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3 02:42:29

진먼 포격전

금문도 포격사건에서 넘어옴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2664, #000 40%, #000 60%, #cc0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letter-spacing:-.2px"
국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3%"
{{{#000,#ddd {{{#!folding [ 자본주의 진영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1세계
맹주
유럽
· · · · · · · · · · · · · · ·
[[튀르키예|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 ]]
· ·
아시아 & 오세아니아
· · · · · · · · · · · · · · · · · · · · ·
아프리카
· · · · · · · · · ·
북아메리카
· · · · · · · · · · · · · · · ·
남아메리카
· · · · · · · · ·
}}}}}}}}}}}}
{{{#!folding [ 공산주의 진영 ] 
{{{#!folding [ 비동맹 진영 ] 
}}} ||
<colbgcolor=#2d2f34> 주요 사건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5~1947)
<colcolor=#000,#ddd>봉쇄정책 · 언싱커블 작전 · 제2차 국공내전 · 철의 장막 · 그리스 내전 · 미소공동위원회 · 트루먼 독트린
전반부
(1947~1969)
마셜 플랜 ·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 · 제1차 중동전쟁 · 베를린 봉쇄 · 티토-스탈린 결렬 · 소련의 미국개입유도설 · 6.25 전쟁 · 쿠바 혁명 · 제네트릭스 계획 · 1956년 포즈난 시위 · 1956년 헝가리 혁명 · 제2차 중동전쟁 · 1958년 레바논 위기 · 진먼 포격전 · 스푸트니크 쇼크 · 콩고 내전 · 중소결렬 · U-2 격추 사건 · 1962년 버마 군사반란 · 나는 베를린 시민입니다 ·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 · 베트남 전쟁 · 캄보디아 내전 · 피그만 침공 · 쿠바 미사일 위기 · 제3차 중동전쟁 · 68 운동 · 프라하의 봄 · 브레즈네프 독트린 · 우주 경쟁 · 중국-소련 국경분쟁 · 매카시즘 · 상호확증파괴 · 죽의 장막 · 로젠버그 부부 간첩 사건 · 과테말라 내전 · 북예멘 내전 ·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데탕트
(1969~1979)
닉슨 독트린 · 동방 정책 · 닉슨-마오쩌둥 회담 · 7.4 남북 공동 성명 · 핵확산금지조약 · 전략무기제한협정 · 제4차 중동전쟁 · 앙골라 내전 · 베트남 통일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독일의 가을 · 중일평화우호조약 · 이란 혁명 · 중국-베트남 전쟁 · 엘살바도르 내전 · 니카라과 혁명
후반부
(1979~1985)
흑묘백묘론 · 악의 제국 연설 ·그레나다 침공· 이 장벽을 허무시오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이란-이라크 전쟁 · 스타워즈 계획 ·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 콘트라
냉전의 종식
(1985~1991)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도이머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 북방정책 · 1988 서울 올림픽 · 천안문 6.4 항쟁 · 베를린 장벽 붕괴 · 몰타 회담 · 1989년 동유럽 혁명 · 예멘 통일 · 동서독 통일 · 걸프 전쟁 · 8월 쿠데타 · 남북기본합의서 · 소련 붕괴
탈냉전
국제 기구
·
TIAR · SEATO · ANZUS · CENTO | 경제상호원조회의(СЭВ | COMECON)
군사 대결 구도
미군 vs 소련군 }}}}}}}}}}}}

대만 해협 위기
1954 ~ 55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9.3 포격전)
1958
제2차 대만 해협 위기
(진먼 포격전)
1995 ~ 96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관련문서: 양안관계 | 국공내전 | 국부천대 | 진먼 | 롄장 | 2022년 위기
진먼 포격전
金门炮战 (금문포전)[1]
八二三砲戰 (8.23포전)[2]
Second Taiwan Strait Crisis (제2차 대만 해협 위기)
파일:attachment/4t_quemoy_001b.jpg
기간 1958년 8월 23일 ~ 12월 2일
장소 중화민국(대만) 푸젠성 진먼현마쭈 열도 일대
교전국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중화민국|]]
지원국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미국|]]
지휘관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장제스|]]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후롄|]]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지싱원|]]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야오다오이|
야오다오이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마오쩌둥|]]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펑더화이|]]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쉬샹첸|]]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펑더칭|]]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류잔팅|]]
참전 부대 중화민국 육군 진먼방위사령부
중화민국 해군 남부 초계전단
중화민국 해군육전대 상륙장갑차대대
중화민국 공군
미합중국 해군 제7함대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동중국해 함대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고속정 전대 12개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병력 병사 92,000명
화포 308문
전투기 최소 70여 기
병사 215,000명
해안포 600여 문
전투기 800여 대[3]
피해규모 440명 전사
화포 14여문 파괴
수송함 3여대 격침/파손
460명 전사
민간인 218명 사망
화포 80여문 파괴
어뢰정/고속정 18여대 격침/파손
전투기 24기 피격
결과 중화민국 국군의 방어전 성공
중국 인민해방군의 진먼 섬 점령 좌절
영향 진먼 섬의 본격적인 요새화 시작, 양안간 산발적 포격전은 이어짐.

