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短調 / Minor Key단조(短調, Minor Key)는 음악에서 단음계의 화음들을 으뜸화음으로 삼아 진행되는 조성을 가리킨다.
장조와 함께 현대 대중음악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조성 중 하나이며[1], 후술하듯 특히 우울하고 가라앉은 분위기의 곡을 작곡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편이다.
2. 상세
<rowcolor=black,white> 단조로 바꿔 연주한 반짝반짝 작은 별 다장조(C Major) → 다단조(C Minor) 조성으로 바뀌었으며, 곡의 분위기 또한 어두워졌다. | 단조[2]1음과 3음의 음정이 단 3도의 관계를 가진 선법이라는 의미다. 이 곡이 작곡될 당시에는 아직 장/단조라는 개념 자체가 없었기 때문.]로 이조한 카논 라장조(D Major) → 라단조(D Minor) 조성으로 바뀌었으며, 훨씬 구슬픈 분위기로 바뀌었다.[3][4] | 단조로 이조한 롯데껌 CF 조성은 가장조(A Major) → 내림마단조(B♭ Minor)로 바뀌었다. 제시된 케이스 중 유일하게 기존 조성과 전조된 조성의 으뜸음이 다르다. |
TV 방송 음악을 단조로 바꿔보자
유명한 장조 노래들을 단조로 바꿔보자[5]
단조는 단화음(마이너 코드)이 곡의 전체적인 구성을 이끌어가며, 다이어토닉 코드중에서도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주요 3화음까지도 전부 단화음이기에[6] 일반적으로 어둡고 차분하며, 우울한 분위기를 낸다.[7]
단조는 과거 유럽에서 사용되던 선법 중 하나인 에올리아 선법(Aeolian Mode)을 그 기원으로 한다.[8] 이후 선법 음악들이 장조와 단조를 중심점으로 삼은 조성 음악들로 개편되면서 에올리아 선법은 단조(Minor Key)라는 새로운 이름을 얻고 현재까지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조성의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어떤 단조의 으뜸음에서 단3도(3반음) 위 음이 으뜸음인 장조와의 관계를 '나란한 조\'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가단조(A-B-C-D-E-F-G)와 다장조(C-D-E-F-G-A-B-C), 조표에 ♭이 1개 달린 라단조(D-E-F-G-A-B♭-C)와 바장조(F-G-A-B♭-C-D-E-F)는 조표가 같고 사용하는 음이 똑같다.
으뜸음이 같은 장조와 단조의 관계를 '같은 으뜸음 조\'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조표에 아무것도 없는 다장조(C-D-E-F-G-A-B)와 조표에 ♭이 3개 달린 다단조(C-D-E♭-F-G-A♭-B♭)는 조표는 다르지만 으뜸음이 같다.
단조의 1차 관계조는 다음과 같다. 다음은 가령 가단조(A단조) 기준.
E단조 (딸림조) | G장조 (딸림조의 나란한 조) | |
A장조 (같은 으뜸음 조) | A단조[9] (원조) | C장조 (나란한 조) |
D단조 (버금딸림조) | F장조 (버금딸림조의 나란한 조) |
단조에서의 이명동음조는 다음과 같다.
- 올림사단조 (G♯ Minor) - ♯5 (= 내림가단조 (A♭ Minor) - ♭7)[10]
- 올림라단조 (D♯ Minor) - ♯6 (= 내림마단조 (E♭ Minor) - ♭6)
- 올림가단조 (A♯ Minor) - ♯7 (= 내림나단조 (B♭ Minor) - ♭5)
- 올림사단조 (G♯ Minor) - ♯5
- 올림라단조 (D♯ Minor) - ♯6
- 올림가단조 (A♯ Minor) - ♯7
단조에서 가장 널리, 또 자주 사용되는 온음계(다이어토닉 스케일)은 자연단음계(네추럴 마이너 스케일, Natural Minor Scale)인데, 이 자연 단음계는 근음 - 장2도 - 단3도 - 완전4도 - 완전5도 - 단6도 - 단7도 음정을 거쳐 한 옥타브 위의 근음(완전8도)으로 이어진다. 그런데 이 단7도와 완전8도는 간격이 온음 간격이기에 장조의 7음 - 8음 사이에 반음 간격에 의해 발생하는 근음으로의 끌림(리딩 톤)을 이끌어내기가 힘든 편이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여 자연단음계의 7음을 강제로 반음 올려 7음과 8음의 간격을 반음 간격으로 조정해준 음계가 등장하였는데, 이걸 화성단음계(하모닉 마이너 스케일, Harmonic Minor Scale)라 부르며, 자연단음계의 대체재로써 매우 널리 사용된다.
