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7px -12px -15.75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f0a30> [[센츄리 시리즈| '''Century Series ]] 센츄리 시리즈 ''' | }}} | |||||
[[F-100|]] | [[F-101|]] | [[F-102|]] | [[F-104|]] | [[F-105|]] | [[F-106|]] | ||
F-100 | F-101 | F-102 | F-104 | F-105 | F-106 |
Lockheed F-104 Starfighter |
[clearfix]
1. 개요
1958년부터 배치된 미국의 전투기. 별명은 '스타파이터(Starfighter)'. 세계 최초의 실용 마하 2급 전투기이다. 하지만 그것보다 과부제조기라 불릴 만큼 비전투 손실로 훨씬 악명 높다. 원래 주어진 용도에서 함부로 벗어나면 어떻게 되는가를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다만 최악의 기종은 아닌데, 비전투손실 1인자인 F-100이 있기 때문. F-100이 미 공군에서 일으킨 비전투 손실은 800대가 넘으며 이는 F-104의 전 세계 비전투 손실을 뛰어 넘는다.
공중급유를 받는 미 공군 소속 F-104.[1] |
F-104는 센츄리 시리즈를 만들던 당시에 '값싸고 빠른' 제트 요격기를 추구하여 나온 전투기이다. 사실 요격기가 아닌 제공전투기로 개발을 시작했었지만 F-86을 몬 한국전쟁기 파일럿들의 "상승률과 속도가 부족하다" 라는 말을 과하게 수용한 결과 요격기 설계가 나와버렸고, 역할도 요격기가 되어버린 것. 당시 미국 공군에서는 F-102와 F-106를 주력 요격기로 사용하였기에 180여대만 도입, 미군 역사상 가장 적게 도입한 유인 전투기이다. 물론 F-5나 가상적기로 극소수 도입한 특수한 경우는 제외한 경우다. 이 두 기종은 지상관제를 극단적으로 이용하는 특성상 미 본토에서만 운용했고 해외 전개할 경우다. 참고로 F-102는 지상관제에 의한 단거리 항법 시스템을 도입했으며 F-106은 아예 화기제어까지 전자동으로 하도록 되어 있었다. 문제는 이 시스템들이 제대로 작동한 역사가 없다는 점이다.
이렇게 미 본토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았지만 당시 동맹국들에게 제공할 만한 전천후 성능을 가지면서도 중거리 전투가 가능한 마하 2급 전투기는 F-4가 나오기 전까지는 F-104밖에 없었다. 게다가 F-4는 E형 이전에는 고정식 기관포도 없었다. F-104는 당시로선 첨단이라고 할 수 있는 M61 발칸포를 장착한 거의 유일한 기종이였고 이 점이 주변국들에게 스타파이터를 어필할 수 있는 부분 중 하나였다. 정작 미국이 운용한 F-104A는 신뢰성 문제로 인해 한동안 M61을 떼고 AIM-9B만 운용했었다.
그리하여 다목적기로 개량까지 되면서 독일을 비롯하여 주요 동맹국에 해외판매되었고 덕분에 생산량은 무려 2,575기에 달했다.
원래 F-104는 다목적 기종으로 쓸 것을 염두에 두고 제작했으나 기본설계는 요격기라서 문제가 많았다. 베트남 전쟁에 제공권 확보를 위해 소수 투입했지만 공대공 전과가 없고, 베트남 공군과 중국 공군의 MiG-19를 상대로 지속적인 손실을 겪었다. 그러나 롤링썬더 작전의 제약하에서 적기의 요격을 차단하는 임무를 F-4로 대체되기 전까지 매우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이후에는 전폭기로 전용했다.
2. 제원
Lockheed F-104G Starfighter | |
전장 | 16.66m |
전폭 | 6.63m |
전고 | 4.11m |
자체중량 | 6.3t |
최대이륙중량 | 13.1t |
최고속도 | 마하 2.0 |
실용상승한도 | 15,000m |
작전행동반경 | 676km |
항속거리 | 2,623km |
엔진 | 제네럴 일렉트릭 J79-GE11A 터보제트 엔진 (10,000lbs/15,600lbs) X1 |
무장 | M61A1 20mm 기관포 1정 (725발), AIM-9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지상공격용 폭탄, 로켓 |
출처 - 영어 위키백과 |
3. 개발
사진속의 인물은 스컹크 웍스 핵심 엔지니어 켈리 존슨(Kelly Johnson)이다. |
F-104의 주익면적은 여유가 매우 빡빡하게 설계되어 비행 안전성이 상당히 낮았고, 걸핏하면 실속에 빠져서 과부제조기로 불렸다. 단순한 실속이면 조종사의 기량으로 빠져나올 수라도 있는데 날개가 작아 플랫 스핀에 빠지는 일이 많았다. 그렇게 되면 엔진으로 산소 공급이 안 되어서 엔진도 꺼지므로 추력도 부족해져서 살아남기 어려웠다. 초기 엔진에 결함이 있어 그 경향이 더 심했다. 즉 플랫 스핀에 빠져서 엔진 플레임 아웃되기도 했지만 반대로 엔진 플레임 아웃으로 스핀에 빠지는 경우도 역시 많았다. 그 외에도 운동성 역시 피치 방향의 기동에서는 불리할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 반대로 롤은 좋은 편이다. 물론 공군의 극단적인 요구를 수용하려 작은 날개의 단점을 알면서도 극단적으로 만든 것이다. 이러다보니 각국에서 대량으로 손실하였고 특히 서독 공군의 손실률은 악명 높았다.
여담으로 F-104를 바탕으로 개발된 기종이 동체 대비 날개 길이가 최대인 U-2. 심지어 동체는 둘이 동일한 모양새다. 그래서 같은 회사의 U-2 시험조종사는, '이봐, 자네들은 얼마 전까지 세상에서 가장 날개가 짧은 기종을 몰게 해놓고, 이제는 세상에서 가장 날개가 긴 기종을 몰게 하는 건가'라고 농을 걸 정도였다. 그럴만큼 F-104는 '유인 미사일을 만들어 놨는데 날려야 하니까 날개를 붙였고 조종해야 하니까 앞에 조종석을 만들었다' 는 말이 나올만큼 단순하고 극단적인, '고속의 요격 성능을 위해 모든 것을 포기한' 기종이다. 딱 봐도 엔진 앞에 조종석을 좌우로 작은 날개를 붙여놓은 정말 단순한 생김새다. 단발 고속 전투기의 에어 인테이크 설계의 선진성 등 일부 부분은 매우 선진적이었다.
저렴한 초음속 전투기 수요가 필요한 서방국가들에 대량판매되며 빛을 보게 된 기종으로, 아음속 전투기에서 초음속 전투기로의 교체 바람에 맞물려 무려 14개국에 수출되는 기염을 토했다. 당시에는 미래적인 외관 덕분에 마지막 유인 전투기라는 캐치프레이즈로 팔리기도 했는데 F-104를 탔다가 사고를 당한 조종사 입장에서는 정말 마지막 유인 전투기 였을 것이다. 어찌되었든 1956년 2월에 초도비행을 한 F-104는 1958년부터 인도되기 시작했다.
4. 비전투 손실
[2]
미 공군은 180기만 운용했지만, 겉으로 보기에는 '레이더와 미사일을 장비 가능한 초음속 전투기치고는 가격이 적당한', 그래서 조종과 정비만 잘하면 요긴하게 쓸 수 있을 것처럼 보였다. 게다가 록히드가 로비에 힘을 썼다. 네덜란드는 줄리아나 네덜란드 여왕의 남편 베른하르트 공이 100만 달러 수준을 받아먹었고, 일본은 항공자위대 막료장이던 겐다 미노루(진주만 공습의 바로 그 사람) 등이 돈을 받아먹었다. 록히드는 보잉이나 에어버스 등 다른 거대 항공제조사와의 경쟁에서 밀리는 일이 잦아 로비를 통해 어떻게든 수주를 따내는 일이 적지 않았는데, 후일 L-1011 여객기 판매 경쟁 당시 이 짓을 또 하다가 걸려서 제대로 일본에서 털린 게 그 악명 높은 록히드 사건이다. 그래서 일본, 네덜란드, 서독, 이탈리아 등 여러 서방국가에도 대량으로 수출되어 총 14개국에 2,580대가 팔렸다.
여기서 문제가 생겼는데, F-104의 컨셉은, 작고 빠른 "요격기"를 싸게 그냥 많이 만들자는 것이었다. 그래서 벤 리치의 <스컹크 웍스>에도 이런 목적에 충실하게 만든 좋은 비행기라는 언급이 있다. 그런데 서방권에서 이런 단일목적 전술기를 대량운용할 수 있는 나라는 미국이 유일했고, F-104를 사간 다른 나라들은 F-86 세이버와 비슷하게 다목적으로 운용할 생각으로 "엄청 빠른 최신 다목적 전투기"를 센츄리 시리즈보다 값싸게 샀다고 착각한 데서 사건이 터지기 시작했다.