1. 개요2. 배경3. 전개4. 이야기거리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1958년 8월 23일부터 12월 2일까지 진먼섬(金門島: 금문도)에서 벌어진 중화민국 국군(대만군)과 중국 인민해방군국지전. 하지만 실제로는 1979년미중 국교수립까지 쌍방 포격이 간헐적으로 발생하여 무려 21년간 대치했다. 아직까지는 양안간 최근의 실질적 군사충돌이다.

2. 배경

지도에서 보듯 진먼섬(金門島: 금문도)은 중국 대륙에서 매우 가까운 섬으로, 샤먼시와 겨우 4km 정도만 떨어져 있어서 원래 해안포나 야포 사거리내로 들어와 있었고 현재는 전차포나 대전차미사일로도 공격이 가능한 거리다.

국공내전 말기인 1949년에 진먼섬은 중화민국의 최전선 역할을 맡았다. 이에 중화인민공화국은 대만 침공에 앞서 눈엣가시인 진먼섬을 점령하기 위하여 대규모 병력을 대만 해협에 집결시켰고 1950년 10월 25일 진먼섬 북쪽 구닝터우(古寧頭)에 상륙을 감행하였지만 진먼 같은 조그만 섬 따윈 쉽게 함락시킬 수 있다는 인민해방군의 자만과 결사항전을 각오한 중화민국 국군의 반격으로 인민해방군은 9000여 명에 달하는 상륙부대가 중화민국 국군에게 전멸하는 굴욕을 당했다. 때마침 이듬해 발생한 6.25 전쟁 때문에 베테랑 군인들이 한반도로 파병되었던터라 재차 상륙전을 준비할 여력은 없었다.
1954년에는 중화민국 국군이 진먼섬 및 마쭈 열도에 군대를 증파하면서 중국 인민해방군도 가만히 있지 않아 쌍방간 포격전이 발생함에 따라 제1차 대만 해협 위기가 발발하였다. 이때 미국이 핵무기 사용을 암시하면서 중화인민공화국에 압력을 가했고[4] 결국 1년 뒤인 1955년에는 쌍방은 포격 중지를 합의하였고 미국은 중화민국(대만)과 방어조약을 체결하였다. 제1차 대만 해협 위기의 결과 중화민국군은 진먼섬과 마쭈 열도 방어에 성공했고 중화인민공화국은 당초 목표였던 푸젠성 완전 점령에는 실패했지만 중화민국이 실효지배하던 저장성 앞바다의 다천군도를 점령하고 그때까지 남아있던 중화민국 저장성 정부를 폐지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1차 위기와 6.25 전쟁 당시의 해공군 역량 부족을 교훈삼아 이번엔 소련으로부터 신형 전투기인 MiG-17의 라이선스 생산권을 얻어 생산해 J-5를 1956년부터 1957년까지 대규모로 배치하였고 동남부 연안 지역에 철도, 비행장, 해안 포대 등을 짓는 한편 인민해방군 해군의 함대 전력도 강화하는 등 중화민국과의 전쟁 준비를 단단히 하고 있었다.

3. 전개

1958년 7월 이라크 왕국에서 혁명이 발생하여 왕정이 붕괴함에 따라 미·영이 요르단에 병력을 급파하는 등 서구권의 이목이 중동에 집중되자 마오쩌둥은 이를 기회로 여겨 진먼 섬 근처로 대규모로 병력을 충원하고 인민해방군은 진먼 근처에서 수차례 대규모 군사훈련을 실시하는 등 대규모 공격을 준비하고 있었다. 중화민국 정부는 인민해방군의 공격이 임박했다고 판단되자 1958년 8월 15일 진먼-마쭈 지구에 전투준비를 명령했고 증원군을 보낼 준비를 하고 있었다.