화성단음계 외에도 자연단음계의 대체재로 널리 사용되는 음계로는 가락단음계(멜로딕 마이너 스케일, Melodic Minor Scale), 재즈단음계(재즈 마이너 스케일, Jazz Minor Scale), 이중화성단음계(더블 하모닉 마이너 스케일, Double Harmonic Minor Scale) 등이 있으며, 선법 중 도리아 선법, 프리기아 선법은 구성음의 제3음이 단3도 음정을 가지고 있기에 단조적 성향이 강한 선법으로 간주되어 단조 음악에서 많이 차용되어 쓰이는 편이다.
음악이 쭉 단조로만 진행되다가 맨 마지막 순간에 장조로 바뀌어 끝나는 것을 피카르디 종지라고 한다. 찬송가에서는 517장(통일찬송가에는 없음)이 해당하는데 찬송가 중에서 유일하다.[11]
3. 사용
단조로 작곡된 대표적인 곡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월광 소나타 1악장 올림다단조(C♯ Minor) 조성으로 작곡된 곡이다. | 빌리 홀리데이 - Gloomy Sunday 사단조(G Minor) 조성으로 작곡된 곡이다. | |
냇 킹 콜 - Autumn Leaves 라단조(D Minor) 조성으로 작곡된 곡이다.[12] | 애니멀스 - The House of the Rising Sun 가단조(A Minor) 조성으로 작곡된 곡이다. | |
메탈리카 - Nothing Else Matters 마단조(E Minor) 조성으로 작곡된 곡이다. | 너바나 - Come as You Are 마단조(E Minor) 조성으로 작곡된 곡이다. | |
김광석 - 먼지가 되어 가단조(A Minor) 조성으로 작곡된 곡이다. | SG워너비 - 살다가 올림라단조(D# minor) 조성으로 작곡된 곡이다. | |
이승철 - 서쪽 하늘 사단조(G minor) 조성으로 작곡된 곡이다. | 에일리 - 첫눈처럼 너에게 가겠다 바단조(F Minor) → 올림바단조(F♯ Minor) 조성으로 작곡된 곡이다.[13] | }}}}}}}}} |
발라드나 포크 음악을 작곡할 때도 단조를 많이 채용하는 편이다. 국내에서도 인지도가 높은 스트라토바리우스의 Forever는 내림나단조(B♭ Minor)로 작곡되었으며, 위에 예시로도 나온 김광석의 먼지가 되어는 가단조(A Minor) 조성으로 작곡된데다 애수에 찬 보컬과 어쿠스틱 기타 반주가 합쳐져 매우 구슬픈 분위기를 내며, 단조를 채용한 포크 음악의 대표곡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미 장르 이름부터가 우울함을 의미하는 블루(Blue)로부터 유래된 블루스 음악, 그리고 여기서부터 파생된 소울 음악, 리듬 앤 블루스, 록 음악, 블루스 록, 하드 록, 심지어는 헤비 메탈까지도 단조 조성의 채용 빈도가 다른 장르들 대비 매우 높은 편이다.[14] 대표적으로는 B.B. 킹의 The Thrill Is Gone은 나단조(B Minor)로 작곡된 대표적인 블루스 음악이며, 게리 무어의 Still Got The Blues는 가단조(A Minor)로 작곡된 블루스 록 장르의 곡이다. 지미 헨드릭스의 곡 중에도 내림마단조(E♭ Minor)로 작곡된 Little Wing같은 곡이 있으며, 에릭 클랩튼의 대표곡 중 하나인 Layla 또한 도입부와 후렴구는 라단조(D Minor)로, 1, 2, 3절은 올림다단조(C♯ Minor)로 작곡되었다.[15]
