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9 14:12:50

Mk.54 경어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USS_Roosevelt_%28DDG-80%29_launches_Mk_54_torpedo_in_April_2014.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WTUS_PostWWII_mk54_pic.jpg

1. 개요2. 제원3. 상세4. 관련 링크5. 관련 문서

1. 개요


Mk.46 경어뢰을 대체하고 Mk.50 경어뢰를 보완하려 2003년 미국에서 개발한 경어뢰.

2. 제원

Mk.54 Torpedo
길이
(m)
지름
(mm)
무게
(kg)
탄두중량
(kg)
사정거리
(m)
속도
(kt)
최대심도
(m)
방식 발사플랫폼 개량형/기타
유도 추진
2.72 324 276 44 15,000 40 ? 능동/수동 Otto Fuel II 함정/항공기 -

3. 상세

소련이 해체되어 바다의 작전 환경은 크게 변한다. 대양 한복판에서 적과 조우할 가능성이 줄어들고 연안에서의 작전이 중시되는 흐름이 생긴 것이다. 이에 따라 많은 무기체계들의 운용개념이 수정되었다. 날이 갈수록 빈곤해지는 미국의 여건에 따라 어뢰 역시 저렴한 가격을 추구하는 방향이 생긴다.

1992년 개발된 Mk.50 어뢰는 비싼 가격이 문제가 된다. 잠재적인 위협인 제3세계 국가들이 너도나도 재래식 잠수함을 지르기 시작하면서 이에 대한 대책도 필요하게 된다. 1994년 무렵 미 해군이 사용 중인 Mk.46과 Mk.50 각각의 장점을 짜집기 융합하면 어떻겠느냐는 상큼한 제안이 나온다. 이렇게 Lightweight Hybrid Torpedo (LHT) 프로그램이 시작됐고, 이듬해에는 충분한 타당성이 판단되어 본격적인 개념연구가 시작되기에 이른다. 최초에는 Mk.46 재고에 대대적인 오버홀 작업을 거쳐 2017년까지 사용하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배보다 배꼽이 더 크게 생겨서 사장되었고, Mk.46의 8번째 개량형인 Mod 8로 개발이 시작된 후 1996년 현재의 명칭인 Mk.54로 변경된다.

미국이 개발한 어뢰의 기술과 노하우를 모조리 축약했다. 특히 디지털 수신기와 신호처리기, 심도센서와 같은 신호/정보처리용 전자장비에는 민간용기술을 과감하게 도입하여 개발비용을 크게 낮추는데 성공한다. 특히 크게 발전한 컴퓨터 기술을 도입하여, 그 중 CTP (Common Torpedo Processor)라고 불리는 음향신호처리 프로세서는 모토로라PowerPC 프로세서에 기반한다. 이 물건은 Mk.48 Mod 6 (ADCAP)에 적용되기도 했다. 추진부 연료밸브 또한 Mk 48 ADCAP과 동일하다. 어뢰의 속도조절이 가능하여 이른바 경제속도로 주행하면 연비가 향상되듯이 저속 항주 기능이 추가되어 작전시간과 거리가 늘어났다. 연료인 Otto Fuel II는 총 33 리터가 저장된다.

상호 호환성을 위해 Mk.46Mk.50과는 기계/전기적 부분에서 많은 공통점과 함께 소프트웨어 소스를 공유한다. 크게는 Mk.50의 전면부와 Mk.46의 꽁무니를 붙여놓고 좀 다듬고 개량한 후 붙인 형태다. 어뢰 자체 소음 생성을 억제하려 전면부를 최대한 유선형으로 설계하거나 폴리우레탄 재질의 전면부 껍데기를 씌워 음향신호의 간섭이나 왜곡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저속으로 이동하는 재래식 잠수함을 탐지하려 주파수 변조 기법을 사용하는 등의 새로운 기능도 부여됐다. 1999년 해수에서 성공적인 테스트를 마친 후 본격적인 양산은 2004년부터 시작되었다. Mk.46의 퇴역에 맞춰 적절한 물량을 보유해야 하기에 돈도 없거니와 생산량은 적당히 조절되고 있다. 2010년 이후에는 인도 해군P-8 초계기를 도입하면서 같이 패키지로 팔린다. 호주 해군도 일반 전투함과 SH-60 계열 헬기에서 운용하려 약 100발 가량 도입 예정이다.

