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2 02:53:15

25파운더

제2차 세계 대전의 영국군 화포
파일:영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373a3c>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화포
곡사포/야포 <colbgcolor=#fefefe,#1f2023>18파운더 야포, 25파운더 곡사포, BL 60파운더, QF 3인치 곡사포, QF 3.7인치 산악 곡사포, QF 95mm 곡사포, QF 4.5인치 곡사포, BL 4.5인치 야포, BL 5.5인치 야포, BL 6인치 26cwt 곡사포, BL 6인치 야포 Mk XIX, BL 7.2인치 곡사포, BL 8인치 곡사포
대전차포 QF 2-파운더 대전차포, QF 6-파운더 대전차포, QF 17-파운더 대전차포, QF 32-파운더 대전차포
전차포 QF 2-파운더 대전차포, QF 3-파운더 전차포, QF 6-파운더 대전차포, QF 75mm, QF 3인치 곡사포, QF 17-파운더 대전차포, 77mm HV, QF 32-파운더 대전차포, QF 95mm 곡사포
대공포 QF 2-파운더 함상포, 오리콘 20mm 기관포, 보포스 40mm 포, QF 3인치 20cwt 대공포, QF 3.7인치 대공포
함포 QF 4인치 Mk.IV 함포, QF 4인치 Mk.V 함포, BL 4인치 Mk.IX 함포, QF 4인치 Mk.XVI 함포, QF 4인치 Mk.XIX 함포, QF 4.5인치 함포, QF 4.7인치 Mk.XI 함포, BL 4.7인치 45구경장 함포
다연장로켓 랜드 매트리스, 씨 매트리스, Z 배터리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cannon_icon__.png 화포 }}}
}}}}}}

파일:OQF_25_pdr.jpg
Ordnance QF 25-pounder
1. 개요2. 제원3. 개발4. 운용5. 평가6. 기타7. 미디어8. 둘러보기

1. 개요

25파운더 사격 영상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군영연방군의 주력 견인곡사포. 직역하면 '25파운드 무게(11.3kg)의 탄을 쓰는 속사포'가 된다. 구경으로 따지면 87.6mm 포라고 할 수 있다.

2. 제원

  • 중량 : 1,633 kg
  • 전장/포신장 : 4.6m / 2.47m
  • 전폭 : 2.13m
  • 전고 : 1.16m
  • 구경 : 87.6mm
  • 포탄중량 : 11.3kg (25lb)
  • 상하각도 : -5°~ 45
  • 포구초속 : 198 – 532 m/s
  • 최대사정 : 12,253 m
  • 운용인원 : 6명

3. 개발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기존 18파운더 포와 4.5인치 포의 통합개량형을 추구하면서 탄생했다. 전간기의 재정난으로인해 18파운더를 유용하는 것으로 가닥이 잡혔고, 그 결과 87.6mm구경에 25파운드라는 포탄중량이 결정되었다.

MK.1은 18파운더의 포신을 깎아내고 조준기만 새로 쓰는 등 거의 대부분의 부품을 18파운더에서 가져왔으나 그 덕에 완성도가 심각하게 떨어져[1] 신형생산품인 MK.2을 개발하였다. MK.2부터는 새로 개발된 포신과 포가를 가져 완성도가 높은데다 제퇴기를 추가하는 것으로 별도의 장약을 쓰는 대전차용 철갑탄을 발사하는게 가능했다.

구경이나 덩치 등 여러모로 보아 경야포 수준이었음에도 영국군은 일체형 포탄이 아닌 장약을 쓰는 분리형을 채택했고 덕분에 다른 요소와 결합하여 높은 운용탄력성을 가질 수 있었다.[2]

4. 운용

파일:external/silverhawkauthor.com/FAT_with_25-pounder._Library_and_Archives_Canada_MIKAN_No._3607521.jpg
파일:external/silverhawkauthor.com/25-pounder_Barham_UK_10_Apr_1942._MIKAN_No._3397506.jpg
모리스-커머셜 C8 FAT 4륜 포병 트랙터에 탑재되어 운반되는 모습과 탈거되어 사격할 준비를 하고 있는 모습
25파운더의 훈련 사격 영상(1941년)
1937년부터 영국군에서 운용하기 시작했고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연방 등 영연방군들도 도입하여 모든 전선에서 사용했다. 주력 중(中)포치고는 당시 다른 군대에 비해 구경이 작은 편이었지만 사단포병의 화기재원을 25파운더로 통합하여 운용했기에 군수지원과 같은 2차적인 요소뿐만 아닌 포격유도에 대한 반응성 같은 1차적인 요소에서 우수함을 보일 수 있었다.

