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20 19:23:08

금관

금동관에서 넘어옴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if 리스트 == null
{{{#!html 한국 경주에서 특수 제작되어 2025년 제2차 한미정상회담 중 미국 측에 전달된 금관}}}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 == null
[[2025년 제2차 한미정상회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2025년 제2차 한미정상회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2025년 제2차 한미정상회담#한국 측 선물|한국 측 선물]]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전달된 금관의 원본이 되는 국보}}}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2 == null
[[천마총 금관]]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천마총 금관#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천마총 금관#|]]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3 == null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4 == null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5 == null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6 == null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7 == null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8 == null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9 == null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0 == null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을}}}}}}
#!if 리스트 != null
한시적 넘겨주기로 연결되는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한국 경주에서 특수 제작되어 2025년 제2차 한미정상회담 중 미국 측에 전달된 금관: }}}{{{#!if 같은문서1 == null
[[2025년 제2차 한미정상회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2025년 제2차 한미정상회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2025년 제2차 한미정상회담#한국 측 선물|한국 측 선물]]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전달된 금관의 원본이 되는 국보: }}}{{{#!if 같은문서2 == null
[[천마총 금관]]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천마총 금관#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천마총 금관#|]]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if 같은문서3 == null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if 같은문서4 == null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if 같은문서5 == null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if 같은문서6 == null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if 같은문서7 == null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if 같은문서8 == null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if 같은문서9 == null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if 같은문서10 == null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


