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8 04:38:25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중구(대구광역시) CI_White.svg 대구광역시 중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경북공업고등학교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경북여자고등학교 신명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경북고등학교 교표.svg
경북고등학교
파일:경북대사대부고로고.png
경북대학교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파일:대구고등학교 교표.svg
대구고등학교
파일:대구상원고등학교 로고.png
대구상업고등학교
파일:대구농업마이스터고.png
대구농림고등학교
파일:대구공업고등학교 로고.png
대구공업고등학교
파일:경북여자고등학교 로고.png
경북여자고등학교
파일:대구여고 교표.jpg
대구여자고등학교
}}}}}}}}} ||
파일:경북대사대부고 야경_가로.png
학교 전경
<colbgcolor=#092463><colcolor=white>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慶北大學校師範大學附設高等學校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igh School
파일:경북대사대부고로고.png
개교 1946년 10월 15일
유형 인문계 고등학교
성별 남녀공학
형태 국립
교장 조종기
교감 김경희
교훈 자율, 협동, 강건
교화 국화
교목 담쟁이
교조 비둘기[1]
학생 수 769명[기준]
교직원 수 77명[기준]
관할청 대구광역시동부교육지원청
주소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178 (대봉동)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nopad>

1. 개요2. 홍보 영상3. 학교 연혁4. 교훈 및 상징5. 학교 특징
5.1. IB 월드 스쿨
6. 학교 시설
6.1. 군성관(본관)6.2. 집현관(서관)6.3. 형설관(과학관)6.4. 예체능관6.5. 별무리 도서관
7. 학교 생활
7.1. 주요 행사7.2. 학생들 인스타그램7.3. 동아리
8. 학생회
8.1. 학생회 부서8.2. 학생회장단
9. 운동부
9.1. 배구부
10. 출신 인물11.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11.1. 버스11.2. 지하철
12. 사건 사고13. 기타
13.1. 남녀 성비
14. 둘러보기

1. 개요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慶北大學校師範大學附設高等學校,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igh School)는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에 위치한 경북대학교 산하의 국립 고등학교이다.
대구에서는 흔히 ‘사대부고’라고 불리며, 교사들과 학생들 사이에서는 ‘부고(附高)’라고도 한다. ‘경북대학교’라는 명칭이 붙지 않는 이유는 대구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가 이 학교밖에 없기 때문이다.

2. 홍보 영상

2023학년도 홍보영상 2022학년도 홍보영상

3. 학교 연혁

4. 교훈 및 상징

파일:knusymbols.png

5. 학교 특징

5.1. IB 월드 스쿨

파일:ibworldschool_logo.png
본 학교는 국제 바칼로레아 교육 과정(IB)을 이수하는 학급이 있다.
2021년에 처음으로 1학년 신입생에 IB 학급을 신설하였으며, 이후 2023년부터는 모든 학년에 IB 학급이 생기게 되었다.
연혁
2019. 12. 23 IB 후보학교 선정
2021. 09. 15 IB 인증학교 선정

6. 학교 시설

6.1. 군성관(본관)

5층으로 이루어진 본관이다.
1층: 보건실, 도서실, 관리실, 방송실, 체육연구실, 학습도움실, 학생생활안전부실, weeclass
2층: 미래교육실, 교육정보실, 여교사휴게실, 회의실, 교무지원센터, 행정실, 교장실, 진로활동실, 청운실[4]
3층 : 1학년 교무실
4층 : 3학년 교무실, 집현실[5], 군성실[6]
5층 : 컴퓨터실습실

6.2. 집현관(서관)

5층으로 이루어진 서관이다.
1층: 미술실
2층: 사회연구실, 국어연구실
3층: 원격수업지원실, 진로진학상담실, 2학년 교무실
4층: 형설실[7], 기술가정연구실, 무한상상실(기술가정실)
5층: 음악실, IB교무실(미래교육실)

6.3. 형설관(과학관)

4층으로 이루어진 과학 교과 중심 건물이다.
1층: 조리실, 매점[8]
2층: 식당
3층: 시청각실, 과학교사실, 지구과학실, 물리실, 공용 과학실1
4층: 화학실, 생명과학실, 가정실습실, 공용 과학실2

6.4. 예체능관

사대부중에 소속된 건물이나 3층에 있는 체육관에 한하여 공동운영중이다.

