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7 12:15:31

대한제국 애국가


[[대한제국|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
대한제국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29176e><colcolor=#ffd800>관련 문서대한제국 · 구한말 · 황실 · 왕조 · 각료 명단 · 광무개혁 · 대한제국군 · 대한제국 애국가 · 대한제국 원 · 대한제국 훈장 · 대한제국 황실 복원론 · 감리서 · 제국익문사 · 정보대 · 상무영 · 수학원 · 이화문 · 대한국 국제 · 양양가 · 대한제국 중립선언
관련 틀역대 황제 · 역대 황후 · 역대 황태자 · 황실 · 총리 · 황궁 · 황궁의 정전 · 군대 편제 · 오악 · 중앙정치기구 · 신문
}}}}}}}}} ||


국가 (國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aeaea,#191919>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God Bless Our Homeland Ghana 하느님 우리 조국 가나를 축복하소서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La Concorde 조화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Dear land of Guyana, of rivers and plains 친애하는 강과 평원의 땅, 가이아나여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For the Gambia our homeland 우리 조국 감비아를 위하여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Himno Nacional de Guatemala 과테말라 국가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Hail Grenada 경배하라 그레나다여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Ύμνος εις την Ελευθερίαν 자유의 찬가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Liberté 자유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Esta É a Nossa Pátria Bem Amada 우리의 사랑스러운 조국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Namibia, Land of the Brave 용감한 사람들의 나라, 나미비아여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Nauru Bwiema 우리의 고향 나우루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Nigeria, We Hail Thee 나이지리아여, 우린 그대를 찬양하노라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South Sudan Oyee! 남수단 만세!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National Anthem of South Africa
Nasionale lied van Suid-Afrika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가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Wilhelmus van Nassouwe 나사우의 빌럼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सयौँ थुङ्गा फूलका हामी 수백 송이의 꽃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Ja, vi elsker dette landet 그래, 우리는 이 땅을 사랑한다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God Defend New Zealand 하느님, 뉴질랜드를 수호하소서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L'Honneur de la Patrie 조국의 명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애국가 애국가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Der er et yndigt land 사랑스러운 땅에서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Deutschlandlied 독일의 노래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Pátria 조국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ເພງຊາດລາວ 라오 인민의 찬가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Dievs, svētī Latviju! 하느님, 라트비아를 축복하소서!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имн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러시아 연방 국가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النشيد الوطني اللبناني 레바논의 국가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Lesōthō Fatše La Bo-Ntat'a Rōna 레소토는 우리 아버지의 땅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Deşteaptă-te române! 루마니아인이여, 깨어나라!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Ons Heemecht 우리의 조국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Rwanda nziza 아름다운 르완다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ليبيا ليبيا ليبيا 리비아, 리비아, 리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Tautiška giesmė 국가 찬가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Oben am jungen Rhein 저 라인 강 위쪽으로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Forever Marshall Islands 마셜 제도여 영원하라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Negaraku 조국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Le mali 말리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Himno Nacional Mexicano 멕시코 국가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Hymne Monégasque 모네가스크 찬가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النشيد الشريف 샤리프 찬가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نشيد وطني موريتاني 아버지의 나라는 영예로운 선물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Oj, Svijetla Majska Zoro
Ој, свијетла мајска зоро
오, 5월의 밝은 새벽이여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Limba noastră 우리의 언어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ޤައުމީ ސަލާމް 조국의 인사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L-Innu Malti 몰타 찬가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Монгол улсын төрийн дуулал 몽골 국가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The Star Spangled Banner 별이 빛나는 깃발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ကမ္ဘာမကြေ 세상이 끝날 때까지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Hymnus Pontificius 교황 찬가 행진곡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আমার সোনার বাংলা 나의 황금빛 벵골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L'Aube nouvelle 새로운 날의 시작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Gloria al bravo pueblo 용감한 이들에게 영광을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Tiến quân ca 진군가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La Brabançonne
De Brabançonne
브라반트의 노래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Дзяржаўны гімн Рэспублікі Беларусь 우리는 벨라루스인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Државна химна Босне и Херцеговине
Državna himna Bosne i Hercegovine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가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Fatshe leno la rona 이 숭고한 땅을 축복하노라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Himno Nacional de Bolivia 볼리비아의 국가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Une Seule Nuit 단 하나의 빛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འབྲུག་ཙན་དན་ 전룡의 왕국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Денес Над Македонија 마케도니아의 오늘을 넘어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Мила Родино 친애하는 조국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Hino Nacional Brasileiro 브라질 국가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الله فليهاراكن سلطن
Allah Peliharakan Sultan
술탄에게 신의 가호가 있기를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O le Fu’a o le Sa’olotoga o Samoa 자유의 깃발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عاش المليك 군주를 찬양하라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Боже правде 정의의 하느님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Qolobaa Calankeed 어떠한 나라의 깃발이라도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God Save Our Solomon Islands 하느님, 우리의 솔로몬 제도를
지켜 주시옵소서
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God zij met ons Suriname 하느님께서 수리남과 함께 하신다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نحن الله جند الوطن 우리는 신과 우리 땅의 전사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ශ්‍රී ලංකා මාතා
ஸ்ரீ லங்கா தாயே
어머니 스리랑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Du Gamla, Du Fria 유구한 그대, 자유로운 그대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Rufst du, mein Vaterland 스위스 찬가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Himno Nacional Español 국왕 행진곡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Nad Tatrou sa blýska 타트라 산 위에 번개가 쳐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Zdravljica 축배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في سبيل المجد 영광을 위하여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Majulah Singapura 전진하는 싱가포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النشيد الوطني الاماراتي 내 조국이여 영원하라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Մեր Հայրենիք 우리의 조국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Himno Nacional Argentino 아르헨티나 국가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Lofsöngur 찬가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Hymne national d'Haïti 데살린의 노래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Amhrán na bhFiann 전사의 노래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Azərbaycan Marşı 아제르바이잔 행진곡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دا د باتورانو کور 이 곳은 용감한 자들의 고향이라네!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El Gran Carlemany 위대한 샤를마뉴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Hymni i Flamurit 깃발의 찬가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قسما 맹세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Angola Avante 앙골라여 전진하라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Mu isamaa, mu õnn ja rõõm 나의 조국, 나의 행복과 기쁨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Salve, Oh Patria! 만세, 오 조국이여!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ወደፊት ገስግሺ፣ውድ እናት ኢትዮጵያ 전진해라, 나의 어머니 에티오피아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Himno Nacional de El Salvador 엘살바도르 국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God Save the King 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주소서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الجمهورية المتحدة 연합 공화국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Bundeshymn 산의 나라, 강의 나라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السلام الملكي الأردني 요르단 왕실가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Oh Uganda, Land of Beauty 오 우간다, 아름다움의 나라여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Himno Nacional de Uruguay 동방인들이여. 조국이 아니면 죽음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Oʻzbekiston Respublikasining Davlat Madhiyasi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의 국가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Державний Гімн України 우크라이나의 국가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سرود ملی جمهوری اسلامی ایران 이란 이슬람 공화국 국가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موطني 나의 조국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הַתִּקְוָה 희망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بلادي لك حبي و فؤادي 나의 조국, 나의 사랑과 마음은 그대를 위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Il Canto degli Italiani 마멜리 찬가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जन गण मन 모든 국민의 마음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Indonesia Raya 위대한 인도네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君が代 임금의 치세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Lumbanyeni Zambia 일어나 자랑스럽고 자유로운 잠비아를 노래하자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თავისუფლება 자유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义勇军进行曲 의용군 진행곡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La Renaissance 부흥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Kalibusiswe Ilizwe leZimbabwe 짐바브웨의 대지에 축복을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Kde domov můj? 나의 조국은 어디에?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Himno Nacional de Chile 칠레 국가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Менің Қазақстаным 나의 카자흐스탄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السلام الأميري 아미르에게 평화를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បទនគររាជ 장엄한 왕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O Canada
Ô Canada
