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6 12:38:57

킬 빌 - 1부


파일:kill-bill-logo-.png

킬 빌 - 1부
킬 빌 - 2부
[ 등장인물 ]
||<tablewidth=100%><table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91919><width=1000><colbgcolor=#000><colcolor=#fff>
주요 인물
||<width=40%> 베아트릭스 키도 ||<width=40%> ||
데들리 바이퍼스
데들리 바이퍼스
버니타 그린 오렌 이시이
엘 드라이버 버드
오렌 이시이의 부하들
야쿠자크레이지 88인 조니 모
고고 유바리 소피 파탈
그 외 인물
핫토리 한조 파이 메이
B.B 니키 벨
카렌 김 찰리 브라운
기타 인물 정보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table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f2023><tablealign=center><width=1000> 줄거리: 1부 · 2부 ||<width=33.3%> 사운드트랙: 1부 · 2부 ||<width=33.3%> 등장인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
틀:킬 빌/등장인물, version=28, uuid=dfa1f5f6-ada3-49c5-8745-09c2b4bac75f)]
킬 빌 - 1부 관련 둘러보기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역대 새턴상 시상식
파일:saturn-award.png
액션/모험/스릴러 영화상
제29회
(2002년)
제30회
(2003년)
제31회
(2004년)
로드 투 퍼디션 킬 빌 - 1부 킬 빌 - 2부

}}} ||
<colbgcolor=#fce326><colcolor=#000000> 킬 빌 - 1부 (2003)
Kill Bill: Volume 1
파일:external/e52303ae5ed951ef5e33c564899ae876c45211de9c487a77bdbdf7113836d30d.jpg
북미 포스터 ▼
파일:KillBill:Vol1.jpg
장르 액션, 스릴러, 드라마, 범죄
감독 쿠엔틴 타란티노
각본
원안 쿠엔틴 타란티노
우마 서먼
제작 로렌스 벤더
디디 니커슨
마에다 코코
주연 우마 서먼
루시 리우
비비카 A. 폭스
마이클 매드슨
대릴 해나
데이비드 캐러딘
촬영 로버트 리차드슨
편집 샐리 맨키
음악 RZA
미술 다네다 요헤이
데이빗 와스코
의상 오가와 쿠미코
캐서린 마리 토마스
조연출 윌리엄 폴 클락
제작사 A Band Apart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태원엔터테인먼트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미라맥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J 엔터테인먼트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2003년 10월 1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년 11월 21일
상영 시간 110분
제작비 3000만 달러
월드 박스오피스 $180,908,413
북미 박스오피스 $70,099,045
대한민국 총 관객 수 349,699명
스트리밍
[[Apple TV+|
Apple TV+
]]
#!if 링크 != null
[[https://tv.apple.com/|▶]]
#!if 주석 != null
^^^^
#!if 링크1 != null
[[https://tv.apple.com/|▶]]
#!if 주석1 != null
^^^^
#!if 링크2 != null
, [[https://tv.apple.com/|▶]]
#!if 주석2 != null
^^^^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8세이상_초기.svg 청소년 관람불가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R등급 로고.svg

1. 개요2. 예고편3. 시놉시스4. 등장인물5. 줄거리
5.1. 오프닝5.2. 챕터 1: 25.3. 챕터 2: 피로 뒤덮인 신부5.4. 챕터 3: 오렌의 기원5.5. 챕터 4: 오키나와의 남자5.6. 챕터 5: 녹엽정의 결투
6. 사운드트랙7. 평가8. 흥행9. 기타10. 작중 대사

1. 개요

Kill Bill: Voume 1. 2003년 개봉한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킬 빌 2부작의 첫 번째 영화.

주인공은 암살자 조직의 No.1이자 보스의 애인이었던 베아트릭스 키도. 코드네임은 블랙 맘바. 당시 한국의 자막에는 인지도 문제인지 블랙 코브라로 나온다. 자신을 살해하려고 한 보스와 그 일당들에게 복수하는 내용.

타란티노의 4번째 연출 영화이며 그와 동시에 엄청난 폭력성을 자랑하는 잔인한 영화이기도 하다.[1][2] "5장: 녹엽정 결투"에 등장하는 집단 결투 장면이 주된 원인.[3]

2. 예고편

▲ 공식 예고편

3. 시놉시스

어느 한적한 오후, 행복한 결혼식을 앞둔 더 브라이드와 그녀의 신랑, 그리고 모든 하객들이 의문의 조직에 의해 처참하게 살해당한다.

그로부터 5년 후, 코마상태의 더 브라이드는 죽음 직전까지 갔다가 어렵게 깨어난다. 그리고 피로 얼룩진 과거가 그녀의 뇌리에 스치면서 서서히 복수의 리스트를 작성하기 시작한다. 그녀는 전세계적으로 악명높은 살인조직 데들리 바이퍼의 일원이었고, 조직의 보스인 빌을 포함한 5명의 일원이 새로운 삶을 앞둔 그녀를 처참하게 무너뜨렸음이 밝혀지자, 그녀는 텍사스, 멕시코, 일본을 방문하며 가장 잔인한 복수를 실행하게 되는데...

4.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킬 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킬 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킬 빌#등장인물|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줄거리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킬 빌 줄거리
1부 2부

5.1. 오프닝

흑백 장면. 많은 피를 흘려 고통의 신음 소리를 내는 신부 복장을 한 여성. 누군가가 그녀에게 천천히 다가온다. 빌이라는 이름이 새겨있는 손수건으로 피를 닦아주는 누군가는 자신이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라고 말하며 총으로 그녀를 쏜다.

Nancy Sinatra의 Bang Bang이라는 노래와 함께 타이틀 롤이 나오며 도중 여성의 누워있는 측면 실루엣도 나온다.

5.2. 챕터 1: 2

Chapter 1: ② [4]

미국 캘리포니아의 패서디나에 있는 어느 가정집. 알록달록한 자동차의 운전석에서 내린 오프닝의 금발 "신부[5]"는 앞마당[6]을 가로질러 현관문의 초인종을 누른다. 그리고 그녀를 다른 지인으로 착각하며 문을 연 어느 젊은 흑인 여자와 대면한다.


동시에 붉은 색감의 화면으로 흑인 여성의 과거 모습이 겹쳐 보인다.[7][8] 키도의 주먹이 버니타 그린의 면상을 후려치며 싸움이 시작되며, 안정적인 카메라 각도에서 긴장감 넘치는 둘의 대결이 펼쳐진다.

