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tt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밭(동음이의어) 문서 참고하십시오.1. 개요
田 / Field농사(농업)를 짓는 흙으로 된 땅으로, 물을 채운 논은 제외된다. 신석기 시대부터 했던 가장 기본적인 농업이다.[1]
2. 상세
앞에 작물의 이름을 붙여 부르기도 한다. 논과 함께 '논밭', '전답', '농지'라고도 하며 법적으로 논과 밭은 토지 등록상 별개로 되어 있다. 채소를 심는 때에는 고랑을 파서 튀어나온 곳 이랑에다가 심는다.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제58조 제1호는 "물을 상시적으로 이용하지 않고 곡물·원예작물(과수류는 제외한다)·약초·뽕나무·닥나무·묘목·관상수 등의 식물을 주로 재배하는 토지와 식용(食用)으로 죽순을 재배하는 토지"라고 하고 있다.
가끔 작물로서 재배하지 않더라도 어떤 식물종만 가득할 때 '쑥대밭'처럼 밭으로 일컫기도 한다. 굳이 식물이 아니고도 국어학적으로는 'XX투성이'라는 은유적 표현으로도 사용된다.
자가경작을 위한 조그만 밭은 '텃밭'이라 한다.
한국어 '밭'은 삼국시대 문헌에서 팔혜(八兮)[2] 또는 파다기(波多枳)[3]라는 차자표기로 처음 등장하는데, 당시 발음은 /*patake/에 가까웠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어형은 고대 일본어에도 차용되었으며 순음퇴화를 거쳐 현대 일본어의 하타케(はたけ)가 되었다. 이후 모음이 탈락하고 ㄱ이 ㅎ으로 약화되면서 중세 한국어 시기부터는 현대어와 같은 '밭'의 형태로 자리잡았다.
밭을 뜻하는 한자는 '田'이지만, 일본어로는 논이라는 뜻으로 'た'(경우에 따라서는 'だ')로 읽고, 밭은 '畑·畠(はたけ)'이라는 일본제 한자를 쓴다[4]. '畓(논 답)'이라는 국자를 쓰는 한국과는 정반대인 셈. 이는 비가 자주, 그리고 많이 오고 따라서 논농사의 비중이 높아 채소밭[5]과 화전농법[6] 밖에는 밭농사가 드물던 탓으로 추정된다. 다만 한자음인 'でん'은 논과 밭 둘 다 가리킨다.
남한의 밭면적은 1970년에는 102만 5천 헥타르로 최대를 기록하였으나, 이후 주택, 공장, 도로 등으로 전용되면서 22년이 지난 1992년에는 75만 5천 헥타르로 크게 감소했다. 이후부턴 큰 차이는 없어서, 2022년의 밭 면적은 75만 3천 헥타르로 큰 변화는 없다.#[7]
[1] 물을 다스리는 치수가 필요한 논농사는 좀 더 늦은 청동기 시대에 시작했고, 본격적으로 발달하는 것은 수리시설 축조와 관리가 본격화되는 삼국시대 중후반부부터였다.[2] 원삼국시대 변한의 소국이었던 초팔국(草八國)이 초팔혜(草八兮) 또는 사팔혜(沙八兮)로도 불렸다는 기록이 삼국사기에 남아 있다. 八의 당시 한자음은 ㄷ으로 끝났으며, 한자 兮는 고대 한국어 차자표기에서 /*ke/에 가까운 소리를 음차하는 데 자주 쓰였다.[3] 일본서기에서 한반도 남부에 위치한 구지파다기(久知波多枳)라는 지명이 언급된다.[4] 원래 일본제 한자이므로 한국 한자음이 없어야 원칙이지만 형성자로 여겨 '화전 전(畑)'·'밭 전(畠)'이라는 훈음(訓音)을 붙였다.[5] 위의 '白'+'田'은 배추밭이 유래인 듯 하다.[6] 현대 일본어로는 '焼き畑'(야키바타)라 부른다.[7] 참고로 논 면적은 1988년 135만 8천 ha로 최대를 기록했으나, 점점 줄어들어 2022년에는 77만 6천 ha로 크게 감소했다. 2022년 기준 밭과 논의 비율은 약 1:1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