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ckenbacker 리켄배커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국가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창립 | 1931년,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
창립자 | 아돌프 리켄배커(Adolph Rickenbacker) 조지 D. 보샹(George D. Beauchamp) |
본사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산타 아나 |
업종 | 현악기 제조 |
링크 | (공식 홈페이지) (공식 페이스북) (공식 트위터) (공식 인스타그램) |
[clearfix]
1. 개요
리켄배커(Rickenbacker)는 미국의 일렉트릭 기타, 일렉트릭 베이스 제조 회사다. 세계 최초의 일렉트릭 기타를 만든 회사로도 유명하다.2. 역사
리켄배커의 설립자인 아돌프 리켄배커(좌측)와 조지 보샹(우측) |
또 다른 설립자인 조지 D. 보샹은 하와이안 음악을 하는 뮤지션이었는데, 본인이 연주하는 기타 소리가 울림통의 증폭만으로는 관객들에게 잘 들리지 않을 것을 매우 우려하여 본인이 직접 로스앤젤레스에 회사를 세우고 레조네이터 기타라는 울림통에 의한 증폭에 최적화된 기타를 개발하기도 했을 정도로 악기 개발에 어느정도의 경력이 있던 인물이었다. 그가 설립한 이 회사는 같은 지역에 위치해있던 아돌프 리켄배커의 공장으로부터 각종 부품들을 수급받는 비즈니스적 관계였는데, 이 비즈니스적 만남에서 시작하여 그들은 1931년에 공동 명의로 'Electro String'라는 회사를 설립한다.
리켄배커 A22 "Frying Pan" 일렉트릭 기타 |
그러나 이 제품은 실제 성공적인 판매량으로까지 이어지지는 못했는데, 1931년은 아직도 대공황의 여파가 남아있어 사람들이 악기를 구입하는 데 돈을 많이 사용하지 않았었기 때문이다. 회사는 이후 1930년대 중반에 기존에 사용하던 Electro String이라는 이름에서 현재 잘 알려진 리켄배커(Rickenbacker)로 사명을 변경한다. 설립자 중 한 명인 아돌프 리켄배커의 이름을 딴 것인데, 실질적으로 제품 개발 등에 크게 관여하던 보샹 대신 리켄배커의 이름을 사용한 것은 순전히 발음하기가 쉬워서였다고 한다. 이 발음 문제가 이들이 생각하기엔 상당히 중요했는지, 사명 또한 본래 독일식 발음대로라면 리켄바허라고 읽어야 하는 걸,[3] 쉽게 발음할 수 있도록 회사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리켄배커라는 미국식 발음으로 정한 것도 특이한 점이다. 이들은 얼마 지나지 않은 1935년에는 베이클라이트를 주 재료로 사용한 Model B 기타를 발매하는데, 이 기타는 하와이안 모델 뿐만 아니라 기존 기타 연주자들에게 익숙한 스패니시 모델도 발매하여 세계 최초의 솔리드 바디 일렉트릭 스패니시 기타라는 타이틀도 거머쥠에 동시에, 기존에 연예계에 넓은 인맥을 가지고 있던 조지 보샹의 동료 음악가들이 사용해준 덕에 입소문을 타고 상업적으로도 꽤나 잘 팔려나간다. 이 기타는 펜더보다 15년이나 먼저 분리형 볼트온 넥을 채용하여 세계 최초의 볼트온 넥 기타가 되기도 한다.[4] 또한 같은 해인 1935년 Ken Roberts[5] 모델을 발매하며 세계 최초의 풀 할로우 바디 일렉트릭 기타,[6][7] 세계 최초의 풀 스케일 일렉트릭 기타,[8] 세계 최초의 아티스트 시그니처 기타 타이틀까지 거머쥐게 된다. 이 밖에도 이들은 기타에만 국한되지 않고 1930년대에 지금으로서는 꽤 급진적으로 사업을 벌렸는데, 무려 전기 하프를 개발하기도 했으며, 리켄배커 회사명으로 기타 앰프를 제작하기도 했다.
