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8 19:25:19

김천고등학교/시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김천고등학교|김천고등학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1. 개요2. 출입문
2.1. 정문2.2. 후문2.3. 쪽문2.4. 경비실
3. 교훈석4. 세심지5. 세심관
5.1. 세심관 지하 태권도장
6. 김천고 둘레길7. 등나무 파고라8. 대운동장9. 조회대10. 송담관11. 본관12. 구 과학관13. 송설역사관14. 청솔관15. 학림관16. 예지관17. 홍연지18. 구내매점19. 최송설당 상20. 시계탑21. 분수대22. 기숙사
22.1. 청운관22.2. 백운관22.3. 송림관
23. 솔도서관24. 삼일관25. 송림정26. 백운정27. 풀장28. 설립자 최송설당 여사 묘소29. 정걸재30. 취백헌31. 대나무 숲32. 송연지33. 송정 근린 운동 시설34. 무궁화 동산35. 녹색체험학습장

1. 개요

부지 면적 119,054㎡에 달하는 김천중·고등학교 교정은 넓은 부지 때문에 송설캠퍼스라고 불리며, 이는 캠퍼스 부지 면적 비교 기준으로 여겨지는 건국대학교 일감호 면적 55,661m²(16,837평) 대비 2.1배 큰 면적이다. 산을 끼고 있는 경사면이기에 건물 간에 높이차가 있으며 정문이 있는 송설로 쪽이 고도가 가장 낮고 기숙사 쪽으로 갈 수록 고도가 높아진다. 교정 내에는 근대 국가문화유산과 현대화 된 신축 시설, 생태공원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파일:송설약장화이트.png
파일:송설캠퍼스전경.jpg
김천중·고등학교 송설캠퍼스 전경
파일:송설캠퍼스 캠퍼스 맵.jpg
김천중·고등학교 송설캠퍼스 지도
※ 일러두기
  • 공식적으로 구역 경계를 나누고 있지는 않으나 위 지도에서는 인식의 편의를 위하여 지형에 따라 크게 A~E의 5개 구역으로 구분짓고 각 구역의 시설마다 번호를 표기하였다.
  • 김천고등학교 시설은 위의 송설캠퍼스 지도 번호순대로 정렬하여 서술하고, 김천중학교 시설은 본 문단에서 서술하지 않는다.
  • 門 : 출입문[1]
  • P : 주차장

김천중·고등학교 송설캠퍼스 지도 구역별 시설명 일람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olding ⠀[ A 구역 ]⠀
  • 정문 출입로 인근 시설

    • ① 경비실
      ② 교훈석 및 세심지
      ③ 세심관
      ④ 김천고등학교 둘레길
      ⑤ 등나무 파고라
}}}
}}}
⠀[ B 구역 ]⠀
||<width=1000>
  • 운동장

    • ① 김천고등학교 대운동장(국제 규격 축구장 105×68m 인조잔디, 우레탄트랙 100mx4레인·380m×2레인, 다목적구장 2면)

        ㉠ 고정식 2면 농구대 4주
        ㉡ 족구장
        ㉢ 배구장
        ㉣ 철봉대
        ㉤ 멀리뛰기장
        ㉥ 농구장
        ㉦ 풋살장
        ㉧ 테니스장

      ② 김천고등학교 조회대
      ③ 송담관(다목적강당 및 특별활동교실)
      ④ 김천중학교 운동장
      ⑤ 김천중학교 조회대 ||
⠀[ C 구역 ]⠀
||<width=1000>
  • 교육연구시설 인근 시설

    • ① 김천고등학교 본관
      ② 김천고등학교 구 과학관
      ③ 송설역사관
      ④ 청솔관(관리동)
      ⑤ 학림관(신관)
      ⑥ 예지관(교과교실동)
      ⑦ 홍연지
      ⑧ 구내매점(세븐일레븐 김천고등학교점)
      ⑨ 김천중학교 본관
      ⑩ 김천중학교 신관
      ⑪ 설립자 최송설당 상
      ⑫ 시계탑
      ⑬ 분수대 ||
⠀[ D 구역 ]⠀
||<width=1000>
  • 기숙사 인근 시설

    • ① 제1기숙사 청운관
      ② 제2기숙사 백운관
      ③ 제3기숙사 송림관
      ④ 솔도서관
      ⑤ 삼일관(급식실)
      ⑥ 송림정(팔각정)
      ⑦ 백운정(사각정)
      ⑧ 풀장 ||
⠀[ E 구역 ]⠀
||<width=1000>
  • 송정 인근 시설

    • ① 설립자 최송설당 여사 묘소
      ② 등청문
      ③ 정걸재
      ④ 취백헌
      ⑤ 대나무 숲
      ⑥ 송연지
      ⑦ 송정 근린 운동 시설
      ⑧ 설립자 최송설당 흉상
      ⑨ 송정 쉼터(학교숲조성사업 2025년 대상지)
      ⑩ 무궁화동산(학교숲조성사업 2024년 대상지)
      ⑪ 녹색체험학습장(텃밭)
      ⑫ 고성산 등산로 ||
||

2. 출입문

2.1. 정문

파일:김천고 정문.jpg
정문
파일:김천고 개교 당시 교문.jpg 파일:김천고 구 교문.jpg
▲ 개교 당시 정문 ▲ 1987년 건립한 정문
우리의 꿈이 이루어지는 곳
김천중·고등학교
환영합니다!
김천중·고등학교 정문이 되는 교문으로, 1931년 개교 이래 있던 것은 1987년 5월 10일 송설21회(중18회 고5회) 동문들이 방향은 같게 하고 기존 위치보다 앞 쪽에 건립하여 27년 간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오랜 세월로 노후화되었다는 지적에 송설당교육재단에서 다시 교문을 증축하고, 콘크리트 마감이었던 진입로는 아스콘으로 포장(2014년 3월 4일 착공하여 4월 27일 완료)하였는 것이 현재의 교문이다. 2014년 4월 29일 준공식을 가졌다.

교문 디자인은 30여 개의 전국 우수대학과 고등학교의 사례와 재학생, 교직원의 아이디어 공모안이 검토되고, 이사회의 2차례 심의를 거친 결과, 학교 전통의 붉은 벽돌이 포함된 디자인으로 결정되었다. 그리하여 교문 디자인과 설계는 인터건축사(소장 송설58회 김태완)에서 하고 시공은 (주)삼지토건(사장 송설40회 임춘호), 공사감독은 송설45회 위장복이 맡아 진행했다. 총공사비는 교문 증축에 5천만 원, 진입로 포장에 6천 9백만 원이 들어 총 1억 1천 9백만 원이 소요되었다.

송설총동창회는 2022년 10월 총 7천1백만 원의 비용을 들여 기존 정문 우측 홍보 현수막을 걸던 자리에 최신 LED 전광판을 설치하였다. 설치된 홍보용 LED 전광판은 가로 4M, 세로 2.5M, 면적 10㎡, 도트피치 6.94mm 사양의 LG전자 제품이다. 각종 행사 안내, 동문 진급 안내, 홍보 영상 등이 송출되고 있다.

2024년, 정문 차량 진입로와 정문 옆 주차장 입구에 차단기가 설치되어 차량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외부 차량이라면 경비실을 통해 방문 허가를 받고 진입 가능하다. 단, 정기 외박에 따른 귀가일과 귀사일 또는 학교 행사일에는 전면 개방한다.

본교 학생들은 평일 저녁시간과 주말 자유시간에 출입이 가능하며, 일과 시간 중에 나가려면 '김고 패스'라는 외출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외출 시간과 용무를 입력하고, 담임 선생님에게 외출 허가 승인을 받은 후 정문 경비실에서 학생증을 리더기에 인식하여야 나갈 수 있다. 외부인이라면 외부인 출입 허용 시간인 18시부터 21시 30분까지 운동장 이용이 가능하다. 이외 시간에 출입 사유가 있다면 경비실에서 방문 허가를 받고 들어가면 된다.

2024년 12월, 기존의 담장 조명에 이어 정문 전면에 간접 조명등이 설치되어 야간에 더욱 눈에 띄고 아름답게 보인다.

2.2. 후문

김천중학교 운동장 서편에 있는 김천중·고등학교 후문이다. 송담관 주차장으로 가는 출입구이며, 김천학생체육관이 있을 때 증축된 교문이라 아직 김천교육지원청 학생체육관이라고 새겨진 현판이 있다. 이동식경비초소가 있으나, 따로 출입 통제를 하는 편은 아니다.

2.3. 쪽문

김천중학교 운동장 스탠드를 따라 서쪽으로 쭉가면 나오는 쪽문이다. 사람만이 드나들도록 만든 작은 문으로, 보통은 잠겨있으나 간혹 열려있다.

2.4. 경비실

정문으로 들어가면 우측에 경비실 건물이 있다. 2024년 4월부터 경비원을 다시 고용하였으며 교문을 중심으로 교내 시설 출입자 통제, 차량 출입 통제, 기록관리, 감시, 무단침입자 단속 등으로 위해요소 차단에 앞장서고 있다. 경비 근무 시간은 07시부터 21시30분까지이며 학교 휴무일에는 휴무한다. 숙직 근무하시는 분은 따로 있다.

학업 외 스마트기기의 사용이 엄격히 제한된 탓에 그동안 외출할 때마다 수기로 작성한 외출증을 교무실과 경비실에 일일이 제출해야 했다. 교내 학술제에서 종이 외출증 대신에 학생증을 이용해서 외출하는 프로그램인 김고패스(Gimgo PASS)가 발표된 후, 2024년 9월부터 도입되었으며 온라인에서 김고패스를 통해 학원, 병원 등 외출 신청을 하면 교사가 허가를 하고 경비실에서 학생증 바코드 인식을 통해 전자 방식으로 통과할 수 있다. 전교생 기숙형 학교인지라 학교는 학생 외출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출필곡 반필면(出必告 反必面)을 강조하고 있다.

3. 교훈석

파일:김천고 교훈석.jpg
교훈석
송설학원의 기상을 드높이고 학우들에게 올바른 생활규범을 세워주고자 여기 이 교훈석을 세웁니다.
2016년 3월 1일 송설당교육재단 제6대 이사장 송석환
글씨 : 연곡 박정규
기증 : 송설총동창회장기 기별축구대회 주관기(송설33회~송설56회)
정문을 지나면 한눈에 바로 보이는 교훈석이다. 위치는 세심지 터에 위치해 있다.

김천중·고등학교의 교훈은 깨끗하게 부지런하게로 1960년에 이훈응 교장선생님이 제정하여 현재까지 송설인의 얼이 되어 전승되고 있다. 2014년 4월 29일 재단 이사회에서 교훈은 학교 교육의 근간이 되는 중요한 가르침이기에 교내 적절한 공간에 교훈석을 세워 후배들로 하여금 송설 정신을 북돋우고, 나아가 송설인의 자긍심을 드높이고자 하는 의도에서 교훈석 마련이 발의되었다. 2014년 6월 23일 학교와 동창회 홈페이지에 '송설역사에 길이 남을 교훈석' 기증을 희망한다는 학교장 명의의 홍보 글을 올렸다. 홈페이지의 공고를 보고 여러 동문이 앞다투어 기부하겠다는 의사를 표시하는 훈훈한 과정이 있었다. 그 기부 의사를 밝힌 동문 중, 기별축구대회 자문위원회에서 제안하고 위원들이 직접 선산, 안동 등지로 후보 원석을 찾기 위한 현장 실사를 한 결과 선산 안계석재에서 보유하고 있는 시가 7,000만 원 상당의 원석이 낙점되었다.

2015년 5월 7일 오전 선산의 안계석재로부터 대형트레일러와 250톤 크레인 2대에 의해 김천중·고등학교 정문을 지나 세심관 앞에 있는 세심지 터에 교훈석을 안착했다. 2015년 11월 20일 연곡 박정규 선생[2]의 글씨를 바탕으로 각인되었다. 2016년 3월 1일 입학식을 앞두고 제막식을 하였다.

4. 세심지

파일:김천고 세심지(1963).jpg
세심지 준공(1963)
1963년 7월 1일, 김세영 이사장 특지로 세심지(洗心池)가 준공되었다. 교훈석 뒷편의 부지가 세심지 터로, 송정에서부터 흘러온 물이 출입로 측면 도랑을 따라서 세심지로 도달한 후 빠져나간다. 현재 이곳은 교훈석과 나무, 수풀에 가려져 터만 보이는 정도이다. 세심지 바로 앞이 주차장이다.

