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 ||||
301호 | ← | 302호 | → | 303호 |
여수 구 율촌역 | 부산 구 송정역 | 대구 구 동촌역사 |
송정역 | ||
미포 방면구덕포 ← 1.4 ㎞ | 해운대 해변열차 | 시종착 |
역명 표기 | ||
해운대 해변열차 | 송정 Songjeong 松亭 /[ruby(松亭, ruby=ソンジョン)] | |
주소 |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중앙로8번길 60 (舊 송정동 299-2) | ||
운영 기관 | ||
해운대 해변열차 | 블루라인파크 | |
개업일 | ||
동해선 | 1934년 12월 16일~ 2013년 12월 1일 | |
해운대 해변열차 | 2020년 10월 7일 | |
역사 구조 | ||
지상 1층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섬식 승강장 |
[clearfix]
1. 개요
송정해수욕장은 부산의 3대 해수욕장 중 하나로 수심이 얕고 경사가 완만해서 가족 피서지로 인기가 많습니다. 또 서핑을 하기에도 좋아 사계절 내내 서퍼들이 몰려들어, 서핑 성지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해변열차 정거장 소개
해운대 해변열차의 여섯 번째 역이며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중앙로8번길 60 (송정동)에 소재하고 있다.해변열차 정거장 소개
동해선 구 송정역사를 개조해서 사용하고 있다.
2. 역 정보
|
동해남부선 시절의 역사 모습. |
|
개조 후 해변열차 정거장이 된 모습. |
동해남부선 복선전철화 사업에 따라 선로가 이설되며 2013년 12월 2일 부로 송정역도 신 역사로 자리를 옮겼다. 다만 구 역사는 2006년 12월 4일에 국가등록문화재 제302호로 지정된 상태라 철거당하는 일은 면할 수 있었다. 역사 자체는 일제강점기의 전형적인 간이역 양식을 보여주는 것을 근거로 지정되었으며 바로 옆에 설치된 창고[1] 기둥은 1940년대 유럽에서 유행하던 아르누보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설 후에는 등록문화재로 보존되다가 미포~송정 간 해운대 해변열차 조성사업에 따라 구 역사 내부가 건설사 임시사무실로 사용됐다. 승강장도 남쪽 일부가 공사에 들어가더니 2020년 7월 차량 반입을 거쳐 8월부터 해변열차 운영을 위한 리모델링 공사에 돌입했다.
2020년 10월 7일 해운대 해변열차가 개통했으며, 이후 해운대 해변열차 매표소로 쓰이고 있다. 열차 종류는 바뀌었지만 열차 표를 사고 열차가 정차한다는 역 본연의 역할은 부활한 셈이다.
3. 역 주변 정보
동해선 송정역에서 도보 10분이면 갈 수 있다. 주차장은 송정정거장 주차장[2]에 주차할 수 있으며, 블루라인 이용고객은 2시간 무료, 일반 고객은 10분당 500원, 1일 15,000원에 주차할 수 있다. 버스주차는 8면 (단체이용 주차할인)역 바로 앞에 송정해수욕장이 있다.
4. 승강장
↑ 구덕포 | |||
ㅣ | 1 | 2 | ㅣ |
종착역 |
1 | 해운대 해변열차 | 미포·청사포 방면 |
2 |
5. 둘러보기
동해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산진† - 범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동† - - - - - - - - 모량† - - - - - - - 부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d3692> | 미포 - 달맞이터널 - 해월전망대 - 청사포 - 다릿돌전망대 - 구덕포 - |
미포 -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