🎩 모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eee,#000>각모 · 갈모 · 감투 · · 개리슨 모 · 국민모 · 군모 · 굴레
나이트캡 · 남바위 · 너울 · 뉴스보이 캡
도깨비 감투 · 두건 · 듀렉
로가티프카
마녀 모자 · 맥주 모자 · 문라건 · 미니햇 · 밀짚모자
바이저 마스크 · 바이콘 · 버킷햇 · 베레모(군용) · 보닛 · 보터햇 · 볼러 · 부니햇 · 비니 · 비레타 · 빵모자 · 버즈비 · 복건 · 베어스킨 햇
사모 · 사방관 · 삿갓 · 샤워캡 · 샤코 · 샴푸캡 · 선 바이저 · 솜브레로 · 스냅백 · 상모 · 수병모
아얌 · 야구 모자 · 오스트리아식 야전모 · 와룡관 · 우샨카 · 움직이는 토끼모자 · 은박 모자
전모 · 전역모 · 전투모 · 정모 · 정자관 · 제모 · 조우관 · 족두리 · 전립주케토주립
초립 · 초선관
칸무리 · 키파 · 케피 · 케피예 · 코이프 · 캠페인 햇 · 카우보이 모자
탕건 · 터번 · 트리코른 · 탑햇 · 트릴비 햇
파파카 · 팔각모 · 패랭이 · 패트롤캡 · 페도라 · 페즈 · 프리기아 캡 · 플랫 캡 · 포크 파이 햇
학사모 · 학생모 · 헤어밴드 · 헤제트화관 · 휘항 · 흑립 · 홈버그 햇
👑
왕관
교황 삼층관 · 금관 · 네메스 · 러시아 제국 황제관 · 롬바르디아 철관 · 면류관 · 백라관 · 성 바츨라프 왕관 · 성 에드워드 왕관 · 성 이슈트반 왕관 · 신성 로마 제국 황제관 · 영국 제국관 · 오스트리아 제국 황제관 · 월계관 · 익선관 · 원유관(통천관) · 티아라
🪖⛑️헬멧M1 철모 · 6B47 헬멧 · 90식 철모 · IBH 헬멧 · PASGT 헬멧 · SSh-68 · 검투사 헬멧 · 공사장 헬멧 · 그레이트 헬름 · 면갑 · 방석모 · 방탄모 · 슈탈헬름 · 알틴 헬멧 · 야구 헬멧 · 오토바이 헬멧 · 자전거/헬멧 · 전차 헬멧 · 조종사 헬멧 · 철모 · 투구 · 풋볼 헬멧 · 프로텍 헬멧 · 피스 헬멧 · 피켈하우베 · 핫부리 · 헤드기어 · 아밍 캡 · 쿠스토디안 헬멧 · 간주형 투구 · 첨주형 투구 · 원주형 투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top: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82647 3%, #31b675 3%, #31b675 6%, #89236a 6%, #89236a 9%, #f9d537 9%, #f9d537 12%, #db4e9c 12%, #db4e9c 15%, #026892 15%, #026892 18%, #e7e6d2 18%, #e7e6d2 21%, #b82647 21%, #b82647 24%, #f8e77f 24%, #f8e77f 76%, #b82647 76%, #b82647 79%, #e7e6d2 79%, #e7e6d2 82%, #026892 82%, #026892 85%, #db4e9c 85%, #db4e9c 88%, #f9d537 88%, #f9d537 91%, #89236a 91%, #89236a 94%, #31b675 94%, #31b675 97%, #b82647 97%)"
한복{{{#!wiki style="margin-top: 7px; padding-top: 5px; border-top: solid 1px; border-color: #683235; color:#683235; min-height: calc(1.5em +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colbgcolor=#f5f5f5,#2d2f34> 남녀공용
상의 저고리 · 덧저고리 · 배냇저고리 · 색동저고리 · · 적삼 · 장삼 · 마고자
하의 바지
겉옷 반비 · 배자
신발 목화 · 진신 · 태사혜 · 당혜 · 운혜 · 수혜(꽃신) · 갖신 · 짚신 · 미투리 · 나막신 · 설피
기타 무복 · 버선 · 상복
남성용
평복 <colbgcolor=#f5f5f5,#2d2f34> 상의 사규삼
하의 잠방이
겉옷 (도포 · 두루마기) 창옷(소창의 · 중치막 · 대창의 · 학창의) · 심의 · 쾌자 · 답호 · 가사
예복 및 관복 단령 · 곤룡포 · 곤복 · 조복
융복 포졸복 · 구군복 · 철릭
모자 (흑립 · 주립 · 백립 · 초립 · 전립) · 삿갓(방갓 · 지삿갓 · 갈모) · 승관(고깔 · 낙관 · 비로관) ·감투 · 망건 · 탕건 · 패랭이 · 면류관 · 문라건 · 복건 · 사모 · 원유관 · 이엄 · 익선관 · 정자관 · 사방관 · 조우관 · 휘항 · 금관
전통장식 동곳 · 흉배
여성용
평복 하의 치마
겉옷 장옷 · 쓰개치마 · 머리처네
속옷 가슴가리개
예복 상의 당의 · 견마기
하의 스란치마 · 대란치마 · 갈래치마
겉옷 노의 · 원삼 · 활옷
모자 틀:전통여성모자 · 건귁
전통장식 가체 · 노리개 · 떨잠 · 비녀 }}}}}}}}}}}}

1. 개요2. 신라3. 가야4. 마한5. 백제6. 고구려7. 발해8. 고려 조선9. 외국10. 개별 문서가 있는 금관 목록11. 개별 문서가 있는 금동관 목록12. 개별 문서가 있는 금관모 목록

1. 개요

금관()은 황금으로 만든 관모를 말한다.

좁은 의미로는 순금 금관을 말하지만, 편의상 금동관, 은관 등 다른 금속으로 만든 유사한 형식의 관도 같이 금관이라고 통칭하기도 한다. 금으로 도금하거나 금박을 입히기도 한 청동금동관은 특히 한반도 남부 옛 마한 권역, 가야, 신라에서 많이 출토되는데 대체로 금제 관보다는 계급이 낮은 인물이나 지방세력의 지도자급이 사용한 듯하다. 흔히 왕관으로만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왕뿐만 아니라 고위 귀족층도 착용한 듯하다.

통상 금관이라 하면 신라금관을 떠올리는데, 고대 만주와 한반도의 다른 나라에도 금관 종류가 있었다.

