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6 03:15:30

NLAW

NLAW
Next generation Light Anti-tank Weapon
차세대 경량 대전차 무기
파일:external/www.army-technology.com/mbtlaw_1.jpg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대전차 미사일
원산지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folding 【펼치기 · 접기】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2009년~현재
개발 사브-보포스 다이내믹스
개발년도 2002년
생산 Thales Air Defence
생산년도 2009년~현재
사용국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사용된 전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세부사항
전장 1,016 mm
중량 12.5kg
구경 150mm
탄약 127mm 미사일
탄두 하향식 (HEAT)
유도 방식 PLOS
유효사거리 20 ~ 800m
최대 사거리 1,000m }}}
1. 개요2. 상세3. 작동 방식4. 유사 무기 체계5. 매체에서의 등장6. 외부 링크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NLAW(Next generation Light Anti-tank Weapon, 차세대 경량 대전차 무기)는 사브(Saab Bofors Dynamics) 사에서 개발된 대전차 미사일이다. 영국군의 도입 명칭인 MBT LAW(Main Battle Tank and Light Anti-armour Weapon)로도 알려져 있으며, 개발국 스웨덴에는 Robot 57이라는 명칭으로 도입되었다.

2. 상세

2002년 5월에 영국군ILAWLAW-80를 대체하기 위한 차세대 대전차 무기(NLAW, Next generation-LAW)로 선정되었다. 2008년 12월부터 배치되기 시작했다. 또한 개발국인 스웨덴을 비롯해 영국, 핀란드에서 운용 중이다.

직접타격과 탑어택 모드가 있다. AT4 CS처럼 후폭풍이 적어 실내에서 외부에 위치한 목표를 향해 5초 내 발사가 가능하다. 후폭풍과 포구화염을 줄이기 위해 저속으로 발사관에서 사출하여 일정 거리 진행 후 로켓이 점화되는 콜드 런칭 방식을 사용한다.

또다른 특징은 PLOS (Predicted Line of Sight, 예측 시선)라는 유도 방식인데, 스스로 목표를 추적하거나 외부 지령을 받지 않고, 이름처럼 미리 예측된 경로를 따라 날아간다. 즉 비행 중에는 목표물을 추적하지 않고, 목표물이 방향을 바꾸든 말든 오로지 발사 시에 정해진 대로만 날아간다. 따라서 Fire & Forget이 가능하다.

사수가 몇초간 목표를 추적하면 발사관은 사수가 목표물을 조준하는 각속도 기록을 분석하여 예측된 타격 지점까지의 곡선 비행 경로를 미사일에 세팅한다. 발사 이후 비행 경로는 변경되지 않으며, 소형화된 IMU 센서들과 연동된 자동 비행 제어 방식을 이용해 미사일이 해당 경로를 따라 비행한다. 고정된 경로로 날아가다 보니 날아가는 동안 목표물이 속력과 방향을 바꾸면 빗나갈 수 있지만, 기껏해야 비행 시간이 수초 이내인 적당한 거리의 저속 목표물에 대해서는 다른 유도 방식 대비 빠른 발사 준비 시간이나 가격 측면에서 합리적인 방식이 될 수 있으며, 탄체를 직접 요격하는 하드킬 방식을 제외한 적의 대응수단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간혹 NLAW의 탄체는 목표물을 직접 추적하여 유도되지 않으며 그저 미리 정해놓은 예측 타격 지점으로 날아가기 때문에 NLAW는 미사일이 아니라는 항간의 오해가 제기되기도 했었지만,[1] 마찬가지 논리라면 움직이는 목표물을 추적하는 게 아니고 고정된 위치에 항법 유도되는 대부분의 탄도미사일, 순항미사일은 미사일이 아닌 게 되므로 옳지 않은 얘기이다.[2] 애초에 구식의 유선 지령유도 대전차 미사일보다 제조에 있어서 복잡도가 더욱 높기도 하거니와, 디지털 프로세싱까지 접목된 물건인 마당에, 응당 제조사 및 운용국 당사자들 모두가 공식적으로 NLAW를 '미사일'로서 분류하고 있다.

사격 영상 NLAW는 온갖 아이디어를 짜내서 저렴한 가격과 높은 명중률, 보병 생존성을 조화시켰다. 제조사 측은 현존하는 모든 전차의 뚜껑을 딸 수 있다고 주장한다. 탄속도 꽤 빠른 편이라 미사일은 발사 후 일반 사거리(600m) 기준 2.5초내에 목표물에 도달한다.

무게도 12.4kg으로, 동급 무기체계에 비해 가벼운 편이다. 비슷한 크기를 지닌 FGM-148 재블린은 총 무게가 20kg를 넘는다. 조준방식의 특성상 재블린에 비해 유효한 사거리는 짧지만 그 대신 싸고 가볍게 만들 수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현대의 3세대 전차를 격파할 수 있는 보병용 대전차수단으로서 재블린이나 현궁은 장거리에서 전문 대전차분대가, NLAW는 근거리에서 하이로우 믹스 하여 운용할 수 있다.