오 캐나다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Himno Nacional de Costa Rica 코스타리카 국가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L'Abidjanaise 아비장의 노래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Himno Nacional de la República de Colombia 콜롬비아 공화국 국가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La Congolaise 콩고의 노래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Debout Congolais 콩고인들이여 일어나라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La Bayamesa 바야모 행진곡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Lijepa naša domovino 아름다운 우리 조국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Кыргыз Республикасынын Мамлекеттик Гимни 키르기즈 공화국 국가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Ύμνος εις την Ελευθερίαν 자유의 찬가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Суруди Миллӣ 국가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Mungu ibariki Afrika 주여, 아프리카를 축복하소서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เพลงชาติไทย 태국 국가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Terre de nos aïeux 우리 조상의 땅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Garaşsyz, Bitarap Türkmenistanyň döwlet gimni 독립, 중립, 투르크메니스탄의 국가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Tuvalu mo te Atua 전능하신 신을 위한 투발루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حماة الحمى 조국의 수호자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İstiklâl Marşı 독립행진곡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Himno Istemño 지협의 노래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Himmo Nacional Paraguayo 파라과이 국가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O Arise, All You Sons 오, 모든 아들들아 일어나라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قومی ترانہ 국가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Belau rekid 우리들의 팔라우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Himno Nacional del Perú 우리는 자유로우며 언제나 그러하리라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A Portuguesa 포르투갈의 노래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Mazurek Dąbrowskiego 돔브로프스키의 마주레크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La Marseillaise 마르세유의 노래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Meda Dau Doka 피지에 축복이 있기를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Maamme 우리의 땅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Lupang Hinirang 선택된 땅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Himnusz 찬가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Advance Australia Fair 아름다운 오스트레일리아여 전진하라
미승인국의 국가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Республикӕ Хуссар Ирыстоны Паддзахадон Гимн 남오세티야 공화국-알라니야국의 국가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中華民國國歌 중화민국 국가
中華民國國旗歌 중화민국 국기가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İstiklâl Marşı 독립행진곡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يا بني الصحراء 오, 사하라의 아들이여!
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소말릴란드 Samo ku waar 오래 평화롭게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Европа 유럽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Слэвитэ сэ фий, Нистрене Slăvită să fii, Nistrene  우리는 트란스니스트리아의 찬가를 부르네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فدائي‎ 전사
자치지역의 국가
파일:가가우지아 기.svg
가가우지아 Tarafım 나의 조국
파일:그린란드 기.svg
그린란드 Nunarput utoqqarsuanngoravit 우리의 오랜 땅이여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Flag_of_Newfoundland_and_Labrador.svg.png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Ode to Newfoundland 뉴펀들랜드 송가
파일: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국기.svg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имн Донецкой Народной Республики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국가
파일:루간스크 인민공화국 국기.svg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имн Луганской Народной Республики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국가
파일:모르도비야 공화국 국기.svg
모르도비야 공화국 Шумбрат, Мордовия! 만세, 모르도비아여!
파일: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국기.svg
바시코르토스탄 Башҡортостан Республикаһыныӊ Дәүләт гимны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의 국가
파일:부랴티야 공화국 국기.svg
부랴티야 공화국 Песня о родной земле 우리가 태어난 땅에 대한 노래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 Londonderry Air 런던데리의 아리아
파일:북오세티야 국기.svg
북오세티야 공화국 Цӕгат Ирыстоны паддзахадон гимн 북오세티야 공화국의 국가
파일:스릅스카 공화국 국기.svg
스릅스카 공화국 Моја Република 나의 공화국
파일:사하 공화국 국기.svg
사하 공화국 Саха Өрөспүүбүлүкэтин өрөгөйүн ырыата 사하 공화국의 국가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Flower of Scotland 스코틀랜드의 꽃
파일:신트마르턴 기.svg
신트마르턴 O Sweet Saint Martin's Land O Sweet Saint Martin's Land
파일:아디게야 공화국 국기.svg
아디게야 공화국 Адыгэ Республикэм и Гимн 아디게야 공화국의 국가
파일:아루바 기.svg
아루바 Aruba Dushi Tera 아루바, 아름다운 땅이여
파일:알타이 공화국 국기.svg
알타이 공화국 Алтай Республиканыҥ Гимны 알타이 공화국의 국가
파일:우드무르티야 공화국 국기.svg
우드무르티야 공화국 Шунды сиос ӝуато палэзез 태양은 붉은 잿더미 속에서 타오르네
파일:인구셰티야 공화국 국기.svg
인구셰티야 공화국 ГӀалгӀайчен гимн 인구셰티야의 국가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Hen Wlad Fy Nhadau 나의 아버지의 땅
파일:체첸 공화국 국기.svg
체첸 공화국 Шатлакхан Илли 샤틀락의 노래
파일:추바시야 공화국 국기.svg
추바시야 공화국 Чăваш Ен гимнĕ 추바시야 공화국의 국가
파일: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 국기.svg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 Къарачай-Черкес Республиканы Гимни / Къэрэщей-Шэрджэс Республикэм и Къэрал Орэдыр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 공화국의 국가
파일:카렐리야 공화국 국기.svg
카렐리야 공화국 Гимн Карелии / Karjalan tasavallan hymni 카렐리야 공화국의 국가
파일:카탈루냐 기.svg
카탈루냐 Els Segadors 수확자들
파일:칼미키야 공화국 국기.svg
칼미키야 공화국 Хальмг Таңһчин частр 칼미키야 공화국의 국가
파일:코미 공화국 국기.svg
코미 공화국 Коми Республикаса кып 코미 공화국의 국가
파일:퀴라소 기.svg
퀴라소 Himno di Kòrsou 퀴라소 국가
파일:타타르스탄 공화국 국기.svg
타타르스탄 공화국 Туган ягым / Tuğan yağım 나의 모국
파일:투바 공화국 국기.svg 투바 공화국 Мен – тыва мен 나는 투바인이다
파일:페로 제도 기.svg
페로 제도 Tú alfagra land mítt 그대, 나의 가장 아름다운 땅
파일:하카시야 공화국 국기.svg
하카시야 공화국 Хакас гимн 하카스 찬가
국가로서의 지위를 상실한 노래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Arise Oh Compatriots 일어나라 동포들이여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Horst-Wessel-Lied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연방 Die Stem van Suid-Afrika 남아프리카의 외침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大韓帝國愛國歌 대한제국 애국가
大韓帝國國旗歌 국기가(대한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Heil dir im Siegerkranz 그대에게 승리의 왕관을
파일:동독 국기.svg
동독 Auferstanden aus Ruinen 폐허에서 부활하여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러시아 제국 Гром победы, раздавайся! 승리의 천둥이여, 울려라!
Молитва русского народа 러시아인의 기도
Боже, Царя храни! 하느님, 차르를 보호하소서!
파일:로디지아 국기.svg
로디지아 Rise O Voices of Rhodesia 로디지아의 목소리를 상승시키리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الله اكبر 신은 위대하다네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滿洲國建國歌 만주국 건국가
파일:민주 캄푸치아 국기.svg
민주 캄푸치아 ដប់ប្រាំពីរមេសាមហាជោគជ័យ 영광스러운 4월 17일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베트남 공화국 Tiếng Gọi Công Dân 공민에게 고함
파일:베트남 제국 국기.svg
베트남 제국 Đăng đàn cung 등단궁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 Ваяцкі Марш 병사들의 행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Шуми Марица 마리차는 전진한다
파일:브라질 제국 국기(1822-1853).svg
브라질 제국 Hino da Independência 브라질 독립 찬가(1822~1831)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Maréchal, nous voilà ! 원수여 우린 여기에 있습니다
파일:사르데냐 왕국 국기.svg
사르데냐 왕국 S'hymnu sardu nationale 사르데냐의 노래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Интернационал 인터내셔널가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имн СССР 소련 국가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
스페인 제2공화국 Himno de Riego 리에고 찬가
파일:슬로베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슬로베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Naprej, zastava slave 영광의 깃발을 향해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아랍 공화국 حماة الديار 조국의 파수꾼
파일: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52-1990).svg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Հայկական Սովետական Սոցիալիստական Հանրապետություն օրհներգ 국가
파일:아르차흐 공화국 국기.svg
아르차흐 공화국 Ազատ ու անկախ Արցախ 아르차흐는 자유와 독립을 원하리
파일: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국기(1987–1992).svg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 ملی سرود 국가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ملی سرود 국가
파일:에티오피아 인민 민주 공화국 국기.svg
에티오피아 인민 민주 공화국 ኢትዮጵያ, ኢትዮጵያ, ኢትዮጵያ ቂዳ ሚ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앞으로!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문서 참조 문서 참조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Kaiserhymne 황제 찬가
파일: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Державний гімн Української Радянської Соціалістичної Республіки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Хеј Словени 슬라브족이여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왕국 Himna Kraljevine Jugoslavije 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가
파일:카자르 왕조 국기(1852~1906).svg
이란 카자르 왕조 Salâm-e Šâh (سلام شاه) 샤의 행복 (1873-1909)
파일:카자르 왕조 국기(1907-1933).svg
이란 카자르 왕조 Iranian National Anthem 이란 국가 (1909-1933)
파일:이란 국기(1964-1980).svg
이란 팔레비 왕조 سرود شاهنشاهی ایران 황례포
파일:external/www.worldstatesmen.org/vn_tonki.gif
응우옌 왕조 Đăng đàn cung 등단궁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이라크 أرض الفراتين 두 강의 땅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아랍 연합 공화국 والله زمان يا سلاحي 오 나의 무기여, 오랜 시간이 지나왔구나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Marcia Reale 왕의 행진곡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Giovinezza 청춘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중화민국 북양정부 卿雲歌 경운가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鞏金甌 공금구
頌龍旗 송룡기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Kde domov můj?
Nad Tatrou sa blýska
체코슬로바키아 국가
파일:캄푸치아 인민공화국 국기.svg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ចម្រៀងនៃសាធារណរដ្ឋប្រជាមានិតកម្ពុជា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애국가
파일:콩고 인민공화국 국기.svg
콩고 인민공화국 Les Trois Glorieuses 영광의 3일
파일:크림 인민 공화국 국기.svg
크림 인민 공화국 Ant etkenmen 우리는 맹세한다
파일:크메르 공화국 국기.svg
크메르 공화국 បទចំរៀងនៃសាធារណរដ្ឋខ្មែរ 크메르 공화국의 국가
파일:토스카나 대공국 국기(합스부르크).svg
토스카나 대공국 La Leopolda 라 레오폴다
파일:투바 인민 공화국 국기(1943-1944).svg
투바 인민공화국 Тооруктуг долгай таңдым 타이가는 나무로 가득차 있다
파일:프랑스 왕국 국기.svg
프랑스 왕국 Vive Henri IV 앙리 4세 만세!
파일:러시아 국기(1991-1993).svg
러시아 (1991년) Патриотическая Песня 애국가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Hail, Columbia 컬럼비아 만세
My country, 'Tis of Thee 나의 조국, 그분의 땅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연방국 Sei gesegnet ohne Ende 끊임없이 축복받으세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가 국기가
국가 외 단체의 상징가
파일:에스페란토 기.svg
에스페란토 운동 La Espero 희망
파일:오륜기.svg
올림픽 Ολυμπιακός Ύμνος 올림픽 찬가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연합 Anthem of Europe 유럽 찬가
파일:패럴림픽기.svg
패럴림픽 Paralympic Anthem 패럴림픽 찬가
관련 틀: 국기 · 국장 · 국호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315288><tablebg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 서울 남대문로 한국전력공사 사옥
  1. 서울 구 경기고등학교
  2. 서울 이화여자고등학교 심슨기념관
  3. 대구 효목동 조양회관
  4. 구 대구사범학교 본관과 강당
  5. 청주 내덕동 청주대성고등학교 구 본관
  6. 천주교 청주교구 옥천성당
  7. 대한성공회 진천성당
  8. 청주 문화동 일·양 절충식 가옥
  9. 강경 구 연수당 건재 약방
  10. 서울 구 국회의사당
  11. 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12. 서울공업고등학교 본관
  1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파이퍼 홀
  14. 대구 동산병원 구관
  15. 광주 전라남도청 구 본관
  16. 광주 서석초등학교 본관·별관·체육관
  17. 대전 충청남도청 구 본관
  18. 구 산업은행 대전지점
  19. 구 조흥은행 대전지점
  20. 태백 철암역두 선탄시설
  21. 철원 노동당사
  22. 구 철원 제일교회
  23. 철원 얼음창고
  24. 철원 농산물검사소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1 삼랑진역 급수탑
  1. 서울시청 본관
  2. 건국대학교 구 서북학회 회관
  3. 춘천 죽림동 주교좌성당
  4. 충청북도청 본관
  5. 대한통운 제천영업소
  6. 옥천 죽향초등학교 구 교사
  7. 진천 덕산양조장
  8. 영동 노근리 쌍굴다리
  9. 강경중앙초등학교 강당
  10. 김제 죽산리 구 일본인 농장 사무소
  11. 목포 정명여자중학교 구 선교사 사택
  12. 함평 구 학교역 급수탑
  13. 군산 동국사 대웅전
  14. 제천 엽연초생산조합 구 사옥
  15. 구 소록도갱생원 검시실
  16. 구 소록도갱생원 감금실
  17. 구 소록도갱생원 사무본관 및 강당
  18. 구 소록도갱생원 만령당
  19. 구 소록도갱생원 식량창고
  20. 구 소록도갱생원 신사
  21. 구 소록도갱생원 등대
  22. 소록도 구 녹산초등학교 교사
  23. 소록도 구 성실중고등성경학교 교사
  24. 구 소록도갱생원 원장 관사
1.#76 파주 구 장단면사무소
  1. 경의선 구 장단역지
  2. 경의선 장단역 증기기관차 화통
  3. 경의선 장단역 죽음의 다리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덕수궁 석조전 동관[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덕수궁 석조전 서관[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덕수궁 정관헌[A]}}}
  1. 창경궁 대온실
  2. 원서동 고희동 가옥
  3. 계동 배렴 가옥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누상동 이중섭 가옥}}}
  1. 홍지동 이광수 별장 터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통인동 이상 가옥}}}
  1. 평창동 박종화 가옥
  2. 홍파동 홍난파 가옥
  3. 서울 돈암장
  4. 의릉 구 중앙정보부 강당
  5. 배화여자고등학교 생활관
  6. 광주 조선대학교 본관
  7. 광주수창초등학교 본관
  8. 전남대학교 인문대 1호관
  9. 광주교육대학교 본관
  10.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대전지점
  11. 한국전력 대전보급소
  12. 대전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구 충청지원

