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104172> 상징 | 국가 |
역사 | 역사 전반 · 슬라브족의 이동 · 세르비아 제국 · 세르비아 공국 · 세르비아 왕국 · 유고슬라비아 왕국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
문화 | 세르비아 요리 · 세르비아어 ·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 세르비아 정교회 · 세르비아/관광 | |
정치 | 대통령 · 국민의회 · 행정구역 | |
경제 | 경제 전반 · 세르비아 디나르 | |
외교 | 외교 전반 | |
군사 | 세르비아군 · 제3세계 | |
지리 | 보이보디나 자치주 · 코소보 및 메토히야 자치주 | |
사회 | 세르비아 마피아 | |
민족 | 슬라브 · 세르비아인(세르비아계 미국인 · 세르비아계 러시아인) · 슬로바키아계 세르비아인 |
세르비아 관련 틀 | ||||||||||||||||||||||||||||||||||||||||||||||||||||||||||||||||||||||||||||||||||||||||||||||||||||||||||||||||||||||||||||||||||||||||||||||||||||||||||||||||||||||||||||||||||||||||||||||||||||||||||||||||||||||||||||||||||||||||||||||||||||||||||||||||||||||||||||||||||||||||||||||||||||||||||||||||||||||||||||||||||||||||||||||||||||||||||||||||||||||||||||||||||||||||||||||||||||||||||||||||||||||||||||||||||||||||||||||||||||||||||||||||||||||||||||||||||||||||||||||||||||||||||||||||||||||||||||||||||||||||||||||||||||||||||||||||||||||||||||||||||||||||||||||||||||||||||||||||||||||||||||||||||||||||||||||||||||||||||||||||||||||||||||||||||||||||||||||||||||||||||||||||||||||||||||||||||||||||||||||||||||||||||||||||||||||||||||||||||||||||||||||||||||||||||||||||||||||||||||||||||||||||||||||||||||||||||||||||||||||||||||||||||||||||||||||||||||||||||||||||||||||||||||||||||||||||||||||||||||||||
|
세르비아 공화국 Република Србија / Republika Srbija Republic of Serbia | |||||
국기 | 국장 | ||||
Само слога Србина спашава Samo sloga Srbina spašava 단결이 세르비아인을 구원한다 | |||||
상징 | |||||
국가 | 정의의 하느님 (Боже правде / Bože pravde) | ||||
역사 | |||||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 1817년 유고슬라비아 왕국 수립 1918년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 수립 1943년 유고 구성국인 세르비아 인민 공화국 건국 1944년 | |||||
지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수도 | 최대도시 | 베오그라드 | |||
면적 | 77,474km²[2] | ||||
접경국 | • [[헝가리| ]][[틀:국기| ]][[틀:국기| ]] • [[루마니아| ]][[틀:국기| ]][[틀:국기| ]] • [[불가리아| ]][[틀:국기| ]][[틀:국기| ]] • [[북마케도니아| ]][[틀:국기| ]][[틀:국기| ]] • [[알바니아| ]][[틀:국기| ]][[틀:국기| ]] • [[코소보| ]][[틀:국기| ]][[틀:국기| ]][4][미승인국] • [[몬테네그로| ]][[틀:국기| ]][[틀:국기|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틀:국기| ]][[틀:국기| ]] • [[크로아티아| ]][[틀:국기| ]][[틀:국기| ]] | }}}}}}}}} | |||
인문 환경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총 인구 | 7,167,918명(2023년) | 세계 105위 | |||
민족 구성 | 세르비아인 84.4%, 헝가리인 2.6%, 집시 1.2%, 보슈냐크인 2.2% 등(2022) | ||||
인구밀도 | 89명/km² | 95위 | ||||
출산율 | 세계은행 자료 1.50명(2020년)[6] CIA 자료 1.46명(2022년)[7] | ||||
공용어 | 세르비아어 | ||||
공용 문자 | 키릴 문자, 로마자 | ||||
종교 | 국교 없음(정교분리) 정교회 81.1%, 가톨릭 3.9%, 이슬람 4.2%, 무교 1.1% 등(2022) | ||||
군대 | 세르비아군 | }}}}}}}}} | |||
정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정치 체제 | 공화제, 의원내각제, 단원제, 단일국가 | |||
민주주의 지수 | 6.33점, 결함있는 민주주의 (2023년) (167개국 중 64위) | ||||
대통령 | 알렉산다르 부치치 (Александар Вучић) | ||||
총리 | 밀로시 부체비치 (Милош Вучевић) | ||||
국민의회 의장 | 아나 브르나비치 (Ана Брнабић) | ||||
여당 | [[세르비아 진보당| 세르비아 진보당 ]] | }}}}}}}}} | |||
경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경제 체제 |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 |||
명목 GDP | 750억 달러(2023년) | ||||
GDP(PPP) | 1,730억 달러(2023년) | ||||
1인당 GDP (명목) | 11,301달러 (2023년) | ||||
1인당 GDP (PPP) | 26,074달러 (2023년) | ||||
국부 | $1,770억 / 세계 75위(2020년) | ||||
신용 등급 | S&P BB+ Fitch BB+ | ||||
통화 | 세르비아 디나르 | }}}}}}}}} | |||
단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법정 연호 | 서력기원 | |||
시간대 | UTC+01 | ||||
도량형 | SI 단위 | }}}}}}}}} | |||
외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남북수교현황 | 대한민국 1989년 12월 27일 수교[8] 북한 1948년 10월 30일 수교 1962년 10월 단교 1971년 9월 재수교[9] | |||
국제연합 가입 | 2000년 11월 1일[10] | ||||
무비자 입국 | 양국 모두 90일 적용 | ||||
주한 대사관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730 | }}}}}}}}} | |||
ccTLD | |||||
.rs | |||||
국가 코드 | |||||
688, SRB, RS | |||||
국제 전화 코드 | |||||
+381 | |||||
여행경보 | |||||
무경보 | 전 지역 |
위치 | |
[11] | |
[clearfix]
1. 개요
세르비아는 발칸반도에 있는 내륙국이다. 수도는 베오그라드(Београд / Beograd)이다.2. 상징
2.1. 국호
<colcolor=#fff> 언어별 명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세르보크로아트어 | <colcolor=#000000,#fff> Република Србија Republika Srbija |
영어 | Republic of Serbia | |
루마니아어 | Republica Serbia | |
알바니아어 | Republika e Serbisë, Serbia | |
마케도니아어 | Република Србија | |
불가리아어 | Република Сърбия | |
그리스어 | Δημοκρατία της Σερβίας, Σερβία | |
이탈리아어 | Repubblica di Serbia | |
헝가리어 | Szerb Köztársaság, Szerbia | |
독일어 | Republik Serbien | |
러시아어 | Республика Сербия | |
튀르키예어 | Sırbistan Cumhuriyeti | }}}}}}}}} |
세르비아어 발음으로는 스르비야(Србија / Srbija)이다.
'세르비아(Serbia)'라는 이름은 주 민족인 세르비아인(Срби / Srbi)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세르비아인이라는 민족명에 대한 어원은 고대 슬라브어인 *Сьрбъ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측할 뿐이다. 로마인, 슬라브인, 그리스인이 모두 비슷한 시기에 이 지역을 세르비아와 비슷한 이름으로 칭했기에 어원의 명확한 의미를 알기가 힘들다.
북한에서는 과거 세르비아 SR 당시 '쎄르비아'라고 지칭했으나 현재는 원어 표기를 살려 '쓰르비아'라고 표기하고 있다.
