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명·지명 한자 약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륙 | |||||||
亞 | 歐 | 阿 · 非 | ||||||
아시아 | 유럽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가 | ||||
南 · 韓 | 北 · 朝 | 華 · 臺 · 台 | 中 · 漢 唐 | 日 和 | ||||
대한민국 | 북한 | 대만 중화민국 | 중국 | 일본 | ||||
蒙 | 美 · 米 | 英 | 加 | 濠 · 澳 | ||||
몽골 | 미국 | 영국 | 캐나다 | 호주 | ||||
佛 · 法 | 獨 · 德 | 墺 · 奥 | 伊 | 蘭 | ||||
프랑스 | 독일 | 오스트리아 | 이탈리아 | 네덜란드 | ||||
西 | 葡 | 露 · 俄 | 印 | 印尼 | ||||
스페인 | 포르투갈 | 러시아 | 인도 | 인도네시아 | ||||
末 · 馬 · 馬聯 | 泰 | 比 | 越 | 埃 | ||||
말레이시아 | 태국 | 필리핀 | 베트남 | 이집트 | ||||
波 | 厓 · 愛 | 丁 | 瑞 | 那 · 諾 | ||||
폴란드 | 아일랜드 | 덴마크 | 스웨덴 | 노르웨이 | ||||
希 | 芬 | 南阿共 | 白 | 匈 · 洪 | ||||
그리스 | 핀란드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벨기에 | 헝가리 | ||||
瑞西 | 土 | 墨 | 阿根廷 | 巴西 | ||||
스위스 | 튀르키예 | 멕시코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
과거의 국가 | ||||||||
伽 | 高 · 麗 | 濟 | 羅 | 朝 | ||||
가야 [A] | 고구려 · 고려 [A] | 백제 [A] | 신라[A] | 조선[A] | ||||
大秦 | 蘇 | 普 | 倭 | 琉 | ||||
로마 제국 | 소련[B] | 프로이센[C] | 왜국 [D] | 류큐 왕국/열도 [D] | ||||
지역 및 도시 | ||||||||
亞太 | 滿 | 加州 | 羅城 | 桑港 | ||||
아시아-태평양 | 만주 지역 | 캘리포니아주 | 로스앤젤레스 | 샌프란시스코 | ||||
華盛頓 | 莫斯科 | 伯林 | 羅馬 | 倫敦 | ||||
워싱턴 D.C. | 모스크바 | 베를린 | 로마 | 런던 |
}}}}}}}}} ||
白 흰 백, 성 백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白, 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5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ハク, ビャク | ||||||
일본어 훈독 | しろ, (しら), しろ-い, あき-らか, せりふ, もう-す | ||||||
- | |||||||
표준 중국어 | bái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획순 |
[clearfix]
1. 개요
白은 '흰 백'이라는 한자로, '희다', '깨끗하다', '명백(明白)하다', '설명하다', '아뢰다' 등을 뜻한다. 그래서 드물게는 '아뢸 백'이라고도 하는데, 이 뜻으로는 '독백' '고백' '주인백', '관리소장백'과 같이 쓴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희다 | <colbgcolor=#fff,#1f2023>아뢰다 |
음 | 백 | ||
중국어 | 표준어 | bái[1] | |
광동어 | baak6 | ||
감어 | pah7 / pet6 | ||
객가어 | pha̍k | ||
진어 | bai1 / bieh5 | ||
민북어 | bà̤[文] / bā, bà[白] | ||
민동어 | bĕk[文] / băh[白] | ||
민남어 | pe̍k[文] / pe̍h[白] | ||
오어 | baq (T5) | ||
상어 | be6 | ||
일본어 | 음독 | ハク, ビャク | |
훈독 | しろ, (しら), しろ-い, あき-らか, しら-げる | せりふ, もう-す | |
베트남어 | bạch |
유니코드 상에서는 U+767D에 배정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HA(竹日)로 입력한다.