5. 세심관

파일:김천고 세심관.jpg
세심관
<nopad> 파일:세심관 안내도.jpg
▲ 세심관 안내도
김천중·고등학교 세심관(멀티미디어관 및 체육관)
준공 <colbgcolor=#ffffff,#191919>2004년 12월 23일
규모 지하 1층, 지상 2층
연면적 3,040.68 ㎡ / 920평[3]
건물구조 철근콘크리트조
층별 시설안내
2층 영사실, 방송실
1층 로비, 회의실, 관람석, 무대, 방송실, 준비실
지하 1층 태권도장, 응원석, 무대

세심관(洗心館)은 상당히 최근에 지어진 건물로서 지하 1층의 태권도 체육관[4][5]과 지상 1~2층의 강당으로 이루어져 있다. 외부 강사를 초청하여 진행하는 명사특강이나 입학식, 졸업식 등 주요 학교 일정은 이곳을 주로 활용해 진행하며, 학교 축제[6] 등의 행사 또한 이곳에서 이루어진다. 기존 테니스 장에 중·고등 전교생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950명 수용)로 지어졌다. 시설이 시설인지라 외부에서도 세심관을 빌려서 잘 사용하는 편. 매년 송설 학술제 개최 시 관내 학교 등에서 방문한 외부인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넉넉한 규모를 자랑한다.

김천중·고 대강당(멀티미디어관 겸 체육관)의 이름은 2006년 8월 27일 김세영 전 이사장이 50년간 학교를 위해 헌신한 공적을 기리기 위해 이사회 의결을 거쳐 제4대 재단 이사장 세심 김세영(洗心 金洗榮) 선생의 호를 따라 명명한 것이다. 로비에는 세심 김세영 이사장 흉상이 설치되어 있다.
<nopad> 파일:KakaoTalk_20240530_125535113.jpg
▲ 송설로에서 바라본 세심관 벽면
세심 김세영 선생(1920.1.5~ 2010.8.11)께서는 1956년부터 2006년까지 송설당 교육재단 이사장으로 재임하시면서 송설학원의 중흥과 발전에 일생을 바치셨다. 특히 장학의 뜻을 드높이시어 수많은 인재를 시대의 역군으로 길러내셨다. 선생의 모교 사랑과 승고한 장학이념을 이어 가려는 뜻을 모아 여기에 선생의 모습과 더불어 그 정신을 새겨 기린다.
2007. 4. 7. 세심장학동문회
2010년 조경공사를 진행하며 입구 계단 옆에는 정자와 벤치가 설치된 쉼터가 마련되어 있으며 벚나무와 소나무, 미루나무가 어울려 있다. 세심관 우측 돌길과 입구 앞 조경, 도서관 올라가는 길에 설치된 보도블럭 또한 이때 마련된 것이다.

2023년 5월 20일, 졸업50주년 기념 홈커밍 행사로 송설37회 동기생들은 모교에 세심관 벽면 사인물을 기증했다.

5.1. 세심관 지하 태권도장

파일:세심관지하태권도장.jpg
세심관 지하 태권도장
세심관 왼쪽으로 가면, 지하 1층의 태권도장으로 갈 수 있는 계단실이 나온다. 김천고등학교 태권도장은 1년 당 1회, 태권도 승단 심사를 진행하게 되는 곳으로, 안전 매트가 설치되어 있어 학생들이 안심하고 운동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1학년 체육 수업의 두 시간 중 한 시간 정도는 이곳에서 진행된다.[7] 품새, 발차기, 겨루기 수업 등을 모두 태권도장에서 하게 되며, 가변에는 간단한 헬스 시설과 운동기구들이 준비되어 있다.

위 사진은 새로 리모델링한 후의 모습으로, 냉온방시설이 완비되어 있다.

6. 김천고 둘레길

파일:김천고 둘레길 낮.jpg파일:김천고 둘레길.jpg
김천고 둘레길
정문에서 교훈석을 지나 30미터 정도 올라가면 왼편에 도랑 다리 건너 다음과 같은 표지가 세워져 있다.
우리 모두 함께하는
김천고 둘레길
고성산, 황악산, 백두대간을 지나[8] 세계로…
여기에서 길은 두 갈래로 갈라져 있는데 직진해서 쭉 올라가면 고성산 등산로로 가는 길이고 우측 계단길로 올라가면 솔도서관 주차장으로 나온다. 여기서 솔도서관 쪽보다 윗 쪽으로 포장도 안 된 흙길을 가파르게 올라가면 송림관까지 곧바로 올라갈 수도 있다.[9]

고성산 등산로를 따라 올라갈 경우 중간에 학교 밖 주택가로 이어지는 내리막길[10]도 있으나 내려가지 않고 능선을 따라 남쪽으로 쭉 올라가면 벤치 2개가 나오며 길이 좌우로 뻗어 있는데 그 길이 고성산 둘레길이다.

7. 등나무 파고라

파일:김천고 등나무 파고라.jpg
등나무 파고라
정문을 지나 진입로를 쭉 따라가면 나오는 파고라[11]로, 등나무를 심어 놓아 5월이 되면 잎겨드랑이에서 연보라색 꽃들이 피어나 주렁주렁 매달려 늘어지는데, 향이 진해서 파고라 근처에 있는 것만으로도 코가 등나무꽃 향기로 가득 찬다. 꽃이 풍성하게 피는 밀원식물인지라 개화 시기에는 벌레가 잘 모여들어 불편하지만 여름에는 그늘이 되어주고, 가을에는 교실이 답답하게 느껴질 때 가끔 나와 앉아서 책읽고 쉬기 좋다. 주말에는 배달음식을 시켜 이곳에 모여 앉아 친구들과 같이 먹는 모습도 종종 볼 수 있다.

등나무도 과에 속하기 때문에 길쭉한 꼬투리가 열매로 주렁주렁 달리는데 혹시 호기심에라도 따지 말자. 종자에는 독성이 있어서 먹지도 못한다.

8. 대운동장

2010년 교육과학기술부 지원 사업으로 선정되어 체육진흥기금 3억5천만원과 국제 표준규격의 축구장을 갖추기 위한 박보생 김천시장의 특별 지시로 편성된 시비 5억원 지원을 통해 2011년 8월 22일부터 11월 24일까지 3달 가량의 공사기간을 거쳐 대한축구협회 정규규격의 105mx68m 인조잔디구장, 우레탄 100m 4레인 직선트랙과 380m 2레인 곡선트랙, 다목적구장 2면, 멀리뛰기장, 풋살구장, 야간조명시설 등이 설치되었다. 다목적구장 2면에는 고정식 2면 농구대 4주, 족구장과 배구장이 마련되어 있다.

운동장에서는 각종 다채로운 행사를 여는데, 인조잔디구장 준공식 때는 김천시장기 축구대회를 열기도 했고, 정기적으로는 송설한마음 체육대회, 송설총동창회장기 기별축구대회, 송설 가족 한마당, 송설 축구 리그전[12] 등이 개최되고 있다.

운동장 시설이 워낙 좋아서 다른 학교들도 운동장을 빌려 축구경기를 하곤 한다. 2017년에는 김천에서 고등학교 축구 전국대회가 열렸는데 운동장이 훈련구장 중 한 곳으로 사용되었다. 당시 인천유나이티드 산하 유스팀인 대건고등학교 축구부가 이곳을 배정받아 훈련을 진행했는데 그때 대건고등학교 소속의 선수 중 한명이 프랑크푸르트에서 뛰고있는 정우영이다.

멀리뛰기장 옆에 있는 철봉은 2013년 11월 23일 송설 47회 동기생이 졸업 30주년을 기념하여 모교 방문행사를 하면서[13] 기증한 것이다.

2014년 운동장 북서쪽 중앙, 풋살장 옆에 농구장이 신설되었다. 2014년 10월부터 기공하여 12월에 완성된 신 농구장은 바닥에 배수성이 우수한 스포츠 바닥재가 설치되어 우천 후에도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2015년 이후 체육대회 농구 경기는 모두 농구장에서 진행하고 있다. 풋살장 옆에는 테니스장이 위치하고 있고 야간조명시설이 있어 야간에도 이용 가능하다.[14]

9. 조회대

파일:김천고 조회대.jpg 파일:김천고 조회대2.jpg
▲ 증축 전 ▲ 증축 후
김천고등학교 조회대
준공 <colbgcolor=#ffffff,#191919>2010년
규모 지상 2층
연면적 250.47㎡
건축면적 128.31㎡
건물구조 철골조, 철근콘크리트
층별 시설안내
2층 단상 및 내빈 관람석
1층 체육 물품 창고
조회, 시상식, 입학식, 교주기일행사, 동창회 체육대회, 기별축구대회, 내한마라톤 등 각종 행사를 치루어오던 김천고의 조회대(조례대)다. 2010년 확장공사를 통해 기존의 조회대를 철거한 후 증축하였다. 새로 증축된 조회대는 투찰금액 179,575,530원과 관급 55,660,000원 합계 235.235,530원을 들여 공사가 시작되었으며 송설동창회장기 기별축구대회 자문위원회에서 모아온 성금 중 50,000,000원이 바탕이 되어 국고 지원을 받아 마련되었다. 완공까지 착공일로부터 45일 걸렸다. 지상2층 구조로, 2층은 단상 및 내빈 관람석으로, 1층은 체육 물품 창고로 사용하고 있다.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운동장 단상의 상부구조물이 가운데가 움푹 패인 곡선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공을 잘못 차면 저기서 안 떨어지는 경우도 심심찮게 발생한다. 실제로 모 체육 교사는 중학생들의 공을 돌려주기 위해 찼다가 저기로 올라가 중학생을 도발할 뻔 했다. 물론 학생들의 불만이 상당히 많이 제기된다. 누가 잘못 차서 올리면 그 순간 웃음거리로 전락하는 것은 시간 문제.

10. 송담관

파일:김천고 송담관1.jpg 파일:김천고 송담관2.jpg
송담관
<nopad> 파일:김천학생체육관1.jpg
▲ (구) 김천학생체육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김천학생체육관(金泉學生體育館)은 1977년 4월 경상북도 김천교육청[現 경상북도 김천교육지원청]에서 실내 체육관이 없는 김천 지역의 초·중·고등학교들이 체육 행사 및 우천 시 교내 행사를 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건립하였다. 1977년 체육관 건립 후 김천교육청에서 직원을 파견하여 직접 운영했으나 1990년대 들어 대부분의 학교에서 체육관이 건립되어 사용 빈도가 대폭 줄어들자 관리비 절감을 위해 김천중·고등학교에 임시 위탁 관리 조치하였다. 이후 2007년부터 경상북도 김천교육지원청에서 다시 직접 관리하였다.[15]

김천학생체육관은 슬라브 콘크리트 구조로 농구, 배구, 핸드볼, 배드민턴 등의 실내 체육 경기가 가능했으며 관리 사무실, 화장실, 주차장 등의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2000년대 들어 건물이 노후화 되고 삼락동 김천실내체육관이 준공되면서 이용객이 크게 줄어 2010년대는 시민들의 배드민턴 연습장 등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이후, 시설 노후화와 소규모 누전화재로 인하여 2018년 4월 24일부터 작업하여 6월 23일 철거되었다.
}}}}}}}}}
김천중·고등학교 송담관(다목적 강당)
준공 <colbgcolor=#ffffff,#191919>2023년 1월 30일
개관 2023년 4월 20일
규모 지상 2층
연면적 1,278.13㎡
건물구조 철근콘크리트조
층별 시설안내
2층 음악실[16], 미술실
1층 실내체육관, 공연 무대, 방송실, 준비실, 사무실
송담(松潭)은 송설 제26회 동문으로서 제27·28대 송설총동창회 회장, 제6대 송설당교육재단 이사장을 역임한 송석환 동진그룹 회장의 아호이며, 송담은 푸른 소나무 숲 속의 깨끗한 연못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후배들이 건강한 몸으로 맑은 정신을 가다듬어 나라의 큰 인물이 되기를 바라는 송석환 명예이사장의 뜻을 담아 신축 다목적강당 및 특별활동교실 건물을 송담관으로 명명하여 헌정한다.
2023년 4월 20일
송담관(松潭館) 준공 기념 기념석
송담관(松潭館)은 1976년 건축된 김천학생체육관이 40여년이 넘은 노후화와 소규모 누전화재가 발생하는 등 관리상 어려움이 생겨 2018년 철거하고 신축방안을 모색했고, 2020년 기존 재단부지에 인근 공유부지를 추가 취득하여 규모 있는 다목적 강당 건축을 추진하던 중 보다 실속 있는 건축을 위해 재단부지 내에서 건축하기로 계획을 바꾸었고, 2021년 이에 맞추어 재단 소유 부지내에서 건축 설계를 한 후 승인을 받아 2022년 3월 7일부터 건축 시작해 2023년 1월 30일 준공되었다. 건축사사무소 명지에서 설계, 상원건설(주)이 시공하였다. 1, 2층간 엘레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2023년 3월 6일, 송설36회 조의환 동문 자문으로 서쪽 벽에 대형 현판이 설치되었다.