2.2. 국기
국장을 빼면[12] 러시아 국기를 상하반전한 것과 같은데 이렇게 된 건 빨강-파랑-하양이 슬라브인의 상징색으로 슬라브 전역에서 통용되었기 때문이고, 범슬라브주의의 영향이기도 하다. 그래서 러시아와 직접적 관련이 없어보이는 슬로베니아나 슬로바키아도 슬라브족이기 때문에 빨강-파랑-하양 배열 국기를 쓰고 있다. 국기는 또한 또한 네마니치 왕조의 스테판 블라디슬라브(Стефан Владислав Немањић, 1234 – 1243년 재위)가 빨강-파랑 배열의 깃발을 쓴 데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기도 하다.현대의 빨강 - 파랑 - 하양 색깔 배열은 근대에 나타난 것이다. 그 전에는 시대별로 다양한 디자인의 깃발을 썼다. 이후, 세르비아의 빨강-파랑-하양 깃발은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그리고 시대 별로 문양이나 깃발 디자인에 사용된 색깔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세르비아 공국 시절에는 단순히 빨강-파랑-하양 깃발이 사용되었고, 세르비아 왕국 때에는 세르비아 왕실 문양에 휘장이 합쳐진 형태인 문양이 가운데에 놓였다.
시간이 흘러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 속한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시절에는 빨강-파랑-하양 깃발 한 가운데에 단순히 붉은 별만 박았다. 이는 당시 유고슬라비아 연방 깃발, 크로아티아의 깃발, 슬로베니아의 깃발과 동일한 특징이다. 전부 색깔 순서 배치만 다를 뿐, 파랑-하양-빨강 가로 줄무늬를 긋고 가운데에다 붉은 별을 둔 다음, 그 색깔 배치 순서에만 차이를 둔 형태다. 이 때에는 몬테네그로도 세르비아와 같은 깃발을 썼다.
그러다 유고 연방이 무너지고, 몬테네그로 공화국과 함께 단 둘만 남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에서 세르비아 공화국은 2004년까지 공국 시절처럼 단순히 빨강-파랑-하양 가로 줄무늬만 들어간 깃발을 썼다. 현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의 스릅스카 공화국 깃발을 보면 된다.
그리고 2004년에 깃발에 다시 세르비아 민족 상징을 집어 넣었다. 2010년에 현재 국기가 제정되었는데, 전체적으로는 2004년 것과 큰 차이는 없으나 붉은색, 파랑색 채도를 바꾸어 예전에 비해 깃발이 좀 어두워 보인다.
국장이 공화국치고는 특이한 편인데 원래 왕관이 있는 형식의 국장들은 주로 유럽 군주국의 국장에서나 쓰이는 형식이다. 자신들이 옛날 세르비아 왕국을 계승한다는 명목으로 비슷하게 한 거겠지만. 세르비아의 이웃나라들인 불가리아, 몬테네그로, 헝가리도 공화국이면서도 왕관이 있는 국장을 사용하고 있다. 실제로 이들 나라들도 19세기에서 20세기 초반 군주국이었다.
2.3. 국가
국가 (國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eaeaea,#191919> | 가나 | God Bless Our Homeland Ghana | 하느님 우리 조국 가나를 축복하소서 | |
| 가봉 | La Concorde | 조화 | ||
| 가이아나 | Dear land of Guyana, of rivers and plains | 친애하는 강과 평원의 땅, 가이아나여 | ||
| 감비아 | For the Gambia our homeland | 우리 조국 감비아를 위하여 | ||
| 과테말라 | Himno Nacional de Guatemala | 과테말라 국가 | ||
| 그리스 | Ύμνος εις την Ελευθερίαν | 자유의 찬가 | ||
| 기니 | Liberté | 자유 | ||
| 기니비사우 | Esta É a Nossa Pátria Bem Amada | 우리의 사랑스러운 조국 | ||
| 나미비아 | Namibia, Land of the Brave | 용감한 사람들의 나라, 나미비아여 | ||
| 나이지리아 | Nigeria, We Hail Thee | 나이지리아여, 우린 그대를 찬양하노라 |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National Anthem of South Africa Nasionale lied van Suid-Afrika |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가 | ||
| 네덜란드 | Het Wilhelmus | 빌럼 공의 노래 | ||
| 네팔 | सयौँ थुङ्गा फूलका हामी | 수백 송이의 꽃 | ||
| 노르웨이 | Ja, vi elsker dette landet | 그래, 우리는 이 땅을 사랑한다 | ||
| 뉴질랜드 | God Defend New Zealand | 하느님, 뉴질랜드를 수호하소서 | ||
| 대한민국 | 애국가 | 애국가 | ||
| 덴마크 | Der er et yndigt land | 사랑스러운 땅에서 | ||
| 독일 | Deutschlandlied | 독일의 노래 | ||
| 동티모르 | Pátria | 조국 | ||
| 라오스 | ເພງຊາດລາວ | 라오스의 국가 | ||
| 라트비아 | Dievs, svētī Latviju! | 하느님, 라트비아를 축복하소서! | ||
| 러시아 |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имн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 러시아 연방 국가 | ||
| 레바논 | النشيد الوطني اللبناني | 레바논의 국가 | ||
| 레소토 | Lesōthō Fatše La Bo-Ntat'a Rōna | 레소토는 우리 아버지의 땅 | ||
| 루마니아 | Deşteaptă-te române! | 루마니아인이여, 깨어나라! | ||
| 룩셈부르크 | Ons Heemecht | 우리의 조국 | ||
| 르완다 | Rwanda nziza | 아름다운 르완다 | ||
| 리비아 | ليبيا ليبيا ليبيا | 리비아, 리비아, 리비아 | ||
| 리투아니아 | Tautiška giesmė | 국가 찬가 | ||
| 리히텐슈타인 | Oben am jungen Rhein | 저 라인 강 위쪽으로 | ||
| 마셜 제도 | Forever Marshall Islands | 마셜 제도여 영원하라 | ||
| 말레이시아 | Negaraku | 조국 | ||
| 멕시코 | Himno Nacional Mexicano | 멕시코 국가 | ||
| 모나코 | Hymne Monégasque | 모네가스크 찬가 | ||
| 모로코 | النشيد الشريف | 샤리프 찬가 | ||
| 모리타니 | نشيد وطني موريتاني | 아버지의 나라는 영예로운 선물 | ||
| 몬테네그로 | Oj, Svijetla Majska Zoro Ој, свијетла мајска зоро | 오, 5월의 밝은 새벽이여 | ||
| 몰도바 | Limba noastră | 우리의 언어 | ||
| 몰디브 | ޤައުމީ ސަލާމް | 조국의 인사 | ||
| 몰타 | L-Innu Malti | 몰타 찬가 | ||
| 몽골 | Монгол улсын төрийн дуулал | 몽골 국가 | ||
| 미국 | The Star Spangled Banner | 별이 빛나는 깃발 | ||
| 미얀마 | ကမ္ဘာမကြေ | 세상이 끝날 때까지 | ||
| 바티칸 | Hymnus Pontificius | 교황 찬가 행진곡 | ||
| 방글라데시 | “আমার সোনার বাংলা | 나의 황금빛 벵골 | ||
| 베네수엘라 | Gloria al bravo pueblo | 용감한 이들에게 영광을 | ||
| 베트남 | Tiến quân ca | 진군가 | ||
| 벨기에 | La Brabançonne De Brabançonne | 브라반트의 노래 | ||
| 벨라루스 | Дзяржаўны гімн Рэспублікі Беларусь | 우리는 벨라루스인 |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Државна химна Босне и Херцеговине Državna himna Bosne i Hercegovine | 간주곡 | ||
| 보츠와나 | Fatshe leno la rona | 이 숭고한 땅을 축복하노라 | ||
| 볼리비아 | Himno Nacional de Bolivia | 볼리비아의 국가 | ||
| 부탄 | འབྲུག་ཙན་དན་ | 전룡의 왕국 | ||
| 북마케도니아 | Денес Над Македонија | 마케도니아의 오늘을 넘어서 | ||
| 북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 | ||
| 불가리아 | Мила Родино | 친애하는 조국 | ||
| 브라질 | Hino Nacional Brasileiro | 브라질 국가 | ||
| 브루나이 | الله فليهاراكن سلطن Allah Peliharakan Sultan | 술탄에게 신의 가호가 있기를 | ||
| 사모아 | O le Fu’a o le Sa’olotoga o Samoa | 자유의 깃발 | ||
| 사우디아라비아 | عاش المليك | 군주를 찬양하라 | ||
| 세르비아 | Боже правде | 정의의 하느님 | ||
