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태나무 Bitterwood | ||
학명: Picrasma quassioides | ||
분류 | ||
<colbgcolor=#d7ffce,#0f4a02> 계 | 식물계(Plantae) | |
분류군 |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
쌍떡잎식물군(Eudicots) | ||
장미군 (Rosids) | ||
목 | 무환자나무목(Sapindales) | |
과 | 무환자나무과(Sapindaceae) | |
속 | 소태나무속(Picrasma) | |
종 | 소태나무(P. quassioides) |
[clearfix]
1. 개요
소태나무과의 나무. 중국,일본. 대만. 인도등 아시아의 여러 나라에서 여러 종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국어디서나 습한 곳이면 볼 수 있다. 낙엽수이며 높이는 15m까지 자라는 큰키나무이다.
소태나무는 소의 태(胎)[1]같이 아주 쓴맛이 나는 나무라서 소태나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는 말이 돌아다니지만 근거가 없다. 전형적인 민간어원설.[2] 아주 쓰다는 '소태 같다' 표현은 오히려 이 소태나무의 껍질에서 온 표현이고 소태나무의 어원은 딱히 알려져 있지 않다. 한자어로는 쓸 고(苦) 자가 들어가서 고목(苦木)이라고 부른다.[3] 소태나무의 잎은 어긋나며 여러개의 작은 잎이 피는데 잎의 크기는 5cm정도 한다. 타원형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둥근 모양을 하고 있다. 소태나무의 쓴 맛으로 소태나무 장작으로 모기나 파리등을 쫒아내는데도 좋은 효능이 있다. 가죽나무와 비슷하여 혼란할 수 있는데 이럴때 잎을 먹어보면 된다. 잎이 아주 쓰면 소태나무일 확률이 높다. 너무 써서 소태차로 마시긴 하는데.. 예능 프로그램에서 벌칙용으로 마신다.
꽃은 6월에 노란 꽃이 핀다. 꽃말은 애교. 열매는 가을에 검은색으로 익는데 태실이라고 부르며 역시 맛은 아주 쓰고 산제(散劑)하여 약으로 사용한다.
2. 여담
- 상기한 특성으로 알 수 있듯 소태 같다는 말은 몹시 쓴 맛을 비유하는 표현이지만, 일상적으로는 짠 맛을 가리키는 경우도 많이 볼 수 있다. 너무 짠 국을 마시고 "완전히 소태를 끓여놨네.", "이게 국이야 소태야?" 하는 식으로 말하곤 한다. 짠 정도가 너무 심해서 쓰게 느껴지는 상황에 사용하다가 의미가 확장되었거나, 소태라는 나무가 생소한 것과 더불어 '소'태와 '소'금이라는 단어의 유사성 때문에 와전되었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누리꾼들의 의견 현재 국립국어원에서는 짠 맛을 비유하는 용례는 인정하지 않고 있다. 온라인가나다 답변
[1] 아기나 포유류 동물에서 나오는 태반이나 탯줄을 포함한다.[2] 애초 태반은 그냥 피가 든 살덩이다. 맛도 그냥 고기맛이다.[3] 애초에 표준국어대사전, 고려대학교 한국어대사전에서도 정확하게 '쓴맛'이라는 어휘를 '소태나 씀바귀 따위의 맛처럼 느껴지는 맛.' 이라고 설명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