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9 10:23:48

S-300

세계의 중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777,#33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천궁 / 천궁-Ⅱ / L-SAM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나이키 / 호크 / 로워 / 패트리어트 / THAAD / GBI / 이지스 어쇼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S-25 / S-75 / 2K12 쿠프 / S-125 / 9K37 부크 / S-200 / S-300 / S-350 / S-400 / S-500 / A-135 / A-235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HQ-9 / HQ-12 / HQ-16 / HQ-22 / HQ-19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블러드하운드
SAMP/T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MEADS / IRIS-T (SLM/SLX)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03식 中SAM / N-SAM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애로우 / 다비즈 슬링 / SPYDER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톈궁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탈라스 대공방어시스템 / 바바르-373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아카시 / 바락 8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시페르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번개 미사일(번개-5(KN-06) ) / 별찌 미사일(별찌-1-2)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움콘토-LR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0.4px"
<colbgcolor=#000080><colcolor=#fff> 단거리 SCUD (R-17 엘브루스) · 9K720 이스칸데르 · 화성-11가[?]
준중거리 3M22 지르콘CM(1,000km)
중거리 오레슈니크
대륙간 R-36(아방가르드) · UR-100N · 토폴 · 토폴-M(11,000km) · RS-28 사르마트(18,000km) · 9M730 부레베스트닉CM(무제한)
지대공 2K22 퉁구스카 · 9K33 오사 · 9K35 스트렐라-10 · 9K330 토르 · 9K37 부크 · 96K6 판치르-S1 · S-200 · S-300 · S-350 · S-400 · S-500 · A-135 · A-235
잠대지 RSM-56 불라바
공대지·공대함 Kh-22 부랴 · Kh-25 · Kh-29 · Kh-31 · 3M-14E 칼리브르-NK · Kh-35 · Kh-47M2 킨잘 · Kh-59 · Kh-61
공대공 R-23 · R-24 · R-27 · R-33 · R-37 · R-60 · R-73 · R-77
어뢰·수중드론 포세이돈
[?]: 러시아측에서는 부인함
}}}}}}}}}}}} ||
С-300 «Фаворит»
파일:russian-s300-s-300-missile-SAM-anti-aircraft.jpg
<colbgcolor=#c1c1c1><colcolor=black> S-300V형
종류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기획 1967
설계 NPO Almaz (총괄 설계)
NIIP (레이더 설계)
MKB Fakel (S-300P 미사일 설계)
NPO Novator (S-300V 미사일 설계)
MNIIRE Altair (해군형 설계)
제조 MZiK
운용 기간 1978 ~
파생형 S-300P
S-300PMU-1/2
S-300F
S-300FM
S-300V
S-300VM
S-300V4
S-400

1. 개요2. S-300P
2.1. 제원2.2. S-300P의 발전2.3. 미사일2.4. 레이더
3. S-300V4. 실전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s-300-pmu.jpg

S-300 "Favorit"
러시아군의 지대공 미사일이다.

소련은 S-125(SA-3), S-75(SA-2) 등으로 이루어진 장거리 방공미사일들을 대체 수요가 생김에 따라 1960년대 후부터 신형 방공미사일을 개발하기 시작한다. S-300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 방공미사일은 최초 육군 방공부대와 방공군[1] 모두에 배치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성능상 방공군의 요구사항과 육군의 요구사항이 각각 달랐고 이를 한 시스템 안에서 구현하면 시스템의 가격과 복잡성이 지나치게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므로,[2] 결국 소련은 S-300 신형 방공미사일 시스템을 두 종류로 나누어서 개발하기로 결정한다.

방공군용은 S-300P,[3] 육군방공부대용은 S-300V[4]로 나누어진다. 양자의 개발이 분리되면서 체계 개발도 서로 다른 개발국에서 진행이 되었는데, S-300P는 알마즈(Almaz) 개발국, S-300V는 안톄이(Antey) 개발국에서 개발이 진행되었다. 결과적으로 이 두 미사일시스템은 기술적으로 거의 공통점이 없는 완전히 별개의 미사일이 되었다.