| 소말리아 | Qolobaa Calankeed | 어떠한 나라의 깃발이라도 | ||
| 솔로몬 제도 | God Save Our Solomon Islands | 하느님, 우리의 솔로몬 제도를 지켜 주시옵소서 | ||
| 수리남 | God zij met ons Suriname | 하느님께서 수리남과 함께 하신다 | ||
| 스리랑카 | ශ්රී ලංකා මාතා ஸ்ரீ லங்கா தாயே | 어머니 스리랑카 | ||
| 스웨덴 | Du Gamla, Du Fria | 유구한 그대, 자유로운 그대 | ||
| 스위스 | Rufst du, mein Vaterland | 스위스 찬가 | ||
| 스페인 | Himno Nacional Español | 국왕 행진곡 | ||
| 슬로바키아 | Nad Tatrou sa blýska | 타트라 산 위에 번개가 쳐도 | ||
| 슬로베니아 | Zdravljica | 축배 | ||
| 시리아 | حُمَاةَ الدِّيَارِ | 조국의 파수꾼 | ||
| 싱가포르 | Majulah Singapura | 전진하는 싱가포르 | ||
| 아랍에미리트 | النشيد الوطني الاماراتي | 내 조국이여 영원하라 | ||
| 아르메니아 | Մեր Հայրենիք | 우리의 조국 | ||
| 아르헨티나 | Himno Nacional Argentino | 아르헨티나 국가 | ||
| 아이슬란드 | Lofsöngur | 찬가 | ||
| 아이티 | Hymne national d'Haïti | 데살린의 노래 | ||
| 아일랜드 | Amhrán na bhFiann | 전사의 노래 | ||
| 아제르바이잔 | Azərbaycan Marşı | 아제르바이잔 행진곡 | ||
| 아프가니스탄 | دا د باتورانو کور | 이 곳은 용감한 자들의 고향이라네! | ||
| 안도라 | El Gran Carlemany | 위대한 샤를마뉴 | ||
| 알바니아 | Hymni i Flamurit | 깃발의 찬가 | ||
| 알제리 | قسما | 맹세 | ||
| 앙골라 | Angola Avante | 앙골라여 전진하라 | ||
| 에스토니아 | Mu isamaa, mu õnn ja rõõm | 나의 조국, 나의 행복과 기쁨 | ||
| 에콰도르 | ¡Salve, Oh Patria! | 만세, 오 조국이여! | ||
| 에티오피아 | ወደፊት ገስግሺ፣ውድ እናት ኢትዮጵያ | 전진해라, 나의 어머니 에티오피아 | ||
| 엘살바도르 | Himno Nacional de El Salvador | 엘살바도르 국가 | ||
| 영국 | God Save the King | 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주소서 | ||
| 예멘 | الجمهورية المتحدة | 연합 공화국 | ||
| 오스트리아 | Bundeshymn | 산의 나라, 강의 나라 | ||
| 우간다 | Oh Uganda, Land of Beauty | 오 우간다, 아름다움의 나라여 | ||
| 우루과이 | Himno Nacional de Uruguay | 동방인들이여. 조국이 아니면 죽음을. | ||
| 우즈베키스탄 | Oʻzbekiston Respublikasining Davlat Madhiyasi |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의 국가 | ||
| 우크라이나 | Державний Гімн України | 우크라이나의 국가 | ||
| 이란 | سرود ملی جمهوری اسلامی ایران | 이란 이슬람 공화국 국가 | ||
| 이라크 | موطني | 나의 조국 | ||
| 이스라엘 | הַתִּקְוָה | 희망 | ||
| 이집트 | بلادي لك حبي و فؤادي | 나의 조국, 나의 사랑과 마음은 그대를 위해 | ||
| 이탈리아 | Il Canto degli Italiani | 마멜리 찬가 | ||
| 인도 | जन गण मन | 모든 국민의 마음 | ||
| 인도네시아 | Indonesia Raya | 위대한 인도네시아 | ||
| 일본 | 君が代 | 임금의 치세 | ||
| 잠비아 | Lumbanyeni Zambia | 일어나 자랑스럽고 자유로운 잠비아를 노래하자 | ||
| 조지아 | თავისუფლება | 자유 | ||
| 중국 | 义勇军进行曲 | 의용군 진행곡 | ||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La Renaissance | 부흥 | ||
| 짐바브웨 | Kalibusiswe Ilizwe leZimbabwe | 짐바브웨의 대지에 축복을 | ||
| 체코 | Kde domov můj? | 나의 조국은 어디에? | ||
| 칠레 | Himno Nacional de Chile | 칠레 국가 | ||
| 카자흐스탄 | Менің Қазақстаным | 나의 카자흐스탄 | ||
| 카타르 | السلام الأميري | 아미르에게 평화를 | ||
| 캄보디아 | នគររាជ | 왕국 | ||
| 캐나다 | O Canada Ô Canada | 오 캐나다 | ||
| 코스타리카 | Himno Nacional de Costa Rica | 코스타리카 국가 | ||
| 코트디부아르 | L'Abidjanaise | 아비장의 노래 | ||
| 콜롬비아 | Himno Nacional de la República de Colombia | 콜롬비아 공화국 국가 | ||
| 콩고민주공화국 | Debout Congolais | 콩고인들이여 일어나라 | ||
| 쿠바 | La Bayamesa | 바야모 행진곡 | ||
| 크로아티아 | Lijepa naša domovino | 아름다운 우리 조국 | ||
| 키르기스스탄 | Кыргыз Республикасынын Мамлекеттик Гимни | 키르기즈 공화국 국가 | ||
| 키프로스 | Ύμνος εις την Ελευθερίαν | 자유의 찬가 | ||
| 타지키스탄 | Суруди Миллӣ | 국가 | ||
| 탄자니아 | Mungu ibariki Afrika | 주여, 아프리카를 축복하소서 | ||
| 태국 | เพลงชาติไทย | 태국 국가 | ||
| 토고 | Terre de nos aïeux | 우리 조상의 땅 | ||
| 투르크메니스탄 | Garaşsyz, Bitarap Türkmenistanyň döwlet gimni | 독립, 중립, 투르크메니스탄의 국가 | ||
| 투발루 | Tuvalu mo te Atua | 전능하신 신을 위한 투발루 | ||
| 튀니지 | حماة الحمى | 조국의 수호자 | ||
| 튀르키예 | İstiklâl Marşı | 독립행진곡 | ||
| 파나마 | Himno Istemño | 지협의 노래 | ||
| 파푸아뉴기니 | O Arise, All You Sons | 오, 모든 아들들아 일어나라 | ||
| 파키스탄 | قومی ترانہ | 국가 | ||
| 팔라우 | Belau rekid | 우리들의 팔라우 | ||
| 페루 | Himno Nacional del Perú | 우리는 자유로우며 언제나 그러하리라 | ||
| 포르투갈 | A Portuguesa | 포르투갈의 노래 | ||
| 폴란드 | Mazurek Dąbrowskiego | 돔브로프스키의 마주레크 | ||
| 프랑스 | La Marseillaise | 마르세유의 노래 | ||
| 피지 | Meda Dau Doka | 피지에 축복이 있기를 | ||
| 핀란드 | Maamme | 우리의 땅 | ||
| 필리핀 | Lupang Hinirang | 선택된 땅 | ||
| 헝가리 | Himnusz | 찬가 | ||
| 호주 | Advance Australia Fair | 아름다운 오스트레일리아여 전진하라 | ||
미승인국의 국가 | |||||
| 남오세티야 | Республикӕ Хуссар Ирыстоны Паддзахадон Гимн | 남오세티야 공화국-알라니야국의 국가 | ||
대만 | 中華民國國歌 | 중화민국 국가 | |||
中華民國國旗歌 | 중화민국 국기가 | ||||
| 북키프로스 | İstiklâl Marşı | 독립행진곡 | ||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 يا بني الصحراء | 오, 사하라의 아들이여! | ||
| 소말릴란드 | Samo ku waar | 오래 평화롭게 | ||
| 코소보 | Европа | 유럽 | ||
| 트란스니스트리아 | Слэвитэ сэ фий, Нистрене Slăvită să fii, Nistrene | 우리는 트란스니스트리아의 찬가를 부르네 | ||
| 팔레스타인 | فدائي | 전사 | ||
자치지역의 국가 | |||||
| 가가우지아 | Tarafım | 나의 조국 | ||
| 그린란드 | Nunarput utoqqarsuanngoravit | 우리의 오랜 땅이여 | ||
|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 Ode to Newfoundland | 뉴펀들랜드 송가 | ||
| 도네츠크 인민공화국[a] |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имн Донецкой Народной Республики |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국가 | ||
| 루간스크 인민공화국[a] |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имн Луганской Народной Республики |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국가 | ||
