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4 13:26:01

니콜라 요키치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이번 시즌 경기 및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니콜라 요키치/선수 경력/2023-24 시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e2240><tablebgcolor=#0e2240> 파일:Denver_nuggets_2019.png덴버 너기츠
2023-24 시즌 선수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c2340,#ddd
<colbgcolor=#0e2240><colcolor=#fff> 감독 마이클 말론
코치 파파이 존스 · 라이언 사운더스 · 찰스 클래스크 · 라이언 보언 · 데이비드 애들먼 · 존 베킷 · 오그넨 스토야코비치 · 엘비스 발카르셀
가드 5 켄타비우스 칼드웰포프 · 7 레지 잭슨 · 21 콜린 길레스피TW · 24 제일런 피켓 · 27 자말 머레이
가드-포워드 0 크리스천 브라운 · 8 페이튼 왓슨 · 9 저스틴 할러데이
포워드 1 마이클 포터 Jr. · 3 줄리언 스트로더 · 4 헌터 타이슨 · 11 브랙스턴 키TW · 31 블라트코 찬차르 파일:부상 아이콘.svg · 50 애런 고든
포워드-센터 22 지크 나지
센터 6 디안드레 조던 · 15 니콜라 요키치 · 30 제이 허프TW
* TW : 투웨이 계약
다른 NBA 팀 선수단 보기
}}}}}}}}}}}} ||
니콜라 요키치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니콜라 요키치의 수상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오륜기(여백X).svg
2016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2985.gif
2023

파일:NBA Finals 로고.svg
NBA 파이널 MVP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68-69 1969-70 1970-71 1971-72 1972-73
제리 웨스트 윌리스 리드 루 앨신더 윌트 체임벌린 윌리스 리드
1973-74 1974-75 1975-76 1976-77 1977-78
존 하블리첵 릭 배리 조 조 화이트 빌 월튼 웨스 언셀드
1978-79 1979-80 1980-81 1981-82 1982-83
데니스 존슨 매직 존슨 세드릭 맥스웰 매직 존슨 모제스 말론
1983-84 1984-85 1985-86 1986-87 1987-88
래리 버드 카림 압둘자바 래리 버드 매직 존슨 제임스 워디
1988-89 1989-90 1990-91 1991-92 1992-93
조 듀마스 아이제아 토마스 마이클 조던 마이클 조던 마이클 조던
1993-94 1994-95 1995-96 1996-97 1997-98
하킴 올라주원 하킴 올라주원 마이클 조던 마이클 조던 마이클 조던
1998-99 1999-00 2000-01 2001-02 2002-03
팀 던컨 샤킬 오닐 샤킬 오닐 샤킬 오닐 팀 던컨
2003-04 2004-05 2005-06 2006-07 2007-08
천시 빌럽스 팀 던컨 드웨인 웨이드 토니 파커 폴 피어스
2008-09 2009-10 2010-11 2011-12 2012-13
코비 브라이언트 코비 브라이언트 디르크 노비츠키 르브론 제임스 르브론 제임스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카와이 레너드 안드레 이궈달라 르브론 제임스 케빈 듀란트 케빈 듀란트
2018-19 2019-20 2020-21 2021-22 2022-23
카와이 레너드 르브론 제임스 야니스 아데토쿤보 스테판 커리 니콜라 요키치
2023-24 2024-25 2025-26 2026-27 2027-28
제일런 브라운 - - - -
}}}}}}}}} ||