[A] 사적 제124호 덕수궁으로 통합[A] [A]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1 대전 충청남도청 구 관사 1·2·5·6호와 부속창고
  1. 울산 구 상북면사무소
  2. 울산 언양성당과 사제관
  3. 울산 구 삼호교
  4. 울산 남창역사
  5. 울산 울기등대 구 등탑
  6. 춘천 강원도지사 구 관사
  7. 구 홍천군청
  8. 화천 수력발전소
  9. 화천 꺼먹다리
  10. 태백 장성이중교
  11. 철원 금강산 전기철도교량
  12. 제주 이승만별장
  13. 목포 양동교회
  14. 여수 장천교회
  15. 여수 마래 제2터널
  16. 구 함평성당
  17. 함평 월호리 일본식 가옥과 창고
  18. 영광 법성리 일본식 여관
  19. 구례읍사무소
  20. 구례 구 방광국민학교 교사
  21. 구 곡성역사
  22. 순천 매산중학교 매산관
  23. 구 순천선교부 외국인 어린이학교
  2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순천 구 선교사 코잇 가옥[4]}}}
1.#126 순천 구 선교사 프레스턴 가옥
  1. 순천 구 남장로교회 조지와츠 기념관
  2. 순천 구 원창역사
  3. 나주 영산포 자기수위표
  4. 장흥 예양리 일본식 가옥
  5. 장흥 기양리 일본식 가옥
  6. 구 보성여관
  7. 서울 한국기독교장로회총회 선교교육원
  8. 서울 동선동 권진규 아틀리에
  9. 서울 구 경성방직 사무동
  10. 서울 구 신촌역사
  11. 구 철원 제2금융조합 건물 터
  12. 원주역 급수탑
  13. 원주 원동성당
  14. 원주 흥업성당 대안리공소
  15. 삼척 성내동성당
  16. 동해 구 상수시설
  17. 고성 합축교
  18. 괴산군수 관사
  19. 창녕 남지철교
  20. 광주 장덕동 근대 한옥
  2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거창 경덕재}}}
  1. 산청 특리 근대 한옥
  2. 구 통영군청
  3. 통영 문화동 배수시설