| 모르도비야 공화국 | Шумбрат, Мордовия! | 만세, 모르도비아여! | ||
| 바시코르토스탄 | Башҡортостан Республикаһыныӊ Дәүләт гимны |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의 국가 | ||
| 부랴티야 공화국 | Песня о родной земле | 우리가 태어난 땅에 대한 노래 | ||
| 북아일랜드 | Londonderry Air | 런던데리의 아리아 | ||
| 북오세티야 공화국 | Цӕгат Ирыстоны паддзахадон гимн | 북오세티야 공화국의 국가 | ||
| 스릅스카 공화국 | Моја Република | 나의 공화국 | ||
| 사하 공화국 |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имн Республики Саха | 사하 공화국의 국가 | ||
| 스코틀랜드 | Flower of Scotland | 스코틀랜드의 꽃 | ||
| 신트마르턴 | O Sweet Saint Martin's Land | O Sweet Saint Martin's Land | ||
| 아디게야 공화국 | Адыгэ Республикэм и Гимн | 아디게야 공화국의 국가 | ||
| 아루바 | Aruba Dushi Tera | 아루바, 아름다운 땅이여 | ||
| 알타이 공화국 | Алтай Республиканыҥ Гимны | 알타이 공화국의 국가 | ||
| 우드무르티야 공화국 | Шунды сиос ӝуато палэзез | 태양은 붉은 잿더미 속에서 타오르네 | ||
| 인구셰티야 공화국 | ГӀалгӀайчен гимн | 인구셰티야의 국가 | ||
| 웨일스 | Hen Wlad Fy Nhadau | 나의 아버지의 땅 | ||
| 체첸 공화국 | Шатлакхан Илли | 샤틀락의 노래 | ||
| 추바시야 공화국 | Чăваш Ен гимнĕ | 추바시야 공화국의 국가 | ||
|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 | Къарачай-Черкес Республиканы Гимни / Къэрэщей-Шэрджэс Республикэм и Къэрал Орэдыр |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 공화국의 국가 | ||
| 카렐리야 공화국 | Гимн Карелии / Karjalan tasavallan hymni | 카렐리야 공화국의 국가 | ||
| 카탈루냐 | Els Segadors | 수확자들 | ||
| 칼미키야 공화국 | Хальмг Таңһчин частр | 칼미키야 공화국의 국가 | ||
| 코미 공화국 | Коми Республикаса кып | 코미 공화국의 국가 | ||
| 퀴라소 | Himno di Kòrsou | 퀴라소 국가 | ||
| 타타르스탄 공화국 | Tuğan yağım | 나의 모국 | ||
투바 공화국 | Мен – тыва мен | 나는 투바인이다 | |||
| 페로 제도 | Tú alfagra land mítt | 그대, 나의 가장 아름다운 땅 | ||
| 하카시야 공화국 | Хакас гимн | 하카스 찬가 | ||
국가로서의 지위를 상실한 노래 | |||||
| 나이지리아 | Arise Oh Compatriots, Nigeria’s Call Obey | 일어나라 동포들이여 | ||
| 나치 독일 | Horst-Wessel-Lied |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 | ||
| 남아프리카 연방 | Die Stem van Suid-Afrika | 남아프리카의 외침 | ||
| 대한제국 | 大韓帝國愛國歌 | 대한제국 애국가 | ||
| 독일 제국 | Heil dir im Siegerkranz | 그대에게 승리의 왕관을 | ||
| 동독 | Auferstanden aus Ruinen | 폐허에서 부활하여 | ||
| 러시아 제국 | Гром победы, раздавайся! | 승리의 천둥이여, 울려라! | ||
Молитва русского народа | 러시아인의 기도 | ||||
Боже, Царя храни! | 하느님, 차르를 보호하소서! | ||||
| 로디지아 | Rise O Voices of Rhodesia | 로디지아의 목소리를 상승시키리 | ||
|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 الله اكبر | 신은 위대하다네 | ||
| 만주국 | 滿洲國建國歌 | 만주국 건국가 | ||
| 민주 캄푸치아 | ដប់ប្រាំពីរមេសាមហាជោគជ័យ | 영광스러운 4월 17일 | ||
| 베트남 공화국 | Tiếng Gọi Công Dân | 공민에게 고함 | ||
| 베트남 제국 | Đăng đàn cung | 등단궁 | ||
|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 | Ваяцкі Марш | 병사들의 행진 | ||
| 불가리아 왕국 | Шуми Марица | 마리차는 전진한다 | ||
| 비시 프랑스 | Maréchal, nous voilà ! | 원수여 우린 여기에 있습니다 | ||
| 사르데냐 왕국 | S'hymnu sardu nationale | 사르데냐의 노래 | ||
| 소련 | Интернационал | 인터내셔널가 | ||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имн СССР | 소비에트 연방 찬가 | ||||
| 스페인 제2공화국 | Himno de Riego | 리에고 찬가 | ||
| 슬로베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 Naprej, zastava slave | 영광의 깃발을 향해 | ||
| 아르차흐 공화국 | Ազատ ու անկախ Արցախ | 아르차흐는 자유와 독립을 원하리 | ||
|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 | ملی سرود | 국가 | ||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ملی سرود | 국가 | ||
| 에티오피아 인민 민주 공화국 | ኢትዮጵያ, ኢትዮጵያ, ኢትዮጵያ ቂዳ ሚ |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앞으로! | ||
| 오스만 제국 | 문서 참조 | 문서 참조 | ||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Kaiserhymne | 황제 찬가 | ||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Державний гімн Української Радянської Соціалістичної Республіки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 ||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 Хеј Словени | 슬라브족이여 | ||
| 이란 팔레비 왕조 | سرود شاهنشاهی ایران | 황례포 | ||
| 응우옌 왕조 | Đăng đàn cung | 등단궁 | ||
| 이라크 | أرض الفراتين | 두 강의 땅 | ||
| 아랍 연합 공화국 | والله زمان يا سلاحي | 오 나의 무기여, 오랜 시간이 지나왔구나 | ||
| 이탈리아 왕국 | Marcia Reale | 왕의 행진곡 | ||
|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 Giovinezza | 청춘 | ||
| 중화민국 북양정부 | 卿雲歌 | 경운가 | ||
청나라 | 鞏金甌 | 공금구 | |||
頌龍旗 | 송룡기 | ||||
체코슬로바키아 | Kde domov můj? Nad Tatrou sa blýska | 체코슬로바키아 국가 | |||
|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 ចម្រៀងនៃសាធារណរដ្ឋប្រជាមានិតកម្ពុជា |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애국가 | ||
| 크림 인민 공화국 | Ant etkenmen | 우리는 맹세한다 | ||
| 토스카나 대공국 | La Leopolda | 라 레오폴다 | ||
| 러시아 (1991년) | Патриотическая Песня | 애국가 | ||
| 미국 | Hail, Columbia | 컬럼비아 만세 | ||
My country, 'Tis of Thee | 나의 조국, 그분의 땅 | ||||
오스트리아 연방국 | Sei gesegnet ohne Ende | 끊임없이 축복받으세 | |||
대한민국 임시정부 | 국기가 | 국기가(대한민국) | |||
국가 외 단체의 상징가 | |||||
| 에스페란토 운동 | La Espero | 희망 | ||
| 올림픽 | Ολυμπιακός Ύμνος | 올림픽 찬가 | ||
| 유럽연합 | Anthem of Europe | 유럽 찬가 | ||
| 패럴림픽 | Paralympic Anthem | 패럴림픽 찬가 | ||
관련 틀: 국기 · 국장 · 국호 | |||||
| }}}}}}}}} |
자세한 내용은 세르비아 국가 문서 참고하십시오.
