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國歌) | ||||
{{{#!wiki style="color: black; 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 대한민국 | 대한제국 | 북한 | 과테말라 |
그린란드 | 그리스 | 나이지리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남아프리카 연방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뉴질랜드 | |
덴마크 | 독일 | 독일 제국 | 나치 독일 | |
동독 | 러시아 | 러시아 (1991~2000) | 러시아 제국 | |
레바논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르완다 | |
리비아 | 카다피 정권 | 리히텐슈타인 | 마셜 제도 | |
만주국 | 말레이시아 | 멕시코 | 모로코 | |
모리타니 | 몬테네그로 | 몽골 | 미국 | |
바티칸 | 방글라데시 | 베네수엘라 | 베트남 | |
베트남 공화국 | 벨기에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부탄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브라질 | |
사모아 | 사우디아라비아 | 세르비아 | 소련 | |
소련 (Интернационал) |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 |
스페인 (제2공화국)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싱가포르 | |
아르메니아 | 아르헨티나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
아제르바이잔 | 안도라 | 알바니아 | 알제리 | |
에스토니아 | 에스페란토 | 올림픽 | 영국 (God) | |
영국 (I Vow) | 영국 (Rule) | 잉글랜드 (Jerusalem) | 잉글랜드 (Land) | |
스코틀랜드 (Flower) | 스코틀랜드 (Brave) | 예멘 (연합 공화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
오스트리아 | 우루과이 | 우크라이나 | 유고슬라비아 | |
유럽연합 | 이란 | 이라크 | 이스라엘 | |
이집트 | 이탈리아 | 이탈리아 왕국 | 인도 | |
인도네시아 | 일본 | 잠비아 | 조지아 | |
중화민국 (國歌) | 중화민국 (國旗歌) | 중화민국 (북양정부) | 중화인민공화국 | |
청 | 짐바브웨 | 로디지아 | 체코 | |
칠레 | 카자흐스탄 | 캄보디아 | 캐나다 | |
쿠바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탄자니아 | |
터키 | 오스만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
튀니지 | 파나마 | 파키스탄 | 팔라우 |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
필리핀 | 헝가리 | 호주 | ||
(가나다순 정렬) | }}}}}}}}} |
1. 개요
남아프리카 공화국, 탄자니아, 그리고 잠비아의 국가이자 나미비아 독립 직후 임시국가이자 로디지아에서 전환 후 짐바브웨의 첫 국가. 원어인 코사어로 쓰면 Nkosi Sikelel' iAfrika. 1897년 코사인 목사 에노치 손통가가 작곡했다. 1925년 아프리카 민족회의의 당가로 지정되면서 이후 반아파르트헤이트 운동의 대표곡으로 흑인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다. 본래 손통가가 코사족 출신이었기 때문에 원래 이 노래는 코사어로만 쓰여졌다가 남아공의 국가(의 일부)가 되면서 소토어와 줄루어 버전이 추가되었다. 아파르트헤이트를 행하던 국민당 정권은 이 노래를 엄청나게 싫어했고 금지곡으로 지정해 노래의 확산을 막으려 했지만 몰래 부르는 것까진 막을 수 없었다. 그런데 국민당 정권 하에선 금지곡이었던 노래가 국민당 정권이 세운 괴뢰국 반투스탄의 트란스케이와 시스케이, 두 괴뢰국의 국가로 사용되었다. 일단 흑인 국가라는 반투스탄의 정체성을 보면 국민당 정권에서 이 노래를 국가로 제정한게 이상하지는 않을 것이다.2. 가사
2.1. 원곡
아파르트헤이트의 실상을 그린 영화 'Cry Freedom'의 마지막 부분에서 나오는 장면이다.