다목적강당(체육관+공연무대)과 특별활동 교실(미술, 음악)의 용도로, 철근 콘트리트 2층 구조의 건물이다. 1층 974.56 제곱미터, 2층 303.57 제곱미터, 합계 1,278.13 제곱미터이다. 현재 전천후 실내 체육교육 및 예술교육, 각종 실내 문화행사 등과 더불어 음악과 미술실습을 하거나 지역스포츠 동호인 활동의 다목적 공간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11. 본관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유산
777호 778호 779호
통영 근대역사문화공간 김천고등학교 본관 김천고등학교 구 과학관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tablebordercolor=#df600f><tablealign=center><tablewidth=365><tablebgcolor=#df600f>
파일:김천시 CI_White.svg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유산 제778호
김천고등학교 본관
金泉高等學校 本館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colbgcolor=#315288> 소재지 경상북도 김천시 송설로 90 (부곡동, 김천중고등학교)
분류 등록문화유산 / 기타 / 교육시설
수량/면적 1동 측량면적 699㎡
지정일 2020년 05월 04일
시대 일제강점기(1932)
소유단체 학교법인 송설당교육재단
위치
}}}}}}}}} ||
파일:김천고본관.jpg
<colbgcolor=#315288> 김천고등학교 본관
본관 건물은 한국 근대 건축의 선구자인 박길룡(朴吉龍, 1898~1943)의 작품으로, 지하층이 없는 2층 벽돌 건물이다. 연면적 1,322.22평방미터, 건축면적 661.16평방미터로 바닥과 본체는 철근 콘크리트조이고 벽은 붉은색 벽돌을 쌓아 만들었다.

1932년 8월 31일 낙성되었고 같은 해 9월 15일부터 본관에서 수업을 시작하였다. 한강철교를 시공한 일본의 건축 기업 하자마구미(間組)가 맡아서 지었고, 질 좋은 평양산 벽돌을 사용한 것으로 전해진다. 6.25 전쟁 당시 북한군이 이 곳을 지휘부로 사용했다. 6.25전쟁 때 일부가 훼손되어 1957년 6월 보수하였고 지금도 본관 외벽 벽돌 중 색이 다른 부분이 여러 곳 있는데 이는 교전 중 생긴 피탄흔을 보수하여 메꾼 것이다.

민족 사학 김천고등학교 본관은 2019년 김천시와 김천시건축사협회로부터 건축문화상 특별부문 대상(1940년대 이전)을 수상하였고, 일제 강점기에 건립된 학교 건축물로서, 민족 교육과 교육 입국(敎育立國)의 상징이며, 근대 문화유산으로서의 역사적 의의를 지님은 물론이고, 근대 건축물로서의 특징과 가치가 도드라지는 중요한 문화유산으로서 2020년 5월 4일, 대한민국 국가등록문화유산 제778호로 지정되었다. 학교법인 송설당교육재단 소유로, 현재는 1층에 교장실과 행정실, 2층은 과학실[17]로 사용하고 있다. 건물이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탓에 확장이 불가능해서 과학실은 일반 교실과 비슷한 크기로 상당히 비좁은 편이다. 중앙 계단을 따라 2층으로 올라가면 동창들이 기증한 박제 곰이 있는데 불이 다 꺼진 상태에서 이걸 보면 무섭다.[18] 벽면에는 고사리, 공룡뼈, 운석 등 다양한 화석표본을 전시해 두었다.
파일:김천고교훈판.jpg
<colbgcolor=#422874> ▲ 김천고등학교 본관 교훈판

진학상담 교사에 따르면, 1930년대 이 건물을 건설하면서 사용된 비용이 지금 돈으로 환산하면 약 100억에 이른다고 한다. 김천고등학교가 '영남의 오아시스'라고 불리는 이유도 아무것도 없고 나무와 산밖에 없던 김천의 1930년대 시절, 독립운동가 여운형이 최송설 여사를 만나러 학교에 방문했는데 붉은 김천고등학교 건물이 눈에 잘 띄어 마치 "오아시스 같다"라고 표현해 생긴 구절이다.

본관 건물은 머지 않아 문화유산 지정으로 인하여 사용이 전면 금지될 예정에 있어 구 매점 전면에 과학실을 위한 건물을 신설할 예정에 있다고 한다.

2016년 8월 17일 본관 중앙에 설치되어 있던 교훈판을 새로운 글씨체의 교훈판으로 교체했다. 새로운 교훈판은 정문의 교훈석의 글씨를 쓴 연곡 박정규의 원안을 그래픽화하여 대일광고에서 제작, 설치한 것이다.

[ 상량문 전문 보기 · 접기 ]

上 樑 文


문명이 우리나라에 분명히 드러났으니 청년들이여 어찌 배우지 않겠는가!
웅장한 건물이 허공에 우뚝 솟으니 진실로 옛날의 이른바 ‘학교[校]’라는 것이다.
이것은 백세의 計策을 정한 것이고,
일시에 견문(見聞)을 새롭게 한 것이로다.
아! 금릉은 오랜 역사를 가진 고을이요,
실로 감천(鑑川)[19]의 뛰어난 경치를 지닌 고장이로다.
용이 서리고 봉황이 나는 듯한 산수(山水)는 천년의 맑고 신령스러움을 간직하였고,
바둑돌이 놓여 있고 별들이 벌여 있는 듯한 물화(物華)는 삼도(三道)의 보배와 아름다움을 다했도다.
멀리 있는 이웃이 바다를 건너 이곳에 오는 것은 사람들이 많이 모여 살고 있기 때문이고,
사는 사람들이 의리를 숭상하는 풍속이 있는 것은 하늘에서 타고난 성품의 질박함 때문이로다.
아! 학교의 제도가 아직 변변치 못하여
인재를 제대로 양성하지 못할까 두렵도다.
종이로 싸고 띠풀로 엮은[20] 6년 재학의 보통학교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구름을 헤치고 해를 볼 수 있는 일반 고급 학교가 어찌 있었겠는가.
천금 이천금의 큰돈을 내어 마련하지 않았다면 억지로 모금해도 재물이 모자람[21]을 모두 다 한탄했을 것이고,
십년 이십년을 경영하더라도 한갓 시간만 보내고 사업이 지체됨을 볼 수 있을 뿐이로다.
송설부인 같이 높은 인품을 가지신 분이 계셨다는 것이 얼마나 다행한 일인가.
그 맥로상공(麥艫相公)[22] 같이 아름다운 덕이 있었도다.
궁핍하고 곤궁한 아이와 아낙네들에게 끝없는 은혜를 베푸니 가까운 사이든 소원한 사이든 인(仁)에 배불렀고
높고 훌륭하신 조상들과 어진 이들께 알뜰살뜰 힘을 다하니 모든 사람들이 그 의(義)를 칭송했도다.
사업은 크게 할 수 있고 공업은 오래갈 수 있는데도 죽을 때까지 이름을 남기지 못하면 부끄러운 일이고,
가까이 있는 이들이 기뻐하고 멀리 있는 이들이 찾아오니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기쁨이 있도다.
이에 땅을 잡으니 중앙이 가지런하고,
학교를 지으니 높다랗고 평평하고 넓적했도다.
삼심만 원을 재단에서 출연하니 법사(法司)에서 의(義)에 감동해서 도장을 찍었고,
다섯 칸 여섯 칸 여덟 칸 규모의 집을 배치하니 뭇 장인들이 즐거워하면서 일터로 나갔도다.
그 모습을 밖에서 보면 모습이 크고 엄숙한데 바위로 기둥을 만들고 쇠로 서까래를 만들었고,
안에 들어가면 그 규모가 숙연하면서도 시원스러운데 집에는 흰색을 문에는 검푸른 색을 칠했도다.
삼 년 만에 완성을 했고
온갖 제도가 갖추어져서 한 점의 흠도 없도다.
서늘하고 더운 곳을 따라 자리를 잡아서 위층 아래층이 남는 곳이 있고,
책임을 나누어서 기약하니 이사와 감사는 반드시 공을 이루었도다.
짐승들 울부짖는 땅에 악기와 노래 소리 울려 퍼질 줄 어찌 알았으랴.
초목이 우거진 고을에 홀연 집과 담이 嚴正한 모습을 보겠도다.
멀고 가까운 곳을 가리지 않고 어진 스승 모셔 왔고,
어른 아이 가리지 않고 재주 있는 학생들을 뽑았도다.
가르치는 법은 때에 따라서 바뀌나 수학 · 외국어 · 역사 등을 게을리 하거나 소홀히 하지 말고,
배우는 법은 옛 것을 본받아서 바르게 해야 할 것이니 윤리 · 도덕을 반드시 강론하고 닦아야 할 것이로다.
나날이 힘쓰고 다달이 발전해서 부지런하고 민첩하고 정성스럽고 성실한 노력을 도타이하며,
어려서 배우고 장성해서는 벼슬을 해서 아름답고 훌륭한 인재가 되어야 할 것이로다.
이제 낙성을 축하하는 때를 맞아
아름다운 건물을 칭송하는 글을 짓는도다.
어영차! 들보를 동쪽으로 던지니
감천 하늘 아침 해가 창문을 비추는도다.
누구의 도술로 이같이 밝게 해서
뭇 학생들을 긴 밤중에서 불러내는가.
어영차! 들보를 서쪽으로 던지니
황악산 뛰어난 경치가 구름 밑에 펼쳐지는도다.
바라건대 그대들은 장차 노력을 아끼지 말 것이니,
아홉 길 높은 산도 한 삼태기 흙을 쌓는 데에서 비롯되는 것이로다.
어영차! 들보를 남쪽으로 던지니
옥 같이 선 맑은 봉우리가 쪽빛처럼 푸르도다.
고요한 가운데 모습은 보기에 더욱 좋으니,
이랬다 저랬다 하는 세상 일에 쓸데없이 참견하지 말 일이로다.
어영차 들보를 북쪽으로 던지니
마음의 근원 아홉 구비 흘러나와 끝이 없도다.
뱃노래 소리 끊어져 모래톱은 텅 비었고,
만고의 한가한 시름 사람들은 알지 못하는도다.
어영차, 들보를 위쪽으로 올리니
지붕 위는 푸르기만 하고 별들은 밝도다.
나라에서 인재 태어남이 영원토록 끝이 없으리니,
문풍(文風)이 무성하여 사람들은 모두 우러를 것이로다.
어영차! 들보를 아래쪽으로 내리니
큰길 문 앞은 십자로 크게 열리었도다.
시험 삼아 물어보나니, 동쪽에서 왔다가 다시 북으로 가는 사람 중에
몇 사람이나 길을 잃지 않았던가.
엎드려 바라옵건대 대들보를 올린 뒤에
땅은 뛰어난 인재를 낳아주고,
신은 상서롭지 않은 것을 꾸짖어 주소서.
사방에서 배우러 온 이들이 感服하지 않을 생각을 없게 하시고,
문무덕예(文武德藝)를 각각 그 재주에 따라서 가르치게 하소서.
법식(法式)이 밝아서 잡된 가르침이 행해지지 않는 것은 해가 떠오르면 산도깨비가 자취를 감추듯이 하시고,
훌륭한 인재들이 배출되어서 다스림의 교화가 의지할 데가 있는 것은 하늘이 비를 내리려 할 적에 산천에 구름이 생기는 것과 같이 되게 하소서.
공경스럽게 내 말을 들으면
영원히 너희들에게 복록이 주어지리라.