독일 통일 직후의 F-104와 MiG-21 |
서독은 915대의 F-104를 도입하였는데 무려 270대가 추락하여 이미지를 제대로 깎아먹었다. 그런데 이런 어마어마한 사고율에도 불구하고 독일 공군은 F-104를 꽤 좋아했다. 그럴 만한게 기존 전투기는 12.7mm 기총을 쓰는데 이는 초음속 제트기 시대가 되면서 화력면에서 이미 심각한 문제를 드러내고 있었는데 F-104는 20mm, 그것도 발칸을 쓴다. 속도도 빠르고 의외로 무장탑재력도 기존 서독이 운용하던 전투기와 비교해도 떨어지지 않는다. 실제로 카탈로그상으로는 F-84는 2t, F-86은 2.4t, F-104는 1.8t로 생각보다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게다가 F-86 등의 기존 아음속 전투기는 개별 파일런의 무장탑재 한계도 심했기에 대지상 임무를 맡을 때 무장제약이 심했다. 따라서 서독은 F-104가 더 활용성이 높다고 판단한 것이다.
게다가 F-104의 손실율만 부각되어서 잘 알려지지 않는 사실이지만 독일 공군에서 F-104G 이전에 운용하던 F-84F의 손실률은 무려 36%로, F-104G의 30%보다 더 심했다. 아니, 그 전에 초기 제트기들 자체가 사고율이 높았다. 영국 해군의 슈퍼마린 시미터는 무려 51%를 사고로 날려먹었고 이후 배치된 드 해빌랜드 시빅슨도 37%를 사고로 손실했다. 그리고 미국의 F-100 슈퍼 세이버는 전체 생산량 2,294대에서 미국에서만 889대를 사고로 날려먹어서 38%가 넘는 사고율을 기록했고 '세이버 댄스'(칼춤)라는 단어까지 만들어졌다. 즉 1950년대 전투기와 비교하면 F-104의 신뢰성은 심각하게 낮은 편은 아니었다고 할 수 있는데 조종사 입장에서도 믿음이 안갈 정도의 작은 주익이 다소 편견을 낳았다고 볼 수 있다.
순수 혈통의 요격기라고 불러도 좋을 정도로 최대 상승률 하나에 올인한 디자인의 기종이었건만 미국은 F-104를 멀티롤에 전 기후에 대응 가능한 기종이라고 전천후 성능을 가진 기종으로 선전해서 팔아먹었다.
독일군은 F-104G를 운용했는데, 이는 록히드에서 멀티롤 전투기이자 모든 기후에 대응하는 기종이라며 개발한 버전으로 초기에는 록히드에서 생산됐고 이후 캐나다와 유럽 각국 회사들의 컨소시움에 의해 면허 생산되기도 했다. 이것을 초 다용도로 운용하여 장거리 요격, 전천후 공격, 방공, 대지공격, 심지어 핵공격이나 대함공격까지 염두에 두었으니 말 다했다. 독일 해군 항공대는 AS.34 코모란 대함 미사일을 장착한 F-104G에게 대함 요격을 맡겼다. 여기에 날씨가 화창해 날기 좋은 미국 공군비행장에서 훈련한 다음 날씨가 구질구질한 독일에서 날다가 총 270대의 F-104와 100여명의 조종사를 사고로 잃어서, 사고로 인한 손실률이 30%에 이르렀다. 오죽하면 독일에는 몇 m 간격으로 F-104가 땅에 박혀있다는 농담이 나돌았고 별명 중에는 Erdnagel(ground nail, 지주핀. 군용 텐트 설치할 때 땅에 박는 바로 그 금속못)이라는 것도 있었다. 캐나다는 잔디밭에 쏘는 다트(Lawn Dart)라고 불렀고 과부제조기와 하늘을 나는 관은 캐나다, 이탈리아, 독일 공통이었다. 나중에는 영국도 그렇게 불렀다.
이런 비전투 손실은 독일만의 문제가 아니었다. 미국조차 F-104를 지상공격용으로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F-104A의 엔진 트러블 이슈가 있어 이후에 엔진을 교체했다. 미국 이외의 다른 나라들은 독일처럼 지상공격까지 투입하는 경우가 많았으니 문제가 생겼다. 네덜란드가 43대(35.8%), 벨기에가 37%, 덴마크가 23.5%, 이탈리아의 경우 38%. 그 중에서도 단연 압권은 235대의 CF-104 중 110대를 잃어서 비전투손실률 46%를 기록한 캐나다였다. 대만의 경우는 미국으로부터 군사 원조 및 구입에 더해 각국에서 퇴역한 기체를 수령한 것으로 F-104G, TF-104G가 대부분이고 일부는 일본이 운용하다 퇴역한 F-104J/DJ인데, 1960년부터 총 302대를 도입하여 1998년 완전 퇴역하기까지 전투/비전투 도합 114대를 손실했고 (전체 손실률 38%) 조종사 62명이 순직했다.
그리고 본가인 미국에서는 자기 덩치의 몇 배나 큰 XB-70 발키리 폭격기의 기류에 휘말리는 바람에 두 조종사의 귀중한 목숨과 수억 달러의 돈을 하늘로 날려버리기도 했는데, 이 사고는 F-104의 문제라고 보기에는 애매한게 대형 제트 엔진 6기의 후류에 말려들면 다른 전투기라도 별 수 없다.
일본 항공자위대 소속 F-104J |
한편 일본의 경우 230기를 도입하여 일본항공자위대에선 요격 임무만 맡겼고, 1962년~1986년 동안 공중충돌을 포함해서 단 3기만을 손실했다. 노르웨이 역시 큰 문제없이 운용했고 스페인은 단 1대도 잃지 않았다.
즉 F-104는 과부제조기로 명성을 날렸지만 억울한 기종이라고 볼 수 있는데, 요격기로 설계된 기종을 NATO 및 우방국의 주력 전투기로 판매/운용했던 것이 비극의 원인이었다. 미국이야 요격기를 진짜 요격기로만 사용가능했겠지만 미국의 우방국들은 F-104를 요격기로만 사용할 수 없어 결국 전천후 다목적 전투기로 운용했던 것이다. 실제로 엔진트러블 이슈가 심했던 F-104A를 운용한 미국을 제외하고 추락율이 높은 국가와 낮은 국가를 비교하면 의외로 명쾌한 답이 나온다. 일본의 F-104J/DJ는 요격전용으로 폭격능력이 전혀 없었으며 F-104G와 CF-104는 지상공격능력이 부여된 멀티롤 모델이다. 스페인의 경우 F-104G를 도입했지만 요격용도로만 사용했다.
이탈리아 공군 소속 F-104S |
다른 예시로는 이탈리아의 경우 초기~1970년대까지 상당히 높은 손실율을 기록한다. 특히 초기 5년간에는 아직 80~90여기 밖에 수령을 못했는데 그 중 23기가 추락했지만 추락율이 80년대 즈음 눈에 띄게 내려갔다. 1980년대 초에 지상공격을 전문으로 맡는 파나비아 토네이도 100여기를 생산하여 지상공격의 비율이 줄어들었기 때문. 그 후에도 F-104가 지상공격을 분담하였으므로 여전히 손실은 지속되었지만 70년대까지와 비교하면 극단적이라고 할 만큼 줄었다. 여담으로 이탈리아 입장에서 F-104S는 자국 면허생산 및 개량형으로 애증의 관계이기도 하다. 자국생산 전투기로서 노후화가 진행되는데도 대체기종을 구하지 못했고 이로 인한 추락 이슈가 자주 일어난다는 점에서 한국 공군의 KF-5E/F와 유사한 점이 있다.
정리하면, 기체의 불안정성이 있다고는 하지만 극심한 손실의 진짜 원인은 그러한 기종을 지상공격임무를 부여한 실책이라고 볼 수 있다. 추락 원인을 하나하나 살펴보면 의외로 다른 전투기에 비해 기체의 공력특성에 의한 추락이 높지 않다. 어느 정도 과장이 있는 것도 사실인 셈. 물론 다른 문제가 발생했을때 기체특성 때문에 회복하기 더욱 어려웠기에 더 높은 사고율을 기록하게 되었을 것이라고 볼 수는 있다.
이처럼 악명높았던 기종이지만 비교적 오랜 기간 운용되었는데(이탈리아와 대만까지 포함하면 거의 40년), 워낙에 많이 풀려서 새로운 기종으로 교체할 경우 발생할 비용이 우선 문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F-104가 그렇게 악평을 받고 있지만 현대보다 더 자주 더 많은 기종들이 설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가격과 성능면에서 F-104의 포지션을 제대로 대체할 만한 기종이 진짜로 딱히 없었다. 결국 대체품이라고 할 만한 기종이 미국의 그 비싼 F-4였기 때문에, 더 저렴한 F-16이 개발될때까지는 좋든 싫든 딱히 퇴역시키고 운용할 대안이 없어서 울며 겨자먹기로 운용한 것이다.
안전 이슈로 운용국 입장에서는 이런저런 문제시 될 만한 기종이지만, 인도군이 초음속 전투기인 MiG-21을 도입하자 파키스탄에서는 이에 대항하기 위하여 긴급하게 F-104를 도입하여 하이엔드 기종으로서 인도 파키스탄 전쟁에서 사용하였다. 파키스탄에서는 F-104에 훌리건이라는 별명을 붙였다.