초반에 둘은 몸싸움을 한다. 단순한 주먹질이 아닌 벽이나 액자, 유리 테이블 등으로 몸을 던지기도 하고, 선반을 넘어트려 다치게 하기도 한다.[9] 그렇게 거실을 난장판으로 만들어 놓고선 주방으로 들어간 신부와 버니타는 칼로 결투를 벌이게 된다.[10] 테이블을 두고 싸우다가 둘은 거실에 중앙에서 칼을 들고 대립하게 된다.

그러던 와중에 창문 밖으로 스쿨버스가 서고 어느 여자 아이가 내리는데, 버니타의 표정이 변하며 "딸 앞에서는 제발 안돼..."라는 뜻을 가지고 신부를 본다. 그 순간 버니타의 딸, 니키가 들어오자 둘은 몸 뒤로 칼을 숨기지만 온 몸은 이미 피칠갑. 개(바니)가 온 집안을 어질러 놓았고 둘이서 무술 연습을 한 듯 둘러대 니키를 다른 방에 보내고 버니타는 신부에게 커피 한 잔을 권한다.[11][12]

신부와 버니타는 싸움을 잠시 멈추고 대화를 이어나간다. 동시에 버니타는 니키를 위해 시리얼을 준비하며 새벽 2시 어린이 야구장에서 다시 결투를 하자고 제안한다. 오늘은 여기까지만 하자는 뉘앙스로 보이는 그 순간 시리얼 박스에 숨겼던 권총을 신부에게 쏘지만 빗나간다.[13][14] 권총이 빗나간 직후 슬로우 모션에서 키도는 떨어지는 머그잔을 발로 차서 버니타에게 날리고, 버니타가 그것을 피하는 순간 그녀의 가슴에 칼을 내리꽂아서 살해한다.

버니타의 숨통을 끊은 신부는 사방으로 흩뿌려진 시리얼[15]들을 밟고 지나가며 버니타의 가슴의 칼을 뽑는데, 그 뒤엔 니키가 무표정으로, 망연자실 한채로 서 있다. 뒤를 돌아본 신부는 니키에게, 이건 네 엄마의 탓이며, 네가 커서 나에게 복수심이 남아 있다면 기다려 주겠다는 말을 하고 떠난다.

어느 일본인의 내레이션[16]이 나오는 동시에, 차에 탄 신부는 복수 대상 리스트에서 버니타의 이름을 지우는데, 그 위에는 첫번째 복수 대상인 오렌의 이름이 이미 그어져 있다. 다시 트럭을 타고 어디론가 향한다. 이때 자동차의 이름이 "Pussy Wagon"[17]이라는 것이 밝혀진다.

5.3. 챕터 2: 피로 뒤덮인 신부

Chapter Two: The blood-splattered Bride

신부가 복수를 꿈꾸게 된 계기를 알리는 장이다. 오프닝에 나왔던 흑백 장면 이후로 이어진다. 4년 6개월 전, 텍사스 주 엘파소 교회당에서 학살당한 그녀와 신랑, 그리고 몇몇 하객들이 죽어있다.[18]

넓은 평야를 가로질러 어느 차량이 교회당에 도착한다. 녹색 선글라스에 카우보이 모자를 쓴 나이가 든 정장차림의 형사와[19] 그를 기다리는 것으로 보인 보안관 복장의 젊은 형사를 만나 사건에 대해 서로 얘기한다.[20][21][22] 늙은 형사는 키도를 바라보며[23] 아름다운 신부라고 외모를 묘사하[24]던 중, 키도는 피 섞인 침을 뱉어낸다.....그렇게 병원의 중환자실, 신부는 코마 상태로 누워있다.


누군가가 휘파람[25]을 불며 안대를 착용한 어느 여성이 병원 안으로 들어간다.[26] 그리고 병원 내 어느 방[27]에 들어가서 독약을 주사기에 넣고 병실의 신부 앞으로 접근해 주사기를 주입하려 한다[28]. 그 여성의 정체는 바로 엘 드라이버, 데들리 바이퍼스의 일원이었다.[29]

엘은 식물인간 상태의 주인공을 바라보며 항상 존경하며 경멸했다고 얘기한다. 잠을 잘때 죽이는 걸 고마워하라고 하며 주사기를 주입하려는 절묘한 순간, 빌한테서 전화가 오고 임무를 중단하라는 명령을 받고 엘은 화를 내면서 혼수상태의 베아트릭스를 내버려 둔다.[30] "영원히 깨지 마라!"는 엘 드라이버.

그렇게 병상에 누워진 지만 어언 4년. 곤히 자던 신부는 모기의 흡혈(?)로 혼수상태에서 놀라면서 깨게 된다. 신부는 총을 맞은 기억을 총구의 익스트림 클로즈업과 함께 생생하게 떠올린다. 그러다 자기 배를 만지며 배가 부풀어 있었던 4년 전과는 달리 홀쭉하다는 것을 깨닫고 울부짖으며 오열한다.[31]

또다시 휘파람 소리가 들리며 병실 밖으로 인기척이 느껴지고 신부는 병상에 누워 혼수상태에 빠진척 한다. 병실 문이 열리고 일반 남성 한 명과 남자 간호사(아마도 간호사로 위장한)가 들어와 합의하에 75달러에 신부를 산다.[32][33]
변태가 신부의 몸 위로 접근하며 키스를 하려는 순간 신부는 그 변태의 입술을 물고 늘어지며 변태남은 소리를 지른다. 화면이 잠깐 암전되고 남성은 피를 흘리며 쓰러져 있다. 그녀는 마비된 하반신을 이끌고 기어서 움직이려 한다.[34]

시간이 다 됐다며 병실에 다시 들어온 남자 간호사는 피칠갑으로 쓰러져 있는 변태남을 보고 놀란다. 놀란 그를 감시하며 바닥에 엎드려 숨어 있는 신부는 간호사의 아킬레스건을 칼로 베어 자빠뜨린 뒤, 마침 쓰러진 간호사의 머리가 방의 문 사이에 놓이게 되자 몸을 깔아뭉갠 뒤, 그의 머리를 향해 세게 문을 닫아버리며 다짜고짜 빌이 어딨냐(Where's Bill?)고 소리친다.[35] 모든 일을 떠올리고 분노한 신부는 벅을 죽여버리고[36][37] 그의 주머니에서 선글라스를 꺼내어 병실 밖을 살피고, 1장에 나왔던 자동차 키(pussy wagon이라고 유치한 열쇠고리가 달린)을 꺼내어 훔친다.[38]

여전히 다리와 발끝을 못 움직이는 트럭의 뒷좌석에, 안간힘을 다하여 간신히 타서[39] 안정을 취하며 발가락 하나하나부터 움직이려 힘을 쓴다.[40] 발가락을 움직이라고 반복적으로 얘기하는 동시에 신부는 데들리 바이퍼를 회상하고 첫 번째 타깃을 오렌 이시이로 결정한다.