파일:NBA 로고.svg 파일:nba 서부컨퍼런스파이널.gif 파일:nba 동부컨퍼런스파이널.gif
NBA 컨퍼런스 파이널 MVP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color=#ffffff> 서부컨퍼런스 파이널 MVP 시즌 <colcolor=#ffffff> 동부컨퍼런스 파이널 MVP
스테판 커리 2021-22 제이슨 테이텀
니콜라 요키치 2022-23 지미 버틀러
루카 돈치치 2023-24 제일런 브라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55-56 1956-57 1957-58 1958-59 1959-60
밥 페팃 밥 쿠지 빌 러셀 밥 페팃 윌트 체임벌린
1960-61 1961-62 1962-63 1963-64 1964-65
빌 러셀 빌 러셀 빌 러셀 오스카 로버트슨 빌 러셀
1965-66 1966-67 1967-68 1968-69 1969-70
윌트 체임벌린 윌트 체임벌린 윌트 체임벌린 웨스 언셀드 윌리스 리드
1970-71 1971-72 1972-73 1973-74 1974-75
루 앨신더 카림 압둘자바 데이브 코웬스 카림 압둘자바 밥 맥아두
1975-76 1976-77 1977-78 1978-79 1979-80
카림 압둘자바 카림 압둘자바 빌 월튼 모제스 말론 카림 압둘자바
1980-81 1981-82 1982-83 1983-84 1984-85
줄리어스 어빙 모제스 말론 모제스 말론 래리 버드 래리 버드
1985-86 1986-87 1987-88 1988-89 1989-90
래리 버드 매직 존슨 마이클 조던 매직 존슨 매직 존슨
1990-91 1991-92 1992-93 1993-94 1994-95
마이클 조던 마이클 조던 찰스 바클리 하킴 올라주원 데이비드 로빈슨
1995-96 1996-97 1997-98 1998-99 1999-00
마이클 조던 칼 말론 마이클 조던 칼 말론 샤킬 오닐
2000-01 2001-02 2002-03 2003-04 2004-05
앨런 아이버슨 팀 던컨 팀 던컨 케빈 가넷 스티브 내시
2005-06 2006-07 2007-08 2008-09 2009-10
스티브 내시 디르크 노비츠키 코비 브라이언트 르브론 제임스 르브론 제임스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15
데릭 로즈 르브론 제임스 르브론 제임스 케빈 듀란트 스테판 커리
2015-16 2016-17 2017-18 2018-19 2019-20
스테판 커리 러셀 웨스트브룩 제임스 하든 야니스 아데토쿤보 야니스 아데토쿤보
2020-21 2021-22 2022-23 2023-24 2024-25
니콜라 요키치 니콜라 요키치 조엘 엠비드 니콜라 요키치 -
}}}}}}}}}}}} ||

베스트팀
파일:NBA 로고.svg
1st : 2018-19 · 2020-212021-222023-24
2nd : 2019-202022-23
파일:NBA 로고.svg

NBA 외 타리그 수상내역
개인 수상
파일:ABA.png
2014-15 파일:ABA.png
2014-15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e2240> 파일:Denver_nuggets_2019.png덴버 너기츠
기록 보유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e2240><colcolor=#fff> 최다 출장 알렉스 잉글리시 (Alex English)
- 837경기 (1980~1990)
최다 득점 알렉스 잉글리시 (Alex English)
- 21645점 (1980~1990)
최다 어시스트 니콜라 요키치 (Nikola Jokić)
- 4650개 (2015~현재)
최다 리바운드 니콜라 요키치 (Nikola Jokić)
- 7227개 (2015~현재)
최다 블락 디켐베 무톰보 (Dikembe Mutombo)
- 1486개 (1991~1996)
최다 스틸 팻 리버 (Fat Lever)
- 1167개 (1984~1990)
}}}}}}}}} ||

}}} ||
니콜라 요키치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덴버 너기츠 등번호 15번
앤서니 랜돌프
(2012~2014)
니콜라 요키치
(2015~)
현역

}}} ||
}}} ||
파일:203999.png
<colbgcolor=#0e2240><colcolor=#ffffff> 덴버 너기츠 No. 15
니콜라 요키치
Nikola Jokić | Никола Јокић
출생 1995년 2월 19일 ([age(1995-02-19)]세)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 세르비아 공화국
보이보디나 자치주 서바치카구 솜보르
국적
[[세르비아|]][[틀:국기|]][[틀:국기|]]
신장 211cm (6' 11")[1]
체중 129kg (284 Ibs)
윙스팬 221cm (7' 3")
후원사 361˚
포지션 센터
드래프트 2014 NBA 드래프트 2라운드 41순위
덴버 너기츠 지명
소속 팀 메가 비주라/레크스 (2012~2015)
덴버 너기츠 (2015~)
등번호 15번 - 덴버 / 세르비아 농구 국가대표팀[2]
14번 - 세르비아 농구 국가대표팀[3]
계약 2023-24 ~ 2027-28 / $276,122,630
연봉 2023-24 / $47,607,350
종교 정교회 (세르비아 정교회)
SN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수상 내역4. NBA Career Statistics5. 플레이 스타일6. 기타

[clearfix]

1. 개요

NBA 덴버 너기츠 소속의 농구선수. 포지션은 센터. 너기츠의 프랜차이즈 스타이자, 원클럽맨이다.