파일:법봉.gif

그림의 황색 원통 같은 부품이 탄두로, 전차의 상면장갑 공격(탑 어택)을 위해 표적 상방에서 수직 아래쪽으로 HEAT를 발사하는 방식이다. 같은 플라이바이 방식으로 상부공격을 하는 대전차미사일로는 FGM-172 SRAWTOW-2B, RBS 56 BILL 등이 있다. SRAW는 NLAW의 경쟁자로서 유사성이 많으며 NLAW처럼 탄두가 하나 뿐이지만 EFP를 사용하며, TOW-2B는 반응장갑 대응을 위해 아래를 향한 탄두 두 개가 연속적으로 발사되는 탠덤 방식이다.

반면 FGM-148 재블린이나 현궁 등의 대전차 미사일은 탄두 방향이 수직이 아닌 수평 방향이며, 탑어택을 위해서는 고도를 올렸다가 고각으로 전차의 상면에 직접 내려찍어 관통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탑어택 방식은 직접타격시에도 우수한 관통력을 내며, 빠른 탄속으로 능동방어장치도 무시할 수 있고 뛰어난 유도 성능을 이용한 확실한 살상력을 보장한다. 다만 발사체가 복잡한 기동을 하면서 목표를 추적하므로 높은 기술력이 필요하여 가격도 상승하고 무게도 증가한다.

탄두가 수직 아래로 향해 있어 직접타격 모드에서는 위력이 크게 떨어진다. HEAT 없이 단순 폭발과 파편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경장갑차량이나 고정화점에만 유효하며 전차에는 피해를 입힐 수 없다. 모드에 관계 없이 조준 시간이 매우 짧으므로, 유연성이 뛰어나다.

파일:external/www.thinkdefence.co.uk/NLAW_Training_Aid_MOD_45149588-e1464297351386.jpg

영국군의 경우, 전용 조준경으로 트리지콘(Trijicon) 사의 TA41-NLAW-CW 2.5배율(2.5x20) ACOG가 사용된다. 해당 조준경은 미사일의 유도 체계와 연동되는 별도의 고급 기능이 있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목표물을 조준하는 용도이며, 사용 후에는 발사기와 함께 버릴 수 있도록 저렴하게 제작되었다. 간혹 사용된 NLAW에서 떼어서 레일마운트와 결합하여 카빈에 장착하는 경우는 있으나, 역V자형 조준점만 있을 뿐 거리 표시선과 같은 소총용 ACOG의 기능은 없으므로 개인화기 사용에는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빈자의 전쟁인 우크라이나 전쟁 특성상 총기 광학조준경이 극도로 부족하기 때문에 어차피 버려지는 NLAW의 조준기를 뜯어다가 총에 부착하는 일이 우크라이나건 러시아군이건 가리지 않고 종종 보이는 중.아예 없는것보단 나으니까 심지어 러시아 국내 시장에도 풀리고있다.

가격은 대략 2만 영국 파운드니 3천 200만원 조금 넘는 수준이다. 한 기당 1억이 넘는 한국의 현궁 미사일에 비하면 1/3도 안된다. 단 1회 발사 후 재사용이 안되고 버리는 방식이다.[3] 무유도 대전차 로켓이 아닌 대전차 미사일로는 가장 가볍고 가격이 싼 축에 속한다. 다만 사거리가 짧아서 재블린, 현궁, 스파이크 같은 2~4km 사거리 체계와는 일장양단이 있다. 사거리가 짧을 수 밖에 없는 시가전이나 숲속이라면 당연히 NLAW가 유리하다.

사거리로 따지자면 NLAW는 기존 대전차 미사일보다는, 1000m 이내 사거리를 지닌 대전차 로켓과 포지션이 상당수 겹친다. 대전차 로켓이 이름과는 달리 최신 주력전차의 전면장갑을 관통시키기 어려워지는 추세에[4] 갈수록 보병전 화력 요구치가 올라가면서 대전차 로켓으로 개발된 병기들을 대전차전이 아닌 박격포 대용인 보병지원 화기로 더 많이 쓰는 화력 인플레에 직면하면서, NLAW같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단거리 대전차미사일이 기존 대전차 로켓의 위치를 차지하게 될 수도 있다. 이를 증명한 전장이 하술할 우크라이나 전쟁이다.