상형자 또는 상형+지사로 보는데 갑골문의 자형(字形)을 봐도 워낙 간단해 무엇을 상형한 것인지 알기 힘들다 보니 여러 의견이 있다.
문자학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주요 학설로는
- 촛불의 심지가 타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보아 '밝다'는 의미로 출발해 '희다'는 의미로 확장된 것이라는 설.
- 해골(骸骨)의 모양을 본뜬 것이라는 설(시라카와 시즈카)[8]. 해골의 색은 흰색이므로 여기에서 '희다'의 뜻이 나왔다고 보는 것이다.
- 엄지손가락의 모양을 본뜬 것이라는 설(곽말약). 엄지손가락은 손가락의 우두머리이니 '우두머리[9]'의 뜻이 나왔고, 손톱의 색으로부터 '희다'의 뜻이 나왔다고 보는 것이다.
- 잣의 모양을 본뜬 것으로 柏(잣나무 백)의 본자(本字)로 보는 설[10]
- 쌀의 모양을 본뜬 것이라는 설[11]. 쌀은 흰 색이므로 이로부터 '희다'의 뜻이 되었다는 것이다.
등이 있다.
이 중 문자학계에서 가장 지지를 받고 있는 학설은 '엄지손가락 설'이다. '우두머리'의 뜻까지 모두 깔끔하게 설명된다.
日(날 일) 위에 선이 짤막하게 그려져 있는 형태로 되어 있어서 갑골문이 발견되기 전에는 햇빛이 밝게 비치는 모습을 묘사했다고 보는 설이 지배적이었으나, 발견된 갑골문의 자형이 日과는 거리가 있어서 이 설은 논파되었다.
3. 용례
3.1. 단어
- 결백(潔白)
- 고백(告白)
- 공백(空白)
- 공백(控白)
- 난백(卵白)
- 단백(淡白)
- 단백질(蛋白質)
- 독백(獨白)
- 명백(明白)
- 방백(傍白)
- 백(白): '말씀드리다'를 뜻하는 접미사. 예) 주인백, 관리소장백.
- 백골(白骨)
- 백구(白狗/白駒/白鷗)
- 백금(白金)
- 백기(白旗)
- 백기(白氣/白驥)
- 백기린기(白麒麟旗)
- 백내장(白內障)
- 백동(白銅)
- 백두대간(白頭大幹)
- 백로(白露/白鷺)
- 백린(白燐)
- 백마(白馬)
- 백묵(白墨)
- 백미(白眉/白米)
- 백반(白斑/白礬/白飯)
- 백발(白髮)
- 백백교(白白敎)
- 백사(白沙/白蛇)
- 백색(白色)
- 백서(白書)
- 백설공주(白雪公主)
- 백수(白壽)
- 백수(白首)
- 백수(白手)
- 백숙(白熟)
- 백악(白堊)
- 백야(白夜)
- 백어(白魚)
- 백옥(白玉)
- 백의민족(白衣民族)
- 백인(白人)
- 백일(白日)
- 백자(白瓷/白磁)
- 백전(白戰)
- 백전(白錢)
- 백정(白丁)
- 백조(白鳥)
- 백주(白酒/白晝)
- 백지(白紙)
- 백청(白淸)
- 백청자(白靑瓷/白靑磁)
- 백출(白朮)
- 백치(白雉)
- 백치(白痴/白癡/白雉/白齒)
- 백치(白齒/白幟)
- 백타(白駝/白打)
- 백택(白澤)
- 백학(白鶴)
- 백합(白蛤)[12]
- 백혈구(白血球)
- 백혈병(白血病)
- 백헌(白軒)
- 백호(白虎)
- 백화(白化)
- 백화(白話)
- 백화(白花)
- 백화(白禍)
- 백화(白樺)
- 백흑(白黑)
- 삼백안(三白眼)
- 순백(純白)
- 여백(餘白)
- 자백(自白)
- 창백(蒼白)
- 청백리(淸白吏)
- 태백(太白)
- 표백(漂白)
- 흑백(黑白)
3.2. 고사성어/숙어
- 견백동이(堅白同異)
- 명명백백(明明白白)
- 백룡어복(白龍魚服)
- 백마비마(白馬非馬)
- 백면서생(白面書生)
- 백발삼천장(白髮三千丈)
- 백색선전(白色宣傳)
- 백수건달(白手乾達)
- 백수공귀(白首空歸)
- 백수북면(白首北面)
- 백수잔년(白首殘年)
- 백수지년(白首之年)
- 백수지심(白首之心)
- 백수풍신(白首風神)
- 백수풍진(白首風塵)
- 백어입주(白魚入舟)
- 백일막공과(白日莫空過)
- 백일막허송, 청춘부재래(白日莫虛送, 靑春不再來)
- 백의민족(白衣民族)
- 백일비승(白日飛昇)
- 백일승천(白日昇天)
- 백일옹폐(白日壅蔽)
- 백의종군(白衣從軍)
- 백일청천(白日靑天)
- 백하야선(白河夜船)
- 백흑지변(白黑之辨)
- 월백풍청(月白風淸)
- 주순백치(朱脣白齒)
- 청렴결백(淸廉潔白)
- 청백재상(淸白宰相)
- 청천백일(靑天白日)