6.5. 별무리 도서관

5층 건물이며,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설중학교와 함께 사용할 예정이다.

7. 학교 생활

7.1. 주요 행사

7.2. 학생들 인스타그램

학생들이 추억을 남기기 위해 각 반에서 공용 인스타 계정을 만들기도 한다. [12]
ex.
2023 1-2 https://www.instagram.com/sadae_1_2._.daegu/
2024 2-3 https://www.instagram.com/knuhs.23_bsd/
2023 1-10 https://www.instagram.com/geumjjok_10/
2024 1-8 https://www.instagram.com/_knuhs.18/
2025 3-6 https://www.instagram.com/knuhs_3_6/

7.3. 동아리

8. 학생회

8.1. 학생회 부서

8.2. 학생회장단

2-3학년 학생회장 1명, 2-3학년 학생부회장 1명, 1-2학년 학생회부회장 1명으로 이루어져있다.

9. 운동부

9.1. 배구부

10. 출신 인물

11.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11.1. 버스

11.2. 지하철

12. 사건 사고

제도권 언론 및 계열 브랜드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합니다.

13. 기타

13.1. 남녀 성비

전통적으로 남자가 압도적으로 많은 성비를 보여준다고 한다.

2019년 기준으로 남학생이 566명, 여학생이 276명으로 남학생 수가 여학생 수에 비해 더블 스코어 이상 많다.

그 이유는 중구의 고등학교 중 경북여자고등학교 등 여자고등학교가 많은 동시에 남학생은 신명고등학교, 남산고등학교,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뿐이라 선택지가 적고, 이로 인해서 거주지 주변 고등학교로 남학생이 몰리는 것이다.

14. 둘러보기

파일:경북대학교 시그니처_White.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학 정보
명칭 역사 상징 학사제도
총학생회 학내 언론 총장 사건 사고
산격캠퍼스 칠곡캠퍼스
학부 대학원
역사 학부 생활
졸업생 / 기타
{{{#!wiki style="margin:-16px -11px" 출신 인물 총동창회 미식축구부
}}} ||
관련기관
{{{#!wiki style="margin:-16px -11px" 중앙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자연사박물관
연구소 사범대부설초등학교 사범대부설중학교 사범대부설고등학교
경북대학교병원 칠곡경북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치과병원
}}} ||
}}}}}}}}} ||

{{{#!wiki style="margin:-12px 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 서울 남대문로 한국전력공사 사옥
  1. 서울 구 경기고등학교
  2. 서울 이화여자고등학교 심슨기념관
  3. 대구 효목동 조양회관
  4. 구 대구사범학교 본관과 강당
  5. 청주 내덕동 청주대성고등학교 구 본관
  6. 천주교 청주교구 옥천성당
  7. 대한성공회 진천성당
  8. 청주 문화동 일·양 절충식 가옥
  9. 강경 구 연수당 건재 약방
  10. 서울 구 국회의사당
  11. 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12. 서울공업고등학교 본관
  1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파이퍼 홀
  14. 대구 동산병원 구관
  15. 광주 전라남도청 구 본관
  16. 광주 서석초등학교 본관·별관·체육관
  17. 대전 충청남도청 구 본관
  18. 구 산업은행 대전지점
  19. 구 조흥은행 대전지점
  20. 태백 철암역두 선탄시설
  21. 철원 노동당사
  22. 구 철원 제일교회
  23. 철원 얼음창고
  24. 철원 농산물검사소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 ||



