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김광현]]#!if 문서명3 != null
, [[양현종]]#!if 문서명4 != null
, [[류윤김]]#!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 | |
| <rowcolor=#fff> 한화 이글스 No.99 | SSG 랜더스 No.29 | KIA 타이거즈 No.54 |
| 류현진 柳賢振 | Ryu Hyun-jin | 김광현 金廣鉉 | Kim Kwang-Hyun | 양현종 梁玹種 | Yang Hyeon-jong |
1. 개요
2000년대 말부터 각각 한화 이글스, SK 와이번스-SSG 랜더스, KIA 타이거즈의 토종 좌완 에이스이자 국가대표 좌완 에이스로 활약한 3인방인 류현진, 김광현, 양현종을 함께 묶어 부르는 말이다.
한국 야구사 최고의 좌완 투수들로 평가받는다. KBO 리그의 역사를 새로 쓴 좌완 투수가 같은 시기에 세 명이나 등장한 것은 국내 리그 뿐만 아니라 해외 리그를 통틀어봐도 아주 드문 사례이다. 세 선수 모두 KBO 리그에서 데뷔하여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 진출하고 원소속팀에 복귀하였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각자의 팀 역사에 기록될 프랜차이즈 스타들로 세 선수의 등번호는 모두 영구 결번이 될 것이 유력하다.
세 선수 모두 에이징 커브로 인해 전성기 기량에서 한참 내려온 30대 후반의 나이임에도 한창인 젊은 투수들과의 경쟁에서 밀리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여전히 각자의 팀에서 선발진의 한 축으로 활약하고 있다. 이들이 등장한 뒤 약 20년에 가까운 현재까지도 류현진, 김광현, 양현종이라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좌완 투수 계보를 잇는 선수가 단 한 명도 등장하지 않을 정도로 독보적인 커리어를 가지고 있다.
2. 명단
2.1. 류현진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C4E00,#FC4E00> | 관련 문서 류현진 Ryu Hyun-jin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이전 선수 경력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아마추어 경력 | ||
| 고교 시절 · 입단 과정 | ||||
| 프로 경력 | ||||
| 한화 이글스 1기 Hanwha Eagles | ||||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
| 포스팅 | ||||
|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Los Angeles Dodgers | |||
| <rowcolor=#005A9C,#62BCFF>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 1차 FA | ||||
| | 토론토 블루제이스 Toronto Blue Jays | |||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 2차 FA | ||||
| 한화 이글스 2기 Hanwha Eagles | |
| 2024년 · 2025년 | |
| 국가대표 경력 | |
|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
| 2006년 아시안게임 · 2007년 ABC · 2008년 올림픽(대륙별 플레이오프 · 본선) · 2009년 WBC · 2010년 아시안게임 | |
| 기록 | |
| 연도별 성적 · 주요 기록 · 수상 경력 · 통산 승리 일지 | |
| 평가 | |
| 플레이 스타일 · 팬 서비스 · 평가 및 업적 · 연도 별 평가 | |
| 기타 | |
| 갤러리 · 사건 사고 · 활동 내역 (다큐멘터리) · 별명 · 여담 · 류윤김 · 류김양 · 코리안 몬스터 · 특이 사항 / 분류 · 사진 | |
류현진은 한국 투수 GOAT로 거론되고 있으며, 역대 MLB에서 활약한 아시아 출신 좌완 투수 중에서 승리 기여도 1위의 기록을 경신하면서 아시아 야구 역사상 최고의 좌완 투수 반열에 올랐다.
2006 KBO 신인드래프트에서 2차 1라운드 2순위로 한화 이글스에 지명되며 프로생활을 시작했다. 데뷔 첫해부터 엄청난 활약으로 KBO 리그 역사상 최초로 신인왕과 최연소 MVP, 트리플 크라운과 골든 글러브를 수상하는 위업을 달성했다. 한화 이글스에서의 7시즌 동안 탈삼진왕 5회, 정규 이닝 최다 탈삼진, 최연소 MVP, 최연소 & 최소 경기 1000 탈삼진, 최다 연속 QS, 21세기 유일한 규정이닝 1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는 등의 리그 기록을 경신하며 데뷔시즌부터 메이저리그에 진출하기 전까지 KBO 리그 최고의 투수로 군림했다.
류현진은 KBO 리그에서 MLB로 진출한 역대 최초의 선수로서 2013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로 이적했다. 이후 메이저리그를 대표하는 정상급 좌완 투수로 활약했다.MLB 데뷔 첫 해인 2013년부터 2014년까지 2년 간 활약을 이어갔으나, 커리어 초반부터 이어온 혹사의 여파로 데드암 선고를 받고 2년간 재활에 매진하며, 이후 2018년에는 시즌 도중 사타구니 근육 부상까지 당한다. 그러나 이를 이겨내고 2019년에는 아시아 출신 야구선수 최초로 NL 평균자책점 1위, 사이 영 상 2위, 2020년에는 MLB 최고의 좌완 투수에게 주어지는 워렌 스판 상을 수상했다. 다만, 고질적인 팔꿈치 부상 및 수술의 여파와 에이징 커브로 인한 기복으로 토론토 블루제이스로 이적한 후에는 다소 아쉬운 모습을 보인뒤 2024 시즌, 12년 만에 친정팀 한화로 복귀하였다. 복귀 첫 시즌에는 KBO 리그 1000만 관중 돌파라는 유례없는 흥행의 기폭제가 되었다.
류현진은 소위 류김양으로 일컬어지는 역대급 좌완 트로이카 중에서도 압도적이다. 류현진은 단 7년만 뛰고도 KBO 통산 투수 WAR 13위를 기록했다. 류현진이 MLB로 떠난 뒤 김광현과 양현종이 2019 시즌까지 뛰고 나서, 즉 류현진이 떠나고 7년을 더 뛰고 나서야 류현진이 7년 간 기록한 sWAR을 넘었다. 커리어 전체를 놓고 보면 비슷한 시기에 데뷔하여 같은 좌완 투수라는 이유로 묶였을 뿐, 김광현 · 양현종보다 커리어 수준이 월등하다. 역대 한국 투수 중 류현진과 비교 대상이 될 수 있는 건 박찬호뿐이다.