대한민국의 트로트는 기본적으로 일본 엔카의 영향을 받은 것이 시초여서 처음에는 단조에서 시작했고 지금도 여전히 단조가 대다수이다. 조항조의 사랑찾아 인생찾아는 올림바단조(F♯ Minor)로, 거짓말은 바단조(F Minor)로 작곡되었으며, 박상철의 울엄마는 나단조(B Minor), 바보 같지만은 내림나단조(B♭ Minor)로 작곡되었다. 물론 트로트가 단조를 채용하는 경향이 강한 건 사실이나, 장조로 작곡된 트로트도 제법 있다. 이는 전형적인 트로트의 단조 5음계 법칙의 틀을 타파하고 특유의 비극적 느낌을 즐거운 느낌의 트로트를 만들기 위함으로, 이런 트로트들은 비극적이고 애절한 감정보다는 즐겁고 신나는 분위기를 지향하여 편곡되는 경향이 있다.[16]
어린이가 부르는 동요 중에도 단조곡이 있다. 당장 악어떼만 봐도 다단조(C Minor)로 작곡되었으며, 아빠와 크레파스[17]도 가단조(A Minor)로 작곡되어 마찬가지로 단조곡이다. 다만 아이들이 주로 부르는 곡이라 그런지 대체로 단조 동요는 편곡을 신나고 활기차게 하는 경향이 있어 단조 특유의 우울함이나 가라앉은 분위기가 크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지 않다. 그나마 단조 동요 중에 특유의 구슬픈 느낌이 매우 잘 살아있는 경우로는 엄마야 누나야[18]가 있긴 하다. 반대로 장조로 작곡된 동요임에도 어두운 분위기를 지닌 곡은 바장조(F Major)로 작곡된 섬집 아기가 있다. 메인 멜로디만 놓고 보면 그다지 어둡진 않으나, 차분하고 가라앉은 가사의 주제와 전반적인 분위기가 얼핏 느끼기엔 섬뜩하기까지 한 수준이라 아예 괴담까지 있다. 문서 참조.
아무래도 경건하고 가라앉은 분위기를 주기 위함에서 그런 것인지, 찬송가 중에도 단조 곡이 제법 있다. 대표적으로(새찬송가 기준) 14장(주 우리 하나님, F Minor), 104장(곧 오소서 임마누엘, E Minor)[19], 117장(만백성 기뻐하여라, E Minor)[20], 586장(어느 민족 누구게나, F Minor)[21] 등이 있다. 찬송가 중에도 장조 곡인데도 어둡거나 구슬픈 곡이 있다. 주로 3박자 계열이나 4박자(템포 80 이하)의 느린 곡에 해당하며 144장(예수 나를 위하여, F Major), 150장(갈보리산 위에, B♭ Major)[22], 272장(고통의 멍에 벗으려고, A♭ Major), 493장(하늘 가는 밝은 길이, C Major) 등 '고난', '회개와 용서'의 뒷부분[23], '장례', '미래와 소망' 카테고리에 많다.
복음성가 중에도 단조 곡이 있지만 찬송가와는 다르게 빠른 곡이 많다. 대표적으로 우리 주의 성령이, 온 땅이여 주를 찬양(E Minor), 주님과 담대히 나아가, 반드시 내가 너를 축복하리라(D Minor), 저 성벽을 향해(C Minor) 등이 있다.
대체로 희망차고 장엄한 분위기를 주는 국가는 장조로 작곡하는 경향이 많으나, 물론 단조로 작곡된 국가들도 있긴 하다. 처음부터 끝까지 단조로만 되어 있는 국가들은 다음과 같다. 개중에는 일반적인 다른 단조 곡들처럼 무겁고 장엄한 분위기를 내는 곡도 있지만, 아래 우울하지 않은 단조 곡의 예시로 나올법한 곡들도 있다.