- 흑백불분(黑白不分)
3.3. 인명
3.3.1. 실존 인물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 |
백(성씨) 문서 참조.
3.3.2. 가상 인물
- 마니와 시라사기(真庭 白鷺)
- 백상(화산귀환)(白商)
- 백출(白术)
- 백천(白天) - 이는 도호로, 본명은 진동룡이다.
- 시로(노 게임 노 라이프)(白)
- 시로오니(白鬼) - 박종건의 통칭
- 츠키시로 히토미(月白 瞳美)
- 하쿠비(白眉)
- 하쿠타쿠 유메미(白澤 夢視)
3.4. 지명
- 배천군(白川郡)
- 백두대간(白頭大幹)
- 백두산(白頭山)
- 백령도(白翎島)
- 백록담(白鹿潭)
- 백석동(白石洞)
- 백석읍(白石邑)
- 백마고지(白馬高地)
- 백운대(白雲臺)
- 백운호수(白雲湖水)
- 백일도(白日島)
- 백해(白海)
- 소백산(小白山)
- 시로코역(白子駅)
- 장백산(長白山)
- 태백산(太白山)
- 태백선(太白線)
- 태백시(太白市)
3.5. 창작물
3.6. 기타
- 공백지(空白地)
- 군백기(軍白期)
- 백다방(白茶房)
- 백두대간(白頭大幹)
- 백랑관음(白狼観音)
- 백러시아
- 백련교(白蓮敎)
- 백마고등학교(白馬高等學校)
- 백마고지역(白馬高地驛)
- 백마고지 전투(白馬高地 戰鬪)
- 백마부대(白馬部隊)
- 백발마녀전(白髮魔女傳)
- 백수오(白首烏)
- 백파적(白波賊)
- 백학선전(白鶴扇傳)
- 백헌집(白軒集)
- 백화도량발원문(白花道場發願文)
- 이태백집(李太白集)
- 적백내전(赤白內戰)
- 청백리(淸白吏)
- 청천백일만지홍기(靑天白日滿地紅旗)
- 흑묘백묘론(黑猫白猫論)
- 白い恋人(시로이코이비토): 일본의 과자
4. 부수
| ||||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 1획 |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 ||
2획 |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 |||
3획 |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 |||
4획 |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 |||
5획 |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 |||
6획 |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 |||
7획 |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 |||
8획 |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 |||
9획 |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 |||
10획 |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 |||
11획 |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 |||
12획 |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 15획 | <colbgcolor=#fff,#1f2023>211 齒 | |
13획 |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 16획 | 212 龍 213 龜 | |
14획 | 209 鼻 210 齊 | 17획 | 214 龠 | |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 위치별 주요 부수 ]
- ||<:><table align=center>변