[원문]
文明大闡於左海惟小子何莫學夫 輪奐聳出於中霄寔上世所謂校也 定百世之謀慮 新一時之瞻聆 粤玆金陵古都 實有鑑湖勝地 龍蟠鳳翥山水儲千年之淑靈 碁置星羅物華盡三道之寶麗 遠隣爲航海之至撲地閭閻 居人有尙義之風有天性質 唉校制尙爾苟簡 恐人才未克養成 紙裹茅纏非無六年普通之敎 雲披日覩詎有一般高級之規 非千金兩千金之取裁咸歎擧贏而財詘 惟十年二十年之營度徒見時移而事遷 何幸松雪夫人之高風 厥有麥艫相公之令德 源源施惠於窮兒困婦親疏飽仁 眷眷致力於尊祖衛賢大小頌義 業可大功可久恥沒世名不稱焉 近者悅遠者來得英才樂有育也 爰相地中央井井 乃築校高等渠渠 出捐三十萬財團法司感義而捺印 排置五六八間架群工樂事而赴功 觀於外而儀表宏巖石爲棟而鐵爲桷 入乎中而模範森爽堊其室而黝其門 屆三載厥惟有成 擧百度咸以無缺 隨凉燠而處有餘所上層下層 分責任而期必成功理事監事 禽獸啾哦之地豈知絃誦洋洋 樹草榛穢之地忽見宮墻肅肅 立賢師無方遠邇 選藝徒不界冠童 敎法隨時而移算譯誌史之毋怠毋忽 學術師古而正倫理道德之必講必修 日斯邁月斯征敦勤敏慤實之力 幼而學壯而仕成璆琳杞梓之材 玆値鷰賀之辰 庸綴翬飛之頌 兒郞偉抛樑東 湖天朝日映窓櫳 誰將道術明如許 喚起群生長夜中 兒郞偉抛樑西 黃岑秀色入雲低 願君且莫辭努力 九仞元從一簣提 兒郞偉抛樑南 玉立晴峯碧似藍 靜裏儀形看更好 翻雲劇露莫謾參 兒郞偉抛樑北 靈源九曲來無極 櫂歌響斷汀洲空 萬古閒愁人不識 兒郞偉抛樑上 屋極蒼蒼星斗朗 王國生才長不休 文風藹菀人咸仰 兒郞偉抛樑 大路門前十字閜 試問東來復北征 幾人不是迷途者 伏願上梁之後 地孕其秀 神呵不祥 自西自東自北自南學者無思不服 以文以武以德以藝敎之各因其才 程式明而雜敎不行如日方昇而魑魅遁跡 俊乂作而治化有賴若天將雨而山川出雲 敬聽我言 永錫爾類

조선 개국 기원 4265년(서기 1932년) 7월 9일 오전 10시
공부자탄강(孔夫子誕降) 2483년 7월 9일 야성(冶城) 송수근(宋壽根)[23] 찬(撰)

재단법인 송설당 교육재단
상무이사 : 고덕환

김천고등보통학교
교장 : 정열모

건축공사관계자
건축설계자기사 : 박길용

12. 구 과학관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유산
778호 779호 780호
김천고등학교 본관 김천고등학교 구 과학관 수원역 급수탑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유산 제779호
김천고등학교 구 과학관
金泉高等學校 舊 科學館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colbgcolor=#315288> 소재지 경상북도 김천시 송설로 90 (부곡동, 김천중고등학교)
분류 등록문화유산 / 기타 / 교육시설
수량/면적 1동 측량면적 720㎡
지정일 2020년 05월 04일
시대 일제강점기(1939)
소유단체 학교법인 송설당교육재단
위치
}}}}}}}}} ||
파일:김천고구과학관.jpg
<colbgcolor=#315288> 김천고등학교 구 과학관
1939년 12월 건립된 과학관으로 당대 근대학교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내·외부의 공간구성이 신축당시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어 보존가치가 높음을 인정 받아 2020년 5월 4일, 국가등록문화유산 제779호로 지정되었다. 건물 동쪽에는 김천고등학교 본관(국가 등록문화재 제778호)이 있고, 서쪽에는 김천중학교가 인접해 있다.

김천고등보통학교는 1931년 5월 9일 입학식을 거행하고 5월 11일부터 가교사(假校舍)에서 수업을 시작했다. 1932년 8월 31일 본관을 완공하고, 1935년 11월 30일 개교 제4주년 기념식과 함께 본관 낙성식과 교주 최송설당 동상 제막식을 거행하였다.
이 자리에서 최송설당은 과학관(특별교실) 건립에 필요한 건축비용으로, 자신의 마지막 남은 재산에다 그간 재단에서 지급한 생활비를 아껴 모은 돈을 더하여, 총 3만 원을 희사하겠다고 발표하였다. 당시 주요 일간지는 이 내용을 대서특필하였다.

과학관은 1938년 11월에 착공하여 1939년 12월에 준공하였다. 과학관은 지하층이 없는 지상 1층으로 연 면적과 건축면적이 689.26평방미터로 동일하다. 건물 구조는 T자형 평면을 구성하고, 벽면은 벽돌을 쌓아 올려서 만든 조적조(組積造) 형식이다. 외관은 별다른 장식적 기법이 없이 붉은 벽돌 외벽이며, 내력 벽체를 구성하며, 지붕은 목조 트러스로 구성되었다. 장방형 개구부에 의해 전체적으로 단순하면서도 기능적으로 구성되었다.

신축 후 과학관(특별교실)으로 사용하다가 한동안 일반교실로도 쓰이고, 일부 공간은 음악실과 미술실로 쓰이기도 했다. 최근 2023년까지는 일부를 학교 매점으로 사용하였다가 (구) 탁구장 자리에 세븐일레븐 김천고등학교점이 신설되며 현재는 사용하지 않고 있다.

13. 송설역사관

파일:송설역사관리모델링이전.jpg 파일:송설역사관리모델링후.jpg
▲ 리모델링 전 ▲ 리모델링 후
송설역사관을 열며
교주 최송설당은 이 땅에 김천고등보통학교를 세우고 민족의 자존과 조국의 독립을 염원하였다. 송설의 후예들은 교주의 깊고도 원대한 뜻을 충실히 지켜왔다. 나라의 동량으로서 광복의 밀알이 되었으며, 근대화의 중추로서 번영 한국을 선도하였다. 수많은 동문들의 끊임 없는 열정과 드높은 명예가 사학의 명문 김천중 · 고등학교가 있게 한 것이다. 실로 '영남의 오아시스'가 이 땅에 실현되었음을 자축해야 할 것이다. 오늘의 우리 송설학원은 교육의 다양화와 세계화에 부응해야 하는 새롭고도 중대한 시점을 맞았다. 무엇보다 정체성을 회복하고 전통의 맥을 더욱 굳건히 하는 일을 서두르지 않을 수 없게 된 것이다. 여기 송설 동문들의 숭고한 뜻을 하나로 모아 '송설역사관'을 열었다. 이곳에는 교주 최송설당의 거룩한 뜻과 희망이 서려있고, 김천중 · 고등학교의 빛나는 역사와 높푸른 기상이 모두 담겨 있다. 송설의 자긍심과 의지를 다시 확인하고, 전통과 명예를 훌륭히 계승해야 한다는 준엄한 가르침이기도 한 것이다. 자랑스런 동문들이여, 교주 최송설당의 숭고한 건학이념을 다시 한 번 되새기고 송설인의 드높은 기개를 오늘에 이어받아 더 멀리 더 높이 웅비하는 찬란하고 위대한 송설이 되게 하라.
2008년 8월 31일
본관과 비슷한 시기에 지어진 건물로써 개교부터 지금까지 용도가 정말 자주 바뀌었다. 도서관, 미술실에서 전시관으로... 미술실을 전시관으로 리모델링하면서 외관 리모델링 또한 실시했기 때문에 외관이 상당히 현대적이다. 2008년 8월 31일 개관한 송설역사관은 동창회가 4억 원가량의 기금으로 옛 도서관 건물(466m²)을 개조해 2층짜리 역사관을 꾸몄다. 2000년 총동창회 모임 때 역사관 건립을 시작한 지 8년 만이다. 전국에 흩어져 있는 졸업생들은 당시 사진과 상장, 성적표, 타고 다니던 자전거, 개교 소식을 알린 신문기사 등 600여 점을 모았다.

내부에는 송설학원의 연표, 역대 교직원 및 졸업생 명단과 학교 설립자 동상[24] 그리고 사회 각계각층에 퍼져있는 동문들의 명단이 있다. 이 외 학교의 역사 및 옛날 교복, 교련 때 사용한 목총과 세이버, 각종 학교 관련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그리고 개관일은 평일이므로 주말에는 못 들어간다. 송설 모자를 팔고 있기도 하다.[25]

14. 청솔관

파일:김천고 관리동.jpg
청솔관
청솔관(관리동)
준공 <colbgcolor=#ffffff,#191919>1996년 10월 19일
규모 지상 3층
연면적 1,265.22㎡
건물구조 철근콘크리트조
층별 시설안내
3층 본교무실, 진로상담실[26], 男휴게실, 공중전화, 男교직원용 화장실, 구름다리(학림관 2층과 연결)
2층 전산실[27], 시설관리실[28], 女교직원용 화장실, 방송실, 명상실, 상담실(Wee 클래스)[29]
1층 무본재(B-4)[30], ATM, 공중전화, 우유보관고, 안내실, 숙직실, 男교직원용 화장실, 회의실(B-3)
1995년 기존 구관교사의 노후화로 인해 그 자리에 해당 건물을 짓기 시작하여 1996년 10월 19일 준공하였다. 관리동으로 불리다가 청솔관(靑솔館)으로 명명하였다.

수업을 위한 교실은 없고, 교사들이 업무를 보는 공간과 기타 시설들이 위치해 있는 건물이다. 1층에는 농협 ATM[31] , 공중전화기 2대[32] , 수위실, B-3교실(회의실)이, 2층에는 인쇄실과 Wee-Class 상담실, 3층에는 공중전화기 한 대와 학생휴게실, 진로상담실, 본교무실이 있다. 1층에 위치한 B-4 교실은 서예실(한문실, 무본재)로 운영되고 있다. 3층으로 올라가면 학림관 2층[33]으로 이어지는 구름다리가 있다.

어찌보면 학생들에게 교실 다음으로 중요한 건물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본교무실에는 학년부 교무실에서 근무하지 않는 대부분의 교사가 있는 관계로 심부름 하랴 질문하랴 뺀질나게 드나들게 된다.[34]

2015년 여름 메르스 유행 당시 학생휴게실이 격리실로 사용하려는 계획이 있었다고 한다. 다행히도 이 기간 동안 이곳에 격리된 학생은 없었다. 2020년, B-3 회의실에 일시적 관찰실을 설치하여 코로나19 의심 환자를 수용했다.[35]

2023년 11월, 대대적인 창호 공사를 하여 청솔관 내 모든 문과 샤시, 구름다리 지붕도 새로 교체 되었다.

15. 학림관

파일:학림관 안내도.png
학림관(學林館)은 김천고등학교에서 일과시간의 대부분을 보내게 되는 건물이자, 학생들과 각 학년 담임선생님의 메인이 되는 건물이라 할 수 있다. 3층의 건물로 1학년, 2학년, 3학년 교실, 그리고 6반과 7반 사이에는 학년별 교무실들이 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곳에서 수업을 듣고 야자를 하게 된다. 교실이 일자로 늘어서 있고 양끝에 화장실이 붙어 있어 건물 길이가 정말로 길다. 각 층 모두 동일한 구조다.

1979년, 처음 완공되었을 때에는 총 18개의 건물, 즉 X01~X06호 까지의 건물밖에 없었다. 그리고 몇년 후 교실이 부족해지자 층당 교실 4개(총 12개)를 증축, 총 30개의 교실이 되었다. [36] 그 후 김천시 교육청의 지원을 받아 양 옆의 화장실 증축이 이루어 졌다.

2016년 들어 리모델링을 통해 쾌적한 건물로 변모했다. 철문과 오래된 창틀이 나무문, 플라스틱 창틀로 바뀌었고 벽면에도 산뜻한 노란색, 하늘색, 연두색 페인트를 발랐으며 바닥에도 하얀색 타일을 깔아 보기 좋다.[37] 또한 최신식 TV와 애플 TV[38]가 설치되었고 천장에는 LED 등을 달았다. 이를 통해 HDMI를 이용하여 노트북과 연결하여 수업을 하기도 한다. [39]

2020년 6월에 콘센트 개조 공사를 해 왼쪽 10개 오른쪽 10개를 사용할 수 있다. 예전에는 콘센트 부족으로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제는 여유롭게 콘센트를 사용할 수 있다.