2.2. 김광현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ce0e2d> | 관련 문서 김광현 Kim Kwang-hyun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마추어 경력 | |
| 아마추어 시절 | ||
| 프로 경력 | ||
| | SK 와이번스 SK Wyverns | |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St. Louis Cardinals | |
| 2020년 · 2021년 | ||
| | SSG 랜더스 SSG Landers | |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 국가대표 경력 | ||
|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 |
| 2005년 · 2006년 · 2008년(최종예선 · 본선) · 2009년 · 2014년 · 2015년 · 2019년 · 2023년 | ||
| 평가 | ||
| 플레이 스타일 | 통산 승리 일지 | |
| 기타 | ||
| 선행 · KK 위닝 플랜 · 논란 및 사건 사고 · 류윤김 · 류김양 · 분류 · 사진 · 선수 경력 틀 | ||
류김양 중 가장 많은 5개의 KBO 한국시리즈 우승 반지를 획득했으며, MVP와 골든 글러브를 동시에 수상한 선수이다.
2007 KBO 신인드래프트에서 SK 와이번스에 1차지명을 받아 선수생활을 시작하게 되었다. 데뷔 첫해 큰 임팩트 없이 무난한 활약을 보여주며 그냥저냥 지나가는줄 알았지만, 한국시리즈 4차전, 팀이 1승 2패로 몰려있던 상황 22승 투수 다니엘 리오스 상대로 7⅓이닝 9k 무실점이라는 괴물투로 팀의 우승에 큰 공헌을 했다.
그 다음해 2관왕과 골든글러브, MVP까지 수상하며 리그 최정상급 좌완의 등장을 알렸고, 2008 베이징 올림픽에서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과의 준결승전에 선발 투수로 등판해 8이닝 2실점의 괴력투를 선보이며 자신의 이름을 야구 팬들에게 각인시켰다. 2010년 한국시리즈에는 우승 경기의 마무리 투수로 나서는등 SK 와이번스의 1선발이 되었으나, 이후 혹사와 뇌경색 여파로 인해 몇년간 이름값에 비해 부족한 활약을 보여주었다. 2014년에는 반등에 성공했으나 메이저 포스팅을 신청, 협상 과정 끝에 결국 이적하지 못한 채 국내에 잔류하게 되며 메이저 진출을 실패하는 것처럼 보였다.
메이저 리그 진출에 실패하게 된 뒤에도 팀의 에이스 투수로 나서면서 준수한 활약을 보여줬고 2016 시즌 종료 후 소속팀 SK 와이번스와 4년 85억의 FA 계약을 체결했으나 계약 직후 받은 정밀 검진에서 팔꿈치 내측 인대 손상 판정이 나오면서 토미 존 수술을 받게 되는 등 뇌경색 부상 이후 또다시 부상에 신음하게 됐다.
그러나 토미존에서 복귀한 2018년부터 다시 전성기의 기량을 되찾으며 2018년 11승 8패 ERA 2.98 sWAR 5.99를 기록. 팀의 네 번째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었고 2019년에는 17승 6패 ERA 2.51 sWAR 6.21로 더욱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줬다. 시즌 종료 후 소속팀 SK와의 논의 끝에 FA 계약을 중도 중단한 뒤 메이저 리그 포스팅을 재차 신청했고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와 계약을 체결하며 마침내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 진출하게 되었다.
2년 간의 다소 짧은 시간이었지만 MLB 진출 전 우려했던 일부 야구 팬들의 의심들을 비웃기라도 하듯이 메이저 리그에서 35경기 10승 7패 ERA 2.97을 기록하며 선발 투수로서 준수한 경쟁력을 보여주었다. 2021 시즌 종료 후 FA를 신청했으나 얼마 뒤 메이저 리그 구단들이 만장일치로 직장폐쇄를 결정하면서 구단들의 모든 업무가 중단되어 FA 협상도 마찬가지로 중단되었고 2022년 3월 8일 친정팀 SSG 랜더스와 4년 151억의 당시 역대 최고액으로 계약을 체결하며 예정보다 일찍 복귀하게 되었다. 정규시즌에서 관록을 보여주며 173.1이닝 13승 3패 ERA 2.13 WAR 6.13으로 맹활약했고 2022년 한국시리즈에서도 6차전 마무리 투수로 등판해 세이브를 기록하며 팀의 우승을 확정 짓는 등 팀의 KBO 리그 최초 와이어 투 와이어[1] 우승에 큰 기여를 했다.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으로는 6번의 국제대회에 출전했으며 2008 베이징 올림픽,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2015 WBSC 프리미어 12 등 우승 3회로 대한민국 투수 중 최초이자 유이[2]하게 3대 국제대회(올림픽, 아시안게임, 프리미어12) 금메달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 [3]
또한 대표팀 역사상 최다 선발 등판, 대표팀 최다 이닝 소화, 대표팀 다승 공동 1위[4], 대표팀 탈삼진 1위, 대표팀 홀드 공동 1위[5]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김광현은 류현진에 대해 2011년 인터뷰에서 "현진이 형은 누가 봐도 최고잖아요. 박경완 선배님이 '저보다 현진이 형이 낫다'고 한 말은 당연한 것 같아요. 현진이 형은 볼의 구위 뿐만 아니라 제구력, 경기운영 능력, 그리고 특히 승부처에서 대응능력은 제가 꼭 배워야 할 것 같아요." 라고 언급한 바 있으며, 2019년 메이저리그 진출 전 인터뷰에서는 "현진이형은 나에게 롤모델이다. 나도 저렇게 던지고 싶다는 꿈이 생겼다."라며 류현진을 공식적으로 언급한 바 있다.
2.3. 양현종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ea0029> | 관련 문서 양현종 Yang Hyeon-jong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마추어 경력 | |
| 아마추어 시절 | ||
| 프로 경력 | ||
| | KIA 타이거즈 KIA Tigers | |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
| | 텍사스 레인저스 Texas Rangers | |
| 2021년 | ||
| | KIA 타이거즈 KIA Tigers | |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 국가대표 경력 | ||
|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 |
| 2010년 · 2014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3년 | ||
| 평가 | ||
| 플레이 스타일 | 통산 승리 일지 | |
| 기타 | ||
| 선행·미담 · 인간관계 · 별명 · 관련 언사 · 류김양 · 미디어 활동 · 분류 | ||
KBO 리그 역대 좌완 투수 WAR 1위이자 2010년대 투수 WAR 1위이며 21세기 국내 선수 중 유일하게 단일 시즌 2점대 ERAㆍ20승ㆍ200이닝을 모두 달성하고 골든글러브ㆍ정규 시즌 및 한국시리즈 MVPㆍ최동원 상을 모두 수상했다.최다 탈삼진, 리그 최초 11시즌 연속 100탈삼진 기록도 있다.
