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박시영]]
#!if 문서명3 != null
, [[박세웅]]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41e42> | 롯데 자이언츠 관련 문서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41e42><colcolor=#fff> 구단 기본 정보 | <colbgcolor=#041e42><colcolor=#fff> 모기업 | ||
구단 | 롯데 자이언츠 | 롯데 자이언츠 2군 | |||
롯데 자이언트(실업 시절) | ||||
프런트 | 선수단 | ||||
경기장 | 1군 메인 사직 야구장(재건축) 과거 | |||
1군 보조 울산 문수 야구장(1호 기록) 과거 마산 야구장 | ||||
2군 상동 야구장 | ||||
현재 시즌 | 2025 시즌(8월) | |||
구단 역사 정보 | ||||
통합 역사 | 역사 | |||
우승 | 1984년 한국시리즈(V1) 1992년 한국시리즈(V2) | |||
암흑기 | 암흑기(8888577, 5788, 7A78877) | |||
선수단 | 역대 선수 | 프랜차이즈 스타 | 역대 등번호 | 역대 필승조 | |||
영구 결번 | 11 최동원 | 10 이대호 | |||
기타 | 역대 기록 | 역대 신인드래프트 | |||
구단 세부 정보 | 특징 | 팀 컬러 | 유니폼(얼터너티브) | ||
라이벌리 | 상대 전적 | |||
vs vs vs vs vs | ||||
지역 연고 학교 | 개성고 | 경남고 | 부경고 | 부산고 | 부산공고 | 부산정보고 | | |||
팬덤 관련 정보 | 유튜브 | Giants TV(자티비) | ||
응원 | 응원단장 | 응원단 | 응원도구 | 마스코트 | |||
선수 응원가 | 팀 응원가 | 마! | 부산 갈매기 | 돌아와요 부산항에 | ||||
팬덤 | 유명 자이언츠 팬 | 롯데 자이언츠 갤러리 | 갈매기 마당 | 샤다라빠 | 오롯이 | 꼴리건 | | |||
기담 | 팀 관련 | 엘롯기 | 엘롯한 | 두엘롯 | 한롯기 | 헬로키티 | 기롯삼한 | 조류동맹 | 야구는 경상도 | ||
선수 관련 | 로나쌩 클럽 | 비갈 | 금테안경 | 턱거돼 | 마무리 브레이커 | |||
성적 관련 | 기세 | 8치올 | 봄데 | 데이비슨의 저주 | |||
라인업 관련 | 이왕기름넣을거 최대성능으로 가득염 | 족까고마 | 롯데시네마 | 남두오성 | 홍대갈 | 2010년 롯데 전설의 라인업 | 박트리오 | 나나랜드 | 구최김 | 유돈노 | 윤나고황 | 롯데 육상부 | |||
매직 | 로이스터 매직 | 아로요 매직 | |||
기타 | 여담 | 이야깃거리 | ||
사건 사고 | 논란 및 사건사고 (경기 관련 | 팬 관련 | 선수 관련 | 구단 관련) | |||
작품 | 죽어도 자이언츠 | 나는 갈매기 | 1984 최동원 | 꼴데툰 | |||
주관 대회 | 롯데기 야구대회 | 전국 명문고 야구열전 | |||
틀 문서 | ||||
역대 구단주 | 역대 대표이사 | 역대 단장 | 역대 감독 | 역대 2군 감독 | 역대 주장 | 영구 결번 | 역대 외국인 선수 | 역대 응원단장 | 역대 시즌 | 역대 1차 지명 선수 |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역대 지명 선수 | 역대 은퇴식 | 개막전 선발 투수 | 프런트 | 코칭 스태프 | 선수단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유니폼 | 응원단 | 마스코트 | 선수 통산 기록 일지 | 선수 플레이 스타일 |
좌측부터 박진형, 박시영, 박세웅 |
1. 개요
롯데 자이언츠의 2016시즌 혜성처럼 등장했던 선발 유망주 3인방 박진형, 박시영, 박세웅을 이르는 통칭. 쓰리박이라 불리기도 한다.2. 유래
2016년 팀이 부진한 가운데 박세웅, 박진형, 박시영 3인방이 선발 유망주로서 팬들의 기대감을 높혀주는 모습을 보여주어 3명이 묶여 불리기 시작하여 생겨난 통칭이다.3. 멤버
3.1. 박진형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041e42> | 관련 문서 박진형 Park Jin-hyu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41e42><colcolor=#fff,#fff> 선수 경력 | | 강릉고등학교 야구부 |
아마추어 시절 | |||
| 롯데 자이언츠 |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4 · 2025 | |||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
2017 APBC | |||
평가 | 플레이 스타일 | ||
기록 | 연도별 주요 성적 | ||
기타 | 여담 · 박트리오 · 별명 | }}}}}}}}} |
2013년 2라운드로 롯데에 지명을 받아 선수생활을 시작하였으며 별 두각을 보이지 못하다 2016년 혜성처럼 등장하여 선발 유망주로 기대를 받기 시작하였으며 2017년 후반기 불펜으로 5년만의 가을야구를 이끄는등 활약하였다. 그러나... 이후 지속된 혹사로 인해 성적이 떨어지기 시작하였으며 결국 공익으로 2022년 군문제를 해결하게 되었지만 전역 이후 2024년에도 구속을 회복하지 못하며 그대로 은퇴하는듯 하였지만 2025년 김상진 코치의 역할인지 갑작스럽게 2017년의 구속과 제구력을 보여주며 깜짝 복귀하였다.
