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 Kiesel Custom Guitars 키셀 커스텀 기타즈 | }}}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국가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
설립 | 1946년, 캘리포니아 주 샌디에이고(카빈 기타) 2015년, 캘리포니아 주 에스콘디도(키젤 기타) | ||
설립자 | 로웰 키셀(Lowell Kiesel) | ||
대표 | 마크 키셀(Mark Kiesel) | ||
업종 | 기타 앰프 및 현악기 제작(카빈 기타) 현악기 제작(키젤 기타) | ||
본사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에스콘디도 앨더그루브 애비뉴 2015 | ||
링크 |
[clearfix]
1. 개요
미국의 일렉트릭 기타. 베이스 기타 제조사.설립 당시부터 2014년까진 카빈 기타즈(Carvin Guitars)라는 사명을 사용했으나, 2015년부터 키셀 기타즈(Kiesel Guitars)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주로 키셀과 키젤 두 가지 표기가 혼용되는 편이다.
2. 역사
1915년 2월 22일, 네브래스카 주 유스티스에서 탄생한 로웰 키셀(Lowell Kiesel, 1915 - 2009)은 젊은 나이에 하와이안 랩 스틸 기타를 본인 인생의 소명을 찾았을 정도로 음악에 진심인 청년이었다. 그는 15살 때 학교 목공 수업으로 처음 기타를 제작하였으며, 이후 농장일을 하면서도 틈틈이 기타와 픽업을 제작하는 등 음악에 가까운 삶을 살다가, 마침내 본인의 일생을 음악과 함께하겠다는 결심과 함께 내브래스카 주를 떠나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한다. 이후 노스 아메리칸 에비에이션社에서 P-51 머스탱 전투기를 만드는 공장에서 일했으며, 이 과정에서 평생의 동반자가 될 아그네스 키셀(Agnes Kiesel, 1924 - 2007)[1]을 만나 결혼한다.1946년, 로웰 키셀은 카빈/키셀 기타의 전신이 되는 L.C.키셀 컴퍼니(L.C.Kiesel Company)를 창업하고 1947년부터 스틸 기타, 만돌린을 제조해 판매하였다. 사업 초창기 그는 아내인 아그네스의 도움을 크게 받았는데, 그녀는 재봉틀을 사용하여 픽업 코일을 손수 감았으며, 제품 프로모션 사진의 모델이 되어준데다, 카탈로그 제작과 사무 업무를 돕기도 했다. 설립 1년만인 1948년에 로웰은 본사의 위치를 자신의 고향인 네브래스카 주로 옮겼으나, 미 중부의 추운 기후가 악기 제작에 별로 적합하지 않다는 판단 하에 다시 캘리포니아 주로 돌아오게 된다. 이후 키셀은 그의 두 아들 칼슨(Carson)과 가빈(Gavin)[2]의 이름을 따 회사명을 카빈(Carvin)으로 개명한다.
1950년대부터 1970년대 초까지 카빈 코퍼레이션은 펜더와 마틴의 하청 작업을 맡았으나, 이후 1970년대 후반부터 카빈이란 브랜드명으로 오리지널 기타들과 여러 스튜디오 기자재들을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판매하기 시작했다. 이때 즈음 설립자 로웰 키셀이 일선에서 물러나고, 그의 아들인 마크 키셀(Mark Kiesel)이 회사의 사장을 맡게 되었다. 그는 침체기에 빠져 폐쇄를 고민중이던 카빈의 기타/베이스 부문을 성공적으로 되살렸으며, 수요가 줄어들던 하와이안 랩스틸 기타를 단종시킨 뒤, 일렉트릭 기타와 베이스 기타 제작에 주력하도록 회사의 라인업을 리뉴얼한다.
1980년대부터 카빈은 우편 및 전화를 통해 진행되는 완전 주문형 커스텀 기타/베이스 제작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는 단순히 부품뿐만 아니라 기타 바디의 형태, 색상, 재료, 악세사리 등 모든 것을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서 추가 및 교체를 해서 판매하는 서비스로서, 다른 회사에서 주문자만의 커스텀 악기를 제작하는 데 엄청난 고비용이 드는 반면 카빈은 자신들의 제품을 쓴다는 조건하에 비교적 타 회사들보다 싼 값에 주문자가 원하는 형태의 기타를 제공했다.
2009년 12월 28일, 설립자인 로웰 키셀이 항년 94세로 사망하였다.