1977년, 인도네시아로부터 독립을 원하는 말루쿠 인들이 네덜란드에서 열차를 탈취하고 인질 테러를 일으켰을 때[4], 진압작전 직전에 네덜란드 공군의 F-104 6기가 열차 위를 저공비행하여 굉음으로 테러범들을 혼란시키고 인질들을 바닥에 엎드리게 하였다. 이 작전으로 인질범 9명 중 6명을 사살하고 3명을 생포하였고, 50여명의 인질 중 1명이 사망하였다. #
미국은 한국 공군의 신기종 지원 요청을 받고 1960년대 초에 대한민국에 F-104를 지원하려 한 적이 있다. 팔려고 했다고 잘못 아는 사람들이 있지만, 어디까지나 지원이었지 돈을 받고 팔려고 한 것은 아니다. 이후 F-5A를 지원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한국 측에서는 F-104를 원하였으나 판매가 아닌 원조라서 결정권은 미국에 있었기에 미국의 의사대로 결정되었다. 결과적으로는 잘된 일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 당시 미국에서 고려했던 것은 F-104G형이고 한국 공군도 독일처럼 다용도로 운용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므로 당연히 높은 손실을 기록했을 것이다. 한국 공군의 지상지원 저공비행 비중은 독일군 이상일 것이며, 실제로도 대간첩 작전에도 F-5A가 계속 투입되었고 이 과정에서 순직한 조종사들도 있었다. 운동성 좋은 F-5를 가지고도 조종사의 한계까지 훈련하다 산에 충돌하는 사고가 가끔 생겼다.
다만 F-104에 대한 편견이 들어가있는 부분인데 F-5 후기형과 비교해보면 F-104가 엄청나게 기동성이 떨어지지는 않는다. 익면적은 미세하지만 오히려 F-104가 넓고 고속에 적합한 형태이며 엔진 추력은 우월하다. 반면 F-5E는 저속에서 더 유리한 에어포일을 가지고 있고 공중량은 훨씬 적다. 때문에 경하중량의 차이가 커서 저공, 저속 그리고 전투중량 이하에서의 근접격투에서는 F-5E가 유리하지만 최대 이륙중량, 고속, 시계외 전투 등의 상황에서의 기동성은 F-104가 더 뛰어나다.
참고로 장지량 장군의 회고에 기반을 둔 F-104를 주려는 것을 F-4로 받아왔다는 이야기가 있으나 F-104의 원조계획과 F-4의 인도는 5년의 시간차가 있으며 F-4를 도입할 때는 처음부터 F-4를 제공할 계획이었으므로 사실이라기에는 의문점이 많다.
#
F-104를 조종하다 사고로 순직한 독일인 조종사들의 부인들이 법정소송을 하여 보상을 받은 이야기를 담은 드라마 Starfighter가 2015년에 서울 드라마 어워즈 2015에 출품되었다.
5. 뜻밖의 환생
기록 경신을 위해 달리는 모습.
2013년에는 F-104중 하나가 블러드 하운드 SSC같은 기록 경신용 초음속 차량으로 환생하여 땅 위를 비행했다.
초음속 자동차로 개조된 후의 이름은 F-104 노스 아메리칸 이글(North American Eagle). 최고시속 709km, 평균시속 632km를 기록했다.
1999년 에드 셰이들(Ed Shadle)[5]이라는 엔지니어가 버려진 F-104를 폐차장에서 사들였다. 금액은 미화 2만5천 달러로 대략 2700~3000만원이 들었다. 그 외에 자기 기지가 있는 시애틀까지 운송하는데 3천 달러로 대략 320~350만원이 들었다고 한다. 그 후 주익을 제거하고 바퀴를 달고, 새 엔진을 달아 초음속 자동차로 개조했는데, 장착된 엔진은 5만 2천 마력의 제너럴 일렉트릭 LM1500 터보샤프트 가스터빈 엔진으로, 과거 F-104에 달렸던 J79 터보제트 엔진의 개량형이다. 현재 남아있는 J79 터보제트 엔진이 거의 없다시피해서, J79엔진의 계보를 이어 현재까지 생산되는 LM1500 터보샤프트 엔진으로 장착했다고 한다.
이 차량으로 속도를 기록한 인물은 인터넷 자동차 관련 동영상 시리즈인 더 리스트(The List)의 여성 진행자인 제시 콤스(Jessi Combs)라는 여성이었다. 콤스는 F-104를 개조한 노스 아메리칸 이글 초음속 차량을 타고 최고속도 시속 709km, 평균시속 632km로 보네빌 소금 평야를 왕복하여, 현재까지 4륜차량으로 가장 빠른 속도를 기록한 여성 운전자로 기록되었다. 안타깝게도, 2019년 8월 27일 미국 오리건 주 사막에서 이 차량을 타고 자신의 기록에 도전하다가 사고로 목숨을 잃었다. 여담으로 여성운전자 중 가장 빠른 기록은 1976년 앨보드 사막에서 기록한 키티 오닐의 평균 825.127km/h(순간 최고 속력은 999km/h)이다. 과산화수소를 산화제로 사용한 로켓 3륜 차량으로 달성하였다.
이번 주행의 GPS 데이터 등의 기록은 FIA에 보내져 승인을 대기 중이다. 그 후에도 이 프로젝트의 팀장인 에드 셰이들과 드라이버인 제시 콤스, 그리고 캐나다와 미국에서 온 자원봉사 엔지니어와 파일럿들은 여기 만족하지 않고 시속 761마일(1224km/h=천음속[6])로 주행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정부 지원이나 자금 지원을 제대로 받지 못해 1년에 한번 달릴 자금밖에 없음에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하였으나 2019년 8월 27일 사고로 드라이버 제시 콤스가 사망하고 차량이 대파되면서 장래는 불투명해졌다.
(이 문단의 내용은 대부분 BBC 탑기어 매거진 한국판 2014년 4월호 기사에서 발췌했음.)
프로젝트 팀인 "팀 이글"의 홈페이지 위키 등재 정보 한국어 기사 출처 1 한국어 기사 출처 2
6. 그 외
F-104는 최초로 M61을 고정 장착한 기종이다. 해당 문서 참고. F-4는 도입기간 차이도 있고 독일 공군의 역할은 아래에 나와 있듯이 지상공격이 중요한 편인데 그 이전 기종(F-84, F-86)들의 경우 12.7mm 기총을 가지고 있었던 이유다. F-86D는 기총도 없고 그 문제의 기관총은 다름 아닌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정확히는 1946년에 개량한 M3 브라우닝 이다.F-104는 진짜로 미사일처럼 발사 될 수도 있었다. Zero Length Launch, 일명 ZELL은 전투기 발진에 필요한 활주로 대신에 로켓 부스터로 전투기를 쏘아 올리려는 계획이었다. 그런데 이 기종으로 미국에서는 F-100 슈퍼세이버를 사용했지만, 앞서도 꾸준히 언급될 정도로 F-104G를 만능의 기종으로 사용한 독일은 F-104G로 이것을 하려고 시도했다. 다만 ZELL 프로젝트 실효성 부족으로 엎어졌기 때문에 실제로 제식 채용이 되지는 않았다.
또 F-104는 수직이착륙 파생형이 구상되기도 했다. 하나는 CL-704라는 명칭으로, Do 31와 유사하게 양익 끝에 각각 롤스로이스 RB191 엔진을 7개씩 총 14개를 포드 형태로 장착했으며 주 엔진은 RB168으로 교체하도록 구상되었다. 다른 하나는 라이언 사의 엔지니어 Peter Girad와 함께 구상한 것으로, 주익을 완전히 없애버린 다음 대신 동체 위에 삼각형 형태의 로터를 장착해 프로펠러와 주익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한다는 정신나간 형상이 되었다. 물론 둘 다 실제 개발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그 외에도 특이한 파생형 구상안이 계획되었는데, 독일에서는 램재트/로켓 엔진을 붙여 정찰기로 쓰거나 Doppelrumpf F-104G라는 이름으로 F-104 두 대를 쌍동체 형식으로 이어 붙여 장거리 호위 전투기로 써먹으려 했고, 록히드는 CL-705-2 SST라는 이름으로 초음속 여객기를 계획하기도 했다. 그 외에도 CL-1200/X-27 랜서라는 대형화 버전도 계획되었으나 결국 모두 실제로 제작된 기체는 없었다.
역사상 최강 클래스의 테스트 파일럿이었던 척 예거마저도 F-104의 파생형인 NF-104A를 조종하다 사고를 낸 적이 있다. 척 예거가 워낙 악운에 강한 사나이인지라 살아남기는 했지만, 얼굴과 목에 심한 화상을 입어서 장기간 치료를 받았다고 한다. 이 에피소드는 영화 필사의 도전에도 나온다.
아프리카계 미국인 최초로 우주 비행사로 선발되고 최초로 우주에 나간 흑인이 될 수 있었던 로버트 헨리 로렌스 2세(Robert Henry Lawrence, Jr.) 소령이 1967년 F-104 사고로 순직했다. 위 사진의 흑인 우주비행사로, 이 사진은 MOL 프로그램 3기이자 MOL 프로그램에서 마지막으로 뽑힌 4명이다. 좌측부터 로버트 헤레스, 로렌스, 도널드 피터슨, 제임스 앨런 에이브러햄슨[7].