2007 KBO 신인드래프트에서 2차 1라운드, 전체 1순위로 KIA 타이거즈에 입단하며 프로생활을 시작하였다. 첫 해와 두 번째 해는 그냥저냥 보냈지만, 3년차인 2009년 엄청난 성장을 보이며 팀의 우승에 큰 공헌을 하고 2011년~2012년 잠시 부진하긴 했지만 2013년을 기점으로 다시 각성했고 이후로도 점점 성장하여 2015 시즌 리그 최정상급 선발 투수가 되었고, 2017 시즌 팀의 리그 1위에 큰 공헌을 한 것과 더불어 한국시리즈 2차전, 1차전의 패배로 인해 위기에 몰려있던 팀을 완봉승으로 분위기를 바꾸었다. 이후 한국시리즈 5차전 9회말 1점차 상황 등판하여 위기로 몰리긴 하였으나 막아내며 8년만의 리그 통합우승에 큰 역할을 하며 리그 MVP, 한국시리즈 MVP, 다승왕, 골든글러브 등 수상을 싹쓸이했다.
이후로도 꾸준히 좋은 활약을 보여 2020 시즌 종료 후 텍사스 레인저스로 메이저 리그에 진출하게 되었지만, 12경기 3패 ERA 5.60으로 부진하면서 결국 마이너로 강등되었고 1년 동안 아쉬운 성적만을 기록한 채 KIA 타이거즈로 복귀하였다. 이후 2024 시즌 KBO 리그 통산 최다 탈삼진 등의 기록을 갈아치우며 또 다시 7년만의 통합우승을 성공해냈다.
양현종은 류김양에 대해 "그런 말이 언론에서 나오는 것만으로도 감사하고 고마운 일이다. ‘아, 나도 꼈구나’ 싶다."며 겸손한 반응을 보였다. 이어서 "현진이형이나 광현이는 비슷한 레벨이다. 미국에서도 성적을 냈고, 국제대회에서도 중요한 경기를 잡았다. 전 국제대회나 해외 진출 때 성적을 비교하면 현저히 떨어진다. KBO 내에서는 명함을 내밀 수 있지만, 해외 무대에서는 레벨이 달랐다.(출처)"라며 스스로를 냉정하게 평가했다. 2024 시즌 후 윤석민의 유튜브 채널에 출연하여 "제가 감히 광현이랑 현진이 형을 넘을 순 없어요. 저는 올림픽이나 WBC에서 좋은 성적을 남긴 적이 없어요.(출처) "라며 다시 한번 류김양을 언급했다.[6]
3. 라이벌 역사
류양김의 라이벌리는 2007년부터 2012년까지 류현진과 김광현과 2014년부터 2019년까지 김광현과 양현종이다. 류현진과 김광현의 경우, 200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 리그 최고의 우완이던 윤석민과도 자주 묶여 2000년대 중후반 대한민국 국대의 핵심 투수로서 류윤김으로 불리며 이 또한 유명한 트로이카이지만 윤석민이 심각한 혹사를 당하며 선수생활을 이른 나이에 마치고는 현재는 잘 묶이지 않는다. 이미 류현진과 김광현의 라이벌리가 주목받아 윤석민과는 엮일 떡밥이 적었으며, 김광현이 2010년에 커리어 하이를 찍은 후 부진했는데 윤석민은 2011년에 오버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하며 커리어 하이를 찍어 서로의 접점이 살짝 엇나가기도 했다.3.1. 류현진과 김광현 (2007~2012)
류현진이 김광현보다 1년 빠른 2006년에 데뷔해서 첫 시즌부터 투수 트리플 크라운과 KBO MVP, 투수 골든글러브, 신인왕 수상 등 엄청난 포스를 보여주며 커리어 시작점부터 한국 최고의 투수로 군림했다. 고졸 1년차 임팩트로만 보면 염종석을 제외하고는 류현진에 비견될 선수가 없을 정도. 그리고 1년 후 고교 슈퍼루키였던 김광현은 데뷔 시즌 미디어데이에서 류현진에게 "현진이형 공은 단순해서 조금만 생각을 하고 치면 얼마든지 칠 수 있다."는 디스 아닌 디스 발언을 하면서 관심을 끌었다.[7] 하지만 류현진은 1년차만큼은 아니어도 매우 뛰어난 퍼포먼스를 보이며 리그 최고의 국내 선발투수 위치를 공고히 했는데, 김광현은 부진한 성적으로 2군으로 내려갔다. 이 때문에 오랄킴이라는 굴욕적인 별명을 얻었다. 그래도 2군에서 제구와 투구폼을 가다듬고 복귀한 후 나름 괜찮은 성적을 기록했으며, 2007년 한국시리즈 4차전 모두가 버리는 선발이라고 생각했던 경기에서 7⅓이닝 1피안타 9K의 인생투로 완승을 거두고 팬들이 원하는 영건 에이스의 모습을 보여줬다. 선발 매치업이 정규시즌 MVP인 다니엘 리오스였기에 더욱 높게 평가받았다. 2007 시즌 통합 우승 뒤 같은 해 11월 열린 아시아 시리즈에서도 일본시리즈 우승팀 주니치를 상대로 6⅔이닝 동안 3피안타 1실점으로 호투했으며, 기록 이상으로 타자들을 힘으로 찍어누르며 주니치 완파의 일등공신이 되었다. 2군 복귀 후 이런 유의미한 퍼포먼스를 보여주며 다음 시즌에는 굉장한 투수가 될 거라는 기대가 많아졌다. 하지만 이때까지는 류현진의 아성에 도전하기는 이르다는 평이 대다수였고, 오랄킴이라는 오명이 더 강하게 남아있었다.그리고 김광현이 2008년에 제대로 각성하면서 다승, 탈삼진 부분에서 1위를 기록하며 류현진과의 라이벌리가 재점화되었다. 투수 트리플 크라운까지 달성할 뻔 했지만, 시즌 막판 윤석민의 대약진[8]으로 평균자책점은 2위에 만족해야만 했다. 