2010년대 중반즈음 카빈 오디오[3]가 개사 70년 만에 문을 닫았다. 그리고 대대적으로 사업이 리뉴얼되었는데, 2015년 기타/베이스 사업을 분사하여 창업자의 성인 Kiesel Guitars로 개명하였다. 2022년에 홈페이지를 리뉴얼 한 이후에는 기존에 스펙시트만 작성할 수 있도록 해놨던 걸 넘어 커스텀 악기의 실제 그래픽까지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디자인하고, 최종적으로 견적을 내볼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있다.
현재 회사는 설립자 로웰 키셀의 아들인 마크 키셀이 사장으로, 손자인 제프 키셀(Jeff Kiesel)이 부사장으로 취임한 가족기업 체제로 돌아가고 있다.
3. 상세
과거 카빈은 현재 키젤처럼 일렉트릭 기타, 베이스 기타, 어쿠스틱 기타 등을 판매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여기에 추가로 기타 관련 악세사리들, 스튜디오 기자재 등을 판매했었는데, 여타 기타 제조사들과 달리 카빈의 이름을 딴 매장에서 직접 기타를 판매하였다.[4] 소비자들이 가장 호평하였던 제품은 카빈에서 자체 제작되는 기타/베이스 키트들로, 이는 소비자들 본인들의 기타를 개조 및 조립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카빈 자체 제작 엠프와 커스텀 기타 제작 서비스 역시 많은 뮤지션들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 카빈 기타는 전체적으로 픽업이 상당히 좋은 편이며, 고우면서도 강력한 사운드를 낼뿐 아니라 쫀득한 느낌의 톤을 낼 수 있어 테크니컬한 연주를 보이는 기타리스트들이 많이 애용한다.2015년에 카빈에서 지금의 키젤로 이름이 바뀌면서 다양한 변화가 생겼다. 기존 카빈 오디오로 판매하던 기타 앰프 등 음향기기 사업들에서 대대적으로 철수하였으며, 커스텀 일렉트릭 기타, 어쿠스틱 기타, 베이스 기타 오더를 위주로 판매하는 회사로 바뀌었다.
키젤의 기타들은 일반적으로 하드 락/메탈 계통의 뮤지션들이 많이 사용하였으며, 자체 픽업 모델들이나 하드웨어들도 그쪽 장르에 최적화되어 있기에 이러한 장르를 하는 사람들만 구입하는 기타라는 인식이 있으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가 자체 어쿠스틱 기타 모델들과 몇몇 아티스트들의 시그니처인데, 카빈/키젤의 가장 유명한 엔도서 기타리스트 중 한 명인 앨런 홀즈워스는 록, 메탈과는 제법 거리가 먼 퓨전 재즈 기타리스트였으며, 키젤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한 피에조 픽업 기반 어쿠스틱 기타들은 당연히 메탈 기타 특유의 게인이 쭉 걸린 거친 소리와는 억만광년 떨어진 부드러운 소리를 내어준다.
키젤에서 가장 호평받는 부분 중 하나는 유저 친화적으로 운영되는 커스텀 오더 서비스이다. 일렉트릭 기타, 베이스 기타 업계에서는 독보적으로 진보된 커스텀 오더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데다 타 브랜드 대비 커스텀 악기를 맞추는 데 드는 비용도 대단히 적은 편이기에 전세계의 수많은 기타 애호가들이 키젤에서 자신만의 커스텀 악기를 맞추고 있다. 펜더, 깁슨같은 메이저 브랜드들의 커스텀 샵에서 자신만의 커스텀 악기를 맞춘다면 아무리 적게 잡아도 예산으로 최소 4,000달러 ~ 5,000달러(한화 약 580만 원 ~ 730만 원) 선을 생각해야 할 정도[5]이나, 키젤의 커스텀 악기들은 몇몇 모델들을 제외하면 아무런 특수 사양을 넣지 않았을 때의 시작 가격이 적게는 1,000달러대 후반에서 2,000달러대 중반 (한화 약 250만 원 ~ 380만 원) 정도로 형성되어 매우 저렴한 편이며, 여기에 특수한 무늬목이나 사양을 추가해도 5,000달러 이상까지 비용이 늘어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일반적으로 다른 커스텀 기타 업체들에서는 비용이나 작업 효율성을 위해 잘 해주지 않는 사소한 부분들까지 커스텀이 가능하다는 것도 키젤과 극소수의 커스텀 공방에서만 경험이 가능한 부분인데, 다른 커스텀 업체들에서도 제공되는 픽업 모델 선택이나 피니쉬 선택, 각종 하드웨어 선택 정도야 당연히 기본으로 제공되며, 심지어는 넥을 몇 피스로, 어떤 수종 조합으로 만들 것인지, 헤드스톡의 모양은 무엇으로 할 것인지, 특수한 지판 인레이를 넣을 것인지, 최고 등급 무늬목을 탑에 사용할 것인지, 픽업 폴피스의 색깔을 무엇으로 할 것인지 등 오더시트를 매우 세세하게 짤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사이트 내 빌더에서 제공되지 않는 몇몇 특수한 사양들은 전화나 이메일로 문의 시 해주는 경우까지 있다.