다만 최초 소요제기 과정에서 제안된 '보편 대공 및 미사일 방어 체계'라는 개념은 1960-70년대 당시에는 대단히 획기적인 사상이었고 소련은 이를 포기하진 않고 개념 연구를 수행하긴 한다. 이 개념은 S-400에서 상당 부분 실현되었고, S-500에서 완전히 실현되어 경제적 여건만 허용한다면 방공 체계의 단선화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크게 S-300P 계열과 S-300V 계열로 나누어진다.
미사일 종류 사거리 비고
5V55K/KD 47 km S-300F (SA-N-6)/해상형/S-300V
5V55R/RM 90 km S-300F (SA-N-6) /해상형, 키로프급 1~3번함, 슬라바급, 카라급/S-300PM(SA-10B)
5V55U 150 km S-300F (SA-N-6)/해상형, 키로프급 1~3번함, 슬라바급, 카라급/S-300PMU(SA-10C)
9M82 100 km S-300V
9M83 75 km S-300V
9M83ME 200 km S-300VM

2. S-300P

NATO 코드: SA-10 'Grumble'.[5]
파일:S-300-2.jpg

2.1. 제원

5V55K 5V55R/RM 5V55U 48N6E 48N6E2
배치년도 1978 1984 1992
사정거리 47km 90km 150km 195km
최대속도 1700m/s 2000m/s
길이 7.0m 7.5m
직경 450mm 500mm
중량 총중량 1450kg 1470kg 1780kg 1800kg
탄두중량 100kg 133kg 150kg
유도방식 지령유도식 반능동유도식 TVM

2.2. S-300P의 발전

S-300P의 5V55계열 미사일은 본래 (미국의 패트리어트 미사일에 적용된 것과 같은) TVM(Track via Missile) 유도방식을 채용할 예정이었으나, 1970년대 소련의 기술로 TVM 유도시스템을 탑재한 미사일을 저고도로 침투하는 표적에 유도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S-300P는 점증하는 미국 폭격기의 저공침투능력[6]에 대응할 수 있어야 했으므로 결국 TVM 유도방식의 채용은 미뤄졌으며 1978년 5V55K 미사일이 제식화될 당시에는 지령유도시스템을 탑재했다.[7]

최초 S-300P는 방공군의 요구, 즉 고정된 주요 전략표적[8]를 미국의 우세한 폭격기 세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었으므로 이동성은 그렇게 중시되지 않았으며, 레이더 등 포대 주요 구성요소를 트레일러로 견인하는 형태로 운용되었다. 이는 S-300P와 그 개량형 S-300PT까지 이어진다. 한편 저고도 침투에 대응하기 위해 S-300P의 화기관제레이더 및 저고도 탐지 레이더[9]는 최대 38미터 높이의 마스트 위에 설치할 수 있었다.

파일:attachment/S-300/a1.jpg

40V6M 마스트 위에 설치된 S-300P의 30N6[10] 화기관제레이더.

그러나 80년대부터 미국의 SEAD(적방공망제압) 능력이 발달함에 따라, 국가방공군의 방공시스템도 생존성 향상을 위해 이동성을 중시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1982년 모든 방공망 구성요소를 MAZ-7910 대형트럭 위에 올려버린 개량형이 등장했고, 이를 S-300PS라고 부른다.

1991년에는 S-300PM형이 등장했는데, 이는 기존 S-300P 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를 전면적으로 개량한 최초의 대규모 개량형이다. 이 버전에서 비로소 TVM 유도방식을 채용한 새로운 48N6계열의 미사일이 등장하였다.

