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장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61BDC2><colcolor=#fff> 스타일 | SF 영화, 공연 실황 영화, 공포 영화, 느와르, 다큐멘터리 영화, 드라마, 로드 무비, 모험물, 뮤지컬, 미스터리, 법정물, 수사물, 스릴러, 슬로우 시네마, 액션 영화, 사극, 일상물, 전기 영화, 코미디(블랙 코미디, 로맨틱 코미디, 슬랩스틱), 첩보물, 판타지 |
사조 | 네오 리얼리즘, 누벨바그, 뉴 할리우드, 대만 뉴웨이브, 스파게티 웨스턴, 시적 리얼리즘, 표현주의, 도그마 95, 실험영화, 소비에트 몽타주, 프리 시네마, 폴란드 학파, 제3영화, 멈블코어, 시네마 뒤 룩, 홍콩 뉴웨이브, 뉴 퀴어 시네마, 뉴 저먼 시네마 | |
포맷 /프로덕션 | 3D, 독립 영화, 애니메이션 영화, 흑백 영화 |
1. 개요
black-and-white film영화의 발명과 동시에 시작된 영상 표현 방식. 1960~1970년대가 흑백에서 컬러 영화로 넘어가는 중요한 시기이며, 사실상 1970년대 이후로 흑백으로 나오는 영화들은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영상을 보여주는 또 다른 방식으로서 사용된다. 이런 경우 대부분의 경우 예술 영화인 경우가 많고, 역사를 소재로 다룰 때도 꽤 사용된다.
2. 특징
영화 초창기에야 당연히 죄다 흑백영화였다. 동시에 무성영화이기도 했던 시절이다. 그러니만큼 이 시절에 나온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1937)이나 오즈의 마법사(영화)(1939)의 시각적 충격이 당시 관객들에게는 어머어마할만도 했다.컬러 필름 자체는 1917년 처음 등장해 1930년대 초중반부터 실용화되었으나 기술 및 비용적인 문제 때문에 실제로 활성한 것은 전후 테크니컬러가 등장하면서였다.
흑백에서 컬러로 넘어가는 시기에도 비용상의 문제나 연출적인 문제로 한동안 흑백과 컬러를 병행하는 경우가 이어졌다. 예를 들면 수차례 컬러 영화를 연출한 후에도 알프레드 히치콕은 1956년에 누명 쓴 사나이를 흑백으로 연출하였고, 존 포드 감독의 경우는 심지어 1939년 모호크족의 북소리를 통해 상당히 이른 시기에 컬러 영화를 연출했었음에도 1962년 리버티 밸런스를 쏜 사나이를 흑백으로 연출했다.
테크니 컬러 이후 세대에 의도적으로 흑백으로 연출하여 개봉하는 경우는 워낙 많이 등장했으나, 2000년대 이후 컬러 그레이딩[1]과 저장매체의 발달로 새로운 시도들이 두각을 나타냈는데 그것은 바로 개봉 자체는 컬러로 하고, DVD나 블루레이를 낼 때 흑백 에디션을 같이 발매하는 방식이다. 이런 경우는 예술적 의도라기 보다는 장르적 오마쥬의 뉘앙스가 더 강하다. 증오, 동주, 자산어보 등의 영화는 작품의 분위기를 위해 의도적으로 흑백으로 촬영되기도 했다.
할리우드 영화로는 미스트,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 로건이 흑백 에디션으로 유명하고, 한국 영화로는 박찬욱 감독이 친절한 금자씨로 일찌감치 두 가지 버전의 영상을 발매했다. 친절한 금자씨 흑백 버전의 경우 특이하게도 컬러로 시작해서 점차 색을 하나씩 줄여나가는 방식으로 연출하였다. 반대로 더 기버의 경우에는 흑백 영화로 시작해 전개에 따라 컬러로 바뀐다.
봉준호 감독도 흑백 영화로 상영하는 것을 즐기는 듯하다. 마더에 이어 기생충까지 흑백판본이 따로 있다.
영화 쉰들러 리스트는 감독의 의도로 흑백으로 만들어졌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오펜하이머도 일부 흑백으로 제작된다.
3. 목록
※ 흑백 영화 목록을 등재한다고 가정하면 고전기 영화들 대부분은 들어가버리기 때문에, 이하 목록은 흑백을 연출의 하나로 이용한 특수한 사례만을 나열한다.3.1. 흑백 버전을 따로 발매한 경우
- 2005년 친절한 금자씨
- 2007년 미스트(영화)
- 2009년 마더(영화)
- 2015년 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 - 이쪽은 흑백 영화판을 Black & Chrome Edition으로 발매했다.
- 2017년 로건(영화)
- 2019년 기생충(영화)
- 2021년 잭 스나이더의 저스티스 리그
- 2021년 아워 미드나잇
- 2022년 나이트메어 앨리
3.2. 흑백과 컬러가 혼재된 연출
- 1939년 오즈의 마법사
- 1975년 거울
- 1991년 카프카
- 1993년 쉰들러 리스트
- 1998년 플레전트빌
- 2000년 메멘토
- 2003년 킬 빌 - 1부
- 2004년 킬 빌 - 2부
- 2005년 씬 시티
- 2014년 씬 시티: 다크히어로의 부활
- 2014년 더 기버 : 기억전달자
- 2015년 자객 섭은낭
- 2016년 강한 칼: 도도견혈
- 2021년 자산어보
- 2021년 프렌치 디스패치
- 2022년 소설가의 영화
- 2023년 오펜하이머
- 2023년 거미집
- 2023년 5시부터 7시까지의 주희
- 2024년 가여운 것들
- 2024년 듄: 파트 2
- 2024년 보이지 않는
4. 기타
- 저예산 영화, 그 중에서도 자주제작 독립 영화에서는 흑백 촬영을 주로 활용하기도 하는데, 예술적이고 고전적으로 보이는 효과를 노린 것도 있으나 기본적으로 흑백 영화를 만들면, 저예산 프로덕션 입장에서는 화면 상에서 통제해야 할 골칫거리인 '컬러 팔레트'를 무시하고 제작하는 게 가능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조명의 밝기 정도만 조절하면 배경이 되는 벽이나 셔터의 경우 재질만 같다면 서로 다른 로케이션에서 같은 로케이션인 척 촬영하는 게 가능하다. 케빈 스미스기 <점원들> 시리즈 첫 번째 영화인 1994년 작을 흑백으로 제작한 것도 그 이유가 컸다고 한다.
[1] 색 빼는 과정 자체가 이전에 비해 상당히 간편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