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역사 ||역사 전반(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백년국치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경제 ||경제 전반(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문화 전반 ||문화 전반(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문물국) · 영화(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목록 · 문제점) · 방송(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중국공산당| {{{#ffff00 중국공산당의 구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당 | 전국대표대회 | |||||||||||||
중앙위원회 총서기 | 중앙기율검사위원회3 5 | ||||||||||||||
중앙정치국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 중앙군사위원회3 4 주석2 기능부서 | ||||||||||||||
정 | 전국인민대표대회1 |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1 | |||||||||||||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국가주석2 | |||||||||||||||
국무원 총리2 | 최고인민법원 | 최고인민검찰원 | 중앙군사위원회3 주석2 기능부서 | 국가감찰위원회3 5 | |||||||||||
1. 양회의 구성원 2.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선출한다. 3. 합서판공: 같은 조직을 당조직, 국가조직 두 가지 명칭을 사용 4.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와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두 가지 명칭 사용 5. 중국공산당 중앙기율검사위원회와 중화인민공화국 국가감찰위원회 두 가지 명칭 사용 | }}}}}}}}} |
중앙군사위원회 中央军事委员会 Central Military Committee | ||
▲ 중앙군사위원회와 국방부가 위치한 팔일빌딩(八一大楼) | ||
<colbgcolor=#ee1c25,#222222><colcolor=yellow> 설 립 | 당 | 1954년 9월 28일 |
국가 | 1983년 6월 18일 | |
설립근거 | 중국공산당 규약 (제23조)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93조) | |
지위 중국의 무장력 영도기관 | ||
상급기관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전국인민대표대회[형식상] | |
주석 | 시진핑국가주석 겸 중공중앙총서기 | |
부주석 | 장유샤육군 상장 허웨이둥육군 상장 | |
위원 | 장성민로켓군 상장. 기율검사위원회 서기 류전리육군 상장. 연합참모부 참모장 | |
청사 | 베이징시 하이뎬구 푸싱로 7 팔일빌딩 北京市海淀区复兴路7号 八一大楼[2] |
[clearfix]
1. 개요
2022년 1월 21일 상장(上將) 진급식에 모인 중앙군사위원회 위원들과 상장 진급자들[3] 앞줄에 중앙군위 위원, 뒷줄에 상장 진급자들이 서 있으며, 가운데가 시진핑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시 주석 양 옆엔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인 장유샤(张又侠) 상장과 쉬치량(许其亮) 상장[4] |
중국 인민해방군은 국가의 군대가 아닌 중국공산당의 당군이다. 국공내전 승리 후 정부를 조직하면서 1954년에 국무원 산하에 중화인민공화국 국방부를 설치하였고 1982년에 헌법개정을 통해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를 설치하였다. 개정 당시 당의 군사력 통제에 대한 우려가 있었으나 이는 행정적인 것임을 천명하였다. 실질적으로 '한 기관 두 이름(一个机构两块牌子)' 제도에 따라 중앙군사위원회라는 하나의 조직이 당 조직인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당중앙군사위원회)와 국가 조직인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국가중앙군사위원회)의 두 가지 명칭을 가진다. 이는 구조와 인원이 선출 시기에만 차이가 날 뿐 동일하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6] 군사 관련 업무는 중군위에서 총괄하고 행정적인 부분(모병 등)만 국방부에서 담당한다. 따라서 중국 인민해방군의 지휘권은 중군위에 있다.
2. 설립 근거 및 구성
제2장. 당 조직제도 제23조. 당의 중앙정치국,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와 중앙위원회 총서기는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선거한다. 중앙위원회 총서기는 반드시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 가운데서 선출되여야 한다. 중앙정치국과 그 상무위원회는 중앙위원회 전원회의 휴회기간에 중앙위원회의 직권을 행사한다. 중앙서기처는 중앙정치국과 그 상무위원회의 사무기구이며 그 구성원은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가 인선을 제의하고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통과한다. 중앙위원회 총서기는 중앙정치국 회의와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회의를 책임지고 소집하며 중앙서기처의 사업을 조직지도한다. 당중앙군사위원회 구성원은 중앙위원회가 결정하고 중앙군사위원회는 주석책임제를 실행한다. 매기 중앙위원회에서 선출된 중앙지도기구와 중앙지도자는 다음기 전국대표대회 회의기간의 당의 일상사업을 조직지도하며 다음기 중앙위원회에서 새로운 중앙지도기구와 중앙지도자가 선출될 때까지 사업을 계속한다. (후략) - 중국공산당 규약 (2017년 개정) # |
제4절 중앙군사위원회
② 중앙군사위원회는 다음과 같은 인원으로 구성한다. 주석, ③ 중앙군사위원회는 주석 책임제를 실시한다.부주석 약간 명, 위원 약간 명. ④ 중앙군사위원회의 임기는 해당 전국인민대표대회의 임기와 같다.
