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수완
, 고원준
, 진명호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41e42> | 롯데 자이언츠 관련 문서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41e42><colcolor=#fff> 구단 기본 정보 | <colbgcolor=#041e42><colcolor=#fff> 모기업 | 롯데 | 롯데그룹 산하 스포츠단 | |
구단 | 롯데 자이언츠 | 롯데 자이언트(실업시절) | |||
롯데 자이언츠 2군 | ||||
프런트 | 선수단 | ||||
경기장 | 1군 메인 사직 야구장 (재건축) 과거 | |||
1군 보조 울산 문수 야구장 과거 마산 야구장 | ||||
2군 상동 야구장 | ||||
현재 시즌 | 2025 시즌(스토브리그) | |||
구단 역사 정보 | ||||
통합 역사 | 역사 | |||
우승 | 1984년 | 1992년 | |||
암흑기 | 암흑기 (8888577, 5788, 7A78877) | |||
선수단 | 역대 선수 | 프랜차이즈 스타 | 역대 등번호 | 역대 필승조 | |||
영구 결번 | 11 최동원 | 10 이대호 | |||
기타 | 역대 기록 | 역대 신인드래프트 | |||
구단 세부 정보 | 특징 | 팀 컬러 | 유니폼(얼터너티브) | ||
라이벌리 | 상대 전적 | |||
vs | 낙동강 시리즈 vs | 클래식 씨리즈 vs | 헤리티지 시리즈 vs | 항구 시리즈 vs | 엘꼴라시코 vs | 경부선 시리즈 | ||||
지역 연고 학교 | 개성고 | 경남고 | 부경고 | 부산고 | 부산공고 | 부산정보고 | | |||
팬덤 관련 정보 | 유튜브 | Giants TV(자티비) | ||
응원 | 응원단장 | 응원단 | 마스코트 | |||
선수 응원가 | 팀 응원가 | 마! | 부산 갈매기 | 돌아와요 부산항에 | ||||
팬덤 | 유명 자이언츠 팬 | 롯데 자이언츠 갤러리 | 갈매기 마당 | 샤다라빠 | 오롯이 | 꼴리건 | | |||
기담 | 팀 관련 | 엘롯기 | 엘롯한 | 두엘롯 | 한롯기 | 헬로키티 | 기롯삼한 | 조류동맹 | ||
선수 관련 | 로나쌩 클럽 | 비갈 | 금테안경 | 턱거돼 | 마무리 브레이커 | |||
응원 관련 | 기세 | 8치올 | 봄데 | |||
라인업 관련 | 이왕기름넣을거 최대성능으로 가득염 | 족까고마 | 롯데시네마 | 남두오성 | 홍대갈 | 2010년 롯데 전설의 라인업 | 구최김 | 유돈노 | 윤나고황 | |||
매직 | 로이스터 매직 | 아로요 매직 | |||
기타 | 여담 | 이야깃거리 | ||
사건 사고 | 논란 및 사건사고 (경기 관련 | 팬 관련 | 선수 관련 | 구단 관련) | |||
작품 | 죽어도 자이언츠 | 나는 갈매기 | 1984 최동원 | 꼴데툰 | |||
주관 대회 | 롯데기 야구대회 | |||
틀 문서 | ||||
역대 구단주 | 역대 대표이사 | 역대 단장 | 역대 감독 | 역대 2군 감독 | 역대 주장 | 영구 결번 | 역대 외국인 선수 | 역대 응원단장 | 역대 시즌 | 역대 1차 지명 선수 | 역대 지명 선수 | 역대 은퇴식 | 개막전 선발 투수 | 프런트 | 코칭 스태프 | 선수단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유니폼 | 응원단 | 마스코트 | 선수 통산 기록 일지 | 선수 플레이 스타일 | ||||
문서가 있는 야구선수 통칭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준호 · 이종운 · 박정태 · 김민호 · 김응국) | (우즈 · 김동주 · 심정수) | (이왕기 · 최대성 · 가득염) | (이승엽 · 마해영 · 양준혁) |