별명은 The Joker(조커),[4] Big Honey(꿀덩이),[5][6] Big Tipper[7], 국내 한정 콜라곰[8] 등이 있다.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 니콜라 요키치/선수 경력
파일:NBA 로고.svg
2015-16 2016-17 2017-18
2018-19 2019-20 2020-21
2021-22 2022-23 2023-24

3. 수상 내역

수상 내역
파일:NBA-Champion.png NBA 챔피언 (2023)
파일:nbachampionfts.png NBA 파이널 MVP (2023)
파일:NBA 로고.svg NBA 정규시즌 MVP 3회 (2021-2022, 2024)
파일:NBA 로고.svg NBA 서부 컨퍼런스 파이널 MVP (2023)
파일:NBA 로고.svg 올-NBA 퍼스트 팀 4회 (2019, 2021-2022, 2024)
파일:NBA 로고.svg 올-NBA 세컨드 팀 2회 (2020, 2023[9])
파일:NBA-Allstar2021.png NBA 올스타 6회 (2019-2024)
파일:NBA 로고.svg NBA 올-루키 퍼스트 팀 (2016)
파일:오륜기(여백X).svg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은메달

4. NBA Career Statistics

[ 정규시즌/펼치기 · 접기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 시즌 || 경기수 || 시간 || 필드골 || 3점 슛 || 자유투 || 득점 || 리바운드 || 어시스트 || 스틸 || 블락 || 턴오버 || 트루슈팅 || PER ||
15-16 80 21.7 .512 .333 .811 10.0 7.0 2.4 1.0 0.6 1.3 .582 21.5
16-17 73 27.9 .578 .324 .825 16.7 9.8 4.9 0.8 0.8 2.3 .640 26.3
17-18 75 32.6 .499 .396 .850 18.5 10.7 6.1 1.2 0.8 2.8 .603 24.4
18-19 80 31.3 .511 .307 .821 20.1 10.8 7.3 1.4 0.7 3.1 .589 26.3
19-20 73 32.0 .528 .314 .817 19.9 9.7 7.0 1.2 0.6 3.1 .605 24.9
20-21 72 34.6 .566 .388 .868 26.4 10.8 8.3 1.3 0.7 3.1 .647 31.3
21-22 74 33.5 .583 .337 .810 27.1 13.8 7.9 1.5 0.9 3.8 .661 32.8
22-23 69 33.7 .632 .383 .822 24.5 11.8 9.8 0.7 1.3 3.6 .701 31.5
커리어 596 30.8 .553 .348 .829 20.2 10.5 6.6 1.2 0.7 2.9 .629 27.7

[ 플레이오프/펼치기 · 접기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 시즌 || 경기수 || 시간 || 필드골 || 3점슛 || 자유투 || 득점 || 리바운드 || 어시스트 || 스틸 || 블락 || 턴오버 || 트루슈팅 || PER ||
18-19 14 39.8 .506 .393 .846 25.1 13.0 8.4 1.1 0.9 2.6 .596 29.6
19-20 19 36.5 .519 .429 .835 24.4 9.8 5.7 1.1 0.8 3.3 .614 24.9
20-21 10 36.5 .509 .377 .835 29.8 11.6 5.7 1.1 0.8 3.3 .591 29.6
21-22 5 34.2 .575 .278 .835 31.0 13.2 5.7 1.1 0.8 3.3 .591 33.1
22-23 20 39.4 .548 .461 .799 30.0 13.5 9.5 1.1 1.0 3.5 .631 31.2
커리어 68 37.6 .528 .412 .826 27.5 12.1 7.3 1.0 0.9 3.2 .606 29.0

5. 플레이 스타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니콜라 요키치/플레이 스타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기타


* 엄연히 센터 포지션의 선수이고 득점도 상당히 올려 주는 선수임에도 덩크로 득점하는 일이 드물다. 2017-18 시즌에는 덩크를 단 8회밖에 하지 않았는데 트리플 더블은 9번이나 기록했다. 본인도 덩크를 꺼리는 자신의 플레이를 소재로 종종 유머러스한 모습을 보여 준다. 그렇다보니 해설진들도 그가 덩크슛을 성공할때마다 이번 시즌 덩크 횟수를 알려주고 그를 덩크 콘테스트에 출전시켜야 한다고 드립친다. 그래도 필요할 때는 덩크를 하기는 한다. 샌안토니오와의 경기에서 여유있게 던진 레이업이 웸반야마의 기괴한 타점의 블록을 당하자마자 곧바로 덩크를 찍어버렸다. 덩크를 찍은 다음 웸반야마와 웃음을 주고받는 다정한 투샷이 찍혔다. 저 경기에서 웸반야마 상대로 시전한 덩크의 수가 시즌 통틀어서 득점한 덩크 수와 비슷했던 것은 덤.
파일:doekic.jpg
파일:요깃지.jpg
파일:요키치모리스.gif