[4] 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 제259호로 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1 밀양 교동 근대 한옥
  1. 밀양 퇴로리 근대 한옥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진주 하촌동 남인수 생가}}}
  1. 진주 옥봉성당
  2. 구 제주도청사
  3. 서귀포 천제연 관개수로
  4. 남제주 구 대정면사무소
  5. 광주 구 수피아여학교 수피아 홀
  6. 광주 구 수피아여학교 커티스 메모리얼 홀
  7. 철원 수도국 터 급수탑
  8. 춘천 소양로성당
  9. 홍천성당
  10. 횡성 풍수원성당 구 사제관
  11. 구 조선식산은행 원주지점
  12. 원주 구 반곡역사
  13. 구 태백등기소
  14. 태백경찰서 망루
  15. 구 철도청 대전지역사무소 보급창고 3호
  1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대전 선화동 구 사범부속학교 교장 사택}}}
  1. 구 제일은행 여수지점
  2. 서울 누하동 이상범 가옥과 화실
  3. 전주 신흥고등학교 강당과 본관 포치
  4. 전주 중앙동 구 박다옥
  5. 전주 다가동 구 중국인 포목상점
  6. 정읍 신태인 구 도정공장 창고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51 대구 대봉배수지
  1. 대구화교협회
  2. 영천 과전동 일본식 가옥
  3. 영천 구 화룡교
  4. 영양 구 용화광산 선광장
  5. 청도 구 풍각면사무소
  6. 봉화 척곡교회
  7. 고성 학동마을 옛 담장
  8. 거창 황산마을 옛 담장
  9. 산청 단계마을 옛 담장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성주 한개마을 옛 담장[5]}}}
  1. 무주 지전마을 옛 담장
  2. 익산 함라마을 옛 담장
  3. 강진 한골목 옛 담장
  4. 담양 삼지천마을 옛 담장
  5. 대구 옻골마을 옛 담장
  6. 경운궁 양이재
  7. 서울 성북동 최순우 가옥
  8. 서울 청량리역 검수차고
  9. 대구 구 반야월역사
  10. 구 포천성당
  11. 홍성고등학교 강당
  12. 제천 엽연초수납 취급소
  13. 화순 오지호 생가
  14. 화순농협 동부지점

[5] 국가민속문화유산 제255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51 청주 대성여자중학교 강당
  1. 청주 구 충북산업장려관
  2. 청주 충청북도지사 구 관사
  3. 괴산중학교 구 본관
  4. 청주 동부배수지 제수변실
  5. 거제초등학교 본관
  6. 서울 명륜동 장면 가옥
  7. 서울 구의정수장 제1·2공장
  8. 부산 재한유엔기념공원
  9. 신안 증도 태평염전
  10. 신안 증도 석조소금창고
  11. 신안 비금도 대동염전
  12. 서울 구 양천수리조합 배수펌프장
  13. 부여 구 홍산저포조합 본점
  14. 의령 오운마을 옛 담장
  15. 정읍 상학마을 옛 담장
  16. 여수 사도·추도마을 옛 담장
  17. 영암 죽정마을 옛 담장
  18. 서울대학교 구 공과대학 광산학과 교사
  19. 광주 구 수피아여학교 윈스브로우 홀
  20. 횡성성당
  21. 구 일본 제18은행 군산지점
  22. 포항 오덕리 근대 한옥
  23. 구 조선은행 군산지점
  24. 서울 구 국군기무사령부 본관
1.#376 부산 구 성지곡수원지
  1. 대전 대흥동 일·양 절충식 가옥
  2. 군산 어청도 등대
  3. 해남 구 목포구 등대
  4. 신안 소흑산도 등대
  5. 뉴욕 월도프 아스토리아 호텔 게양 태극기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데니 태극기[6]}}}
  1. 미 해병대원 버스비어(A.W.Busbea) 기증 태극기
  2. 동덕여자의숙 태극기
  3. 태극기 목판
  4. 남상락 자수 태극기
  5. ‘대한독립만세’ 태극기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김구(金九) 서명문 태극기[7]}}}
  1. 한국광복군 서명문 태극기
  2. 유관종 부대원 태극기
  3. 경주 학도병 서명문 태극기
  4. 건국법정대학 학도병 서명문 태극기
  5. 이철희 사변폭발 태극기
  6. ‘불원복(不遠復)’ 태극기
    {{{-2 395-1.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태극기
395-2.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태극기}}}
  1. 이승만대통령 의전용 세단
  2. 박정희대통령 업무용 세단
  3. 박정희대통령 의전용 세단
  4. 상주의용소방대 소방차
  5. 기아 경3륜 트럭