5.4. 챕터 3: 오렌의 기원

Chapter Three: The Origin of O-Ren

일본 애니메이션 형식으로 진행된다. 베아트릭스가 아닌 오렌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일본식 애니메이션으로 독특하게 풀어낸다. 애니메이션이기에 더 잔인한 장면이 많고 피가 철철 나온다.
오렌은 일본계, 중국계 혈통 미국인 부모에게서 태어났다. 아빠는 주일미군 군인이었지만 오렌이 9살 때 일본 야쿠자 조직 중 하나의 보스 "마츠모토"에게 살해된다. 당시 오렌은 침대 밑에서 숨어서 지켜보는데, 군인답게 아빠가 야쿠자들을 제압하지만, 결국 후방을 못보고 리키의 칼에 찔리고, 침대에 숨은 오렌에게로 떨어지며 부녀의 눈이 마주한다. 그리고 확인사살까지 당하자 오렌은 훌쩍인다.[41]
오렌의 엄마도 살해되는데, 옆 방에서 담배를 피며 오렌의 아버지의 죽음을 보던 마츠모토가 침대에 오렌의 엄마를 눕히고, 광기의 표정으로 일본도를 내려 꽂아 죽인다. 침대 밑에 숨어있던 오렌은 아빠의 죽음보다 더 눈물을 흘리며 엄마의 핏방울을 맞게 된다.[42] 리키가 책상 위에 놓인 술에 총을 쏘고 담뱃불을 던져 오렌의 집에 불을 지르고, 오렌은 그곳을 빠져나온다.

오렌은 복수만을 꿈꾸며 잔인한 소녀로 자랐고, 마츠모토는 소아성애자였기 때문에 기회가 있었다. 11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마츠모토에게 미인계로 접근한 오렌은 마츠모토 가슴에 칼을 꽂으며, 부모를 닮은 자기의 눈을 보라고 말한다. 칼은 마츠모토의 심장에 더 깊게 꽂히고[43], 오렌은 칼을 위로 올리면서 빼고 보스의 피는 온 사방에 퍼진다. 엄청난 양으로 묘사된다. 마츠모토의 경호원들이 와서 오렌을 잡으려 하지만 이미 침대 밑에 숨어있다. 오렌은 경호원의 다리를 쏘고 넘어진 상대에게 헤드샷을 날리는 등 프로 같은 대처로 빠져 나온다.

그 이후 오렌은 유명한 킬러가 되어 멕시코의 유명 인사를 암살하기도 한다. 이후 데들리 바이퍼스의 멤버로서 교회당 학살의 참여한 것은 오렌이 25살이었을 때였고 한다. 오렌을 포함한 그들이 교회당에서 10명이 아닌 9명을 죽인 게(신부 자신은 살려둔 게) 큰 후회가 될 거라고 말하는 신부.

회상이 끝나고, 다시 pussy wagon의 뒷좌석[44]에서 엄지발가락을 드디어 움직이기 시작한 신부. 장장 13시간에 걸친 자체 재활(?) 덕에 운전석에 탑승하여 운전을 한다.

그 후, 그녀는 오키나와로 가는 편도 항공편을 끊고 이동한다.

5.5. 챕터 4: 오키나와의 남자

Chapter Four: The Man from Okinawa

오키나와에 도착한 신부는 대낮에 한 초밥집에 들른다. 초밥집의 커튼을 열고, 신문을 보던 콧수염이 난 가게 주인이 그녀를 보자 환영한다고 영어로 말한다. 신부가 기초적인 일본어 단어를 말하자[45] 일본어를 현지인만큼 잘 한다고 칭찬한다. 신부와 가게 주인의 화목한 대화가 오가고, 동시에 민머리의 직원/조수와 가게 주인의 다툼이 벌어지기도.[46] 주인이 무슨 일로 오키나와에 왔냐고 물어보자 신부는 한 남자, 핫토리 한조를 찾고 있다고 말하는데, 그의 얼굴이 굳으며 왜 그를 찾으러 왔냐고 묻는다.[47] 사실은, 그녀를 맞이한 가게 주인이 핫토리 한조였던 것.

가게 주인 아니 한조는 다락방으로 보이는 곳으로 신부를 안내한다. 그곳에는 한조과 보관해 놓은 그의 작품들인 10여 개의 검들이 있다. 검술사를 은퇴한 지 오래인 핫토리 한조는 그 검들을 과거의 추억과 향수 때문에 보관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한 자루만 달라는 그녀의 부탁을에 내가 왜 당신을 이리 도와야 하느냐고 말하며 거절하려는 듯 싶었으나, 그녀가 '놈은 당신의 제자였다'며 한조의 책임에 대해 언급하자 말없이 성에가 낀 창문에 영어로 Bill이라고 쓰며 빌이 한조의 제자였다는 것이 밝혀진다. 칼을 만드는 데 한 달은 걸릴 거라는 말을 남기고 한조는 방을 나가고, 신부는 'Bill'을 지워버린다. 한조는 한 달간 이곳을 내어 줄테니 검이 제작되는 동안 수련에 집중하라고 이야기한다.

한 달 후, 칼의 증여식을 거행한다. 전통 복장을 한 한조는 조수의 도움으로 칼을 뽑고 그것을 유심히 살펴본다. 최고이자 최후의 걸작을 만들었다고 얘기하는 한조. 자신이 이 칼을 주는 이유는 자네의 목표에 공감하기 때문이라 하며 일본의 전통 복장을 하고 있는 신부에게 칼을 건네준다. 깊은 감동을 받은 신부의 "도모."라는 대사를 끝으로 4장은 끝이 난다.

5.6. 챕터 5: 녹엽정의 결투

Chapter Five: Showdown at House of Blue Leaves

킬 빌 1부의 하이라이트이자 가장 러닝타임이 긴 챕터이다[48]. 그에 앞서 오렌의 도쿄의 지하세계에서의 한 에피소드를 통해, 신부가 상대할 오렌이 얼마나 강력한 지를 보여준다.