S-300PM의 수출형은 S-300PMU1이라고 불리며, 중화인민공화국,베트남 등의 국가에 수출되었다.[11] 이 중 중국은 라이센스 생산을 허가받아 HQ-9이란 이름으로 운용중. 이란의 경우에는 구매계약 체결은 했으나 대이란 제재 및 여러가지 사정으로 사실상 계약이 파기된 것으로 보인다.대신 이란은 2019년 자체 개발한 바바르-373을 공개했다. #

S-300PM은 이후 S-300PMU(수출형은 S-300PMU2) 및 S-400으로 개량되어서 현재에 이른다. S-300PMU 에서는 새로운 소형 능동유도미사일인 9M96계열 미사일이 등장했고 이는 S-400에서 본격적으로 배치되었다.

현재의 S-300P계열 시스템은 준수한 MAZ-7910차체와 시스템 자체의 빠른 배치능력을 이용한 기동성, 무선 데이터링크를 이용한 뛰어난 분산가능성, 다종의 레이더가 다수의 포대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신뢰성과 생존성을 갖춘 강력한 방공시스템이다.

2010년 10월 10일 있었던 북한군의 퍼레이드에서 S-300P 계열 또는 중국산 HQ-9으로 추정되는 미사일 KN-06[12]이 등장하여 여러 밀리터리 커뮤니티의 열띤 논쟁거리가 되었다. 만약 북한군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S-300P 계열 방공시스템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면 유사시의 북한의 고고도 방공망은 상당히 위협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방공망 제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전쟁 초기 공군의 지원에도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 당초 시험용으로 실차량 도입도 검토했으나 # S-300PMU와 S-400의 기술을 도입하여 이를 기반으로 천궁을 개발하였다. 독일에서 수입한 패트리어트 PAC-3(Conf.2), 그리고 새로 개발하는 천궁까지 추가되면 방공망의 강화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파일:external/bemil.chosun.com/20100421182535.jpg

러시아 65주년 군사 퍼레이드에 참가하려는 중 진창(혹은 늪)에 빠저서 기동불능 상태에 빠졌다. 그런데 러시아는 S-300을 세일즈할 때 포인트 중 하나가 미사일을 싣는 8X8 차량의 우수한 험지 기동력이었다는 것이다. 물론 이건 러시아의 도로 상황이 영 좋지 않은 걸 감안해야 할 필요가 있다. 사진에서 눈이 쌓인 걸로 봐서 라스푸티차 즈음으로 여겨지는데, 이 시기는 전차도 제대로 다니기 힘들만큼 도로가 개판이 되어버리는 때기 때문이다.

2018년 10월 시리아군에 러시아가 8대를 무상으로 제공했다. 하지만 2019년 1월에 있던 이스라엘군의 홈스 공습에 대응하지 못해 러시아 판치르-S1, 중국제 Jy-27 레이더 시스템이 파괴당했다.

2021년 9월 29일 이라크에서 러시아에서 S-300 대공 방어 시스템 구매를 고려하고 있다고 한다. #

2.3. 미사일

S-300P계열의 미사일은 크게 세 종류로 나누어지는데 각각 5V55계열, 48N6계열, 9M96계열이다.

5V55계열은 최초로 등장한 타입으로 지령유도 및 반능동 레이더 유도를 사용한다.[13] 핵탄두를 탑재한 타입이 존재한다. (5V55S, 5V55V) 사거리는 5V55K형이 47킬로미터, 개량형 5V55KD 이후의 타입은 75킬로미터이다.

S-300PM형부터 등장한 48N6계열은 최초로 TVM 유도를 실현한 미사일이다. 외형적으로는 5V55미사일의 에어프레임을 거의 답습했으나 로켓모터의 개량과 유도 알고리즘의 향상으로 사거리가 상당히 늘어났다. (48N6: 150km, 48N6M : 200km, 48N6DM: 250km, 40N6 : 400km)[14]