2021-2022년 우크라이나 위기에 영국이 우크라이나에 2천 기가량을 제공하였고 확전 이후 러시아군 전차를 격파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전쟁 초기에 재블린과 함께 우크라이나의 성창 두자루라 불렸을 정도. 그래서 비틀즈의 노래 All You Need Is Love에 빗대어 All We Need Is NLAW라는 밈까지 생겨났으며, FGM-148 재블린보다는 덜 알려졌지만 이쪽도 이콘처럼 그린 그림이 존재한다.[5] FGM-148 재블린과 함께 수가 더 많은 로우급인 일종의 하이로우 믹스로 운용되고 있고 기존 대전차 로켓 운용방식대로 시가전 시 직사로 쏘는 상황에서 특히 유용하다고 알려진다. 구조상 직사로 쏴도 전차 포신보다 높기만 하면 타겟 탑어택이 가능하기 때문. 즉 단순한 하이로우 믹스를 떠나, 더 먼거리에서 곡사로 미사일이 직접 탑어택을 날리는 재블린이 취약한 근거리에서의 대전차 공격을 커버하기 위해 혼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것이다. NLAW를 대량으로 받아오는 우크라이나 병사의 사진이나 동영상, 기갑 장비를 파괴한 인증샷#이 등장하는가 하면, 전시소집된 우크라이나의 예비군들도 러시아 기갑전력을 상대로 한 대전차전을 강조해서 교육받고 있다고 한다.(우크라이나어 교육 동영상)[6] 다만 재블린에 비해 평가가 낮은 편인데 전체적으로 재블린을 더 선호하는 편이다.#

물론 본질적으로 가까이 붙어서 쏘는 사수측의 위험부담도 크다. 겨우 수십미터 떨어진 갓길에서 로켓이 날아와 러시아 전차 한 대가 터지자 후속 전차가 즉시 반응하여 발사점에 포격, 사람이 도망갈 수 있으리라고는 보이지 않는 커다란 화구를 만드는 영상도 돌아다닌다. NLAW의 단점이라기보다는 단거리 대전차화기의 한계. 전술적으로는 보병 한 명과 전차 한 대를 교환하는 것일지 몰라도 용감하고 유능한 사람들부터 죽어나간다.

하드웨어적인 단점으로는 반응체계가 단순하기 때문에 목표 전차의 포신과 사수의 방향이 일치한 상황에서 발사할 경우 날아가던 미사일이 포신에 반응해 전차 전면에서 터져 탄두가 땅에 박히는 명중실패 사례가 간혹 발생한다고. 또한 배터리 용량 문제 때문에 발사에 실패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우크라이나군이 자체적으로 배터리를 현지개수하고 있다고 한다. 전쟁 이후에는 실제 사용 사례와 전훈을 반영해서 여러가지 개량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우크라이나가 공세에 나서면서는 존재감이 없어진 편. 대전차미사일이라는 특성 때문에 방어보다 공격에는 활약하기 힘든데다가 재블린은 장거리에서 공격할 수 있다 보니 꾸준히 이야기가 되지만 단거리에서 사용해야 하는 NLAW는 아무래도 공세적 전황에서 활약하기가 힘들어진 것.

3. 작동 방식


PLOS (Predicted Line of Sight, 예측 시선[7])이라는 간소화된 유도 방식을 넣어서 무유도 대전차 로켓보다는 조준 정확도를 높이면서 지령유도[8]/호밍유도[9] 미사일보다는 가격을 낮추고 무게를 줄였다. 조준경 또한 소총용 망원조준경인 트리지콘 사의 ACOG의 염가형(TA41-NLAW-CW)을 도입해 채용하여 조준도 간단하다.
파일:NLAW 작동 영상.gif
파일:NLAW 탑어택.png
아래 방향으로 설치된 HEAT 탄두가 자기/광학 센서를 이용해
목표물의 상부에서 격발된다.출처(milidom)

발사 방식은 순서대로 이렇다.
사수가 발사기를 들고 목표를 조준하는 움직임의 각속도를 측정하여 타격 예측 지점까지 리드된 비행경로를 계산하며, 발사 후에도 미리 설정된 해당 비행 경로대로만 날아가는 방식이다. 재블린이나 현궁처럼 발사 전에는 조준기(CLU)의 열상 이미지로 목표물의 테두리를 인식하고, 발사 후에도 발사체의 선두에 탑재된 적외선 영상탐색기(IIR Seeker)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비행 경로를 보정하면서 목표물을 따라가는 고급 유도 방식은 아니다. 대신 상대방 장비에 탑재된 소프트킬 방식의 대응 수단에는 교란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비행경로를 지나가며 발사체에 내장된 자기/광학 센서가 전차인 것으로 감지한 물체에 대해 폭약이 격발되므로, 경로 중간에 전차와 비슷한 특성의 다른 물체가 있으면 그것을 공격할 가능성이 있다. 물론 거리 설정을 해주면 해당 거리에 도달하기 이전에는 근접 신관의 센서가 비활성화되어 어느정도 오폭을 방지할 수는 있다지만,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전차 정면을 향해 쐈는데 아직 차체 중심부까지 도달하기 이전에 돌출된 포신이나 정면 반응장갑 부분을 감지하는 즉시 터져 해당 부위만 파손되고 전차가 완전 격파되지는 않은 실전 사례가 보고된 적이 있다.

이렇듯 유도 과정과 기동을 단순화하여 얻은 장점도 매우 크다. 우선 가격 상승을 억제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영국 조달가가 1기 당 3,200만 원 정도. 재블린은 1억 1천, 현궁은 1억 정도임을 감안하면 매우 저렴하다.