- 루마니아의 국가 〈루마니아인이여, 깨어나라!〉
- 모로코의 국가 〈샤리프 찬가〉
- 몬테네그로의 국가 〈오, 5월의 밝은 새벽이여〉
- 불가리아의 국가 〈친애하는 조국〉
- 슬로바키아의 국가 〈타트라 산 위에 번개가 쳐도〉
- 아제르바이잔의 국가 〈아제르바이잔 행진곡〉
- 우크라이나의 국가 〈우크라이나의 영광은 사라지지 않으리〉
- 이라크의 국가 〈나의 조국〉
- 이스라엘의 국가 〈하티크바〉
- 카자흐스탄의 국가 〈나의 카자흐스탄〉
- 타지키스탄의 국가
- 튀르키예의 국가 〈독립행진곡〉
- 니제르의 국가 〈조국의 명예〉
단조로 시작해 장조로 바뀌는 국가는 네팔, 트리니다드 토바고, 팔레스타인, 푸에르토리코 국가 정도가 있다. 과거에 단조로 된 국가를 사용했던 국가로는 대한제국(대한제국 애국가),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국가), 모리타니(국가) 등이 있지만 앞의 두 나라는 멸망했고 모리타니는 2017년에 장조로 된 새 국가를 채택했다.
3.1. 우울하지 않은 분위기의 단조 음악
단조로 작곡된 우울하지 않은 분위기의 곡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안토닌 드보르자크 - 신세계로부터 마단조(E Minor) 조성으로 작곡된 곡으로, 우울하다기보단 웅장한 분위기에 가깝다. | 쳇 베이커 - Blue Bossa 다단조(C Minor) 조성으로 작곡된 곡. 예시 중에는 조금 우울한 분위기가 섞여있긴 하나, 편곡 탓인지 그렇게 부각되지는 않는 편이다.[24] | |
보니 엠 - Rasputin 올림바단조(F♯ Minor) 조성으로 작곡된 곡이다. 디스코 장르 특유의 8비트 드럼 비트와 주선율을 연주하는 현악기 섹션이 흥겨운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 레드 제플린 - Rock and Roll 가단조(A Minor) 조성으로 작곡된 곡이다. 빠른 템포와 더불어 흥겨운 로큰롤 리듬을 연주하는 드럼과 기타가 만들어내는 매우 신나는 분위기를 들어볼 수 있다. | |
다프트 펑크 - Get Lucky (ft. Pharrell Williams, Nile Rodgers) 올림바단조(F♯ Minor) 조성으로 작곡된 곡으로, 그루비한 기타 연주와 드럼 비트, 베이스 라인이 비교적 우울한 보컬 특유의 음색을 환기시킨다.[25] | 릭 애스틀리 - Never Gonna Give You Up 내림나단조(B♭ Minor) 조성으로 작곡된 곡이다. 편곡도 우울함과는 거리가 있지만, 가사 또한 밝고 희망찬 메세지를 주고 있다. | |
윤수일 - 아파트 사단조(G Minor) 조성으로 작곡된 곡이다. 편곡은 흥겨운 리듬이 부각되어 신나는 편이나, 가사의 내용에서만은 약간의 우울한 분위기가 나타난다. | 김건모 - 잘못된 만남 내림마단조(E♭ Minor) 조성으로 작곡된 곡이다. 가사만은 시궁창스럽게 우울한 편이나, 디스코 리듬과 신디사이저 리드가 부각되는 편곡으로 아예 신나는 댄스 음악이 되었다. | |
Toby Fox - MEGALOVANIA 라단조(D Minor) 조성으로 작곡된 곡으로, 헤비 메탈적 편곡에 스트링 섹션과 굵직한 신디사이저 선율을 첨가하여 강렬하고 장엄한 분위기를 낸다. | Mitsukiyo - Unwelcome School 가단조(A Minor) 조성으로 작곡된 곡으로, 단조하면 생각나는 우울함은 온데간데 없이 경박하고 정신 없는 분위기를 들려준다. | }}}}}}}}} |
같은 단조를 채용한 노래인데도 이렇게나 분위기가 차이나는 이유는 편곡의 탓이 크다. 템포가 빨라질수록, 리듬이 더욱 쪼개질 수록 흥겨운 분위기를 내기가 쉬워지고, 사용하는 악기의 종류나 음색에 따라서도 분위기가 많이 달라진다. 편곡 하나만으로 곡의 분위기가 180도 달라지는 경우의 가장 좋은 예시 중 하나가 A-ha의 Take On Me이다. 이 곡은 올림바단조(F♯ Minor)로 작곡된 곡으로, 원곡은 매우 흥겹고 신나는 분위기를 가지고 있으나, 언플러그드 버전은 조성이 여전히 올림바단조로 동일함에도 매우 구슬프고 슬픈 느낌을 주어 구 버전 간의 대비가 매우 크다.