이에 인민해방군은 북경통신을 통해 "곧 진먼 섬을 해방할 것"이라고 발표하였고 1958년 8월 23일 오후 6시를 기해 인민해방군은 진먼 섬 및 마쭈 열도에 대규모 포격을 개시하였다. 양측의 포격전은 매우 치열해서 오후 8시까지 약 40,000발의 포탄이 사용되었고 이날 하루에만 57,000여 발의 포탄이 소진되었다고 한다. 포격의 목표가 된 시설은 주로 군사 시설과 포대 진지 및 랴오뤄만(料羅灣, 요라만) 부두의 접안 시설이었는데 당시 중화민국 육군 진먼방위사령관 후롄(胡璉, 1907-1977)[5]과 진먼을 시찰 중이던 국방부장 위다웨이(俞大維, 1897-1993)가 중상을 입고 진먼방위사령부 부사령관 자오자샹(趙家驤), 장제(章傑), 지싱원(吉星文)이 전사하는 등 혼란을 빚었으나 중화민국 육군도 대응 사격으로 포탄 12,000여 발을 발사하였다.

미국은 전투에 직접적인 개입은 하지 않았지만 에식스급 항공모함이 포함된 제7함대와 당시 최신예 전투기 F-104A 스타파이터를 파견하여 중화민국 국군의 해상 보급로를 어느 정도 확보하거나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한 일종의 무력시위를 해 주고 '블랙 매직'(Black Magic) 작전을 개시하여 중화민국 공군의 세이버에 AIM-9B[6] 달 수 있도록 돕는 한편 수송함에 M115 8인치 곡사포와 다수의 155mm 견인포 등을 실어 중화민국 육군에 공급하였고 인민해방군 공군의 폭격을 대비하기 위해 MIM-14 나이키 허큘리스를 공여하는 등 큰 지원을 해줬다.

한편 공중에서는 인민해방군 공군MiG-15MiG-17 (J-5) 총합 100여대와 중화민국 공군F-86F 세이버 32대가 서로 맞붙었는데 미그기들의 비행성능이 더 뛰어났고 숫적으로 우세했으므로 중화민국 공군의 F-86은 수세에 몰릴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상술한 대로 미국이 중화민국 공군의 F-86에 단거리 공대공미사일 사이드와인더를 장착할 수 있게 개조를 도와줘서 세이버들이 전쟁 역사상 최초의 공대공 미사일인 사이드와인더를 발사하여 첫 3발의 미사일이 다 명중해 MiG-17 3대를 순삭했고 패닉 상태에 빠진 중공 공군편대가 미사일을 회피하느라[7] 20여 대 이상이 격추되는 등 전세는 역전되었다. 이 공중전의 결과로 중국 인민해방군은 대규모로 전투기를 동원했음에도 사이드와인더 쇼크로 인해 일찌감치 전의를 상실해 20대가 넘는 미그기가 격추당했으나 중화민국 공군은 겨우 2~3대 정도의 피해를 입어 중화민국 공군이 제공권을 장악했다.[8] 한편 인민해방군의 MiG-17 한 대가 불발된 사이드와인더를 동체에 꽂고 생환했는데 이 사이드와인더는 소련에서 K-13으로 역설계당했다.

중화민국 해군은 진먼 섬에 보급 물자를 수송하기 위해 9월 1일 마궁(馬公) 항에서 출발하여 라오뤄 만으로 접근하다가 다음날 인민해방군 해군의 고속정 및 어뢰정들과 조우한 후 격돌하여 9.2 해전(九二海戰)이 발발하였다. 이 해전에서 무장 수송함 퉈장(沱江, 타강)호[9]가 심각하게 손상[10]당하고 LST 2척도 피해를 입는 등 어려움이 있었으나 인민해방군의 함정 18여 척을 격침하거나 피해를 입혔다. 해군의 물자보급 작전에는 대만 해군육전대 상륙장갑차대대도 함께 참가하여 빗발치는 포격 속에서 영웅적으로 군수물자를 운반하였다.

지상에서는 중화민국 국군의 M18 헬캣과 프랑스에게 새롭게 구매한 M36 잭슨 등의 자주포들이 동원되었는데 특히 9월 3일에는 중국 본토의 군사 방송국을 포격으로 파괴할 정도로 대활약했다.