오렌은 "크레이지 88인"이라는 일본 패거리 군단과 함께 대규모 결투에서 승리하여 도쿄 야쿠자 세계의 최고 지배자가 되었다[49]. 그러던 어느 날이었다. 오렌은 광기가 가득한 17세의 경호원 고고 유바리[50], 검은색 눈가면을 쓴 크레이지 88인의 대머리 리더 조니 모, 빌의 제자이기도 했던 프랑스계 일본인 변호사 소피 파탈과 함께 야쿠자 두목들의 술자리에 참석한다.
술자리가 진행되는 중 참석원 중 하나인 타나카 두목[51]이 한참 근심하는 표정을 짓더니 테이블의 술잔을 깨트리며, 오렌의 혈통에 관해 분노를 표출하며 반기를 들었다고 한다. 오렌은 테이블 위를 건너 타나카에게 다가가 그의 머리를 단칼에 베어버리고, 그의 몸통에서는 스프링클러같이 강한 압류의 피가 솟구쳐 올랐다.[52] 소스라치게 놀란 나머지 두목들에게, 오렌은 영어로 선전포고하는데[53], 이제부터 내 앞에서 내 혈통 가지고 왈가왈부하면 당신들도 (타나카의 잘린 머리를 들며)이렇게 만들어 버리겠다며 엄포를 놓았다...는 에피소드이다.[54][55]

한편 신부는 오키나와에서 오렌이 있는 도쿄로 향한다.[56] 극 중 자신의 트레이드 마크인 노랑색의 검은 줄무늬 트레이닝 복을 입고 홀로 오토바이(가와사키 중공업 ZZR250)를 타고 다니며 일행을 추격하는 주인공 신부.[57]



오렌과 그 부하들은 녹엽정이라는 식당/주점에 들어온다.[58] 가게의 로비에는 3인조 여성 밴드(The 5.6.7.8's[59])가 공연을 하고 설마 설마 했는데 이들도... 많은 손님들이 그 음악[60]에 맞춰 춤을 추고 있다. 화려한 복장의 중년 여성(가게 주인)과 삭발을 한 남성 종업원이 그들을 맞이하고, 오렌의 일행을 2층의 룸으로 안내한다.[61]

이미 가게에 잠입해 있던 신부는 오렌의 방문 앞에서 대화를 엿듣는다. 오렌의 직감으로 고고에게 존재를 걸릴 뻔하지만, 힘겹게 천장에 달라붙어 위기를 모면한다. 그리고 나선 화장실에 숨어 있다가[62] 이후 그곳으로 온 소피 파탈을 포박한다. 그리고 소피를 끌고 나와 오렌 앞에서 소피의 왼팔을 칼로 자른다. 다량의 피가 쏟아지고 식당의 손님과 밴드는 도망 나간다. 적잖이 놀란 오렌은 부하들에게 찢어죽이라 소리친다.

먼저 부하 중 한 명(미키)이 칼을 들고 나와 신부를 죽이려 하지만 신부가 검을 휘두르자 부하의 칼이 부서지고 한조의 검이 가슴에 꽂히며 원킬. 그리고 오렌의 명에 따라 3명의 부하가 내려온다. 매우 자극적인 소리와 칼놀림에 부하 3명은 굳어 서있다가 신부가 칼 손잡이를 내려치자 3명은 바로 쓰러진다.[63] 그 직후 또 남은 두 명의 패거리, 남자와 여자가 내려와 키도를 상대한다. 허접한 자체 슬로우모션과 함께 남자는 쉽게 칼로 베어 처리하고 여자는 기둥에 밀쳐 칼을 몸 깊숙히 박아 죽인다[64].

피가 쏟아진 칼을 들고 서있는 신부는 이제 모두를 해치웠나 생각하나, 고고 유바리는 그녀를 대기 중이었다. 그녀는 유성추 모양의 철퇴를 가지고 다니며 휘두른다. 매우 싸이코 적인 웃음소리와 말투는 소름끼치게 만든다. 고고는 엄청난 힘으로 철퇴를 던져 신부를 먼저 기선제압 하는데, 신부의 가슴을 치고 칼을 꼬아 넘어뜨리며 과격한 공격을 보인다. 부서진 탁자 위에서 나무 판자를 들고 뛰어 다니는 신부는 고고 유바리를 향해 달려든다. 고고 유바리는 철퇴에 톱날을 꺼내 다시 키도를 향해 던진다. 현란한 기술로 신부 어깨에 상처를 내고 사슬로 신부의 목을 조른다. 궁지에 몰린 신부는 우연히 근처에 널부러져 있는 못이 박힌 부서진 탁자 다리로 고고의 발등을 내려찍은 뒤 머리를 후려치고, 결국 머리에 못이 박힌 유바리는 피눈물을 흘리며 죽는다.[65]


고고까지 처리하고, 드디어 오렌과 1대 1로 대면하나 싶었는데, 서서히 오토바이 소리가 들리며[66] 더 많은 크레이지 88 군단이 난입한다. 조니 모를 리더로 한 다수의 검은 군단에 둘러싸인 신부. 하지만 그녀에겐 한조의 증여물이 있다.
신부는 한조 검을 휘두르며 몇 명을 바로 죽이고 눈을 뽑으며 엄청난 양의 피가 낭자하는 액션을 선보인다! 상대의 목이 날아가고, 팔다리나 신체 일부분이 잘려나가고, 도끼에 몸과 머리가 찍히는 등 폭력성의 최고봉이라 할 수 있다.[67] 360도로 돌며 칼을 휘두르는 장면은 명장면이라 할 수 있다. 부하의 머리 위에서 칼을 든 두 손을 베어버린 뒤에 달려드는 조직원을 공중제비를 돌아 세로로 썰어서 죽이거나, 입 양 옆으로 썰어버리거나, 팔을 자르거나 하는 말도 안되는 액션을 보이다 대나무를 타고 2층으로 올라가게 된다.[68] 보스격이 되는 인간을 대나무를 튕겨 맞춰 쓰러뜨리고 1층에서 마저 해치우게 되는데 위기를 느낀 신부는 다시 위층으로 올라간다. 그 사이 가게 주인이 두꺼비집을 내려서 푸른빛의 암흑 상태가 되지만 키도는 거침없이 그들을 처리하고 마지막 한 명만을 남긴다. 다시 두꺼비집이 켜지고 신부는 아까 보았던 어린 소년을 보게 되는데, 소년의 칼을 조금씩 깨트려서 항복하게 만들고 엉덩이를 칼등으로 때리며 야쿠자랑, 어울리면, 이렇게, 혼난다!를 때리는 리듬에 맞춰 읊으며 혼낸 후 보낸다.
패거리 모두를 해치웠나 싶었더니 갑자기 그녀에게 다시 달려드는 조니. 둘은 계단의 난간에 올라서서 결투를 벌인다. 결국 신부가 조니의 다리를 썰어 제압하고 피로 물든 물웅덩이로 추락시킨다.
붉게 물들여진 바닥에서, 동료의 조각난 시체를 옆에 두고, 고통의 신음을 내며 나뒹굴고 있는 단원들에게, 신부는 일본어로 잘린 팔과 다리를 두고 나가라고 말한다. 단, 소피 파탈은 제외하고. 가게 주인은 가게가 이 모양 이 꼴이 된 것에 좌절하며 소리친다. 그러거나 말거나, 신부는 자신을 이곳으로 이끌어 피를 보게 한 장본인을 찾는다.