1940년대 중반부터 1950년대 초반까지 리켄배커에는 새로운 기타 모델이 거의 전무하다시피 했는데, 이는 창업주들이 더이상 악기 개발을 할 의욕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조지 보샹은 1940년대 중반이 되자 뜬금없이 낚시용 루어를 디자인하는 데 관심이 생기면서, 본인이 소유하고 있던 리켄배커 사의 모든 지분을 회계를 담당하던 동료 직원에게 매각한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마무리되고 꽤 시간이 흐른 1953년경에는 남아있던 아돌프 리켄배커도 마찬가지로 회사를 프랜시스 C. 홀이라는 인물에게 매각하면서 두 창립자는 모두 악기개발의 역사에서 사라진다.
이렇게 1953년부터 리켄배커를 경영하게 된 프랜시스 C. 홀은 1909년, 미국 아이오와 주에서 태어난 인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마무리 된 이후 설립된지 얼마 되지 않았던 펜더사의 악기들을 독점적으로 유통하면서 일렉트릭 기타라는 새로운 악기의 가능성에 대해 주목하고 있었다. 그는 아돌프 리켄배커가 본인에게 회사를 매각하자마자 사내 정책을 개혁하였고, 1953년 말 최초로 험버커 픽업을 개발하고 1954년에는 Combo 600과 Combo 800 모델을 시초로 그 전까지는 볼 수 없던 다양한 신모델들을 생산하는 등 기술과 경영 어느 쪽으로나 매우 능동적으로 회사를 이끌어간다. 현재 대부분의 사람들이 떠올리는 리켄배커사의 모델들은 이 시기에 그 외관이 정립되었다 볼 수 있다.[9]
1964년 에드 설리반 쇼에 출연한 비틀즈 |
1970년대 후반부터는 정통 록의 시대가 저물고 하드 록, 메탈의 시대가 열리면서 그 전에는 기타에 비해 크게 빛을 보지 못하던 베이스들이 주목받기 시작하는데, 리켄배커 베이스 특유의 강하고 빈티지한 톤에 주목한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리켄배커의 베이스들을 이러한 새로운 음악들에 사용하기 시작했다.[10] 이들의 이미지가 강한지 현재까지도, 특히 국내에서 리켄배커 악기들은 기타보다는 베이스가 더욱 유명한 편이다.
국내에서는 수입하는 곳이 거의 없다가 2020년 즈음 해서 수입하는 곳이 한두 곳 다시 보이고 있다. 다만 펜더, 깁슨같은 메이저한 브랜드들에 비하면 판매량은 적은 편이며, 실사용자를 보기도 매우 힘든 편이다.
3. 특징
리켄배커의 기타는 특유의 강렬한 아이덴티티를 지닌 독특한 사운드 탓에 범용성이 낮고 쓸 사람만 쓴다는 인식이 강하다.하지만 리켄배커의 베이스의 경우에는 사용하는 유명 베이시스트들을 생각해보면 60년대의 초창기 록 음악부터(비틀즈 등) 1980년대의 헤비메탈(메탈리카 등)까지 모두 커버해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록 음악에 치중되어있긴 하지만 록의 범주 내에서는 꽤나 넓은 범용성을 자랑하는 베이스다.
다만 장르를 떠나서 리켄배커의 베이스는 펜더 못지않게 실제로 쓰지는 않더라도 소장용으로 갖고 있는 뮤지션 또한 엄청나게 많다.
