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41e42> | 롯데 자이언츠 관련 문서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41e42><colcolor=#fff> 구단 기본 정보 | <colbgcolor=#041e42><colcolor=#fff> 모기업 | ||
구단 | 롯데 자이언츠 | 롯데 자이언츠 2군 | |||
롯데 자이언트(실업 시절) | ||||
프런트 | 선수단 | ||||
경기장 | 1군 메인 사직 야구장(재건축) 과거 | |||
1군 보조 울산 문수 야구장(1호 기록) 과거 마산 야구장 | ||||
2군 상동 야구장 | ||||
현재 시즌 | 2025 시즌(8월) | |||
구단 역사 정보 | ||||
통합 역사 | 역사 | |||
우승 | 1984년 한국시리즈(V1) 1992년 한국시리즈(V2) | |||
암흑기 | 암흑기(8888577, 5788, 7A78877) | |||
선수단 | 역대 선수 | 프랜차이즈 스타 | 역대 등번호 | 역대 필승조 | |||
영구 결번 | 11 최동원 | 10 이대호 | |||
기타 | 역대 기록 | 역대 신인드래프트 | |||
구단 세부 정보 | 특징 | 팀 컬러 | 유니폼(얼터너티브) | ||
라이벌리 | 상대 전적 | |||
vs vs vs vs vs | ||||
지역 연고 학교 | 개성고 | 경남고 | 부경고 | 부산고 | 부산공고 | 부산정보고 | | |||
팬덤 관련 정보 | 유튜브 | Giants TV(자티비) | ||
응원 | 응원단장 | 응원단 | 응원도구 | 마스코트 | |||
선수 응원가 | 팀 응원가 | 마! | 부산 갈매기 | 돌아와요 부산항에 | ||||
팬덤 | 유명 자이언츠 팬 | 롯데 자이언츠 갤러리 | 갈매기 마당 | 샤다라빠 | 오롯이 | 꼴리건 | | |||
기담 | 팀 관련 | 엘롯기 | 엘롯한 | 두엘롯 | 한롯기 | 헬로키티 | 기롯삼한 | 조류동맹 | 야구는 경상도 | ||
선수 관련 | 로나쌩 클럽 | 비갈 | 금테안경 | 턱거돼 | 마무리 브레이커 | |||
성적 관련 | 기세 | 8치올 | 봄데 | 데이비슨의 저주 | |||
라인업 관련 | 이왕기름넣을거 최대성능으로 가득염 | 족까고마 | 롯데시네마 | 남두오성 | 홍대갈 | 2010년 롯데 전설의 라인업 | 박트리오 | 나나랜드 | 구최김 | 유돈노 | 윤나고황 | 롯데 육상부 | |||
매직 | 로이스터 매직 | 아로요 매직 | |||
기타 | 여담 | 이야깃거리 | ||
사건 사고 | 논란 및 사건사고 (경기 관련 | 팬 관련 | 선수 관련 | 구단 관련) | |||
작품 | 죽어도 자이언츠 | 나는 갈매기 | 1984 최동원 | 꼴데툰 | |||
주관 대회 | 롯데기 야구대회 | 전국 명문고 야구열전 | |||
틀 문서 | ||||
역대 구단주 | 역대 대표이사 | 역대 단장 | 역대 감독 | 역대 2군 감독 | 역대 주장 | 영구 결번 | 역대 외국인 선수 | 역대 응원단장 | 역대 시즌 | 역대 1차 지명 선수 |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역대 지명 선수 | 역대 은퇴식 | 개막전 선발 투수 | 프런트 | 코칭 스태프 | 선수단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유니폼 | 응원단 | 마스코트 | 선수 통산 기록 일지 | 선수 플레이 스타일 |
