폭탄 | GBU-(31/38) JDAM | GBU-12 페이브웨이 II | ||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대표 발사 플랫폼 | |||
※둘러보기 : 노르웨이군의 운용장비 | 유도무기 | }}}}}}}}} |
현대 에스토니아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에스토니아 방위군 (1991~현재) Eesti Kaitsevägi | ||
<colbgcolor=#000><colcolor=#FFF> | <colbgcolor=#000><colcolor=#FFF> | FGM-148 재블린 | 스파이크-SR | 밀란 F2R | MAPATSR | |
탑재형 | 기갑차량 스파이크-LR2 | ||
유도로켓 | 지대지 | {M30A2 · M31A2 GMLRS} (227mm, HIMARS) | {XM403 · XM404 ER-GMLRS} (227mm) | |
배회폭탄 | ''' 지대지 ''' | {IAI 하롭} | |
{MGM-164 ATACMS 2000} | |||
'''[[대함 미사일| 대함 미사일 ]]''' | ''' 지대함 ''' | {블루 스피어} | |
미스트랄 M3 | PPZR 피오룬 | |||
중거리 | {IRIS-T SLM} | ||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
{{{#!wiki style="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 |
현대 리투아니아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리투아니아군 (1990~현재) Lietuvos Ginkluotosios Pajėgos | ||
<colbgcolor=#006A44><colcolor=#FFF> | <colbgcolor=#006A44><colcolor=#FFF> | FGM-148 재블린 | |
탑재형 | 기갑차량 스파이크-LR | ||
유도로켓 | 지대지 | {M30A2 · M31A2 GMLRS} (227mm, HIMARS) | {XM403 · XM404 ER-GMLRS} (227mm) | |
{MGM-164 ATACMS 2000} | |||
보병 RBS 70 Mk.1 | FIM-92 스팅어 | PPZR 그롬차량 FIM-92 스팅어 (AN/TWQ-1 어벤저) | |||
중거리 | NASAMS 3 | ||
''' CIWS ''' | 4K33 오사-MR (그리샤급) | ||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
{{{#!wiki style="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 |
현대의 조지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fffff,#191919> 현대의 조지아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ffffff,#191919> 소총 | <colbgcolor=#ffffff,#191919> 돌격소총 | AKM, AKMS, AK-74, AKS-74, AKS-74U, PM md.63, AK-74M, M4A1, M4A2, M4A3, G13, G3, HK33, SCAR | ||
지정사수소총 | DELTA-308, SVD, VSS, 갈라츠, SRS | ||||
저격소총 | PDShP-1, PDShP-2, 자스타바 M93, TRG-22, TRG-42, M24 SWS, B&T APR, Tac-50, M82, M95 | ||||
특수소총 | APS | ||||
기관단총 | MP5, MP5SD, MP5K, UMP45 | ||||
산탄총 | M4 | ||||
권총 | CZ75, SPP-1M, PSS, 제리코 941, SP-21, G17, G21, P226, P229, USP, FN Five-seveN | ||||
지원화기 | 기관총 | RPK-74, PKM, DShKM, NSV, Vz.59, 네게브, M240, M2HB, M134 | |||
유탄발사기 | UBGL-1, AG-40, GP-25, AGS-17, M203, MGL, STK 40 AGL | ||||
대전차화기 | RPGL-7D, RPG-7, PDM-1, SPG-9, RPO-A, RPG-18, RPG-22, RPG-26, 9K111, 9K115, 9K115 메티스-M, 9K113, FGM-148, AT4 | ||||