3.1. 철저한 디자인권 침해 단속
요즘 나오는 후발 주자 기타 제작사의 기타들은 각 회사의 오리지널 디자인은 찾아보기 힘들고, 대부분 유명한 쉐입의 기타를 최소한 참고라도 하거나 아예 대놓고 모방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타 회사의 제품 중 펜더 사의 텔레캐스터, 스트라토캐스터, 재즈마스터 모델과 깁슨 사의 레스폴, ES-335, SG 모델 등과 같이 유명한 바디 쉐입을 가진 기타들은 해당 바디 쉐입을 사실상 죄다 베낀 기타들이 시장에 판을 치는데, 이는 애초에 펜더와 깁슨은 대놓고 머리부터 발끝까지 모든 디자인을 베끼지 않는 이상[11] 짭이 판치던 70년대 이후로는 별다른 제재를 가하지 않는 탓이 크며,[12] 최근에는 아예 돈받고 해당 모델과 동일한 디자인으로 생산할 권리까지 나눠주고 있는 실정이다.[13]그런데 리켄배커는 기타의 바디 쉐입, 헤드 쉐입과 같은 디자인과 관련된 부분을 모방하는 것을 다른 악기 회사와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빡세게 관리하기로 유명하다. 다른 회사가 돈을 내고 같은 모양의 기타를 생산하게 하는 방안은 검토조차 하고 있지 않으며, 개인이 비슷한 모양의 기타를 직접 제작하는 것에 마저도 너 고소를 시전하기 직전까지 갔다는 일화가 있을 정도이니 말 다 했다. 이 덕에 리켄배커의 바디 쉐입을 가진 다른 대체 기타를 찾기가 매우 어렵다 보니, 자연스럽게 원본의 가치가 올라가게 된다. 거기에 기본 500만 원은 하는 어마무시한 가격에 공장도 작아서 수요를 파악하여 소량 생산만 하다보니, 이는 리켄배커 기타가 프리미엄 브랜드라는 인식이 박히는 데에 크게 공헌하였다. 펜더와 깁슨 등과는 반대되는 전략을 사용해서 이름값을 올리는 케이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짝퉁이 아주 없진 않은데, 피터 훅이 조이 디비전으로 활동하던 시기에 사용했던 베이스도 4001의 짝퉁이었으며 현재는 펜더, 깁슨 등과 마찬가지로 상표까지 베낀 무허가 중국제 짝퉁[14]을 인터넷에서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다.
4. 생산 제품
4.1. 일렉트릭 기타
대부분의 일렉트릭 기타는 주로 세미 할로우 바디 라인업인 'Rickenbacker 300 Series'와 솔리드 바디 라인업인 'Rickenbacker 600 Series'로 나뉘며, 일부 이 네이밍 시스템 안에 들어가 있지 않은 빈티지 라인업인 'Rose Morris Series'가 있다.[15][16]리켄배커는 6현 기타 외에도 12현 기타가 유명한데, 주로 커스텀샵에서 주문 제작을 해야하는 다른 기타 회사들과 다르게 12현 기타가 정규 라인업으로 존재한다는 것이 특징이다.[17]
리켄배커 일렉트릭 기타에 장착되는 픽업에는 대표적으로 토스터 픽업과 하이게인 픽업이 있다. 1957년부터 1970년까지 로커빌리, 락앤롤 톤의 토스터 픽업이 장착되었으며, 좀 더 강한 출력을 위한 하이게인 픽업이 1968년부터 현재까지 장착되어진다. 현재는 토스터 픽업이 다시 리이슈되어 두 픽업 모두 볼 수 있다. 이외에도 험버커 픽업과 피에조 픽업도 사용된다. 토스터 픽업의 개발 이전까지 사용되던 호스슈 픽업은 현재는 베이스 기타에만 사용되고 있다.