16. 예지관

파일:한국건축가협회로고.jpg
한국건축가협회 선정
제35회 올해의 건축 Best7 2012
{{{#!wiki style="margin:0 -10px -5px; color:#191919,#fff; min-height:2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colcolor=#000> 01 김천중고등학교 교과교실동(배병길)
02 다음 스페이스닷원(조민석)
03 서천 봄의 마을(윤희진)
04 숭실대학교 학생회관(최문규+강인철)
05 여초 김응현 서예관(이성관)
06 판교 요철동(정재헌)
07 LIG 손해보험 사천연수원(김태집)
출처: 2012 건축가협회 선정『올해의 건축 Best 7』
}}}}}}}}} ||
파일:김천고예지관.jpg
김천고등학교 예지관(교과교실동)
<nopad> 파일:예지관계단.jpg
▲ 청솔관, 학림관과 연결되어 있는 예지관
구 강당[40]이 2008년 8월 23일 철거 된 후 2010년 9월 예지관(교과교실)이 신축되어 사용되고 있다. 구 강당은 1931년 5월 학교가 개교되고 1935년 11월에 본관 낙성식을 할 때까지 현재의 송설역사관 건물에 위치하여 임시 교무실과 교실 2칸으로 이용되던 강당이다. 1940년 4월에는 본관 옆 송설역사관 위치에서 과학관 앞으로 이동되었다. 건설 당시부터 이동 가능하도록 기초 공사한 위에 나무로 건축이 되어 학생들이 땅에 둥근 나무를 놓고 며칠을 두고 밀어서 이동되었다고 한다. 그 뒤 1960년 대에서 2000년 초까지 유도장, 강당으로 이용되어 졸업식, 선생님들의 정년퇴임식, 비오는 날에는 교주 제사 지내는 장소가 되어 왔던 곳이다. 후에는 너무 낡아 사람이 거주하는 공간으로는 부적합하다는 판정이 나와 창고로 사용되어 오다 철거되었다.

그 후, 교과교실제 시행으로 교실이 추가로 필요해지자 김천고에서 모교 출신 배병길 건축가에게 증축 설계를 부탁했다. 국내에서 건축가가 중·고등학교 설계를 맡는 경우는 예산 때문에 매우 드문데, 교육청이 지원한 3.3㎡당 공사비 260만원에 학교 재단의 추가 지원금 3.3㎡당 140만원으로 예지관 설계안이 실제 건물로 실현될 수 있었다. 건축 당시 영세한 지방 시공사의 시공능력이 속을 썩이기도 했다고 한다. 건축가는 설계대로 시공되는지 살피기 위해 서울~김천을 61번 왕복했다고 한다. 연건평 1983.9㎡에 4층 높이, 넓은 면적의 커튼월과 그 외 노출 콘크리트, 아연강판으로 마감했다. 앞 뒤 레벨차를 이용해 걸쳐 있으며[41][42], 주 출입구 정면을 활짝 열어 교정 풍경이 바라보이는 시야를 연결했다. 유리 외벽 중간에 외부 공간을 감싼 프레임을 추가해 변주를 주었고, 측면에도 다양한 형태의 개구부를 두어 단조로움을 피했다. 교실 내 유리창은 수업하는 동안 학생들의 시선이 운동장으로 분산되지 않도록 반투명 유리를 사용했다. 붉은 벽돌·푸른 기와의 근대 문화유산 교정 속 대비되는 유리 외관 건물이 새로운 건축 언어를 만들어냈다는 평가를 받으며 2012년 10월, 건축가 협회가 뽑은 올해의 건축 베스트 7에 선정되었다.

기존 건물인 청솔관, 학림관과 새 교사까지 총 3개의 건물이 만나는 지점을 벽으로 가리지 않고 최대한 개방하여 한 건물에서 다른 건물로 이동하면서 운동장 너머 멀리까지 탁 트인 광경을 바라볼 수 있다. ㄷ자 모양[43]의 예지관은 2층과 같은 높이인 'ㄷ'자의 가운데 부분을 중정(中庭)[44]으로 활용했다. 빛이 1층까지 스며들도록 한 '빛 우물'로 중정 한쪽을 수직 터널처럼 1층까지 파냈다. 3층에는 다목적 휴게실을 마련하고, 4층에는 ㄷ자의 한 변을 작은 마당처럼 만들었는데 이곳은 야외 테라스로 공부에 지친 3학년이 이용하고 있으며[45] 2024년 '학년프로젝트-쉼'으로 인조잔디를 깔고 소파, 테이블, 해먹 등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였다.

음악실, 미술실, 정보 검색실, 자율학습 및 야간특강을 위한 교실, 대회의실 등이 위치해 있다. 2학년과 3학년 층에는 집중 학습을 위한 자습 공간으로 선진실이 마련 되어있다. 2022년 대대적으로 진행한 리모델링 과정에서 밝은 나무톤의 마감으로 전 교실을 새롭게 디자인히였으며, 청소 등 관리가 쉽지 않던 경량 철골 천정틀에서 교실과 같은 석고텍스로 교체하였다. 냉난방기 역시 새롭게 설치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생자치회의실, 수학교과실, 일시적 관찰실, 컴퓨터실 등도 만들어졌으며 청솔관에 위치했던 보건실이 현재는 115호 자리로 옮겨졌다.[46]

학림관과는 다르게 교실들이 도로와 경부선 철도, 경부고속철도 쪽으로 배치된 터라 여러모로 소음이 다소 심한 편이다. 게다가 외벽이 유리로 된 커튼 월 양식이라서[47] 여름엔 덥고 겨울엔 추운 마법을 자랑한다.
학림관 창문에서 예지관 쪽을 바라보고 사진을 찍으면 정말 신세대 학교 느낌이 나서, 학교 홍보사진에 주로 쓰이는 건물이다. 특히 외장을 알루미늄 패널로 마감하여 붉은 벽돌로 지어진 옛 건물들과 확연히 구분된다. 여담으로 과거에는 화장실이 모두 재래식이라 리모델링을 이유로 이곳으로 이사온 이과생들은 이곳에서 용변을 잘 보려고 하지 않았다고 한다. 현재는 모두 양변기로 대체되었다. 과거 문과용 교실로 사용되었으나, 2018년엔 문과와 이과를 혼합한 행정 9반, 10반이 사용하였다.

17. 홍연지

파일:홍연지 봄1.jpg 파일:홍연지 여름.jpg
파일:홍연지 가을.jpg 파일:홍연지 겨울.jpg
홍연지의 사계
홍연지(紅蓮池)는 역사관 뒷편에 있는 연못으로 목백일홍(배롱나무)과 연꽃이 어우러져 있어서 붙인 이름이다. 홍연지와 송연지 두 연못의 이름은 2008년쯤 공모를 통해 정해졌다.

18. 구내매점

파일:세븐일레븐 김천고등학교점.jpg
세븐일레븐 김천고등학교점
(구) 과학관에서 운영하던 매점의 계약이 종료된 이후 학림관 옆 탁구장을 허물고 그 자리에 구내 매점을 신설했다. 계약사는 세븐일레븐. 청소년 판매 금지 물품 및 에너지 드링크(몬스터, 핫식스) 등은 판매하지 않는다. 개점 초창기에는 권고 사항에 따라 커피 등의 카페인 함유 품목을 교직원에 한정하여 판매하기도 했다.

2023년 11월 개점한 세븐일레븐 김천고등학교점은 푸른 송설 교정 속의 아담한 빨간 지붕 건물로,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룬다. 학생들은 깔끔한 시설을 갖춘 현대식 편의점에서 다양한 상품을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으며, 개점 이래로 높은 만족도를 유지하고 있다.

기숙사 세탁이용권(1세트 5매, 5,000원)도 매점에서 판매한다. 매점은 행정실에서의 판매를 대행하는 방식이기에 매점의 매출과는 무관하며, 따라서 현금으로만 구매할 수 있다.

한편 세븐일레븐 김천고등학교점은 전국 세븐일레븐 매장 중 매출 최상위권에 속한다고 한다.

19. 최송설당 상

최송설당 상은 원래 한국 최초로 동경미술학교(東京美術學校) 조각과를 졸업한 당대 최고 조각가로 평가받던 김복진(1901~1940)이 1935년 11월 30일 제작하였다. 1944년 일제에 의해 공출되자 1950년에 김복진의 제자이며 동경미술학교에서 목조각을 전공하고 홍익대학교 미술학부를 설립한 조각가 윤호중(1917~1967)이 원래의 상에 최대한 가깝게 재현하여 만든 것이다.

최송설당 상은 2012년 6월 19일 국가등록문화재 제49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국가등록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김천고등학교 본관 옆 교정에 서 있던 것을 2011년 송설 역사관으로 옮겼다. 현재 교정에 서 있는 동상은 역사관에 옮긴 동상의 복제품이고, 아래 받치고 있는 기단부는 원래 것이다.

20. 시계탑

파일:김천고 시계탑.jpg
시계탑

21. 분수대

파일:김천고 분수대.jpg
분수대

22. 기숙사

파일:김천고기숙사전경.jpg
김천고등학교 기숙사[48]
김천고등학교 기숙사 운영규정 제1장 제2조【운영 목적】
기숙사의 운영은 기숙사생에게 숙식 및 면학의 편의를 제공하여 학력신장에 기여하며, 공동체 생활을 통하여 건강한 신체를 기르고, 창의적인 사고 능력을 계발하여 21세기형 리더를 양성하는 데 목적을 둔다.

1935년 1월 8일 문을 연 시열재(時說齋) 기숙사, ‘시열’이란 논어의 첫머리에 나오는 ‘학이시습지 불역열호’(배우고 때로 그 배운 것을 완전히 내 것으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하랴)란 말에서 취한 것으로 곧 기쁜 마음으로 공부하는 자리라는 뜻이다. 시열재는 그 후 청운의 꿈을 품는 집이라는 청운료(靑雲寮)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6.25 이후 일부 소실되고 1957년에 철거되었다. 그 후 1990년 동문 및 교사들의 자발적인 모금활동으로 ‘청운료’ 기숙사가 재건축(42실)되어 168명의 학생들을 수용한 것이 현대적 기숙사의 시작이 되었다. 그 당시에는 보통 학생들 집보다 시설이 좋고, 대다수 학생들이 하숙/자취를 하고 있을 때라 기숙사에 입사를 하려면 우수한 성적과 올바른 생활 태도를 지닌 학생들이어야 할 정도로 입사 경쟁이 치열했다. 그 이후 증축, 리모델링을 거쳐 현재의 청운관이 되었고, 전국단위 자사고가 되면서 2012년 백운관 신축, 2017년 송림관 신축을 통해 전교생이 생활할 수 있는 기숙사 시설이 갖추어지게 되었다. 송설 캠퍼스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자리 잡은 기숙사는 1실 4인 생활, 학습실, 세탁실 등을 갖춘 인재 양성의 요람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각 생활관 별 2인의 전담 사감교사들의 헌신적인 지도를 바탕으로 열심히 공부하는 기숙사, 올바른 생활 습관을 익히는 기숙사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다.

기숙사 운영규정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다음을 참조. 김천고등학교 기숙사 운영규정

현재 김천고등학교 기숙사는 3개의 생활관이 있다.
제1기숙사는 청운관(靑雲館)으로, 1990년 9월 1일 준공되었다.[49]
제2기숙사는 백운관(白雲館)으로, 2011년 12월 20일 준공되었다.[50]
제3기숙사는 송림관(松林館)으로 2017년 9월 24일 준공되었다. [51]

22.1. 청운관

파일:김천고 청운관.jpg
청운관[52]
<nopad> 파일:리모델링 전 김천고 청운관.jpg
▲ 리모델링 전 붉은 벽돌의 청운관
김천고등학교 청운관(제1기숙사)
준공 <colbgcolor=#ffffff,#191919>1990년 9월 1일
규모 지하1층(삼일관과 동일 높이) ~ 지상 3층
연면적 667.93평
생활실 수 75
수용 가능 인원 233명
사용 학년 3학년
층별 시설안내
3층 3층 자습실
2층 세탁실, 4생활동(2401~2412호), 5생활동(2501~2510호), 6생활동(2601~2616호), 2층 자습실
1층 로비, 사감실, 상황실, 공중전화, 세탁실, 1생활동(1102~1112호), 2생활동(1201~1210호), 3생활동(1301~1316호), 1층 자습실
지하 1층 지하 자습실, 보일러실, 삼일관 연결로
청운료 준공기
모교의 숙원이던 기숙사가 우리 송설동창회의 적극적인 후원과 협찬으로 이렇게 세워 졌다. 이제 이 기숙사는 인재양성의 호당이요 진리탐구의 요람이 되었다. 입사생을 그 뜻을 바로 알고 더욱 분발하여 송설사의 새로운 장을 열게 하라.
연건평 : 667.93평 / 착공일 : 1989. 2. 14 / 준공일 : 1990. 9. 1 / 총공사비 : 540,000,000원
김천중·고등학교 기숙사건립 추진 위원회

김천고 최초의 기숙사다. 1935년 시열재란 이름으로 문을 열었고, 청운료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6.25 전쟁 이후 일부 소실되어 1957년 철거되었다. 그 후 동문과 교사의 자발적 모금활동으로 1990년에 준공되었고 2010년에 리모델링을 했다.[53] 리모델링 전에는 화장실과 세면장, 샤워실이 전부 따로따로 있었다. 리모델링을 하면서 1실 1화장실을 구비했다. 지금은 샤워실을 세탁실로 사용 중. 예전에는 1,2,3학년 전부 청운관에서 생활하였지만 백운관과 송림관이 생기면서 3학년 기숙사생들이 청운관을 사용하며, 옆의 백운관에 비해서는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다. 생활실은 1층과 2층에 거쳐 총 6개동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의 생활동이 통로로 연결되어 있어 처음 입소한 학생들은 마치 미로를 탐방하는 듯한 경험을 하게 되기도 한다.

