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tablewidth=350><tablebordercolor=#AEB49C,#AEB49C><tablebgcolor=#fff,#000><bgcolor=#AEB49C,#AEB49C><tablealign=right><color=#fff,#fff> [ruby(永吉, ruby=ながよし)] [ruby(昴, ruby=すばる)]
Subaru Nagayoshi ||
Subaru Nagayoshi ||
| |
[야구 소녀] 나가요시 스바루 | |
| |
나이 | 15세 |
키 | 154 cm |
몸무게 | 41 kg |
생일 | 9월 20일 |
별자리 | 처녀자리 |
혈액형 | B형 |
B-W-H | [ruby(79, ruby=B)] / [ruby(59, ruby=W)] / [ruby(78, ruby=H)] |
자주 쓰는 손 | 왼손 |
취미 | 야구 |
특기 | 변화구, 가사전반 |
좋아하는 것 | 아이돌 |
투타 | 좌투좌타[1] |
출신지 | 도쿄도 (오타구)[2] |
성우 | 사이토 유카 |
아이돌넘버 | 47 |
이미지 컬러 코드 |
||<tablewidth=100%><width=15%><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ff,#1f2023>
||オレ、永吉昴。年は15。アイドルやるってどんな感じか、よくわかってないんだけど、とにかく女の子っぽくなれるんだろ?頑張るから、よろしく頼むよ!||
1. 캐릭터 소개
| | | | |
자신을 오레(オレ)로 표현하고, 취미도 특기도 야구인 와일드한 야구소녀. 사무실에도 야구장비를 구비해둔 채, 프로듀서에게 캐치볼 등을 권하곤 한다. 사무실 여기저기에 "여기서 야구하지 마세요"라는 주의문이 붙어있는 것도 사실상 스바루가 원인. 물론 이걸 붙이는게 누군지는 말할 것도 없다.
말투도 행동도 꽤나 소년스럽고 활발하다. 말버릇은 "すっげー!!"(대단해!!). 프로듀서에게나 자기보다 연상인 아이돌들에게도 기본적으로 반말을 쓰고, 이름도 요비스테한다.호칭표(니코니코대백과)참고. 경어가 익숙하지 않다는 것 같다.
아이돌이 된 계기는 밀리마스 소셜 게임에서는 부모님이 원해서 오디션을 봤다는 설정이었지만, 밀리시타에서는 설정이 바뀌어서 우연히 만난 공원에서 P가 스카우트하고 스바루가 자발적으로 받아들인 것으로 변경되었다. 원래부터 아이돌을 좋아했고, 아이돌 댄스를 따라 추기도 하는 등 흥미가 많았지만 (그래서 댄스 실력은 좋은 편이다) P에게 권유받기 전까지는 본인이 직접 아이돌이 되겠다는 생각은 해 본 적 없었다고 한다.
보이시한 여자아이라는 포지션이 본가의 마코토와 겹치는 것 같지만, 스바루는 외견은 마코토보다 귀여운 편이나 본인이 별로 자기 성격을 신경쓰지 않는 편이고, 마코토는 외견부터 행동까지 자각 없는 천연 페로몬 보유자라서, 파면 팔수록 비슷해 보이는 속성임에도 차이가 큰 편. 마코토에겐 남성적인 이미지가 컴플렉스라 꾸준히 귀여움을 어필함에도 태생적인 한계로 분위기를 싸하게 만드는 반면, 스바루는 자기 성격에 별로 개의치 않으나 귀여울 때는 자연스럽게 귀엽다는 게 핵심적인 차이점이다. 단 빈도와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귀여워 보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를 고민하고, 귀엽다는 말을 좋아한다는 건 공통점. 그리고 헤어스타일도 짧은 단발 스타일이라 하기와라 유키호와 시이카랑 비교를 당한다.
스바루 본인은 자기 성격을 긍정하지만, 부모님은 스바루에게 남자같은 말투와 성격을 고치라고 잔소리하는 편. "이대로도 좋지 않나?라고 생각하지만, 부모님을 속썩이긴 싫고..."라는 대사도 있다. 그래서인지, 스바루는 자신의 성격과 야구 취미가 아이돌답지 않다고 자신없어하기도 하는데, 그럴 때마다 프로듀서가 그건 스바루의 개성이니까 그대로 살리면서 아이돌이 되면 된다고 알려주는 스토리가 많다.
친애도를 올리게 되면 프로듀서에 대해 신뢰와 애정이 생겨가는 모습을 보이지만, 역시 단순한 성격답게 연애감정 쪽으로는 생각을 안 하는 듯하다.[3]덕분에 자각없이 P들의 심장을 뚫어버리는 어필을 해올때가 많다.