9M96계열 미사일은 S-300PMU2의 수출 전시장에서 최초로 등장하였고 S-400과 함께 본격 배치되기 시작했다. 이 미사일은 기존 S-300P용 미사일과는 매우 동떨어진 존재로서, 크기가 매우 작은 것이 특징이다. 기존 5V55/48N6계열 미사일 한 발을 탑재할 자리에 4발을 탑재할 수 있다. 9M96계열 미사일은 액티브 레이더 시커를 탑재하여 이 미사일을 사용할 경우 화기관제레이더는 기존 미사일보다 훨씬 적은 부담으로 다수의 표적과 교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측추력모터를 탑재하여 매우 강력한 자세제어능력을 갖고 있으며, 측추력모터와 정밀 액티브 레이더 시커의 조합으로 이 미사일은 Hit-to-Kill[15] 요격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런 각종 특징은 여러 모로 보아 패트리어트의 PAC-3 ERINT 미사일과 비견된다.) 9M96 미사일에 사용된 몇 가지 기술은 한국의 KM-SAM(천궁) 개발에도 원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9M96계열 미사일은 저고도 침투 하는 전투기나 순항미사일과 같은 고기동목표를 요격하기 위한 미사일로 소형 고속표적에 대한 요격능력이 높고 즉응성과 기동성이 뛰어나다.

사거리는 9M96E가 40km, 9M96E2가 120km이다.[16]

또한 지대지 기능이 존재해서. 지대지미사일로도 운용이 가능하다.

2.4. 레이더

이름(나토명) 종류 밴드 탐색/추적 범위
MR-750 (Top Steer) 목표 포착 레이더 D/E band 300 km
(Top Pair) 목표 포착 레이더 C/D band 200 km
3R41 볼나(Top Dome) 화기 관제 레이더[17] I/J band 100 km
5N63(Flap Lid A) 화기 관제 레이더[18] I/J band 300 km
30N6(Flap Lid C) 화기 관제 레이더[19] I/J band 300 km

S-300과 비견되는 미국의 패트리어트가 사실상 MPQ-53 레이더 하나에 모든 기능을 의존하는 것과 달리, S-300P 시스템은 사용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레이더를 조합하고 있다.

3. S-300V

NATO 코드: SA-12A/B 'Gladiator'/'Giant'[20][21]
S-300V는 S-300P와는 별개의 시스템으로서, 육군 야전방공부대의 요구사항에 맞춰서 니에미가 개발한 체계이다. S-300V는 S-300P에 비해서 훨씬 기술적으로 어려운 능력이 요구되었기 때문에, S-300P에 비해 개발이 지연되었다. 최초의 S-300V는 (S-300P 보다 5년 늦게) 1983년에야 배치되었다.

1970년대말~1980년대초 소련의 육군야전방공부대는 다양한 위협에 직면해 있었는데, 소련의 전선 사령부와 물자집적소, 대규모 전투근무지원부대 및 야전항공기지는 점증하는 미국의 중거리 공격 전력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었다. 미국은 랜스 단거리 핵탄도미사일, 퍼싱 1/2 중거리 핵탄도미사일, FB-111(에 탑재된 SRAM), 토마호크 GLCM 등을 배치해 소련 육군의 작전술급 목표를 위협했다.[22] S-300V는 이러한 위협에 대응해야 했으며 S-300P와 달리 처음부터 항공기 요격능력에 더하여 강력한 탄도탄 방어능력을 갖추도록 설계되었다.

이에 따라 S-300V는 항공기/순항미사일/단거리 탄도탄 요격용의 소형 9M83(나토 코드 "글래디에이터") 미사일과 중거리 탄도탄 및 장거리 스탠드오프 항공기(전자전기, 조기경보기 등) 요격용의 대형 9M82(나토 코드 "자이언트")미사일로 2원화된 체계를 갖춘다.

파일:external/pds21.egloos.com/c0007622_4d284412d040b.jpg

S-300V의 포대. 좌측은 9M83(글래디에이터)용 TELAR, 우측은 9M82(자이언트)용이다. 중앙의 것은 일루미네이터가 삭제된 슬레이브 TEL이다.[23]

레이더, 지휘통제소, 미사일 발사대는 모두 T-80 전차 차체에서 파생된 MT-T 계열 궤도형 차체에 탑재되어 높은 야전기동성을 갖고 있으며 시스템의 즉응성(방열 속도)도 우수하다. 이동상태에서 레이더 등 포대 주요 구성요소를 방열하는 데 1분 정도밖에 걸리지 않는다. 이는 포대의 생존성을 매우 높여준다.