수십 명을 처리하고 나서야, 마침내, 신부는 녹엽정 바깥의 인공 눈이 내리는 일본식 정원에서 고대하고 있는 오렌과 대면한다. 시코미가타나 형식의 검을 소지한 오렌은 신부가 핫토리 한조의 검을 가진 걸 부인하려 한다.

각자의 검을 들고 서로를 마주 보며 일 대 일의 결투를 시작한다. [69][70] 초반에는 오렌이 선전하며 승리를 예견한다. 신부의 등에 칼집, 자상을 남기고[71], 신부를 바닥에 쓰러트리는 등 승기를 잡는 듯 한다.[72]

하지만 신부의 복수의 집념은 패배를 용납치 않았다. 오렌이 점점 밀리기 시작한다. 사실 다리 거동이 불편한 기모노를 입고 추리닝을 입은 상대와 싸우는 것은 큰 페널티다... 결국 복수에 불탄 신부에게 허벅지를 베인다. 더욱 거동이 불편해진 오렌은 "방금 전에 조롱한 거, 사과하지."라 말하고 멈춘 뒤, 신부가 "받아줄게."라 하고 나서야 다시 결투에 나선다. 이내 결투를 지속하다, 뇌가 드러날 정도로 머리 윗부분이 썰려버린 오렌은 "정말로... 핫토리 한조의 검이었군..." 이라 말을 남기고, 흰 눈밭에 쓰러져 사망한다.

제거 대상 1번은 이렇게나 길고 긴 혈투를 이루고 나서야 처리가 성사되었던 것.

이후 병원 앞에 소피가 굴러 떨어진다.(이것의 전말: 다른 데들리 바이퍼즈 멤버들의 정보가 필요했던 신부는 소피 파탈을 트렁크에 가둔 채 병원 앞에 세운 후, 남은 한쪽 팔마저 잘라버리는 무자비한 심문 끝에 신부는 데들리 바이퍼즈의 위치와 현재 상황을 알아낸 뒤 "네 보잘 것 없는 목숨을 살려주는 대신 빌에게 '모두를 오렌처럼 죽여버리겠다'라고 전해라"고 전한 뒤[73]에 병원 앞으로 소피를 굴려보낸 것이었다.)

본토로 돌아가는 비행기 속에서, 신부는 데들리 바이퍼스 일원을 백지의 노트에 적는 장면이 등장한다. 칼의 증여식을 해준 한조의 조언[74], "그녀는 복수해 마땅하고, 우린 죽어 마땅하지..."라며 읊조리는 버드, 그녀를 최대한 고통스럽게 죽이라는 엘 드라이버, 과거 결혼식 당시의 신부의 모습이 차례로 교차된다.[75]

도쿄의 병원, 병실 안 환자 신세가 된 소피[76]에게 그의 스승 빌이 방문한다. 어루만져주고 있는 빌에게 자신의 배신을, 비밀을 지키지 못한 것을 용서해달라고 비는 소피,
하지만 빌이 생각하는 '비밀'은, 한 가지 더 있었다....."그녀가 자기 딸이 살아있단 걸 아느냐?"며 질문하는 빌.

6. 사운드트랙

파일:피치포크 로고.svg파일:피치포크 로고 화이트.svg 피치포크 선정 최고의 사운드트랙
34위
<colbgcolor=#fce326><colcolor=#000000> Kill Bill Vol. 1 Original Soundtrack
파일:킬빌.jpg
킬 빌 사운드트랙
1부 2부
<rowcolor=#000000> 트랙 제목 아티스트 링크 비고
1 Bang Bang (My Baby Shot Me Down) Nancy Sinatr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빌이 블랙 맘바를 쏜 뒤 ~ 오프닝 크레딧 부분에서 삽입된 곡.
2 That Certain Female Charlie Feather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텍사스 레인저 이어 맥그로가 결혼 대학살을 조사하기 위해 운전할 때 자동차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곡.
3 The Grand Duel-(Parte Prima) Luis Bacalov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오렌 이시이의 과거 장면에서 흘러나오는 곡.
4 Twisted Nerve Bernard Herrmann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엘 드라이버가 블랙 맘바를 죽이기 위해 병원에 들어섰을 때 부르는 휘파람 곡.
5 Queen Of The Crime Council Various Artist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오렌이 다나카를 살해한 뒤 하는 대사.
6 Ode To Oren Ishii (Feat. The RZA) Vincenzo Temper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블랙 맘바가 간호사를 제압하기 전에 흐르는 곡.
7 Run Fay Run Isaac Haye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오렌이 옥상에서 스나이퍼로 자동차에 탄 남성을 암살하는 장면에서 쓰인 곡.
8 Green Hornet Al Hirt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블랙 맘바가 도쿄에 도착하고 오렌은 오토바이의 경호를 받으며 다리 위를 건나고 있을 때 나오는 곡.
9 Battle Without Honor Or Humanity Hotei Tomoyasu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오렌 일당이 녹엽정 복도를 걸어갈때 흐르는 곡.
10 Don't Let Me Be Misunderstood Santa Esmerald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오렌과 블랙 맘바가 눈밭 위에서 싸울 때 나오는 곡.
11 Woo Hoo 5.6.7.8'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녹엽정에서 밴드가 부르는 두 번째 곡.
12 Crane / White Lightning RZA,Charles Bernstein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블랙 맘바가 크레이지 88에게 둘러싸였을 때 흐르는 곡.
13 Flower Of Carnage Kaji Meiko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블랙 맘바가 오렌의 머리를 칼로 벤 뒤 나오는 곡.
14 Lonely Shepherd Gheorghe Zamfir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블랙 맘바가 자신의 리스트에 또다른 이름을 추가하고 엔딩 크레딧에 흐르는 곡.
15 You're My Wicked Life Various Artist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6 Ironside Quincy Jone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영화에서 등장하는 사이렌 소리.
17 Super 16 Neu!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블랙 맘바가 방을 나서는 오렌을 봤을 때 잠시 흘러나오는 곡.
18 Yakuza Oren 1 RZ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오렌이 다나카를 살해한 뒤 흐르는 곡.
19 Banister Fight RZ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블랙 맘바와 조니 모가 난간 위에서 싸울 때 흐르는 곡.
20 Flip Sting Various Artist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1 Sword Swings Various Artist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크레이지 88과 전투 중에 조니 모가 발도하며 블랙 맘바를 벨 때 흐르는 효과음
22 Axe Throws Various Artist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크레이지 88 단원이 블랙 맘바에게 도끼를 던질 때 흐르는 효과음