LTP시리즈 마지막 편인 LTP 12 앨범 드라마 파트에서 주인공 급으로 비중이 크다. 여기서는 무대 분위기가 '귀여운 컨셉'으로 가자 긴장과 부담감에 눈물도 흘리는 의외의 모습을 보이는데, 무대 분위기를 전환시키려는 코노미의 노력
PSL스토리와 LTH 09앨범에서는 미키(리더), 사요코, 토모카, 치즈루 와 함께 유닛 '밀키웨이' 소속. 스토리 중 동경하던 사람과 만나게 되어 긴장하지만 사요코와 P의 응원으로 마음을 다잡기도 한다. 이 앨범에 수록된 두 번째 솔로곡 Day After “Yesterday”는 스바루의 마음이 잘 드러난 가사와 좋은 멜로디로 호평받는 곡.
극장에 귀신이 나타난다는 이야기를 듣고는, 프로듀서에게 같이 화장실에 가달라고 부탁하기도 하는데, 의외로 겁이 많은 듯하다.
캐러밴 스토리에서는 배 타서 낚시하며 신나하는 모습이 귀엽다. 의외로 요리를 잘 한다는 것도 알 수 있다.
국내 팬들에게는 성(永吉)의 한자를 그대로 읽은 영길이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영길이라는 어감에 캐릭터성도 그렇고 무엇보다 미묘한 퀄리티의 초창기 노말 일러 때문에 잊을만하면 일러스트로 놀림감이 되는 일이 많다.
겟산의 밀리언 라이브 코믹스에서는 코사카 우미와 다른 멤버들과 함께 2화에 첫 등장, 그리고 한동안 나오지 않다가 번외편의 연극 아이돌 히어로즈에서 당시 카드의 역할을 맡는데 맡은 대사가 부끄럽다는 반응을 하자 연출을 맡은 아리사가 호통을 치는 바람에 혼이 담긴 대사를 하는데 그게 아리사에게 직격한다. 그러고서 한동안 등장이 없다가 18화에서 미라이, 에밀리, 미야와 함께 유니트를 구성해 시어터를 방문하는 팬들에게 CD 증정 이벤트를 벌이면서 자신의 목표에 대한 이야기도 나누며 가을 아이돌 페스가 아닌 다른 페스에 참가한다.
밀리마스 1주년 기념 드라마 시어터 콘테스트에서 우수상을 받고 음성수록된 것 중엔 줄리아랑 같이 마코토한테 마코마코링~을 배우다가 쪽팔려 죽으려는 것이 있다.여기에서 볼수 있다.한글자막버전
세번째 솔로곡에서도 전 솔로곡들과 마찬가지로 스바루가 좋아하는 야구가 반영되었다. 노래 제목도 HOME RUN SONG이다.
데레마스의 히메카와 유키와도 크로스오버가 되기도 한다.
아이돌 넘버가 47번이고 스바루 본인이 좌투좌타인데, 야구에서 등번호 47번을 다는 경우는 좌완투수, 그 중에서도 강속구 투수가 흔하다. 등번호 물려주는 문화가 있는 일본프로야구에서 47번은 좌완 파이어볼러들이 주로 물려받는 번호이고 한국이나 미국에서도 47번 등번호는 주로 좌완 투수들이 다는 등번호로 인식된다. 어찌 보면 캐릭터성과
2. 관계
2.1. 프로듀서와의 관계
프로듀서를 프로듀서(プロデューサー)라 부른다.큰 틀에서 보여주는 연애요소는 강하진 않지만 프로듀서에겐 호감이 있으며 프로듀서를 오빠 비슷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보인다.
2.2. 아이돌간의 관계
미키는 동갑내기이기도 하고, 마코토를 부를 때 처럼 스바루군이라고 부르면서 달라붙는 묘사가 있다.로코와도 친하다. 로코아트 활동에 몰두하는 로코의 팔을 잡아끌고 야구하러 가자고 하는 등 자신만의 세상에 빠져있는 로코를 스바루가 여기저기 데려가는 등의 느낌이다. 밀리시타에서는 月曜日のクリームソーダ와 dans l'obscurité에서 모두 같은 유닛으로 묶였다.
유리코와 15세라는 공통점이 있어서 엮인다. 역시나 활발한 스바루가 실내활동을 좋아하는 유리코를 여기저기 끌고 다니는 느낌이다.