1990년대에 개량형인 S-300VM이 등장하였고 이는 안톄이-2500이라는 이름으로 수출이 제안되었으나, S-300V(M)은 S-300P계열보다 훨씬 비싸고 복잡하고 강력한 시스템이었던 관계로 수출은 (테스트용으로 도입한 미국을 제외하면) 이루어지지 못했다.

S-300VM은 현존하는 야전방공시스템으로는 준수한 탄도탄 방어능력을 갖고 있다. 미국은 S-300VM을 테스트용으로 도입한 바 있다.

현재 러시아의 양대 방공미사일 개발사인 안톄이와 알마즈는 하나의 회사로 합병된 상태이며, 러시아군은 방공군을 폐지하고 지상 방공망을 일원화하려는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S-300V 계열 시스템은 차츰 S-300P계열의 최신 개량형인 S-400M으로 대체될 예정이다. 사실 S-400M은 S-300VM의 9M82M(자이언트)의 개량형 미사일을 그대로 사용한다. 즉, S-400M은 S-300V의 개량형 포대를 S-400으로도 관제할 수 있도록 개량한 모델이라 할 수 있다.

4. 실전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파일:바르샤바 조약기구 로고.svg 바르샤바 조약 기구 통합군 표준형 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cd0000> 육군 AKM, AK-63, AMD-65, AK-74, RPK, Vz.61, PKM, AGS-17, SVD, RPD, RPG-7, SPG-9, B-10, B-11, 9K11 말륫카, M-160 박격포, 2B9 바실료크, 240mm M240 박격포, PM-36/37/41/43, SPG-9, PT-76, IS-2, T-34, T-54/55, T-62, T-72, ASU-57, ASU-85, BMP-1, BMP-2, BTR, BRDM-1, BRDM-2, MT-LB, OT-64 SKOT, 2S1 그보즈디카, 2S3 아카치야, ShKH vz.77 Dana, 2S4 튤판, 2S7 피온, 100mm BS-3 야포, T-12 대전차포, MT-12, 152mm D-1 곡사포, D-20, D-44, 122mm D-74 야포, 122mm M-30 곡사포, 130mm M-46 평사포, S-23, 2A18, BM-14, BM-21, BM-24, RM-70, ATS-59, UAZ-469, UAZ-452
방공군
대공포 ZPU-4, ZU-23, AZP S-60, KS-19, ZSU-57-2, ZSU-23-4
대공 미사일 9K32 스트렐라, 9K38 이글라, 9K33 오사, 2K11 크루그, 2K12 쿠프, S-75, S-125, S-200, S-300
공군
헬리콥터 Mi-1, Mi-2, Mi-4, Mi-6, Mi-8/17, Mi-9, Mi-14, Mi-24, Ka-25, Ka-27, PZL SM-1
전투기 MiG-15, MiG-17, MiG-19, MiG-21, MiG-23, MiG-29
요격기 MiG-25
공격기 Su-7, Su-17/20/22, Su-25
수송기 L-29, L-39, L-410, Yak-17, Yak-23, Yak-40, Il-12, Il-18, Il-28, Il-62, Tu-2, Tu-134, Tu-154, An-2, An-12, An-14, An-24/26/30
해군 폭스트로트급 잠수함, 위스키급 잠수함, 로미오급 잠수함, 킬로급 잠수함, 스코리급 구축함, 코틀린급 구축함, 카신급 구축함, 리가급 호위함, 코니급 호위함, 포티급 초계함, 파우크급 초계함, 파르킴급 초계함, 타란툴급 초계함, 크론슈타트급 구잠정, 오사급 고속정, P-6급 어뢰정, P-4급 어뢰정, 셰르셴급 어뢰정, T43급 소해함, 바냐급 소해함, 소냐급 소해함, 폴노크니급 상륙함
탄도 미사일 스커드 미사일, 토치카 미사일, 오카 미사일, 2K6 루나, 9K52 루나-M
소련군만 운용한 장비(예: T-64)는 제외한다.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현대 우크라이나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우크라이나 국군 (1991~현재)
Збройні Cили України