발사까지 수십 초가 걸릴 수 있는 대다수의 대전차 유도 미사일들과는 다르게 몇 초만에 발사가 가능하여 사수의 생존성을 크게 높였다.

발사 과정도 단순하여 몇 분의 교육이나 간단한 매뉴얼 숙지만으로도 바로 쓸 수 있다.[12] 재블린은 긴 사거리에 다양한 기능을 가지지만 그만큼 숙련도가 필요하다.

고속으로 움직이는 목표나 회피기동을 하는 목표에는 명중률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는데, 이는 저렴한 미사일의 어쩔 수 없는 문제다. 무유도 대전차병기와 비교하면 압도적인 명중률과 최대사거리를 가진다. 일반사거리 600m, 최대유효사거리 800m는 정밀한 대응수단을 가지고 있더라도 제압하기 몹시 까다로운 거리다.

나열한 장점만 보더라도 얼마나 심혈을 기울여 개발하였는지 짐작할 수 있다. 재블린처럼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큰 전과를 올리고 있다.

4. 유사 무기 체계

5. 매체에서의 등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바주카(도미네이션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외부 링크

SAAB의 제품 소개

7. 둘러보기

파일:스웨덴 국기.svg 현대의 스웨덴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000080> 현대의 스웨덴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000080> 소총 <colbgcolor=#000080> 돌격소총 Ak 4, Ak 5, Diemaco C8SFW, G36K/36C, LWRC M6IC, Ak 416, Ak 24
지정사수소총 Ak 5B, Ak 417
저격소총 Psg 90, Psg 08(TRG-42), Ag 90
기관단총 Kpist m/45, MP5, Kpist MP 7
산탄총 Förstärkningsvapen 870
권총 Pistol 88/88B, P229
지원화기 기관총 Ksp 58, Ksp 90, Tksp 12,7 mm
유탄발사기 M203, Grsp 40 mm
대전차화기 Grg m/48, Grg m/86, Pskott m/86, Rb 57, RBS 55, RBS 56, Pvpj 1110
박격포 m/84, m/41D, Pansarsprängvinggranat m/94
맨패즈 RBS 70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영국 국기.svg 현대 영국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현대의 영국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colbgcolor=#fefefe,#191919>L85A2, L85A3, L22A2, C7, C7A1, L119A1, L119A2, SCAR-H, M6A2 UCIW, MCX, L403A1
지정사수소총 L86A2, L2A1, L129A1
저격소총 L115A1, L115A3, L118A1, L118A2, L121A1, AWC, AX50, L135A1 LRPAS
기관단총 L2A3, L34A1, L80A1, L90A1, L91A1, L92A1
산탄총 L128A1, L74A1
권총 L9A1, L105A1, L106A1, L107A1, L117A1, L131A1, L137A1, P230, P11
지원화기 기관총 L108A1, L108A3, L110A2, L7A2, L111A1, M3M, Mk.44
유탄발사기 L17A1, L123A2 UGL, L134A1
대전차화기 L4, L6, LAW 80, ILAW (L2A1), MBT LAW, FGM-148, L2A1 ASM
박격포 M6-895, L16A2
맨패즈 Javelin, Starstreak HVM
비치사성무기 ARWEN 37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핀란드 국기.svg 현대 핀란드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0px;"
핀란드 방위군 (1945~현재)
Puolustusvoimat | Försvarsmakten
<colbgcolor=#FFF><colcolor=#002F6C><colbgcolor=#FFF><colcolor=#002F6C>102 RsLPstOhj NLAW | PstOhj 2000(M) | PstOhj 83(MR/MA/MB) | PstOhj 82MR | PstOhj 82R
탑재형
기갑차량
빅커스 비질런트R
공대지
고정익기
AS.11R
'''[[지능탄|
유도포탄
]]'''
지대지
BONUS 155 (155mm, K-9 FIN)
공대지 (ALCM)
AGM-158A JASSM
함대함
{가브리엘 V} | RBS 15 Mk.(2/3) | P-15UR
지대함
RO 06 | MTO 85(M) | MTO 66R | RO 63R
'''[[어뢰|
어뢰
]]'''
경어뢰
{Tp 47 SLWT} | Tp 45
보병
ItO 15 | ItO 05M | ItO 86(M)R | ItO 78R
차량
ItO 05 (유니목 ASRAD)
단거리
XA-181 ItO 90M
중거리
ItO 12 NASAMS 2 | ItO 96R | ItO 79R
장거리
{다비즈 슬링}
'''
개함방공
'''
{RIM-162C ESSM 블록 2} | 움콘토-IR Mk.2
단거리
AIM-9(M/X) 사이드와인더 | AIM-9(B/P-2)R | AIM-4(F/G) 팰콘R | R-60R | R-13MR | R-3SR
'''
중장거리
'''
AIM-120(B/C-7) AMRAAM
유도폭탄 AGM-154C JSOW | GBU-(32/38) JDAM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현대 우크라이나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우크라이나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2478ff> 소총 <colbgcolor=#2478ff> 볼트액션 <colbgcolor=#FFFFFF,#191919>모신나강, PTRD-41
반자동소총 SVT-40, SKS, SUB-2000D, Springfield Saint, NEA-15, POF P415, 루거 AR556, Adams Arms P1D MSR-15, POF 레볼루션, KMR-A, PTRS-41, 루거 SFAR