4.1.1. Rickenbacker 300 Series
세미 할로우 바디 기타의 라인업인 300번대 기타 중 현재 생산되는 모델로는 325, 330, 340, 350, 360, 370, 380, 381이 있다.- Rickenbacker 325
325C64 325/12
리켄배커 시리즈 325는 1958년에 처음 출시되었다.[18] 325의 특징은 다른 일렉트릭 기타에 비해 넥과 스케일이 매우 짧은 편인 21인치(533mm) 세미 할로우 타입의 일렉트릭 기타이며 시대가 지나면서 기타를 제작하는 목재가 총 3번의 변화를 맞았는데 가장 처음 나왔을때 쓰인 재질은 캠우드 목재로 기타를 만들었으며, 많이 성황이었던 196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까지는 '부빙가' 목재를 이용하여 기타를 제작하였다. '부빙가' 이후에는 '체첸우드'를 이용하여 제작 중에 있다. 325의 12현 버전은 'Rickenbacker 325/12' 로 판매 중에 있다. 325를 사용한 유명한 아티스트로는 영국의 전설적인 록 밴드 비틀즈의 존 레논[19], 뱅글스의 기타리스트 수잔나 호프, 벨기에 음악가 투츠 틸레망, 미국의 존 포거티 등이 있다.
- Rickenbacker 330
330 330/12
325 다음으로 나온 이 기타 역시 출시년도는 1958년이다. 바디 타입은 이전 모델과 동일한 세미 할로우 타입이며, 한가지 달라진 게 있다면 이 330은 지금까지도 기타를 제작할 때 쓰이는 목재로 메이플 목재를 이용한다. 쟁글쟁글한 사운드를 들려준다. 이런 희귀한 특성 때문인지 80년대 영국 인디록 뮤지션들에게 많이 사용되었다. 1960년대에 이 기타를 주로 사용한 대표적인 아티스트로가 바로 비틀즈의 조지 해리슨이다. 미국에선 비틀즈의 영향을 받은 버즈가 대표적인데, 비틀즈의 조지 해리슨과 버즈의 로저 맥귄이 리켄배커로 연주한 쟁글쟁글한 기타 사운드들은 쟁글 팝의 효시가 됐다. 80년대에는 더 잼의 폴 웰러, 더 스미스의 조니 마가 대표적이다. 오아시스의 노엘 갤러거[20], 라디오헤드의 리더 톰 요크도 330을 이용하였다.[21]
- Rickenbacker 350
350V63 350/12V63
- Rickenbacker 360
360 360/12
360은 330의 디럭스 모델이다. 330와의 차이점으로는 스테레오 아웃풋(Rick O Sound) 추가, 유선형의 바디 쉐입, 바디와 넥의 바인딩 추가, 닷 인레이에서 트라이앵글 인레이로 변경 등 이 있다.
- Rickenbacker 370
370 370/12
- Rickenbacker 380
380 380/12
- Rickenbacker 381
381/V69 381/12V69
4.1.2. Rickenbacker 600 Series
솔리드 바디 기타 라인업인 600번대 기타 중 현재 생산되는 모델로는 620, 650, 660이 있다.- Rickenbacker 620
620 620/12
- Rickenbacker 650
650D 650D/12
- Rickenbacker 660
660 660/12
4.2. 어쿠스틱 기타
어쿠스틱 기타 라인업으로, 700번대 번호를 배정받았다.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원체 인지도가 낮아 존재조차 모르는 사람들이 훨씬 많은 마이너한 제품군들.4.2.1. Rickenbacker 700 Series
700번대 기타 라인업 중 현재 생산되는 모델로는 700, 730, 760이 있다.4.3. 베이스 기타
일렉트릭 기타와 다르게 베이스 기타는 넘버링이 4자리 숫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 생산되는 라인업은 'Rickenbacker 4000 Series'가 전부이다.[22][23]4.3.1. Rickenbacker 4000 Series
4000번대 베이스 기타 라인업 중 현재 생산되는 모델로는 4001, 4003, 4004가 있다.4001 | 4003 |
싱글 픽업임에도 불구하고 출력이 무식하게 세다. 어지간한 액티브 픽업 저리가라 할 정도. 덕분에 게인이 잘 먹어서 하드 록이나 헤비 메탈 밴드에서 많이 쓰기도 했다. 이쪽 장르에서 리켄배커 베이스를 사용한 대표적인 아티스트로는 모터헤드의 레미 킬미스터, 메탈리카의 클리프 버튼이 있다.