박격포 | GM-60, GNM-60, M6C-210, M57, GM-82, M69, 2B9, 2B14, GM-120, 2B11, M74, 솔탐 K6 | ||||
맨패즈 | 9K38, 그롬, 9K32, 9K34, FIM-9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조지아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 대만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현대의 대만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colbgcolor=white,#191919>57식 소총, T65, T65K2, T86, T91, T112, T68, XT97, M16A2, M4A1, Mk.18, G36C | |||
저격소총 | M24 SWS/T93K1, M82A1, M107A1, DSR-1, PSG1, SSG 2000, T108 | |||||
기관단총 | T77 기관단총, UZI, MP5A5/SWA5, FN P90, MPX | |||||
산탄총 | SPAS-12, 베넬리 M4 | |||||
권총 | T51K1, T75K1, G17, G19, G26, USP | |||||
지원화기 | 기관총 | 57식 기관총, T74 다목적 기관총, T75 분대 기관총, T90 중기관총, GAU-19 중기관총 | ||||
유탄발사기 | T85 유탄발사기, T91 40mm 자동유탄기관총, MGL Mk-1, MGL-140 | |||||
대전차화기 | 1식 66mm 대전차 로켓, APILAS, FGM-148 재블린, 홍준, BGM-71 TOW-2A/B, M136 | |||||
박격포 | T63 120mm 박격포, T75 60mm 박격포, T75 81mm 박격포 | |||||
맨패즈 | FIM-92 스팅어, 미스트랄 | |||||
의장 | M1 개런드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중화민국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의 인도네시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현대의 인도네시아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colbgcolor=#ff0000> 돌격소총 | SS1, SS2, SAR-21, AK-47, 56식 자동소총, Vz.58, AK-101, BM59, M16A1, M16A2, M16A4, M4A1, K2, 갈릴, G36C, FAMAS F1, AUG, SS552, G3, HK416 | ||
지정사수소총 | 갈라츠, MSG90, HK417 | ||||
저격소총 | M24, SPR-1, SPR-2, SPR-3, SSG 69, M93, PGM 헤카테 II, NTW-20, L96A1, AW, AWM, M82A1 | ||||
특수소총 | APS | ||||
기관단총 | PM1, PM1A1, PM2, K7, 마이크로 우지, Vz.61, P90, MP9, MP5, MP5SD, MP7A1, CZ 스콜피온 EVO 3, K1 | ||||
산탄총 | M3T, SPAS-12 | ||||
권총 | P1, P2, G2, HS2000, Mk.23, M1911A1, P226, 92SB, 92F, Five-seven, G17, G19, K5, PPK | ||||
지원화기 | <colbgcolor=#ffffff,#191919> 기관총 | 울티맥스 100, SM2, K3, SPM2, M60, M134D, SMB-QCB, DShKM, M2HB | |||
유탄발사기 | SPG3, AG36, M79, M203, SPG1, M32 | ||||
대전차화기 | RPG-7, M2CG, C90-CR (M3), M80 Zolja, NLAW, AT4, FGM-148, AT-13, PF-89, PF-98 | ||||
박격포 | W87, 81 KRH 71 Y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인도네시아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 호주 국방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folding [ 펼치기 · 감추기 ] | <colbgcolor=#ffdead,#513100> 현대의 호주 국방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ffdead,#513100> 소총 | <colbgcolor=#ffdead,#513100> 돌격소총 | Austeyr F88, F90 | |