특히 디스코나 펑크 장르는 리듬과 그루브를 중시한다는 특성 상, 구슬픈 느낌보다는 특유의 그루브를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편곡을 하는 경우가 많아 단조 곡임에도 매우 밝고 흥겨운 분위기를 가진 경우가 많다. 위 예시곡에도 나온 Boney M.의 Rasputin은 물론, 다른 대표곡인 Sunny는 각각 올림바단조(F♯ Minor), 다단조(C Minor)[26]로 작곡된 디스코 명곡들이며, 마이클 잭슨의 Beat It 또한 내림마단조(E♭ Minor)로 작곡되어 마찬가지로 단조로 작곡된 디스코 장르의 곡이다.
노라조의 슈퍼맨(C♯ Minor), 브라운아이드걸스의 L.O.V.E(A Minor)와 에드 시런의 Shape of You는 단조임에도 불구하고 경쾌하면서 밝은 분위기를 띈다.[27] 이는 포르테로 크게 연주하는 데다 제1, 2바이올린 멜로디 선율이 16분음표로 연주하며 곡의 템포가 빠른 면도 있겠지만 멜로디 중간중간에 "다장조(C Major)"와 "사장조(G major)"로 잠깐 조바꿈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캐리비안의 해적 ost로 유명한 〈He's a pirate〉, 아루 브금으로 유명한 Unwelcome School도 단조 음악이지만 곡조가 매우 경쾌하고 웅장하다. 철권 8의 오르티즈 팜 1단계 브금은 마 단조(E Minor)이지만 매우 경쾌하다.[28] RUSH 🅱 및 그 후속곡들도 하나를 제외하고 모두 단조지만 매우 경쾌하다. 심지어 LG CYON 광고[29]에 나온 것으로 유명한 다비드 비스발의 Bulería도 올림바단조(F♯ Minor)의 곡이다.
클래식 곡 중에도 밝은 단조곡이 많다. 대표적으로 쇼팽의 환상 즉흥곡(C♯ Minor)[30], 리스트의 라 캄파넬라(G♯ Minor), 베토벤의 월광 소나타 3악장(C♯ Minor)이 있다.[31] 반대로 느리고 잔잔하거나 어두운 장조곡은 대표적으로 쇼팽의 녹턴 9-2번, 비발디 사계 중 겨울 3악장, 쇼팽의 에튀드 10-3번 등이 있다. 참고로 앞 두 곡은 E♭ Major, 나머지 한 곡은 E Major다. 요제프 하이든의 놀람 교향곡의 4개의 변주 파트 중 2번째 파트는 조성이 다단조(C Minor)지만 슬프기는커녕 웅장하고 강렬한 분위기를 띤다.
국가 중에도 밝은 분위기의 단조곡이 있으며 예시로 튀르키예의 국가 독립 행진곡 등이 있다.[32] 반대로 장조이면서 어두운 곡은 일본의 국가 기미가요가 있는데 이게 장조 조성 노래가 맞나 싶을 정도로 어둡고 구슬프게 들린다. 민요나 전통음악 중에도 밝은 단조곡이 많다. 특히 자진모리장단 곡은 99% 단조곡이며 밝은 곡이 많다. 반대로 장조곡인 민요나 전통음악으로는 대한민국의 아리랑, 스코틀랜드의 올드 랭 사인이 있으며 두 곡 모두 F Major이지만 멜로디도 가사도 이별이 주제인 곡 특성상 어둡다. 다만 아리랑은 지방마다 다르다.
애니메이션 OST로는 이니셜D의 OST인 Deja Vu와 검정 고무신 1~2, 4기 오프닝 두 곡 모두 C Minor지만 상당히 흥겹고 경쾌한 분위기를 띈다. 반대로 장조이면서도 슬픈 곡은 그날 본 꽃의 이름을 우리는 아직 모른다의 OST secret base ~君がくれたもの~이 있는데 F♯ Major이지만 가사도 멜로디도 새드 엔딩인 애니메이션 특성상 상당히 슬프다.