그는 미국 국방부와 미합중국 공군에서 소련의 살류트 프로그램이 군사적 목적으로 추진 중임을 알고 NASA와 별개로 추진했던 Manned Orbital Laboratory(MOL) 프로그램에서 우주 비행사로 선발되었는데, 1967년 비행교관으로서 F-104 후방석에 탑승하여 급강하 비행 교육을 하던 중 기체에 문제가 생겨 탈출했다가 전방석과 후방석의 시간차 사출로 인해 교육생은 살아남았음에도 로렌스의 사출좌석은 위쪽이 아닌 옆면으로 사출되며 현장에서 즉사했다. 로렌스는 MOL 프로그램의 백지화가 결정되기 직전 NASA로 편입시킬 MOL 우주비행사들을 뽑을 때도 반드시 데려가야 할 인물이라는 평가를 받았다고 전해지는데, 로렌스가 살아서 NASA에 들어갔더라면 쿠바 출신으로 러시아 소유즈 우주선을 타고 우주에 올라갔던 아르날도 타마요(Arnaldo Tamayo Méndez) 이전에 우주에 올라갈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MOL에서 NASA로 편입된 인물들이 처음 우주에 올라간 것이 1981년 최초의 우주왕복선 미션 STS-1의 컬럼비아호 조종사였던 로버트 크리펜이었다는 점에서 타마요를 앞지르기는 어려웠을지도 모르지만, NASA 최초의 흑인 우주비행사 기욘 블루퍼드가 1983년 STS-8 미션으로 우주에 올라간 것보다는 꽤 빨랐을 것이다.
우주비행체 즉 유인우주선을 제외한 유인 비행체 중 가장 높은 속력을 기록한 로켓 추진 실험기였던 노스 아메리칸 X-15의 짧은 주익과 길쭉한 원통형 동체는 F-104와 상당히 닮은 느낌을 준다. 때문에 대기권에서 아음속 비행특성 특히 실속 속도나 선회반경, 무동력시 활강거리 등이 유사해서 그런지 X-15의 테스트 비행[8] 이전 비행영공 숙지 및 착륙예행 연습에 NASA 소속 F-104를 이용한 적이 있다.
F-20과 비교하면 둘다 전폭이 9m 이하의 다소 전폭이 좁은 전투기임에도 F-104가 1.5m나 좁은데, 그것만 빼고 피토관, 수직꼬리날개를 제외한 순수 동체길이, 중량, 익면적 등의 기본체급이 F-20과 매우 유사하다. 동체 길이는 피토관을 제외해도 F-104가 살짝 더 길지만 익면적이 18.22 m², 18.6 m²으로 거의 동일하고 중량은 F-104 최후기형 기준으로 400kg 정도 차이난다. 엔진 추력도 J79와 F404가 각각 드라이1000lbs 애프터버너 15600lbs대 드라이 11000lbs, 애프터버너 17000lbs로 비슷한 편이다. 익면적이 비슷한데 하나는 단검같고 하나는 멀쩡한 비행기같다.
7. 대중매체에서
- 스타트렉 - TV시리즈의 1시즌 19화에서 등장하는데,흑성에 휘말린 엔터프라이즈호가 1969년 과거 미국으로 이동되고 이를 UFO로 탐지한 미 공군이 요격하기 위해 F-104 스타파이터 '블루제이 4'를 보내는것으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블루제이 4는 핵탄두로 무장을 한 상태였는데 이는 흑성에 반쯤 무력화된 엔터프라이즈에 큰 타격을 입힐수 있기에 결국 커크 선장은 무해한 견인광선으로 붙잡아두라고 하지만 그러기에는 F-104 자체의 강도가 약했는지 결국 박살나고 만다. 만에 하나 파일럿이 사망하면 시간선에 문제가 생김으로 어쩔수 없이 커크 선장은 블루제이 4의 파일럿을 엔터프라이즈호로 전송한다.
여담이지만 F-104는 스타트렉 전체 세계관에서 유일하게 등장한 제트 전투기이다. TNG에서 B-2가 등장하지만 그냥 후보생 숙소의 모형이었다. - 철인 28호(1963)에서 항공자위대 소속 F-104가 등장하는 에피소드가 있다. 범죄조직의 로봇과 항공기를 파괴하기 위해 출격하지만, 여느 거대로봇물이 다 그렇듯 야라레메카로 등장. 적을 처치하는 건 철인28호의 몫.
- 특이하게 한국 고전영화 대괴수 용가리(1967)에서 대한민국 공군 소속으로 나온다. 이 영화에서는 한국 육군의 주력 전차가 61식 전차다. 아무래도 일본인 스태프가 있었거나 고지라의 영향인 듯 하다. 당시 자위대도 F-104를 운용했었다.
- Starfighter:Sie wollten den Himmel erobern - 1960년대 중반 서독 공군에서 발생한 F-104 추락사고 조사에 관해 다룬 2015년 독일 영화
- 에어리어88 - 원작 코믹스에서 세이렌 바르나크의 탑승기로 등장한다. 프로젝트4의 용병이었을 때는 MiG-21을 사용했지만, 에어리어 88에 합류하기 전 탈취한 서독 공군의 F-104가 탑승기가 된다.
- 에이스 컴뱃 7 Skies Unknown - 메인 스토리를 여는 전투기로 등장한다. 주인공의 협력자이자 작중의 화자 에이브릴 미드가 할아버지와 할아버지의 전우들을 도와, 오래된 비행기 잔해들을 갖고 수년에 걸쳐 F-104를 만들었다. 인게임 설명으로는 6년 8개월에 걸쳐 겨우 엔진을 작동시키고, 거기에 1년 반 넘게 기체 밸런스를 완벽에 가깝게 조절했다고 한다. 거의 10년에 가까운 시간이 걸렸지만 거의 독학으로 제트기를 만들었다니 대단한 수준. 초도비행에서 사고 없이 완벽하게 날아올라서 소닉붐까지 일으킨다.
하지만 재수없게도 초도비행 당시 에루지아가 오시아를 공격했고, 에이브릴의 F-104는 전투 공역에 들어서고 만다. 당연히 군용이 아니라서 IFF가 없던 에이브릴의 F-104는 에루지아의 무인기와 교전 중이던 오시아 공군에게 격추당했다. 이때 에이브릴을 추격하는 오시아 공군 F-15의 주익에 단거리 미사일 2발이 달려있는 것이 보이지만 이 F-15는 뭐 때문인지 가까이 붙어서 기총으로 격추한다. 덕분에 에이브릴이 살아남았다. 에이브릴은 이 사고로 절름발이가 되고 군 교도소에 수감되면서 싱글 플레이 스토리가 시작된다.
해당 기체는 F-104C -Avril-이라는 이름으로 사전구매 특전으로 등장한다. 물론 민간인이 직접 복원한 항공기라는 설정 때문에 기관포조차 없어서 일반 캠페인에선 탈 수 없고, 오직 프리 플라이트 모드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도색도 칠하지 않아서, 기체 표면이 알루미늄처럼 반짝거리는 데다 동체 접합부도 전부 드러나있지만, 사실 이건 미 공군의 초기형 도색이다. 사실상 장식용 기체.
일반 F-104C Starfighter는 저티어 기체로, 미션 5에 진입하면 공짜로 받는다. 일본 항공자위대에서 초도인도분에 요격용 공대공 로켓인 FFAR 로켓을 사용했다는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로켓을 운용하는데, 골때리게도 공대지 판정을 받는다. 어쨌든 싱글플레이 상에선 유일하게 유도 로켓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이용해 이 유도 로켓으로 대함공격기처럼 쓰는 것 외엔 무장이 겹치는 기체들 사이에선 기동성은 나름 괜찮으나 안정성이 대부분 다른 항공기들에게 밀린다. 멀티플레이를 할 때, 코스트 2000 이하 가격대의 전투기만 쓸 수 있는 방에서는 옵션 타협을 해주면 상당히 쓸만하다. 기동성을 올려주면 수치상으로는 스타파이터가 값이 낮지만, 크기가 작아서 그런지 오히려 기동성 부분에서 F-4E를 능가한다. 실제로 써보면 기동성도 괜찮고 속도도 괜찮은 꽤 쓸만한 기종. 다만 가격 싼 전투기답게 미사일 양이 부족해 허덕일 수 있으니 잔탄 관리는 잘 해야 한다. - 만화 플라잉 타이거에서 주인공 호림이 4번째로 받은 기체다. 첫번째는 A-1 스카이레이더로 적기가 공습하니까 그거 끌고 가다 격추, 두번째로 받은 T-6는 기지를 공습당해 출격도 안하고 날렸고 세번째로 받은 AV-8 해리어는 적 기지 공습에 하인드 사냥 쏠쏠히 잘 쓰다 격추. F-104는 정부군의 중요한 보급로인 교량 공습에 나서고 적기와 치열한 교전 끝에 무장이 떨어지니 그대로 교량에 돌진, 충돌 직전에 탈출하며 교량을 파괴한다.
- 워 썬더 - 업데이트 1.99 "Starfighter"에서 미국 트리에 A/C형, 일본 트리에 J형), 중국(대만) 트리에 A/G형, 독일(서독) 트리에 G형, 이탈리아 트리에 G/S형으로 등장한다. 기동성 나쁘기로 소문난 폭격기들조차 한 수 접고 들어갈 정도로 처참한 기동성을 갖췄지만, 그 대신에 직선 비행 속도가 매우 빠르다.
F-104A F-104C F-104A F-104G F-104J F-104G F-104G F-104S
- 비행고등학교 - 자주 넘어지고 다치는 덜렁이 캐릭터로 나온다.
- 마크로스 델타에서 F-104를 외형을 참고한 가변전투기 SV-154가 윈더미어에서 과거에 사용했던 기체로 잠깐 등장한다.