지정사수소총 | SR-25, HK417 | |||
저격소총 | SR-98/AW50F | |||
권총 | Browning Hi-Power Mk.III, P320 X carry PRO | |||
지원화기 | 기관총 | M60, F89 Minimi/Maximi, MAG 58, M2HB QCB, M134 | ||
유탄발사기 | M203, Mk.19, Mk.47 | |||
수류탄 | M67 | |||
대전차화기 | L6, M72A6, L14A1, Carl Gustaf M3, FGM-148 | |||
박격포 | F2 | |||
맨패즈 | RBS 70 | |||
특수전 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M4A5, HK416, MCX Virtus | |
지정사수소총 | Mk.14 EBR | |||
저격소총 | Blaser R93 Tactical 2, AX-SR, M82, M107/M107A1 | |||
기관단총 | MP5 | |||
산탄총 | M870, M3A1 | |||
권총 | USP | |||
치장/의장/예비용 화기 | L1A1 SLR, M16A1, SMLE No. 1 Mk III, No. 5 Mk I | }}} |
현대 뉴질랜드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AEC4EE> 뉴질랜드군 방위군(1945~현재) New Zealand Defense Force | Te Ope Kātua Aotearoa | ||||
개 인 화 기 | <colbgcolor=#AEC4EE> 소 총 | <colbgcolor=#AEC4EE> 돌격소총 | F90, LMT MARS-L | ||
지정사수 소총 | LMT 308 LWS | ||||
산탄총 | M3 | ||||
권총 | G17 Gen 4 | ||||
냉병기 | 총검 | M7 | |||
지 원 화 기 | 기 관 총 | 경기관총 | C9 | ||
다목적 기관총 | 7.62 LSW, MAG 58 | ||||
중기관총 | M2HB-QCB | ||||
유탄발사기 | M203(A1/PI), GMG | ||||
대 전 차 화 기 | 대전차 로켓 | M72 LAW | |||
대전차 미사일 | FGM-148 | ||||
무반동포 | L4, M3 | ||||
맨패즈 | Mistral | ||||
박격포 | L16A2, M8, M6C-210 | ||||
견인포 | L119 | ||||
특 수 전 화 기 | 소 총 | 돌격소총 | M4A1 | ||
저격소총 | AW, M107A1, MRAD | ||||
기관단총 | MP5 | ||||
권총 | P226(AL) | }}} {{{#!wiki style="margin-top: -32px; margin-bottom: -9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뉴질랜드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현대 사우디아라비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현대의 사우디아라비아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G3, HK33E, G36, AUG A1, M16A1, M4A1, SCAR-H, F2000, AK-103, PM Md.63/65 | ||
저격소총 | PSG1, SSG 69, AWM, AWP, M93, M107, M107A1, RC-50 | ||||
기관단총 | MP5, P90 | ||||
권총 | 하이-파워, G17, P226 | ||||
지원화기 | 기관총 | MG3, MG4, FN MAG, FN 미니미, SS-77, M2HB | |||
유탄발사기 | M203, AGS-30 | ||||
대전차화기 | 현궁, NLAW, FGM-148, 9M133, C90-CR, RBS 56B, BGM-71 | ||||
박격포 | M224, 2R2M, MO-120-RT-6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사우디아라비아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의 요르단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007A3D> 현대의 요르단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007A3D> 소총 | <colbgcolor=#007A3D> 돌격소총 | M16A4, T86, M4A1, G36C, HK416 | ||