금관이 금 장식이 아니라 금 자체로 만든 것이라 무거워서 쓰면 목이 버티지 못한다는 말도 있지만, 금관은 약한 진동에도 팔랑거려 반짝이도록 얇은 순금판들로 만들어서 그 정도는 아니다. 금관총 금관의 무게가 692 g, 천마총 금관은 1,262 g 남짓이라 한국군 현용 방탄모의 무게(1.1kg)와 큰 차이가 없다. 가볍지는 않으나 그렇다고 루머처럼 머리 위에 제대로 못 쓰고 다닐 정도로 무겁지는 않다. 진짜로 무거운 근대 서양의 가발이나 조선시대 여성의 가체에 비하면 양반이다.

현대에 신라 금관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을 조금 섞은 것이 밝혀졌다. 부위별로 순도가 조금씩 다른데 평균 순도는 19.3~21.1K였다고 한다. 기술력 부족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순도를 낮춘 것으로 보이는데, 철이나 구리같은 일반금속이 아니라 아니라 귀금속인 은이 들어갔기 때문이다. 이는 순도가 높은 금은 너무 무르기 때문에[1] 사용하기 불편하므로 은 합금으로 강도를 높이고, 은을 조금 섞어야 광택이 더 생긴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




2. 신라


파일:external/cfs11.blog.daum.net/48be59de10334&filename=%EA%B8%88%EA%B4%80%EC%9D%98%EB%B3%80%ED%99%94.jpg
파일:external/www.kyosu.net/13678_1960_546.jpg

신라 금관의 시대별 변천 과정


신라의 금관은 산(山) 모양 장식을 겹쳐올려 출(出)자 형태로 3단(금관총, 서봉총, 황남대총) 혹은 4단(금령총, 천마총)으로 겹쳐올린 입식을 세웠고, 뒤쪽에는 사슴뿔 모양 장식 한 쌍을 단 금관이다. 자세히 보면 아래 사진처럼 봉황 모양과 곡옥으로 화려하게 꾸몄다.

파일:신라 금관의 변천과정.png

초기에 선비족의 보요관 및 고구려의 금제관식과 유사한 깃털형이나 수지형 입식에 삼엽문이 표현된 관을 만들었다. 그러나 점차 이러한 형태의 관은 사라지고 수지형을 강조하는 쪽으로 나아가 신라만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형태로 발전하게 된다. 다만 7세기 금동관들은 금관의 위세적 기능을 흉내낸 모사품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작방법이 전반적으로 많이 조악하다. 금동판을 出자형으로 자르는 것부터 점렬문도 정교하지 않다는 등 여러 이유가 있다. 이미지 출처. 이로 인해 신라 금관은 '마립간 시기 경주지역의 대형적석목곽분에서만 발견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비슷한 형태의 금동관은 다른 지방에서 발견되기도 했다.[2]

금관의 착용 및 용도에 대해서 학계에는 2가지의 대표적인 견해가 있다. 첫번째는 북방계 샤머니즘적인 요소에 주목하여 시조묘 제사 등 국가의례에 쓰는 예식용 관이라는 주장이고 두번째는 장례용으로만 사용된 일종의 데드마스크라는 주장이다.[3]

예식용 관이라는 주장의 근거는 다음과 같다.
데드마스크라는 주장의 근거는 다음과 같다.
금관 장신구들의 상징성에 대한 해석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어쨌든 창작물에서는 특유의 멋과 개성있는 디자인 덕분에 그냥 통설대로 신라 왕이 머리에 쓰는 왕관 형태로 나오는 편이다. 의례용이 아닌, 일상용으로 쓰이는 왕관으로도 묘사된다.

파일:external/image.inews24.com/1258434049992_1.jpg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선덕여왕(이요원)이 착용한 금관.

파일:external/dimg.donga.com/49182203.4.jpg

대왕의 꿈에서 태종 무열왕(최수종)과 선덕여왕(박주미)이 착용한 금관.