한국의 가요 중에서는 울릉도 트위스트가 그 예인데 단조로 된 노래지만 역시 우울하기는 커녕 흥겹기만 한 노래다. 또 다른 예를 들면 강남스타일(B Minor), 시간을 달려서(F Minor), 너 그리고 나(F♯ Minor), FINGERTIP(g Minor), 밤(E♭ Minor)과 IZ*ONE의 대표곡 라비앙로즈(D Minor), 비올레타(E Minor), FIESTA(B Minor), 환상동화(G Minor), Panorama(A Minor), 여기에 일본곡 스키토이와세타이랑 부에노스아이레스(F Minor), 뱀파이어(C♯ Minor)도 있다.
선수들의 사기를 북돋아주기 위한 응원가도 장조곡이 워낙 비중이 커서 그렇지[33] 단조곡도 많다. 고종욱(G♯ Minor), 구본혁(A Minor), 구자욱(F♯ Minor), 김재성(A Minor), 김현준(D Minor), 나성범(B♭ Minor), 르윈 디아즈(B♭ Minor), 소크라테스 브리토(G♯ Minor), 송성문(E♭ Minor), 신민재(E Minor), 심우준(F♯ Minor), 안치홍(C Minor), 앤서니 알포드(F♯ Minor), 이재원(C♯ Minor), 이재현(C Minor), 이정후(D Minor), 한동희(B Minor), 호세 피렐라(D Minor), 윤동희(D Minor), 최인호(A Minor) 등 단조 응원가를 쓰는 선수들의 응원가를 직접 들어보면 굉장히 경쾌하고 신난다. 은퇴했거나 이적한 선수의 응원가 중에도 많은데 이대형의 LG 트윈스 시절 응원가(B Minor), 이학주의 삼성 라이온즈 시절 응원가(E♭ Minor),
드라마 OST 중에도 밝고 경쾌한 단조곡이 많다. 대표적으로 야인시대의 OST인 야인(B♭ Minor), 영웅주의(B Minor), 나 사나이다(D Minor)[34], 전설의 영웅(A Minor)은 전부 경쾌한 단조곡이다.[35]
4. 관련 문서
5. 여담
- 우울한 노래를 좋아한다는 사람 중에서는 사실 우울한 곡 자체를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 단조로 작곡된 곡을 좋아하는 경우도 있다.
- 동방 프로젝트의 음악은 단조 곡이 절대다수다.
6. 둘러보기
음악 이론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기초 개념 | 가온다 · 반음 · 온음 · 음정 · 음고 · 음자리표 · 음이름 |
음계 | 장음계 · 단음계 · 5음음계 · 7음음계 · Super-Ultra-Hyper-Mega-Meta Lydian | |
피타고라스 음률 · 순정률 · 평균율 · 국악의 음률 | ||
조성 | 장조 · 단조 · 조표 · 5도권 · 조바꿈(온음계적 전조, 반음계적 전조, 이명동음 전조) · 조옮김 · 선법(교회 선법) | |
화음 | 3화음(주요 3화음, 부3화음) · 7화음(딸림7화음, 부7화음, 이끎7화음) · 다이어토닉 코드 · 딸림화음(섭스티튜트 도미넌트) · 증6화음(트리스탄 화음) · 증속화음 · 변성화음 · 변화화음 · 부속화음 · 하이브리드 코드 · 파워 코드 · 네아폴리탄 6화음 | |
불협화음 · 가이드 톤 · 보이싱 · 비화성음 · 블루 노트 · 텐션 · 셋온음 | ||
화성 진행 | 5도권 · 머니코드 · 투파이브원 · 클리셰 · 종지(거짓 종지) · 모달 인터체인지 | |
그 외 | 미분음 · 배음 · 대위법 · 그레고리오 성가 · The Lick · 화성학/비판과 의견 | }}}}}}}}} |
[1] 물론 조금 더 심화적으로 들어가면 현대 선법을 채용한 곡도 있겠지만, 선법'만'을 가지고 작곡된 곡은 현대 대중음악에서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며, 대부분은 모달 인터체인지와 같이 간접적으로 선법적 요소들을 차용해오는 정도이다.[2] 여기서 마이너라는 것은 조성 체계로서의 단조라기보다는[3] 다만 카논 원곡은 장단조 체계가 아닌 선법과 대위법 체계를 사용하여 만든 곡으로, 이것이 후일 단조 시스템으로 재정리된 것에 더욱 가깝다. 해당 항목 참조[4] 한편 funtwo도 Canon Rock을 단조로 연주한 영상을 게시했다. 원곡의 단조부분을 장조로 연주한 것은 덤. #[5] 영상 후반부에는 역으로 단조로 작곡된 곡들을 장조로 바꾸기도 한다.