사요코에게 의외로 숫기가 없는 스바루가 조언을 받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우미와는 같은 스포츠계라서 우미가 스바루가 하는 야구에 가장 많이 어울리는 것으로 묘사된다. 밀리애니에서도 시어터에서 스바루와 캐치볼을 한다거나 중요한 상황에서 둘만 사라진 것을 두고 사람들이 캐치볼하러 간거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아유무와도 활발한 점이나 초기 밀리마스 카드에 같이 나온 점 등으로 인해 노리코와 합쳐 로켓단이라 불리기도 한다.
노리코와도 친한 편. 둘다 씩씩한 성격이라 잘 맞는 듯. 툭하면 스바루한테 '코브라 트위스트'를 건다고 한다. 스바루를 스쿠터 뒤에 태우고 첫 해돋이를 보러 가는 카드도 있다. LTD 앨범의 듀엣곡 Dreamscape도 둘이 함께 불렀다.
줄리아와도 친한 편. 줄리아는 스바루를 바보스바루(バカ昴)라고 부른다.
2.3. 가족 및 지인 관계
아버지와 어머니, 그리고 네명의 오빠가 있다.아버지는 금속 엔지니어로, 메인커뮤에서 스바루의 본가가 "나가요시 금속제작소"를 운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스바루는 전체적으로 어머니의 외모를 그대로 물려받았으며 5남매를 낳은 몸이라 그런지 대부분 젊은 여성이던 다른 아이돌의 어린 시절의 어머니들과 달리 눈에 주름진 다소 나이든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스바루는 4남 1녀중 막내로 마사토[4], 타이키[5], 히로토[6], 소타[7]라는 친오빠가 있다. 메인 커뮤에서 나온 내용으로는 막내 오빠인 소타가 고3이라는 것으로 보아 오빠들의 나이 차이가 꽤 있는 것으로 보인다. 스바루가 오빠들과 나이 차이가 많이 나는 딸이라 그런지, 부모님과 오빠들이 막내인 스바루를 무척 아낀다고 한다. 심지어 스바루가 아기였을때부터 영상을 찍어오면서 보관해왔다고 한다. 본가가 본가인만큼 모두 야구를 사랑하는 집안으로 보이며, 대문에 타자와 스트라이크 존을 그려놓은 것을 보면 평소 집에서 야구를 자주 한 것을 알 수 있다. 본래는 막내 오빠가 고교야구를 끝으로 야구계를 은퇴하려고 했지만, 스바루의 공연을 보고 대학교에 가서도 야구를 계속하겠다고 결심했다고 한다.
묘사된 사진을 보면 정말로 화목한 가족임을 엿볼 수 있는데, 스바루의 두번째 솔로곡 발매 소식이 나온 연예 뉴스를 보며 오빠들이 흐뭇해하는 모습이 나왔다.[8] 허나 스바루는 창피한지 채널 좀 돌려달라고 떼를 쓴다. 야구를 사랑하는 나가요시 가 답게 TV 위를 보면 야구를 한창 했던 오빠들의 어릴 적 사진과 스바루의 어릴 적 사진, 그리고 많은 트로피들이 눈에 띈다. 일러스트 상 젓가락에 그려진 줄 갯수가 달라서 이것을 근거로 나이 서열을 추측하기도 한다.
스바루의 출생지는 도쿄도 오타구로 나오는데, 이 지역은 한국의 영등포구 문래동 비슷하게 소규모 공업사들이 많이 있는 준공업지대로, 소규모 마을공장이 주택가와 어우러져 있는 곳으로 유명하며 위에 언급된 스바루의 집인 나가요시 금속제작소도 2층이 스바루의 가정집인 것으로 나온다. 스바루와 처음 만나게 된 곳이나 위의 어머니와 같이 나온 그림의 배경도 이 지역에 있는 동네 야구장[9]이다.
3. 게임
3.1.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가요시 스바루/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가요시 스바루/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 시어터 데이즈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가요시 스바루/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 시어터 데이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가요시 스바루/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 시어터 데이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애니메이션
4.1.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애니메이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가요시 스바루/아이돌 마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가요시 스바루/아이돌 마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담당곡
5.1. 솔로
<rowcolor=#fff,#fff> 앨범 재킷 | 곡명 | 상세 |
| ビギナーズ☆ストライク 비기너즈☆스트라이크 |
|
| Day After “Yesterday” |
|
| HOME RUN SONG♪ |
|
| パーフェクトゲーム 퍼펙트 게임 |
|
5.2. 그룹
- 765PRO MILLION ALLSTARS 명의로 참여한 단체곡은 해당 문단 참조.