단점으로는 브릿지 구조, 픽업 커버, 픽업 위치 때문에 핑거 피킹으로 연주하기가 매우 불편하다.[28] 그래서 많은 사용자들이 브릿지를 교체하고 픽업 커버를 떼낸 뒤, 썸레스트[29]를 장착하는 등의 개조를 거쳐 사용하고 있다. 거기에 더해 듀얼 트러스로드 구조[30] 인데다 트러스로드 조정 렌치 또한 별도 규격을 사용하기 때문에 유지 관리도 매우 까다로운 편이다. 이렇기 때문에 만에 하나라도 리페어 샵에 방문할 일이 있다면 꼭 취급 가능 여부를 사전에 물어보는 것이 좋다.
4.4. Rickenbacker Rose Morris Series
리켄배커 로즈 모리스 시리즈는 영국의 악기 유통업체인 로즈 모리스(Rose Morris)에서 1960년대에 리켄배커에게 생산을 의뢰한 특주 사양 모델들을 복각한 시리즈이다.# 특징으로는 기존의 슬래시 모양 F홀 대신 클래식 현악기에 들어가는 전통적인 모양의 F홀이 채택되었다는 점이 있으며, 모델 분류 체계에서도 별도의 제품군으로 분류된다.기타 뿐만 아니라 베이스 모델들도 로즈 모리스 사양으로 특주 생산된 이력이 있다.
- Rickenbacker Rose Morris 1993
리켄배커 360/12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로즈 모리스 사양 모델이다. 원본 모델부터가 12현 모델이기 때문에 6현 사양 모델이 없는 것이 특징.
- Rickenbacker Rose Morris 1996
리켄배커 325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로즈 모리스 사양 모델이다.
5. 사용자 목록
5.1. 실제
5.1.1. 일렉트릭 기타
- 브라이언 존스 (롤링 스톤스)
- 존 레논 (비틀즈)
- 조지 해리슨 (비틀즈)
- 피터 벅 (R.E.M.)
- 디 엣지 (U2)
- 톰 요크 (라디오헤드)
- 에드 오브라이언 (라디오헤드)
- 조니 그린우드 (라디오헤드)
- 앤디 벨 (라이드, 비디 아이, 오아시스)
- 노엘 갤러거 (오아시스)
- 톰 페티
- 케빈 파커 (테임 임팔라)
- 김바다[31]
- 카더가든
- 김도연 (SURL)
- 김기태 (소음발광, 우린기태)본인트윗
- 피트 타운젠드 (더 후)
- 미네타 카즈노부 (긴난보이즈)
- 김도형 (잔나비)[32]
- 노코 (신세이 카맛테짱) [33]
- 노다 요지로 (RADWIMPS)
- 수잔나 홉스 (뱅글스)
- 빌리 조 암스트롱 (그린 데이)
- 코트니 러브
- 조니 마 (더 스미스)
- 김다니엘 (wave to earth)
- 폴 웰러 (더 잼)
- 버나드 섬너 (조이 디비전, 뉴 오더)
5.1.2. 베이스 기타
- 레미 킬미스터 (모터헤드)
- 로저 글로버 (딥 퍼플, 레인보우)
- 게디 리 (러시)
- 존 엔트위슬 (더 후)
- 크리스 스콰이어 (예스)
- 클리프 버튼 (메탈리카)
- 폴 매카트니 (비틀즈)[34]
- 글렌 휴즈 (딥 퍼플)
- 글렌 프라이 (이글스)
- 김정욱[35]
- 한경록 (크라잉넛)[36]
- 이장원 (페퍼톤스)[37]
- 정중엽 (장기하와 얼굴들, 이날치)[38]
- 이한빈 (SURL)
- Young K (DAY6)
- 기욱 (ONEWE)
- 연윤근 (체리필터)
- 로저 워터스 (핑크 플로이드)
- 츠네타 다이키 (King Gnu)
- 차순종 (wave to earth)
- 정결 (오이스터즈)
- 레스 클레이풀 (프라이머스)
5.2. 가상의 인물
- 스콧 필그림 - 스콧 필그림 시리즈
- 하루하라 하루코[39] - FLCL
- 키타자와 하구미 (헬로, 해피 월드!) - BanG Dream!