[1] 맨발 기준 211cm (6' 11") / 착화 신장 213cm (7' 0")[2] 2019[3] 2016[4] 이름(Jokic)과 예측불가한 플레이 스타일에 따른 별명. 이 별명을 지어준 것은 덴버 너기츠에서 선수생활 마지막 시기를 보낸 마이크 밀러였다. 같은 세르비아 국적의 노박 조코비치가 먼저 조커라는 별명을 사용 중이었지만 조코비치는 자신은 놀(Nole)이라는 별명을 더 선호한다면서 요키치가 조커를 쓰는 것을 허락해줬다. 조커라 불리는 남자 그래서 NBA 중계를 보다보면 요키치가 트럼프 카드를 들고 있는 그래픽을 자주 볼 수 있다.[5] NBA 올스타전 선발을 축하하며 윌 바튼이 트위터에서 이 별명을 쓰는 바람에 TNT 해설진들이 박장대소했고 그 이후 국내 기사에서도 자주 쓰이게 되었다.[6] 포동 포동한 체형과도 잘 어울려서 조커만큼이나 빠르게 별명으로 받아들여졌다.[7] 요키치는 골 밑에서 인앤아웃한 공을 쉽게 팁인으로 득점, 앤드원까지 만들어낸다. 그래서 해설진들이 그가 팁 인으로 득점할 때마다 부르는 별명이다.[8] 니콜라 요키치가 NBA에 진출하기 전에 콜라를 좋아했다는 사실, 이름에 콜라가 들어가고 덩치가 커서 같다는 별명. 마침 코카콜라의 마스코트가 북극곰이기도 하다.[9] MVP 2위를 달성하고도 세컨드 팀에 그쳤는데, 이는 2021, 2022년 조엘 엠비드가 요키치에 의해 겪은 일이다.[10] 어렸을 때 너무 뚱뚱한 나머지 가장 큰 사이즈의 유니폼만 입었는데, 그게 15번이었다고 한다.[11] 전자의 경우 시카고 불스의 레전드 밥 러브가 10번을 달고 뛰었는데, 러브가 은퇴한지 17년이 지나서 영구결번이 결정되자 당시 이 번호를 달고 뛰고있던 B.J. 암스트롱이 번호를 양보하고 11번으로 바꾼 적이 있다. 후자의 경우 뉴욕 닉스의 초기 레전드 딕 맥과이어의 케이스인데, 1950년대 선수였음에도 그의 번호 15번은 1992년에야 영구결번이 결정되었다. 문제는 그 중간에 얼 먼로가 이 번호를 달고 뛰어난 활약을 했던 것.[32] 이 때문에 닉스는 먼로와 맥과이어를 둘 다 15번으로 영구결번시켰고, 실제로 매디슨 스퀘어가든 천장에는 "맥과이어 15번 닉스"라고 적힌 배너 옆에 "먼로 15번 닉스"라고 적힌 배너가 나란히 걸려있다. 앞서 언급된 암스트롱과 달리 요키치는 번호를 양보하기엔 너무 거물이므로 후자일 가능성이 높다. MLB에도 후자와 비슷한 사례로 LA 에인절스의 레전드인 블라디미르 게레로와 같은 등번호를 쓰는 마이크 트라웃의 사례가 있다. 트라웃의 은퇴 시 게레로와 트라웃을 함께 영구 결번 처리할 것이라는 추측이 우세하다.[12] 실제로 감독을 통산승수로 영구결번해주거나 팬들을 '식스맨'으로 영구결번해주거나, 레전드 아나운서들의 경우 아예 숫자도 아닌 마이크로 영구결번해주는 경우도 있다.(보스턴의 조니 모스트, 레이커스의 칙 헌 등) 즉 요키치가 15번을 달았다고 해도 앤서니의 영구결번에는 아무 상관이 없다. 앤서니의 번호 관련 제약은 은퇴가 가까운 그가 덴버로 이적해서 커리어를 마무리하고자 할 경우 15번을 못 달게 되는 것 뿐이다.[13] 실제 한 예로 샌안토니오 스퍼스에서 라마커스 알드리지는 12번을 달았는데, 이 12번은 브루스 보웬의 번호로 스퍼스에서 이미 영구결번으로 지정했었다. 그러나 알드리지를 영입할때 보웬의 동의하에 스퍼스는 보웬의 영구결번을 풀어주었고 그 결과 알드리지가 그대로 12번을 달고 뛸 수 있게 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보웬의 영구결번이 영원히 사라진것도 아닌게 스퍼스 천장에 여전히 보웬의 번호는 걸려있다.[14] 나이키에서 19세의 세계 농구 유망주들을 모아 미국팀 vs 월드팀으로 진행하는 대회로 매년 열린다.