하지만 방의 크기가 건장한 10대 고등학생들이 생활하기에는 좀 무리가 있는 크기이다. 그야말로 잠만 잘 수 있다. 1실 1화장실을 구현하는 리모델링을 진행한 이후 방 구조가 엄청나게 좁아졌기 때문이다. 4인 1실인데 4명이 자기 서랍 같은 거 하나씩 들고 오면 걸어 다니기가 힘들 정도. 화장실 또한 샤워기와 세면대와 대변기가 붙어있는지라 영 불편하다. 콘센트 또한 2개 뿐이라 부족하다. 멀티탭은 필수.[54] 그래도 심야 자습을 위한 학습실이 백운관이나 송림관이나 비교하면 잘 마련되어 있는 편이다. 이 자습실을 이유로 3학년을 가장 열악한 기숙사인 청운관에서 생활하게 한다.

청운관과 삼일관은 붙어있다. 청운관 지하 자습실 입구 옆에 있는 '관계자 외 출입금지' 문이 바로 삼일관과 연결된 보일러실이다. 보일러실을 지나면 삼일관 입구가 나온다. 출처

청운이 푸른구름이 아니라 높은 명예, 벼슬을 의미하며 靑雲之士에서 나온 말로 靑雲之士는 현인을 가리키는 것이라 청운료는 높은 뜻을 가진 이들이 모여 있는 기숙사라는 뜻이라고 한다. 재건시에도 청운료라는 이름을 이어왔으나 寮자가 일본자라는 지적을 받아 최근에는 청운관으로 변경되었다. 청운관 입구에서 볼 수 있는 현재의 기숙사 현판은 김세영 전임 이사장이 쓴 친필을 현판화 한 것이다.

2011년 당시에는 3층의 제2기숙사(청운관) 신축을 하고, 차후에 7층으로 만들어 전교생 기숙을 가능하게 하려는 계획이 있었으나 이는 2017년 송림관 건설로 실현 되었다.

22.2. 백운관

파일:김천고 백운관.jpg
백운관
<nopad> 파일:김천고 백운관 준공당시.jpg
▲ 백운관 준공 당시(2011)[55]
김천고등학교 백운관(제2기숙사)
준공 <colbgcolor=#ffffff,#191919>2011년 12월 30일
규모 지하 1층 ~ 지상 4층
연면적 3,099.49㎡
생활실 수 78
수용 가능 인원 312명
사용 학년 1학년, 2학년
층별 시설안내
4층 생활실, 세탁실, 학습실
3층 생활실, 세탁실, 공동세면실, 학습실
2층 생활실, 세탁실, 공동세면실, 학습실
1층 로비, 사감실, 공중전화, 생활실, 세탁실, 공동 세면실, 학습실
지하 1층 기계실
2011년에 완공된 기숙사로, 원래는 3층까지 밖에 없었다. 이후 한 층을 증축해 4층 건물이 되었다.

현재는 1학년 기숙사생 전원과 2학년 기숙사생 일부가 백운관을 사용한다. 2학년은 1층, 1학년은 2~4층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56] 방 크기가 타 기숙사[57]에 비해 압도적으로 넓다.[58] 지하 1층[59] ~ 지상 4층의 규모로 청운관과 마찬가지로 사감실, 자습실, 세탁실 등의 부가시설도 있다. 청운관에 비하면 방의 크기가 압도적으로 넓고 [60], 화장실 또한 대변기와 세면대와 샤워기가 분리되어 있어, 시간이 촉박한 아침에 기숙사생들의 이동률을 극대화 시켜준다. 대변기가 있는 공간이 매우 협소하다. 문은 안쪽으로 열리기 때문에 들어가서 문을 닫을 때 몸을 비틀어서 닫아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샤워실은 굉장히 넓어서 샤워기 반대편(뒤쪽)에 있는 옷걸이에 옷이랑 수건을 걸어 놓고 머리를 감거나 샤워를 한다.[61] 2022년엔 모종의 사유로 인해 백운관 생활반장은 동급생이 맡는 제도로 변경되었다.[62]

원래 2015년까지는 현재보다 방이 층마다 1~2개 정도 적었다. 그러나 중반기에서 후반기 즈음 각 층의 쓰지 않는 공용 화장실[63]을 개조하여 부족한 방수를 채웠다. 새로 증축한 층들의 침대는 크고 높은 편으로 매트리스 또한 비교적 좋아 학생들이 선호한다. 단, 높이가 높아서 올라가면 은근 무섭다. 사다리도 고정이 안 돼있어서 움직일 때마다 심장이 철렁한다.[64][65] 방은 2층기준 2종류로 침대가 작고 방이 큰 경우와 침대가 넓고 방이 좁은 경우가 있다. 보통 후자를 선호한다.

콘센트가 정말 많다. 1인 2개씩 사용할 수 있다. 송림관은 1인 1개인데 비해 많다. 하지만 침대 위치를 조금 옮기는 수고를 하지 않으면 하나밖에 쓸 수 없다. 냉난방기의 능력 또한 60도까지 올라가는 등 엄청난 편이다.[66] 1층 자습실에는 대형 TV가 설치되어 있어 주말 자유시간이나 큰 스포츠 경기를 볼 수 있게 해준다. 가끔은 새벽에 하는 유럽 리그나 국가대표 경기를 틀어주기도 한다.[67][68]

시험기간에는 옆 기숙사인 청운관에 가서 자습을 할 수도 있다. 2022년 청운관 학습실의 책상을 새로 바꿈으로써 더 넓고 쾌적한 책상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참고로 청운관으로 이동시 심야자습 중간에 백운관으로 돌아가지 못하므로 컨디션 조절이 필요한 학생은 청운관 학습을 피하고 백운관에서 자습하다가 자고 싶을 때 편하게 자도록 하자.

자습실은 모두 칸막이가 있는 독서실 책상과 같은 형태를 띄고 있다.[69] 허나 공간이 일부 협소하고, 옆에 책을 쌓아 두었다간 책을 완전히 펴지 못 할 수도 있다. 팔을 벌리고 엎드려서 공부하는 것은 당연히 불가능하다. 다른 학생들과 잡담이 일체 불가능한 구조로 되어있어서 복도와 다르게 자습실 내부는 매우 조용한 편이다.

모든 학습실의 문이 고정되어 있지 않는 유리문으로 되어 있는데, 문이 크게 흔들릴 때마다 전력조절장치가 있는 철문이 흔들려서 굉장히 시끄럽다. 매너가 있다면 조용히 여닫도록 하자. 2018년까지는 정수기가 자습실에 있었기 때문에 유동인구가 꽤 많았는데 그로 인한 소음까지 발생해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굉장히 큰 방해가 되었다 한다. 현재는 정수기가 자습실 밖 공간에 위치해 있다.

학습실의 자리는 먼저 잡는 사람이 임자이다. 어째선지 학기 초에 학습실 자리 경쟁이 치열한데, 이 때 일찍 가서 책을 얹어 놓아야 한다.[70] 시험기간에도 마찬가지. 하지만 평소에는 그렇게까지 많이 심야자습을 하지 않아서 자리가 남는 경우가 많다.

샤워기가 온도 조절과 수압 조절이 분리되어있는 형태이다.[71] 온도를 조금 바꿀 때마다 극한의 온도를 경험할 수 있으므로 적당한 온도에 맞춘 후 바꾸지 않고 쓰는 편이 좋다.[72]

22.3. 송림관

파일:김천고 송림관.png
송림관
<nopad> 파일:김천고 송림관 건축 투시도.png
▲ 송림관 건축 투시도
파일:김천고 송림관 계단.jpg
▲ 송림관 계단
파일:김천고 송림관 자습실.jpg
▲ 송림관 학습실
김천고등학교 송림관(제3기숙사)
준공 <colbgcolor=#ffffff,#191919>2017년 9월 24일
규모 지상 4층
연면적 2,219㎡
생활실 수 47
수용 가능 인원 188명
사용 학년 2학년, 3학년
층별 시설안내
4층 생활실, 세탁실, 학습실
3층 생활실, 세탁실, 학습실
2층 생활실, 세탁실, 학습실
1층 로비, 사감실, 공중전화, 생활실, 세탁실, 공동화장실, 학습실, 창고, 기계실
제3기숙사(송림관)는 2017년 2월부터 약 230여 일간 공사를 진행하였고, 동년 9월 24일에 준공되었다. 연면적 2,219㎡(약671평), 지상 4층 47실로 188명이 수용 가능하다. 이로써 김천고는 전교생이 기숙사 생활이 가능한 기숙형 학교가 되었다.

시설은 백운관과 비슷하고, 차이점은 계단이 원형 계단[73]이라 좀 더 올라가기 버거워졌고 백운관에 비해 복도만 조금 짧아졌다고 생각하면 된다. 대신 송림관에 사는 사생에겐 백운관의 사생에 비해 기숙사로 올라가는 길이 짧아졌다. 실제로 보면 엄청나게 최근에 지어진 건물임을 알 정도로 외관이 깨끗해보인다.

2018년, 송림관 뒤편 절개지 보강공사를 진행하였다. 산 경사 지반에 건물이 위치해 있기에 1층 사감실과 학습실에는 창이 나있지만 반대 방향인 학습실은 땅과 맞닿아 있어 창이 없다. 뒷편은 2층부터가 밖이 1층 격으로 보인다.

송림관은 1층에서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 수가 많은데, 이는 이후에 야간자습실이 있는 도서관과의 구름다리를 만들기 위해 높이를 맞춘 것 때문이라고 한다.[74] 1층 학습실 천장이 높으며, 밖에서 봤을 때도 1층과 2층 사이 간격이 다른 층보다 상당히 멀어 보인다. 여기서 급식소를 가려면 급식을 먹고 나오는 후문을 지나쳐 우회해서 정문으로 들어가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한다. 사감도 등교 시간을 알려주는 방송을 할 때에 후문으로 들어가지 말라고 미리 알려준다.

자습실은 1층부터 4층까지 다 있고 밖에서 봤을 때 통유리로 된 건물 중앙 부분이 모두 자습실이다. 사진과 같이 한쪽 벽면 전체가 통유리이기 때문에 청운관과 백운관과 달리 경치가 상당히 좋다. 특별히 3층은 딱 8자리 커브드 팔걸이 의자가 있어서 인기가 높다. 심지어 컴퓨터도 있다. 롤도 돌아간다![75] 얼마 전까지만 해도 송림관의 자습실에 자리가 부족해서 야자가 끝나고 기숙사로 올라올 때 난리가 났었다. 지금은 자리 수가 늘어나 큰 어려움은 없어보인다. 시험기간엔 백운관과 마찬가지로 사감에게 개인적으로 부탁하면 청운관에 가서 자습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거의 하지 않는다.

1층에는 4명이 앉을 수 있는 큰 테이블 4개와 나무로 된 교실 책상과 의자들이 여러 개 있다. 2층부터 4층까지는 교실 책상과 의자, 그리고 3층에는 랜선과 콘센트가 있는 1자로 된 긴 책상이 있다. 학습실 가운데에는 콘센트가 2개 있어서 노트북 충전기를 꽂고 사용하기도 한다. 백운관과 마찬가지로 랜선 자리 중 2자리는 생활반장 전용 자리이며, 공유기가 설치된 이후로 랜선은 사용하지 않는다. 백운관과 마찬가지로 고정되어 있지 않은 유리문과 전력조절장치가 학습실에 있어서 문이 크게 흔들리면 굉장히 시끄럽다. 어째선지 백운관에 비해 정수기의 디자인이 멋지다. 백운관과 마찬가지로 공유기는 철거되었다.

송림관의 콘센트는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어서 기본 1인당 1개밖에 사용하지 못한다. 휴대용 무선공유기를 사용할 때는 노트북과 무선공유기 모두 충전해야 해서 매우 큰 불편함이 있었다. 혹시 콘센트를 많이 써야한다면 멀티탭을 꼭 챙겨오자. 몇몇 방은 옷장 옆에 추가로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으니 사용할 수 있다.