3.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0.95em" | 코소보 | 니시 | 라슈카 | 베오그라드 | 보이보디나 | |
<colbgcolor=#000000> 고대 | 일리리아인 | |||||
일리리아 켈트족 | ||||||
로마 제국 | 이아지게스 | |||||
동로마 제국 | 훈족 | |||||
슬라브 민족 유입 | 게피드 | |||||
아바르 칸국 | ||||||
남슬라브 | ||||||
세르비아 공국 블라스티미로 왕조 | 프랑크 왕국 | |||||
vs 불가리아 | 마자르 | |||||
세르비아 공국 블라스티미로 왕조 시메온 대제 | 헝가리 왕국 | |||||
동로마 | 동로마 제국 | |||||
세르비아 대공국 부카노비치 왕조 두클랴 | 보스니아 공국 | |||||
세르비아 대공국 네마니치 왕조 | 헝가리 왕국 | |||||
세르비아 제국 | ||||||
세르비아 왕국 네마니치 왕조 | 헝가리 왕국 | |||||
세르비아 제국 네마니치 왕조 | ||||||
세르비아 제국 멸망 분열과 통일 | ||||||
브란코비치 영역 | 세르비아 공국 라자레비치 왕조 1차 코소보 전투 | 헝가리 왕국 | ||||
세르비아 전제군주국 라자레비치 왕조 | 브란코비치 왕조 2차 코소보 전투 | 헝가리 왕국 | |||||
오스만 지배기 | 오스만 제국 | |||||
대 튀르크 전쟁 | 신성동맹 - 합스부르크 - 대투르크전쟁 | |||||
오스만 제국 | ||||||
오스만 제국 | 합스부르크 제국 | |||||
오스만 제국 | 합스부르크 제국 | |||||
자치권 쟁취 | 세르비아 대봉기 | |||||
오스만 제국 | 세르비아 공국 | 오스트리아 | ||||
보이보디나 | ||||||
독립 | 오스트리아 - 헝가리 제국 | |||||
세르비아 왕국 | ||||||
20세기~21세기 | 불가리아 왕국 | 오스트리아 - 헝가리 제국 | ||||
유고슬라비아 왕국 | ||||||
나치 독일 | 군정청 | 위원정부 | 구국정부 |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 코소바 공화국 | ||||||
유엔 코소보 임시행정부 |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공화국 | 코소보 | ||||||
코소보 | 세르비아 | }}}}}}}}} |
자세한 내용은 세르비아/역사 문서 참고하십시오.
4. 군사
자세한 내용은 세르비아군 문서 참고하십시오.5. 경제
자세한 내용은 세르비아/경제 문서 참고하십시오.6. 교통
세르비아는 중서부 유럽과 최남단 유럽을 잇는 길목에 위치한 유럽-러시아 - 중동을 잇는 교통의 요충지다. 수도인 베오그라드는 유럽의 70호선과 75호선 고속도로의 교차점이며, 니시는 75호선과 80호선의 교차점에 위치하고 있어 유럽으로 향하는 관문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중국은 일대일로(一帶一路) 정책을 본격화하면서 유럽 공략을 위해 세르비아를 거점지역으로 삼고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세르비아에는 2개의 국제공항인 베오그라드 니콜라-테슬라공항(Belgrade Nikola Tesla International Airport)과 니시 콘스탄티네 공항(Niš Constantine the Great Airport)이 있다. 세르비아 공항은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헝가리, 코소보, 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루마니아 등 8개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지정학적 위치 덕분에 많은 매출을 기록하고 있다. 세르비아에서 가장 큰 공항인 베오그라드 니콜라-테슬라 공항은 도심에서 18km 떨어진 수르친(Surčin)에 위치하고 있으며 37개국 73개 도시로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공항 코드는 BEG(IATA), LYBE(ICAO)이다. 니시 콘스탄티네 공항은 니시 도심에서 약 7km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고 있고, 베오그라드 니콜라-테슬라 공항 다음으로 규모가 큰 국제공항이다. 공항 코드는 INI(IATA), LYNI(ICAO)를 사용한다.
대중교통수단으로는 트램, 버스, 트롤리 버스가 있고, 지하철은 현재 공사 중으로 아직 미개통 상태이며 2021년 완공 예정이다. 1회 승차료는 75디나르(약65센트)이다. 2012년 2월 1일부터 교통요금 감소와 편의성 증대를 위해 ‘Busplus’라는 교통카드 제도를 도입했다. 베오그라드에는 택시가 많으며 기본요금은 170디나르(약 1.5유로)로 그리 싼 편은 아니고, 요금은 시간대별로 다르다.