1. 개요
롯데 자이언츠의 프랜차이즈 스타들을 정리한 문서2. 투수
2.1. 최동원
No.11 '철완' 최동원 {{{#00bfff 1983 ~ 1988}}} |
|
218경기 1292.2이닝 96승 67패 25세이브 79완투/15완봉 2.27ERA/148.9ERA+ 1.08WHIP 300BB/986K 2.04FIP 36.28sWAR |
2.2. 윤학길
No.29 '고독한 황태자' 윤학길 1986 {{{#d2d2d2 ~ 1997}}} |
|
308경기 1863.2이닝 117승 94패 10세이브 100완투/20완봉 3.33ERA/114ERA+ 1.26WHIP 487BB/916K 3.16FIP 39sWAR |
2.3. 염종석
No.68 '염라대왕' 염종석 1992 {{{#f58220 ~ 2008}}} |
|
356경기 1791.1이닝 93승 133패 14세이브 3홀드 31완투/6완봉 3.76ERA/110.5ERA+ 1.28WHIP 476BB/1,016K 3.55FIP 31.92sWAR |
2.4. 주형광
No.28 '꾀돌이' 주형광 1994 {{{#f58220 ~ 2007}}} |
|
386경기 1524.1이닝 87승 82패 9세이브 22홀드 33완투/3완봉 3.83ERA/109.7ERA+ 1.23WHIP 426BB/1,209K 3.76FIP 29.96sWAR |
2.5. 손민한
No.61 '전국구 에이스' 손민한 1997 {{{#f58220 ~ 2011}}} |
|
282경기 1529.2이닝 103승 72패 12세이브 11완투/3완봉 3.46ERA/109.7ERA+ 1.23WHIP 440BB/873K 3.83FIP 36.73sWAR |
2.6. 송승준
No.21 '송삼봉' 송승준 2007 {{{#ed1c24 ~ 2021}}} |
|
338경기 1645.2이닝 109승 85패 2홀드 8완투/4완봉 4.48ERA/103.8ERA+ 1.44WHIP 633BB/1238K 4.48FIP 31.7sWAR |
2.7. 김원중
No.34 '장발 마무리' 김원중 2012 {{{#d00f31 ~ }}} |
|
381경기 675이닝 39승 49패 132세이브 4홀드 5.08ERA/ERA+ 1.53WHIP 326BB/673K 4.53FIP 11.35sWAR |
마무리 전향 이전에는 그냥저냥 로테이션을 도는 선발 투수였으나, 마무리 전환 이후 인생이 바뀌었다. 롯데 최다 세이브 타이틀과 롯데 자이언츠 최초의 100세이브를 이루는 등 롯데 자이언츠 역사상 최고의 마무리로 각성했다. FA에서 더 좋은 오퍼나 구단과의 줄다리기 없이 롯데 잔류를 택하며 롯데에 진심인 모습을 보였으며 2025 시즌 롯데 최초 통산 150세이브, 3년 연속 20세이브를 달성하며 롯데 마무리의 상징이 되었다.
2.8. 브룩스 레일리
No.46 '명왕' 레일리 2015 {{{#ed1c24 ~ 2019}}} |
|
152경기 910이닝 48승 53패 3완투/1완봉 4.13ERA/119.6ERA+ 1.35WHIP 271BB/755K 4.48FIP 25.11sWAR |
2.9. 박세웅
No.21 '안경에이스' 박세웅 2015 {{{#d00f31 ~ }}} |
|
153경기 1328.1이닝 68승 88패 1완투/1완봉 4.13ERA/ERA+ 1.44WHIP 471BB/1048K 4.53FIP 30.2sWAR |
최동원-염종석을 이은 안경 낀 우완 에이스의 타이틀을 받은 기대주.