돌격소총 StG44, AKM, AKMS, AK-63D, 56식 자동소총C, PM md. 63.D, AR-M9D, MPi-KM-72, AK-74*, PM md. 90.D, AKS-74U, Vepr*, AK-74MC, KM-AKC, AK-103C, AK-12C, FNCD, Vz.58D, M70D, M14D, M16A2D/M16A4D, G3D, FN FALD, M4A1D, G36KD, SCAR(L/H)D, F2000D, Wz.88D, C7(A1/A2/NLD)D, MSBS GrotD, SIG516, H&K HK416D, QBZ-97, DDM4, ARX-200, M5 카빈D, MDRX, ACARD, CETME LD, FAMASD, XCR, IWI Zion-15
저격소총 Fort-301*, Z-008, VPR-308*, Z-10, SVD, SVDMC, 85식 저격소총, PSL, M82*, M99, M107A1, ZVI 팔콘D, AW308D, AXD, 레밍턴 M700D, FR-F2D, M98D, SV-98C, T-5000C, OSV-96C, KSVKC, WKW WilkD, HLR 338D, Snipex T-Rex, Snipex Rhino Hunter, Snipex Alligator, Snipex 모노마흐, Snipex M100, Savage 10, Savage 110, M21 SWSD, M24 SWSD, SIG SSG-3000*, SRS-A1, HTI, TAC-50, C14D, LRT-3D, CADEX CDXD, RPR*, RAR*, SIG100*, SIG CROSS, R93*, 부시마스터 BA50, BFG-50, PGM 헤카트 II, FA-50T, TASCO 7ET3
기관단총 PPSh-41, PPS-43, 톰슨 기관단총, MP40, 칼 구스타프 m/45, Vz.23, MP5*, Vz.61D,KRISS VectorD, UZID, Z-84 Corto, 루거 MP9*, Fort-230, 보르즈 기관단총, PM-63D, SP9, Aselsan SA-9
권총 PM, Makarych*, TT-33,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4, PPK, 발터 P22, P08, VIS Wz.35, PSM*, Fort-12*, Fort-14TP, MP-443C, GSh-18C,CZ75D, CZ P-07D, P-10CD, M9D, R7 MakoD, SFP9D, SIG P320, Canik TP9, PL-15C
지원화기 기관총 DP-27, DP-28, 마드센 경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SGMT, RPK, RPK-74, 자스타바 M72, PK, PKM, 자스타바 M84D, MG-1MD, Mayak K(T/M/TM), PKPC, KordC, KPVC, DShK, DShKM, NSV, PM M1910, RPD, Vz.59D, MG34, M53D, CETME AmeliD, MG3, MG42/59D, M60, Ksp 58D, C6D, M240D, FN 미니미D, C9D, C9A2D, M2(A1)D, AN/M3D, M249D, M249E3D, W85, UKM-2000PD, AAT-52D, PZD 556D, MG5D, Laska K2, Ares Shrike, M134D, MMG556D
유탄발사기 UAG-40*, 댜코노프 총류탄, AGS-17, AGS-30C, RGM-40, RG-6C, GP-25, GP-34C, Fort-600, GM-94C, Mk.19 Mod.3D, M32D, RGP-40D, AG36D, M320(A1)D, M203D, UGL-40, GMGD, FN40GLD, RDS40D, 팔라트D, M11 RGDD, RG-1
대전차화기 대전차로켓 RPG-7, RPG-7V, RPG-7D, 69식 화전통, ATGL-L, LGL-7D, PSRL-1, PzF 3D, RPG-16, RPG-18, RPG-22, BULSPIKE-AT, DRTG-73D, M80 Zolja, M72A5, NM72F1, M72 ECD, RPG-26, RPG-27, RShG-1, RPG-29, RPG-30C, RPG-32, RPG-76D, SMAWD, M141 BDMD, RGW-90D, APILASD
대전차 미사일 Corsar, 스키프, 쉐르쉔, 아뮬렛, 9K115-2, 9M113, 9K111, 9K135C, NLAW, FGM-148, 밀란 대전차 미사일D, TOWD, RBS 56D, 아케론 MPD
무반동총 SPG-9 "Spis", AT4D, 칼 구스타프 M4D, C90D, Pvpj 1110D, Alcotán-100D, RPO-A, RPV-16, RPG-75(M)D
박격포 82-BM-37, KBA-118, KTH1, LMR-2017D, m/68D, M224 LWCMSD, 63식D, MP-60, M60-16, UB-81, UPIK-82, M60CMAD, KBA-48M, M69A, 20N5D, 2B9, 2B14, M252 MERMD, HM-16, HM-19, M84D, 2B16, Vz.82, М120-15, 2S12, 120-PM-43, MP-120, M74D, 120 KRH 92D, Mod.63D, MO-120-HBD, M120 BMSD, M240
견인포 122mm 2A18 D-30, 85mm D-44, 85mm D-48, BS-3, 100mm 2A19 MT-12, 152mm M1955 D-20, M-46, 150mm 2A65, 152mm 2A36, M2A1D, M101D, {M114}D, M119D, L119D, M777D, FH70D, TRF1D, Mod.56D
대공포 보포스 40mm 포D, 57mm S-60, KS-19, L/70D, ZU-23, 자스타바 M55D, 자스타바 M75D, 72-K, 오리콘 GDF, {MANTIS}
맨패즈 9K310, 9K38, PiorunD, 9K32, 9K34, FIM-92, Starstreak HVM, 미스트랄D, LWM 마틀렛D, SungurD, RBS 70D, Anza 2D
자폭 무인기 스위치블레이드 300/600D, 피닉스 고스트D, UJ-32 Lastivka, 라텔-S
지뢰 TM-57, TM-62M, PTM-1, PTM-3, MON, OZM-72, AT2D, DM12 PARM-2D, PTKM-1RC, DM-31D, M18A1D, Mini HailstormD, POMZ, PFM-1, HPD-2A2D, M/47D, M/56D, Mi AC AH F1D, FFV-028D, M/52D, PMN, RAAMD, PK-14D, PT Mi-BaD, C-3-BD, M86 PDMD, YaRM, L9A1D, M15D, M21D