송림관에는 대변기가 있는 공간이 백운관에 비해 넓다. 환풍기와 전등이 같은 스위치로 작동한다. 또한 미닫이문이어서 문을 닫을 때도 편리하다. 문을 세게 닫을 때는 부딪히기 전에 천천히 닫히는 디테일까지 있다! 그러나 잠금장치가 없다. 발로 막을 수는 있으나 상당히 불편한 자세가 만들어진다. 샤워실은 백운관에 비해 압도적으로 좁다. 대변기가 있는 곳을 넓히고 샤워실을 줄인 듯한 구조이다. 옷걸이도 없다. 세면대 옆에 있는 옷걸이나 샤워실 문 밖의 손잡이에 옷과 수건을 걸어 놓고 샤워를 하는 것이 편하다. 샤워기의 형태는 일반적인 샤워기의 형태로, 수온과 수압이 한 번에 조절된다.[76]

23. 솔도서관

파일:솔도서관 전경.jpg 파일:솔도서관 주차장.jpg
솔도서관
김천고등학교 솔도서관
개관일 <colbgcolor=#ffffff,#191919>2005년 4월 12일
규모 지상 2층
연면적 1,368.5㎡ (414평)[77]
건축면적 703.2㎡
보유 장서 수 2만5천여권
층별 시설안내
2층 학부모 회의실, 학열재(교실 1~9호, 4호 : 노래방)
1층 도서관(열람실, 토론실, 사서실), 택배실
학교정문에서 언덕을 따라 올라가면 급식소 가기 전, 송림관 아래에 위치한 면적 1,368.5㎡의 붉은 벽돌 2층 건물이다.

세심관, 예지관과 통틀어서 이 건물 또한 비교적 최근에 지어진 건물로서 1층에는 도서관(열람실, 토론실, 사서실), 2층에는 학열재가 있다. 학열재에선 소형 교실 9개가 있고, 야간특강이 이루어진다. 야간특강이란 야간자율학습 시간에 각 교과 교사들이 필요한 학생들을 위해 한 교시 정도 특강을 진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시간에 야간 특강은 원래 1학년의 각 교실에서 열었었다. 그래서 원래 그 시간동안 자습을 원래 학열재 자리에 있던 자습실에서 하였지만 동선의 불필요, 감염병 취약 등을 이유로 야간특강을 할 교실을 만들어 달라는 요구가 있었고, 학교는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고 차츰차츰 미뤄왔지만 결국 학열재가 건설되었다.

장서 종류 또한 책장 수에 비에서는 다양하다. 도서관 내부에 있는 교실에서 토론수업이 이루어지며 토마독[78] 또한 이곳에서 이루어진다. 또, 1층 도서관 안에는 토론실이 있기 때문에, 토론부라면 셀 수 없이 드나들게 된다. 수시 지원을 한 3학년 학생들이 면접과 논술 준비를 하는 곳이기도 하다.

도서관 이용시간은 평일 9시부터 5시까지이다. 공휴일, 국경일, 전교생이 참가하는 학교행사일에는 휴관한다. 대출권수는 학생은 1인 3책, 다독자나 도서부, 교직원은 1인 5책까지 가능하다. 대출기간은 10일이며, 연장 5일 1회까지 가능하다. 반드시 본인의 대출증(학생증)으로 대출하여야만 독서 기록 확인 시 불이익이 없을 것이다.

그리고 택배실이 있다. 재학생들은 택배를 솔도서관 내 택배실에서 받을 수 있다. 택배 수령 기간은 "평일" 오전 10시 30분부터 오후 06시 30분까지이며, 오전 11시 40분 부터 오후 12시 40분까지는 택배실 점심 휴게시간이다. 쉬는 시간과 점심 시간(12시 40분 이후) 외에는 택배 수령이 불가능하며, 수업이나 동아리 활동을 째고 택배실에 갔다가 선생님과 마주치면 행복한 개인 면담 시간이 잡힐 수 있다. 쿠팡의 경우 물량이 밀려서 택배실이 닫혀 있을 때 도착하면 그냥 문 앞에 쌓아두고 사진 찍고 간다. 보통 대용량으로 생수를 시킨 경우에는 택배실 앞에 놔두고 가는 경우가 다반사다.

학림관과 가깝기 때문에 교직원 대부분이 솔도서관 앞 주차장에 주차한다.

2019년, 백운관에서 시험기간에 가는 원정자습을 2층 자습실에서 시행할 계획이 있었으나 너무 멀고 기상이변에 대처하기 어렵다는 1학년과 백운관 사감의 의견에 따라 무산되었다. 그리고 현재 2층 전체 자습공간은 사라졌으며, 야간 및 주말특강, 동아리 활동을 위한 소형 교실로 개조되어 활용되는 중이다.

2023년 2학기 중 동창회의 지원을 받아 솔도서관 2층 학열재 4호 교실 내부에 TJ 노래방기계 총 8대를 설치하였다. [79] 노래방 운영 시간은 12:00~13:50, 18:00~19:00이다. 이용시간 이후에는 콘센트 타이머가 있어 기계 전원이 자동으로 꺼진다. 결제 금액 환불이 불가하다.

24. 삼일관

파일:김천중고 삼일관.jpg
삼일관
3학년 기숙사인 청운관 아래에 위치한 급식실이다. 청운관 지하1층 높이, 청운관 입구에서 서쪽 방향으로 내려오면 입구가 있다. 점심에는 김천고등학교 학생뿐만 아니라 김천중학교 학생도 배식을 하기에 배식 피크타임에는 사람이 끝도 없이 계속 들어오는 진풍경을 볼 수도 있다.[80][81] 들어오는 출입구를 기준으로 5시 방향과 10시 방향에 각각 퇴식구가 자리해있으며, 5시 방향 퇴식구는 일찍 고리를 걸어 잠근다.

배식 형태는 밥, 김치, 반찬은 자율 배식으로, 국과 메인 메뉴는 조리원들의 배식으로 이루어진다.[82][83]

2023년 2학기를 기점으로 조식이 뷔페식으로 변경되었다. 식빵(토스트기 이용가능), 딸기잼, 시리얼, 우유, 주스 및 한식(밥, 국과 반찬)이 기본 구성으로 제공되며 간단한 호텔 조식을 먹는 듯한 식사를 할 수 있게 되어 학생들로부터 많은 호평을 받았다.

25. 송림정

파일:김천고 송림정.jpg
송림정
송림관과 청운관 사이, 삼일관 북쪽 출구로 나오면 보이는 정자와 그 일대 부지를 송림정이라고 한다. 부지 내 팔각정는 송설39회에서 기증한 것으로, 송림정이라 명명했다.

26. 백운정

파일:김천고 백운정.jpg
백운정
백운관 서편 출구로 나오면 보이는 정자와 쉼터 부지로, 백운정이라고 한다. 2013년 11월 23일, 송설 47회 동기생이 졸업 30주년을 기념하여 모교 방문행사를 하면서 모교의 백운관 앞에 백운정이라는 쉼터를 기증하였다. 부지 내 사각정 밑을 보면 종종 고양이를 발견할 수 있다. 사감이 밥을 주기 때문에 청운관, 백운관, 송림관, 삼일관, 송정 일대에서 고양이가 빈번히 출몰한다. 정자 옆에는 탱자나무가 있어 여름부터 초록색 열매가 달려 가을에 탱자가 익는 것을 볼 수 있다. 백운정과 백운관 올라가는 길 사이에는 기숙사 송설이라고 회양목 조경이 되어 있다.

27. 풀장

파일:김천고 풀장.jpg
풀장 준공(1936)
1936년 9월 25일 준공된 풀장은 백운정 건너, 송정의 취백헌 옆에 위치해 있다. 학교 초창기 시절 수영장으로 이용되던 곳이며 현재는 사용하지 않으나 형태와 터가 그대로 남아있다. 어느 순간부터 대나무가 자생하더니 2010년대 들어 대나무숲을 이루고 있다.

28. 설립자 최송설당 여사 묘소

29. 정걸재

1919년에 송설당은 김천시 부곡동 뒷동산 고성산록에 조상을 모시는 고부재실(古阜齋室)로 정걸재(貞傑齋)를 지었으나, 6·25전쟁 때 소실되어 현재 등청문에 오르는 계단과 주춧돌만이 남아있다.

30. 취백헌

1935년 정걸재의 부속건물로 지었다는 취백헌은 아직 보존되고 있는 건물이다.

31. 대나무 숲

파일:김천고등학교 대나무 숲.jpg
대나무 숲
옛 풀장 터와 취백헌 뒤쪽 일대에 어느 순간 대나무 숲이 울창해졌다. 과거에 조수보호구였다.

32. 송연지

파일:송연지 봄1.jpg 파일:송연지 여름.jpg
파일:송연지 가을.jpg 파일:송연지 겨울1.jpg
송연지의 사계
송연지(松蓮池)는 취백헌 앞에 있는 연못으로 소나무와 연꽃이 조화를 이루어 붙인 이름이다. 송연지와 홍연지 두 연못 이름은 2008년쯤 공모를 통해 정해졌다. 봄에는 영산홍이, 여름엔 수련과 배롱나무 연보라빛 꽃이 핀다.

33. 송정 근린 운동 시설

34. 무궁화 동산

파일:무궁화동산.jpg
무궁화동산
송설 100주년 기념 사업이자 학교 숲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2024년 11월 24일 김천고 송정 부지에 무궁화 동산이 준공되었다. 이로써 교가 2절에 나오는 '내력 깊고 자랑 많은 무궁화 동산.'의 그 '무궁화 동산'이 송설인에게 '마음의 고향'이라고 할 수 있는 송정에 실제로 조성된 것이다.

무궁화는 '궁핍없이 오래가는 꽃'이라는 의미를 가진 꽃으로, 송설 인재들이 끊임없이 오래 이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름을 무궁화 동산으로 지정하였다고 한다. 무궁화가 식재된 김천고 학교 숲 조성 사업은 경상북도 교육청 지원비 약 2억 5천만원, 김천시 지원비 약 2억 5천만원을 바탕으로 진행되었으며, 전체 1,500평 규모에 무궁화 64주, 에매랄드 그린 외 상록 관목 18주, 잔디 400여 평과 산책로, 쉼터, 생태 교육 공간 등이 설치될 예정이다. 조성은 김천시 산림조합에서 담당하였다.

===# 개원 축시 #===
우리들의 마음자리 열리는 곳에[84]
박인기(송설 32회, 경인교육대학교 명예교수)


일찍 이곳에 송설당의 선각이 있어
이 나라 무궁화 강토 이어갈
배움의 자리 우뚝 서고
백 년의 세월이 일어섰다.

오늘, 청운을 품는 송정의 언덕
큰 이상의 새로운 일, 우러르는 자리
여기, 무궁화 자라는 동산에
이름 아름답고, 의미 도타운
'우리 마음자리' 열었다.

송설의 건아들이여
질풍노도 청춘의 시절
혼돈과 창조의 소용돌이에서
용솟음치고, 부대끼고, 흔들릴 때

여기 '우리 마음자리'에 올라
그대들 마음의 성숙을 명상하라.

송설의 사람들아,
교문을 떠나 아득히 떠돌던 바깥의 세월
그때 내 순정한 마음의 자리는 어디였던가
그때 내 단단한 마음의 자리는 어디였던가
그때 우리 같은 뜻 향하던 마음의 자리는 어디였던가
그때 우리 맹세했던 마음의 자리는 어디였던가

눈을 들어 생각해 보라.
여기 일찍이 우리를 키워냈던
'우리 마음의 자리'였으니
여기 너와 나의 미래를 품어냈던
'우리 마음의 자리'였으니

오라!
오늘 이렇듯 새롭게 다가오는
오늘 이렇듯 다정하게 열리는
'우리 마음자리'로 오라.

이제 여기 '우리 마음자리'에서는
우리들 서있는 마음
우리들 떠도는 마음
우리들 웅크린마음
우리들 서러운마음
우리들 서성이는 마음
모두에게 꿈과 위안의 자리를 허락하노니

오라,
우리 마음자리로
가자 우리 마음자리로

오직, 우정과 감사와 희망을 베풀어
한 가지로맘에 새긴 이상의 보람
우리들 마음에 피어나게 할지니
동산에 꽃피는사연
송정에 구름 흐르는 사연을
우리의 마음으로 노래하게 하자.