카탈로그 상으론 분당 6~8발 정도의 평균발사속도를 보였으나 전간기부터 모병제에 기반한 숙련된 포병대를 가지고있던 영국군은 일체형 포탄이 아니었음에도 속사포라는 이름답게 급속사격 시 분당 20여발에 가까운 발사속도를 보이기도 했다. 당시 영국 포병대는 규모, 기술력 등의 면에서는 특출난면이 없었으나[3] 독특한 편성/통제방식 및 높은 숙련도로 유명했다. 이동 탄막사격을 무려 사선으로 해대거나 장성급 상급장교를 위시한 장교단을 관측자원으로 운용해 포격을 가하는 방식 덕분에 독일군이 가장 상대하기 까다로운게 영국 포병대였는데 독일 포병이 쏘고 튀는 전술을 즐겨썼는데 영국 포병을 상대로는 반응 속도가 매우 빨라서 이짓을 하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북아프리카에서는 2파운더가 힘을 못쓰자 슈퍼차저라는 일종의 강장장약으로 철갑탄을 발사하는 대전차전에 긴급투입되어 42년에서야 보급된 OQF 6파운더와 43년에야 초도형이 한자릿수로 배치되던 17파운더의 공백을 메꿔주었다.[4] 또한 1944년부터는 근접신관이 도입되었다.

영국군에서는 이 곡사포를 밸런타인 전차 차체에 자주포탑 증설을 하여 자주포로 만든 비숍 자주포의 주포로 사용해서 북아프리카와 이탈리아 전선에 투입시켰고, 캐나다는 이것을 램 Mk.2M4A1의 라이센스 생산형 그리즐리 I 순항전차 차체에 올린 섹스턴 자주포의 주포로 사용했고 영국도 이를 얻어가서 쓰기도 했다.[5]

2차 대전 이후에도 한동안 현역으로 남아서 활용되었고 기존의 철갑탄은 HESH로 대체되었다. 6.25 전쟁 중에 영국, 뉴질랜드, 캐나다 포병대가 이 포를 끌고 왔다. 호주의 경우 1950년에 이 포를 M3 그랜트 차체에 올려서 Yeramba라는 이름의 자주포를 만들기도 했지만 1957년에 전부 퇴역시켰다. 영국군에서는 1960년대부터 NATO 표준인 105mm 구경의 포들로 대체되기 시작해서 오토멜라라 105mm 곡사포와 FV433 아보트 자주포로 대체되었고 나머지도 L118 야포로 대체되면서 완전히 퇴역하게 된다. 다른 운용국에서는 80년대까지 사용했으며, 남아있는 수량은 예비용이거나 영연방국들의 행사용 예포 정도이다.

쿠르드족 민병대인 페슈메르가에서 적어도 1문을 사용 중이라고 한다. 그리고 파키스탄군도 아직 운용하고 있다.

5. 평가

100mm도 안되는 구경의 경야포인데다 개발과정도 염가형의 전형을 달렸지만 일선의 평은 괜찮았다. 미숙련병도 조작이 쉬운 구조인데다 크기나 성능 등이 운용하기도 편해 영연방국가들에게서 대호평을 받았다. 탄약수를 갈아넣고 얻은 높은 사속 덕분에 적국인 추축군에서는 영국군 포병이 자동장전식 야포를 쓴다는 소문이 퍼지기도 했다.

6. 기타

7. 미디어

7.1. 영화

7.1.1. 워터호스

영국군이 해안포 사격훈련을 할 때 등장한다.

7.1.2. 머나먼 다리

이 포의 집단 사격장면이 제법 길게 나온다.

영국 제 30군단의 첫번째 목표지점인 네덜란드 아인트호벤 진격을 위한 왕립 포병대의 진격로 엄호 및 정리가 목적으로, 저 멀리부터 시작해 화면을 가득 채우며 다가와 결국 숲에 매복해 있는 독일군까지 쓸어버리는 포격장면은 이 영화의 명장면 중 하나. 근데 그렇게 갈아엎고 남은 잔당들에게 길이 막혀 결국 전폭기들로 처리한다.

7.2. 게임

7.2.1.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시리즈

7.2.1.1.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영국군의 진지형 화포로 등장한다. 미군의 105mm 견인곡사포와 비슷한 화력이지만, 내구도가 매우 떨어지는 데다 사거리가 짧다. 단, 왕립 캐나다 포병대 지원을 택하면 사거리가 증가하는 데다가 각종 중대전용 스킬을 쓸 수 있어 실제와 같은 파멸적인 불벼락을 선사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최대장약스킬을 찍으면 쿨타임이 105초에서 90초로 떨어진다. M7 프리스트는 최대장약스킬은 적용되나 쿨타임이 105초 그대로이다. 진지형이라 그런지 소소하게 M7 프리스트보다 인구를 2만큼 적게 먹는다.