파일:더 킹 - 황제복식4.jpg

더 킹 : 영원의 군주에서는 21세기까지 이어지는 가상의 대한제국 황제가 착용하는 왕관이 신라 금관과 서양 왕관을 섞은 듯한 모습으로 나왔다. 하지만 금관의 상징인 출(出)자 장식 크기가 작아졌고 실제 금관의 곡옥이나 드리개[12]가 없어졌다. 대신 서양 왕관 스타일 보석 장식을 섞어넣어 전체적으로 언밸런스해져 원본보다도 못한 디자인이라는 혹평이 있으나 면류관이 아닌 점에서 실존 대한제국보다 낫다는 평도 받았다.

디아블로 2에서는 '천인의 형제'라는 세트 아이템으로 나왔던 온달의 사랑(Ondal's Almighty)이란 이름의 금관이 존재한다. 아마도 신라 금관을 모티브로 한 아이템으로 추정된다. 이 세트아이템에서는 태백의 영광, 단군의 가르침 등의 아이템이 들어있고 이들 이름에서 보이듯 한국에 대한 블리자드의 팬 서비스이다.

파일:트럼프 훈장 금관.jpg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을 맞아 방한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신라 양식의 금관이 선물되었다.# 물론 진짜 유물 원본을 그대로 선물한 건 아니고 현세대 40년 전통의 전문 장인이 재현해낸 복제품이기는 하지만, 순금도 상당수 들어갔고[13] 미국 역사상 최초의 왕관으로서 머지 않은 미래에 미국의 역사 문화재[14]가 될 것은 어쩔수 없는 명백한 사실이다.

신라 금관 여섯 점이 2025년 APEC 정상회담을 기념하여 한자리에 모인 특별전이 열렸다. 국립경주박물관이 경주 APEC 정상회의와 박물관 개관 80주년을 맞아 꾸린 특별전 '신라 금관, 권력과 위신'은, 동년 10월 28일부터(일반 공개는 11월 2일부터) 12월 14일까지 신라역사관 '3a실'에서 열린다. #

3. 가야

파일:external/www.artpia.net/1794378427_jVwbZWzy_743699179_859ef36a_2_540x0.jpg

리움미술관에서 소장 중인 반로국 금림왕 금관. 금림왕릉에서 도굴했다고 전해지며, 신라의 것보다는 간소하지만 기본적인 양식은 비슷하다. 자세한 내용은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 항목 참조.

가야의 금동관

4. 마한

파일:Crown_of_Baekje_National_Treasure_of_Korea_No295.jpg

전라남도 나주시 반남면 신촌리 고분 9호분 옹관에서 금동신발, 환두대도(봉황문 1점, 삼엽문 2점), 은팔찌, 구슬 목걸이 등의 수장급 유물들과 함께 출토#된 금동관으로 국보 제295호이다. 현재 나주시의 상징처럼 인식되어 나주시 곳곳에 이 금동관 모양의 조형물이 조성되어 있다. 과거에는 웅진백제기의 백제 금동관으로 보았으나 양식이 달라 지금은 마한의 금동관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고깔모양의 안쪽 내관(모관)에는 두드림 기법으로 연꽃을 표현하였고, 바깥쪽 외관(대관)에는 풀꽃 모양의 장식판 3개를 세웠다. 장식판 끝에는 검은색(중앙 가지)과 푸른색(좌우 가지)의 유리구슬을 달아 더욱 화려하다.#근접영상 내관의 경우 전라북도 익산시 입점리와 일본 에다후나야마에서 비슷한 문양의 것이 출토된 바 있어 백제, 일본과의 교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2020년 전남 영암군 내동리 고분에서 여러 유물과 함께 금동관 파편이 출토되었는데 위 사진속 나주 신촌리 금동관과 같은 양식으로 추정하고 있다.#

5. 백제


아직까지 백제의 금관은 발굴된 적이 없다. 백제는 신라와 달리 오라관(烏羅冠,검은 비단모자)을 쓰고 거기에 금제(왕,왕비) 혹은 은제(고위관료) 장식을 부착하였다. 공주 무령왕릉에서 금제 관식 2쌍(무령왕과 왕비)이 출토된 바 있다.