이후에도 1개월 넘게 쌍방간에 포격전이 이어져서 인민해방군 포병은 474,000발의 포격을 가하고 중화민국 육군 진먼방위사령부 포병부대는 82회에 걸쳐 128,000여발의 대응 사격을 실시하는 등 대치 상태가 이어졌다. 이 사이에 미국과 소련은 사태가 확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중화인민공화국에 국지전을 중단할 것을 압박하였고 결국 1958년 10월 5일에 중화인민공화국 국방부장 펑더화이는 '진먼 섬에 대한 포격을 1주일간 중지한다'고 발표하였으며 10월 13일에는 다시 2주간의 공격 중지를 발표해 대대적인 공격은 없어졌고 포격전은 소강 상태로 접어들었다. 10월 28일에 중화인민공화국이 '2일에 1번꼴로 포격한다'고 발표하면서 포격은 차츰 줄어 갔다.

그러나 1개월 중 하루 정도씩 벌어지는 간헐적인 포격 전투는 무려 1981년까지 이어졌다. 덩샤오핑이 정권을 완전히 장악하고 "더 이상 대만에 대한 무력 공격이 없을 것"이라고 일방적으로 발표한 후에야 진먼에서 포격전이 완전히 사라졌다.

4. 이야기거리

5. 둘러보기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장.svg 중화민국의 대내외 전쟁 · 분쟁 파일:백일문.svg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00096> 신해혁명
,1911 ~ 1912,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계축전쟁
,1913,
파일:중국 국민당기.svg 국민당
호국전쟁
,1915 ~ 1916,
파일:중화제국 국기.svg 중화제국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북양군벌
호법전쟁
,1917 ~ 1918,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북양군벌 파일:봉천군벌 기.svg 봉천군벌
제1차 세계 대전
,1917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 헝가리-제국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러시아 내전
,1918 ~ 19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외몽골 출병
,1919,
파일:복드 칸국 국기.svg 복드 칸국
국민혁명
,1926 ~ 1928,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북양군벌 파일:봉천군벌 기.svg 봉천군벌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직예군벌
제1차 국공내전
,1927 ~ 1936,
<colbgcolor=#000096> 초공작전
,1930 ~ 1934,
파일:중국 공산당 당기.svg 중국공산당
반장전쟁
,1929 ~ 1930,
파일:대만 국기.svg 서산회의파 파일:대만 국기.svg 개조파 파일:대만 국기.svg 계계군벌 파일:대만 국기.svg 서북군벌 파일:대만 국기.svg 염계군벌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북양군벌
중국-티베트 전쟁
,1930 ~ 1932,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만주사변
,1931 ~ 1932,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영릉가 전투
,1932,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제1차 상하이 사변
,1932,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쌍성보 전투
,1932,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열하사변
,193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경박호 전투
,193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사도하자 전투
,193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흥경성 전투
,193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동경성 전투
,193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대전자령 전투
,193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복건사변
,1934,
파일:중화공화국 국기.png 중화공화국
쿠물반란
,1931~1934,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신강군벌 기.svg 신강군벌
신강 침공
,1934,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1937년 신강 전쟁
,1937,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제2차 세계 대전
,1937 ~ 1945,
중일전쟁
,1937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파일:왕징웨이 정권 국기.svg 왕징웨이 정권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이저사변
,1944 ~ 1946,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동튀르키스탄 제2공화국 국기.svg 동튀르키스탄 제2공화국
제2차 국공내전
,1946 ~ 1950,
파일:중국 공산당 당기.svg 중국공산당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1954 ~ 1955,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진먼 포격전
,1958,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중국-버마 국경작전
,1960 ~ 1961,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파일:버마 연방 국기.svg 버마 연방
베트남 전쟁
,1965 ~ 1973,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태국 공산반란
,1965 ~ 1967,
태국 공산당
캄보디아 내전
,1967 ~ 1975,
파일:민주 캄푸치아 국기.svg 크메르 루주
대막계획
,1979 ~ 1990,
파일:남예멘 국기.svg 남예멘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1995 ~ 1996,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