폭약 M112D, M/97D, KZ-6, C4D, PENOD, M1 관형폭약D, M2A4D, UR-83P, Minröjningsorm 1D, AO-1Sch, UYA-95-1.5
수류탄 F1 수류탄, RG-42, RGD-2, RGD-5, RKG-3, M67, OF 37, DM41D, DM51D, DM61D, M/54D, L109D, RGR, RG-60TB, Sirpalekäsikranaatti M50D, F1D/N, GHO-1D, Mecar M72D, M50 P3D, NR20C1D, PGN-60
비치사성무기 M18D, DG-01, L83A2, L84A3, Zarya-3, UDSh, M4A2
<colbgcolor=#ffe400> 특수전 화기 소총 돌격소총 Fort-221, Fort-223, Fort-224*, MCX, ACR, AS Val, ASM ValC, Malyuk, WAC-47, Z-15, Fort-227, Fort-228, Fort-229, CZ 브렌 2D, AUG HBARD, AK-105C, C8D, 헤넬 MK556, CR 308D. DD Mk.18D,SIG716, 콜트 M933, HK433
저격소총 VSS, TRG-22, T3, TS.M.308, TS.M.338, HS.50, M110 SASS, CheyTac Intervention, Horizon's Lord, 베레타 Victrix Corvus*, 바렛 MRAD, SAN 511*, Mk.14 EBRD, HK417D, VSSKC, M1500
특수소총 APS
기관단총 스콜피온 EVO 3, P90, PP-91C, MPX, APC9 PRO*, B&T MP9*
산탄총 Saiga-12*, Fort-500, Fort-500T, Fort-500M*, KS-23, 모스버그 500D, 베넬리 M4D, TOZ-87, BTS12*, RS S1, CZ1012, Target X7, M26 MASS, Sierra 12, KSG
권총 스테츠킨 APS, SPP-1, Fort-17, Fort-20, Fort-21, PB, 글록 17/19/45D, Fort-15, 나강 M1895, CZ82D
기관총 Fort-401
수류탄 RGO, RGN, Mk.14 Mod 0 ASMD, RGT-27S, RGT-27S2
*: 우크라이나 내무부 예하 및 준군사조직에서 사용
C: 노획 장비
D: 여러 국가들에서 지원물자로 기증
{중괄호}: 도입 예정 장비
N: F1 수류탄과 이름만 같은 현대적인 호주산 수류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현대의 인도네시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인도네시아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colbgcolor=#ff0000> 돌격소총 SS1, SS2, SAR-21, AK-47, 56식 자동소총, Vz.58, AK-101, BM59, M16A1, M16A2, M16A4, M4A1, K2, 갈릴, G36C, FAMAS F1, AUG, SS552, G3, HK416
지정사수소총 갈라츠, MSG90, HK417
저격소총 M24, SPR-1, SPR-2, SPR-3, SSG 69, M93, PGM 헤카테 II, NTW-20, L96A1, AW, AWM, M82A1
특수소총 APS
기관단총 PM1, PM1A1, PM2, K7, 마이크로 우지, Vz.61, P90, MP9, MP5, MP5SD, MP7A1, CZ 스콜피온 EVO 3, K1
산탄총 M3T, SPAS-12
권총 P1, P2, G2, HS2000, Mk.23, M1911A1, P226, 92SB, 92F, Five-seven, G17, G19, K5, PPK
지원화기 <colbgcolor=#ffffff,#191919> 기관총 울티맥스 100, SM2, K3, SPM2, M60, M134D, SMB-QCB, DShKM, M2HB
유탄발사기 SPG3, AG36, M79, M203, SPG1, M32
대전차화기 RPG-7, M2CG, C90-CR (M3), M80 Zolja, NLAW, AT4, FGM-148, AT-13, PF-89, PF-98
박격포 W87, 81 KRH 71 Y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현대 말레이시아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000066><colcolor=#FFCC00><colbgcolor=#000066><colcolor=#FFCC00>NLAW | ERYX | 9K115-2 메티스-M | 모스키토R
탑재형
기갑차량
카라오크 | ZT3 잉웨 | 박타르 시칸
공대지
고정익기
AGM-65(F/G) 매버릭 | Kh-29(TE/L)
공대지 (ALCM)
Kh-59ME
{{{#!wiki style="margin: -0px -7px"
함대함
{NSM} | MM40 블록 2 엑조세 | 오토마트 Mk.2 | MM38 엑조세R
잠대함
SM39 엑조세
공대함
AGM-84A 하푼 블록 1A | Kh-31A | 시스쿠아
어뢰
경어뢰
A244-S
중어뢰
A184 블랙샤크
보병
FN-6 | 안자 Mk.(I/II) | 재블린 S15
차량
스타스트릭 (래피드 레인저 체계) | 9K38 이글라 (GK-M1 등)
단거리
레이피어 Mk.2 FSC
'''
CIWS
'''
사드랄
'''
개함방공
'''
{VL-MICA EM} | GWS.26 시울프 | 아스피데 | GWS.20 시캣
'''
단거리
'''
AIM-9(X/S) 사이드와인더 | R-73E | R-60M | AIM-9(B/P-4)R
'''
중장거리
'''
AIM-120C-5 AMRAAM | R-77 | R-27(R1/ER1) | AIM-7M 스패로우
Kh-31P
유도폭탄 GBU-38 JDAM | GBU-12 페이브웨이 II | KAB-500L | KAB-1500L)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colbgcolor=white,#191919>AK-47, AKM, 56식, M70, AK-74, wz.96, M16A2, M16A4, M4, C7
저격소총 SVD, PSL, SR-25, M24
기관단총 PM-63, MP5