7. 평가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메타스코어 69 / 100 점수 8.3 / 10 상세 내용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신선도 85% 관객 점수 81%

<nopad> 파일:IMDb 로고.svg
(IMDb Top 250 151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별점 3.8 / 5.0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if code != null
{{{#!if title == null
{{{#!wiki style="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3244|{{{#!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기자·평론가
X.XX / 10
관람객
9.22 / 10
네티즌
8.31 / 10
}}}}}}]]}}}}}}{{{#!if title != null
{{{#!wiki style="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X.XX / 10
관람객
9.22 / 10
네티즌
8.31 / 10
}}}}}}]]}}}}}}}}}
#!if code == null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000,#fff 평점 9.22 / 10}}}]]
'''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8.1 / 10

니들이 피맛을 알아? 킬킬대는 고물상 타란티노
박평식 (★★★)
취향 자체가 최고의 무기가 된 사례
이동진 (★★★★★)
영화광을 위한 농담, 신나는 ‘오락’ 영화
김봉석 (★★★★)

8. 흥행

9. 기타

10. 작중 대사

그대의 복수를 방해하는 자는 신이라도 죽이시오. "하느님이든, 부처님이든"...
- 더 브라이드가 버니타 그린을 죽인 후 핫토리 한조의 조언
난 널 경멸했어. 하지만 너의 그 실력은 높게 사지. 우리들 세계에선 이런 암살은 마음에 안 들지만... 내가 주는 선물이야.
좆나게 웃기지?? 충고할게. 병신아. 깨지 마!
- 엘이 베아트릭스가 뇌사 상태에서 암살을 하려고 했으나 빌의 임무 취소가 되자 한 충고
빌은 어디에 있어?? 빌은 어디에 있냐고?!
네 이름은 "벅(Buck)"이지?? 그리고 넌 여기에 "떡(Fuck)"을 치러 온 놈이고. 맞지??"'''
- 벅이 병원에서 자신을 포함 뇌사 상태인 여성 환자들을 상대로 성폭행을 한 걸 알자...
"암컷 트럭(Pussy Wagon)... 이 X같은 놈!!"
날 이렇게 만든 년들과, 그 책임이 있는 놈들의 얼굴이 떠올랐다. 그들은 데들리 바이퍼 암살 부대. 행운의 여신이 나에게 복수를 허락해 준 거라면 난 신의 뜻을 반드시 이행해야 한다. 난 적들을 찾기 시작했고, 첫번째 복수 대상은 "오렌 이시이"다. 일본 도쿄 암흑가의 여왕 자리에 오르면 찾는건 시간 문제다.
- 더 브라이드가 벅의 차 안에서 모든 신경을 발에 집중 하는 동안 자신의 인생을 망치게 한 조직원들을 추격 할 때
오렌 이시이는 주일 미군 기지에서 태어난 일본, 중국, 미국 혼혈아다. 그녀가 9살 때, 부모의 죽음을 목격하게 되는데, 그 부모를 죽인 자는 최악의 야쿠자 보스. 보스 "마츠모토" 였다...
그녀는 복수를 다짐했다. 운이 좋은건, 보스 마츠모토는 소아 성애자 였고, 11살 때, 복수를 성공했다.
20살 때, 그녀는 전세계 탑에 들 정도로 암살자가 되었다.
오렌 : 마츠모토... 나를 봐, 내 얼굴을 봐, 내 눈을 봐내 입을 봐. 눈에 안 익어?? 네가 죽인... 누구랑 안 닮았어?!!
- 작중 오렌이 부모를 죽인 마츠모토에게 복수를 할 때
한조 : 일본엔 처음으로 오셨다고 하셨죠??
베아트릭스 : 네
한조 : 오키나와는 무슨 일로 오셨죠?
베아트릭스 : 한 남자를 찾고 있어요.
한조 : 오, 그렇군요. 혹시 친구분이신가요?? 아니면...
베아트릭스 : 아니에요.
한조 : 친구가 아니라고요?
베아트릭스 : 처음으로 만나는 사람이에요.
한조 : 그게 누구죠??
베아트릭스 : "핫토리 한조."
- 베아트릭스의 첫번째 타켓 오렌을 죽이기 위해 핫토리 한조와 첫 대면.