과거에는 사이트에 나와있는 사양 표를 보고 하나하나 검토해가고, 모르거나 충돌하는 옵션이 발생할 경우 이메일이나 전화 등으로 직원과 상담해가며 악기를 주문해야 하는 약간의 불편함이 있었지만, 2022년경 사이트를 크게 한 번 개편한 뒤로는 아예 유저가 선택한 사양을 실시간으로 적용시켜 그래픽으로 구현해 보여주는 웹 빌더 기능을 출시하여 더욱 편리하게 자신만의 기타를 만들어볼 수 있게 되어 편의성이 더욱 증대되었다. 덕분에 영어에 약하거나 구상력이 부족한 사람들, 악기 스펙을 보는 법을 잘 모르는 사람들도 훨씬 직관적으로 자신만의 악기를 빌드해볼 수 있게 된 것은 덤.
이러한 커스텀 친화적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인지, 브랜드 자체가 철저하게 커스텀 오더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경향을 보이며, 악기 주문 후 최소 몇 주 가량을 리드 타임으로 기다려야 한다. 물론 기성품 악기나 리드 타임만큼 기다리는 것이 싫은 소비자들을 위해 오더 후 반품되었거나, 인기있는 스펙만을 모아서 구성해놓은 인 스톡 매물들도 있어 관심 있는 이용자들을 이쪽을 위주로 공략하기도 한다.
해외에서의 평과는 달리, 국내에서는 그다지 인기가 없는 편이다. 바로 옆나라인 일본의 ESP, 아이바네즈, 쉑터, 그리고 전통의 잭슨같은 브랜드가 상대적으로 강세를 떨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더불어 국내 수입사도 최근에야 생겼기 때문에, 존재 자체가 알려지지 않은 것도 그 이유가 되고 있다. 물론 국내에도 사용자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딱 아는 사람들, 그 중에서도 하드 록이나 메탈 위주로 연주하는 사람들만 산다는 마니아적인 기타브랜드로 주로 알려져 있다.
4. 생산 모델
단종된 모델에는4.1. 일렉트릭 기타/어쿠스틱 기타
- Aries
2015년부터 생산 중인 키셀의 가장 대표적인 슈퍼스트랫 타입 일렉트릭 기타 모델. 가장 수요가 높은 대표 모델이라 그런지 다양한 스펙들이 제공되는데, 볼트 온/스루 넥 사양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6], 사진에 나온 6현 모델 외에도 최대 9개까지 스트링 갯수를 늘릴 수 있어 커스텀 시 매우 자유도가 높다.
- Aries Titanium
위 Aries 모델에 픽가드를 추가한 모델. 픽가드 추가 여부를 제외하면 기존 Aries와 크게 다른 부분은 없다.
- A2
- AC2
Osiris- O2
- DC
- Vader
- Zeus
- Z2
- Delos
- Solo
- Retro Solo
- Crescent
- Leia
- Lyra
- K-Series
- CS6
- SCB
- SH550
- Hypderdrive
- Lightspeed
- Type X
- V220
- Ultra V
- Type V
- CT6
- SH6
- Kira
4.1.1. 아티스트 시그니처 모델
- Allan Holdsworth (앨런 홀즈워스)
퓨전 재즈 기타리스트 앨런 홀즈워스의 시그니처 모델. 과거 카빈 시절부터 출시되던 유서 깊은 모델 중 하나로, 카빈 시절에는 팻보이(Fatboy)라는 모델명으로 생산되었다. 마치 스타인버거를 떠올리는 특유의 브릿지와 헤드리스 디자인이 특징인데, 함정으로 실제 홀즈워스가 주로 사용했던 팻보이 모델은 튠 오 매틱, 혹은 일반 트레몰로 브릿지 사양에 헤드도 있는 디자인이었기에 엄밀히 말하면 홀즈워스가 쓰던 실제 스펙과는 약간 다른 부분이 있다.[7] 2024년에는 과거 홀즈워스가 사용하던 것과 동일한 스펙과 네추럴 피니쉬로 마감된 팻보이 HF2 리이슈 모델이 한정판으로 판매되기도 하였다. 영상
- Jason Becker Tribute Series (제이슨 베커)
네오 클래시컬 메탈 기타리스트 제이슨 베커의 시그니처 모델 1. 파란색 피니쉬로 마감된 플레임 메이플 탑 디자인 덕에 그의 다른 시그니처 모델들에 비하면 전형적인 슈퍼스트랫의 형태를 띠고 있다. 다만 조작부가 대단히 복잡한 편인데, 깁슨 스타일 2볼륨 2톤 노브 구성에 넥/브릿지 픽업을 각각 코일 스플릿 할 수 있는 미니 토글 스위치와 위상 전환 미니 토글 스위치까지 해서 무려 노브 4개 + 미니 토글 스위치 3개 구성을 가지고 있어 매우 복잡한 편이다.