권총 TT-33, 마카로프 PM, 베레타 M9, 스테츠킨 APS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RPD, RPK, PK, PKM, M249, M240, FN MAG
중기관총 DShK, SG-43, KPV, M2HB, M134
대전차화기 RPG-7, 9K115-2, M47, NLAW
의장용 화기 모신나강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현대 아프가니스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이슬람 토후국군 보병장비(1994 ~ 현재)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colbgcolor=white,#191919>AK-47, AKM, 56식, M70, AK-74, wz.96, M16A2, M16A4, M4, C7
저격소총 SVD, PSL, SR-25, M24
기관단총 PM-63, MP5
권총 TT-33, 마카로프 PM, 베레타 M9, 스테츠킨 APS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RPD, RPK, PK, PKM, M249, M240, FN MAG
중기관총 DShK, SG-43, KPV, M2HB, M134
대전차화기 RPG-7, 9K115-2, M47, NLAW
의장용 화기 모신나강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현대 사우디아라비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사우디아라비아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colbgcolor=#fefefe,#393b42>G3, HK33E, G36, AUG A1, M16A1, M4A1, SCAR-H, F2000, AK-103, PM Md.63/65
저격소총 PSG1, SSG 69, AWM, AWP, M93, M107, M107A1, RC-50
기관단총 MP5, P90
권총 하이-파워, G17, P226
지원화기 기관총 MG3, MG4, FN MAG, FN 미니미, SS-77, M2HB
유탄발사기 M203, AGS-30
대전차화기 현궁, NLAW, FGM-148, 9M133, C90-CR, RBS 56B, BGM-71
박격포 M224, 2R2M, MO-120-RT-61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러시아 국기.svg 현대 러시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ffffff,#191919> 현대의 러시아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ffffff,#191919> 소총 <colbgcolor=#ffffff,#191919> 볼트액션 모신나강
반자동소총 SKS
돌격소총 AKM, AKMS, AK-74, AK-74M, AK-74MR, AKS-74U, AK-12, AK-15, A-545, A-762, AN-94, MalyukC, C7A1C
저격소총 SVD, SVDM, SV-98, T-5000, T-5000M, Tochnost, OSV-96, M95C, M98C
권총 MP-443, MP-446, PL-15, GSh-18, PM, PMM, Fort-12C, Fort-17C
지원화기 기관총 RPK-74, RPK-74M, RPK-16, PKM, PKP, PKP-SP, NSV, Kord, KPV, 73식 대대기관총
유탄발사기 GP-30, GP-34, DP-64, RG-6, AGS-30, AGS-40
대전차화기 대전차 로켓 RPG-7V2/V1/D, RPG-26, RPG-27, RPG-28, RPG-29, RPG-30, RPG-32, RPG-76C, RPO, M72 LAWC, PSRL-1C, PzF-3C, M141 BDMC, MATADORC
대전차 미사일 9K111, 9M113, 9K115(115-1), 9K135, FGM-148C, MBT LAWC, MILANC
무반동총 SPG-9, AT4C, 칼 구스타프 M4C
박격포 2B9, 2B14, 2B25
맨패즈 9K38 Igla, 9K338 Igla-S, 9K333, FIM-92C, PPZR GromC
수류탄 RGD-5, RGO, RGN, M67C
지뢰 PFM-1, POMZ, PTKM-1R
휴대용 무인기 Orlan-10, KUB-BLA
특수전 화기 소총 돌격소총 AS Val, OTs-14, AK-103, AK-104, AK-105, AK-107, MR556, M4A3, AS-15, ASh-12.7, SR-3, A-91, 9A-91, OTs-12, AM-17
저격소총 VSS, SSG 08, HK417, G28, AWSM, VSSK, MTs-558, DVL-10, SVDK, SVLK-14S, KSVK, MTs-572, HS.50, AI AXC
특수소총 ADS, APS
기관단총 AEK-919K, SR-2, PP-93, PP-2000, PP-19, PP-19-01, PP-90M1, OTs-02, PP-91, MP5, MP7A1, MP9
산탄총 KS-23M, KS-23K, 18,5 KS-K, Vepr-12
권총 PB, PSS, Glock 17, SR-1, APS, OTs-23, OTs-33, OTs-38, SPP-1
기관총 AEK-999, GShG-7.62, PM M1910
유탄발사기 GM-94, RGS-50
냉병기 도검 6Kh2, 6Kh3, 6Kh4, 6Kh5, 6Kh9(9-1), NRS-2
C: 노획 장비}}}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685050><colcolor=white>북미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남미
서유럽
'''
중부유럽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북유럽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동유럽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
남아시아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
중앙아시아
'''
서아시아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
오세아니아
'''
아프리카}}}}}}}}}}}}