[6] 보물 제2140호로 승격[7] 보물 제2141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01 신진 퍼블리카
  1. 서울 구 신아일보 별관
  2. 김제 부거리 옹기가마
  3. 용인 장욱진 가옥
  4. 김천 부항지서 망루
  5. 칠곡 왜관철교
  6. 파주 영국군 설마리전투비
  7. 연천 유엔군 화장장 시설
  8. 제주 구 육군제1훈련소 지휘소
  9. 제주 구 해병훈련시설
  10. 국산 1호 항공기 부활
  11. 서울 신당동 박정희 가옥
  12. 서울 서교동 최규하 가옥
  13. 미카형 증기기관차 304호(미카3-304호)
  1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미카형 증기기관차 129호}}}
  1. 디젤전기기관차 2001호
  2. 파시형 증기기관차 23호
  3. 협궤 증기기관차 13호
  4. 대통령 전용 객차
  5. 주한 유엔군사령관 전용 객차
  6. 협궤무개화차
  7. 협궤유개화차
  8. 대한제국기 철도 통표
  9. 대한제국기 경인철도 레일
  10. 쌍신폐색기
1.#426 전차 363호
  1. 인천 제물포고등학교 강당
  2. 서울 구 용산철도병원 본관
  3. 벽걸이형 자석식 전화기
  4. 벽걸이형 공전식 전화기
  5. 벽걸이형 자동식 전화기
  6. 이중 전보송신기
  7. 음향인자전신기
  8. 인쇄전신기
  9. 무장하 케이블 접속장치
  10. 금산위성통신 제1지구국 안테나설비
  11. 광복전후기 우체통
  12. 소록우체국 우체통
  13. 백범 김구 혈의 일괄
    {{{-2 440-1. 백범 김구 인장 金九之印
440-2. 백범 김구 인장 金九
440-3. 백범 김구 인장 寬和, 金九之印, 白凡}}}
  1. 백범 김구 회중시계
    {{{-2 442-1. 백범 김구 유묵 韓美親善平等互助
442-2. 백범 김구 유묵 愼其獨
442-3. 백범 김구 유묵 思無邪}}}
  1. 구 공주읍사무소
  2. 구 광양군청
  3. 알렌의 진단서
  4. 알렌의 검안경
  5. 제중원 1차년도 보고서
  6. 에비슨의 수술장면 유리건판 필름
  7. 대한의원 개원 칙서
  8. 분쉬의 외과도구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51 건칠반
  1. 은제이화문탕기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은제이화문화병}}}
  1. 유제화형촛대
  2. 고양 행주성당
  3.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
  4. 강릉 임당동성당
  5. 진관사 소장 독립신문류[8]
  6. 면제갑옷
  7. 한국광복군 군복
  8. 대한민국 육군기
  9. 대한민국 최초 항공기(L-4 연락기)
  10. 백두산함 돛대
  11. 휴전협정 조인시 사용 책상
  12. 의병장 김도현 칼
  13. 엄복동 자전거
  14. 전차 381호
  15. 명신여학교 태극기·현판·완문
  16. 고흥 순천교도소 구 소록도지소
    {{{-2 470-1.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470-2.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470-3.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470-4.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1. 남양주 흥국사 대방
  2. 공주 제일교회
  3. 예산 수덕사 만공탑
  4. 광복군가집 제1집
  5. 애국창가 악보집

[8] (태극기) 보물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01 새미리 수영복
  1. 필야정 시지
  2. 청강 김영훈 진료기록물
  3. 애국가 유성기 음반
  4. 한성순보
  5. 독립신문
  6. 협성회회보
  7. 매일신문
    {{{-2 509-1. 대한매일신보
509-2. 대한매일신보
509-3. 대한매일신보}}}
510-1. 독립신문 상해판
1.#511 친목회회보
1. 대조선독립협회회보
1. 목포 천주교 구 교구청
1. 서울 이준 묘소
1. 서울 손병희 묘소
1. 서울 이시영 묘소
1. 서울 안창호 묘소
1. 서울 김창숙 묘소
1. 구리 한용운 묘소
1. 서울 신익희 묘소
1. 서울 방학동 전형필 가옥
1. 남양주 봉선사 큰법당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말모이 원고[9]}}}
  1. 조선말 큰사전 원고[10]
    524-2. 조선말 큰사전 원고[11]
  2. 국한회어

[9] 보물 제2085호로 승격[10] 일부 보물 제2086호 지정[11] 보물 제2086호 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6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51 압사기552-2. 공병우 세벌식 타자기}}}
  1. 현대자동차 포니1
  2. 해양조사연보
  3. 통일벼 유물
  4. 전기로
  5. 연세 101 아날로그 전자계산기
  6. 아날로그 전자계산기 3호기
    {{{-2 559-1. 금성 라디오 A-501
559-2. 금성 라디오 A-501}}}
  1. 금성 냉장고 GR-120
    {{{-2 561-1. 금성 텔레비전 VD-191
561-2. 금성 텔레비전 VD-191}}}
  1. 금성 세탁기 WP-181
  2. 삼성전자 64K DRAM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한글 1.0 패키지}}}
  1. 치도규칙
    {{{-2 566-1. 학조선
566-2. 과학조선}}}
  1. 인천 구 대화조 사무소
  2. 부산 경남고등학교 덕형관
  3. 인천 세관 구 창고와 부속동
  4. 대구 구 교남 YMCA 회관
  5. 예천 윤우식 생가
  6. 거창 구 자생의원
  7. 대한성공회 부산주교좌성당
  8. 기와 생산도구
  9. 조선건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601~6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626 진안 천황사 괘불도
  1. 예산 향천사 괘불도 및 오여래·사보살·팔금강도
  2. 대구 동화사 괘불도
  3. 백용성 역 조선글화엄경
  4. 백용성 역 선한역 대방광불화엄경 원고
  5. 백용성 역 신역대장경(금강마하반야바라밀경)
  6. 백용성 역 조선어능엄경
  7. 순천 송광사 송광사사료집성
  8. 조계산 송광사사고
  9. 김룡사 사료수집
  10. 대본산 김룡사 본말사 연혁 원고
  11. 백용성 선사 만일선회 방함록
  12. 채색필사본 대동여지도
  13. 정암철교
  14. 목포 문태고등학교 본관
  15. 부산대학교 구 본관
  16. 부산대학교 무지개문 및 구 수위실
  17. 대전 대흥동성당
  18.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박물관
  19. 한암스님 가사
  20. 백용성 역 한글본『신역대장경』(금강경강의)
  21. 부산 구 백제병원
  22. 강릉 선교장 소장 태극기
  23. 고양 대성암 아미타삼존괘불도
  24. 강경성당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651~7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651 알렌 수증 훈공일등 태극대수장
  1. 대동단결선언문서
  2. 대한국야소교회 대표자 호소문
  3. 안동교회 예배당
  4. 서울 성북동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구 본원
  5. 고종황제 하사 족자
  6. 이천 수광리 오름가마
  7. 간호교과서
  8. 고흥 소록도 병사성당
  9. 고흥 소록도 마리안느와 마가렛 사택
  10. 의병장 유인석 심의
  11. 서울 남대문로 2층 한옥 상가
  12. 고흥 소록도 한센인 생활 유품
    {{{-2 664-1. 3·1독립선언서
664-2. 3·1독립선언서}}}
  1. 발해태조건국지‧명림답부전
  2. 대한민국 최초 운용 전투기(F-51D 무스탕)
  3. 국민성금 헌납기
  4. 예수성교 누가복음전서
  5. 예수성교전서
  6. 신약 마가전 복음서언해
  7. 구약전서
  8. 서울 배화학원 캐롤라이나관
  9. 서울 배화여자고등학교 켐벨기념관
  10. 서울 해병대사령부 초대교회
  11. 찬송가(UNION HYMNAL)
1.#676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모자이크 제단화677-2. 군산 둔율동 성당 성당신축기 및 건축허가신청서}}}
  1. 영광 창녕조씨 관해공 가옥
  2.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토마스홀
  3. 제주 대정여자고등학교실습실(육군98병원병동)
    {{{-2 681-1.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브레디관
681-2.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본관
681-3.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헨리관
681-4.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식당동}}}
  1. 천주교 진산 성지성당
  2. 구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
  3. 고령 관음사 칠성도
  4. 천로역정(합질)
  5. 조선요리제법
  6. 서울 앨버트 테일러 가옥(딜쿠샤)
  7. 경기도청사 구관
  8. 경기도지사 구 관사
  9. 김 골롬바와 아네스 자매(석고상)
    {{{-2 691-1.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오세창(吳世昌) 묘소
691-2.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문일평(文一平) 묘소
691-3.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방정환(方定煥) 묘소
691-4.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오기만(吳基萬) 묘소
691-5.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서광조(徐光朝) 묘소
691-6.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서동일(徐東日) 묘소
691-7.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오재영(吳哉泳) 묘소
691-8.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유상규(劉相奎) 묘소}}}
  1. 당진 소난지도 의병총
  2. 영광 원불교 신흥교당 대각전
  3. 광주 관덕정
  4. 통영 소반장 공방
  5. 목포 정광정혜원
  6. 수원 구 소화(小花)초등학교
  7. 수원 구 부국원
  8. 보성 안규홍·박제현 가옥
  9. 곡성 성륜사 안심당·육화당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701~7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701 원주 기독교 의료 선교 사택
  1. 원주 육민관고등학교 창육관
  2. 원주 제1야전군사령부 구 청사
  3. 태안 동문리 근대한옥
  4.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제대 및 세례대
  5. 문경 가은양조장
  6. 조선내화주식회사 구 목포공장
  7. 용인 고초골 공소
  8. 구 안성군청
  9. 대한민국임시의정원 문서
  10. 조일관계사료집
  11. 윤동주 친필원고
  12. 이육사 친필원고 '편복(蝙蝠)'
  13. 장효근 일기
  14. 부산 우암동 소막마을 주택
  15. 제주 4‧3 수악주둔소
  16. 운강선생유고 및 부록
  17.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2 718-1. 목포 번화로 일본식가옥-1
718-2. 목포 번화로 일본식가옥-2
718-3. 목포 번화로 일본식가옥-3
718-4. 목포 영산로 일본식가옥
718-5. 구 목포부립병원 관사
718-6. 구 목포 일본기독교회
718-7. 목포 번화로 일본식 상가주택-1
718-8. 목포 해안로 일본식 상가주택
718-9. 목포 해안로 교차로 상가주택
718-10. 목포 부두 근대상가주택
718-11. 구 동아부인상회 목포지점
718-12. 목포 번화로 일본식 상가주택-2
718-13. 목포 번화로 일본식 상가주택-3
718-14. 목포 해안로 붉은 벽돌창고
718-15. 구 목포 화신연쇄점}}}
  1. 군산 내항 역사문화공간
    {{{-2 719-1. 군산 내항 뜬다리 부두 (부잔교)
719-2. 군산 내항 호안시설
719-3. 군산 내항 철도
719-4. 군산 구 제일사료 주식회사 공장
719-5. 군산 경기화학약품상사 저장탱크}}}
  1. 영주 근대역사문화거리
    {{{-2 720-1. 구 영주역 5호 관사
720-2. 구 영주역 7호 관사
720-3. 영주 영주동 근대한옥
720-4. 영주 영광이발관
720-5. 영주 풍국정미소
720-6. 영주 제일교회}}}
  1. 도산 안창호 일기
  2. 관동창의록
  3. 군산 빈해원
  4. 군산 구 남조선전기주식회사
  5. 군산 구 조선운송주식회사 사택
1.#726 구 전주지방법원 군산지청 관사
  1. 칠곡 왜관성당
  2.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구 본관
  3. 파주 구 교하면사무소
  4. 일제 주요감시대상 인물카드
  5. 완도 소안면 구 당사도 등대
  6. 윤봉춘 일기
  7. 도화임본
  8. 통영 황리공소
  9. 서울 동국대학교 구 본관(석조관)
  10. 대전 충남대학교 구 문리과대학
  11. 지청천 일기
  12. 이육사 친필원고 '바다의 마음'
  13. 광양 구 진월면사무소
  14. 대한민국임시정부 건국강령 초안
  15. 서울 경희대학교 본관
  16. 인제성당
  17. 구 영원한 도움의 성모수녀회 춘천수련소
  18. 서울 구 공군사관학교 교회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0px 10px; margin: 0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745-1.이봉창 의사 선서문[12]}}}749-2. 매천 황현 유묵·자료첩(11책)
749-3. 매천 황현 교지·시권(2점)·백패통}}}
  1. 윤희순 의병가사집