[15] 특히, 코카콜라를 가장 좋아했다고 한다. 그런데 덴버 너기츠의 홈 구장 이름은 펩시다.[16] 데릭 지터가 정력이 떨어지는 약물을 할리가 없다는 밈처럼, 선수들이 벌크업이나 시즌 중 체력관리 등을 이유로 도핑을 하는 게 사실상 공공연한 비밀인 NBA에서 요키치의 살찐 모습을 올리며 청정이라고 찬양하는 밈이 존재한다.[17] 정작 이 파울 직전에 요키치와 몸싸움을 하다가 블락당한 뱀 아데바요는 전혀 요키치의 블락에 대응하지 않고 정상적인 플레이라고 생각하고 플레이를 계속했다. 괜히 제 3자인 모리스가 쓸데없이 태클을 건 것이다.[18] 프로필에도 있지만 요키치는 211cm, 129kg에 NBA에서도 가장 힘이 센 빅맨이다.[19] 팬들사이에서는 이때 싸움이 붙었다면 아마 두 형들도 가세하여 히트가 두들겨 맞았을거라고 농담을 삼기도 한다.[20] 실제로 유럽에서는 농구, 배구, 핸드볼 등의 스포츠들도 축구와 같은 방식으로 응원을 한다. 다만 축구와는 달리 실내 경기에 코트와 관중석 간의 거리가 짧아서 소음 수준이 축구보다 더 심하며 심지어는 실내 경기임에도 홍염을 피우는 경우도 있다. 너무 열성적이다 못해 심하면 폭동이 일어나는 유럽에 비하면 미국은 종목 관계 없이 응원을 얌전하게 하는 수준이다.[21] 여담으로 요키치는 역대 두 번째 2라운드 출신 MVP인데, 1964 드래프트에서 2라운드 8순위로 뽑힌 윌리스 리드가 있기 때문. 당시는 팀이 9개 밖에 없었고 1964 드래프트에서 저 중 두 팀은 1라운드 지명권 대신 지역연고 선수 지명권을 택했기 때문에 10번째로 뽑힌 리드가 2라운드 8순위가 된 것이다.(지역연고는 순위에 들어가지 않는다) 물론 당시는 리드를 제외한 모든 MVP들이 1~3위에서 뽑히던 시절이었기 때문에 리드가 언더독으로서 대단했던 것은 맞다. 리드보다 낮은 순위 MVP가 등장한 것은 1981 드래프트의 줄리어스 어빙이었는데, 어빙은 위에 언급됐다시피 사연이 있고, 그 다음인 6순위 래리 버드도 보스턴의 '미리지명꼼수'라는 사연이 있었다.[22] 고든이 덴버 합류 후 처음으로 연습장에 도착했을 때, 메인 골대에서 연습할 수 있도록 본인은 사이드에있는 골대로 이동해줬다. #[23] Stat Padder, 실제 경기력이나 경기에 미치는 영향에 비해 스탯이 부풀려진 선수. 요키치 성향을 생각하면 말도 안되는 어그로성 발언이다. 국내 커뮤니티에서는 속칭 스찌(스탯 찌질이)라고 한다.[24] 찰스 바클리는 요키치가 MVP 투표인단 숫자인 100명중 99명에게만 표를 얻었다는 사실을 알고 "제가 이름을 모르는 어떤 바보 한 사람이 MVP 투표에서 니콜라 요키치를 Top 5에도 뽑지 않았습니다. 이런 사람들은 투표하면 안 됩니다. 그 사람은 덜 떨어진 멍청이입니다." 라는 코멘트를 남겼다.[25] 정작 2022-23 시즌 덴버는 요키치가 트리플 더블을 한 경기에서 무려 29연승(2021-22시즌 후반기 4연승+2022-23시즌 25연승)을 기록하며 스탯 패딩의 정의와는 정반대의 기록을 보여주었다.[26] 뛰어난 패싱 센스와 삼점슛 능력 등은 요키치가 우위지만 운동능력이나 수비력은 당연히 던컨이 우위이다.[27] 던컨과 트래시 토킹 스타일도 비슷하다.[28] 22년 MVP 트로피를 받을 때도 말을 타고 오는 모습을 보여줬다.[29] 완전한 오픈찬스여도 덩크대신 플로터나 레이업 등을 툭하고 자주 올려놓는다[30] 특히 하이라이트 플레이 직후 다른 선수들은 표효를 하거나 세레머니를 하는 등 감정표현을 하는데 요키치는 대부분 그냥 헉헉거리며 백코트를 하거나 기껏해봐야 살짝 씩 하고 웃는다던가[31] 정작 퍼레이드 연설 때는 흔치 않게 욕설까지 섞어가며 좋았다는 감상을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