해상교통인 경우 유고슬라비아 시절에는 해안국이었으나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연방이 해체하는 과정에서 지중해를 접한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 등 다른 유고권 국가가 1991년 분리 독립하고 2006년에는 몬테네그로가 독립하면서 다시 내륙국이 되었다.이 때문에 세르비아는 지중해를 접한 크로아티아 등 유고 연방 소속국들의 분리독립으로 내륙국이 되어버리고, 유고 내전 당시 바다를 접한 주변 연방 소속국들과 벌인 전쟁의 악영향으로 원수지간이 되어버려 두브로브니크나 스플리트 같은 크로아티아 항만들조차 빌려쓸 수 없게 되면서[13] 아예 불가리아, 루마니아 등 흑해와 접한 동유럽 이웃나라들로부터 바르나, 부르가스, 소조폴, 콘스탄사 같은 이들 국가의 항구 도시들을 빌려 쓰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문제를 해소 하는 차원에서 에게해를 잇는 다뉴브-모라바-바르다르 운하(세르비아-그리스 운하)건설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7. 정치
세르비아의 정치 정보 | ||
부패인식지수 | 36점 | 2023년, 세계 104위 |
언론자유지수 | 59.16점 | 2023년, 세계 91위 |
민주주의지수 | 6.33점 | 2023년, 세계 64위 |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이 박살나면서,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당은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의 지도 아래 세르비아 사회당으로 이름을 바꾸고 세르비아 급진당과 연립정부를 구성하여 2000년까지 집권했다. 밀로셰비치는 유고슬라비아 전쟁과 코소보 전쟁에서 연달아 패배하고, 2000년 세르비아 대통령 선거에서 3선에 도전했다가 야당 후보한테 밀리자 부정선거를 자행하다가 걸려서 결국 축출되었다. 여기서는 밀로셰비치 축출 이후의 세르비아 정치에 대해 다룬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50px><tablebordercolor=#fff> | 세르비아 국민의회 원내 구성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연립여당 | ||
[[세르비아 진보당|세르비아 진보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
[[세르비아 사회당|세르비아 사회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사회민주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
연금수령자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기타 정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
신임과 보완 | |||
세르비아 연합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
[[보이보디나 헝가리인 동맹|보이보디나 헝가리인 동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기타 정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
야당 | |||
자유정의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세르비아 인민운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
녹색좌파전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세르비아 중도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
[[민주당(세르비아)|민주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91919; font-size: .8em;"]] | 세르비아 신민주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
[[세르비아 왕정 복고운동|세르비아 왕정 복고운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우리는 국민의 목소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
우리는 국민의 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생태반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
기타 정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 |
2001년 세르비아는 헌법을 뜯어고쳤다. 세르비아는 명시적으로 의회는 단원제, 행정부는 의원내각제를 구성하고 있다. 세르비아의 의회는 국민의회(Народна скупштина / Narodna skupština)라고 한다. 세르비아 국민의회는 250석이며, 명시적으로 126석 이상을 차지해야 내각을 구성할 수 있다. 세르비아의 의회는 재적 단순 과반수로 모든 것을 의결할 수 있다. 헌법 개정안도 의회 과반수 찬성을 한 이후 국민투표를 통과시키면 된다. 개헌 과정에서 세르비아의 대통령은 아무것도 관여할 수 없다. 세르비아는 100% 비례대표제를 채택하고 있다. 정당명부 비례대표이며, 정당명부 순위는 정당 내부의 전당원투표 경선으로 정하도록 정해져 있다.
세르비아의 대통령은 의회의 투표가 아닌 국민 직선제로 선출한다. 세르비아 대통령은 세르비아 의회의 안건에 대해 1회에 한해 거부권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해도 의회의 재의결 허들이 높아지거나 하지 않는다. 그래서 세르비아 대통령의 거부권은 사실상 봉쇄당한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세르비아의 정치는 전형적인 의원내각제를 따르고 있다.
2020년 4월 27일 세르비아에서 총선을 시행할 예정이었지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2020년 6월 21일로 연기했다. 2020년 세르비아 국민의회 총선거 문서 참고.
보이보디나 자치주는 세르비아 정부와 별도의 자치정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선거 역시 따로 시행한다. 보이보디나 자치주 역시 의원내각제이며, 의원 수는 120석이다. 61석을 차지하면 과반수가 된다.
지방자치제도는 일찍부터 발달했다. 대한민국 전국동시지방선거와 달리 세르비아의 지방선거 일정은 각 지역마다 다르다.
여담으로 반서방 국가들중엔 거의 유일하게 결함이 있는 민주주의를 받았다.
7.1. 선거
- 세르비아 대통령 선거
- 2017년 세르비아 대통령 선거
- 세르비아 국민의회 총선거
- 보이보디나 자치주 총선거
- 2016년 보이보디나 자치주 총선거
7.2. 국민투표
8. 주민
8.1. 언어
세르비아어가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보이보디나에서는 세르비아어를 포함해서 소수민족의 언어인 루신어, 헝가리어, 슬로바키아어, 루마니아어 등도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게다가 현대에 추가로 밝혀진 언어도 여러가지 있어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세르비아 내에 크로아티아인, 몬테네그로인, 보슈냐크인도 소수 있지만 이들이 사용하는 크로아티아어, 몬테네그로어, 보스니아어는 현용 세르비아어와는 라틴 문자로 표기하느냐 키릴 문자로 표기하느냐 정도를 제외하고는 큰 차이가 없다.
예전에 코소보가 포함되었을 때는 알바니아어를 사용자도 많이 있었지만, 코소보가 세르비아로부터 독립한 이후에는 알바니아인이 많이 줄어들었다. 현재 코소보에서는, 일부 세르비아 마을에 한해서만 세르비아어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세르비아 남부에 있는 몇몇 알바니아 마을에선 알바니아어가 사용된다.
8.2. 종교
대부분의 세르비아인들은 세르비아 정교회 신자이다. 가톨릭 신자와 개신교 신자도 소수 존재한다. 보이보디나자치주 및 세르비아 내 크로아티아인들과 헝가리인 주민들은 주로 가톨릭 신자들이다. 또한 보이보디나의 슬로바키아인 주민들 상당수는 개신교 신자들이다.세르비아 내 보슈냐크인들과 상당수의 알바니아인들 그리고 튀르키예인들은 이슬람교를 믿고 있다. 알바니아인 일부는 토착 세르비아인들처럼 세르비아 정교회를 믿기도 하는데, 이는 알바니아 본토도 마찬가지이며 알바니아 본토인들 또한 일부는 알바니아 최대 종교인 이슬람교가 아니라 알바니아 정교회를 믿는다. 오늘날 코소보 이외에 세르비아 공화국 지역 내에도 알바니아계 소수민족이 꽤 거주하고 있다.
9. 행정구역
자세한 내용은 세르비아/행정구역 문서 참고하십시오.10. 치안
세르비아는 인구 대비 총기 수가 세계 5위다. * 다만 1위 미국에 비해서는 총기 문제가 덜한 편.치안은 나쁘지 않은 편이다. 내전의 영향으로 도시 곳곳에 많은 경찰들이 배치돼있어 오히려 여행 중 묻고 싶은게 있다면 언제든지 도움을 청할 수 있다.
이 나라의 탄약 회사인 프르비 파르티잔(Prvi Partizan)은 상당히 큰 규모의 회사인데, 현대에 널리 쓰이는 주요 탄약부터 구식 총기에 사용되는 탄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탄약을 생산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세르비아 마피아들의 범죄가 세계적으로 악명 높다. 과거 내전 당시 많은 민병대들이 마피아와 구분하기 어려웠으며, 잔혹한 만행을 많이 저질렀다. 2003년 조란 진지치 총리가 세르비아 마피아의 총격에 암살당한 사건이 벌어지고, 정부의 강력한 대규모 조직 범죄 단속에 현재는 다소 약화된 편이다. 이런 세르비아 마피아들과 정부 고위 관료들과의 부정부패 문제도 고질적이다. 2021년에도 알렉산다르 부치치 대통령과 벨리부크 클랜과의 커넥션 문제가 또 다시 수면위로 떠올라서 세르비아 정계의 스캔들로 비화되었다. 부치치 대통령은 대거 검거된 벨리부크 클랜이 궁지에 몰려서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일축하는 중이다.
2023년 5월 3일, 세르비아의 수도인 베오그라드의 브라차르 크룬스키 베나츠 시에서 블라디슬라프 리브니카르 초등학교에서 어느 남학생이 총을 소지하여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했다. 총기 난사 사건의 범인은 13살 남학생 코스타 케츠마노비츠로 학생과 교사에게 총을 난사했으며, 총기 난사로 이 중 학생 9명을 포함해 경비원 1명까지 총 10명이 숨지고, 학생 5명과 교사 1명 등 총 6명도 부상을 입었다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고.