- 야가미 이오리[40] - KOF 시리즈
- 사이토 켄이치[41] - BECK
- 사쿠나가 키미[42] (시로네코도) - 너의 색
6. 여담
- 만화가 요네쿠라 켄고의 해외 활동명인 Ricken은 여기서 따왔다.
- 또 다른 특징으로는 지판까지 덮여있는 우레탄 피니시가 있다.
- 기타든 베이스든 세팅이 정말로 손이 많이 간다. 듀얼 트러스로드인데다가 보통의 기타가 트러스로드를 조절하려면 수 렌치를 사용하는 반면 리켄배커는 암 렌치다. 그것도 1/4" 규격.
- 서양이나 일본 등지에서는 세미 할로우 바디 기타와 베이스 기타의 대가로 브랜드가 나름 알려져 있지만, 대한민국에서는 비틀즈가 사용했다는 사실도 잘 모르는 사람이 태반인데다, 수입이 활발하지도, 잘 팔리지도 않기에 인지도는 낮은 편. 그나마 베이스 기타가 어느 정도 알려져 있는 편이다. 하지만 세계 어디에서도 리켄배커의 어쿠스틱 기타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 시이나 링고의 곡 마루노우치 새디스틱의 가사에도 620 모델이 등장한다.
- 과거에는 웹사이트가 꽤 조악하기 짝이 없기로 유명했는데, 2023년 3월경의 모습을 보면 알 수 있듯, 2000년대 초반을 연상케하는 레트로한(...) 디자인이 대단히 인상적이었다. 이 이후로도 업데이트 및 리뉴얼이 없다가 결국 2023년 말엽에 메인 페이지, 부티크와 포럼 등 공식 홈페이지가 모두 다운되었다.[43] 몇몇 유저들은 리켄배커가 이대로 망하는 것이 아닌가 걱정하기도 했지만, 공식 인스타그램에는 스토리가 꾸준히 올라오고 있었기에, 대다수 유저들은 웹사이트 리모델링이라 생각하였다.
2024년 2월을 기준으로 Come Soon이라는 문구가 메인에 올라오면서 웹사이트가 리뉴얼 중임을 암시하였고, 마침내 2024년 4월 중순에 리뉴얼이 완료된 새로운 디자인의 사이트가 공개되었다.