(후지카와 큐지 · 제프 윌리엄스 · 쿠보타 도모유키) | | | (고창성 · 임태훈 · 이재우 · 이용찬) | |
(채태인 · 최형우 · 박석민) | (홍성흔 · 이대호 · 가르시아) | (조현근 · 최원제 · 김상수 · 박성훈 · 차우찬) | (이재곤 · 김수완 · 고원준 · 진명호) | |
(이병규 · 박용택 · 이진영 · 이택근 · 이대형) | (정현욱 · 오승환 · 권혁 · 권오준 · 안지만) | (윤성환 · 안지만 · 임창용 · 오승환) | (이범호 · 최희섭 · 김상현) | |
(김경언 · 고동진 · 추승우 · 정현석 · 이양기) | (김영민 · 강윤구 · 장시환 · 문성현 · 오재영) | (강정호 · 박병호 · 서건창 · 밴헤켄) | (나성범 · 테임즈 · 이호준 · 박석민) | |
(켈빈 에레라 · 웨이드 데이비스 · 그렉 홀랜드) | | (니퍼트 · 보우덴 · 유희관 · 장원준) | (추신수 · 강정호 · 이대호 · 이승엽) | |
(김진성 · 원종현 · 임창민 · 임정호) | | (엄상백 · 주권 · 정성곤) | (서진용 · 박종훈 · 김태훈) | |
(배재환 · 구창모 · 장현식) | (이천웅 · 채은성 · 이형종) | (이성곤 → 김헌곤 · 이성규 · 김동엽) | (서진용 · 김태훈 · 하재훈) | |
(박준표 · 전상현 · 문경찬) | (변우혁 · 노시환 · 유장혁) | (류현진 · 윤석민 · 김광현) | (보어 · 루이즈 · 가르시아) | |
(류현진 · 김광현 · 양현종) | (최정 · 추신수 · 로맥 · 최주환) | (전상현 · 장현식 · 정해영) | (구승민 · 최준용 · 김원중) | |
(김지찬 · 김현준 · 이재현) | (박해민 · 신민재 · 홍창기 · 문성주) | (유강남 · 한현희 · 노진혁) | (임창민 · 김재윤 · 오승환) | |
(윤동희 · 나승엽 · 고승민 · 황성빈) | (오지환 · 김현수 · 박해민) | |||
해당 선수의 이적 · 은퇴로 인해 사장(해체)된 통칭(콤비네이션) |
족재곤 / 까나리 / 고물 / 마더
1. 개요
이왕기름넣을거 최대성능으로 가득염의 명성을 잇는 롯데 자이언츠의 포텐셜 안 터지는 선발 유망주 네 명의 별명 앞 글자를 따서 모아서 부르는 말. 정말 희한하게도 깝깝한 그들의 실력과 싱크로율이 높은 의미를 가진 단어가 탄생하여, 급속도로 퍼지게 되었다. 각 선수 별명의 유래는 해당 문서를 참조.이래저래 롯데 팬들의 애증의 대상이다. 아예 가망성이 없는 선수라면 이렇게 묶여서 비아냥을 듣지는 않았을 테지만, 이들은 가능성을 잠시 보여준 아주 짧은 시기를 제외하면 다들 포텐이 터질락 말락하다가 결국은 불발되는 패턴을 반복하기 때문이다. 이재곤과 김수완은 2010년 4, 5선발 와니와 고니로 갑툭튀하면서 후반기를 책임져 주었던 좋은 기억이 있고, 고원준은 2010년 롯데에 밸붕 트레이드로 입단 할 당시만 해도 특급 유망주였다. 진명호는 양상문 코치가 떠난 이후부터 착실히 성장하여 2012년에 롱릴리프로 그럭저럭 활약을 보인 바 있다.
하지만 2013년에는 다정하게 함께 폭망하며 롯빠들의 혈압상승에 일조하였다. 꼴갤에서도 심심하면 트레이드 카드로 거론될 정도였다. 그리고 시즌이 끝난 후인 그해 11월 28일, 최준석의 보상선수로 김수완이 두산으로 이적함으로써 족까고마의 '까'가 빠지게 돼버렸다. 또 고원준과 진명호는 2013 시즌 후 입대를 하여 2년간의 공백이 생겼다.
롯데 팬들은 이들 중 한명만 터져 준다면 2014시즌 장원준-송승준과 외국인 듀오를 합쳐 최강 선발진을 구축할 수 있다고 기대했으나 넷 다 롯데 팬들의 관심에서 벗어났고 오히려 2014년 5선발은 KIA에서 김주찬의 보상선수로 이적해온 홍성민의 차지가 되었다.