백제의 금동관

백제의 금동관은 출토된 사례가 7건 있으며, 한성백제 시기의 금동관으로 추정된다. 모두 수도 위례성에서 멀리 떨어진 지방에서만 출토되는 점으로 보아 지방세력 포섭을 위한 하사품으로 추정된다. 출토 지역은 경기 화성, 충남 천안(금동관 파편), 서산, 공주(2점), 전북 익산, 전남 고흥, 일본 큐슈 구마모토현이다.

6. 고구려

파일:2011122427198454.jpg

고구려 불꽃무늬 금관(高句麗火焰文金冠)

파일:고구려 금관.jpg

평양 청암리 토성 출토 ‘불꽃 뚫음무늬 금동관’ 출처. 이 금동관은 보살상의 보관이었을 것이라는 추측도 존재한다.

고구려의 금동관

고구려 불꽃무늬 금관(高句麗火焰文金冠)은 강서군 지역에서 발굴되었다고 하여 전(傳)강서 금관으로 불리기도 한다. 즉 이 유물은 '고구려 고분에서 나왔다'는 증언만 있지 도굴되어 세상을 돌아다니다가 드러난 유물이라서 정확히는 어디서 출토되었는지 유래가 불분명하다. 한반도 남부의 금관보다는 아래에 나올 중앙아시아 금관과의 디자인적 유사성도 보이기 때문에 어쩌면 고구려 관이 아닐 가능성도 있다.

이 전강서군금관은 가야 금관처럼 출토 장소를 알 수 없었으나 일제강점기 때의 묵서를 보고 강서군에서 출토된 것으로 추정한다. 2011년 상명대학교 박선희 교수는 '고구려 불꽃무늬 금관'에 관련된 책을 썼는데 소유자 K씨의 주장에 따르면, 이 금관은 일제강점기 강서군에서 도굴 형태로 발굴되었으며, 원산에서 사업을 했던 소유자의 조부가 한 일본인으로부터 이 금관을 사들인 것이라고 주장한다. 묵서의 위조도 없으며 금관은 금 70%에 구리가 섞여있어 현대에 제작된 것이 아니며 제작 시기는 4~5세기로 금관 제작 시기로 추정한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아직 강서금관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문화재청에서도 아직 강서금관을 공식 인정하지 않았으며, 강서금관 관련 논문들도 대부분 박선희 교수의 저작들이며 다른 교수들에 의해 충분히 연구되지도 않았다.

다른 고구려 금동관과도 외적 유사성을 찾을 수 있기 때문에 고구려 금관일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학계에선 지금까지 발견된 기록이 있는 고구려 무덤의 금관은 6종류이며 도굴 분실등으로 현재 남아있지는 않다. 강서금관이 진품이라면 그 중 하나가 발견된 셈이다. 그러나, 강서금관의 조형미가 한국 다른 지역의 관보다는 오히려 아래 소개할 아프가니스탄 금관과 매우 흡사하기 때문에, 진품 금관이더라도 고구려의 것이 아닌 중앙아시아의 금관일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일각에서는 백제 금동관 절풍과도 비슷하여 최초로 발견된 백제 금관이 아닌가라는 주장도 있지만 그렇게되면 백제의 영토를 평안 강서군인 평양 근처까지 확대시켜야되는 문제점이 있어 백제 금관은 아닌걸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이 금관의 소유자 K씨는 많은 국보급 문화재를 소유한 인물로서, 지역 박물관이나 대학 박물관 등에 수많은 문화재를 기증한 인물로 명성이 자자하다. 이러한 컬렉터의 소장 유물이기 때문에, 진짜 고구려의 금관인지는 몰라도 어느 정도 신뢰가능한 부분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물론, 간송 전형필의 컬렉션 독서여가도 위작논란이 나오고 있지만.

