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7 21:26:02

콘트랄토

성악가의 음역 구성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열기 / 닫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5px -1px -10px;"
남성 음역
베이스 바리톤 테너 카운터테너
여성 음역
콘트랄토1 메조 소프라노 소프라노
윗첨자1: 알토(Alto)는 4부 (혹은 5부) 합창에서 소프라노와 비교되는 여자의 낮은 음역을 말하는 것으로, 성악가의 음역을 지칭할 땐 콘트랄토가 옳은 단어다. }}}}}}}}}

1. 개요2. 분류3. 대표적인 배역4. 팝 음악에서5. 참고

contralto.

1. 개요

여성 목소리 중 가장 낮은 음을 내는 여성 성악가 또는 그의 낮은 목소리를 말한다. 음역은 대략 1옥타브 파(F3) 에서 2옥타브 라(A4)까지. 개인에 따라 1옥타브 레(D3) 까지 내려가기도 하고 3옥타브 도(C5)까지 올라가기도 한다. 즉 테너와 거의 겹치는 음역대.

뮤지컬에서는 1옥타브 도(C3)~ 2옥타브 라(A4)까지 음역이다.


이 시대 대표적인 콘트랄토 Ewa Podles의 노래. 짧은 노래이지만 안정적인 저음(!)부터 속이 꽉찬 고음까지 콘트랄토의 진면목을 잘 보여준다고 하겠다.

가요에서는 1옥타브 미에서 2옥타브 라# 정도이고 호흡을 섞으면 1옥타브 도까지 내려간다.

여자 중 가장 낮은 음역대는 알토라는 오해가 널리 퍼져 있는데, 알토(Alto)라는 것은 4부 (혹은 5부) 합창에서 소프라노와 비교되는 여자의 낮은 음역을 말하는 것이다. 즉 알토=음역, 콘트랄토=사람. 이를 굳이 구분하는 것은[1] (후술되겠지만) 콘트랄토의 수 자체가 극히 드물어서, 소프라노 등 다른 음역의 성악가가 머릿수를 맞추기 위해 알토로 차출(...)되는 사례가 많기 때문. 아니면 차출이라기보다는 양성 자체를 그렇게 받거나.

콘트랄토라는 용어는 Fach로서 음성을 세세하게 구분하는 오페라에서만 쓰이고, 다른 분야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 사실 메조 소프라노와 어느 정도 호환이 되기 때문에 오페라에서조차 메조 소프라노로 대충 분류하기도 한다.

이는 현실적으로 진정한 의미에서의 콘트랄토는 매우 드물기 때문이다. 진정한 콘트랄토는 남자의 고음역인 카운터테너와는 [2]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그 수가 극히 드물다. 단순히 주위에서 찾아보더라도 여자처럼 음역이 높은 남자는 가끔씩이라도 보이지만, 남자처럼 음역대가 낮고 톤이 거친 여자는 조금 더 드물기 때문이다.[3] 하물며 소프라노도 아니고 주연이 될 일이 없는 콘트랄토는 선호도가 거의 없다. 이탈리아 아닌 프랑스 오페라 등에서는 메조소프라노 배역이 주연인 경우도 있으나, 어쨌든 콘트랄토 배역이 주인공인 경우는 아직까지는 없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실제로 성악과 여성 학생을 보면 대부분이 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이며 콘트랄토는 거의 없다.

따라서 콘트랄토 가수도 드물고 콘트랄토 전용의 배역도 드물다. 주역을 맡는 일도 없어서, 로시니의 세빌리아의 이발사 중 로지나나 라 체네렌톨라 중 안젤리나[4] 등의 몇몇 배역에 가끔 기용되기도 하지만, 대개는 악녀마녀, 하녀, 어머니 같은 악역을 맡거나 여자가 연기하는 남자 역인 '바지 역'(trouser role)을 연기한다. [5] 이것을 운율을 맞춰서 'witches, bitches, or britches (마녀, 나쁜 년, 바지 역)'라 하는 자학드립도 있다.

그러나 워낙 흔치 않고 독특한 목소리인 만큼, 오페라의 주연이 아니긴 해도 언제나 필요로 하는 곳은 많다고 한다. 드라마의 감초 조연 전문 연기자라고나 할까. 왠지 비올라베이스 기타와 비슷하다. / 비올라가 아니라 더블베이스겠지 비올라는 오케스트라의 기본 구성원이다 / 국악기를 포함하면 중금도 있다.

일부 악기들에 한정[6]해서 기악에도 특정 악기를 지칭할 때 쓰이는데, 이때는 베이스보다 무려 한 단계 낮은 음역을 표기할 때 쓴다.[7] 사실상 기악의 콘트랄토는 알토라 봐도 무방하다.