<colbgcolor=#0056B9><colbgcolor=#0056B9>참고: 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탑재형
배리어 | {AGM-114 헬파이어}D | BGM-71F TOW 2D | 브림스톤D | 9K114 슈투름
포발사
콤바트(125mm, T-80 등) | 9K117 바스티온(100mm, MT-12) | 9K112 코브라(125mm, T-64 등)
공대지
회전익기
9M114 코콘
고정익기
{AGM-65G 매버릭}D | Kh-29T | Kh-25ML
유도포탄
곡사포
M982 엑스칼리버D | SMArt 155D | BONUS 155D| 불카노 155D | M712 코퍼헤드D
유도로켓
지대지
R624(M)(300mm, 빌카-M) | GMLRSD(227mm, HIMARS/MLRS) | GLSDBD(290mm, HIMARS) | APKWSD(70mm, 테크니컬) | TRLG-230D | FZ275
배회폭탄
지대지
보버 | ALTIUS-600 | RAM II | Tu-141 | Tu-143 | 스카이나이츠 2 | 피닉스 고스트D | 스위치블레이드 (300/600)D | WB 워메이트D | 사제 FPV 자폭드론 | Vidsich | {트렘비타} | {AQ-400} | AN-196 류티 | A-22 폭스배트 | R-15 | 팔야니챠 | OSKARD
공대지 (ALCM)
스톰 쉐도우/SCALP-EGD(Su-24)
MGM-140 ATACMSD
OTR-21 토치카-U | 흐림-2
함대함
{RGM-84L 하푼 Block 2}
지대함
R-360 넵튠 | RGM-84L-4 하푼D | RBS 17D
어뢰
경어뢰
{MU90 임팩트}
무인 자폭정 TLK-150 | 시 베이비 | 마구라-5 | 마리치카 | 마마이 | {스토커 5.0}
참고: 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단거리
마틀렛 LWMD | 크로탈-NGD | 9K33BM3-P1 종드워D | 9K330 토르 | 9M311(퉁구스카) | 9K35M 스트렐라-10M3 | 9K33M3 오사-AKM | R-73(오사 TEL) | ASRAAMD(트럭형 TEL)
중거리
NASAMSD | RIM-7 시스패로우D(부크 TEL) | MIM-23 호크D | IRIS-T SLMD | 아스피데 2000 · 스파다D | S-125 네바-SCD | 9K37M1 부크 M1 | 2K12M3 쿠프 M3 | S-125 페초라-(2D/2M/BM)
장거리
MIM-104D PAC-2 · MIM-104F PAC-3D | SAMP/TD | S-300PMUD | S-300(PS/PT) | S-200
개함방공 {VL-MICA M} | R-73마구라 V5
단거리
AIM-9(M/X) 사이드와인더D | R-73E | R-60MK
중장거리 AIM-120B 암람D | AIM-7M 스패로우D | R-27(ET/ER/R1)
유도폭탄 JDAM-ERD | MAM-CD | MAM-LD | KAB-1500L | KAB-500Kr | AASM-250D | SDBDMiG-29 | {GBU-12 Paveway IV}D | {AGM-154 JSOW}D
AGM-88(B/E) HARMD
기만체 미사일
ADM-160B MALDDMiG-29
※ 윗첨자D: 공여받은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렛첨자(□□□): 대표 발사 플랫폼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군의 운용장비 | 파일:missile_icon__.png 유도무기 }}}}}}}}}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현대 슬로바키아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슬로바키아 공화국군 (1993~현재)
Ozbrojené sily Slovenskej Republiky
스파이크-LR2 | 9K113 콘쿠르스 | 9K111 파곳
탑재형
기갑차량
스파이크-LR2
공대지
회전익기
9M17P 플랑가-P (Mi-24)R
고정익기
Kh-29R | Kh-25R