그래도 투수 골든글러브와 KBO MVP를 석권하며 이전 시즌에 비해 아쉬운 성적[9]을 기록한 류현진에게 완승을 거뒀다. 2008 시즌 스탯티즈 RA9-WAR에서도 김광현이 6.16, 류현진이 4.93으로 sWAR에서도 류현진보다 더 나은 성적을 거두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2번의 일본전에 선발등판하여 호투를 펼친 김광현은 New 일본 킬러로 대중들에게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었으며, 캐나다전 완봉승과 결승 쿠바전에서 호투한 류현진은 대한민국 최고 좌완 에이스로 이미지를 굳혔다. 이 즈음부터 본격적으로 두 선수의 라이벌리가 전국적으로 유명해졌다. 2009 시즌도 류현진이 다소 부진했던 덕에[10] 시즌 중반까지 어마어마한 폼을 보여주던 김광현이 압승을 거둘 것으로 예상되었다.[11] 하지만 김광현이 8월 타구에 손등을 맞는 불의의 부상으로 시즌 아웃된 탓에, 규정이닝을 간신히 채우는 데 그쳤다.[12] 김광현은 RA9-WAR 5.75를 기록하고 평균자책점과 승률 타이틀을 가져갔지만, 풀시즌을 완주한 류현진은 RA9-WAR에서 투수 1위인 6.47을 기록하며 애매한 시즌이 되어버렸다. 류현진은 전같지 않은 성적이었음에도 탈삼진 1위를 차지하며 저력을 보였다. 그래도 김광현이 부상 직전까지 상당한 위력을 보여줬고, 부상도 다소 불운한 일이었기에 다음 시즌 둘의 라이벌리를 기대하는팬들이 더욱 많아졌다. 이듬해인 2010년, 김광현은 예상보다 훨씬 빨리 복귀하였고 팬들의 기대 이상으로 활약하며 커리어하이를 기록했는데, 하필이면 류현진도 그해 커리어하이를 기록하면서 프로야구 역사에 남을 역대급 콩을 기록해버렸다. 두 선수의 커리어하이 스탯을 보면,
- KBO 커리어하이
- 10 김광현: 31경기 193⅔이닝 17승 7패 ERA 2.37 ERA+ 191.9 183삼진 sWAR 8.66
- 10 류현진: 25경기 192⅔이닝 16승 4패 ERA 1.82 ERA+ 253.6 187삼진 sWAR 10.63
김광현도 다른 시즌이었으면 다관왕을 넘어 MVP까지 노려봤을 괴물 같은 성적이었지만, 상대가 나빠도 너무 나빴다. 이때 기록했던 ERA+ 191.9도 2000년대 들어 트리플 크라운을 수상했던 두 투수인 2006 류현진, 2011 윤석민보다도 훨씬 좋으며 2000년대 전체 5위인 엄청난 성적이었다.[13] 하필 상대가 2000년대 ERA+ 전체 1위이자, 2000년대 유이한 규정이닝 1점대 평균자책점의 류현진이라 완벽하게 묻혀버렸다. 이때 류현진은 당시 KBO 9이닝 최다탈삼진 기록(9이닝 17K), 최다 연속 경기 퀄리티 스타트(29경기)를 기록하며 어마어마한 포스를 뿜었다. 이런 류현진도 전인미답의 타격 7관왕을 달성한 이대호에게 밀려버리며 MVP 수상에는 실패했지만, 골든글러브, 탈삼진 1위, 평균자책점 1위를 획득하며 김광현을 눌렀다. 김광현은 그런 류현진에게서 1승 차로 최다승 타이틀을 따온 것에 만족해야 했는데, 이때 한화가 팀 역사상 최악의 암흑기를 보내며 최하위를 기록했음에도 류현진이 16승을 따낸 거라 오히려 승수면에서도 류현진이 주목받았다. 그래도 이때가 김광현과 류현진의 라이벌리가 가장 불탔던 시기이다. 21세기 KBO에서 범접하기 힘든 포스를 뿜어낸 10류현진에게 명함이라도 내밀 수 있던 유일한 투수가 10김광현이었으며, 김광현이 1살 더 어렸기에 따라잡을 가능성도 있지 않을까하는 팬들의 기대도 있었다.
하지만 2011년, 2012년 김광현은 부상과 부진으로 규정이닝도 채우지 못하면서 고전한 반면 류현진은 이후로도 계속 활약하며[14] 한국 야구 역사상 최초이자 최고의 대우를 받고 포스팅 시스템으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 진출했다. 결론적으로 독보적 1인자로 군림하던 류현진과 굉장히 벌어진 격차의 2인자 김광현으로 두 선수의 라이벌리에 종지부를 찍었다. 이후로도 류현진이 메이저리그에서 엄청난 활약을 보여주며 격차는 비교하기 민망할 정도로 벌어졌다. 때문에 SK-SSG 팬덤에서도 류현진과 라이벌로 엮는 건 이미 진즉에 접은 상태. 다만 김광현이 14년쯤부터 부활하더니 2019년 커리어 두 번째 전성기를 맞이하며 류현진과 같이 포스팅 시스템으로 메이저리그에 진출하면서 10년이 지나 다시금 두 선수의 라이벌리가 주목받기 시작했다. 물론 류현진은 이미 누적 스탯을 제외하곤 박찬호를 뛰어 넘었고 역대 아시아 출신 투수로 봐도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커리어[15]와 최고급의 비율 스탯을 쌓아 놓은지라 진지하게 둘을 동일선상에서 비교하는 사람은 없다. 그냥 잠시나마 라이벌로 묶이던 선수들에 대한 옛 추억을 떠올리는 정도다. 기자나 팬 모두 이제 라이벌로 엮지는 않고 한국인 메이저리거 좌완 듀오로 엮는 편이다. 그리고 김광현이 양현종과 함께 KBO로 복귀했으니 이것도 과거 이야기가 되었다.