저격소총 | LR308, TRG-22, TRG-42, SSG 69, Tac-50, M82, M95 | ||||
기관단총 | MP5, MP7, UMP9 | ||||
산탄총 | M4 | ||||
권총 | 카라칼 시리즈, 바이퍼 JAWS, 브라우닝 하이파워, 베레타 92, G17, G19, P226, USP9 | ||||
지원화기 | 기관총 | FN MAG, M240, HK21A1, M60, M2HB | |||
유탄발사기 | M203, MGL, Mk.19 | ||||
대전차화기 | L4, RPG-26, RPG-27, RPG-32, 9M133, RGW-90, BGM-71, FGM-148 | ||||
박격포 | PPT89, WW-90, M29, M252, W-86 | ||||
맨패즈 | 9K338, 9K34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요르단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 카타르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8d1b3d> 카타르군(1971~현재)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القطرية | |||||
개인화기 | <colbgcolor=#8d1b3d> 권총 | M10, HK4, P226 | ||||
<colbgcolor=#8d1b3d> 기관단총 | L2A3, MP5A3 | |||||
소총 | 자동소총 | FAL, G3A3, M4 카빈, M16A1, CAR-15A1, AK-47, AKM, AK-12, SCAR-L, SCAR-H, 발멧 M62/76 | ||||
저격소총 | M700, M82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AG, HK21, 미니미 | |||
중기관총 | M2 브라우닝 | |||||
대전차화기 | 밀란, HOT, AT4CS, M2, FGM-148, 9K135 | |||||
맨패즈 | 미스트랄, 블로우파이프, FIM-92 | |||||
박격포 | MO-120 RT, L16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카타르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 리비아 보병장비 둘러보기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현대의 리비아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colbgcolor=white,#191919>56식 자동소총, F2000, M4A1, MPT-55, G3, FAL, AR70, M16A1 AK-103, G36 | |
저격소총 | SVD, M82, PSL | |||
산탄총 | M1014, M1200 | |||
기관단총 | MP5, M12, MAT-49, P90 | |||
권총 | 브라우닝 하이파워, 글록, 카라칼 권총, SAR-9 | |||
지원화기 | 기관총 | PKM, RPK, RPD, DShK, M240, FN 미니미,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 ||
<colbgcolor=#009E49> 대전차화기 | RPG-7, 칼 구스타프 M2 | |||
무반동총 | SPG-9, M40A1 | |||
대전차 미사일 | 밀란, FGM-148, 9M133 | |||
대공포 | ZU-23, ZPU-4 | |||
※둘러보기 : 리비아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현대의 바레인 국방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Bahrain Defence Force (1968~현재) قوة دفاع البحرين | |||
<colbgcolor=#c81025><colcolor=#fff> 소총 | <colbgcolor=#c81025> 자동소총 | G3, FAL, M16A2, M4 카빈 | ||
저격소총 | M82 | |||
기관총 | 경기관총 | MAG | ||
중기관총 |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 |||
기관단총 | MP5 | |||
권총 | 하이파워 | |||