2015년 이재곤은 선발로 단 한경기 올라와서 제구불안으로 조기강판되어 명불허전의 모습을 보였고, 고원준과 진명호는 군입대 상태, 위에서 거론됐던 김수완의 대체자 배장호는 그냥 망한 줄 알았으나 후반기 선발진에 투입되어 생각보다 좋은 모습을 보였다.
2. 해체와 그 이후
2014년 김수완이 최준석의 보상선수로 두산 베어스로 이적함으로써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김수완은 두산 이적 후 별 활약이 없었다가 2015년 5월 9일 한화 이글스를 상대로 6⅓이닝 2실점 QS를 기록하며 반전 드라마를 쓸 뻔하였으나 어깨부상으로 물거품이 되었다. 결국 2015년 시즌 후 방출되었다.
이재곤은 2016년 3월 19일 시범경기에 등판하여 특유의 쓰레기같은 제구력으로 평균자책점 121.50을 찍으며 핵폭탄을 제대로 떨궈서 2군에서 시즌을 시작하게 되었다.[1] 이후에도 좋은 모습을 찾지 못하며 1군 콜업없이 시즌을 마쳤으며, 2017년에도 퓨처스에서 10점대 방어율을 기록하는 등 부진을 거듭하였으며 시즌 후 방출되었다. 이후 2018년에 kt wiz에 새 둥지를 틀었지만 여기서도 2군에 있다가 방출, 호주 리그의 질롱 코리아에 입단하였다. 질롱 코리아에서도 한경기 17실점 15자책점이라는 대단히 극심한 부진을 겪고 결국 은퇴했다.
고원준은 2016년 노경은과 트레이드되어 두산 베어스로 이적하였으며, 트레이드 후 전반기 시즌에는 대체 선발 및 불펜으로 자주 등판하였으나 부진으로 2군으로 내려가며 시즌 종료. 2017년 시즌에도 큰 반전없이 부진한 성적을 기록하였으며 결국 2017년 시즌 종료 후 방출되었다.
진명호는 부상 후 2017년 퓨처스 리그에 등판하였다. 좋은 성적은 아니나 2017년 보류명단에 포함되어 2017시즌 종료 시점에서 족까고마 멤버 중 유일한 생존자가 되었다. 2017시즌 후반기엔 1군에 등판하였다. 2018년 4월 11일에는 송승준이 부득이하게 일찍 마운드에서 내려간 뒤 구원 등판하여 인생투를 펼쳤다. 손승락, 오현택과 함께 오명락이라는 2018년 전반기 필승조 불펜의 한축을 구성했다.[2] 6월 들어 페이스가 심각하게 떨어져 오명락에서 이탈하고 이후 구승민이 필승조로 합류하긴 하지만 그래도 후반기 들어서 다시 좋아진 모습을 보이며 기대하게 만들었고, 2019년에는 60경기 3승 2패 방어율 3.41를 기록하며 커리어 하이를 기록했다. 결과적으로 족까고마 중 유일한 생존자이면서 가장 1군에서 성공했다. 그러나 2020년 2년 간의 혹사의 피로로 제구력이 무너지며 허문회 감독의 양아들 중 하나가 되고 말았다. 하지만 2020시즌 종료 후, 이 양아들 중 진명호만 살아남았다.[3]
최준석이 NC 다이노스로 이적했고 노경은이 FA 계약이 되지 않으면서 다른 멤버들의 흔적이 없어지는 게 아닌가 싶었지만, 노경은이 1년 후 FA 계약을 체결하면서 고원준의 흔적은 남게 되었다. 이후 노경은이 2년 계약을 끝으로 방출 후 SSG로 이적하면서 진명호가 제일 오래 생존하게 되었고, 진명호도 2022 시즌 후 방출되고 그대로 은퇴하면서 족까고마는 KBO 리그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3. 관련 인물
4. 관련 문서
[1] 실감이 나지 않는다면 0.2이닝 9실점을 했다고 보면 된다.[2] 특히 5월에 13경기 1승 7홀드 1세이브, 평균자책점 0을 기록했다.[3] 박시영은 신본기와 함께 kt로 트레이드되었고, 허일, 김동한은 방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