- KBO 1기 통산 성적
- 김광현(07~19/13시즌): 326경기 1847이닝 149승 80패 ERA 3.17 ERA+ 142.4 1609삼진 sWAR 52.44[16]
- 류현진(06~12/7시즌): 190경기 1269이닝 98승 52패 ERA 2.80 ERA+ 151.5 1238삼진 sWAR 46.16
- MLB 통산 성적
- 김광현(20~21/2시즌): 35경기 145⅔이닝 10승 7패 ERA 2.97 ERA+ 134 104삼진 fWAR 1.9
- 류현진(13~22/10시즌): 175경기 1003⅓이닝 75승 45패 ERA 3.27 ERA+ 122 896삼진 fWAR 19.7
3.2. 김광현과 양현종 (2014~2019)
류현진의 MLB 진출 이후로는 김광현과 양현종 간의 라이벌리가 주목 받기 시작했는데, 두 선수 모두 2007년에 데뷔했지만 데뷔 초부터 리그 최고의 투수로 평가받으며 커리어를 쌓은 김광현과 달리 양현종은 다소 포텐셜이 늦게 터진 케이스라서 본격적으로 각성하기 시작한 2014년부터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2014년까지만 해도 김광현이 우위를 가져갔지만 2015년에 양현종이 개인 커리어 하이를 달성하고 2017년 양현종이 페넌트레이스 20승에 2017년 한국시리즈에서 완봉승까지 달성하면서 통합 MVP 선정의 영예를 누리는데 반해 김광현은 2016년부터 팔꿈치 쪽에 문제가 생기면서 기량 저하 및 2017년을 아예 통으로 날려버리면서 동시대에서는 누적 기록의 차이가 발생했다. 하지만 2018년 부상에서 돌아온 김광현이 이닝 및 투구수 제한으로 인해 규정이닝을 소화하지 못했음에도 sWAR 투수 전체 4위, 국내 선발 sWAR 1위를 기록하고[17] 한국시리즈 마지막 경기에서 세이브를 달성하며 업셋 우승의 주인공이 되었고 이로 인해 17시즌 양현종과 겹치는 부분이 많아지면서 라이벌리가 더욱 강하게 부각되었다.그렇게 맞이한 2019년 시즌 초반 양현종이 부침을 겪었지만 후반기 엄청난 페이스로 보이고 김광현도 시즌 내내 안정된 기량을 선보이면서 두 선수 다 공통으로 커리어 2번째 커리어하이를 맞이하면서 두 선수 모두에게 성공적인 시즌[18]이 되었다. 2020년 김광현이 포스팅 시스템을 통해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로 이적하고, 코로나19로 인한 단축시즌이지만 20-80 스케일에서 포심 55, 슬라이더 60, 커브 50으로 플러스 피치라는 평가를 받은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세 구종은 빅리그급이라는 평가를 받은 만큼 올해의 신인 TOP 25 중 13위에 이름을 올릴 정도로 야구 팬들에게 눈도장을 찍고 선발로 정착하는 비교적 성공적인 시즌을 보낸 데 반해, 양현종은 최근 8년 중 커리어 로우를 기록하며 완전히 격차가 벌어진 듯 했지만, 2021년 양현종이 텍사스 레인저스와 마이너리그 스플릿 계약을 맺으며 다시 한 번 같은 무대에서 경쟁할 여지가 생겼다. 2021년에는 김광현은 메이저 리그 2년차임에도 여전히 선발과 불펜을 오가며 활약하고 있는 반면 양현종은 연속적인 부진과 실력의 한계로 2021년 6월 17일 DFA라는 수모를 당하고 마이너 리그 AAA에서도 부진한 모습을 보여 둘의 비교는 결국 김광현의 우위로 굳어져가고 있다. 이미 예전부터 전문가들은 하나같이 김광현이 상위 리그에서 통할 재목이라고 말해왔으며, 실제 단축 시즌이기는 한데 한 매체에서 뽑은 메이저리그 올해의 좌투 루키에 뽑힐 정도로 대단한 활약을 보이며 전문가들의 예측을 증명해낸 바 있다.
- KBO 커리어하이
- 10 김광현: 31경기 193⅔이닝 17승 7패 ERA 2.37 ERA+ 191.9 183삼진 sWAR 8.66
- 15 양현종: 32경기 184⅓이닝 15승 6패 1홀드 ERA 2.44 ERA+ 202.1 157삼진 sWAR 8.14
사실 애초에 김광현은 2011~2016 시즌까지 겪은 각종 뇌경색 후유증 및 어깨 부상, 팔꿈치 인대 손상으로 인한 토미 존 수술과 재활, 각종 잔부상 등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시기였던 2008~2010(09년 불의의 타구 부상 전까지)시즌, 2018~2019 시즌에는 모두 2점대의 평균자책점을 이뤄내며 자신에게 부상만 없다면 시즌 2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해낸다는 것을 증명해보였다. 당연히 모든 운동선수들에게는 꾸준함이 그 선수의 실력을 증명하는 지표가 되지만 김광현은 부상이 공존하던 시기인 2011~2016 시즌의 기록들로 스텟에 손해를 본 부분이 있으며, 건강할 때의 기록을 본다면 김광현이 우위에 있다. 애초에 김광현은 건강할 때와 그렇지 못할 때의 기록이 각 시기를 기준으로 봐도 일정했고, 양현종은 부상으로부터 자유로운 때와 자유롭지 못한 때에도 기복 있는 시즌을 보내왔다.
투구 환경의 측면에서도 양현종은 타자 친화나 투수 친화가 아닌 중립 성향의 구장인 무등 야구장(득점 파크팩터 1.002)[19],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홈런 파크팩터 1.026)를 홈구장으로 사용했으나 김광현의 홈구장인 문학구장(홈런 파크팩터 1.124)은 높은 홈런 팩터로 인하여 리그 최고의 타자 친화 구장으로 악명이 높다는 것을 감안하면 김광현이 보다 투수에게 불리한 환경에서 뛰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내구성을 무기로 리그 탑급 투수의 자리를 오랫동안 지켜온 양현종 역시 운동선수로서의 최상의 모습을 보였다는 점은 분명하다. 실제로 미국 진출 직전인 2020년에 KBO에서도 커리어 로우에 준하는 시즌을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텍사스 레인저스와 마이너리그 스플릿 계약이나마 따낼 수 있던 데에는 이 내구성이 주요했다고 볼 수 있으며, 실제로도 현지 언론에서도 양현종의 내구성에 대해서는 좋은 평가를 내렸다.