대공 미사일 | FIM-92A, RBS 70 | |||
대전차 화기 | 무반동포 | BAT | ||
대전차 미사일 | BGM-71C, FGM-148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바레인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1] FGM-148F부터 도입된 대전차, 대구조물, 대인 용도의 탄두이다.[2]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반도체 제조사이며, 방산관련 사업 부문은 1997년을 기준으로 레이시온 사에게 매각된 상태이다.[3] 또 다른 운용처인 미 해병대에서는 SRAW/MPIM의 영향을 받아 2년이 늦은 1998년부터 시작되었다.[4] 이를 Soft Launch 방식, 혹은 2단 추진방식이라 하며 구현 방식은 조금씩 다르지만 대부분의 보병용 대전차, 지대공 미사일이 사용하는 방식이다.[5] 영어 위키백과에 의하면 600mm는 반응장갑을 제외한 상태의 관통력이고 순수한 장갑 관통력은 750mm 수준이라고 한다.[6] 이러한 특성을 갖는 화약을 둔감화약이라하며 대부분의 군용화약은 둔감화약이기도 하다.[7] 그러나 전차도 테러와의 전쟁 때문에 적용과 발전이 늦어져서 그렇지 전차도 이를 회피하고 요격할 수단은 획득한 상태다. 직접적으로 요격하는 하드킬 능동방어체계가 지금도 발전하고 있으며 아예 미사일의 표적 탐색 및 추적능력을 교란하는 소프트킬 능동방어체계는 최신전차라면 가지고 있어야 할 기본 소양이 되었기 때문이다.[8] 여전히 폭음이나 미약한 연기로 인한 호흡 곤란의 위험이 있긴 하지만 고막이 터진 채로 죽거나 후방의 아군을 다치게 하는 것 보다야...[9] 의외로 성능이 나쁘다고 생각하겠지만 애초에 탑 어택 방식은 주력 전차를 상대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방식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주력 전차들은 최고 속도가 그렇게 빠르지 않다. 흑표가 간신히 최고 속도 70km/h를 찍고 에이브람스도 67.7km/h가 최대다. 그리고 이 최고 속도도 포장 도로에서 엔진을 최대치로 돌려야 나오지, 비포장 도로나 야지에서 달릴 경우 저 속도의 반절에서 최대 2/3 수준밖에 끌어내지 못한다. 현재 대안으로는 순간가속을 이용한 회피기동만이 최선의 대응책으로 꼽히며, 이 때문에 AMX-56 르클레르는 32km/h까지 도달하는 순간가속시간이 6초 남짓이다. 다만 현대 전차 엔진들은 1500마력급이 아닌 2000마력급 출력을 자랑하기 때문에 이론 상으로는 최고속도 100km/h를 넘길 수 있다. 다만 엔진 수명 등의 여러 조건을 고려하여 리미터로 최고 속도를 제한하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에 여전히 70km/h를 넘기는 일은 드물다.[10] 그 중 3명은 의무병과 화력지원 관측병, 화력지원 무전병으로 보병대대 의무소대와 포병대대에서 파견된다.[11] 물론 보통은 화기분대 대전차조에는 칼 구스타프 무반동포를 지급하며 재블린은 M136 AT4와 마찬가지로 작전 지역에서 필요하다 싶을 때 불출해서 쓴다.[12] 차량화보병 또는 경기갑부대라고 할 수 있는 SCBT 소대 편제에선 재블린은 편제화기에 없다. 왜냐하면 화기분대가 5명으로 줄어서 GPMG조 2개와 분대장만 있기 때문이다. 다만 스트라이커 중대에 스트라이커 기동포 3량으로 구성된 직사화기 소대가 있고, 소총분대가 타고 다니는 스트라이커 장갑차에도 경량 GPMG 1정과 AT4같은 대전차로켓, 재블린 대전차 미사일을 임무에 따라 차량에 추가 적재해서 싣고 다니므로(즉 할 수만 있으면 다 들고 다닐 수 있다. 그럴 물량만 있다면) ICBT와는 대전차전의 방향이 다르다.[13] 물론 현궁은 차량운용을 기본으로 하고 한 번에 발사관을 2개씩 운용하며 대대 화기중대에 집중운용하고 있으므로 순간 화력집중은 국군이 더 낫다.[14] 이라크 같은 사막 국가에서는 후덥지근한 주변 환경과 높은 기온으로 인해 이보다 더 걸리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 그나마 '시커 모드'로 냉각했을 때는 얼마 안 걸린다고 하지만, 열상 모드'로 쏠 땐 30초가 걸린다. 실제로 이라크 전쟁 초기인 데베카 전투 당시, 그린베레의 태스크 포스 바이킹이 이 무기를 처음 써봐서 광학 화면 모드로 하면 얼마 안 걸릴 걸 계속 서멀 모드로 계속 조준하는 바람에 당장 이라크군의 T-55와 MT-LB의 궤도에 짓밟히게 생겼는데도 묵묵히 30초를 기다린 선례도 있다.'