흔히 전 강서 화염문 금관만을 떠올리지만 전 집안 출토, 집안 출토 금동관과 같이 우모형(牛毛形) 장식의 금동관들도 많다. 위의 신라 금동관의 의성 탑리 4호분 출토 금동관이랑 거의 같은 형태이며, 황남대총 북분 출토 은관 역시 마찬가지로 고구려의 영향 또는 관계망 속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와 별개로 북한에도 고구려 금관의 형태를 추정할 수 있는 유물이 존재하는데 바로 평양 청암리 토성 부근에서 출토된 4~5세기경의 불꽃뚫음무늬 금동관이다.

띠 모양의 테두리 윗줄에는 인동초무늬를, 아랫줄에는 구슬무늬를 새겼고, 그 사이에 7개의 나뭇잎 장식을 넣었으며 테두리 위는, 활활 타오르는 불길이나 바람에 세차게 날리는 구름 같은 무늬를 새긴 9개의 세움 장식(입식·立飾)으로 표현돼 있다. 이는 우리 눈에 익은 백제 무령왕의 금관 장식과 유사하다. 또한 세움 장식 가운데는 가장자리를 불꽃무늬 대신 가위로 오려낸 다음 비틀어 꼬아 장식한 종류도 보이는데 이는 고구려 장신구만의 특징적 기법이다. 맨 아래쪽 좌우에는 마치 옷고름과 비슷한 드리개를 별도로 만들어 길게 늘어뜨렸다.

물론 이 금동관은 고구려를 대표하는 왕관으로 알려져 있으나 위의 전(傳)강서 금관처럼 고구려의 왕이나 귀족이 썼던 실용품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다.

고구려관의 문양은 불꽃무늬와 깃털문양, 삼엽문(三葉文), 산형(⼭形) 등이 주를 이루는데 이를 건국신화인 해모수신화를 포함한 고구려인들의 신화적 관념들과 관련하여 해석하고 고구려의 지배층들이 자신들의 정체성을 그들의 복식, 특히 관이나 관장식에 드러내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15]

어찌되었든 전문가들은 고구려의 금동관이 신라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있으며, 4세기 말∼5세기 초 신라 무덤에서 나타나는 황금문화의 기원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있지만 그 기원은 고구려였음이 분명하다고 한다. 고구려 금동관의 특징적 요소인 금동판을 뚫어 무늬를 만드는 투조(透彫) 기법이나 촘촘히 오려 꼬는 방식 등은 신라 금관에도 그대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출처

7. 발해

파일:external/www.newscj.com/161127_122262_1648.jpg
금관을 쓴 고왕
발해에서도 금관을 썼는지 명확하지 않으나 용두산 고분군 M14호분에서 금제관장식이 출토되어 금관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마쪽에 얇은 뿔 하나가 나있고 이 뿔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두 작고 얇은 뿔이 양쪽으로 자라나 있다. 고왕의 표준영정에서 쓰고 있는 금관도 이 금제관장식을 토대로 그려진 것인데 엄밀히 따지면 금관의 형태보다는 조우관처럼 관모에 부착하는 방식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8. 고려 조선

파일:external/pds.skyedaily.com/1394684637WOOipcpIhVlFQPxqBGIpnVhQZOAmM.jpg

금관조복을 입은 흥선대원군. 이 그림에서 쓰고 있는 모자를 말한다.

원래 양관(梁冠)이라 했는데, 금칠을 한 경우가 많아 점차 금관(金冠)으로 불리게 됐다. 조선왕조 시대에 관직에 있는 1~4품의 관료가 조회, 종묘제례, 문묘제례 등 국가 1등급 행사를 참여할 때 입는 예복인 조복(朝服) 및 제복(祭服)과 함께 착용하는 모자로, 왕관(crown)이 아니다.[16] 조복과 함께 착용하기 때문에 합쳐서 '금관조복'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9. 외국

파일:external/img.hani.co.kr/1452599041_00548625401_20160113.jpg

1세기 경 아프가니스탄의 틸리야-테페 금관은# # 현재의 아프가니스탄인과는 관련이 없는 그리스-박트리아 왕국의 왕관이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방 진출로 인해 그리스의 진보된 야금술과 중앙아시아 특유의 금 세공 기법이 융합되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한반도의 금관과 비슷한 이유는 금 세공 기술이 스키타이, 사르마티아로 대표되는 중앙아시아의 유목민족에 의해 실크로드를 통해서 전파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금관을 비롯한 일련의 아프가니스탄의 고대 유물들은 탈레반의 준동으로 반달리즘 우려로 본국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세계 각지를 떠돌았다. 2016년에는 한국에도 들어와서 7월 5일부터 9월 4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 2016년 9월 27일부터 11월 27일까지 신라의 수도 경주의 국립경주박물관에 전시되었다.