7. 둘러보기
[1] 현재 리켄배커의 주력 기타가 1960년대의 3B(비틀즈, 버즈, 비치 보이스) 의 영향으로 솔리드 바디 600 시리즈가 아닌 세미 할로우 바디 300 시리즈임을 생각하면 묘하다. 반대로 깁슨의 현재 주력 상품이 초반의 주력 상품이었던 풀/세미 할로우 바디 ES 시리즈가 아닌 솔리드 바디 레스폴과 SG임을 생각하면 더더욱.[2] 이 기타에 처음 달리기 시작하여 초반의 리켄배커의 상품에 달린 픽업은 그 생김새가 마치 말굽처럼 보인다고 하여 호스슈 픽업이라고 불리는데, 현재는 일부 베이스에서만 볼 수 있다.[3] 실제로 극초창기에는 Rickenbacher라는 브랜드명을 아주 잠깐 썼었는데, 이때는 리켄바커로 발음되었다.[4] 그러나 현재 리켄배커의 모든 기타는 일체형 넥으로 나온다.[5] 기타리스트로, 당시 리켄배커의 사장이었던 조지 보샹의 친구이다.[6] 최초로 대중화된 풀 할로우 바디 일렉트릭 기타인 깁슨의 ES-150(1936년 발매)보다 1년 앞섰다.[7] 그러나 리켄배커는 1953년의 라인업 개편 이후 풀 할로우 바디 기타를 생산한 적이 없다.[8] 사진을 보면 프라잉 팬과 모델 B는 우리가 아는 기타보다 스케일이 더 짧은 것을 알 수 있다.[9] 1954년에 Combo 바디(600과 800 모델), 1956년에 Tulip 바디(400 모델), 1957년에 Crestling Wave 바디(4000 모델)와 Capri 바디(325 모델, Crescent Moon 바디로도 알려져 있다), 1958년에 Jazz 바디(360F 모델) 형태가 새로이 디자인되었고, 1957년에 Combo 바디(650과 850 모델), 1958년에 Crestling Wave 바디(425 모델), 1961년에 Capri 바디(365 모델) 형태가 리뉴얼되었다. #1 #2 #3 #4[10] 예스의 크리스 스콰이어와 러시의 게디 리는 리켄배커의 베이스를 프로그레시브 록에 사용한 경우이며, 모터헤드의 레미 킬미스터, 메탈리카의 클리프 버튼은 메탈에 사용한 경우이다.[11] 그것도 규모가 영세한 회사들은 그냥 넘어가주는 경우가 꽤 있다.[12] 이 얼마 되지 않는 제재를 가한 예시로 크레이머 사의 Pacer 기타와 Pioneer 베이스가 출시 초창기 시절, 각각 스트랫과 프리시전 베이스를 바디 쉐입은 물론이요 헤드 쉐입까지 아예 대놓고 베끼고 로고만 바꿔서 낸 적이 있는데, 펜더도 여기에는 빡쳤는지 디자인권 침해 소송 걸기 전에 당장 헤드 쉐입의 모양을 바꾸라고 으름장을 놓은 적이 있다. 그런데 이마저도 바디 쉐입에는 태클을 걸지 않은 걸 보면 이는 진작에 포기한 듯하다.[13] 깁슨은 최근에는 아예 경영난 탈출 방안으로 기타의 설계도면을 NFT로 판매하려는 충격적인 시도까지 감행했었다.[14] 이른바 치켄배커(Chickenbacker)라고 불린다.[15] 단종된 라인업으로 저가형 솔리드 바디 라인업인 200 시리즈와 저가형 풀 사이즈 솔리드 바디 라인업인 400 시리즈, 고급형 솔리드 바디 라인업인 800 시리즈와 학생용 솔리드 바디 라인업인 900 시리즈와 1000 모델이 있다. 세미 할로우는 300번대 하나만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건재한데 솔리드는 600번대 하나만 빼고 모두 멸망하였다.[16] 시리즈 번호가 100으로 시작하지 않는 이유는 100 시리즈는 초기의 하와이안 기타 넘버링에 사용되었기 때문. 스패니시 기타 라인업이 출시되기 전까지는 200 시리즈도 더블 넥 하와이안 기타를 뜻했다. 그런데 트리플 넥 하와이안 기타는 300이 아닌 500 시리즈를 사용한다. 여러모로 넘버링이 괴상한 것이 특징이라면 특징.[17] 기타 제품명 옆에 '/12'라는 문구가 들어가 있으면 12현 기타다.