데베카 전투' 네이버 지식백과 리뷰[15] 하지만 공교롭게도 목숨이 왔다갔다하는 전장환경에서 이런 일은 상당히 많다. 자기 목숨이 위협받는 마당에 일단 가진 무기로 가장 위협적인 표적을 제거하고 나서 아니면 그때 다른 방법을 요청하면 되니까. 포클랜드 해전 당시에도 영국 해군은 아르헨티나 해군의 잠수함을 추적할 때, 표적 비슷한 것만 확인되면 잠수함인지 뭔지 확인하기 전에 폭뢰와 어뢰를 일단 쏘고 봤다. 결국 잠수함 사냥에는 실패했는데, 그때 뿌려댄 폭뢰와 어뢰만 약 200발 이상이었다.[16] 그렇지만 포클랜드 해전 당시의 폭뢰와 어뢰는 차라리 올바른 용도로 사용되기라도 했지, 재블린 정도 되는 비싼 물건을 대보병용으로 쓰는 건 상대가 미군이 준비하던 전면전 시의 상대국에 비하면 호구인 테러리스트인 것도 있지만 정말로 쇼미더머니의 미군이니까 가능한 만행이다. 3.5세대, 혹은 그 이상의 전차가 나온다 해도 격파가 가능한 비싼 대전차무기를 용도 이외의 목적으로 남용하는 건 다른 국가였다면 절대로 못 할 짓이며, 그 미군마저도 재정에 상당한 부담이 되고있다. 이런 경향은 보병 두세 명 잡으려고 110,000달러 이상을 허공에 날리는 헬파이어 미사일도 동일하다. 병사들의 목숨도 중요하지만 전쟁은 결국 돈싸움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가성비를 따질 수밖에 없다.[17] 사람 목숨은 미군 알보병이건 탈레반 무장 게릴라건 똑같이 1명이고 귀한 목숨이지만, 자살 폭탄 테러에 앞장서 지원하고 죽으면 그냥 버리고 다른 사람 밀어넣으며 인구수로 밀어붙이는 탈레반 게릴라와 달리 미국 군인은 해외 원정에서 전사후 유족에게 지불해야할 물질적 보상과 정치적 부담이 탈레반 1명 죽는 것에 비해 수만배는 넘는다. 이런 인성비를 가진 상대로 보병들을 갈아넣을 수밖에 없는 소규모 게릴라전을 장기적으로 벌이는 것은 미국에게도 가랑비에 옷 젖듯 물적, 정치적 피해가 누적되는 일이다. 문제는 이라크전 이후 미군이 치러온 전쟁은 총력전이나 국지전이 아닌 대부분 게릴라전이었고, 전투 한번에 과잉지출을 해서라도 파병 군인이 죽는 걸 피하자고 보는 전쟁교리의 결과가 이런 과잉화력을 가진 무기들이었다.[18] =고비용[19] TOW가 아무리 구식이어도 기본적으로 적 전차의 정면장갑을 뚫을 목적의 대전차 화기인 만큼 유사시에서의 펀치력은 인정할 만 하다. 더군다나 상대방이 비정규 민병대 따위이니 아무리 구식이라고 해도 이들을 잘만 때려잡을 수밖에 없다.[20] 직역하면 '고기동성 대러시아 시스템'이다.[21] 재블린을 든 키예프의 올가, 성 스팅어, 성 넵튠, T-90M 격파 기념으로 성 칼 구스타프 등.[22]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 올렉시 레즈니코프 국방장관도 4월 28일에 성 재블린 티셔츠를 선물로 받았다.[23] 공교롭게도 탈레반이 사용하는 자국의 RPG-7을 통해 미군을 괴롭힌 러시아가 우크라이나군이 사용하는 재블린을 통해 미국에게 괴롭힘을 당하고 있는 셈이다.[24] 거대한 폭발이 보이는데 재블린 폭발의 위력이 저 정도로 큰 것은 아니고 연료와 폭약 등이 가득 실린 상태로 보이며 실전에선 저렇게 큰 폭발이 일어나는 경우는 드물다. 해당 T-72의 엔진은 무려 5~60m나 날아갔고 포탑은 사출된 후 전차 옆에 떨어져 땅에 파묻혔다.[25] 29초에 발사한 밀란 대전차 미사일 유선 유도 미사일이 빗나갈 정도로 회피기동을 하는 차량을 800m도 안되는 거리에서 상단 공격으로 쏴서 맞혔다.[26] 단, 활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소리다.[27] 기요틴 작전 중 은행근처 재블린팀이 있는 곳이다.[28] 조준경에도 DIR이란 항목에 불이 들어와 있다.[29] 보통 차체를 언덕에 가리는 헐다운이 많이 사용되지만 이쪽은 포탑까지 숨기는 이른바 터렛다운으로 직사화기로는 제대로 공격 할 방법이 없다.[30] 보통 전차에 재블린을 먼저 쏜다음 재블린이 맞을 쯤에 RPG-7로 한 발 맞춰서 바로 터뜨리는 수법을 쓴다. 물론 로켓으로 맞추기 힘들 정도로 거리가 멀면 그냥 2발 다 발사한 다음 탄약 충전소로 달리는게 일반적이다.[31] 락온이 안 된다는 서술은 사실이 아니다. 워록의 재블린은 다이렉트 어택 기능이 없어서 락온을 안하면 발사를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