<colbgcolor=#034DA3><colcolor=#FFF><colbgcolor=#034DA3><colcolor=#FFF>OTR-23 오카R | OTR-21 토치카R
PPZR 피오룬 | 9K38 이글라
단거리
9K35 스트렐라-10MR
중거리
{바락-MX} | 2K12M2 쿠프-M2R
장거리
S-300PMUR | S-200M 베가-MR | S-75R
단거리
{AIM-9X 사이드와인더} | R-73R | R-60(M/T)R
'''
중장거리
'''
{AIM-120C-7 AMRAAM} | R-27RR
Kh-25MPR
유도폭탄 {GBU-38 JDAM} | {GBU-49 인핸스드 페이브웨이} | {GBU-12 페이브웨이 II}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현대 불가리아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불가리아군 (1952~현재)
Българска Армия
<colbgcolor=#009B75><colbgcolor=#009B75>9K115 메티스 | 9K113 콘쿠르스 | 9K111 파곳 | 9K11 말륫카R
탑재형
기갑차량
{FGM-148 재블린 (M1296)} | 3M6 쉬멜R
포발사
9K117 바스티온
공대지
고정익기
Kh-29R | Kh-23R
OTR-21 토치카 | OTR-23 오카R | R-17 엘브루스R
함대함
{RBS 15 Mk.3} | MM38 블록 1 엑조세 | P-15(MC/M/U) 테르밋
지대함
P-15M (4K51 루즈베)
어뢰
경어뢰
{Mk.46 Mod 5}
중어뢰
L5 Mod 4 | SET-40U | 53-65KR | 53-56VAR
9K38 이글라 | 9K310 이글라-1 | 9K34 스트렐라-3R | 9K32 스트렐라-2R
단거리
9K35 스트렐라-10M | 9K33M2 오사-AK | 9K31 스트렐라-1MR
중거리
{IRIS-T SLM} | S-125 네바 | 2K12M1 쿠프-M1 | 2K11 크루그R
장거리
S-300PMU | S-200VE 베가-E | S-75 드비나R
'''[[근접 방어 무기 체계|
CIWS
]]'''
4K33M 오사-MA | 9K32 스트렐라-2
개함방공 {VL-MICA EM} | RIM-7P 시스패로우
단거리
R-73 | R-60R | R-3SR
중장거리 {AIM-120C-7 AMRAAM} | R-27R | R-23RR
유도폭탄 {GBU-38 JDAM} | {GBU-54 LJDAM} | {GBU-49 인핸스드 페이브웨이} | {GBU-39 SDB}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또는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베트남 국기.svg 현대 베트남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베트남 인민군 (1945~현재)
Quân đội Nhân dân Việt Nam
<colbgcolor=#DA251D><colcolor=#FFFF00><colbgcolor=#DA251D><colcolor=#FFFF00>9K113 콘쿠르스 | 9K111 파곳 | 9K11 말륫카
포발사
9K120 스비리
공대지
고정익기
Kh-29(T/TE)
공대지 (ALCM)
Kh-59
스커드-(C/D)
함대함
Kh-35 우란 | P-21 테르밋
잠대함
3M-54E1 클럽-S
공대함
Kh-31A
지대함
P-800 오닉스 (바스티온-P) | P-35 퍄툐르카 (4K22 레두트) | P-21 테르밋 (4K51 루베즈)
어뢰
경어뢰
APR-2 오를란-M
중어뢰
TEST-96 | TEST-71ME
9K338 이글라-S | 9K38 이글라 | 9K32 스트렐라-2
단거리
9K35M 스트렐라-10M
중거리
SPYDER-SR | S-125 네바/페초라
장거리
S-300PMU | S-75R
'''
CIWS
'''
9M337 (팔마)
단거리
R-73(M1) | R-60 | R-13M · R-3S
'''
중장거리
'''
R-77 | R-27(ER1/R1)
유도폭탄 KAB-500Kr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대표 발사 플랫폼
}}}}}}}}}