파일:중국 국장.svg 중화인민공화국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EE1C25><colcolor=#FFFF00> 국공내전
,1946 ~ 1950,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UN기.svg 유엔군
티베트 침공
,1950,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하이난 상륙작전
,1950,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1954 ~ 1955,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이장산 전투
,1955,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진먼 포격전
,1958,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베트남 전쟁
,1955 ~ 1975,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베트남 공화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중국-버마 국경작전
,1960 ~ 1961,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중인전쟁
,1962,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1967년 인도-중국 국경 분쟁
,1967,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중소 국경분쟁
,1969,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라셀 군도 점령
,1974,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베트남 공화국
중월전쟁
,1979,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1995 ~ 1996,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2017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
,2017,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2020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
,2020,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2022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
,2022,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 국기가
정치·행정 정치 전반 · 오권분립 · 입법원 · 행정원(조직) · 사법원 · 헌법(중화민국 임시약법 · 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 국민대회
국가원수 쑨원 · 위안스카이 · 쉬스창 · 차오쿤 · 돤치루이 · 왕징웨이 · 탄옌카이 ·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 라이칭더
국가원수(명단) · 총통(명단)
기타 정치인 옌시산 · 성스차이 · 우페이푸 · 리위안훙 · 장쭤린 · 후웨이더 · 옌후이칭 · 두시구이 · 구웨이쥔 · 펑위샹 · 마부팡 · 마훙빈 · 위유런 · 탕성즈 · 마훙쿠이 · 리쭝런 · 바이충시 · 룽윈 · 장쉐량 · 황싱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유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천젠런 · 샤오메이친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 대성지성선사봉사관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미국-대만 관계(타이완 관계법 · 타이완 동맹 보호법 · 대만 보증법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한국-대만-일본 관계(자코타 삼각지대) · 재외공관
감정 친화 · 친대 · 반대 · 중화민국빠 · 대만빠
사법 · 치안 사법제도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군사 전반 국방부(역정서) · 대만군(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 역사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역사 ||역사 전반(민국사 · 대만사) · 대만의 민주화 운동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명 · 군벌 · 대외 전쟁 및 분쟁 ||
시대 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초한쟁패기) · (전한 · · 후한) · 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북송 · 남송) · · · 서하 · · (남명 · · · 동녕국) · (태평천국) · 일치시기 · 만주국 · 중화민국(임시정부 · 북양정부 · 국민정부 · 호법정부 · 우한정부 · 임시정부(괴뢰)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국부천대 · 대만)
관직 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 연성공
사서 흠정이십사사(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 신해혁명(계축전쟁 · 호국전쟁) · 선후대차관 사건 · 중화민국 국회 해산 · 홍헌제제 · 부원지쟁 · 장훈복벽 · 제1차 호법운동 · 호법전쟁 · 5.4 운동 · 하남독군 교체 파동 · 안직전쟁 · 제2차 호법운동 · 영풍함 사건 · 외몽골 출병 · 직봉전쟁(1차 · 2차) · 국민혁명(1차 · 2차) · 탕산회의 · 동북역치 · 편견회의 · 호남 사건 · 반장전쟁(제1차 장계전쟁 · 제1차 장풍전쟁 · 중동로 사건 · 봉소전쟁 · 제2차 장계전쟁 · 제2차 장풍전쟁 · 장당전쟁 · 중원대전) · 초공작전 · 중국-티베트 전쟁 · 신강 침공 · 중일전쟁(만주사변 · 열하사변 · 시안 사건 · 국공합작) · 국공내전 · 국부천대 ·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 제2차 대만 해협 위기 · 국광 작전 · 대만 계엄령 · 2.28 사건 · 중화문명부흥운동 · 중리 사건 · 메이리다오 사건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대만 여권운동가 피살 사건 · 천수이볜 암살 미수 사건 · 해바라기 운동 · TWICE 쯔위 청천백일만지홍기 논란 · 8.15 대만 블랙 아웃
[ 사회 · 경제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경제 ||경제 전반 · 재정부 · 경제부 · 중화민국중앙은행 · 신대만 달러 · 대만증권거래소 · 타이베이거래소 · 기업(메인보드 제조사) · 이동통신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ECFA ||
교육 교육부 · 대학 목록 · 재대복교
교통 교통 전반 · 대만의 철도 환경 · 교통부 · 중화민국국도(중산고속공로 · 포모사고속공로) · 타이완 성도 · 공항 목록 · 항공사(중화항공 · 에바항공 · 스타럭스항공) · 타이완철로유한회사(THSR · 쯔창하오 · 구간차) · 대만의 시외버스 · 첩운(타이베이 첩운 · 타오위안 첩운 · 신베이 첩운 · 타이중 첩운 · 가오슝 첩운) · 이지카드 · 아이패스 · 아이캐시
민족 한족 · 본성인(객가) · 외성인 · 대만 원주민(아미족 · 아타얄족 · 따오족) · 인도네시아계 대만인 · 일본계 대만인 · 한국계 대만인
화교 화교(쿨리) · 차이나타운(인천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재한 화교 · 화교협회)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호주인 · 중국계 일본인 · 중국계 캐나다인 · 대만계 한국인 · 대만계 미국인 · 대만계 일본인 · 대만계 캐나다인
[ 문화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fe0000><width=15%> 문화 전반 ||문화 전반 · 영화(금마장) · 드라마 · TV방송(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등려군 · 거류증 · 중화 타이베이 ||
요리 요리 전반(대만 요리)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종류) · 미국식(종류) · 일본식(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 · 대만 술(백주 · 황주 · 맥주 · 금문고량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 · 경극(변검) · 잡극(포대희)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 · 마작(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중국사대기서) · 토루 · 사합원 · 패방 · 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현대문화 만화(팬시 프론티어) · 민국기년 · 정가(傷感情歌)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사신 · 사령 · 오룡 · 사흉) · 동방번개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중화민국 국어) · 관화 · 민어(대만어) · 객가어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대만 제어 · 백화문 · 한자(정체자 · 방언자 · 중문대사전) · 주음부호 · 병음(우정식 병음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국어라마자 · 통용병음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대라병음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객가어병음방안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중어중문학과 · 제2외국어(교과)/중국어 · TOCFL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 관광 전반 · 국립고궁박물원 · 국부기념관 · 대만의 성 · 중정기념당 · 충렬사 · 원산대반점 · 예류 · 진과스 · 핑시선 · 우라이 · 타이베이 101 · 가오슝 85 타워 · 지우펀 · 샹산 · 펑후 · 진먼
전시장 타이베이 세계무역센터 · 난강전람관 · 가오슝전람관
}}} ||