8. 모형화
F-4 팬텀 II 배치 이전까지 나름 서방권 대표 전투기 였던 만큼 다양한 스케일로 여러 모형 제조사가 모형화했다.- 1/32
- 하세가와
70년대 제품이지만 엔진과 레이더가 재현되어 있고 에어브레이크 등이 분할되어 있는 등 높은 디테일을 보여준다. 물론 연식이 연식인지라 양각 몰드이다. - 레벨
1980년 제품이다. - 이탈레리
2015년 제품으로, 요즘 킷답게 품질은 좋은 편이나 누가 이탈레리 아니랄까봐 2% 부족한 느낌을 준다. 디테일이 좋긴 한데 최신 킷스러운 날카로운 느낌은 없다. - 타미야 모형
이탈레리 제품을 재포장해 항공자위대 기체를 재현할 수 있도록 내놓았다. - AFV클럽
- 1/48
- 1/54
- 1/64
- 1/72
- 1/78
- 1/90
- 1/100
- 1/144
- 1/240
- 모노그람
다른 미군 기체들과 합본으로 발매하였다. - 논 스케일
- AFV클럽
한정판으로 나온 제품들 전부 하세가와 재포장이다.
9. 둘러보기
냉전기 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5a99> 미합중국 공군 United States Air Force, USAF | ||||
지상 공격기 | A-1, OV-10, F-105, | ||||
제공 전투기 | <colbgcolor=#005a99> 1세대 | F-80C, F-84, F-86A/F, F-86E-6-CAN | |||
2세대 | F-100A/C/D, F-101A/B/C/D, F-102A/B/C, F-104A/C, F-105B/C/D, F-106A/B, | ||||
3세대 | F-4C/D/E, F-5A/B/E, F-111A | ||||
4세대 | F-15A/B/C/D, F-16A/B/C/D | ||||
5세대 | ATF, | ||||
폭격기 | B-26, B-29, B-36, B-45, B-47, B-50, B-57, B-58, B-66, | ||||
수송기 | 전술 수송기 | C-12, C-23, C-54, C-119, C-123, C-130 | |||
전략 수송기 | C-124, C-141A/B, C-5A/B, C-17A | ||||
공중급유기 | KC-135A/B/D, KC-10A | ||||
다목적기 | C-130 | ||||
훈련기 | T-33, T-37, T-38 | ||||
정찰기 | RB-57D, U-2S, SR-71A, RF-4C, RF-16, RC-135, RB-52B/C | ||||
전자전기 | EB-66, EF-111 | ||||
조기경보기 | E-3 | ||||
공중지휘기 | E-4, EC-135 | ||||
회전익기 | UH-19 | ||||
실험기 | VZ-9 | ||||
※ ※ 윗첨자NG: 주방위군에서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미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
냉전기 독일 연방군(서독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letter-spacing: -0.9px" | [[독일 연방군|''' 독일 연방군 (1955~1990) ''']] Bundeswehr | ||
<colbgcolor=#2F4F4F> 회전익기 | <colbgcolor=#2F4F4F> '''[[무장헬기| 경헬기 ]]''' | Bo 105P PAH (1/1A1) · Bo 105M VBH | SA.318C 알루에트 II■ | 스키티어 Mk.(50■/51■) | SO.1221 진■ | AB 47G-2■■ | |
''' 다목적 헬기 ''' | 시킹 Mk.41■ | UH-1D 이로쿼이■■ | UH-34G 초크토우■■■ | ||
수송헬기 | CH-53G 스탤리온■■ | H-21C 워크호스■ | ||
대잠헬기 | 링스 Mk.88A■ | ||
'''[[전투기| 전투기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G.91(R/3 · R/4) | 시호크 Mk.(100/101)■ | CL-13A 세이버 Mk.(5/6) | F-86K 세이버 도그 | F-84F 썬더스트릭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F-104(F/G) 스타파이터■■ | ||
'''[[3세대 전투기| 3세대 ]]''' | F-4F → F-4F ICE 팬텀 II | ||
공격기 | 토네이도 IDS■■ | OV-10B 브롱코 | ||
'''[[정찰기| 정찰기 ]]''' | 전술 | RF-4F | RF-104G■■ | RF-84F 썬더플래시 | |
전자 | Br.1150M 아틀란틱 SIGNT■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DH.114 헤론 2D | 펨브로크 C.54■■■ | |
전술 | C-160D 트란잘 | C-47D 스카이트레인 | N.2501(D) 노라트라 | ||
수상기 | HU-16D 알바트로스■ | ||
다목적기 | HS.748 | Do 28(A/B/D■) 스카이서번트 | Do 27(A/B)■■■ | ||
''' 지원기 ''' | 전자전기 | 토네이도 ECR | HFB-320M ECM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Br.1150 아틀란틱■ | 가넷 AS.4■ | ||
''' 연락기 ''' | L-18C 슈퍼 컵 | ||
'''[[무인기| 무인기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CL-89■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엘스터 B | 피아지오 P.149D■■ | 하버드 Mk.IV | |
제트 | 알파 제트 A | T-38(A/C) 탈론 | T-37B 트윗 | TF-104G | G.91T/3 | CM.170R 마지스테르■■ | T-33A 슈팅스타 | ||
표적예인 | 미티어 TT.20 | 시퓨리 TT.20 | ||
VIP 탑승기 | B707-307C | 포커 VFW 614 | CL-601 챌린저 | HFB-320 한자 제트 | CV-440 메트로폴리탄 | C-140 제트스타 | DC-6B | ||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 |
현대 캐나다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캐나다군| 캐나다군 (1968~현재) ]]''' Canadian Armed Forces | Forces armées canadienne | ||
<colbgcolor=#da291c> 회전익기 | <colbgcolor=#da291c> '''[[무장헬기| 경헬기 ]]''' | CH-139 | CH-146 | |
수송헬기 | CH-147 | ||
대잠헬기 | CH-148 사이클론 | ||
'''[[전투기| 전투기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CF-104 | CF-100 | CF-101 | |
'''[[3세대 전투기| 3세대 ]]''' | CF-5 | ||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 CF-18(A/B)/CF-188(A/B) | ||
'''[[5세대 전투기| 5세대 ]]''' | {F-35A} | ||
수송기 | 전략 | CC-177 | |
전술 | C-130J-30 | ||
''' 지원기 '''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 {E-7}NAEW&CF | E-3ANAEW&CF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P-8} | CP-140M | ||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 {CC-330} | CC-150 폴라리스 | ||
'''[[UAV| 무인기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CU-176 가고일■클래스 3 - MALE급 IAI 헤론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차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둘러보기: 캐나다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현대 네덜란드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네덜란드군| 네덜란드 왕국군 (1945~현재) ]]''' Nederlandse Krijgsmacht | ||
<colbgcolor=#FFF> 회전익기 | <colbgcolor=#FFF> '''[[무장헬기| 경헬기 ]]''' | Bo 105(C/CB/DB) | SA.319B 알루에트 III | SA.318 알루에트 II | OH-23(B/C) 레이븐 | |
''' 다목적 헬기 ''' | {H225M 카라칼} | AS532 U2 쿠거 Mk.2 | AB 412SP | UH-14A 링스■→■ | AB 204B■ | S-55■ | ||
수송헬기 | CH-47(D/F) 치누크 | ||
공격헬기 | AH-64(D → E) 아파치 | ||
대잠헬기 | NH90 NFH | SH-14(B/C/D) 링스■ | AH-12A 와스프■ | HSS-1 시배트■ | ||
'''[[전투기| 전투기 ]]''' | 프롭 | P-51 머스탱 | P-40 워호크 | 스핏파이어 Mk.IX | 시퓨리 (F.50/FB.51/FB.60)■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F-86K 세이버 도그 | F-84F 썬더스트릭 | F-84(E/G) 썬더제트 | 미티어 (F.4/F.8) | 시호크 Mk.50■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F-104G 스타파이터 | NF-5(A/B) 프리덤 파이터 | 헌터 (F.4/F.6) | ||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세대 ]]''' | F-16(A/B) 블록 1/5/10/15 → F-16(AM/BM) 블록 20 MLU 파이팅 팰콘 | ||
'''[[5세대 전투기| 5세대 ]]''' | F-35A 라이트닝 II | ||
공격기 | TBM-3S2 어벤저■ | ||
폭격기 | B-25J 미첼■■ | PV-2 하푼■ | ||
'''[[정찰기| 정찰기 ]]''' | 전술 | 리어젯 36 | RF-104G | RF-84F 썬더플래시 | RT-33A | 파이어플라이 Mk.(1/4/5)■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포커 F50 | 포커 F27 | 앤슨 Mk.1 | DH.89B 도미니 | |
전술 | {C-390 밀레니엄} | C-130H(-30) 허큘리스 | C-47(A/B) 스카이트레인■■ | ||
수상기 | PBM-5A 마리너■ | PBY-5A 카탈리나■ | 시오터 Mk.2■ | ||
다목적기 | DHC-2 비버 | L-18 · L-21 슈퍼 컵 | 오스터 Mk.3■■ | ||
''' 지원기 '''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 E-3A 센트리NAEW&CF | {E-7}NAEW&CF | TBM-3W2 어벤저■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P-3C 오라이언■ | SP-13A 아틀란틱■ | P-2(V5/V7) 넵튠■ | S-2F-1 트래커■ | ||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 A330 MRTTMMF | KDC-10 익스텐더 | ||