코사어 | 한국어 |
Nkosi sikelel' iAfrika Maluphakanyisw' uphondo lwayo Yiva imithandazo yethu Nkosi Sikelela Nkosi Sikelela Nkosi sikelel' iAfrika Maluphakanyisw' uphondo lwayo Yizwa imithandazo yethu Nkosi Sikelela Thina lusapho lwayo. (후렴): Yihla moya, yihla moya Yihla moya oyingcwele Nkosi Sikelela Thina lusapho lwayo. | 주여, 아프리카를 보호하소서 그의 영혼이 높이 올라가 그의 기도를 들어주소서 주여, 저희를 지켜주소서(x2) 주여, 아프리카를 보호하소서 그의 영혼이 높이 올라가 그의 기도를 들어주소서 주여, 그대의 가족인 저희를 지켜주소서 강림하소서, 강림하소서, 성령이여 강림하소서 주여, 그대의 가족인 저희를 지켜주소서 |
2.2. 남아공
남아공 국가는 이 노래와 이전의 국가인 Die Stem van Suid-Afrika의 혼합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가 참조.2.3. 탄자니아
제목은 'Mungu ibariki Afrika'
스와힐리어 | 한국어 |
Mungu ibariki Afrika Wabariki Viongozi wake Hekima Umoja na Amani Hizi ni ngao zetu Afrika na watu wake. Ibariki Afrika, Ibariki Afrika Tubariki watoto wa Afrika. Mungu ibariki Tanzania Dumisha uhuru na Umoja Wake kwa Waume na Watoto Mungu Ibariki Tanzania na watu wake. Ibariki Tanzania, Ibariki Tanzania Tubariki watoto wa Tanzania. | 주여, 아프리카를 축복하소서 아프리카의 지도자들을 비호하소서 지혜, 통일성과 평화는 저희, 아프리카인들의 방패이오니 아프리카를 축복하소서, 아프리카를 축복하소서, 아프리카의 아이들인 저희를 축복하소서 주여, 탄자니아를 축복하소서 영원한 자유와 통일을 저희에게 주소서, 탄자니아의 여자, 남자, 아이들에게, 탄자니아와 그의 국민을 축복하소서. 탄자니아를 축복하소서, 탄자니아를 축복하소서, 탄자니아의 아이들인 저희를 축복하소서 |
2.4. 잠비아
제목은 'Stand and sing for Zambia, proud and free'
영어 | 한국어 |
Stand and sing for Zambia, proud and free, Land of work and joy in unity, Victors in the struggle for our rights, We've won freedom's fight. All one, Strong and Free. Africa is our own motherland, Fashion'd with and blessed by God's good hand, Let us all her people join as one, Brothers under the sun. All one, Strong and Free. One land and one nation is our cry, Dignity and peace 'neath Zambia's sky, Like our noble eagle in its flight, Zambia, praise to thee. All one, Strong and Free. Praise be to God, Praise be, praise be, praise be, Bless our great nation, Zambia, Zambia, Zambia. Free men we stand Under the flag of our land. Zambia, praise to thee! All one, Strong and Free. | 잠비아를 위해 노래불러라, 강인하고 자유롭게 하나된 노동과 행복의 땅 권리를 위한 싸움의 승리자들 우리는 자유의 투쟁을 승리했도다 하나로써, 강인하고 자유롭게 아프리카는 우리들의 모대륙이다 하느님의 손으로써 만들어지고 축복받은 땅 그녀의 국민이 하나로써 뭉쳐 태양 아래 형제가 되었다 하나로써, 강인하고 자유롭게 하나의 조국은 우리의 바람이다 잠비아의 하늘아래 평화와 존엄이 깃들길 꼭 우리의 독수리[1]가 비상하듯이 잠비아, 그대에게 찬사를, 하나로써, 강인하고 자유롭게 하느님께 찬미를 찬미하라, 찬미하라, 찬미하라 우리의 조국을 보호하소서 잠비아, 잠비아, 잠비아 자유인으로써 우리는 우리의 국기아래 당당히 서있도다 잠비아, 그대에게 찬사를, 하나로써, 강인하고 자유롭게 |
2.5. 짐바브웨
제목은 'Ishe Komborera Africa'. 과거에 쓰이던 국가로 현재는 짐바브웨의 대지에 축복을을 쓰고 있다.
쇼나어 | 한국어 |
Ishe komborera Africa Ngaisimudzirwe zita rayo Inzwai miteuro yedu Ishe komborera, Isu, mhuri yayo. Huya mweya Huya mweya komborera Huya mweya Huya mweya mutsvene Uti komborere Isu mhuri yayo. | 주여 아프리카를 보호하소서 그녀의 명성이 널리 퍼지게 하소서 우리의 기도를 들어주시어 주여, 저희를 축복하소서 강림하소서 성령께서는 강림하소서 강림하소서 성령꼐서는 강림하소서 그녀의 아이들인 저희를 축복하소서 |
[1] 잠비아 국기의 그 독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