[1] 특히,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발발 이후 유튜브 건들건들이 NLAW를 주제로 다루었던 영상 덕분에 NLAW는 유도 미사일이 아니라는 오해가 한국에 널리 퍼졌는데, 영상에서는 NLAW의 비행 경로는 다른 대전차 로켓과 다를 바 없는 직선이라고 하거나, 사격통제장치 또는 탐색기가 발사전후로 표적을 자동 추적하는 방식이 아님에도 록온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등, NLAW는 커녕 유도무기의 기본 개념조차 정립되지 않은 잘못된 정보로 영상을 만들었다.[2] 미사일의 유도 방식을 크게 분류하면 GOT (Go-onto-Target, 움직이는 목표물로 이동, 즉 호밍 유도 또는 지령 유도)와 GOLIS (Go-onto-Location-in-Space, 고정된 위치로 이동, 즉 항법장치의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경로대로 유도) 두 가지 방식이 있으며 #, 대표적인 대전차 미사일인 BGM-71 TOWFGM-148 재블린은 전자, NLAW는 후자라고 볼 수 있다.[3] 재블린은 1회 발사 후 발사통은 버리고, 조준기는 재사용한다. NLAW는 발사통, 조준기 모두 버리는 방식이다. NLAW의 조준기는 재블린과 달리 고가의 장비가 아니라서 재사용의 가치가 크지 않다. 조준기가 발사통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어서 쉽게 떼어낼 수 있는 구조도 아니다.[4] 측후면 장갑은 여전히 관통 가능하지만, 지원 보병들까지 낀 작전에서 전차가 보병에게 옆구리나 뒤를 내주는 상황은 적군이 미리 매복해있는 시가전 외에는 기대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전차의 시야와 기동성을 방해하는 건물 따위가 없는 야전에서는 보병이 적 전차의 측후면을 잡는게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봐야한다.[5] 따지고 보면 재블린보다 훨씬 더 많이 보급된게 NLAW다. 당연하지만 재블린보다 몇배 더 싸기 때문이다.[6] 초창기 임시 매뉴얼에서는 +/- 버튼을 건드리지 말라고 해서 소소하게 화제가 되었는데, 교육 동영상에서는 조준기의 밝기 조절 버튼이라고 설명하고 있다.[7] 미사일과 목표물 사이의 선[8] 발사체 외부의 사격통제장치가 발사체에 지령을 주어 유도[9] 발사체가 직접 목표물을 탐색하여 유도[10] Against tanks and other armoured targets, the OTA (Overfly Top Attack) mode is used. In OTA mode, the missile flies about one metre above the line of sight. The warhead initiates above the target's most vulnerable part – the roof. #[11] Against non-armoured targets, the DA (Direct Attack) mode is used. The missile then flies on the line of sight. The sensors are disconnected and the warhead initiates on impact. #[12] ACOG 조준경은 역V자형 조준점만 표시하기 때문에 RPG-7이나 M72 LAW같은 기존 대전차 로켓의 대전차용 조준경보다 훨씬 보기 간단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