(후략) -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2018년 3월 11일 개정) |
3. 조직
{{{#!wiki style="margin: 0 -10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e5e5e5 | 부주석*1 장유샤 | 부주석*1 허웨이둥 | ||
기율검사위원회 비서 겸 중앙군위위원 장성민 | 정치공작부 주임 겸 중앙군위위원 먀오화*2 | - *3 | 연합참모장 겸 중앙군위위원 류전리 | |
*1 : 주석은 중국 국가주석으로 군사 계급이 없다. | }}}}}}}}}}}}}}} |
2016년 1월 군 지휘 체계가 대폭 개편되어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의 수도 11인에서 7인으로 대폭 줄었고, 기존의 총참모부와 총정치부, 총후근부와 총장비부의 4대 부서도 15개 중앙군사위원회 직속 기능부서로 개편되어 중앙군사위가 직접 관할하게 되어 당연히 시진핑의 군에 대한 장악력도 대폭 강화되었다. 현재 중앙군사위의 구성원(위원)은 다음과 같다.
- 주석: 시진핑 (국가주석,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 부주석 (2인): 현역 군인(공산당 중앙정치국원)
- 위원 (4인) 국방부장, 연합참모부장(합참의장격), 정치공작부 주임, 기율위원회 서기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을 제외하면 모두 현역 상장들이다. 중국은 장성 계급이 3개뿐이라서 최고 계급은 상장(上將)이며 실질적인 병력을 보유하고 있는 전구 사령원들도 모두 상장이다. 전구 사령원은 2016년 군제 개편 이후 중앙군사위에 참여하지 않는다. 다만 상장은 General로 번역하기 때문에 대한민국 국군의 대장에 해당하는 계급이다.
국방부장은 개국 때부터 1981년까지 모두 원수가 맡았으나, 현재는 상장이 맡고 있다. 하지만 원칙상 민간인이 맡으며 통수권자를 제외하면 군내 서열이 가장 높은 타국의 국방장관과는 달리 중국의 국방장관은 그저 여러 상장 중의 한 명에 불과할 뿐이며, 군의 행정 업무에만 관여한다. 펑더화이나 린뱌오 시절 때의 국방부장은 군의 2인자라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었지만, 현재는 제복군인의 1인자 역할은 두 명의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들이 수행하고 있다.[7]
원래는 군인만으로 구성된다는 법은 없었고, 1970년대까지는 당이나 정부 인사들이 많이 참가했으나[8] 1989년 장쩌민 이후에는 주석을 제외하면 전원 군인으로만 구성된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단, 실질적인 후계자로 여겨지던 시절의 후진타오와 시진핑은 후계자 수업 차원에서 중앙군사위 부주석을 역임했던 적이 있다.
2012년 11월 단행된 중앙군사위 인사에서 군인이 차지한 부주석 자리 2석 중 1석에 창군 이래 최초로 공군 소속인 쉬치량 공군사령원이 임명되었다. 스텔스 전투기 J-20, J-31 개발 성공에 대한 포상의 의미로 추정된다.
2017년 가을 단행된 중앙군사위 인사에서는 쉬치량이 유임되고, 장유샤가 새로이 부주석에 올랐다. 장유샤는 장비발전부장을 맡고있었으며 아버지 세대부터 서로 알고지낸 사이라고 알려져 있다.
2022년 10월 단행된 중앙군사위 인사에서는 모두의 예상을 깨고 장유샤가 유임되었고 허웨이둥이 새로이 부주석에 임명되었다. 허웨이둥은 동부전구 사령원을 맡았다가 연합참모부 작전국으로 이동하였고 이번에 부주석이 되었다.
중앙군사위원회 위원급은 각 전구, 각 군 사령원[9]으로 이루어진 정전구급보다 한 급 위에 위치해 있다.
중앙군사위원회 휘하 부서들은 다음과 같다.