- Jason Becker "Numbers" (제이슨 베커)
네오 클래시컬 메탈 기타리스트 제이슨 베커의 시그니처 모델 3. 마찬가지로 카빈 시절 때부터 생산되었던 모델로, 당시 모델명은 JB24였다. 완전 네추럴로 마감된 애쉬 바디에 더해 지판에 프렛 번호가 알록달록한 색상의 아크릴 인레이로 새겨져 있는 독특한 외양을 가지고 있다. 위 트리뷰트 시리즈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간단하게 볼륨 노브 하나만으로 모든 음색을 컨트롤하는 심플한 조작부를 가지고 있다.
- Jason Becker "Yin Yang" (제이슨 베커)
네오 클래시컬 메탈 기타리스트 제이슨 베커의 시그니처 모델 2. 음양 무늬에서 모티브를 따온 독특한 피니쉬로 마감된 모델이다. 위 넘버스 모델에 톤 노브 하나가 더 추가된 구성이라 톤 가변성이 약간 높아진 것이 특징이다.
Neil Zaza (닐 자자)
닐 자자의 시그니처 모델. 넥이 24프렛에 바디 모양이 카브드 탑 + 더블 컷 디자인이기에 PRS의 커스텀 24 모델로 착각되는 경우도 있다. 여담으로 이 모델 발매 이전 닐 자자는 대한민국의 악기 브랜드인 콜트의 엔도서를 하며 시그니처 모델까지 제공받았었는데, 당시 콜트에서 시그니처 모델의 사양 관련하여 닐 자자와 큰 마찰이 있었고, 여기에 화가 난 닐 자자가 엔도스먼트 계약 연장을 하지 않고 키젤로 엔도스먼트를 옮겼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 Frank Gambale 1 (프랭크 갬베일)
- Frank Gambale 2 (프랭크 갬베일)
Greg Howe (그렉 하우)
Cole Rolland (콜 롤랜드)
4.2. 베이스 기타
4.2.1. 아티스트 시그니처 모델
4.3. 픽업
5. 사용자
6. 둘러보기
[1] 혼전명은 아그네스 도로시아 조르겐슨(Agnes Dorothea Jorgensen)이다.[2] 아이러니하게도 아버지보다도 훨씬 이른 1989년에 사망한다.[3] 기타 앰프, 스피커 등등 음향기재를 맡은 부문[4] 물론 이는 어디까지나 카빈 코퍼레이션의 지사가 있는 나라에만 해당되는 이야기다.[5] 이는 최소 금액이며, 여기에 특수, 하이 그레이드 무늬목이나 사양, 레릭 작업까지 추가되면 비용이 말 그대로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걸 볼 수 있다. PRS의 프라이빗 스톡 같은 라인업은 시작 가격으로 1,000만 원 이상을 각오해야 할 정도로 대단히 비싸다.[6] 볼트 온 사양 Aries는 Aries Bolt-On, 넥 스루 사양 Aries는 Aeires Neck Through라는 세부 모델로 분류된다.[7] 그나마 2014년도 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 내한 공연 당시 사용했던 기타의 스펙이 위 모델과 비슷한 편이다. 영상[8] 본래 콜트의 엔도서였으나 이쪽으로 옮겼다.[9] 아직 활동하던 1980년경에 대략 몇 종류의 시그니처 기타가 나왔으나, 가장 유명한 모델은 네추럴 색상 바디에 지판에 숫자가 각인되어있는 슈퍼스트랫이다.[10] 그의 시그니처인 Fatboy 모델이 kiesel를 통해 출시되었다.[11] 플래그십 모델인 Aries 6현/7현 기타를 사용한다. 이 기타 전에는 Ibanez의 존 페트루치 시그니처 모델을 사용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