[12] 보물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751~8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751 서울 한양대학교 구 본관
  1. 고성 최동북단 감시초소(GP)
  2. 부산 구 동래역사
  3. 세종 구 산일제사 공장
  4. 대한민국 임시정부 환국기념 23인 필묵
  5. 이자해자전 초고본
  6. 한국독립운동사략(상편)
  7. 익산 구 이리농림고등학교 본관
  8. 신안 흑산성당
  9. 군산 구 십자의원
    {{{-2 761-1. 매천 황현 문방구류
761-2. 매천 황현 생활유물}}}
  1. 영덕 영해장터거리 근대역사문화공간
  2. 익산 솜리 근대역사문화공간
    {{{-2 763-1. 익산 구 대교농장 사택
763-2. 익산 구 신신백화점
763-3.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1
763-4.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2
763-5.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3
763-6.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4
763-7.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5
763-8. 익산 보화당한의원 구 건조창고
763-9. 익산 구 이리금융조합
763-10. 익산 인북로 근대상가주택}}}
  1. 목포 경동성당
  2. 전북대학교 구 본관
  3. 전북대학교 구 문리과대학
  4. 전북대학교 구 중앙도서관
  5. 서울 보화각
  6. 담양 모현관
  7. 서울 연세대학교 핀슨관
  8. 송기주 네벌식 타자기
  9.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인
    {{{-2 773-1. 한인애국단원 편지 및 봉투
773-2. 한인애국단원 이력서 및 봉투}}}774-2. 대한민국임시정부 문영박 추조 및 문원만 특발
774-3. 대한민국임시정부 특발, 추조, 편지 및 소봉투}}}
  1. 김천 나화랑 생가
1.#776 광주 구 무등산 관광호텔
  1. 통영 근대역사문화공간
    {{{-2 777-1. 통영 중앙동 근대주택 1
777-2. 통영 중앙동 근대주택 2
777-3. 통영 중앙동 근대상가주택 1
777-4. 통영 중앙동 근대상가주택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0px 10px; margin: 0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777-5. 통영 구 석정여인숙}}}777-7. 통영 구 대흥여관
777-8. 통영 김상옥 생가
777-9. 통영 구 통영목재}}}
  1. 김천고등학교 본관
  2. 김천고등학교 구 과학관
  3. 수원역 급수탑
  4. 구 부산나병원기념비
  5. 불교
  6. 대전 육교
  7. 세종 부강성당
  8. 구 경성제국대학 부속 생약연구소 제주도 시험장
  9. 구 목포세관 본관 터 및 창고
  10. 6·25 전쟁 군사 기록물(육군)
  11. 나석주 의사 편지 및 봉투
  12. 영주 부석교회 구 본당
  13. 6·25 전쟁 군사 기록물(공군 전투비행단)
  14. 보병과 더불어 악보
  15. 근대기 제작 진전 봉안 어진
    {{{-2 793-1. 연세대학교 4월혁명연구반 4·19 혁명 참여자 조사서
793-2. 연세대학교 4월혁명연구반 4·19 혁명 계엄 포고문}}}
  1. 4·19 혁명 부상자 명단(고려대학교 4·18 학생 의거)
  2. 동해 북평성당
  3. 이긍연 을미의병 일기
  4. 대한제국애국가
  5. 대구 동인초등학교 강당
  6. 구 천도교 임실교당
    {{{-2 800-1. 한글점자 「훈맹정음」 제작 및 보급 유물
800-2. 한글점자 「훈맹정음」 점자표 및 해설 원고}}}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801~821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801 경상남도립 나전칠기 기술원 양성소
  1. 전남대학교 용봉관
  2. 대각교의식
  3. 한국수어교재 수화
  4. 소방 헬기 까치2호
  5. 고성 구 간성 기선점 반석
  6. 서울 연세대학교 언더우드 가옥
  7. 고흥 소록도 4·6 사건 진정서 및 성명서
  8. 고흥 소록도 녹산의학강습소 유물
  9. 서울 진관사 소장 괘불도 및 괘불함
  10. 동학농민군 편지
  11. 제주 이시돌목장 테시폰식 주택
  12. 서윤복 제51회 보스턴 마라톤 대회 우승메달
  13. 공군사관학교 제1기 졸업생 첫 출격 서명문 태극기
    {{{-2 815-1.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성립 전례식 서명문
815-2.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성립 전례식 축하문}}}
  1. 한국광복군 기관지 광복
  2. 한국광복군 훈련교재 정훈대강
  3. 김좌진 장군 사회장 약력서
  4. 서천 판교 근대문화역사공간
    {{{-2 819-1. 서천 판교 구 동일정미소
819-2. 서천 판교 구 동일주조장
819-3. 서천 판교 근대상가주택 1
819-4. 서천 판교 구 삼화정미소(오방앗간)
819-5. 서천 판교 근대상가주택 2
819-6. 서천 판교 구 중대본부
819-7. 서천 판교 구 판교극장}}}
  1. 진해 근대문화역사공간
    {{{-2 820-1. 진해 구 태백여인숙
820-2. 진해 보태가
820-3. 진해 화천동 근대상가주택
820-4. 진해 송학동 근대상가주택
820-5. 진해 대흥동 근대상가주택
820-6. 진해 흑백다방
820-7. 진해 일광세탁
820-8. 진해 육각집
820-9. 진해 창선동 근대상가주택
820-10. 진해 황해당인판사}}}
  1. 한성미술품제작소 은제 공예품(이화문 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colcolor=#fff> 대한제국 애국가
大韓帝國愛國歌
Kaiserlich Koreanische Nationalhymne
파일:external/online4kim.net/714b952bc8f2356374ab494f305248d1.jpg
▲ 공식 악보
<colbgcolor=#29176e> 작사 미상 (고종 또는 민영환으로 추정됨)
작곡 프란츠 에케르트
사용 국가 대한제국
사용 시기 1902년 9월 9일~1909년