3.1. 기능 부서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기능부서 |
{{{#!wiki style="margin: -0px -10px;" |
- 중앙군사위원회 판공청[10] (부전구급)
- 중앙군사위원회 연합참모부[11] (정전구급)
- 중앙군사위원회 정치공작부[12] (정전구급)
- 중앙군사위원회 후근보장부[13] (부전구급)
- 중앙군사위원회 장비발전부[14] (부전구급)
- 중앙군사위원회 훈련관리부 (부전구급)
- 중앙군사위원회 국방동원부 (부전구급)
- 중앙군사위원회 기율검사위원회 (정전구급)
- 중앙군사위원회 정치법률위원회 (부전구급)
- 중앙군사위원회 과학기술위원회 (부전구급)
- 중앙군사위원회 전략규획판공실 (정군급)
- 중앙군사위원회 개혁편제판공실 (정군급)
- 중앙군사위원회 국제군사합작판공실 (정군급)
- 중앙군사위원회 심계서[15] (정군급)
- 중앙군사위원회 기관사무관리총국 (정군급)
3.2. 전구 당국
- 중국 인민해방군 동부전구 (정전구급)
- 중국 인민해방군 서부전구 (정전구급)
- 중국 인민해방군 남부전구 (정전구급)
- 중국 인민해방군 북부전구 (정전구급)
- 중국 인민해방군 중부전구 (정전구급)
3.3. 군 조직
3.3.1. 준군사조직
3.4. 직속 부대
3.5. 합동작전사령부
- 중앙군사위원회 합동작전지휘센터 (정전구급)
3.6. 직계 대학
- 중국 인민해방군국방대학 (부전구급)
- 중국 인민해방군군사과학원 (부전구급)
- ’56년 원수(元帥) 예젠잉(葉劍英)의 창설 제의로 ’58.3.15 베이징에서 공식 개원
- 중국인민해방군 군사이론 연구 관련 고등 연구기구로서 전 군의 군사학술 연구센터 역할을 수행하는 중앙군사위원회 직속기관
- 2017. 7월부 국방개혁 일환 전군 유사조직 통·폐합 및 개편. 10,000 여명 핵심인력 보유
- 연구원(8) : 전쟁, 군대정치공작, 군사법제, 시스템공정, 국방과기혁신, 군사의학, 화학방어, 국방공정
- 센터(2) : 평가논증연구, 군사과학정보연구
- 중국 인민해방군국방과학기술대학 (정군급)
- 1953년 창건된 ‘하얼빈 중국인민해방군 군사공정학원’이 전신
- 2017년 기존 국방과학기술대학, 국제관계학원, 국방정보(信息)학원, 시안(西安)통신학원, 전자공학학원, 이공대학기상해양학원 등 통합
- 2020년 현재 문리학원, 계산기(컴퓨터)학원, 전자과학학원, 지능과학학원, 첨단분야통합학원, 계통공정학원, 공천(우주)과학학원, 국제관계학원, 정보(信息)통신학원,전자대항학원, 기상해양학원, 군사기초교육학원 등 보유, 중국 군사과학기술 학술연구교육의 핵심기관
4. 주석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FFFFF | 초대 | 제2대 | 제3대 |
마오쩌둥 | 화궈펑 | 덩샤오핑 | |
제4대 | 제5대 | 제6대 | |
장쩌민 | 후진타오 | 시진핑 | |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 |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000,#e5e5e5 | 중앙인민정부 인민혁명군사위원회 주석 (1949년-1954년) | |||
초대 | ||||
마오쩌둥 | ||||
중화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주석 (1954년-1975년) | ||||
초대 | 제2대 | |||
마오쩌둥 | 류사오치 | |||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1983년-)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덩샤오핑 | 장쩌민 | 후진타오 | 시진핑 | |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 |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中央军事委员会主席 Chairman of the Central Military Commission | |
<colbgcolor=#ee1c25> 현직 | <colbgcolor=#ffffff,#1f2023>시진핑 |