11. 문화
남유럽의 문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그리스 | 몬테네그로 | 몰타 | 바티칸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
스페인 | 슬로베니아 | 세르비아 | 안도라 | ||||
알바니아 | 이탈리아 | 지브롤터 | 크로아티아 | ||||
코소보 i | 키프로스 | 포르투갈 | 튀르키예 ii | ||||
i : 미승인국 ii : 지리적으로는 국가의 일부 지역인 동트라키아만 남유럽에 속하나 유럽 평의회 회원국이며, 유럽연합 가입준비국으로 국가 전체를 남유럽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letter-spacing: -1px" | 칼케돈 공의회 후의 펜타르키아 Πενταρχία | ||||
로마 교황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 예루살렘 총대주교 | |
베드로 | 안드레아 | 마르코 | 베드로 | 야고보 | |
가톨릭 | 정교회 | 콥트 정교회 | 마론파 |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 |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 콥트 가톨릭 | 정교회 | 정교회 | ||
| 정교회 |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 라틴 | ||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 시리아 정교회 |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 |||
| 시리아 가톨릭 | ||||
| |||||
|
정교회의 독립 총대주교좌 | ||||
모스크바* | 세르비아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조지아 |
정교회 | ||||
|
오리엔트 지역의 총대주교좌 | |||
아르메니아 | 킬리키아 | 에티오피아 | 에리트레아 |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
아르메니아 가톨릭 |
아시리아의 총대주교좌 | 말랑카라의 카톨리코스좌 |
아시리아 | 말랑카라 |
아시리아 동방교회 |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 |
칼데아 가톨릭 | 시리아 정교회 |
동방 고대교회 |
종교적으로는 정교회가 대다수이며, 소수의 가톨릭과 이슬람, 개신교 인구도 있다. 종교의 자유는 보장되고 있다. 종교인들의 인구 비율도 서유럽 국가들보다 높으며, 로마 제국 시절부터 이어져 온 세르비아 정교회는 세르비아 민족의 정체성 역할을 한다.
세르비아 정교회는 1879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에 의해 독립을 인정받아 총대주교좌 교회로 격상되었다. 세르비아 정교회의 수장인 베오그라드 총대주교가 지닌 공식 직함은 '페치의 대주교 겸 베오그라드와 카를로브치 관구장(Архиепископ пећки, митрополит београдско-карловачки)'이다. 초대 대주교는 네마니치 왕가 출신의 성 사바 1세(Свети Сава I Немањић Српски, 1219–1233)이며, 현재 총대주교는 포르피리예(Патријарх српски Порфирије, 1961–, 재위: 2021–)이다. 정교회 내에서 베오그라드 총대주교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예루살렘, 모스크바에 이어 서열 6위이다.
세르비아의 수도인 베오그라드에는 발칸 반도에 위치한 정교회 건축물 중 그 규모가 가장 큰 성 사바 대성당(Храм Светог Саве / Hram Svetog Save)이 위치하고 있다. 발칸반도에서 제일 큰 성당, 전 세계 정교회 성당 중 규모가 가장 큰 것 중 하나로 분류되는 이 건축물은 지상에서 꼭대기까지 높이가 82미터, 동서남북의 각 방향의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한 종탑 높이가 40미터로 이루어진 거대한 건축물로 정중앙에 위치한 돔형 지붕의 경우 무게가 400톤에 달하며 그 돔형 지붕 한가운데 위치한 금박이 입혀진 십자가의 경우 높이가 12미터, 무게가 4톤에 달한다. 금박이 입혀진 십자가의 경우 성당 외부 곳곳에 총 18개가 더 위치하고 있으며 성당의 전체 면적은 7,371 평방미터이다.
실내 흡연에 관대한 편이다. 거의 한국 사람들이 커피 마시는 수준으로 식당 안에서 담배를 핀다. 실제로, 세르비아내에서 담배 재떨이가 없는 카페와 음식점을 찾기가 힘들 정도. 일부 식당이나 카페의 경우, 금연 자리가 있지만 칸막이도 없고 한쪽 구석에 금연좌석을 밀어넣은 수준. 마치 맥도날드에서 햄버거와 콜라가 한 세트메뉴인 것 처럼, 일부 카페에서는 담배 한 개비와 커피를 하나의 세트메뉴로 판매할 정도이다.
세르비아의 인접국가들인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루마니아, 헝가리와는 달리 키릴 문자가 제1 문자다. (불가리아와 북마케도니아는 세르비아와 마찬가지로 키릴 문자를 사용하므로 제외.) 때문에 사전 정보 없이 세르비아에 입국한 여행자들은 당황할 수 있다. 하지만 요즘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키릴 문자보다는 라틴 문자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11.1. 음식
동유럽 국가들이 그렇듯이 먹는 음식 값이 엄청나게 싸다. 세르비아에서 체류하고 있는 한국 네티즌의 증언에 따르면 구유고 연방에 속해있던 주변국가들과 피터지게 전쟁까지 벌였고, 유고슬라비아 내전 당시 유엔 등 국제사회와 서방권의 경제 제재를 받았던 적이 있어서 물가가 비싸거나 현재 한국 물가와 대등소이할 거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그런데 막상 이 나라에 와서 살림살이 해보니까 슈퍼마켓이나 식당에서 모두 식재료나 음식 모두 물가가 한국에 비하면 저렴했다고 한다. 특히 쇠고기와 닭고기, 돼지고기의 경우 7000원에서 5000원, 3000원 남짓이라고 증언했다. 다만 흡연에 관대한 국가답게 주방장이 담배 물고 조리하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으므로 이런 점에 민감한 사람한테는 불편할 수 있다.
주요 요리로는 아침, 점심에 먹는 페이스트리 빵의 일종인 부렉(бурек)과 다진 쇠고기, 양고기, 돼지고기를 섞어 모양을 내어서 불에 구운 햄버그 스테이크 비슷한 요리인 플예스카비차(Пљескавица), 돼지고기와 송아지고기를 치즈와 빵가루에 입혀서 기름에 달군 팬에 조리하는 육류요리 카라조르제바 슈니츨라(Карађорђева шницла), 콩과 소시지, 베이컨을 넣어서 끓여만든 수프 요리 파술(пасуљ), 고기와 채소를 넣고 걸쭉하게 끓인 스튜의 일종인 무치칼리차(Мућкалица)가 있으며, 요리들 대부분이 육류를 식재료로 많이 사용하는지 육식 위주의 요리가 많은 편이다. 옆나라 불가리아만큼은 아니어도 치즈, 우유, 요구르트, 버터 같은 유제품도 즐겨먹으며 역사, 문화적으로 터키 요리와 헝가리 요리의 영향을 받았다.
다만 바다가 없는 내륙국이다 보니까 아드리아 해를 접한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몬테네그로 같은 다른 구유고 연방 출신 국가들에 비하면 바닷물고기나 새우, 게, 조개 같은 해산물은 잘 먹지 않는 편이다. 그리고 내륙국가이다보니 해산물도 가격이 비싸거나 대도시인 수도 베오그라드나 노비 사드의 대형마트나 해산물 요리를 판매하는 식당 이외에는 보기 어렵다. 대신에 내륙 하천이나 개울에서 민물고기도 잡히는데 이 때문인지 잉어나 송어 같은 민물고기를 먹는 식문화도 존재한다.
그러나 미국이나 캐나다, 스웨덴,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같은 다른 서방세계 국가들로 이민을 갔던 세르비아인 이민자들은 다르다. 거리낌 없이 바닷물고기, 새우, 게, 조개, 굴, 바닷가재 등 해산물을 먹기도 하며, 바다를 맞댄 크로아티아, 몬테네그로 등 다른 구유고권 국가들에서 사는 세르비아인들도 세르비아의 세르비아인들과 다르게 해산물을 먹거나 요리 식재료로 쓴다.
의외로 맥주도 맛있다. 주요 맥주 브랜드로 옐렌과 라브, 자예체스코, 필스 플러스 등이 있는데 그 중에서 옐렌과 라브가 세르비아 맥주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여담으로 옐렌과 라브 모두 맥주상표가 사슴과 사자로 옐렌은 사슴, 라브는 사자. 마치 포식자인 사자와 피식자의 사슴의 먹고 먹히는 먹이사슬 대결을 보는 묘한 느낌을 준다. 옐렌, 라브 같은 라거/필스너 맥주 브랜드들 뿐만 아니라 카비네트라는 크래프트 에일 맥주 브랜드도 있다.