[6] 다만 V 코드의 경우 3도음을 반음 올려(= 해당 조성의 7도 음을 반음 올려) 이끎음(리딩 톤)으로 만들어주어 메이저 코드에 가깝게 사용하기도 한다.[7] 다만 모든 단조 음악이 이런 분위기를 내는 것은 아니다. 물론 조성이 곡의 분위기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사실이나, 리듬이나 편곡, (가사가 있는 곡의 경우) 가사의 분위기와 주제 또한 곡의 전체 분위기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8] 마찬가지로 장조 또한 선법 중 하나였던 이오니아 선법 (Ionian Mode)을 그 기원으로 한다.[9] 영어로 쓰면 A Minor가 되는데 하필 이게 '미성년자'(a Minor)로 읽을 수도 있다 보니 게리 글리터나 오스틴 존스처럼 아동 성범죄를 저지른 음악가들과 관련된 글이나 댓글에서 한 번씩은 등장하는 개드립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strike a chord'는 '코드를 치다'와 '심금을 울리다(꼬시다)'의 이중 의미를 가져서 이것과 합친 'Strike a chord and it's probably A-Minor'는 '네가 지금 치려는 코드는 아마 A 마이너'와 '네가 지금 꼬시려는 건 아마 미성년자'의 두 가지 의미로 모두 해석될 수 있다. 켄드릭 라마의 곡 Not Like Us에 이 언어유희가 나왔다.[10] ♯5는 조표에 샾이 5개 달렸다는 의미이고 ♭7는 플랫이 7개 달렸다는 의미이다.[11] 마단조(E Minor)로 진행되다가 마장조(E Major) 조성으로 바뀌면서 끝난다.[12] 워낙에 다양한 아티스트들에 의해 리메이크 되어 온 곡이다보니 별 조성으로 다 편곡되어 왔다. 대체로 가단조(A Minor), 사단조(G Minor)로 편곡되는 경향이 많긴 하다.[13] 첨부된 영상 시작부터 2분 52초 구간까지는 바단조로, 그 이후로는 조성이 반음 만큼 올라가며 최종적으로 올림바단조로 진행된다.[14] 물론 장조를 채용한 메이저 블루스 등도 찾아보면 매우 많다.[15] 피아노 코다 이후로는 곡이 끝날 때까지 쭉 다장조(C Major)로 진행된다.[16] 특히 주현미, 설운도의 노래들은 예외적으로 장조로 구성된 곡들이 대다수이며 당시 대히트를 쳤다.[36] 그 외에도 장윤정의 트위스트(A♭ Major), 올래(A Major), 조영남의 화개장터(C Major) 등이 있다. 해방 이후 트로트의 장조화에 대해 다룬 논문도 있으니 참고하면 유익할 것으로 사료된다. 현인의 럭키 서울이 딱 이 시기에 나온 장조 트로트다.[17] 다만 이 노래는 원래 동요가 아닌 대중가요로 발표했다.[18] 대체로 가단조(A Minor)로 불리며, 해당 영상도 마찬가지이다.[19] 대림절 단골 찬송가다.[20] 단조지만 성탄 관련 찬송이라서 그런지 조금 빠르게(BPM 104) 부른다.[21] 586장은 조성과 박자 조합이 찬송가 치고는 상당히 특이하다. F단조에 4/2박자.[22] 심지어 이 곡은 마이너 코드가 하나도 없이 오로지 메이저 코드로만 되어 있다.[23] 앞부분(250~270)은 빠른 찬송가(250, 259, 260 등)이 많다.[24] 피아노만으로 연주된 다른 버전을 들어보면 분명 같은 곡에 조성도 동일하나, 우울한 분위기가 훨씬 강함을 들어볼 수 있다. 편곡과 악기 구성이 얼마나 곡의 전반적인 분위기에 큰 영향을 주는지를 알 수 있는 부분.[25] 보컬 트랙만을 떼어낸 버전을 들어보면 단조 멜로디 특유의 우울함이 크게 부각된다.[26] 다만 곡이 진행되면서 올림다단조(C♯ Minor), 라단조(D Minor)로 총 두 번의 조바꿈이 일어난다.[27] 반대로 가사건 멜로디건 우울하기 그지없는 것으로 유명한 라디오헤드의 Creep은 장조로 된 노래며 Westlife의 노래 you raise me up도 "E♭ Major"임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슬픈 분위기를 띈다.[28] 다만 오르티즈 팜 1단계 브금은 임시표를 사용하여 단3도음을 장3도음으로 만들어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것일 수도 있다.[29] 김태희가 플라멩코를 추는 장면으로 유명한 그 광고다.