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5 13:37:06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

국가별 동형이의자에서 넘어옴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333>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표준자형) · 간체자(간체자 논쟁) · 신자체(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통용규범한자표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목록) · 학년별한자배당표) · 한국어문회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대한검정회 한자급수자격시험 · 검정회 급수 · 한자한문지도사시험 · 인명용 한자표 · 광동어 정음 운동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한어병음 · 월어병음) · 한글(동국정운)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중국 한자음 (문백이독 · 상고음 · 중고음 · 근고음 · 양안 간 독음) · 일본 한자음 · 베트남 한자음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 한한대사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국가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우리말 새김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방언자 · 주음부호 · 가나 (히라가나 · 가타카나 · 헨타이가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쯔놈 · 고장자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입력 · 검색 한자/입력기 · 창힐수입법 (목록) · 오필자형수입법 · 대이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 재춘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한문(교과) (2022 개정 교육과정/한문과)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통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음률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 한자 }}}}}}}}}

1. 개요2. 범례3. 관련 문서

1. 개요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言語間同形異意漢字語)는 한자문화권 국가에서 사용되는 한자 어휘들 가운데 글자는 같지만 대한민국 표준어(韓), 표준 중국어(中)[1], 일본어(日), 베트남어(越), 북한 문화어(北)에서 각기 다른 뜻으로 사용되는 한자어로, 이들을 기준에 따라 종합하여 정리한 문서이다.

2. 범례


웹 브라우저의 확대/축소 기능을 사용해서 볼 수도 있다. Ctrl 키와 + 키를 동시에 누르거나 Ctrl 키를 누르면서 마우스 휠을 올리면 확대되고, Ctrl 키와 - 키를 누르거나 Ctrl 키를 누르면서 휠을 내리면 축소된다.

[1] 중국어가 사용되는 지역이 광활한 만큼 지역마다 언어적으로 사용하는 어휘도 차이를 보인다. 이 문서에서는 베이징을 필두로 한 주변지역에서 쓰이는 표준중국어(普通話, Mandarin)만을 다룬다.[2] 예시로, 의 훈음은 '삼갈 진'이므로 ㅈ으로 분류하며, 의 훈음은 '예도 례'이므로 ㄹ로 분류한다.[3] 오해의 여지가 있으므로 뜻 풀이, 예시 등의 다른 낱말도 포함. 가나와 한자가 병기되지 않은 경우 한자에 표시.

==# ㄱ #==

[4] 이 의미로 쓰인 단어가 직역되어 '가련한 미소녀'와 같은 표현을 번역체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한국어에는 '청순가련'으로 쓰이는 경우 말고는 사전상 그런 의미가 없다.[5] 하지만 이 뜻으로 쓸 경우에는 仮名보다는 偽名(ぎめい)를 더 많이 쓴다.[6] 대만에서는 이것이 한자 그대로 땅콩을 의미한다. 대륙식 표현인 花生(huāshēng)과 혼용된다.[7] 참고로 수를 계산하는 기계는 計算器(계산기)라고 표기한다.[8] 다만 북한 현 학제에선 본 교육기관을 고급중학교(高級中學校)라고 부른다.[9] 중화권에선 한국일본고등학교에 해당하는 교육기관을 고급중학(高级中学:gāojízhōngxué), 줄여서 고중(高中:gāozhōng)이라고 한다.


==# ㄴ #==

[10] 일본어 위키백과에는 (韓, 中)①의 뜻으로 쓰이는 분류명도 '~年生'로 표기되어 있다.


==# ㄷ #==
[11] 정확히는 원화와 원화를 자연스럽게 이어주는 여러 개의 그림을 가리키는 업계 용어로만 쓰인다.


==# ㄹ #==

==# ㅁ #==

[12] 한국에서도 이 음식을 '왕만두'란 이름으로 팔기도 한다. 단, 소가 있는 것도 이름이 똑같으니 주의.[13] 예: 미로를 벗어나다.[14] 예: 양측의 관계 정상화를 위한 시도가 미로에 빠져 있다.


==# ㅂ #==
[15] 한국어로 번역하자면 단순히 '쉼'이라는 뜻으로, 일본어에서는 학교의 방학과 일반적인 휴가를 따로 분리해서 말하지 않는다. 즉, '夏休み'라면 상황에 따라 학교의 여름방학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고, 회사나 단체의 하계 휴가를 일컫는 것일 수도 있다. 그 밖의 결석이나 결근에도 '休み'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山田先生は今日休みです(야마다 선생님은 오늘 결근입니다)"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 ㅅ #==
[16] '도코노마'라고 읽으며, 도코노마는 일본 전통 가옥에서 벽 한 켠에 만들어 두는 바닥보다 약간 높은 단을 뜻한다. 보통 각종 장식물을 놓는 데 쓰이고, 도코노마가 놓인 쪽의 벽에는 족자나 그림을 걸어 둔다.[17] 보통 강조할 때는 'ぜったいに(絶対に, =절대로)'를 쓰는데, 여기에 낚인 자막 제작자들이 이걸 곧이 곧대로 번역한다(…). 'かならず(必ず)'도 쓰이는 편. ‘분명히 …하다’라는 뜻으로는 'きっと' 정도가 쓰인다.


==# ㅇ #==
[18] 한 예로, 서유기에서 나오는 괴물들이 원문에서는 대부분 '妖精'으로 불린다.[19] 이 때문에 중국에서는 스프라이트(음료)의 이름을 바꾼 적이 있다.[20] 실제로 일식집에서는 '日式'으로 쓰며, 일본에서 일본 요리를 일컬을 땐 'わしょく(和食)'라는 단어를 쓴다.


==# ㅈ #==

[21] 그러니까 '절수'는 고유어 'きって'의 한자 표기가 일제강점기 때 그대로 들어와서 한자어로 쓰인 말이다. 이런 식으로 들어온 잔재들이 많다. 현재는 '우표'라는 말이 정착되어 있고, 일제강점기가 끝난 지도 80년 가까이 넘은지라 나이가 지긋하신 분들도 거의 쓰지 않는다.[22] 여기에서 'ただ'는 '바로', '막'이란 뜻이다. 정작 한국에서 'いま'는 '지금'으로 번역하고, 'ただいま'는 '바로 지금'으로 번역하는 일이 많다.[23] 매우 성실해서 고지식한 사람을 일컫는 말로도 쓰이며, 'きまじめ(生真面目)'라고도 한다.


==# ㅊ #==
[24] 일본에서는 'ㅋ'를 'w'로 쓰는데, 'w'를 연달아 쓴 모양(wwwww)이 풀같이 보인다는 이유로 줄여서 '草'로 표현한 것이 시초.


==# ㅌ #==

==# ㅍ #==

==# ㅎ #==
[25] 영어로 'sea cow'로도 불리는데, 이것을 직역한 것이다.[26] 남성향, 여성향 할 때의 그 표현이다. 보통은 뒤에 け가 붙어서 向け의 형태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다.[27] 예)せい(製) = 일본제, しょく(食) =

3. 관련 문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