- KBO 통산 성적
- 김광현(07~19, 25~/13시즌): 415경기 2321⅔이닝 180승 108패 ERA 3.43 ERA- 75.47 2020삼진 sWAR 62.89
- 양현종(07~20, 22~/15시즌): 543경기 2656⅔이닝 186승 127패 ERA 3.90 ERA- 85.68 2185삼진 sWAR 63.50
- MLB 통산 성적
- 김광현(20~21/2시즌): 35경기 145⅔이닝 10승 7패 2세이브 ERA 2.97 ERA+ 134 104삼진 fWAR 1.9
- 양현종(21/1시즌): 12경기 35⅓이닝 0승 3패 ERA 5.60 ERA+ 79 25삼진 fWAR -0.4
두 선수의 기록을 비교하자면, 파괴력의 김광현과 내구성의 양현종으로 볼 수 있다. KBO리그에서의 성적을 비교해보자면 통산 RA9-WAR[20]에서는 두 선수가 의미 있는 차이가 없을 정도의 누적을 쌓았고,[21] 조정 스탯과 평균자책점 등의 비율 스탯에서는 김광현이, 이닝 등의 누적 스탯은 양현종이 비교우위를 가져간 채 끝나게 된다.[22]
통산 기록 및 커리어하이와 전성기를 유지한 기간, 통산 시즌 및 전성기에 쌓은 sWAR 등의 여러 기록을 종합해보면 KBO 리그에서의 커리어는 동급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이 때에도 투구 퀄리티와 같은 실력의 차이는 존재했다. 통산 기록 뿐이 아니라 jaws 등에서 참고하는 전성기 7년을 기준으로 봐도 김광현은 평균 ERA+ 164에 166 이닝을 기록했으며 양현종은 평균 EAR+ 152에 180 이닝을 기록했다. 피칭 퀄리티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는 ERA+가 10이 넘게 차이가 난다는 점에서 전성기 기준으로도 투구의 질(=실력)은 명백히 김광현의 우위였지만, 평균 이닝이 14이닝이나 차이가 난다는 점에서 보듯 양현종은 피칭 퀄리티의 차이를 자신의 강점인 내구성으로 만회하여 동급에 가까운 누적 성적을 남겼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내구성을 강점으로 발휘할 수 없는 상위 리그에서는 이 실력의 격차로 인한 차이가 생겼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유의해야 할 것은 김광현의 이닝소화력도 우수했지만 양현종이 더 많이 소화를 하여 메꾼 것이고, 양현종 역시 비율이 우수했으나 김광현이 더 뛰어난 것 뿐이다. 단점이라고 할 수는 없는 부분이다.
위의 세이버메트릭스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을 위해 풀어 쓰자면 국내 기준으로 양현종이 10의 능력을 18경기만큼 보여줄 수 있다고 하면, 김광현은 15의 능력을 12경기만큼 보여줄 수 있다고 보면 된다. 그러나 상위 리그인 메이저 리그에서는 이닝 소화를 강점으로 발휘할 수 없기에 실력의 격차로 인한 차이가 드러나면서 김광현이 양현종보다 뛰어난 성적을 기록하며 최종적으로 김광현의 우위로 끝이 났다.
4. 2024 시즌 이후
- 2024 시즌 류현진이 메이저 리그에서 KBO 리그로 복귀하면서, 12년 만에 류김양이 KBO 리그에서 같이 뛰게 됐다. 세 선수 모두 에이징커브로 인해 전성기 기량에서 한참 내려왔으나 여전히 각 팀 선발진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 |
- 2025 시즌 김광현과 양현종의 에이징커브는 더욱 뚜렷해졌다. 규정 이닝을 채운 선발 투수는 총 22명인 가운데, 김광현은 5.00으로 21위, 양현종은 5.06의 평균자책점(ERA)으로 22위에 머물렀다. 즉, 뒤에서 1등과 2등을 김광현과 양현종이 기록한 것.# 류현진은 규정 이닝을 채우지 못했으나 130이닝 이상 던진 국내 선발 투수 중 ERA 2위, 좌완 투수 중 KBO 리그 ERA 전체 2위에 오르며 건재함을 보여줬다.[23] 다만, 류현진도 2025 포스트시즌에서 3경기 동안 9이닝 18피안타 3피홈런 12자책점을 기록하며 팀에 보탬이 되지 못하고 아쉽게 시즌을 마쳤다.
| |
5. 여담
- 본래 3인방은 류현진, 윤석민, 김광현을 묶어 류윤김이었고 좌완 투수로 한정하면 윤석민 대신 봉중근을 넣어 '류김봉'이라 일컬었다. 그러나 윤석민이 혹사로 인해 폼이 급격히 하락하고 봉중근 또한 2012년에 마무리 투수로 전향하며 한 자리가 비게 되었는데 때마침 양현종이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며 세 선수를 통틀어 류김양으로 불리게 되었다.
- 의외로 이 세 명은 함께 국대에서 활약한 적이 단 한 차례도 없다. 2008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류현진과 김광현이 함께했고[24]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는 류현진과 양현종이 함께했고[25] 류현진이 메이저 리그로 진출한 후로는 김광현과 양현종이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2019 WBSC 프리미어 12, 2023 WBC을 함께했다.
- 김광현 vs 양현종 선발 맞대결은 2007년, 2008년, 2013년, 2014년, 2025년에 1번, 2015년, 2023년에 2번[26], 총 9번 있었고[27] 류현진 vs 양현종 선발 맞대결은 2007년에 있었던 1번이 유일하다.[28][29] 김광현 vs 류현진 맞대결은 2007년 김광현의 데뷔 이후 2010년 5월 23일에 맞대결이 성사될 수도 있었지만 우천취소로 무산되는 등 오랜 기간 맞대결이 없었다가 2025년 7월 26일에 되어서야 첫 맞대결이 성사되었다. 한화 김경문 감독은 경기 전 인터뷰에서 "(야구 대표팀 감독으로 참가한) 2008 베이징 올림픽 때 두 친구 덕분에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었다. 그 덕에 지금까지 감독 생활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김광현과 류현진은 2010년 올스타전에서 비공식적인 선발 맞대결을 치른 바가 있다. 다만 김광현과 류현진은 각각 0.1이닝 6실점, 2이닝 3실점으로 부진했는데, 팬들은 당시 파트너 포수였던 강민호와 조인성을 까기 바빴다(...). 김광현과 류현진은 올스타전 이전까지 2.28과 1.57의 압도적인 평균자책점을 기록했기에 더더욱 믿을 수 없었기도 했을 것이고, 이에 투수가 아닌 포수에게만 비판이 돌려졌던 당시 두 투수의 위상을 알 수 있는 부분.
- 최초로 류현진 vs 김광현 맞대결이 펼쳐진 2025년 7월 26일 경기에서 김광현은 6이닝 2실점으로 승리 투수가 된 되었지만, 류현진은 1이닝 5실점으로 개인 커리어 최악의 피칭을 경신하며 조기강판 당하는 굴욕을 겪으며 김광현의 완승으로 끝났다. 경기 후 김광현은 "사실 현진이 형은 저한테 있어선 진짜 대투수다. 항상 따라가야 하고, 위로 올려다 보는 입장이었다. 현진이 형이 조기 강판하는 모습을 보면서 마음이 좋지 않았다. 우리 두 명 모두 최고의 컨디션일 때 다시 한번 선발 맞대결을 펼치고 싶다"고 덧붙였다.