1. 개요2. 역사3. 가사
3.1. 첫 번째 가사3.2. 두 번째 가사3.3. 세 번째 가사3.4. 1925년 한미클럽 가사3.5. 독일어 해석본3.6. 독립운동 가사
4. 영상5. 여담

1. 개요

첫 번째 가사 세 번째 가사
대한민국 최초의 국가이자 대한제국국가.

2. 역사

한국사 최초의 근대 국가(國歌)다. 1898년의 가사가 기초가 되었는데 작사자는 미상이다. 민영환이 작사했다는 주장이 있으나 민영환은 악보의 서문을 썼고 가사는 여러 학자가 모여 쓴 것이다. 자체 곡이 없을 때는 영국 국가 God Save the King에 맞춰 불렀다. 이후 프란츠 에케르트가 곡을 붙였다.

1902년 9월 9일 처음으로 연주되어 정식 채택되었다. 공식적으로는 1907년 순종 황제 즉위식에서 마지막으로 연주되었다. 1909년에 이르러서는 일제의 애국 창가(唱歌)에 대한 단속으로 인해 금지곡이 되었으며 1910년 국권을 빼앗긴 이후에는 기미가요로 대체되었다. 실질적으로는 정식 채택부터 마지막 공식 연주까지 5년 동안만 사용된 비운의 국가다. 작곡된 시기도 어두운 시기였던 데다 음도 착 가라앉은 듯한 느낌을 주는 처량한 분위기라[1] 가만히 듣고 있으면 망국의 이 느껴진다는 평도 있다. 곡의 분위기나 가사의 난해함, 5년 정도밖에 연주되지 못한 짧은 보급기간 등 여러 악재가 겹쳐 인기가 별로 없었다.

최초의 애국가인 만큼 8.15 광복 이후에도 쓰일 가능성도 충분히 있었지만 그러지는 못했다. 한반도에 다시 세워진 나라는 대한제국이 아닌 엄연히 공화국인 대한민국이라 다시 국가로 쓰이기는 어려웠다. 민중에게서는 올드 랭 사인에 맞춘 무궁화노래가 애국가로 발전해 불렸다.

작곡가 에케르트는 독일 제국 해군군악대에서 군무원으로 근무한 독일 제국신민이자 일본의 국가(國歌)인 기미가요에 화음을 붙여 최종 완성한 작곡가로서 한국에 건너와 대한제국의 군악단을 교육했다. 만약 대한제국이 한일합방조약으로 멸망하지 않았다면 동양 두 나라의 국가를 모두 지은 놀라운 이력의 서양인이 되었을 것이다. 곡에서 느껴지듯이 당대에도 "외국인이 이런 국가를 지어주다니!" 할 정도로 높은 퀄리티의 곡이 나왔고, 스스로도 국악(전통 음악)의 음을 최대한 살리고자 최대한 노력했다. 공식 악보에 쓰인 독일어 해설에 따르면 한국적 모티브를 본뜬 대한제국 국가(Kaiserlich Koreanische Nationalhymne nach koreanischen Motiven)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렇게 해당 국가의 특성을 살린 음악은 기미가요에서도 드러난다. 에케르트는 경술국치 이후에도 손자 대까지 한국에서 살면서 한국의 음악계를 지원하다가 생을 마쳤고,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의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에 안장되었다.

3. 가사

여러 버전의 가사가 있는데 이는 국내에서 공공연하게 전해지지 못하고 해외에서 동포들의 구전으로 전해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KBS 역사 스페셜에서 공식 악보(호러스 뉴턴 알렌이 뉴욕 시립 도서관에 기증한 판본)를 찾아 살펴본 바 가사가 이 항목에 서술된 첫 번째 가사와 같음을 확인하였다.

여러 가지 판본 중 아래에는 공식 가사를 포함한 세 가지 가사를 올려 두었다. 아래 가사를 정확하게 보려면 나눔바른고딕 옛한글, 나눔명조 옛한글(이 둘은 여기서 다운 가능), 함초롬체 LVT(아래아 한글 문서 참고), 본고딕(또는 Noto Sans CJK KR, 여기서 다운 가능) 중 하나를 설치할 것. 그러면 제대로 보인다. 아래아 한글 등에 Ctrl CV해도 제대로 보인다.

3.1. 첫 번째 가사

||<-2><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000><bgcolor=#d9241c> 당대 한국어 ||<bgcolor=#29176e> 현대 한국어 해석 ||
상뎨(上帝)는 우리 황뎨(皇帝)를 도으ᄉᆞ 상뎨는 우리 황뎨를 도으사 상제[2]는 우리 황제를 도우사
셩슈무강(聖壽無疆)ᄒᆞᄉᆞ 셩슈무강하사 성수무강하사 (임금의 수명이 끝이 없게 하시고)
ᄒᆡ옥듀(海屋籌)를 산(山)갓치 ᄡᆞ으시고 해옥듀를 산갓치 싸으시고 해옥주를 산같이 쌓으시고
위권(威權)이 환영(環瀛)에 ᄯᅳᆯ치ᄉᆞ 위권이 환영에 뜰치사 위권이 환영에 떨치사 (위엄과 권세가 천하에 떨치사)
오 쳔만셰(於千萬歲)[A]에 복녹(福祿)이 오 천만셰에 복녹이 오 천만세에 복록이 (천만대가 지나도록 복되고 영화로움이)
일신(日新)케 ᄒᆞ소셔 일신케 하소셔 일신케 하소서 (날마다 새롭게 하소서)
상뎨(上帝)는 우리 황뎨(皇帝)를 도으소셔 상뎨는 우리 황뎨를 도으소셔 상제는 우리 황제를 도우소서

