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타 기타 이펙터 브랜드들의 추종을 불허하는 수준의 아름다운 아트워크가 이 제조사의 트레이드 마크.[1] 근래에는 여러 리미티드 에디션 제품들을 출시하면서 기존 아트워크들을 살짝 변경한 제품들을 선보이거나[2] 아예 다른 아티스트에게 아트워크를 맡긴 제품들도 나오고 있다.
이펙터 외에도 스트랩, 이펙터들에 새겨진 아트워크를 사용한 공식 머천다이스 상품 또한 함께 판매하고 있다.
2023년NAMM Show에서 처음 공개된 시리즈. '펀더멘탈(Fundamental, 근본적인, 핵심적인)이라는 단어에서 알 수 있듯, 이펙터 페달의 근본과 기초에 충실한 제품을 표방한 라인업으로, 다른 제품과 달리 아트워크가 없지만 저렴한 가격과 슬라이더 컨트롤을 채택한 것이 특징이다. 기존에 정가 200달러 이상으로 제법 비싼 편이었던 정규 시리즈 모델들과 달리 펀더멘탈 시리즈의 대부분 모델들은 2025년 기준 129.99달러라는, 미국제 부띠크 이펙터 브랜드 치고는 대단히 합리적인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
비슷한 컨셉으로 출시된 다른 브랜드의 제품으로는 JHS Pedals에서 출시한 3 시리즈가 있다. 두 브랜드의 제품들을 비교해보면 '미국에서 핸드메이드로 제작되는 페달 브랜드의' '간소화된 외형으로 출시된' '보급형 모델'이라는 점에서 컨셉이 매우 비슷함을 알 수 있다.
다른 페달들과 보조로 사용할 수 있는 페달, 주변기기 제품군들을 모아놓은 시리즈. 종류도 튜너, 파워 서플라이, DI 박스, 리앰핑 박스, 메트로놈 등 다양하다.
구성 제품들 전부가 일관적으로 검은색 바탕 외장에 심플한 무지개색으로 포인트를 준 디자인 컨셉을 가지고 있다.
Canvas Tuner 디스플레이가 내장된 튜너 페달. 측면 USB Type-C 단자를 통해 다양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데, 페달이 꺼진 상태 스탠바이 상태에서 커스텀 이미지를 출력하는 기능도 있어 공연 중에 연주할 곡의 세트리스트를 출력시키거나, 본인이 속한, 혹은 좋아하는 밴드의 로고를 출력하거나, 힐링되는 고양이/강아지 사진을 출력하거나[11], 페달보드에 씹덕 감성을 한 스푼 넣는 등(...) 여러모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시 1예시 2예시 3예시 4
기존 아트워크들을 백금을 떠오르게 하는 밝은 은색으로 재해석하여 적용한 리미티드 에디션 시리즈이다. 미국 Guitar Center와 호주 Pedal Empire에만 독점적으로 공급되었으며, 대한민국에도 버즈비같은 업체들을 통해 리테일 물량이 극소량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가마쿠라라는 이름답게 고전 일본풍 스타일의 아트워크가 도장되어 출고된 리미티드 에디션으로, 아티스트는 Criisalys이다. 전반적인 아트워크들이 고전 일본풍 분위기를 차용했다고는 하나, 일본 애니메이션풍 그림체가 어느 정도 섞인 느낌이었기에 왈러스에서 결국 씹덕코인을 탔다며 화제가 되었다. 실제로 중고 매물 수요가 제법 높은건지 발매된지 어느정도 시간이 지난 뒤로부터 특히 미소녀 캐릭터가 도장된 줄리아 코러스, 패덤 리버브, 로어 사운드 스케이프 제너레이터 페달들이 리버브 등 중고 악기 거래 사이트에서 노골적으로 비싼 가격에 리스팅되고 있다.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top: -5px; min-width: 33%" {{{#!folding [ 개별 문서가 있는 브랜드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윗첨자D: 부품이나 제작 키트만을 판매하는 브랜드 ※ 윗첨자K: 대한민국 브랜드 ※ 취소선: 폐업한 브랜드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top: -5px; min-width: 33%" {{{#!folding [ 개별 문서가 있는 모델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Nathan Price라는 아티스트의 작품으로 미술가 겸 뮤지션으로 활동하고 있다.[2] 주로 매년 블랙 프라이데이때 이런 제품들을 선보인다.[3]
기준 V3가 최신버젼이다.[4]
기준 V2가 최신버젼이다.[5] 기존 385 회로와 더 많은 게인량을 가지는 385+ 회로가 함께 들어 있으며, 이 둘을 전환하는 A/B 스위치가 달려 있다.[6]
기준 V2가 최신버젼이다.[7]
기준 V2가 최신버젼이다.[8]
기준 V2가 최신버젼이다.[9] 서로 다른 계통의 이펙터 두 개가 하나의 인클로저에 담겨 있는 제품들[10] 앰프, 캐비넷 시뮬레이터 페달이다.[11] 반려견/반려묘를 키우는 음악인들 몇몇이 이렇게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