🚀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685050><colcolor=white>북미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남미
서유럽
'''
중부유럽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북유럽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동유럽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
남아시아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
중앙아시아
'''
서아시아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
오세아니아
'''
아프리카}}}}}}}}}



[1] 소련의 방공군은 육군, 공군과는 별개인 군대로서, 요격기와 고사포, 방공미사일을 운용하는 부대였다.[2] 방공군은 미공군 전략폭격기에 대한 방어능력을 중시한 반면 육군방공부대는 중/단거리 핵미사일에 대한 방어능력과 야전기동성을 중시했다.[3] P는 국가방공군ProtivoVozdushnaya Oborona Strany, Противовоздушная оборона страны에서 따옴[4] V는 지상군Voyska, Войска에서 따옴[5] 개량형인 S-300PMU의 NATO 코드는 SA-20 Gargoyle.[6] F-111 및 B-1A 폭격기로 대표된다.[7] 이후 등장한 개량형 5V55R 미사일에는 반능동레이더유도가 사용되었다.[8] 도시, 비행장, 핵사일로 등[9] 나토 코드 'Clam Shell'이며 FMCW 방식으로 저고도 탐지능력은 좋았으나 정확도는 별로였다.[10] 나토 코드 Flap Lid[11] 시리아는 S-300PMU1을 믿고 북한 기술자들의 도움으로 핵물질 생산용 원자로를 건설하는 등 이스라엘에게 시비를 걸었다가 이스라엘 전폭기들이 기습 침투하여 원자로를 날려버리자 데꿀멍했던 흑역사가 있다. 역시 아무리 좋은 시스템을 사놓아도 굴리는 놈의 대가리의 질이 가장 중요한 듯.[12] 정작 구체적으로 따져보면 양자 가운데 어느 쪽도 완전히 닮지는 않았다. 자체개발이니 당연한 결과겠지만...[13] 90년대 이후 48N6을 통해 TVM유도기술이 개발되자 과거 대량으로 배치했던 5V55계열 구형 미사일은 TVM 유도장치를 장착하는 근대화 개장을 받았다.[14] 스탠드오프로 작전하는 폭격기, 조인트 스타즈, 조기경보기 등을 사냥하기 위한 미사일이며 러시아 방공군용 S-400에 사용된다. 수출된 적은 없으며 러시아가 수출용으로 내 놓은 적도 없다. 기존의 48N6계열에 비해 상당히 대형화되었을 것이 예상되며 2단 로켓이라는 추정도 존재한다.[15] 폭풍파편탄두로 표적을 요격하는 것이 아닌, 미사일에 직격하는 방식으로 고속 표적이나 탄도탄의 요격에 효과적이다.[16] 9M96E2는 9M96E에 비해 로켓 자체도 길어졌고, 중간유도 알고리즘이 개량되었다.[17] S-300P의 함정 탑재형인 S-300F의 화기 관제 레이더로서 키로프급 핵추진 순양함슬라바급 순양함에 장착되었다.[18] S-300P의 초기형의 주된 화기관제레이더이다.[19] 5N63의 개량형으로 S-300PM 이후 버전에 사용된다.[20] 앞에서 전술된 대로 9M82를 쓰느냐, 9M83을 쓰느냐에 따라 나토코드가 다르다.[21] 개량형인 S-300VM은 SA-23 'Gladiator'/'Giant'[22] 사족으로 이런 미국의 위협이 가중된 건 소련이 핵을 보유한 서유럽 나토동맹국에 대한 패리티 전력으로 SS-20 중거리 탄도탄을 대량으로 배치하자 미국이 이 위협에 대응했기 때문이다.[23] S-300V는 독특하게도 미사일 발사대 TEL에 일루미네이터가 부착된 TELAR을 운용한다. 물론 비용문제상 모든 TEL에 일루미네이터가 있는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