<colbgcolor=#fff,#1f2023>氵 · 亻 · 木 · 糹 · 訁 · 口 · 扌 · 忄 · 女 · 山 · 虫 · 火 · 釒 · 日 · 月/⺼ · 禾 · 土 · ⻖ · 犭 · 馬 · ⻞/飠 · 目 · 王 · 石 · 米 · 衤 · ⻊ · ⺬/礻 · 彳 · 車 · 魚 · 冫 · 貝 · 酉 · 耳 · 弓 · 牜 · 舟 · 立 · 方 · 歹 · 止 · 音 방 攵 · 頁 · 隹 · 鳥 · ⻏ · 刀 · 欠 · 又 · 見 · 力 · 殳 · 寸 · 戈 · 斤 · 卩 · 瓦 · 乚 · 彡 머리 ⺿/艹 · ⺮ · 宀 · 亠 · 冖 · 𠆢 · 爫/⺥ · ⻗ · 穴 · 覀 · 罒 · 止 발 木 · 心 · 灬 · 夊 · 女 · 大 · 示 · 土 · 子 · 見 · 貝 · ⺝ · 皿 · 止 받침 ⻍/⻌ · 廴 · 走 · 鬼 · 麥 엄 广 · 厂 · 尸 · 戶 · 疒 · 耂 · 虍 <colbgcolor=#fff,#1f2023>勹 · 气 몸 囗 門 · 鬥 凵 匚 그외 {{{#!wiki style="margin:-16px -11px" 心 衣 }}} 行
- [ 수록자 보기 ]
- ||1획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2획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3획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4획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5획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6획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7획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8획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9획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10획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11획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12획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齒 13획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16획 212 龍 213 龜 14획 209 鼻 210 齊 17획 214 龠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5. 유의자
- 희다
- 暠(밝을 고, 흴 호)
- 溰(흴 기)
- 𤾢[⿰白登](흴 등)
- 𤽼[⿰白隹](흴 락)
- 皊/𤿅[⿰白靈](흴 령)
- 𤽦[⿰白缶](흴 부)
- 素(흴 소)
- 㬝/𤾥[⿰白曾](흴 송)
- 皚(흴 애)
- 皭(흴 작/조)
- 䎷(흴 주)
- 𤿀[⿰白贊](흴 찰)
- 皉(흴 체)
- 㿤(흴 춘)
- 皤(흴 파)
- 㿥/皬(흴 학)
- 皔(흴 한)
- 皓/皜(흴 호)
- 𤾈[⿰白軍](흴 휘)
- 아뢰다
- 奏(아뢸 주)
6. 상대자
- 黔/𪒫[⿰黑僉](검을 검)
- 𪐡[⿱大黑](검을 견)
- 䵪(검을 곤)
- 𪒭[⿰黑禽](검을 금)
- 黖(검을 기/희)
- 𪓃[⿰黑襄](검을 냥)
- 黮(검을 담, 오디 심)
- 䵬(검을 답)
- 𪒴[⿰黑臺]/𪑠[⿰黑隶](검을 대)
- 𪑋[⿰黑寽](검을 랄)
- 黎(검을 려)
- 黸(검을 로)
- 𪑯[⿰黑律](검을 루)
- 𪒜[⿰黑惠](검을 말)
- 𪑥[⿰黑⿱犬目](검을 묵)
- 䵰(검을 상)
- 𪐧[⿰黑予](검을 서)
- 黫(검을 안/인)
- 黯/黬(검을 암)
- 𪐭[⿰黑兮](검을 예)
- 黦/䵥(검을 울)
- 黟(검을 이)
- 黓(검을 익)
- 䵴(검을 잉)
- 𪑳[⿰黑貞](검을 진)
- 𪑨[⿰黑柰]/𪑂[⿰黑杀](검을 찰)
- 𪒙[⿰黑最](검을 촬)
- 黢(검을 출)
- 緇(검을 치)
- 玄(검을 현)
- 𪑕[⿰黑昏](검을 혼)
- 黑(검을 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