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9 17:09:27

미투리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신발
, 짚신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top: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82647 3%, #31b675 3%, #31b675 6%, #89236a 6%, #89236a 9%, #f9d537 9%, #f9d537 12%, #db4e9c 12%, #db4e9c 15%, #026892 15%, #026892 18%, #e7e6d2 18%, #e7e6d2 21%, #b82647 21%, #b82647 24%, #f8e77f 24%, #f8e77f 76%, #b82647 76%, #b82647 79%, #e7e6d2 79%, #e7e6d2 82%, #026892 82%, #026892 85%, #db4e9c 85%, #db4e9c 88%, #f9d537 88%, #f9d537 91%, #89236a 91%, #89236a 94%, #31b675 94%, #31b675 97%, #b82647 97%)"
한복의 종류{{{#!wiki style="margin-top: 7px; padding-top: 5px; border-top: solid 1px; border-color: #683235; color:#683235; min-height: calc(1.5em +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 남녀공용
상의 저고리 · 덧저고리 · 배냇저고리 · 색동저고리 · · 적삼 · 마고자
하의 바지
겉옷 반비 · 배자 · 장옷
신발 목화 · 꽃신 · 갖신 · 짚신 · 미투리 · 나막신
기타 무복 · 버선 · 상복
남성용
평복 상의 사규삼
하의 잠방이
겉옷 · 백저포 · 도포 · 두루마기 · 창의 · 대창의 · 학창의 · 소창의 · 심의 · 중치막 · 쾌자 · 답호
예복 및 관복 단령 · 곤룡포 · 곤복 · 조복
융복 구군복 · 철릭
모자 갈모 · 감투 · (흑립 · 주립 · 백립 · 초립 · 전립) · 금관 · 망건 · 면류관 · 문라건 · 복건 · 사모 · 삿갓 · 원유관 · 이엄 · 익선관 · 정자관 · 조우관 · 탕건 · 패랭이 · 휘항
전통장식 동곳 · 흉배
여성용
평복 하의 치마
겉옷 쓰개치마 · 머리처네
속옷 가슴가리개
예복 상의 당의 · 견마기
하의 스란치마 · 대란치마
겉옷 노의 · 원삼 · 활옷
모자 틀:전통여성모자
전통장식 가체 · 노리개 · 떨잠 · 비녀 }}}}}}}}}}}}

파일:attachment/짚신/Hemp_sandals.jpg

1. 개요2. 종류

[clearfix]

1. 개요

이나 노[1]로 삼은 한국의 전통 샌들. 짚신과 대체로 유사하지만 보다 정교한 고급품이라 짚신과는 달리 맑은 날에는 양반이 신기도 했다.

미투리는 여섯 개에서 여덟 개 정도의 날[2]에 50~60개 정도의 총[3]을 세워, 바닥과 총이 위의 사진과 같이 빽빽하다.

2. 종류

재료에 따라서 이름이 바뀌는데 종이를 꼬아서 총을 만든 것은 지총미투리, 왕골로 만든 것은 왕골신이라 한다. 만든 곳에 따라서도 이름이 바뀌는데 절에서 만든 것은 절치, 탑골의 장인들이 만든 것은 탑골치라 불렀다.[출처]

성호사설유선(星湖僿說類選)에 따르면 왕골신이나 망혜(芒鞋)는 가난한 사람의 신이라고 한 것으로 미루어, 미투리의 종류는 신분에 따라 달랐다.


[1] , , 종이 따위를 가늘게 비비거나 꼬아 만든 [2] 천, 돗자리, 짚신 따위를 짤 때 세로로 놓는 실, 노끈, 새끼 따위[3] 짚신이나 미투리 따위의 앞쪽의 양편쪽으로 운두를 이루는 낱낱의 신울[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미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