7.2.2. 월드 오브 탱크

영국 진영 전용 포. 굉장히 평가가 안좋다.[6] 고폭탄 관통력 및 데미지가 낮은 바람에 자주포 용으로 제대로 써먹기가 힘들 뿐더러 폭발 범위도 좁다. KV-1같은 얘들에게 맞추면 두 자릿수 데미지(...)가 들어간다. 거기다가 철갑탄 관통력도 90이 한계인지라 5티어 상대론 도탄나기가 일쑤다.

7.2.3. 스틸 디비전 시리즈

영국, 캐나다, 뉴질랜드, 인도 등 영연방 국가들이 사용하는 곡사포다. 헝가리군도 노획버전을 쓰고 서부 연합 소속 벨기에나 자유 폴란드군도 사용한다.

분류상 중포이나 실제 위력은 81mm 박격포보다도 공격력, 연사력 종합 포격화력이 떨어진다. 그나마 박격포보단 사거리가 훨씬 긴 것이 위안. 초장거리 명중률도 150mm 이상급 고급 중포들보단 훨씬 부족하기 때문에 다수를 흩어서 전선 가까이 배치해 주는 게 좋다. 그래도 소련 76mm F-22 사단포처럼 많은 수와 빠른 연사속도로 대포병사격시 적 포병대를 제압은 잘한다. 연사력이 빨라 독일 105mm급과 대포병전도 할만하다.

스틸 디비전 2기준 1.5km 까지 정확한 직사포격이 가능하며 대전차 철갑탄도 발사 가능하고 4호 전차나 3호 돌격포를 잡아볼 수 있지만 명중률이 낮다. 전선에 가까이 배치하는 포이고 값이 싼 만큼 적이 전차가 별로 없는 보병사단이고 포가 남아돈다면 상황 봐서 전진배치 후 직사로 쏴서 적 방어진의 보병이나 중화기를 정확하게 갈아줘도 좋다.

8. 둘러보기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현대 아일랜드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169B62>



<colbgcolor=#169B62> '''[[소총|
소총
]]'''
<colbgcolor=#169B62> '''[[돌격소총|
돌격소총
]]'''
AUG Mod 14 | FN FAL
'''[[저격소총|
저격소총
]]'''
AI 92 | AWM
권총 USP | 브라우닝 하이파워R
수류탄 M72



'''[[기관총|
기관총
]]'''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FN MAG
'''[[기관총#s-5.1|
중기관총
]]'''
M2HB 브라우닝
유탄발사기 M203 | GMG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무반동총|
무반동포
]]'''
AT4 SRAAW | 칼 구스타프 84mm AAW | Pvpj 1110R
미사일 FGM-148 재블린 | 밀란 F2R
맨패즈 RBS 70
박격포 벡터 M1 | 호치키스-브란트 LLR | RUAG M87
견인포 L119 LG | L118 LG
'''[[특수부대|




]]'''
'''[[소총|
소총
]]'''
'''[[돌격소총|
돌격소총
]]'''
HK416A5 | AUG (A2/A3)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HK417
'''[[저격소총|
저격소총
]]'''
AW50
기관단총 P90 | MP5(A3/F) | MP5SD6 | MP5K
산탄총 베넬리 M4 | 베넬리 M3T | SPAS-12 | 레밍턴 M870
권총 P228 | P226
기관총 미니미 Para
의장용 화기 오드넌스 QF 25 파운더 예포
※ 윗첨자R: 퇴역 화기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화포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군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추축군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냉전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현대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1] 발사각, 탄종, 장약 등이 전부 제한되었다.[2] 고각 조절이 자유로운 편인 데다 사거리조절도 쉬워서 종전에 비해 다양한 지형과 상황에 대응이 가능했다.[3] 미국과 비교하면 사단 단위에서 포문의 수는 영국이 72문+@인데 비해서 미국의 경우 66문으로 작아보이지만 영국은 72문의 야포가 전부 25파운더인 반면 미국은 155mm 중포 12문+105mm야포 52문이고 105mm급만 되어도 25파운더의 2배가 넘는 작약을 자랑하는지라...[4] 17파운더의 초기형은 이 포의 포가를 쓴 17/25 파운더라는 이름으로 불렸다.[5] 이 과정 중에서 섹스턴 자주포의 원형인 M7 프리스트와 그 주포인 105mm 견인곡사포를 썼지만 영연방은 이 곡사포와 탄약을 사용하지 않아 보급에 문제가 생길 수 밖에 없어서 섹스턴 자주포로 교체했다. 비숍 자주포는 양산 중단 및 차체를 재활용해 대전차 자주포Mk.I 아처를 양산했다.[6] 애초에 야포인데다가 구경부터 8,8cm FlaK과 비슷하고(구경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나...), 장약도 105mm 견인곡사포보다도 적은데 제대로 된 피해를 주기가 어렵다. 그나마 장점이라면 재장전이 매우 빠르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