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lrus Audio 왈러스 오디오 | ||||
|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국가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
창립 | 2011년, 미국 오클라호마 주 노먼 | |||
창립자 | 콜트 웨스트브룩(Colt Westbrook) | |||
업종 | 음향기기 제작 | |||
본사 | 미국 오클라호마 주 오클라호마 시티 웨스트 윌셔 볼러바드 | |||
링크 |
[clearfix]
1. 개요
왈러스 오디오 (Walrus Audio)는 2011년 미국 오클라호마 주 노먼에서 창립된 기타 이펙터 제조사이다. 이름에 들어있는 왈러스(Walrus)는 로고에서도 알 수 있듯 바다코끼리를 뜻한다.2. 상세
여타 기타 이펙터 브랜드들의 추종을 불허하는 수준의 아름다운 아트워크가 이 제조사의 트레이드 마크.[1] 근래에는 여러 리미티드 에디션 제품들을 출시하면서 기존 아트워크들을 살짝 변경한 제품들을 선보이거나[2] 아예 다른 아티스트에게 아트워크를 맡긴 제품들도 나오고 있다.이펙터 외에도 스트랩, 이펙터들에 새겨진 아트워크를 사용한 공식 머천다이스 상품 또한 함께 판매하고 있다.
3. 라인업
3.1. 정규 시리즈
|
- 공간 계열(리버브, 딜레이)
- Fathom Multi-Function Reverb
- Slö Multi Texture Reverb
- ARP-87 Multi-Function Delay
- Slötavå Multi Texture Reverb
- Lore Reverse Soundscape Generator
- Fable Granular Soundscape Generator
- Slöer Stereo Ambient Reverb
- Meraki Stereo Analog Dual Delay
- 다이나믹, 필터 계열(컴프레서, 부스트, EQ)
- Deep Six Compressor[3]
- Emissary Parallel Boost
- EB-10 Preamp // EQ // Boost
- Badwater Bass Pre-amp and D.I.
- Mira Optical Compressor
- 모듈레이션, 피치 계열(코러스, 트레몰로, 페이저, 플랜저, 비브라토, 옥타버)
- 복합 페달[9]
- Kangra Filter Fuzz : 옥타브/퍼즈 페달
- Descent Reverb/Octave Machine : 리버브/옥타브 페달
- Melee: Wall of Noise : 디스토션/리버브 페달
3.2. Fundamental 시리즈
|
비슷한 컨셉으로 출시된 다른 브랜드의 제품으로는 JHS Pedals에서 출시한 3 시리즈가 있다. 두 브랜드의 제품들을 비교해보면 '미국에서 핸드메이드로 제작되는 페달 브랜드의' '간소화된 외형으로 출시된' '보급형 모델'이라는 점에서 컨셉이 매우 비슷함을 알 수 있다.
- Fundamental Series Delay
- Fundamental Series Reverb
- Fundamental Series Ambient
- Fundamental Series Drive
- Fundamental Series Distortion
- Fundamental Series Fuzz
- Fundamental Series Chorus
- Fundamental Series Phaser
- Fundamental Series Tremolo
3.3. MAKO 시리즈
레코딩 스튜디오에서 사용할 수 있는 높은 퀄리티의 다기능 페달 라인업. 스트라이몬이나 보스 500 시리즈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멀티 페달들과 비슷한 컨셉의 제품이다.- R1 High Fidelity Stereo Reverb
- D1 High Fidelity Delay
- ACS1 Amp + Cab Simulator[10]
- M1 High-Fidelity Modulation Machine
3.4. Canvas 시리즈
다른 페달들과 보조로 사용할 수 있는 페달, 주변기기 제품군들을 모아놓은 시리즈. 종류도 튜너, 파워 서플라이, DI 박스, 리앰핑 박스, 메트로놈 등 다양하다.구성 제품들 전부가 일관적으로 검은색 바탕 외장에 심플한 무지개색으로 포인트를 준 디자인 컨셉을 가지고 있다.
- Canvas Tuner
디스플레이가 내장된 튜너 페달. 측면 USB Type-C 단자를 통해 다양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데, 페달이 꺼진 상태 스탠바이 상태에서 커스텀 이미지를 출력하는 기능도 있어 공연 중에 연주할 곡의 세트리스트를 출력시키거나, 본인이 속한, 혹은 좋아하는 밴드의 로고를 출력하거나, 힐링되는 고양이/강아지 사진을 출력하거나[11], 페달보드에 씹덕 감성을 한 스푼 넣는 등(...) 여러모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시 1 예시 2 예시 3 예시 4
- Canvas Passive Re-Amp
- Canvas Passive Line Isolator/D.I.