5.3. 커버곡
6. 2차 창작과 밈
6.1. 스바루짱 내가 여기서 야구하지 말랬지
밀리시타에 와서 게임 내의 묘사로 인해 일약 떠오른 밈.밀리시타의 서비스 초창기에는 타나카 코토하가 성우의 요양으로 인해 등장이 제한되었는데, 이 시기 동안 시어터 휴게실의 비밀이 야구를 해도 되는 것 같다. 였다. 그리고 이에 맞춰, 대기실 화면을 오랫 동안 유지하고 있으면 나오는 아이돌들의 랜덤 인카운터 중에 스바루가 튀어나와 캐치볼을 하려 드는 것이 있었다.
그리고 코토하의 성우의 요양이 끝나 코토하가 밀리시타에서 정상 등장하게 되자 휴게실 뒤 파티션에 휴게실에서 야구를 해서는 안됩니다. 라는 벽보가 붙고 로딩 화면에서 나오는 휴게실의 비밀도 '야구를 할 수 없게 된 모양이다.'로 바뀌었다. 그런데 화면 대기 중 아이돌이 나오는 인카운터 중에 스바루가 대기실에서 캐치볼을 하려 드는 것은 여전히 삭제가 안되었다. 결국 2차 창작에서 스바루와 코토하의 관계는 '금지해도 자꾸 극장 안에서 야구를 하려는 스바루 vs 스바루를 추적하며 어떻게든 야구를 금지하려는 코토하'라는 피말리는 경쟁관계(?)로 정립되었다.
스바루가 극장 안에서 야구나 캐치볼을 자꾸 하고 코토하가 그걸 금지했다는건 그리마스 시절에도 게임이나 코믹스도로 묘사된 부분이지만, 밀리시타의 이런 연출로 엄청나게 와닿게 묘사된 덕에 스바루와 코토하의 주요 밈으로 떠올랐다.
그 외에는 그냥 야구를 좋아하는 것 자체가 밈으로 쓰이기도 한다. 예를 들면 스바루가 마갱집을 하는 디시콘이 유행한다거나 알버트 푸홀스의 LDS 자세를 하는 스바루를 하는 식.
[1] 일러스트를 보면 좌투좌타로 꾸준히 모습을 드러냈고, 밀리언 라이브 애니메이션에서도 왼손으로 공을 던진다.[2] 스바루의 아버지가 작은 철공소를 하는데, 실제로 오타구는 도쿄의 공업지대로 철공소가 많이 위치해 있다. 또한 작중에서 나온 야구를 하다가 스카웃 된 곳이나 송포유 카드 일러에 나온 곳 역시 이 지역이다.[3] 친애도 600 대사: "프로듀서랑 말하고 있으면, 사소한 얘기라도 왠지 즐거워! ...이게 절친이란 건가?!" / 친애도 700대사 : "하아... 최근 언제 어디서라도 프로듀서를 생각하게 되었어. 이게 전설의... 직업병이란 녀석!?"[4] 将人[5] 大輝[6] 祐翔[7] 颯太[8] 일러스트를 보면 리모컨을 들고 있고, 뺨에 반창고를 붙인 오빠가 위에 거론한 막내 오빠 소타로 보인다.[9] 多摩川緑地野球場[10] 호시이 미키, 타카야마 사요코, 텐쿠바시 토모카, 나가요시 스바루, 니카이도 치즈루[11] 나가요시 스바루, 나나오 유리코, 모가미 시즈카[12] 사지타리우스(토코로 메구미, 마이하마 아유무, 마카베 미즈키), 피스케스(시노미야 카렌, 텐쿠바시 토모카, 니카이도 치즈루), 비르고(나가요시 스바루, 나나오 유리코, 모가미 시즈카, 아쿠아리우스(키타카미 레이카, 줄리아, 타카야마 사요코)[JellyPoPBeans] 로코, 마이하마 아유무, 나가요시 스바루, 스오 모모코[JellyPoPBeans] [Chrono-Lexica] 나나오 유리코, 모치즈키 안나, 나가요시 스바루, 마카베 미즈키, 로코[Chrono-Lexica] [SHADEOFSPADE] 호시이 미키, 마이하마 아유무, 모가미 시즈카, 나카타니 이쿠, 시노미야 카렌, 나가요시 스바루, 후타미 아미, 에밀리 스튜어트, 키타자와 시호, 시라이시 츠무기, 가나하 히비키, 노노하라 아카네, 토요카와 후우카[6th] 시마바라 엘레나, 토쿠가와 마츠리, 에밀리 스튜어트, 키노시타 히나타, 나가요시 스바루[19] 나가요시 스바루, 타카야마 사요코, 마츠다 아리사, 니카이도 치즈루, 시노미야 카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