- 2024년 프리미어12 예선에서 B조 3위를 차지하며 4강 진출에 실패하자 양준혁 해설위원은 "투수들이 사실 고만고만했다. 특급선수가 있어야 한다. 류현진, 김광현을 만들어내야 한다."라고 일침을 가했다. 야구 대표팀 최일언 투수코치 또한 호주전 종료 후 "예전에는 각 팀 1선발인 류현진, 윤석민, 김광현이 외국인보다 잘 던졌다. 그런 선수들이 나타나지 않으면 국제대회 운영이 상당히 힘들 것이다."라며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 이 셋은 좌완 트로이카라는 한 카테고리로 묶이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세 선수가 모두 비슷한 레벨의 선수라고 보기는 어렵다. 라이벌 역사 문단에서 언급했듯 류현진은 한국 야구 역사상 최고 투수인 만큼 김광현이나 양현종에 비해서도 월등한 커리어를 가지고 있으며 셋 중 확연한 1인자다. 김광현과 양현종의 경우에는 KBO 성적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지만[30] , 국제대회와 해외리그 커리어에서 김광현이 많이 앞선다. 이는 양현종 스스로도 언급한 바 있다.
- 공교롭게도 류김양 3인 모두 혈액형이 전부 다르다. 류현진은 A형, 김광현은 B형, 그리고 양현종은 O형이다.
- 야구게임 마구마구에서는 이 3명 모두 각자 소속팀의 블랙카드로 출시되어있는데, 이들만의 전용 잠재력 '3대좌완'이 있다.
- 좌완 3인방이지만 정작 양현종만 왼손잡이이고 류현진과 김광현은 오른손잡이이다.
- '21세기 KBO리그 베스트 12'를 선정했다. 현역 선수와 팬 투표를 통해 2001년 이후 프로에 데뷔한 선수 중 포지션별 최강자를 뽑았다. 투수 부문에서 류김양 순서대로 순위가 정해졌다.#
- 모두 이름에 현이 들어가지만 한자는 모두 다르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C4E00,#FC4E00> | 관련 문서 류현진 Ryu Hyun-jin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이전 선수 경력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아마추어 경력 | ||
| 고교 시절 · 입단 과정 | ||||
| 프로 경력 | ||||
| 한화 이글스 1기 Hanwha Eagles | ||||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
| 포스팅 | ||||
|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Los Angeles Dodgers | |||
| <rowcolor=#005A9C,#62BCFF>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 1차 FA | ||||
| | 토론토 블루제이스 Toronto Blue Jays | |||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 2차 FA | ||||
| 한화 이글스 2기 Hanwha Eagles | |
| 2024년 · 2025년 | |
| 국가대표 경력 | |
|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
| 2006년 아시안게임 · 2007년 ABC · 2008년 올림픽(대륙별 플레이오프 · 본선) · 2009년 WBC · 2010년 아시안게임 | |
| 기록 | |
| 연도별 성적 · 주요 기록 · 수상 경력 · 통산 승리 일지 | |
| 평가 | |
| 플레이 스타일 · 팬 서비스 · 평가 및 업적 · 연도 별 평가 | |
| 기타 | |
| 갤러리 · 사건 사고 · 활동 내역 (다큐멘터리) · 별명 · 여담 · 류윤김 · 류김양 · 코리안 몬스터 · 특이 사항 / 분류 · 사진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ce0e2d> | 관련 문서 김광현 Kim Kwang-hyun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마추어 경력 | |
| 아마추어 시절 | ||
| 프로 경력 | ||
| | SK 와이번스 SK Wyverns | |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St. Louis Cardinals | |
| 2020년 · 2021년 | ||
| | SSG 랜더스 SSG Landers | |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 국가대표 경력 | ||
|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 |
| 2005년 · 2006년 · 2008년(최종예선 · 본선) · 2009년 · 2014년 · 2015년 · 2019년 · 2023년 | ||
| 평가 | ||
| 플레이 스타일 | 통산 승리 일지 | |
| 기타 | ||
| 선행 · KK 위닝 플랜 · 논란 및 사건 사고 · 류윤김 · 류김양 · 분류 · 사진 · 선수 경력 틀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ea0029> | 관련 문서 양현종 Yang Hyeon-jong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마추어 경력 | |
| 아마추어 시절 | ||
| 프로 경력 | ||
| | KIA 타이거즈 KIA Tigers | |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
| | 텍사스 레인저스 Texas Rangers | |
| 2021년 | ||
| | KIA 타이거즈 KIA Tigers | |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 국가대표 경력 | ||
|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 |
| 2010년 · 2014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3년 | ||
| 평가 | ||
| 플레이 스타일 | 통산 승리 일지 | |
| 기타 | ||
| 선행·미담 · 인간관계 · 별명 · 관련 언사 · 류김양 · 미디어 활동 · 분류 | ||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김광현|김광현]]}}}{{{#!if external != "o"
[[김광현]]}}}}}}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김광현?uuid=7c028efd-befc-4078-9ba2-473765e7997d|r3542]]}}}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김광현?uuid=7c028efd-befc-4078-9ba2-473765e7997d#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김광현?from=3542|이전 역사 보러 가기]]}}}#!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김광현|김광현]]}}}{{{#!if external != "o"