국군에서도 청상어 외에도 P-8에서 운용할것을 전제로 소량 도입했는데 이는 청상어가 P-8에 통합이 안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보잉은 HAAWC (High Altitude Anti-Submarine Warfare Weapon Capability)라는 계획에 의하여 Mk.54를 탄두로 하는 장거리 활공형 어뢰를 개발하는 중이다. 마치 AGM-154 JSOW처럼 생긴 글라이더 키트에 Mk.54를 묶어다가 GPS 유도로 목표지점까지 활공한 후 글라이더에서 분리되어 낙하산으로 착수하는 형태로 운용될 예정이다. JSOW는 적의 방공세력을 피해 안전하게 원거리에서 발사하려는 취지인 반면, HAAWC는 먼 곳에 있는 잠수함을 탐지했을 때 조금이라도 신속하게 타격하기 위한 목적이다. 이런 활공형 폭탄 무기는 비행체의 속도와 투하 고도가 높을수록 사정거리가 증가하므로 함정에 탑재된 대잠헬기에서는 운용하는 의미가 적다. 30,000 피트 이상의 고도에서 P-3P-8 등의 대형 초계기 운용이 상정되었다.

4. 관련 링크

(영문 위키백과) Mark 54 Torpedo

5. 관련 문서

파일:독일 국기.svg 현대 독일 연방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독일 연방군 (1991~현재)
Bundeswehr
<colbgcolor=#808080><colbgcolor=#808080>MELLS (스파이크-LR) | 밀란-(2/2T/ER)
탑재형
기갑차량
MELLS | BGM-71D TOW-2R | HOT-(2/3)R
공대지
회전익기
HOT 3 | PARS-3LR
고정익기
AGM-65(B/D) 매버릭R
유도포탄
지대지
DM702 (155mm, PzH2000) | 불카노 155 (155mm, PzH2000) | {아세가이} (155mm, PzH2000)
함대지
불카노 127 (127mm, F125급)
유도로켓
지대지
GMLRS (227mm, MARS II)
공대지 (ALCM)
{AGM-158(B/B-2) JASSM-ER} | 타우러스 KEPD 350
지대지 (GLCM)
{JFS-M}
MGM-52 랜스R
함대함
{NSM} | RBS 15 Mk.3 | RGM-84D 하푼 블록 1C | RGM-84A 하푼 블록 1AR | MM38 엑조세R
공대함
시스쿠아R | AS.34 코모란 2R
대잠 미사일RUR-5A Mod 4 ASROCR
어뢰
경어뢰
MU90 임팩트 | Mk.54 Mod 0 | Mk.46 Mod (2/5) | DM4A1R
중어뢰
DM2(A3/A4) 제헥트 | DM2A1 제알R | DM1 제슐랑에R
보병
FIM-92(C/E) "플리거 파우스트 2 스팅어"
차량
FIM-92E (LeFlaSys 오젤롯)
단거리
FRP/FRR 롤란드 3R
중거리
{IRIS-T SLM} | MIM-23B I-호크 | MIM-23C I-호크 HEOSR
장거리
MIM-104A 패트리어트 | MIM-104C PAC-2 | MIM-104(D/E) PAC-2 GEM(-T) | MIM-104F PAC-3 (CRI/MSE)
대탄도탄{애로우-3}
'''[[근접 방어 무기 체계|
CIWS
]]'''
RIM-116B RAM 블록 I
개함방공 RIM-162B ESSM | RIM-66A SM-1MR 블록 IVR | RIM-7(M/H/P) 시스패로우R
함대방공 RIM-66M-2 SM-2MR 블록 IIIA
단거리
IRIS-T | AIM-9L 사이드와인더 | AIM-92E 스팅어
중장거리 미티어 | AIM-120(B/C-5/C-7) AMRAAM
잠대공 미사일
{IDAS}
{AGM-88E AARGM} | AGM-88B HARM 블록 IIIB
유도폭탄 GBU-38 JDAM | GBU-54 LJDAM | GBU-48 인핸스드 페이브웨이 | GBU-24 페이브웨이 III | GBU-(12/16) 페이브웨이 II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또는 대표 발사 플랫폼
}}}}}}}}}


🚀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685050><colcolor=white>북미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남미
서유럽
'''
중부유럽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북유럽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동유럽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
남아시아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
중앙아시아
'''
서아시아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
오세아니아
'''
아프리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