'''[[UAV|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초소형 RQ-11 레이븐클래스 1 - 소형 {하이아이 에어복서} | RQ-27 스캔이글 | 퀀텀 벡터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스켈다르 V-200 | ||
''' UCAV ''' | 클래스 3 - MALE급 MQ-9A 리퍼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PC-7 | S.11 인스트럭터■■ | T-7 · TC-45J 내비게이터■■ | 하버드■■ | 옥스포드 I■■ | 파이어플라이 T.1■ | |
제트 | S.14 마하트레이너 | T-33A 슈팅스타 | TF-104G | 헌터 T.7 | 미티어 (T.6/T.7)■■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MMF: NATO MM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 ■/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둘러보기 : 네덜란드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현대 스페인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color=#373a3c> 스페인군 (1945 ~ 현재) Las Fuerzas Armadas Españolas | ||||
회전익기 | 경헬기 | <colbgcolor=#fefefe,#393b42>Z.2R | XZ.3R | XZ.4R | Z.5R | Z.6R | Z.7(A/B)R | HD.11R | HE.20R | HE.25 | |||
정찰헬기 | HR.12R | HR/HRA-15R | ||||
다목적 헬기 | Z.1(A/B/C)R | HU.8R | HU.10R | HD/HE-16R | HU.18 | HU.21 | HU.22 | HE.24 | HE/HU.26 | HU.27 | HU.30 | ||||
<colcolor=#373a3c> 수송헬기 | HT.17 | HT/HD-19R | HD/HT.21 | HT.27 | HT.29 | ||||
공격헬기 | HA.14R | HA.15R | HA.16R | HA.28 티그레 | ||||
대잠헬기 | HS.9R | HS.13R | HS.23 | ||||
전투기 | 프롭 | C.1R | C.2R | C.3R | C.4(E/J)R | C.6 (1939)R | C.6 (1954)R | C.7R | C.8 (1939)R | C.9 (1939)R | C.11 (1938)R | |||
1세대 | C.5 (1955)R | ||||
2세대 | C.8 (1965)R | ||||
3세대 | A.9R | C.11R | C.12R | C.14(B)R | ||||
4세대 / 4.5세대 | C.15 | C.16(M) 타이푼 | ||||
6세대 | {FCAS} | ||||
폭격기 | BV.1R | B.2R | B.3R | B.4R | B.5R | B.6R | B.7R | ||||
공격기 | A.1R | A.2R | A.3R | A.4R | A.10(B/C) 사에타R | VA.1 마타도어R | VA.1(A/B) | ||||
정찰기 | 프롭 | TR.12A | TR.19 | |||
제트 | TR.20 | AR.9 | CR.12 | ||||
수송기 | T.1R | T.2R | T.3R | T.4(I/II/III)R | T.5R | T.6R | T.7R | T.8R | T.9(I/II)R | T/TL.10 | TM.11 | T.12(B/C/D) | T.15R | T.16R | T/TK/TM.17R | T.18 | T/TM.19 | | TM.20 | T.21 | T.22 | T/TK.23 | T/TK.24 | ||||
지원기 | 조기경보기 | E-3ANAEW&CF | {E-7}NAEW&CF | |||
대잠초계기 | P.3(M)R | {C-295 MPA/ASW} | ||||
공중급유기 | TK.10 | {A330 MRTT} | ||||
의무후송기 | D.2 | D.3A | D.4 | ||||
전자전기 | |||||
무인기 | UR.01 | NR.03 | NR.04 | NR.05 | {SIRTAP} | {유로드론} | ||||
훈련기 | 프롭 | EE.1(I, II)R | EE.2R | EE.3R | EE.4R | EE.5R | E.6(I, II)R | E.16R | E.17R | XE.18R | E.18R | E.19R | E.20 | E.21 | E.22 | E.23 | E.24 | E.26 | E.27 | E.30 | E.31 | TE.12B | |||
제트 | VAE.1 | VAE.1B | CE.8R | AE.9 | XE.12R | E.14(B)R | CE.11R | CE.14R | CE.15(M) | E.15R | E-25 미를로 | ||||
수상기 | HR.1R | HR.2R | HR.3R | HR.4R | HR.5R | HR.6R | HR.7R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스페인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
현대 노르웨이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노르웨이군 (1945~현재) Forsvaret | ||
<colbgcolor=#BA0C2F> 회전익기 | <colbgcolor=#BA0C2F> '''[[무장헬기| 경헬기 ]]''' | H-13(D-1/G-3) 수우 · AB 47(J/J-2)R | |
''' 다목적 헬기 ''' | AW101 멀린 모델 612 | 벨 412(HP/SP) | 시킹 Mk.43(A/B)R | 링스 Mk.86R | UH-1B 이로쿼이R | UH-19D 치카소R | ||
대잠헬기 | MH-60R 시호크 | NH90 NFHR | ||
'''[[전투기| 전투기 ]]''' | 프롭 | 스핏파이어 LF.IXeR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뱀파이어 (F.3/FB.52)R | F-86F 세이버R · F-86K 세이버 도그R | F-84(E/G) 썬더제트R · F-84F 썬더스트릭R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CF-104 · F-104G 스타파이터R | F-5(A/B) 프리덤 파이터R | ||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세대 ]]''' | F-16(A/B)R 블록 1/5/15 → F-16(AM/BM) 블록 20 MLU 파이팅 팰콘R | ||
'''[[5세대 전투기| 5세대 ]]''' | F-35A 라이트닝 II | ||
폭격기 | B-17G-BO 플라잉 포트리스R | 모스키토 FB.6R | ||
'''[[정찰기| 정찰기 ]]''' | 전술 | RF-5A (G)R | RF-104GR | RF-84F 썬더플래시R | 스핏파이어 PR.XIR | Fi 156R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옥스포드 (I/II)R | Ju 52/3mR | C-60A 로드스타R | |
전술 | C-130J-30 슈퍼 허큘리스 | C-130(E/H) 허큘리스R | C-53D 스카이트루퍼R | C-47A 스카이트레인R | C-119G 플라잉 박스카R | ||
수상기 | HU-16B 알바트로스R | 선덜랜드 Mk.VR | 카탈리나 (IB/IVA/IVB) · PBY-5AR | ||
다목적기 | DHC-6 트윈 오터R | DHC-3 오터R | C-64 노스만 Mk.(IV/VI)R | 앤슨 Mk.I | N-3PB 노매드R | ||
''' 지원기 '''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 E-3A 센트리NAEW&CF | {E-7}NAEW&CF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P-8A 포세이돈 | P-3(B/C/N) 오라이언R | ||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 A330 MRTTMMF | ||
전자전기 | 다쏘 팔콘 20ECMR | ||
''' 연락기 ''' | L-19A 버드 도그R | L-18C 슈퍼 컵R | Fi 156R | ||
'''[[UAV|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극소형 인다고 3■ | PD-100 블랙 호넷 나노■클래스 1 - 초소형 RQ-20B 푸마 AE■ | RQ-12A 와스프 III 블록 IV■ | RQ-11 레이븐■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MFI-15 사파리 | 사브 91(B/B-2) 사피르R | PT-26R | PT-19R | 하버드 (II/IIb) · SNJ-3/4R | 모스키토 T.3R | Fw 58R | |
제트 | CF-104D · TF-104GR | T-33A 슈팅스타R | 뱀파이어 T.55R | ||
VIP 탑승기 | 다쏘 팔콘 20C-5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MMF: NATO MM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둘러보기 : 노르웨이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현대 이탈리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이탈리아군| 이탈리아군 ]]''' Forze Armate Italiane | Italian Armed Forces | ||
<colbgcolor=#198019> 회전익기 | <colbgcolor=#198019> '''[[무장헬기| 경헬기 ]]''' | TH-500B | OH-13H | |
''' 다목적 헬기 ''' | {AW169}■ | HH-101A■■ | AW109A/E/Mk.II■■ | HH-139A/B | NH 500E | 벨 205■ | 벨 206■ | 벨 212■ | 벨 412SP/HP■■ | AB.47 G2 | A.105 | H-19A/D | H-34 | S-51 | ||
수송헬기 | ICH-47F■ | CH-47C■ | NH90 TTH■ | A.101G | VH-3D | S-61R | ||
공격헬기 | {AW249} | A129 CBT■ | ||
대잠헬기 | 벨 212 ASW■ | NH90 NFH■ | ||
'''[[전투기| 전투기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CL13 세이버 Mk.4 | F-84F/G | F-86K | G.91R/PAN/Y | 드 해빌랜드 뱀파이어 FB.5/FB.52/FB.52A/NF.10 | 드 해빌랜드 베놈 FB.50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F-104G/S/S-ASA/S-ASA/M | ||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 F-2000A | A-200A | F-16A/BL | ||
'''[[5세대 전투기| 5세대 ]]''' | F-35A | F-35B■■ | ||
'''[[6세대 전투기| 6세대 ]]''' | {GCAP} | ||
공격기 | A-11B | AV-8B+■ | ||
정찰기 | 전술 | RT-33A | RF-104G | U-166B | |
'''[[수송기| 수송기 ]]''' | C-27J | C-130H/J/J-30 | Do 228■ | 피아지오 P.180■■■ | 팰컨 50 | 팰컨 900 | 아에리탈리아 G.222 A/RM/SAA/TCM | 브레다-피토니 BP.471 | 브레다-자파타 BZ.308 | CV-440-75/96 | C-119J/G | DC-6 | G.212 | SM.102 | 포커 F27-600L | ||