잘 알려지지 않아서 그렇지, 이 나라도 와인 생산국이다. 심지어 세르비아의 국민 테니스 스타인 노박 조코비치도 개인 소유의 와인 농장을 경영하여 와인을 생산, 판매할 정도. 다만 이웃 동유럽 국가들인 불가리아, 루마니아, 헝가리 와인들이 워낙 유명하여 그리 잘 알려져 있지 않을 뿐이다. 이외에도 라키야(Rakija)라는 이름의 전통주가 있다. 브랜디의 일종으로 자두 베이스에 꿀이 첨가된 라키야가 유명하다. 현지인들은 시중에서 유통되는 것보다 집에서 직접 제조한 라키야의 품질을 더 높게 친다.
11.2. 스포츠
축구가 인기 있으며 유럽을 넘어 세계적인 강팀으로 평가되고 있다. 자세한 것은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 참조. 대표적으로 드라간 자이치, 드라간 스토이코비치, 벨리보르 바소비치, 밀루틴 이브코비치, 라이코 미티치, 시니샤 미하일로비치, 데얀 스탄코비치, 마테야 케즈만, 네마냐 비디치, 네마냐 마티치, 브라니슬라브 이바노비치, 알렉산다르 콜라로프가 있다. 현역 국대 선수로는 세르게이 밀린코비치사비치, 두샨 타디치, 필립 코스티치, 두샨 블라호비치, 니콜라 밀렌코비치 등이 있다. 또한 K리그의 레전드로 손 꼽히는 라데 보그다노비치와 사샤 드라쿨리치도 이 국적이며 현재 K리그에서 좋은 활약을 펼치고 있는 페이살 뮬리치나 알렉산다르 팔로세비치도 세르비아 국적으로, 각각 연령별 대표팀과 국가대표팀 경력이 있다. 다만 유럽 상대로만 강하고 비유럽 상대로는 성적이 그다지 좋지 않다. 특히 2006 FIFA 월드컵 독일 당시에는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에게 0-6이라는 큰 점수로 대패를 당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농구는 세계적인 강호다. 과거 유고슬라비아 시절에는 유럽 최강급으로 소련과 쌍벽을 이뤘다. 유로바스켓에서 14번 우승한 소련(러시아 시절까지 합치면 15번)에 이어 8번 우승했다. 2001년 유로바스켓 대회 이후 유고연방이 무너진 뒤로 16년만인 2017년 유로바스켓 결승에 올랐다. 올림픽에서도 금메달 1개, 은메달 5개, 동메달 2개를 획득했으며 70, 74, 90, 98, 2002년 FIBA 농구 월드컵 전 명칭인 세계농구권 대회 우승을 차지하며 역대 최다 우승 기록을 차지했었다. 2002 농구 세계선수권 대회같은 경우, 드림팀인 미국을 제치고 우승했으며 2010 농구세계 선수권에서는 4위를 거뒀다. 비록 세르비아가 올림픽에서 예전처럼 강한 모습을 보이지는 못하지만 NBA에 많은 선수들이 진출해 뛰고 있다. 비교적 잘 알려진 과거의 선수들로는 블라디 디바치, 페자 스토야코비치, 다르코 밀리시치가 있고, 2024년 기준으로는 시즌 MVP 3회와 파이널 MVP 1회를 수상한, 2020년대 최고의 농구선수로 불리는 니콜라 요키치를 필두로 보그단 보그다노비치, 보반 마르야노비치, 니콜라 요비치, 바실리예 미치치, 알렉세이 포쿠셰브스키, 트리스탄 부크체비치의 세르비아인 7명이 NBA에서 뛰고 있다. 과거에 뛰던 선수들도 그렇고 장신, 거구의 빅맨이 많다. 한국 농구팬들에게도 익숙한 라둘리차도 세르비아 출신이다.
배구도 정상급이다. 유로 남자배구 선수권 대회(Men's European Volleyball Championship)도 선전하고 있다. 유고슬라비아 시절 우승도 해봤고 2011년에 세르비아로서 처음 우승했다. 다만 3위를 8번 거두면서 동메달 최다 수상국이기도 하다. 물론, 러시아나 이탈리아 등 배구강호가 가득한 유럽에서도 동메달을 많이 받았다는 것은 그만큼 실력이 있다는 뜻. 유로 여자배구 선수권에서도 강호로 2011년에 남자랑 동반우승했고 2017년 대회를 우승하며 세르비아로서 우승 2번을 기록하고 있다. 올림픽은 유고슬라비아 시절인 1996년 애틀란타 올림픽에서 남자 동메달을 받은게 첫 메달이고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러시아를 제치고 금메달을 받았다. 2016 리우 올림픽에서는 여자 대표팀이 첫 메달인 은메달을 받았고 2020 도쿄 올림픽에서는 여자 대표팀이 동메달을 받았다. 배구 월드리그에서는 2016년 처음으로 남자 우승을 거뒀다.
테니스에는 역사상 최고의 선수인 노박 조코비치가 있으며 세르비아의 국민 영웅 대접을 받고 있다.
반면 e스포츠는 완벽한 불모지이며 어느 e스포츠 대회에서나 세르비아 출신 게이머들을 찾기가 하늘에 별따기 수준이다.
12. 외교
자세한 내용은 세르비아/외교 문서 참고하십시오.12.1. 한국과의 관계
자세한 내용은 한국-세르비아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한국과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과 1989년 12월 28일 수교했다.#
13. 관광
자세한 내용은 세르비아/관광 문서 참고하십시오.14. 대중매체에서
15. 세르비아인 캐릭터
- 암살교실 - 이리나 옐라비치
- 헤드사커 - 세르비아인들
- Grand Theft Auto IV - 니코 벨릭, 로만 벨릭, 버니 크레인(본명은 플로리안 크레비치), 다르코 브레비치
- 소녀전선 - Zas M21, Zas M76(소녀전선)
- 바이트초이카 하이퍼 - 미하일 이바노비치[14]
- 블루 블러드 - 에디 젠코 레이건. 세르비아인 아버지를 두었으며 본명은 에디트이다.
[1] 하지만 세르비아는 코소보를 정식 국가가 아닌 세르비아의 자치주라고 주장하고 있다.[2] 세르비아가 세르비아 영토의 일부로 주장, 간주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독립한 상태인 코소보(10,908km²)를 포함하면 88,361km²로 남한 면적에서 전라남도만큼을 제외한 크기가 된다.[3] 실질적 독립국인 코소보를 자국 영토로 가정했을 시[4] 세르비아는 코소보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고 코소보 및 메토히야 자치주로만 간주한다.[미승인국] [6] 출처[7] 출처[8]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절 수교. 이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를 거쳐 현재의 세르비아로 승계되었다.[9] 단 북한과 세르비아 양측은 1948년 유고슬라비아와의 첫 수교를 수교일로 지정했다.[10]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승계[11] 연두색으로 칠해져있는 곳은 세르비아가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자치주 라고 주장하고 있는 코소보이다.[12] 해당 디자인도 "올바른 국기"로 인정되어 있다.[13] 사실 유고 내전 하면 세르비아만 일방적으로 학살했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당시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등도 자국 영내에 거주하던 세르비아인 집단들을 학살하거나 탄압한 전력이 있다. 현재 서방 세계가 보스니아 내전 등과 관련해서 과거 유고 연방의 소속국이던 이들 3개국의 정치 지도자들을 구분 없이 전범재판으로 처벌하는 것도 다 이유가 있는 셈이다.[14] 세르비아계 독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