[1] 2025년 현재까지도 그의 역대 영화 중 역대급 수위이다.[2] 다만 2부는 액션 씬이 줄어들고 대사 위주로 영화를 전개해 나가기 때문에 1부보단 덜 잔인하다.[3] 이 때문에 한국에서는 초기에 제한상영가 등급을 받았을 정도였다.[4] 동그라미에 2라는 숫자가 덩그라니 나온다. 이 2가 의미하는 바는 복수 리스트 대상 중 두번째라는 것으로, 그 진행은 챕터 1이 끝나고 나면 이해가 가능하다.[5] 크레딧에도 신부(The Bride)로 표기되어 있다. 그녀의 본명을 부를 때마다 묵음 처리되고, 본격 본명이 공개된 것은 2부부터이다(사실 성씨 Kiddo는 오프닝의 빌의 대사에서 공개되긴 했다. 하지만 Kiddo가 꼬마라는 뜻도 중복하고 있어 이것만 듣고 성씨라고 확정짓기는 어려울 것이다.).[6] The Bells(벨 일가)라고 쓰여있는 우체통과 어린이용 놀이기구가 놓여있다.[7] 버니타를 노려보는 신부의 눈을 화면 절반에 클로즈업으로 잡고, 복수해야 했던 그 회상씬이 빠르게 지나간다.(이 기법은 쿠엔틴 타란티노가 애용하는 방법이다. 킬 빌 말고도 장고: 분노의 추적자에서도 쓰인다.)[8] 이 장면에서 퀸시 존스가 작곡한 미국 드라마 ironside의 주제가의 초반 부분(사이렌이 울려퍼지는 부분.)이 울려퍼진다. 예능에도 자주 등장하여 국내 대중들에게도 매우 익숙하다.[9] 요즘 액션 영화들이 쓰는 정신 사나운 핸드헬드 카메라 기법이 아닌 고정된 카메라로 액션을 보여준다. 하지만 수많은 장면들이 계속 교차됨으로 액션을 느낄 수 있으며 각 장면의 연결이 매끄럽지는 못하다. 인위적인 B급 센스의 향연.[10] 이때 키도가 사용하는 칼은 SOG사의 Desert Dagger이다.[11] 주방으로 향하는 동시에 베아트릭스의 나레이션으로 그들은 과거 데들리 바이퍼스의 일원이었다는 사실과 버니타가 결혼 후 '지니 벨'로 개명했다는 것을 알려준다.[12] 또한 주인공의 코드네임은 '블랙맘바', 버니타의 코드네임은 '코퍼헤드' 였다는 사실도 밝혀진다.[13] 총을 꺼내어 쏘는게 아니라 박스 채로 쥐고 쏘기에 가늠쇠 조준이 안 되었고, 그린은 주특기가 총이 아닌 칼인데다가 오랜 평상생활로 감을 잃은 듯 하다.[14] 시리얼 이름이 Kaboom인데, 영어로 무언가가 폭발하는 의성어를 나타내며, 의역하면 "빵야" 쯤 된다. 총기 사용이 어느 정도 복선으로 깔려 있던 셈. 이 시리얼 브랜드는 실제 시판되던 것으로, 2010년에 단종됐다.[15] 묘하게 피가 튀긴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16] 결투에 임할 때에 상대가 누구든 간에 결투에 전념해야 한다는 내용이다.[17] 굉장히 저질스러운 은어이다. 그나마 평범하게(?) 의역하면 '떡치기용 자동차'의 의미이다. 넷플릭스 자막에는 "계집 자석"으로 번역되었다. 차종은 1세대 쉐보레 콜로라도.[18] 쿠엔틴만의 독특한 촬영으로 위에서 아래를 내려찍는데(버드 아이 뷰) 피로 뒤덮인 신부가 아름답게 죽어있다.[19] 타고 온 경찰차 대시보드에 여러 개의 선글라스를 둘 정도로 선글라스 매니아다.[20] 젊은 형사가 나이 든 형사에게 얘기 끝에 아버지를 부르는 애칭인 팝이라는 애칭으로 답하거나 나이 든 형사가 젊은 형사에게 아들을 부르는 애칭인 Son을 말하는 것을 보면 부자로 보이며 경찰 집안으로 추정된다. 실제 배우도 부자관계이다.[21] 이 부자는 황혼에서 새벽까지, 데스 프루프에서도 같은 캐릭터로 등장한다.[22] 이 장면에서 학살 수준의 결혼이라고 말하며, 결혼식에 불만이 있다고 생각해서 학살했다고 덧붙여 얘기한다.[23] 초록빛으로 보이는 피투성이 신부를 바라본다. 그리고 선글라스를 벗고 정상적인 색감으로도 본다.[24] 이 부분은 쿠엔틴 타란티노가 우마 서먼을 묘사하는 것이나 다름 없다. 이걸로 끝나는게 아니고 2부에서도 외모에 관한 언급이 몇 번 나온다.쿠엔틴 타란티노가 결혼하고 싶었다더라(...) 결국 1년간 연애!(....)[25] 버나드 허먼의 Twisted Nerve라는 음악이다.[26] 안대에는 빨간색 십자가 모양을, 하얀색 코트에 빨간 우산을 들고 있는 모습이다.[27] 여자화장실로 추정되는[28] 이 상황을 "간호사"와 신부의 모습을 화면을 각각 분할하여 보여준다.[29] 엘은 전 일원인 신부와 실력으로 겨루던 경쟁자였고, 그녀를 향한 엘의 경쟁심이 엄청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30] 저 상태로 죽이는건 비열한 방법이기에 하지 말라고 하는 빌. 화면에는 그의 칼을 쥔 손만 보여진다.[31] 울먹거리며 "내 아기....(My Baby...)"라고 말하고 나서, 그녀의 두 손을 바라보며면서 대학살의 그날로부터 4년이 지났음 인지한다.[32] 남자 "간호사"는 그녀를 때리거나 자국을 남기지 말고 성관계를 즐기라고 한다. 먼지 낀 바셀린의 유사품(정확히는 바셀린을 패러디한 Vasalube라는 가상의 브랜드 제품이다. 하긴, 바셀린 회사가 자기 제품이 이렇게 남용되는데 상표 허가를 해줄 리 없으니...)을 주며 촉감이 뻑뻑할 때 바르라고 하는 것은 덤으로 충격이다.[33] 이 남자 간호사는 정황상 이미 여러 번 이런 듯하고 본인도 성행위를 한 듯하다.[34] 그리고 신부는 얼굴과 환자복에는 피가 묻어 있어 물로 얼굴을 씻어낸다.[35] 그러다 간호사의 이름표에 적힌 이름인 "벅"과 그의 손가락에 새겨져 있는 "Fuck"(한국어 자막에선 떡으로 초월번역됨.)을 보고 간호사가 그에게 얘기하던 기억을 떠올리는데, 그가 말하는 것을 잘 들어보면 상습범인 듯하다.[36] 머리가 깨질 듯한 그에게 "네 이름이 벅이랬지?"라고 말한 뒤, 두려움에 떠는 간호사의 반응을 무시한 채 다시 문을 힘껏 닫아 처치한다.[37] 묘사가 제법 잔인한데, 문과 문틀에 머리가 찍힌 간호사가 두 다리를 떨며 경련을 일으키더니 그후 조금 눌려서 길쭉해진 간호사의 머리를 잠깐 보여준다.사실 뒷부분에 비하면 순한맛이다[38] 그의 간호사 복장을 벗기고 그 옷으로 갈아입는다.[39] 기어다니는 그녀는 휠체어를 타고 주차장으로 나가다 열쇠고리와 동일한 Pussy Wagon 트럭을 발견한 것.[40] 참고로 이 장면은 쿠엔틴 타란티노의 특유 발 페티시가 포함되어 있는데, 몇 분 동안 우마 서먼의 발가락을 촬영하는 그의 사심(...)을 엿볼 수 있다.[41] 훌쩍(whimper)이라는 단어가 오렌의 입에서 나오는 연출이 있다.[42] 이 장면 역시 쿠엔틴 타란티노의 연출이 돋보이는 대목이다. 오렌의 얼굴의 피가 떨어지고 슬픈 음악이 나오면서 오렌의 복수심에 대해 간략하면서도 임팩트 있게 보여주게 된다. 모든 장면은 아주 피가 사방에 튀며 나오게 되는데 후반에 나오는 칼 액션보다 더 잔인하게 느껴지기까지 한다.[43] 마츠모토는 고통스러워 하며 이를 꽉 깨문 바람에 이가 나간다.[44] 그리고 다시 실사 화면.