3. 타자
3.1. 김민호
No.10 '자갈치' 김민호 1984 {{{#d2d2d2 ~ 1996}}} |
|
1,207경기 4,358타석/3,779타수 1,050안타 106홈런 606타점 488득점 491BB/560K 64도루 .278/.362/.435 OPS .797 wRC+129.6 sWAR 30.01 |
3.2. 김응국
No.17 '호랑나비' 김응국 1988 {{{#f58220 ~ 2003}}} |
|
1,440경기 5,673타석/4,950타수 1,452안타 86홈런 667타점 744득점 593BB/711K 207도루 .293/.360/.462 OPS .822 wRC+123.0 sWAR 36.63 |
3.3. 박정태
No.16 '탱크' 박정태 1991 {{{#f58220 ~ 2004}}} |
|
1,167경기 4,458타석/3,857타수 1,141안타 85홈런 638타점 531득점 475BB/416K 22도루 .296/.373/.433 OPS .806 wRC+126.9 sWAR 32.27 |
3.4. 조성환
No.2 '캡틴' 조성환 1999 {{{#f58220 ~ 2014}}} |
|
1032경기 3482타석/3077타수 874안타 44홈런 329타점 459득점 259BB/492K 116도루 .284/.347/.386 OPS 0.732 wRC+100.8 sWAR 18.15 |
3.5. 펠릭스 호세
No.34 '검은 갈매기' 호세 1999, 2001, {{{#f58220 2006 ~ 2007}}} |
|
394경기 1656타석/1330타수 411안타 95홈런 314타점 247득점 304BB/286K 22도루 .309/.437/.586 OPS 1.023 wRC+177.4 sWAR 19.63 |
3.6. 이대호
No.10 '빅 보이', '조선의 4번 타자' 이대호 2001 {{{#f58220 ~ 2011}}} 2017 {{{#ed1c24 ~ 2022}}} |
|
1,972경기 8,128타석/7,118타수 2,199안타 374홈런 1,425타점 972득점 746BB/1025K 11도루 .309/.385/.515 OPS .900 wRC+ 140.3 sWAR 50.82 |
3.7. 강민호
No.47 강민호 {{{#f58220 2004 ~ 2017}}} |
|
1,495경기 5,593타석/4,853타수 1,345안타 218홈런 778타점 640득점 540BB/1,075K 23도루 .277/.360/.467 OPS .827 wRC+116.3 sWAR 45.38 |
2018시즌 FA로 이적한 뒤 삼성 라이온즈 주전 포수로 활약 중이다.[9] 사실상 두산의 양의지와 함께 포수 골든글러브를 독점할 정도로 활약하는 중.
3.8. 손아섭
No.31 손아섭 2007 {{{#ed1c24 ~ 2021}}} |
|
1,696경기 7,295타석/6,401타수 2,077안타 165홈런 873타점 1,147득점 800BB/1,069K 204도루 .324/.400/.466 OPS .867 wRC+131.1 sWAR 51.69 |
그러나 2021년 12월 24일, 지역 라이벌팀인 NC 다이노스로 FA 이적하며 14년간의 롯데 생활을 정리하였다.
3.9. 전준우
No.8 '전트란', '월드스타' 전준우 {{{#f58220 2008 ~ }}} |
|
1,725경기 7,258타석/6,462타수 1,936안타 213홈런 970타점 1053득점 602BB/1,086K 136도루 .300/.364/.466 OPS .830 wRC+ 118.9 sWAR 33.32 |
[1] 현역 투수 최동원과 동시대를 살았던 올드팬은 물론 최동원의 은퇴 이후인 1990년대에 태어난 팬들도 최동원에 대해 존경을 아끼지 않는다.[2] 이 뒤에 나오는 프차선수들과 현역 중 유력후보도 이 선수가 지정되지 않는 한 어렵다는 것이 중론.[3] 여러번의 수술을 받았고 그 흉터 사진도 유명한 편.[4] 특히나 2005년 커리어하이 시즌에는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지 못한 팀 소속의 선수로써는 최초로 KBO MVP를 수상했다.[5] 자갈치시장 아지매마냥 늘 재잘재잘 시끄럽다고 선배들이 지어 줬다고 한다.[6] 주로 4번타자, 1루수를 맡음.[7] 당시 많은 아이들이 그의 타법을 따라했다.[8] 특히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주전 포수로써 활약해 제주도 출신의 첫 메달리스트이자 제주도 출신의 유일한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9] 2000년대 초반부터 2010년대의 롯데 포수진은 그야말로 강민호 원맨쇼에 가까웠는데, 그가 떠난 이후 오랜 기간 동안 롯데는 포수난에 시달려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