다만 이후 털렸고 5/24 기준 혼자 1군에 올라오지 못하고 있다.
3.2. 박시영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041e42> | 관련 문서 박시영 Park Si-you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41e42><colcolor=#fff,#fff> 선수 경력 | | 제물포고등학교 야구부 |
아마추어 시절 | |||
| 롯데 자이언츠 1기 |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
신본기, 박시영 ↔ 최건 트레이드 | |||
| kt wiz | ||
2021 · 2022 · 2023 · 2024 | |||
| 롯데 자이언츠 2기 | ||
2025 | |||
평가 | 플레이 스타일 | ||
기록 | 수상 경력 · 연도별 주요 성적 · 통산 홀드 일지 | ||
기타 | 여담 · 박트리오 · 분류 · 파일 | }}}}}}}}} |
2008년 2차 4라운드에 롯데 자이언츠에 지명되어 프로생활을 시작하였으나 2013년까지 별다른 모습 없이 군문제를 해결하게 되었다. 이후 전역한 뒤 2016년 두각을 드러내며 기대를 가지게 하는 성적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2017년 2018년 모두 기대보다는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었고 그나마 2019년 팀이 최악의 모습을 보여주는 가운데 다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혹사로 인해 팔꿈치 수술 뼛조각 수술로 이탈하였다. 그리고 2020년 수술 이후 복귀했지만 이전의 모습으로 돌아가며 아쉬움을 남겼고 그래도 수술 이후 첫 년도이니 내년이면 더 나아진 모습을 보여줄 수도 있겠다... 라는 추측이 있었지만 신본기와 함께 kt wiz로 트레이드 되며 박트리오가 해체되었다. 그리고 2021년 kt wiz의 창단 첫 우승에 공헌을 하며 롯데 팬들에게 씁쓸함을 남겼으나 혹사와 함께 2022년 부상으로 수술과 함께 시즌 아웃 이후 2023년까지 복귀하지 못하였다.
이후 2024년 복귀하여 무난한 성적을 보였지만 어느 순간 말소되어 부상으로 의심되던 중 방출되었다. 그렇기에 건강 문제가 있는 줄 알았으나 의외로 건강에는 문제가 없었고 트레이드 이후 약 4년만에 친정팀으로 복귀하며 2025시즌 부터 다시 박트리오를 형성하게 되었다.
3.3. 박세웅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041e42> | 관련 문서 박세웅 Park Se-woo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41e42><colcolor=#fff,#fff> 선수 경력 | | 경북고등학교 야구부 |
아마추어 시절 | |||
| kt wiz | ||
2014 · 2015 | |||
박세웅 ↔ 장성우 트레이드 | |||
| 롯데 자이언츠 |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
2013 U-18 · 2017 APBC · 2020 올림픽 · 2023 WBC · 2022 AG | |||
평가 | 플레이 스타일 · 평가 · 박세웅에 대한 언사 | ||
기록 | 연도별 주요 성적 · 통산 승리 일지 | ||
기타 | 여담 · 안경 에이스 · 박트리오 · 분류 | }}}}}}}}} |
2014년 kt wiz의 1차지명으로 프로생활을 시작하여 2015년 5월 2일, 장성우를 상대로 한 대형 트레이드를 통하여 롯데 유니폼을 입은 뒤 곧바로 선발 로테이션을 소화하며 활약을 인정받아 2022년 10월 26일 5년 90억의 비FA 다년계약을 체결한 것에 이어 국제대회에서의 활약으로 군 문제를 해결하고 2025년 현재까지 70승 이상을 기록하며 롯데 자이언츠의 에이스이자 프랜차이즈 스타로 성장하였다.
4. 역사
4.1. 2016시즌
박세웅이 2015년 5월 2일 트레이드로 팀에 합류하였으며 군 문제를 해결한 박시영 또한 전역하여 팀에 합류하였다.셋 모두 팀에서 비중 있는 활약을 펼쳤다.