수상기 | HU-16 알바트로스 | P.136 | ||
다목적기 | 알라파마 발도 | 암브로시니 S.1001 | H-395 | LA-250 | MB.308 | U-166A | ||
''' 지원기 '''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 E-550A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P-72AS■ | P-1150A■ | S2F-1■ | ||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 KC-767A | KC-130J | KC-707 | ||
전자전기 | {EA-37B} | EA-200B | YEC-27J | 아에리탈리아 G.222 VS | PD-808GE | ||
'''[[UAV|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소형 RQ-27 스캔이글■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RQ-7■ | S-100■클래스 3 - MALE급 P.1HH 해머헤드 | ||
'''[[UCAV| UCAV ]]''' | 클래스 3 - MALE급 MQ-9A | MQ-1C클래스 3 - HALE급 {유로드론}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T-260A/B | T-2006A | 암브로시니 S.7 | 카프로니 트렌토 F-5 | G.46 | G.59 | G.80 | G.82 | M.416 | MB.323 | P.148 | P.149 | 템코 T-35 | |
제트 | T-346 | T-345 | A-11T | MB-339A/CD/RM/PAN | 피아지오 P.180 | TF-2000A | EA-200A | TF-104G | T-33A | ||
VIP 탑승기 | VC-319AJ | CL-215-1A-10 | CV-440-75 | 걸프스트림 III | DC-9-30 | VC-180A | PD-808VIP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차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카라비니에리■), 표기 없을 시 공군 | |||
둘러보기: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현대 일본 자위대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B76E79,#914852> '''[[틀:현대전/일본 항공병기| 일본 자위대 (1954~현재) ]]''' 日本 自衛隊 | ||
회전익기 | <colbgcolor=#B76E79,#914852> '''[[무장헬기| 경헬기 ]]''' | OH-1 닌자■ | BK 117 | OH-6(D/J) 카유스■ | H-13 수우■■ | |
''' 다목적 헬기 ''' | EC225 슈퍼 퓨마 | {UH-2}■ | UH-60(J■■/JA■) 블랙 호크 | UH-1J 휴이■ | UH-1(B/H) "히요도리"■ | S-62J■■ | S-61A■ | S-55A · H-19 "하츠카리"■■■ | ||
수송헬기 | MV-22 오스프리 | CH-47(J■/JA■) 치누크 | KV-107 "시라사기"■■■ | H-21B "호오"■■ | ||
공격헬기 | AH-64DJ 아파치■ | AH-1S 코브라■ | ||
대잠헬기 | SH-60(J/K/L) 시호크■ | SH-3(B/D/H) "치도리"■ | ||
소해헬기 | MCH-101 멀린■ | MH-53E 시 드래곤■ | ||
'''[[전투기| 전투기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F-86F "쿗코" · F-86D "겟코"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F-104(J/DJ) "에이코" | ||
'''[[3세대 전투기| 3세대 ]]''' | F-4EJ → EJ 改 팬텀 II | F-1 | ||
4(.5)세대 | F-15(J/DJ) → F-15J 改 이글 | F-2(A/B) | ||
'''[[5세대 전투기| 5세대 ]]''' | F-35(A/{B}■) 라이트닝 II | ||
'''[[6세대 전투기| 6세대 ]]''' | {GCAP} | ||
공격기 | TBM-3 어벤저■ | ||
'''[[정찰기| 정찰기 ]]''' | 전술 | RF-4(E/EJ) | RF-86F | |
전자 | {RC-2} | EP-3 | EP-2J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YS-11 | R4D-6Q "마나즈루"■ | |
전술 | C-2 | C-130(H/R) 허큘리스 | C-1A | C-46D 코만도 | ||
수상기 | US-2■ | US-1A■ | HU-16 "하리가네"■ | G-21 구스■ | ||
다목적기 | U-125A | U-4 | U-36A■ | LR-2■ | LC-90 | LR-1■ | LM-1■ | 가와사키 KAL-2 | ||
''' 지원기 '''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 E-767 | E-2(C/{D}) 호크아이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P-1■ | P-3C 오라이언■ | P-2J 넵튠■ | S-2F-1 "아오타카"■ | PV-2 하푼■ | ||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 {KC-46A 페가수스} | KC-767J | KC-130R | ||
전자전기 | {EC-2} | EC-1 | YS-11(EA/EB) | ||
''' 연락기 ''' | L-19 "소요카제" | L-5 센티넬 | L-21B 슈퍼 컵 | L-16 | ||
'''[[무인기|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소형 RQ-27 스캔이글■ | |
UAV | 클래스 3 - HALE급 RQ-4 글로벌 호크 블록 30(I)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후지 T-7 | 후지 T-5■ | 후지 T-3 | KM-2■■■ | 비치 B65 "우미바토" | T-34A "하츠카제" · LM-1 "닛코" | T-28B 트로젼 | T-6(D/F/G) "마츠카제" | |
제트 | T-4 | T-400 | T-2 | T-1(A/B) "하츠타카" | 뱀파이어 T.55X | T-33A "와카타카" | ||
헬기 | TH-135■ | TH-480B■ | OH-6DA■ | TH-55J 오세이지■ | ||
VIP 탑승기 | B777-300ER | U-4 | EC225 LP■ | B747-47C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자위대 운용 (육자■/해자■/공자■), 표기 없을 시 항공자위대 | |||
}}}}}}}}} |
현대 그리스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그리스군| 그리스군 (1945~현재) ]]'''Ελληνικές Ένοπλες Δυνάμεις | ||
<colbgcolor=#0D5EAF>회전익기 | <colbgcolor=#0D5EAF> '''[[무장헬기| 경헬기 ]]''' | OH-58D 카이오와 워리어■ | AB 206B 제트레인저 II■ | SA.319B 알루에트 III■ | OH-13(H/S) 수우 | |
''' 다목적 헬기 ''' | {UH-60M 블랙 호크}■ | NH90 TTH GR■ | UH-1H 휴이 · AB 205A■■ | {AW139} | AS332 (A2/C1) 슈퍼 퓨마 | AW109(E/S) | AB 212 | UH-19(B/D) 치카소 | ||
공격헬기 | AH-64(A+/D) 아파치■ | ||
수송헬기 | CH-47(C/D/DG/SD) 치누크■ | ||
대잠헬기 | MH-60R 시호크■ | S-70B-6 에게안 호크■ | AB 212ASW■ | ||
'''[[전투기| 전투기 ]]''' | 프롭 | 스핏파이어 Mk.(Vb/Vc/LF.IXc/HF.IX/XVI) | Bf 109G-6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F-86E 세이버 · F-86D 세이버 도그 | F-84G 썬더제트 | F-84F 썬더스트릭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F-5(A/B) · NF-5(A/B) 프리덤 파이터 | F-104G 스타파이터 | F-102A 델타 대거 | ||
'''[[3세대 전투기| 3세대 ]]''' | F-4E 팬텀 II → F-4E AUP PI2000 | 미라주 F1CG | ||
4(.5)세대 | 라팔(EG/DG) 스탕타르 F3-R | 미라주 2000(EGM/BGM) → 미라주 2000-5 Mk.2 | F-16(C/D) 블록 (30/50/52+/52M) → 72 파이팅 팰콘 | ||
'''[[5세대 전투기| 5세대 ]]''' | {F-35A 라이트닝 II} | ||
공격기 | A-7(E/H) 콜세어 II | SB2C-5 헬다이버 | ||
폭격기 | 웰링턴 GR.XIII | ||
'''[[정찰기| 정찰기 ]]''' | 전술 | RF-4E | RF-5A | RF-104G | RF-84F 썬더플래시 | RT-33A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C-27J 스파르탄 | C-47(A/B/D) 스카이트레인 | AS.10 옥스포드 Mk.(I/II) | 웰링턴 C.XIV | |
전술 | {C-130J-30 슈퍼 허큘리스} | C-130(B/H) 허큘리스 | N.2501D 노라트라 | ||
수상기 | HU-16 알바트로스 | Ar 196(A-3/A-5) | ||
다목적기 | 비치 B360 킹에어 | C-12C 휴론■ | U-17(A/B)■ | 에어로 커맨더 680(F/FL) | Do 28D-2 스카이서번트 | DHC-2 비버 | C-45F 익스퍼다이터 | 오스터 Mk.III | PT-17 · PT-13 카뎃 | 앤슨 Mk.II | ||
''' 지원기 '''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 E-99 에리아이 | E-3A 센트리NAEW&CF | {E-7}NAEW&CF | |
전자전기 | C-130H (EW) | AB 212EW■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P-3B 오라이언■ | ||
''' 의무후송기 ''' | 비치 B350ER 킹에어 | ||
''' 연락기 ''' | L-21B · L-18(B/C) 슈퍼 컵 | L-17B 나비온 | L-5(B/C) 센티넬 | Fi 156C-1 | ||
'''[[무인기|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초소형 RQ-20B 푸마 II■ | EMP-X6T■ | 아틀라스 204■ | DJI 매트리스 300RTK■클래스 1 - 소형 {ADS 오비터 3}■ | {알파 900}■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HAI 아르키타스} | E1-79 페가수스(I/II) | SAGEM 스퍼워 B■클래스 3 - MALE급 {사프란 패트롤러} | 헤론 TPL | 헤론L | ||
''' UCAV ''' | 클래스 3 - MALE급 {MQ-9B 시 가디언} | {HAI 그리파스}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T-6A 텍산 II | P2002JF 시에라 | T-41D 메스칼레로 | AT-6A · T-6(D/G) 텍산 | DH.82A 타이거 모스 II | |