아프간 금관은 아프간 정세가 안정화되자 14년간 전 세계 순회전을 마치고 2020년 4월 아프간 카불 국립박물관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이듬해인 2021년 8월 탈레반에 의해 민간정부가 전복되면서 다시 위기에 처했다. 탈레반은 바미안 석불 폭파처럼 이슬람과 관련 없는 문화유산을 훼손하며 악명을 떨쳐왔기 때문이다.

10. 개별 문서가 있는 금관 목록

11. 개별 문서가 있는 금동관 목록

12. 개별 문서가 있는 금관모 목록



[1] 순금은 깨물면 잇자국이 생길 정도로 무르다. 투탕카멘의 가면도 구리를 섞어 강도를 높였다.[2] 경주 마립간 가문의 남성과 결혼한 여성 그리고 지방 호족의 관으로 추정된다.[3] 데드마스크가 정설이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있으나 사실이 아니다. 최근 논문만 봐도 실착용 관으로 규정하는 논문이 나오는 만큼 두 설이 공존한다고 봐야할 것이다.[4] 신라금관과 시베리아 샤머니즘,이송란[5] 신라금관의 완성과 마립간기 신라정치, 김정희[6] “구슬을 귀하게 여겨 옷에 꿰매어 장식하기도 하고, 목이나 귀에 달기도 한다. 그러나 금과 은은 보배로 여기지 않는다.”《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 한조(韓條)[7] 마립간기 초반까지 왕실여성으로 '아로'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자는 사제적 기능을 가진 특별한 여성이라는 견해가 있다.(나희라, 『신라의 국가제사』)[8] 김정희, 《신라 금관의 신화적 모티브와 상징 연구》, 신라사학보 64, 2025.[9] 김알지 신화에서 금궤가 걸려있는 나무로 해석하기도 한다.[10] 모자곡옥은 대체로 용의 형태와 비슷하며,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모자곡옥(국은 58)의 돌기(반점)의 수가 용의 비늘 수와 동일한 81개인 점을 근거로 용을 형상화한 것으로 보는 견해가 가장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 진다.[11] 봉황으로 해석하는 견해도 있으나 봉황은 주로 암수 한쌍 또는 자웅 동체로 묘사되는 반면 서봉총 등 금관에서 발견되는 새는 3마리이다.[12] 금령총 금관 금제드리개서봉총 금제 드리개처럼 금관에 달아 길게 늘어뜨리는 장식.[13] 대략 제작 당시 시점 2억원 가량의 순금이 들어갔다고 하는데, 이는 금관의 무게가 1.2kg 정도임을 감안 했을때 약 245돈 = 약 0.92kg (80% 이상, 21k이상) 정도로 추산 된다. 이는 실제 한반도에서 출토되는 여러 금관들과 비교해 봤을 때, 거의 흡사한 수치.[14] 의 영향으로 녹슬지 않고, 영구적 보존 된다. 실제 신라시대 제작된 금관들이 무덤에서 온전히 출토 된 가장 결정적인 이유가, 바로 금으로 제작되었기 때문.[15] 김정희, 《신라 금관의 신화적 모티브와 상징 연구》, 신라사학보 64, 2025 ; 조진숙, 2004, 「벽화에 나타난 고구려 장신구에 관한 연구」 고구려발해연구 17.[16] 서양의 경우 이처럼 왕이 아닌 공작, 백작 등 영주나 고관이 쓰는 관을 coronet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