[30] 기본 조성은 올림다단조이지만 중간 부분에 D♭ Major로 조바꿈이 이루어진다. 장조 파트는 상당히 잔잔하고 느리다. 이 곡은 밝으면서도 서정적인 곡이라는 특징이 있다.[31] 다만 월광 소나타 1악장은 느리고 잔잔하다.[32] 오히려 튀르키예의 국가를 들어보면 어둡거나 우울하기는 커녕 웅장하고 힘찬 분위기다.[33] 그 중에서도 라장조(D Major)의 비중이 크다.(특히 NC 다이노스의 선수들의 응원가에 많은 편인데, 사실 NC 선수들의 응원가 중에서는 샤프(♯)가 조표인 응원가가 많은 편이다.) 고승민, 김동엽, 김주원, 김휘집, 도태훈, 박건우, 박해민, 양의지, 이영빈, 최형우, 홍창기, 황영묵 등이 라장조 응원가를 사용하며(서호철 역시 이전 응원가는 라장조였다.) 다장조(C Major) 역시 비교적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강민호, 박동원, 손아섭, 유강남 등이 다장조 응원가를 사용하며 은퇴한 선수 중에서는 제이미 로맥의 응원가와 박용택의 대표 응원가인 2009~2016년 응원가도 다장조였다.[34] 다만 이 곡은 84화에서 딱 한 번 장조(C Major)로 나온 적이 있는데 이 장면이 그 유명한 4달러 장면이다. 참고로 이때는 가사 없이 음악만 흘러나온다.[35] 물론 예외는 있다. 이정재의 테마곡인 '달의 약속'(A Minor)은 이정재의 몰락과 비참한 최후에 걸맞은 어두운 곡이다. 전설의 영웅 역시 마지막화에서는 김두한의 비참한 최후에 맞게 어둡고 느리게 바뀐 버전이 나오는데 이때는 2키 낮춰서 G Minor로 나온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단조|단조]]}}}{{{#!if external != "o"
[[단조]]}}}}}}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단조?uuid=8ea597f5-8c36-496a-becb-e6dae7fae01d|r9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단조?uuid=8ea597f5-8c36-496a-becb-e6dae7fae01d#s-2|2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단조?from=91|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단조|단조]]}}}{{{#!if external != "o"
[[단조]]}}}}}}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단조?uuid=8ea597f5-8c36-496a-becb-e6dae7fae01d|r9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단조?uuid=8ea597f5-8c36-496a-becb-e6dae7fae01d#s-2|2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단조?from=91|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Not Like Us|Not Like Us]]}}}{{{#!if external != "o"
[[Not Like Us]]}}}}}}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Not Like Us?uuid=81140c6f-ee3c-433d-af0d-6d8a578a45e6|r108]]}}}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Not Like Us?uuid=81140c6f-ee3c-433d-af0d-6d8a578a45e6#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Not Like Us?from=108|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36] 주현미의 대표 히트곡(신사동 그 사람, 잠깐만, 눈물의 블루스, 비 내리는 영동교, 짝사랑 등)들은 죄다 장조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