[1] 중국[2] 대만[3] 800대를 모두 띄운 것은 아니고 전투에 참여한 총 소티를 뜻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100여 대 미만이 출동했다.[4] 당시 중화인민공화국에는 핵무기가 없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핵무기는 정확히 10년 후인 1964년에 개발되었다.[5] 국민혁명부터 시작해서 중원대전, 초공작전, 중일전쟁, 국공내전까지 참전한 역전의 명장으로 국공내전에서는 쑤위와 류보청, 예페이 등 인민해방군 소속 명장들을 연달아 격파했고 앞의 구닝터우 전투에서도 진먼방위사령관으로서 진먼에 상륙한 인민해방군을 전멸시킨 주역이었다. 1952년에는 난르다오(南日島)를 기습 공격해 섬에 주둔하던 인민해방군을 전멸시키고 섬을 일시적으로 탈환하는 등 인민해방군을 끊임없이 괴롭혀 적 수괴인 마오쩌둥으로부터 "교활하기로는 여우 같고 용맹하기로는 호랑이 같다"는 극찬을 받았다.[6] 당시 제식명은 GAR-8이었다. 당시 불과 1년 전인 1957년 미 공군에 실전배치되었고, 실전 사용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그나마도 초기엔 숫자가 모자라서 많은 기체에 달지는 못했다.[7] 실제 사이드와인더가 격추시킨 미그기는 4대 정도라고 하지만 사상 최초로 당한 공대공 미사일의 공포 때문에 인민해방군 공군 파일럿들이 충격을 받아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세이버의 기총에 격추되었다고 한다.[8] 이 전투를 지켜본 미군은 초반 놀라운 전과에 자극받은 나머지 미사일 만능주의에 빠지게 되었고 이후 F-4 팬텀기에 기관총을 제거했다가 베트남 전쟁에서 제공권을 완전히 확보하는데 실패했다.[9] 훗날 이 함정을 기리기 위해서 중화민국 해군의 신형 초계함의 이름은 타강급 초계함으로 명명되었다.[10] 중화인민공화국 측은 침몰했다고 주장했다.[11] 대한민국 국군백령도서해 5도를 요새화시킨 부분도 진먼 포격전의 여파라는 이야기가 있다. 그만큼 강력한 방호능력을 갖춘 섬은 공격이 까다롭기 때문이다.[12] 군용 무기로 쓰이는 철강의 품질은 식칼로 만들기에도 최상급이다. 엄청난 열과 압력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철강의 내구성과 신뢰성이 보장되기 때문이다.[13] 1958년에 포격전이 일어났다는 점을 상기하기 위해 58도의 도수로 만든다. 원류는 65도다. 58도는 나중에 상품화하면서 40도짜리와 같이 개발한 것이다. 진먼 현지에서는 65도짜리도 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