- Canvas Stereo Dual Line Isolator/D.I.
- Canvas Power 5
- Canvas Power 8
- Canvas Power 15
- Canvas Power 22
- Canvas Rehearsal
3.5. 리미티드 에디션
왈러스 오디오는 부띠크 페달 업체들 중 유난히 리미티드 에디션 제품 발매가 잦은 회사에 속한다. 적게는 세, 네 개에서 많게는 거의 10개에 달하는 페달들을 묶은 뒤, 각각 페달들에 일정한 컨셉을 부여한 독자적인 아트워크가 도장된 채 출고되는 것이 특징이다.리미티드 에디션 페달들의 출고가는 기존 페달들과 완전히 동일하다.
3.5.1. 2019년
3.5.2. 2020년
- Luna Collection 시리즈(2020년)
영국의 악기자재 소매업체인 Andertons Music에만 독점적으로 공급된 리미티드 에디션 페달로, 달 표면에서의 SF적 전투 장면 일러스트가 도장된 리미티드 에디션 시리즈이다.
3.5.3. 2021년
- Luna Collection 시리즈 V2(2021년)
2020년도 루나 콜렉션 시리즈에 이어 두 번째로 등장한 루나 시리즈 페달이다. 전 시리즈가 노란 빛이 살짝 도는 모노크롬 색상 일러스트들을 도장하였다면 루나 시리즈 V2는 불그스름한 색상의 새로운 일러스트들을 채용하였다.
3.5.4. 2022년
- Platinum 시리즈(2022년)
기존 아트워크들을 백금을 떠오르게 하는 밝은 은색으로 재해석하여 적용한 리미티드 에디션 시리즈이다. 미국 Guitar Center와 호주 Pedal Empire에만 독점적으로 공급되었으며, 대한민국에도 버즈비같은 업체들을 통해 리테일 물량이 극소량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 Craftsman 시리즈(2022년)
왈러스 오디오가 위치한 오클라호마 주의 가죽 수공예 업체인 Simpleton Goods와의 콜라보 작업으로 탄생한 리미티드 에디션. 이펙터 유닛 전체를 레이저 세공한 가죽으로 뒤덮는다는 파격적인 컨셉의 시리즈이다.
- Kamakura 시리즈(2022년 블랙 프라이데이)
가마쿠라라는 이름답게 고전 일본풍 스타일의 아트워크가 도장되어 출고된 리미티드 에디션으로, 아티스트는 Criisalys이다. 전반적인 아트워크들이 고전 일본풍 분위기를 차용했다고는 하나, 일본 애니메이션풍 그림체가 어느 정도 섞인 느낌이었기에왈러스에서 결국 씹덕코인을 탔다며화제가 되었다. 실제로 중고 매물 수요가 제법 높은건지 발매된지 어느정도 시간이 지난 뒤로부터 특히 미소녀 캐릭터가 도장된 줄리아 코러스, 패덤 리버브, 로어 사운드 스케이프 제너레이터 페달들이 리버브 등 중고 악기 거래 사이트에서 노골적으로 비싼 가격에 리스팅되고 있다.
3.5.5. 2023년
3.5.6. 2024년
3.5.7. 2025년
4. 사용자
5. 여담
6. 둘러보기
[1] Nathan Price라는 아티스트의 작품으로 미술가 겸 뮤지션으로 활동하고 있다.[2] 주로 매년 블랙 프라이데이때 이런 제품들을 선보인다.[3]
기준 V3가 최신버젼이다.[4]
기준 V2가 최신버젼이다.[5] 기존 385 회로와 더 많은 게인량을 가지는 385+ 회로가 함께 들어 있으며, 이 둘을 전환하는 A/B 스위치가 달려 있다.[6]
기준 V2가 최신버젼이다.[7]
기준 V2가 최신버젼이다.[8]
기준 V2가 최신버젼이다.[9] 서로 다른 계통의 이펙터 두 개가 하나의 인클로저에 담겨 있는 제품들[10] 앰프, 캐비넷 시뮬레이터 페달이다.[11] 반려견/반려묘를 키우는 음악인들 몇몇이 이렇게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