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장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61BDC2><colcolor=#fff> 스타일 | SF 영화, 공연 실황 영화, 공포 영화, 느와르, 다큐멘터리 영화, 드라마, 로드 무비, 모험물, 뮤지컬, 미스터리, 법정물, 수사물, 스릴러, 슬로우 시네마, 액션 영화, 사극, 일상물, 전기 영화, 코미디(블랙 코미디, 로맨틱 코미디, 슬랩스틱), 첩보물, 판타지 |
사조 | 네오 리얼리즘, 누벨바그, 뉴 할리우드, 대만 뉴웨이브, 스파게티 웨스턴, 시적 리얼리즘, 표현주의, 도그마 95, 실험영화, 소비에트 몽타주, 프리 시네마, 폴란드 학파, 제3영화, 멈블코어, 시네마 뒤 룩, 홍콩 뉴웨이브, 뉴 퀴어 시네마, 뉴 저먼 시네마 | |
포맷 /프로덕션 | 3D, 독립 영화, 애니메이션 영화, 흑백 영화 | }}}}}}}}} |
1. 개요
창작물, 대중 매체의 장르 중 하나로 법정, 재판을 포함한 법조계에 관련된 내용을 주 소재로 삼는 장르를 일컫는다.최초의 법정물은 아이스킬로스의 《자비로운 여신들》이라고 할 수 있지만, 기원전 1000년 전에 쓰여진 구약 성서에 나오는 '솔로몬의 재판'도 법정물이라고 볼 수 있다.
1908년 영화 Falsely Accused!를 시조로 삼아 존 포드의 젊은 날의 링컨을 거쳐 현재 법정물의 기반이 된 작품은 1950년대에 쏟아져 나왔다. 미국 영화 12인의 성난 사람들[1], 앵무새 죽이기, 살인의 해부[2], 검찰 측 증인이 있다.
법정이 주 소재인 장르인 만큼 추리물이나 수사물과 연계되는 경우도 있다. 애거서 크리스티 소설 및 영화 검찰 측 증인이 이런 장르 혼합을 선구적으로 보여준 작품.
2. 특징
- 수사가 아니라 수사가 끝난 이후의 법정에서 일어나는 일을 다루기 때문에 변호사, 검사 등이 주/조연이다. 변론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사건 자체에 주목할 경우에는 피해자나 피고인(피의자) 등이 주연인 경우도 생각보다 많다.
- 경찰(형사/경찰수사관)과 판사는 별 볼 일 없는 병풍으로 나온다. 경찰은 수사 및 무력 진압 담당인지라 법정 내에서 할 수 있는 게 없고, 판사는 직접 판단하는 직업이기에 권한 자체가 막강한지라 이쪽이 누구 편을 들면 긴장감이 사라지기에 중립적인 역할을 지키기 위해 무조건 병풍취급이다.[3]
- 구도는 '변호사vs변호사' 구도와 '변호사vs검사' 2가지 구도가 존재한다.
- 작품에 따라 예외도 있지만 대부분의 법정물이 수사, 증거 수집, 추리요소가 들어 있어 형사물, 탐정물, 수사물과 비슷한 면이 있다. 다만 주인공이 변호사나 검사라서 수사, 증거 수집, 추리 같은 요소를 직접 하는 경우는 드물고, 남들이 긁어모은 자료나 증거, 사전에 입수한 정보를 바탕으로 서로 수 싸움을 벌이는 차이가 있다.
- 하나의 사건을 작품 전체로 다루기보단 한 작품 안에 여러 개의 사건들이 옴니버스 혹은 에피소드 형식으로 나눠져 있는 게 대부분이다. 다만 스토리 후반부엔 스토리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어떤 거대한 사건이 꼭 나와 그것을 화려하게 마무리하는 전개가 많다.
3. 법정물 작품 일람
실화를 바탕으로 한 경우는 ☆.3.1. 소설 및 희곡
- 조선 후기의 송사소설(訟事小說) 및 중국 명청대 공안소설(公案小說) 전반.
- 베니스의 상인
- 자비로운 여신들 - 아이스킬로스가 저술한 오레스테스 3부작의 마지막 작품. 원고/피고/변호사/배심원/판사의 형식을 갖춘 최초의 법정물이다.
- 소크라테스의 변명☆ - 플라톤의 초기 대화편. 문학 작품으로서 보면 피고의 일장 연설로 이루어진 독특한 구조의 법정물로도 볼 수 있다. 원고의 소송 내용, 배심원의 판결 등도 피고의 연설을 통해 간접적으로 독자에게 전달된다.
3.2. 게임
3.3. 영화/드라마
- 7번방의 선물☆ - 약간의 각색이 있지만, 실화인 춘천 파출소장 딸 살인사건을 모티브로 하였다.
- 12인의 성난 사람들
- 개과천선☆ - 약간의 각색이 있지만, 김·장 법률사무소를 모티브로 하였다.
- 검찰 측 증인
- 귓속말
- 굿 와이프
- 굿파트너
- 결백
- 그래도 내가 하지 않았어☆
- 나의 사촌 비니
- 너의 목소리가 들려
- 뉘른베르크의 재판☆ - 약간의 각색이 있지만,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을 모티브로 하였다.
- 당신이 잠든 사이에
- 더 저지
- 데어데블: 본 어게인
- 도가니☆
- 라이어 라이어
- 러브 앤 데스☆
- 로스쿨
- 로펌
- 리갈 하이
- 리멤버 - 아들의 전쟁
- 마녀의 법정
- 마블 데어데블
- 미스 함무라비
- 무법 변호사
- 변호사 쉬헐크
- 변호인☆ - 약간의 각색이 있지만 실화인 부림사건을 모티브로 하였다.
- 변론을 시작하겠습니다
- 보스턴 리걸
- 부러진 화살
- 브로드처치
- 비밀의 숲
- 살인의 해부
- 성난 변호사
- 소년심판
- 소수의견
- 슈츠
- 실화극장 죄와 벌☆
- 아이 앰 샘
- 앵무새 죽이기
- 악마판사☆
- 어게인 마이 라이프
- 어느 날
- 어 퓨 굿 맨
- 오만과 편견
- 왜 오수재인가
-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 이판사판
- 이혼변호사는 연애중
- 젊은 날의 링컨☆
- 증인
- 지옥에서 온 판사
- 진검승부
- 천원짜리 변호사
- 친애하는 판사님께
- 침묵
- 추락의 해부
- 피고인
- 필라델피아(영화)
- 하이에나(드라마)
- 히어로
- Law&Order: Trial by Jury
- 베터 콜 사울
3.4. 만화/애니메이션
[1] 다만 이 영화는 미국식 배심원 토론제를 다루는 영화라, 일반적인 법정물하고는 좀 다르다.[2] 법정을 무대로 검사와 변호사가 싸우며 진실 공방을 펼치는 영화는 젊은 날의 링컨과 앵무새 죽이기, 이 영화의 영향력이 강하다.[3] 대신 경찰은 주인공이 할 수 없는 무력 진압과 체포로 법정에서의 스토리가 이어지도록 돕고, 판사는 사건을 마무리하면서 뼈 있는 말을 남기거나 주인공을 은밀하게 돕는 식으로 비중을 챙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