[45] 도모, 아리가또, 곤네치와(?) 등.[46] 조수에게 차를 내오라 했더니 일하러 온 주제에 드라마를 보고 있다고 거절을 하는가 하면, 따뜻한 사케를 주문한 키도에게 대낮에 웬 술이냐 묻고 계속 말대답을 하다 주인에게 칼을 맞을 뻔했다.[47] 동시에 술을 꺼내러 갔던 조수가 그 말을 들었는지, 뒤에서 병이 깨지는 소리가 들린다.[48] 전체 영화 중 대략 40%를 차지하고 있다. 나누면 대략 황금비율[49] 동시에 신부가 피살 시도 당한지 1년째였다.[50] 술집에서 자신에게 찝적대는 심한 덧니의 회사원을 살해한 적이 있다고...[51] 곡성(영화)에 출연한 쿠니무라 준이 연기했다.[52] 그 광경을 보며 미소를 짓는 고고와 소피 파탈은 덤.[53] 그 옆에서 소피 파탈이 동시통역해준다.[54] 여담으로 야쿠자 두목 중 안경을 쓴 야쿠자로 등장한 배우는 가면라이더 ZX의 주인공 무라사메 료, 특수로보 쟌퍼슨에서 타테와키 류자부로/빌 골디를 연기한 스가타 슌이다.[55] 또한 이 시퀀스는 2009년에 MBC에서 방영한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오마주되었다. 미실쿠데타를 일으킨 후, 왕좌에 앉아 "제가 기분이 썩 좋지 않으니 잠시 말을 험하게 하는 점을 양해 바랍니다" 라고 말한 뒤, 다른 대신들과 귀족들에게 험악하게 일갈해대는 장면이 있는데, 바로 킬 빌의 이 장면을 오마주했다고 한다.[56] 영화를 처음 보는 사람도 알 수 있는 소소한 옥에티 같은 유머가 있는 장면인데, 실제 항공기를 쓰거나 컴퓨터 그래픽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면임에도 70년대 TV용 특촬물에 쓰이던 수준의 모형을 집어 넣었다(...) 게다가 작중에서 신부는 일본도를 차고도 항공기에 탑승한다.(....) 거기에 항공기에는 일본도 보관함이 있고, 오키나와 국내선임에도 국제선에나 쓸 법한 보잉 747이다.(.....)[57] 오렌의 일행은 고고가 운전하는 검은 승용차에 오렌이 뒷좌석의 중앙에 탑승해 있고, 그 주위를 크레이지 88인의 일원들의 오토바이로 감싸고 있다. 소피 파탈은 차를 따로 타는 모양이다. 또한 감독답게 여기서도 악셀을 밟는 소피의 맨발을 클로즈업해서 보여준다.[58] 입장할 때 유명 bgm인 Battle without honor or humanity와 입구 로비에서 입장하는 슬로우 모션의 명장면이 나온다.[59] 1986년부터 활동한 일본의 3인조 여성 밴드로 요시코 로니 후지야마 (기타), 후지이 사치코 (드럼), 오모 아키코 (베이스)로 구성되었다. 5~60년대 미국의 가라지(Garage) 장르를 모방한 것이 특징.[60] 오렌의 일행이 녹엽정에 입장할 때는 어떤 곡(I Walk Like Jane Maysfield로 추정)을 막 끝마치고 있었고 이후 I'm Blue와 Woo Hoo를 차례대로 연주한다.[61] 뒤이어 여성 주인과 종업원이 일행의 정체를 아는지 겁을 먹고 2층 계단에서 내려오는 장면이 나온다.[62] 다른 한편에선 가게 주인과 종업원이 오렌이 목을 자른 에피소드를 언급하며 그자들이 뭘 요구하든 들어주어야 한다고 얘기한다.[63] 계단의 틈에서 촬영하여 어떤 피도 보이지 않는다.[64] 이 여자가 바로 상술한 핫토리 한조 역을 맡은 배우인 치바 신이치의 딸인 마나세 쥬리(Juri Manase/Julie Manase)다.[65] 이때 신부는 굉장히 씁쓸해 하는 표정으로 바뀐다.[66] 소리를 듣는 키도에게 오렌은 "그렇게 쉬울 줄 알았니?"라고 말한다.[67] 미국판이나 한국에서는 중간에 흑백 처리되어 나오지만, 일본판은 컬러 그대로 편집되었다.[68] dvd판 한정, 한 조직원은 보자마자 베지도 않고 그냥 던져버리는데, 이 사람이 바로 후술할 엉덩이 맞고 쫓겨나는 그 남자애다(...). 비록 자기를 죽일 뻔한 위협적인 실력자라 어쩔 수 없었다지만, 어쨌든 미성년자 한 명을 이미 죽여버린 뒤라서 또 어린애를 죽이기는 싫었기 때문이다.[69] 시작과 동시에 나오는 배경음악은 Santa Esmeralda의 Don't Let Me Be Misunderstood이다. 좋은놈, 나쁜놈, 이상한놈에서 편곡,삽입되기도.[70] 이 장면은 영화 슈라유키히메의 오마쥬이기도 하다. 조금 뒤 장면에 주제가 OST도 삽입되어 있다.[71] "일본도 가지고 노는 멍청한 백인 계집이라. 사무라이처럼 싸울 수는 없지만, 사무라이처럼 죽을 수는 있겠구나."라고 일갈한다. 오렌은 신부와의 결투 동안 거의 모든 대사를 일본어로 말하는데, 이 대사만큼은 조롱조인지는 몰라도 영어로 말한다.[72] 이 때 신부가 이미 전투를 치른 상태였기에 지쳐 있었는 데다가 부상까지 입은 상황이었다. 그런데 쓰러졌을 때 덮치면 죽일 수 있었는데도 신부가 일어날 때까지 기다렸다(...).[73] 한국 극장판에서는 심문하는 중간에 미국판은 검은 화면과 함께 소피의 비명만 내보냈지만, 무삭제 DVD 버전에서는 편집된 부분이 나온다.[74] "복수는 결코 똑바로 뻗은 길이 아니다. 오히려 숲이다. 숲의 안에서는 헤매기 쉽다. 자신의 길도 모른 채 어디로 들어왔는지 잊어버리게 된다."[75] 여기서 나오는 과거 회상들은 모두 2부에 등장하는 장면들이다.[76] 원래 묶고 있던 머리를 풀었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킬 빌|킬 빌]]}}}{{{#!if external != "o"
[[킬 빌]]}}}}}}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킬 빌?uuid=f9795bc8-3151-4d0a-abf4-71d55140f21e|r453]]}}}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킬 빌?uuid=f9795bc8-3151-4d0a-abf4-71d55140f21e#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킬 빌?from=453|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킬 빌|킬 빌]]}}}{{{#!if external != "o"
[[킬 빌]]}}}}}}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킬 빌?uuid=f9795bc8-3151-4d0a-abf4-71d55140f21e|r453]]}}}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킬 빌?uuid=f9795bc8-3151-4d0a-abf4-71d55140f21e#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킬 빌?from=453|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