취임일 | 2012년 11월 15일당중앙군사위원회 주석 2013년 3월 14일국가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관저 | 중난하이 |
2004년 9월 21일의 중앙군사위 기념 촬영 사진. 가운데 왼쪽이 장쩌민 당시 중앙군사위 주석, 오른쪽이 후진타오 당시 국가주석이다. 최고지도자가 두 명인 듯한 이런 어색한 사진이 나온 이유는 장쩌민이 후진타오에게 국가주석직과 공산당 총서기직은 제때 넘겼지만 권력의 핵심인 중앙군사위 주석직은 시간을 끌면서 최대한 늦게 넘겨줬기 때문이다. |
이 자리는 정년이나 임기가 없어서 죽거나 스스로 자리를 내려놓지 않는 이상 얼마든지 오랫동안 앉아 있을 수 있으며, 국가주석, 당 총서기가 중앙군사위원회를 장악하지 못하면 일당 독재 국가인 중국이 사실상의 이원집정부제 국가처럼 운영되는 기이한 광경이 나타나기도 한다. 마오쩌둥은 정치적 실책 등으로 국가주석에서 물러나면서도 죽을 때까지 당 중앙군사위 주석 자리만큼은 내놓지 않았으며, 실용주의 노선을 내세우며 자신에게 반기를 든 후임 국가주석 류사오치를 실각시키는 등 계속해서 최고지도자의 영향력을 행사했다. 마오쩌둥 사후 치열한 권력 투쟁 끝에 1인자가 된 덩샤오핑도 당 총서기[20]나 국가주석 자리에는 앉지 않았지만 1981년부터 1989년까지 당 중앙군사위 주석 자리를 움켜쥐고 중국을 통치하였다. 이 시기에 국가주석은 리셴녠과 양상쿤이 맡았지만 얼굴마담에 불과했고, 연이어서 당 총서기를 맡은 후야오방과 자오쯔양도 덩샤오핑의 지시를 충실히 수행하는 실무 책임자에 불과했다.[21] 그래서 덩샤오핑 시절에는 덩샤오핑이 중국의 공식적 국가원수인 국가주석도, 중국공산당 최고지도자인 총서기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정부수반 뿐 아니라 국가원수 노릇을 했다. 히로히토 일본 천황, 마가렛 대처 영국 총리 등 각국의 정상들과 회담을 한 사람이 덩샤오핑이었던 것만 봐도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이 사실상의 국가원수이자 정부수반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덩샤오핑은 일선에서 물러나면서 국가주석, 당 총서기, 당 중앙군사위 주석 자리를 모두 장쩌민 한 명이 겸임하도록 내정하면서 당/정/군의 지휘 체계를 일원화하였다. 덩샤오핑의 이러한 배려 속에 장쩌민은 명실상부한 중국의 최고지도자가 되었다. 그러나 이 때에도 국무원 총리 자리에는 리펑을, 중앙군사위 부주석 자리에는 류화칭을 내정하여 여차하면 장쩌민을 견제해 줄 세력들을 심어놓았고 실제 덩샤오핑이 사망한 뒤에 장쩌민 대 리펑의 파벌 구도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당시 같은 상하이방이었지만 계파가 달랐던 차오스 당시 전인대 상무위원장도 경쟁자 중 하나였지만 얼마 못 가 정계를 은퇴했다. 장쩌민이 확고하게 중국을 지배하던 시기는 덩샤오핑이 사망하고 차오스 상무위원이 실각하고 난 뒤였다.
장쩌민은 자신에게 배정된 임기를 다 마치고 2002년에 국가주석과 당 총서기 자리를 덩샤오핑이 살아있을 때 정해준 후임자 후진타오에게 제때 넘기면서도 정작 가장 중요한 중앙군사위 주석 자리는 그 이후로도 1년 10개월 동안이나 시간을 질질 끌면서 넘겨주지 않았으며, 그랬기 때문에 문단 상단의 사진과 같은 광경도 나올 수 있었다. 자신과 자신을 따르는 상하이방의 안전을 보장받기 위해서였다는 관측이 팽배한데, 하여튼 후진타오는 집권 2년차까지는 군 통수권이 없는 반쪽 짜리 지도자라는 비아냥을 들어야 했다. 결국 2004년에 후진타오는 중앙군사위 주석까지도 장쩌민으로부터 넘겨받았지만 장쩌민은 그 대신 자신의 측근이었던 쉬차이허우를 중앙군사위 부주석으로 올려놓아 후진타오가 중앙군사위를 장악하지 못하게 계속해서 방해했고, 그 때문에 중앙군사위 주석 자리를 넘겨받은 뒤에도 이미 군 고위층이 전부 장쩌민계 일색이라서 후진타오의 영향력이 제한적이라는 외신 기사가 여러차례 나오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장쩌민은 주요 정치 행사 때마다 후진타오 바로 옆자리에 앉아서 동일한 의전을 받는 등 퇴임 후에도 자신의 영향력을 과시하기도 했다.