3행의 해옥주(海屋籌)는 해옥첨주(海屋添籌)로, 중국 소식의 글에서 비롯한 말로 장수를 기원할 때 쓰이는 표현이다. 봉래산에서 신선 셋이 만나 서로 나이를 물었다. 그 중 한 신선은 자신은 인간세상에서 바다가 뽕나무 밭(상전벽해)으로 변하는 큰 변화가 있을 때마다 병에 나무가지를 하나씩 꽂았는데, 이 가지들로 이미 방 10칸을 가득 채웠다고 하였다.(《동파지림(東坡志林)》권 2·〈이사(異事)·삼로어(三老語)〉: … 海水變桑田時,吾輒下一籌,爾來吾籌已滿十間屋。)참고

3.2. 두 번째 가사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000><bgcolor=#d9241c> 당대 한국어 ||<bgcolor=#29176e> 현대 한국어 해석 ||
상뎨(上帝)는 우리 황뎨(皇帝)를 도으소셔 상제는 우리 황제를 도우소서
셩슈무강(聖壽無疆)ᄒᆞ샤 성수무강하사 (임금의 수명이 끝이 없게 하시고)
ᄒᆡ옥듀(海屋籌)를 산(山)갓치 ᄊᆞ으소셔 해옥주를 산같이 쌓으소서
위권(威權)이 환영(環瀛)에 떨치샤 위권이 환영에 떨치사 (위엄과 권세가 천하에 떨치사)
오 쳔만셰(於千萬歲)[A]에 무궁(無窮)케 ᄒᆞ소셔 오! 천만세에 무궁케 하소서 (천만대가 무궁하게 하소서)
상뎨(上帝)는 우리 황뎨(皇帝)를 도으소셔 상제는 우리 황제를 도우소서

첫 번째 가사와의 차이는 거의 없다.[5]

3.3. 세 번째 가사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000><bgcolor=#d9241c> 당대 한국어 ||<bgcolor=#29176e> 현대 한국어 해석 ||
상뎨(上帝)여 우리나라를 도으쇼셔 상제여 우리나라를 도우소서
반만년(半萬年)의 역사(歷史) 배달민족(倍達民族) 반만년의 역사 배달민족
영원(永遠)한 번영(繁榮) 영원한 번영
해와 달이 무궁(無窮)토록 해와 달이 무궁토록
셩디동방(聖地東方)의 문명(文明)과 원류(源流) 성지동방의 문명과 원류
상뎨(上帝)여 우리나라를 도으쇼셔 상제여 우리나라를 도우소서

여기서는 황제를 나라로 바꾸고 배달민족이라는 가사를 강조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황권 강조에서 민족주의 색채로 넘어가는 특징을 보인다. 세계의 중심으로서의 한국이 아닌 세계의 동방으로서의 한국을 의식하는 근대적인 세계관도 반영되었다. 다만, 이 가사는 안익태 기념재단이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알 수 없는 서적에 수록된 악보 복사본에 나타난 가사인데, 광복 후 현대에 인쇄된 것으로 보이고 원전을 확인할 수 없다. '배달민족' 등 사실상 구한말에 쓰이지 않은 신조어도 나타나는 등, 당대에 실제로 고려된 가사로 보이지는 않고, 후대의 적당한 현대식 개작이나 윤문이 반영된 가사로 보인다.#

3.4. 1925년 한미클럽 가사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000><bgcolor=#d9241c> 당대 한국어 ||<bgcolor=#29176e> 현대 한국어 해석 ||
상뎨(上帝)는 우리나라를 도으쇼서 상제는 우리나라를 도우소서
영원무궁토록 영원무궁토록
나라 태평ᄒᆞ고 인민(人民)은 안락ᄒᆞ야 나라 태평하고 인민은 안락하야 (나라 태평하고 국민은 편하고 즐거워)
위권(威權)이 셰샹에 ᄯᅥᆯ치여 위권이 세상에 떨쳐(위엄과 권세가 세상에 떨쳐)
독립자유부강을 독립자유부강을
일신(日新)케 ᄒᆞ소서 일신케 하소서(날마다 새롭게 하소서)
상뎨(上帝)는 우리나라를 도으쇼셔 상제는 우리나라를 도우소서

1925년 하와이 호놀룰루의 한미클럽에서 이 곡의 악보를 만들면서 거기에 적은 가사다. 2005년 이 노래의 존재가 알려지면서 재조명받았다.

3.5. 독일어 해석본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000><bgcolor=#d9241c> 독일어 ||<bgcolor=#29176e> 한국어 ||
Gott beschütze unsern Kaiser. 하느님 우리 황제를 보호하소서.
Dass sich seine Jahre mehren 만수무강하게 하시어
Zahllos wie der Sand am Strande, 바닷가의 모래처럼 셀 수 없이
Der sich hoch zur Düne häufet, 사구처럼 높이 쌓이게 하소서.
Daß sein Ruhm sich leuchtend breite 널리 온 세계에
Weithin über alle Welten, 명성이 빛나며 뻗치게 하소서.
Und das Glück des Herrscherhauses 그리고 황실의 행복이
Tausendmal zehntausend Jahre 천세 만세토록
Neu mit jedem Tag erblühe. 매일 새로이 꽃피게 하소서.
Gott beschütze unsern Kaiser. 하느님 우리 황제를 보호하소서.

외국에 배포할 때 번역을 규격화시킬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공식적인 독일어 해석본이 존재한다. 한국어 번역은 ≪음악저널≫ 2010년 8월호에 기고된 '대한제국 애국가와 프란츠 에케르트'를 참고하였음을 밝힌다. 중국 고서에 등장한 비유인 '해옥주'를 적당히 모래알로 의역한 것이 눈에 띈다. 이런 식으로 당시 한자문화권에서 고사성어를 적절히 의역하는 경우는 청나라의 국가인 공금구의 홍보 당시에도 있었다.

3.6. 독립운동 가사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000>상제는 우리 대한을 도우소서 ||
독립부강하여 태극기를 빛나게 하옵시고
권이 환영에 떨치어 오 천만세에
자유가 영구케 하소서
상제는 우리 대한을 도우소서
상제는 우리 대한을 도우소서
독립부강하여 태극기를 빛나게 하옵시고
권이 환영에 떨치어 오 천만세에
자유가 영구케 하소서
상제는 우리 대한을 도우소서

현대 한국어로 존재한다.

4. 영상

대한민국 국방부 군악대의 편곡 연주. 나라를 잃은 비통함을 강조하기 위해 느린 템포로 연주되었다 한다.
가나가와대학 취주악부 연주. 템포가 빠르다고 느껴질 수도 있는데, 오히려 이것이 원곡의 템포에 가깝다.
위 두 영상을 조합한 편집 영상. 위에 있는 두 영상을 조합하여 그런지 원곡과 비슷하다.
세번째 가사 관련 영상.
서울오케스트라 연주.
독립운동 당시 1925년 가사 관련 영상. KBS에서는 이 가사를 공식 가사로 소개하고 있다.

5. 여담


[1] 원래 템포는 Andante 112/ 위권부분은 점2분음표64 템포여서 빠른 분위기의 곡이였다.[2] 하느님(환인 및 하늘)[A] 五가 아니라 (탄식할 오)다. 즉 '5천만세'가 아니다.[A] [5] 첫 문장의 '도우사'가 '도우소서'로, '쌓으시고'가 '쌓으소서'로, '오 천만세에 복록이 일신케 하소서'가 '오 천만세에 무궁케 하소서'로 줄어든 정도.[6] God save the king, Long live our noble king.=하느님(상제)은 황제를 도우사 성수무강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