2024년 11월 24일

35. 녹색체험학습장




[1] 門-① : 정문, 門-② : 후문, 門-③ : 쪽문[2] 월정 정주상 선생님의 수제자로, 서울대학교 교수들의 '문곡연담'이라는 서예 모임을 지도하고 있으며 '난정필회'의 회장이다.[3] 지하 1층 : 1,407.6 ㎡ (426평), 1층 : 1,564.68 ㎡ (473평), 2층 : 68.4㎡ (21평)[4] 김천중학교와 같이 사용한다. 김천중학교에서는 스포츠시간 배드민턴반이 이 체육관을 사용하고, 우연찮게 고등학교 태권도부가 이 체육관을 사용하고 있으면 운동장으로 나가서 스포츠활동을 한다. 다만 교사 허락 하에 같이 배드민턴도 칠 수 있다.[5] 여기서 송설 삼품제의 체품을 딸 수 있는 승단심사가 이루어진다.[6] 송설한마음축제, 송설아카데믹페스티벌 등[7] 1학년을 대상으로 태권도 의무 교육이 진행된다. 2학년, 3학년은 입장할 이유도 없는 곳. 그래서 체육 수업 장소로 모두가 기피하는 곳이기도 하다.[8] 그렇다고 월북은 하지 말자.[9] 웬만큼 시간이 촉박한 상황이 아니라면 추천하지 않는다.[10] 교칙을 준수하는 송설인은 이것을 악용하지 말자.[11] Pergola, 산책로나 벤치가 있는 곳에 기둥을 세우고 들보를 올린 후 덩굴 식물로 지붕을 덮어 햇볕을 가려주는 조경 시설이다.[12] 일명 송설컵.[13] 백운관 앞에 백운정이라는 쉼터와 함께[14] 물론 시설물 관리자(선생님)에게 사용허가를 받아야 한다.[15]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김천문화대전 문재원 집필[16] 흡음벽을 갖추었다.[17] 물리실, 화학실, 생물실, 지구과학실, 과학준비실[18] 어떤 이유인지 지금은 계단 위에 치워놓았다. 중앙 계단을 따라 3층을 가면 보인다.[19] 감천(鑑川) : 지금의 ‘감천(甘川)’을 과거에는 ‘감천(鑑川)’ 또는 ‘감호(鑑湖)’로 불렀음. 문암(文巖) 박용수(朴龍秀)의 <구성가(龜城歌)>와 양계(陽溪) 이복(李馥)의 <유금오산록(遊金烏山錄)> 등의 글에 이런 표현이 보임.[20] 지과모전(紙裹茅纏) : 종이로 싸고 띠풀로 감는다는 말로, 구차한 방식으로 어떤 일을 행하는 것을 말함.[21] 거영재굴(擧贏財詘) : 어려운 시기임에도 남아도는 것처럼 사치스럽게 일을 시행하여 재물이 고갈됨을 말함. ‘거영’은 어려운 시기임에도 남아도는 것처럼 일을 시행함을 말함.[22] 맥로상공(麥艫相公) : 송나라의 명재상 범중엄(范仲淹)의 아들로 역시 재상을 지낸 범순인(范純仁. 字 堯夫)을 말하는 듯함. 여기서 말하는‘麥艫’는 보리를 실어 나르는 배인 ‘麥舟’를 말하며, ‘맥주’는 장례 등 남의 어려운 일에 도와준다는 뜻. 범중엄의 아들 요부(堯夫)가 배에 가득 실은 보리를 형편이 어려워서 장례를 치르지 못하는 석만경(石曼卿)에게 주고 돌아왔다는 고사에서 연유함.[23] 송수근(宋壽根) : 1896~1969. 야성인(冶城人) 자는 강숙(康淑), 호는 은포(隱圃), 성산 고산(高山)에 살았다. 송희규(宋希奎)의 후손이며 의사(義士) 송준필(宋俊弼)의 아들이다. 부명(父命)으로 1919년 파리장서 서명운동을 전개하였고, 여보회(呂寶會)·송회근(宋晦根)에게 군자금을 받아 김창숙에게 전달하였다. 이후 성주장터 만세운동을 추진하던 중 일경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으나 출옥 후에도 군자금 모금에 힘썼다. 신간회(新幹會) 성주지회를 조직하였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상량문 원본에는 지은이 송수근 선생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일제시대 때에 이병연(李秉延)이 지은 지리서《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에는 송수근 선생의 글이라고 되어 있음.(《송설 60년사》참조)
[24] 1935년에 당시 최고의 조각가인 김복진에 의해 제작됐으나 1944년 일제에 의해 공출되고 이후 그의 제자인 윤호중(1917~1967, 한국 최초로 동경미술학교 목조각 전공, 홍익대학교 미술학부 설립자)에 의해 1950년 재현된 것으로 한국전쟁 동안 포화를 이겨낸 역사적 의미가 큰 동상으로 평가받고 있다.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동상 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된 작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용접 기술이 발달하기 이전에 리벳(rivet)으로 청동판을 연결시켜 조각상을 만들던 기술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등록문화유산 제496호로 지정되어 있다.[25] 그러나 이것을 쓰고 다니는 사람을 한 명도 보지 못했다.[26] 진로상담부장 상주[27] 관계자 외 출입금지[28] 관계자 외 출입금지[29] 운영시간 : 09:00~16:00[30] 한문 및 서예실[31] 농협밖에 없으므로 수수료를 내기 싫다면 당장 개설하도록 하자[32] 공중 전화기는 대부분 기숙사 전화기를 사용한다.[33] 2학년 3반, 2학년 4반 교실 사이에 있는 계단 맞은편에 통로가 있다.[34] 학년부장 교사, 담임 교사를 제외한 교사들은 본교무실에서 근무하게 된다.[35] 2022년 기준, 코로나19 자가진단키트 검사 결과 양성이 확인되면 B-3 교실에 격리 후 집으로 귀가조치했다.[36] 현재 학년 교무실 옆 계단 사이에 방화셔터같은 부분이 바로 증축한 부분의 경계선이다. 밖의 외벽을 보면 건물의 경계선이 보인다.[37] 하얀색 타일 이전에는 쥐색 타일이었다. 그리고 흰색이 긁히고 때묻어 검은색 무늬가 생겼다.[38] 3세대이며, iPad를 가지고 다니는 교사에 한해 AirPlay를 사용해 미러링하여 수업을 하기도 한다.[39] 2015년까지만 해도 문을 닫으면 소리가 울리는 철문, 열리지 않는 나무 창틀로 쾌적하지 못했고, 예지관에 있는 잘 작동되지 않는 전자교탁을 사용했다. 그 전자교탁은 아직도 몇 개 남아있으며 실제로 2019년 현재까지도 본관의 물리실에서 물리 교사가 여전히 잘 사용하고 있다.[40] 파일:김천고구강당.jpg[41] 파일:예지관동측면.jpg[42] 이것으로 학림관에서 본 예지관의 1층은 지하처럼 보이지만 건물 반대편은 지상으로 열려있다. 예지관의 2층이 학림관의 1층과 높이가 같다.[43] 파일:예지관모형.jpg[44] 파일:예지관중정.jpg[45] 테라스 공간은 3학년을 대상으로 한 휴식 장소라 1, 2학년은 입장이 제한되나 전 학년 또는 해당 학년을 대상으로 한 행사가 테라스에서 개최된 경우 행사 기간 동안 출입을 허용하고 있다.[46] 원래는 학생휴게실이 있던 장소이다.[47] 커튼월은 한국의 기후 특성상 냉방부하가 더 요구된다. 게다가 열관류율도 높아서 기후를 그대로 느낄 수밖에..[48] 상단부터 백운관, 청운관(삼일관과 붙어 있음), 삼일관(하늘색 지붕), 송림관(하단 좌측), 솔도서관(하단 우측)[49] 대부분의 3학년이 사용.[50] 대부분의 1학년이 사용.[51] 대부분의 2학년이 사용.[52] 붉은 벽돌의 청운관은 파란색 외장 마감으로 2011년 12월 리모델링되었다.[53] 리모델링 공사 기간동안 기숙사생들은 모텔에서 생활해서 뉴스에까지 나온 적이 있다.[54] 방당 1개로 제한하고 있어 다들 2개 이상씩 꽂아쓰다 등교할 때면 뽑아두고 간다.[55] 보이는 것처럼 3층임을 알 수 있다.[56] 2018년에는 송림관이 완공되어서 1학년 일부와 2학년 기숙사생들이 사용했다.[57] 청운관, 송림관. 청운관의 경우 방의 크기가 백운관의 절반 정도이다.[58] 그래서 벌점이 높거나, 학교 규정을 지키지 않은 것으로 청운관으로 유배를 가게 되었을 때, 압도적인 방 크기 차이에 놀라기도 한다.[59] 별거 없다. 있는건 기계실 정도. 책상이 붙어있고 돌아가는 의자가 있으며, 주로 이야기를 하면서 진행해야 하는 과제 등을 수행할 때 사용한다.[60] 특히 1층은 다른 층보다 침대가 작은 편이라서 더 넓어 보이고, 4층에 증축한 방은 그냥 방 자체가 넓다.[61] 이래도 옷에 물이 튀지 않는다![62] 현재는 다시 2학년 생활반장이 복귀하였으나 이전의 '생활반장' 명칭은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다.[63] 아예 잠가놓고 창고로 썼다.[64] 백운관 1층의 침대에는 사다리가 고정되어있는데, 수직으로 되어 있어서 학기 초에 고생을 할 수도 있다.[65] 현재는 테이프로 고정된 상태이다.[66] 더위, 추위에 약해지는 체질변화를 경험할 수 있다. 특히 난방기의 경우에는 어떤 날에는 잠을 못 잘 정도로 뜨겁게 해준다. 물론 온도조절은 가능하다.[67] 당시 선구자로써 팁을 주자면, HDMI가 답이다.[68] 물론 지금은 노트북을 기숙사에 가지고갔다가는...[69] 앞 사람의 얼굴을 보지 않아도 된다![70] 친구와 돌아가면서 자리를 잡아주면 편하다.[71] 목욕탕 샤워기와 유사하게 생겼다.[72] 샤워기 헤드가 많이 낡았으니 다이소에서 하나 구매해오는 것을 추천한다.[73] 정확히 말하자면 사진과 같은 사다리꼴이다.[74] 2018년 이후 도서관 자습이 폐지된 관계로 무거운 짐을 옮길 때 불편한 사항으로만 작용한다.[75] 물론 몰래몰래 해야지 걸리면 바로 방송으로 지적당한다.[76] 온도의 변화가 매우 심한데, 물을 껐다 킬때마다 온도가 바뀌어서 샤워를 하다 보면 화가 난다. 보일러를 틀어놓았을 경우 갑작스럽게 물이 뜨거워질 때도 있으니 주의하자.[77] 1층 : 700.8㎡ (212평), 2층 : 667.7㎡ (202평)[78] 요일 라톤 [79] 현금 사용은 불가능하다. 오직 신용카드 결제만 가능하며, 2,000원(6곡)만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른 옵션은 없다. 3곡만 부르고 싶은데...[80] 다만 같은 시간에 같이 배식을 하게 되면 학생들이 너무 많이 올라와 혼돈을 줄 수 있기에, 김천고등학교 학생들이 먼저 배식을 한 후 김천중학교 학생들이 올라와 밥을 먹는다.[81] 그 외에도 SNS(송설 뉴스타트 캠프)기간에 1학넌 신입생의 배식 이후에 2, 3학넌이 서로 먼저 줄을 서겠다고 눈치싸움을 하기도 한다[82] 그럼에도 불구하고 때때로 인기 있는 메인 메뉴는 늦게 가면 없기도 하다.[83] 그러나 대부분은 마지막에 많이 남으므로 최대한 늦게 가는걸 추천한다! 그러나 너무 늦지 않게 시간 보고 들어가길 바란다. 안 그러면 야단 맞을 수도 있으니.[84] <송정 무궁화동산 '우리 마음자리' 개원 축시>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김천고등학교|김천고등학교]]}}}{{{#!if external != "o"
[[김천고등학교]]}}}}}}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김천고등학교?uuid=d6bf016d-f95d-4af6-b8fb-90f72ff0debe|r2604]]}}}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김천고등학교?uuid=d6bf016d-f95d-4af6-b8fb-90f72ff0debe#s-5|5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김천고등학교?from=2604|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김천고등학교|김천고등학교]]}}}{{{#!if external != "o"
[[김천고등학교]]}}}}}}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김천고등학교?uuid=d6bf016d-f95d-4af6-b8fb-90f72ff0debe|r2604]]}}}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김천고등학교?uuid=d6bf016d-f95d-4af6-b8fb-90f72ff0debe#s-5|5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김천고등학교?from=2604|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