4.2. 2017시즌
초반 박세웅과 박시영은 여전히 좋은 활약을 펼치며 박세웅은 토종 1선발, 박시영은 롯데의 든든한 필승조로 활약했으나 박진형은 그다지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 했다.그러나 박진형은 후반기 방어율 2.17로 미친 활약을 보여주었으나 박세웅은 과도한 이닝 소화, 박시영은 혹사로 인해 성적이 추락했다. 박시영은 추격조로 강등되고 말았다. 그나마 9월에 ERA 1.86으로 준필승조에 진입하긴 했다.
그래도 셋 다 롯데의 가을야구 진출에 기여했다. 다만 박시영은 필승조로 등판했지만 좋지 못한 활약을 보여주었고 박세웅은 5차전에 알다시피.. 박진형만 또 잘했다.
4.3. 2018시즌
셋 다 상당히 부진했다.4.4. 2019시즌
비록 투고타저 시즌이기는 하지만 셋 다 이전의 기량을 회복했다. 박시영과 박진형은 데뷔 첫 4점대 방어율을 기록했다.4.5. 2020시즌
박진형과 박세웅은 필승조와 선발로 각각 기용되며 롯데에 힘을 보탰으나 박시영은 초반 필승조로 나왔음에도 많은 실점을 했다. 이후 박진형은 ERA 5.70, 박세웅은 4.70, 박시영은 8.01을 기록했다.4.6. 해체
'KT행' 박시영 "입단 동기 장성우와 재회 기대…성우한테 잘 보여야죠"2020년 12월 2일, 박시영이 신본기와 함께 최건과 신인 드래프트 3라운드를 대상으로 kt wiz로 트레이드 되며 13년 동안 몸담은 팀에서 떠남과 동시에 트리오가 결성된지 약 4년만에 해체되었다. 그러나 해체이전 부상과 부진으로 트리오가 사실상 모인적은 잘 없었으며 박세웅에 비해 두 선수는 기대 이하의 성장새로 사실상 트리오가 잘 언급되지 않던 상황에 해체되며 그냥 묻히는 기담으로 남게 되었다.
4.7. 이후
2021년 박시영이 팀을 떠난 이후 박세웅은 어엿한 팀의 에이스로 거듭나 163이닝을 소화하며 2017년에 이어 두번째 두자릿수 승수를 기록하였지만 박진형은 혹사를 버티지 못하고 부진에 빠졌다. 그리고 팀을 떠난 박시영은 kt wiz 우승에 공헌하며 팬들에게 씁쓸한 뒷맛을 안겼다.이후 2022년 박세웅은 여전히 활약하였으나 박진형은 부진과 데드암으로 인한 구속저하를 견디지 못하고 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입대하였으며 박시영 또한 kt에서 혹사를 당하며 시즌 아웃 당하여 박세웅을 제외한 두명의 선수 모두 2023년에는 모습을 보이지 못하였다.
그리고 2024년 두 선수가 모두 복귀하였으며 박시영과 박세웅은 여전히 활약하는 가운데 박진형은 결국 군제대 이후로도 구속을 회복하지 못한채 부진에 빠져 시즌 초 이후로는 1군에서 모습을 보이지 못하였다. 또한 박시영 조차도 시즌 후반에 부상으로 또 다시 이탈한 후 모습을 보이지 않고 방출되어 이대로 이 트리오는 잊혀져 가는듯 하였으나...
4.8. 재결성
우승하고 컴백, 롯데에서 제2막은 어떨까…'방출→핵심 필승조' 김상수 케이스 기대해도 될까11월 11일, 박시영이 kt에서 방출된 지 약 한 달 만에 롯데로 합류했다는 소식이 들려오며 약 4년 만에 박트리오를 다시 형성하게 되었다. 이전 시즌 약한 불펜진으로 인해 고생했던 팀이기에 합류를 결정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박진형이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중이기에 이 트리오를 1군에서 다시 볼 수 있을지는 미지수일 것으로 보인다.
4.9. 2025시즌
4월 17일, 앞서 4월 9일 콜업된 박시영에 이어 박진형이 1군에 콜업되며 박시영이 kt로 트레이드 되기 전 2020년 활약한 이후 약 4년만에 다시 박트리오가 결성되었으며 박세웅이 선발 등판하여 6.2이닝 무실점 12k의 완벽투에 더해 전년도까지 부진으로 약 300일 가까이 1군에서 볼 수 없었던 박진형이 2017년의 모습에 가까운 최고 148km의 구속으로 깔끔하게 이닝을 정리하며 8년 전 롯데의 마지막 가을야구를 이끌었던 삼인방의 재결성을 알렸다. 하지만 시리즈를 거듭할수록 박시영과 박진형은 부활에 실패하는 징조를 보여 박세웅 말고는 세월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는 듯하다.[1] 6월 말 기준으로는 박세웅마저도 부진에서 탈출할 기미조차 보이지 않고 있다가 후반기가 시작된 후 부진에서 벗어나 안경 에이스로 돌아온 상태.현재 박시영과 박진형은 은퇴 썰이 있다.
5. 여담
- 세 선수 모두 키가 181cm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