[18] 원래 300 시리즈의 가장 작은 넘버링은 'Rickenbacker 310' 이지만, 단종된 데다가 오히려 여러 300 시리즈가 나온 이후인 1963년에 출시되었기 때문에 따로 서술하지 않는다.[19] 비틀즈 멤버들은 대부분이 리켄배커, 에피폰, 깁슨 등 세미 할로우 및 할로우 바디로 유명한 기타 메이커의 기타를 대부분 섭렵하였다. 거기다 조지 해리슨은 스트라토캐스터와 텔레캐스터까지 연주하여 펜더까지 섭렵하였다.[20] 노엘 갤러거의 우상이자 선배인 조니 마에게 선물로 받은 기타이다. 1997년 Be Here Now 투어 때부터 자신의 히트곡들 중 하나인 'Wonderwall'을 연주할 때 330을 이용하여 연주를 하였다. 이 외에도 4집 시절 Who Feels Love나 Go Let It Out을 연주할 때도 사용했다.[21] 1997년 OK Computer 투어 다니던 시절에 이용하였다. 주로 'Lucky'와 'The Bends'를 연주할 때 이용하였다. 이 현상은 2009년까지 이어졌으며 2012년부터는 에피폰 카지노를 더 많이 사용중이다.[22] 단종된 라인업으로 저가형 라인업인 2000 시리즈와 3000 시리즈가 있다. 또한 빈티지 라인업인 'Rose Morris Series'로도 베이스 기타가 출시된 적이 있다.[23] 모든 4자리 넘버링이 베이스 기타 라인업인 것은 아니다. 5000 시리즈는 일렉트릭 만돌린, 6000 시리즈는 일렉트릭 밴조 라인업이다.[24] 너트에서 브릿지 시작부분까지의 길이[25] 간혹가다 35인치인 모델도 있지만 대부분 34인치이다.[26] S는 Standard를 의미한다[27] 두 개의 픽업에 각각 아웃풋을 연결할 수 있게 한다.[28] 물론 클리프 버튼이나 게디 리처럼 핑거로 연주하는 경우도 있다.[29] 이렇게 생긴 물건이다. 핑거 피킹 주법 시 엄지를 지지하는 목적으로 장착하는 별도의 지지대이다.[30] 듀얼 트러스로드는 싱글보다 넥 트위스트를 해결하기가 쉬운 대신, 넥 비율을 잘못 맞추면 없던 트위스트가 생긴다.[31] 아트 오브 파티스 활동때 사용.[32] 1964년식 330을 보유하고 있다. 잔나비 정규 3집 녹음 당시 많이 사용했다고 한다.[33] 해당 이름을 살짝 바꿔 제목으로 한 곡도 있다. https://youtu.be/IFFaptrnWqc?si=El1UuPHYOHO7N241[34] 호프너의 바이올린 베이스 사용자로 유명하지만 비틀즈 후기부터는 4001을 사용하는 비중이 늘었고 70년대 wings시절엔 메인으로 사용하였다. 현재는 다시 호프너를 사용 중.[35] 서울 전자 음악단, 쿠바, 시나위등등 에서 활동[36] 한경록은 여러 베이스를 쓰지만 사용하는 베이스 중에서 이 베이스도 있다. 한경록은 아예 뱅드림 관련 베이스 제조사 2대 베이스를 소유를 하고 있다. Jazz Bass - 우에하라 히마리(Aftwrglow. 기기명은 달라도 제조사는 맞는 것이 확인되었다), Rickenbacker 4003 - 키타자와 하구미(헬로 해피 월드. 아예 같은 모델을 실사용 중이고 유튜브에서 어떤 유저가 밝혔다.[37] 미드나잇 블루 색상을 가지고 있다. 애니메이션 프리크리를 보고 구매한 것이라고 한다.[38] 장기하와 얼굴들 1집을 리켄배커 베이스로 녹음했다고 한다.[39] 악기로 사용하는게 아니고 휘두르고 다니는 무기다.[40] KOF 97에서는 아예 중요한 것으로 설정되어있다.[41] 로즈 모리스 사양 Model 1996을 사용한다.[42] 제트글로 색상 Rickenbacker 381 모델을 사용한다.[43] 리켄배커라는 회사 자체가 현재 개인 소유로, 적은 직원들과 거의 가내 수공업 수준으로 소수만 생산하며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해외 포럼에서 생산 중단 혹은 폐업을 걱정하는 글들이 몇 올라오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