후진타오는 장쩌민과는 달리 후임자 시진핑에게 국가주석, 당 총서기, 중앙군사위 주석 자리까지 모두 통째로 이양하였다. 장쩌민이 후진타오에게 반쪽 짜리 권력(당 총서기, 국가주석)만 이양하고 후진타오 측으로부터 자기 파벌에 대한 안전을 보장받은 후에야 중앙군사위 주석직을 넘겨준 것에 비하면 심히 대조되는 모습.[22] 이에 대해 일본의 중국 전문 르포 기자인 미네무라 겐지가 쓴 '13억 분의 1의 남자'라는 책에 따르면, 원래 후진타오도 장쩌민처럼 국가주석직과 당 총서기직만 시진핑에게 넘겨주고 중앙군사위 주석직은 자기가 갖고서 상왕 정치를 하길 원했지만, 전임자이자 정적이었던 장쩌민과의 알력 다툼에서 끝내 이기지를 못하자 장쩌민과 동귀어진하기로 결심하고 모든 자리를 시진핑에게 넘긴 것이라고 한다. 그렇게 명실상부한 최고지도자가 된 시진핑은 후진타오가 바라던 대로 장쩌민의 세력을 반부패 운동을 명분으로 숙청해 주면서 덩샤오핑 때부터 시작된 상왕 정치 시대에 종지부를 찍었고 그 뒤에는 자신의 종신 집권 시대를 열었다.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이 사망할 시 관에는 오성홍기가 아닌 중국공산당기를 덮는다.
4.1. 생존 중인 전직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현재 생존 중인 전직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은 후진타오 한 명 뿐이다.역대 주석 중에서 가장 장수한 주석은 장쩌민이다. (향년 96세)[형식상] [2] 건물명인 팔일(八一)은 중국공산당이 건군 시점으로 잡는 난창 폭동 발발일에서 유래했다.[3] 진록색이 육군(무장경찰+전략지원부대 포함), 하얀색이 해군, 청색이 공군, 검은색이 로켓군이다.[4] 1990년대의 장쩌민 국가주석 이후 역대 중국의 국가원수는 대부분의 공식 석상에서 서양식 정장을 입지만,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자격으로 참석하는 행사는 반드시 인민복을 입는 것이 관례로 되어 있다. 사진 속에서 시진핑의 복장도 같은 맥락에서 비롯된 것.[5]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93조에서 사용된 용어[6] 위키백과 중문판의 경우 두 위원회가 중앙군사위원회라는 문서명으로 같이 서술되어 있다.[7] 이들은 당의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정치국에도 참여한다.[8] 반대로 당 정치국, 심지어는 정치국 상무위원회에도 린뱌오, 예젠잉 등 현역 장성들이 다수 참여했다. 정치장교였던 덩샤오핑이 군에 강력한 입김을 갖고 있던 것도 그렇고, 신중국 수립 이전에는 군사행동과 정치행위가 서로 구분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치인과 군인의 구분도 흐릿했던 것.[9] 중국에서는 사령관을 사령원이라고 부른다. 이는 예전 무계급제의 흔적으로, 대부분의 권위주의적인 명칭을 모두 평범하게 바꾸었다.[10] 사무국[11] 참모본부[12] 공작은 사업을 뜻한다. 정치장교를 관리한다.[13] 병참부[14] 발전은 개발을 뜻함. 기술부이다.[15] 감사실[16] 합동물류지원군[17] 신식(信息)은 중국어로 정보라는 뜻이다.[18] 망락(网络)은 네트워크(사이버)를 가리킨다.[19] 항천(航天)은 우주비행이라는 뜻이다.[20] 1956년부터 1969년까지 중국공산당 총서기를 맡은적이 있다. 다만 이 시기는 최고영도인이었던 마오쩌둥이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으로 군권을 움켜지고 있았지만, 당 내부에서는 대약진운동 실패로 실질적 권한이 별로없는 명목상으로 당내 서열 1위인 당 주석직이라는 위치로 물러나 있었다. 그리하여 덩샤오핑은 지금의 중국공산당 1인자 위치인 총서기와는 조금 다른 당의 모든 실무 총 책임자로서 중국공산당 내 서열 2위의 자리를 맡게 되었다. 물론 지금의 총서기와는 완벽하게 같은 집무를 하는건 아니지만 당시 1인자이자 뒤로 물러나 있던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겸 중국공산당 주석인 마오쩌둥에 당 활동과 권한을 모두 대리하여 당 내 일상적인 실무를 총 책임지는 막중한 자리였다.[21] 후야오방은 급진적인 정치 개혁을 주장하다가 덩샤오핑에 의해 당 총서기 자리에서 한 번에 사직당했다. 그리고 후야오방이 1989년 사망하자 전국에서 추모 시위가 일어났는데, 이게 바로 천안문 6.4 항쟁의 시작이 됐다. 후야오방의 후임자였던 자오쯔양도 천안문 민주화 운동 당시 무력 진압에 반대하다가 숙청됐고 장쩌민이 후임 총서기가 되었다.[22] 다만 당 총서기와 국가주석의 임기가 불일치하기 때문에 시진핑은 당 총서기에 취임하면서 먼저 공산당 중군위 주석 자리를 넘겨받았고 이듬해 국가주석에 취임하면서 국가 중앙군사위 주석직도 함께 넘겨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