[[김광현]]}}}}}}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김광현?uuid=7c028efd-befc-4078-9ba2-473765e7997d|r3542]]}}}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김광현?uuid=7c028efd-befc-4078-9ba2-473765e7997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김광현?from=3542|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1] 1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MLB에서도 단 5번만 있었던 기록이다.[2] 다른 한 명은 前 SK 와이번스, 롯데 자이언츠 소속 언더핸드 투수 정대현. 선발 투수로는 김광현이 유일하다.[3] 류김양으로 함께 엮이는 류현진은 2010년 AG 이후 국대 발탁 경력이 없어 프리미어 12에서 뛴 경험이 없다. 양현종은 올림픽 발탁 경험이 없으며 2015년 프리미어 12 대회는 커리어하이를 갱신했음에도 부상으로 낙마, 2019년 대회에 발탁됐으나 준우승에 그쳤다.[4] 총 5승. 류현진, 윤석민, 손민한과 함께 공동 1위.[5] 총 3홀드. 구대성과 함께 공동 1위.[6] 양현종은 14~19년도에 김광현과 라이벌로 한창 엮일때도 항상 김광현을 자신보다 위로 평가했다.[7] 훗날 본인이 해명한 바에 따르면 구단 측에서 재밌게 하라고 해서 생각 없이 내질렀고 나중에 후회했다고 한다.[8] 9월에 발생한 어깨 통증으로 인하여 시즌 막바지인 8, 9, 10월 3달 동안 단 4번 등판했는데, 이 때 23⅓이닝 동안 4실점만을 내주면서 1.54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9] 165이닝 14승 7패 ERA 3.31로 다른 투수라면 분명히 커리어 하이에 준하는 좋은 기록이지만, 이전 시즌에 200이닝 2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던 류현진에게는 아쉬운 성적.[10] 2009 시즌 또한 어디까지나 류현진치고 부진했다는 거다. 189이닝 13승 12패 평균자책점 3.57이 부진이라는 소리를 듣는 투수는 현역 투수 중 류현진 밖에 없을 것이다. 게다가 09시즌이 타고투저 성향이 있던걸 감안하면 준수한 성적이다. 게다가 이해부터 한화가 본격적인 암흑기에 돌입하며 류현진의 부담이 더욱 컸다는 점도 감안해야 된다.[11] 부상 직전까지 김광현은 다승, 평균자책점, 이닝 부분 1위였으며, 탈삼진은 3위였다. 다관왕을 넘어 MVP를 다시 한 번 노려볼 만한 성적이었다. 타고시즌임에도 맹활약한 김광현이 돋보였기에 부상 직전까지는 김상현보다도 강력한 MVP 후보였다.[12] 사실 전반기 투구만으로 규정이닝을 채운 게 경악스러운 것이다. 실제로 김광현의 경기당 평균 투구이닝이었던 6⅔이닝을 잔여경기 등판일정으로 환산하면 정규시즌만 203이닝 페이스였으니 차라리 다행일 정도다.[13] 참고로 전체 2위는 2020년 에릭 요키시의 220.3, 3위는 2015년 양현종의 202.1, 4위는 김광현이 메이저리그에서 복귀한 후 2022년에 기록한 195.5.[14] 사실 류현진도 2011년은 규정이닝을 채우지 못하고 커리어 로우를 기록하며 비교적 부진했다. 하지만 부진했음에도 리그 최상급 선발의 기량은 유지하며 클래스를 보였다.[15] 특히 아시아 출신 "좌완"투수 한정으로 보면 가장 월등한 커리어를 쌓았다. 현재 이와 비견될 수 있는 수준의 좌완 투수라고 평가받는 선수는 이마나가 쇼타밖에 없으며, 이마저도 이마나가가 2024년에 MLB에 데뷔하여 아직 MLB 커리어 초입부인 점을 고려하면 당분간 류현진에 비견되는 커리어를 쌓은 아시아 좌완 투수는 없을 것이다.[16] 류현진이 MLB로 떠난 뒤 김광현이 류현진보다 7년을 더 뛰고 나서, 즉 2019 시즌이 되어서야 류현진의 sWAR을 넘었다. 참고로 류현진보다 고작 1년 늦게 KBO에 데뷔했다. 다시 말해, 류현진이 7년간 쌓은 sWAR를 김광현이 달성하는데 무려 두 배의 시간이 걸린 것이다. 김광현도 훌륭한 투수인 것은 사실인지만 류현진과 비교했을 때는 초라해진다.[17] 알다시피 WAR은 비율지표가 아닌 누적지표이기 때문에, 경기를 많이 나오고 이닝을 많이 먹는 게 유리하다. 그런데 양현종이 50이닝 가까이 많은 184⅓이닝을 먹고도 김광현보다 아래였던 걸 감안하면 얼마나 엄청난 시즌을 보냈는지 알 수 있다.[18] 하지만 2019년 정규시즌과 한국시리즈 모두 두산 베어스가 우승을 차지하며 조쉬 린드블럼이 MVP와 투수 골든글러브를 모두 가져가면서 두 선수 모두 커리어하이에 가까운 성적을 기록했지만 MVP와 투수 골든글러브를 수상하지 못했다.[19] 무등구장은 홈런 파크팩터 데이터가 남아있지 않음[20] 스탯티즈에서 제공하는 투수 WAR은 프로 원년부터 2014년까지는 FIP 기반 WAR이었다가 2015년부터 RA9(9이닝당 실점) 기반 WAR로 변경되고 기존에 사용하던 FIP 기반 WAR을 아예 집계하지 않으므로 투수 WAR을 비교할 때는 2015년 이전과 이후 데이터의 일관성을 위하여 RA9-WAR로 변경해서 보는 것이 옳다.[21] 스탯티즈 기준으로 두 선수 모두 KBO 리그서 뛴 2007년부터 2019년까지의 RA9-WAR은 김광현이 50.32, 양현종이 50.09이다.[22] 스탯티즈 기준 2007년부터 2019년까지의 조정 ERA(ERA+)는 김광현이 138.8, 양현종이 122.7로 큰 간격을 보인다. 류현진의 KBO리그 통산 ERA+는 151.5로, 류현진과 김광현의 ERA+ 차이보다 김광현과 양현종의 ERA+ 차이가 더 크다.[23] 규정 이닝에서 4.2이닝 모자랐다[24] 이 때는 윤석민도 있어서 류윤김이 베이징에서 함께하며 금메달을 따낼 수 있었다. 4강 한일전은 김광현-윤석민 둘로 끝냈고 결승 쿠바전은 류현진-정대현으로 마무리.[25] 원래는 이때 김광현도 최종 엔트리에 있었기에 류김양 모두 함께 아시안게임에 출전할 수 있었으나 김광현이 안면 마비로 인해 하차하여 류현진, 양현종 둘만 참가하였다.[26] 참고로 한 시즌에 두 번이나 만난 2015, 2023년의 4번의 대결은 모두 양현종이 승리했다. 그 중 2015년엔 시즌 막판 잔여경기 편성으로 인해 일주일에 두 번 만났다.[27] 팀 성적은 5승 4패로 KIA의 근소 우위, 개인 성적은 4승 3패를 기록한 양현종이 3승 5패의 김광현을 근소하게 앞선다.[28] 경기 내용은 8이닝 2실점으로 막은 류현진의 승리[29] 로테이션 상으로는 2024년 6월 23일에 예정되어 있었다가, 양현종이 이전 등판에서 팔꿈치 저림 증상으로 인해 말소되어 무산된 적이 있다.[30] 대부분의 누적성적은 양현종이 소폭 우위, 비율성적은 김광현이 우위에 있다. 그렇지만 김광현이 양현종에 비해 1년 빠른 해외진출을 하며 소화 시즌이 한 시즌 적다는 점을 고려하면 양현종이 상대우위를 점한다고 보기에도 다소 무리는 있다. 전체적으로 비교하면 KBO에서 지금까지 쌓아온 누적 기록은 양현종이 앞서지만, 피칭 퀄리티에서는 김광현이 앞선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