2. 분류

세부적으로 나누면 음색에 따라 콘트랄토 콜로라투라, 콘트랄토 리리코, 콘트랄토 드라마티코로 구분할 수 있다. 다만 이 분류가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영역이 겹치기도 하고 두 가지 이상의 성격을 소화해 내는 가수도 있기 때문이다.
대중음악 가수의 음색을 나눈 예시이다. 유리드믹스의 보컬 애니 레녹스는 콘트랄토 콜로라투라, 가수 셰어의 경우 콘트랄토 리리코, 그레이스 존스는 콘트랄토 드라미티코로 분류되었다. 흔히 팝에서 매력적인 여성 저음으로 꼽히는 가수들은 대체로 콘트랄토 리리코에 속한다. 콘트랄토 콜로라투라는 중성적이긴 하지만 확실히 질감이 가볍다. 드라마티코에 속하는 그레이스 존스의 경우 같이 부르고 있는 루치아노 파바로티와 비교해봐도(영상) 어느 쪽이 남자 목소리인지 아닌지 구분하는 게 언뜻 들어서는 쉽지 않을 정도. 나이지리아 출신 영국 아티스트 샤데이아두(Sade Adu) 또한 콘트랄토로 불린다.

3. 대표적인 배역

콘트랄토 가수 자체가 드물기 때문에, 콘트랄토만을 위한 배역의 수도 많지 않다. 몇몇 배역은 메조소프라노와 겹치기도 한다. 심지어 심하면 소프라노와 겹치기도 한다.

4. 팝 음악에서

5. 참고



[1] 예컨대 소프라노는 음역, 성악가 모두를 지칭한다.[2] 베이스도 수가 많진 않지만 3부합창, 6부합창에서만 귀하지 2부, 4부, 5부(남자3부 포함)합창에서는 바리톤보다 흔히 볼 수 있다.[3] 남성들은 보통 변성기가 오면, 남성호르몬이 성대를 자극하여 성대가 2배 가량 확장되어 저음이 나게 된다. 반면, 여성들은 성대가 어린 시절에 비해 크게 바뀔 이유가 없어서 어릴 때와 목소리 톤 차이가 크지 않다.[4] 두 배역 모두 메조 소프라노 배역으로 많이 알려져 있으나, 로시니는 콘트랄토 배역으로 작곡했다.[5] 아무래도 여성이 연기하다 보니, 마초적인 성인 남성 캐릭터보다는 변성기를 완전히 거치지 않은 소년이나 비교적 가련한 이미지의 미청년 캐릭터인 경우가 많다.[6] 대표적으로 클라리넷플루트.[7] 이렇게 되는 이유는 기본 악기보다 낮은 음역을 표기할 때 알토(반 옥타브 낮음)와 베이스(한 옥타브 낮음)가 돌아가게 되는데, 거기에 콘트라를 붙이면 한 옥타브가 더 낮아지기 때문에 콘트라+알토=콘트랄토이니 한옥타브 반이 낮아지게 되기 때문이다.[8] 지금은 재즈 및 소울 가수이지만 어릴 때 클래식으로 음악을 시작하고 배워서인지 일정 음역대 이상에서 마치 테너 같은 덮인 소리를 자주 사용하며 벨팅 창법도 사용한다.[9] 비록 돌고래 고음으로 유명하고 최고음이 5옥타브 라#(A#7)이지만 중요한 건 저음. 최저음이 무려 0옥타브 파(F2) 이다! 이쪽은 그냥 음역을 구분하는게 무의미한 수준. 잘 감이 오지 않는다면 그녀의 초창기 히트곡 "I Don't Wanna Cry"를 들어보자.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10] 당시 그녀를 표현하는 수식어가 국내 최저음을 구사하는 여가수, 혹은 어린 소녀이지만 (데뷔 당시 중학생의 나이였다) 나이 든 사람의 목소리를 내는 여인 등이었다.[11] 가수이자 성우, 컵헤드킹 다이스의 성우[12] 국내 유일한 남성 콘트랄토이며 몽환적인 음색이 특징이자 매력. JTBC에서 주최한 팬텀싱어 4에서 최종 2위로 배출한 4중창 크로스오버 그룹 포르테나의 리더이다.[13] 콘트랄토 음역대에 벨팅 창법과 허스키한 철성까지 구사하는 여성 보컬로서는 보기 드문 희귀한 케이스.[14] 70년대 후반~80년대 초반을 풍미한 일본 여성 듀오.[15] 들어보면 알겠지만 음역과 음색만으로 따지면 거의 바리톤에 가까운 목소리를 낸다! 실제로 그녀는 G2 이하의 음역, 즉 남자 음역인 베이스의 음역까지도 커버해낼 수 있는 굉장히 특별한 콘트랄토. 극히 드문 목소리임은 말할 것도 없으며, 굳이 분류하자면 콘트랄토 드라마티카에 포함되지만 사실 이런 목소린 정석적인 콘트랄토의 케이스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