[1] 교조가 비둘기라서 그런지, 학교 건물 안과 운동장에 비둘기가 자주 날아든다는...[기준] 2024년[기준] [4] 1학년 자습실[5] 3학년 자습실[6] 오후, 야간, 심야 자습 시, 3학년 학생들이 이용[7] 2학년 자습실[8] 2024년 이후 없어져 자판기로 대체[9] "개인의 방황과 성장에 대해 성찰하는"이라는 주제 아래[10] "사람의 역할과 존재의 가치를 고민하는"이라는 주제 아래[11] 2024년부터 시작[12] 시간이 지나고 인스타를 보면, 추억 회상이 되어 좋다고...[13] 2023년 학생회장, 2024-5년 학생회장이 활동했던 동아리[14] 서울대, 고려대 등 상위권 대학에 입학한 학생이 많아 교내에서 유명하다.[15] 2024년에는 '월간 북리스트'라는 이름으로 매달 도서를 추천해 주는 활동도 함.[16] 의대https://buly.kr/2Jnzrce 배출 동아리라고 불린다.[17] 메디컬 분야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많이 신청하는 동아리이다.[18] 군성제 때 여러 맛있는 음식을 판매한다.[19] 2025년부터는 홍보부원을 뽑기 시작함.[20] 흔히, 선도부라고 한다.[21] 교내 청소 봉사[22] 학생회 부서 중 개별적으로 인스타그램 계정을 운영하며, 바른생활부 관련 게시물을 꾸준히 업로드하고 있다.[23] 게시물로 분실물 관련해서 자주 올라와, 분실물 센터라고도 불린다.[24] 가끔 연애 관련해서 업로드되어, 그때마다 학생들이 즐거워한다고...[25] 문창고등학교에서 전학왔다. 경북사대부고와 경기대를 졸업하고 고려증권 배구단에서 활약했다.[26] 고교 졸업 후 금성 배구단에 입단하여 1994년까지 선수로 활약했다. 1994년부터는 선경 여자 배구부에서 코치 생활을 시작했다. 배구부가 없는 경희대(배구부는 1991년에 창단)에 진학해 석사까지 취득하였고, 1998년 패배의식에 젖어있던 LG화재 배구단의 감독대행으로 취임하여 스파르타식 훈련으로 팀 전력을 끌어올렸다. 2002년에 경희대 배구부 감독을 맡아 계속 재직 중이다.[27] 고1부터 주전으로 활약했으며 고3 당시 최대어로 성균관대 배구부와 서울시청 배구부의 스카우트를 받았다. 성균관대 졸업 후 현대자동차써비스상무 배구단에서 활약했다. 은퇴 후 성균관대 감독, LG화재 감독, 대구여고 감독을 역임했다.현재 금오중학교 배구감독으로 재직하고 있으며 현 대한배구협회 경기력향상 위원장이다.[28]중소벤처기업부장관[29] 1932년 관립 대구사범학교 제4기생으로 입학, 1937년 졸업하였다. 당시 관립 대구사범학교는 보통학교(초등학교)를 졸업하고 들어가는 6년제 고급보통학교(중등교육기관) 이었으나, 1943년 일제는 '사범학교 규정'으로 구제전문학교(대학 1~2학년 교양과정 고등교육기관)로 승격하고, 황국신민을 육성하는 국가 부담의 학교를 운영할 것을 규정하였다. 해방 후 대구사범대학으로 발족되었으며, 1952년경북대학교 개교에 의하여 경북대학교 사범대학으로 개편되었다. 하부에 부속초등학교, 부속중학교, 부속고등학교를 두었다. 경대사대부고 역사관으로 쓰이는 건물이 옛 대구사범학교 본관이고, 1층은 역사관, 2층은 중학교 교실로 사용 중이다. 내부에는 박정희 동상과 그의 성적표를 비롯한 학교 유물들이 전시 중이고, 외부에는 박정희가 대통령 시절 쓴 친필비석과 박정희의 이름을 붙인 버드나무 한 그루가 세워져 있다.[30] 대구사범학교 출신[31] 도로 건너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경북대학교치과병원과 마주보고 있고 도보로 700m 가량 떨어진 곳에 경북대학교병원 삼덕동 본원,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이 있다.[32] 1학년은 제2외국어, 2-3학년은 탐구 및 한문/정보 등 선택 과목에 따라 제한적 남녀합반으로 운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