제트 | M-346B 마스터 | T-2(C/E) 벅아이 | TA-7(C/H) | TF-104G | TF-102A | T-37(B/C) 트윗 | T-33A 슈팅스타 | AT-33AN 실버스타 Mk.3 | ||
헬기 | 슈바이처 NH300C■ | 벨 47(G-3/G-5/J-2) | ||
VIP 탑승기 | ERJ-135 레거시 600 | 다쏘 팰컨 7X | 걸프스트림 G500 | AB 212VIP | G-159 걸프스트림 I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차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둘러보기 : 그리스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현대 파키스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01411c> 파키스탄군 (1847~현재) پاکستان مسلح افواج | |||
회전익기 | <colbgcolor=#01411c> 다목적 헬기 | SA316R, HH-43BR, H-19DR, H-13R, Mi-17, AW139, Z-9 | ||
전투기 | 프롭 | FB 60R, 템페스트 IIR, 스핏파이어 Mk.VIIIR | ||
1세대 | U-MiG-15R, F-86FR | |||
2세대 | F-6R, F-7PR, MiG-19SR, F-104A/BR | |||
3세대 | 미라주 III, 미라주 V, F-7PG | |||
4세대 / 4.5세대 | JF-17, F-16(A/B, C/D), J-10C | |||
5세대 | {FC-31} | |||
공격기 | A-5III/CR | |||
폭격기 | RB-57B/FR, H-5R, 핼리팩스R | |||
수송기 | 보잉 707, 에어버스 A310, 걸프스트림 IV, C-130B/E/H, 사브 2000, CN-235, Y-12 | |||
지원기 | 조기경보기 | 사브 2000 에리아이, ZDK-03 | ||
대잠초계기 | 아틀란틱R, P-3C, RAS 72, {시 술탄} | |||
공중급유기 | Il-78MP, {A310 MRTT} | |||
전자전기 | DA-20 | |||
무인기 | UAV | 샤파르, 팔코, CH-4A | ||
UCAV | 바이락타르 TB2, 샤파르 2, CH-4B, CAIG 윙룽 II, {바이락타르 아큰즈} | |||
훈련기 | K-8(P), T-37B/C, MFI-17 무샤크, MFI-395 슈퍼 무샤크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파키스탄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현대 대만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대만군| 중화민국 국군 (1947~현재) ]]''' 中華民國國軍 | ||
<colbgcolor=#000096> 회전익기 | <colbgcolor=#000096> '''[[무장헬기| 경헬기 ]]''' | OH-58D 카이오와 워리어■ | OH-6A 카유스■ | S-51 | |
''' 다목적 헬기 ''' | EC225 슈퍼 퓨마 | S-70(C-1/C-6) 슈퍼 블루 호크 | UH-60M 블랙 호크■ | UH-1(B/H) 휴이■ | UH-34D 초크토우■ | ||
수송헬기 | CH-47SD 치누크■ | ||
공격헬기 | AH-64E 아파치■ | AH-1W 슈퍼 코브라■ | ||
대잠헬기 | S-70C(M)-1/2 썬더호크■ | 500MD ASW■ | ||
'''[[전투기| 전투기 ]]''' | 프롭 | P-51(B/C/D/K) 머스탱 | P-47(D/N) 썬더볼트 | P-40(E/K/N) 워호크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F-86F 세이버 · F-86D 세이버 도그 | F-84G 썬더제트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F-5(A/B) 프리덤 파이터 | F-104(A/B/C/D/G/J) 스타파이터 | F-100A 슈퍼 세이버 | ||
'''[[3세대 전투기| 3세대 ]]''' | F-5E/F 중정호 | ||
4(.5)세대 | F-16(A/B) 블록 20 → F-16(C/D) 블록 70 파이팅 팰콘 | 미라주 2000-5(Ei/Di) | F-CK-1(A/B) 경국 | | ||
공격기 | |||
폭격기 | B-26(B/C) 머로더 | B-25(C/D/J) 미첼 | B-24M 리버레이터 | 모스키토 FB.26 | ||
'''[[정찰기| 정찰기 ]]''' | 전술 | RF-16A | RF-5E 타이거아이 | RB-69A | RB-57(D/F) 캔버라 | RF-104 | RF-101A 부두 | RF-100A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C-123K 프로바이더 | C-47 스카이트레인 | |
전술 | C-130H 허큘리스 | C-54(D/G) 스카이마스터 | C-46 코만도 | C-119(G/L) 플라잉 박스카 | ||
수상기 | HU-16 알바트로스 | ||
다목적기 | C-45 익스퍼다이터 | ||
''' 지원기 '''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 E-2K 호크아이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P-3C 오라이언 | S-2(A/E/G/T) 트래커 | P-2 넵튠 | PB4Y-2 프라이버티어 | ||
전자전기 | C-130HE | ||
''' 연락기 ''' | O-1버드 도그■ | L-5 센티넬 | ||
'''[[UAV|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초소형 홍작미-(1/2)형■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예연■■클래스 3 - MALE급 등운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T-34C 터보 멘토 | T-CH-1 중흥호 | T-28A 트로젼 | AT-11 캔전 | AT-6 · T-6 텍산 | PL-1(A/B) 개수호■■ | |
제트 | T-BE-5A 용응 | AT-3 자강 | T-38A 탈론 | TF-104G · F-104DJ | T-33A 슈팅스타 | ||
헬기 | TH-67A 크릭■ | TH-55A 오세이지■ | ||
VIP 탑승기 | B737-8AR | 포커 50 | 비치 B1900C | B727-109 | B720-051B | VC-118 | VC-47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 |
현대 벨기에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벨기에군| 벨기에군 (1945~현재) ]]'''Belgische Defensie | La Défense Belge | Belgische Streitkräfte | ||
<colbgcolor=#000> 회전익기 | <colbgcolor=#000> '''[[무장헬기| 경헬기 ]]''' | {H145} | AW109BAi | SA.316B 알루에트 III■ | |
''' 다목적 헬기 ''' | NH90 TTH | 시킹 Mk.48 | S-58C | ||
대잠헬기 | NH90 NFH■ | ||
'''[[전투기| 전투기 ]]''' | 프롭 | 스핏파이어 FR.XIV | 허리케인 Mk.1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CF-100 Mk.5 카눅 | F-84F 썬더스트릭 | F-84(E/H) 썬더제트 | 미티어 (F.4/F.8/NF.11)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F-104G 스타파이터 | ||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세대 ]]''' | F-16(A/B) 블록 1/5/10/15 → F-16(AM/BM) 블록 20 MLU 파이팅 팰콘 | ||
'''[[5세대 전투기| 5세대 ]]''' | F-35A 라이트닝 II | ||
공격기 | 미라주 5BA | ||
'''[[정찰기| 정찰기 ]]''' | 전술 | 미라주 5BR | RF-104G | RF-84F 썬더플래시 | |
'''[[수송기| 수송기 ]]''' | 전술 | A400M 아틀라스 | C-130H 허큘리스 | C-54 스카이마스터 | |
다목적기 | 오스터 AOP.6 | ||
''' 지원기 '''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 E-3A 센트리NAEW&CF | {E-7}NAEW&CF | |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 A330 MRTTMMF | ||
'''[[UAV|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초소형 RQ-20 푸마■ | RQ-11 레이븐■클래스 1 - 소형 RQ-21 블랙잭■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스켈다르 V-200■클래스 3 - MALE급 RQ-5A 헌터 | ||
''' UCAV ''' | 클래스 3 - MALE급 {MQ-9B 스카이가디언}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SF.260 | T-6 텍산 | |
제트 | 알파 제트 B1 | CM.170 마지스테르 | TF-104G | 미티어 T.7 | T-33A 슈팅스타 | ||
VIP 탑승기 | 다쏘 팔콘 7X | ERJ-145 | 다쏘 팔콘 20E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MMF: NATO MM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둘러보기 : 벨기에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현대 요르단 왕립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요르단 왕립군 (1955~) سلاح الجو الملكي الأردني | |||
회전익기 | 다목적 헬기 | 알루에트 IIIR, UH-60L/M, EC635, AS350 | ||
공격헬기 | AH-1E/F, {AH-6i} | |||
수송헬기 | AS332, Mi-26T2 | |||
전투기 | 2세대 | F-5AR, F-104AR | ||
3세대 | 미라주 F1R | |||
4세대 | F-16A | |||
<colbgcolor=#007a3d> 공격기 | AT-802 | |||
건쉽 | AC-235R | |||
수송기 | CN-235R, 세스나 208, C-130E/H, M28 스카이트럭 | |||
무인기 | <colbgcolor=#007a3d> UCAV | CH-4B | ||
훈련기 | T-37BR, F-5BR, F-104BR, GomhouriaR, F-16B,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요르단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미국의 제트전투기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 <colbgcolor=#002664,#1c315c> 1940년대 | P-59 에어라코멧 | FH 팬텀 | FJ-1 퓨리 | F2H 밴시 | F9F 팬서 | F-86 세이버 | F-84 썬더제트 | F-80 슈팅스타 | F6U 파이렛 |
1950년대 | F-89 스콜피온 | F-94 스타파이어 | F-9(F9F) 쿠거 | F-10(F3D) 스카이나이트 | F-100 슈퍼 세이버 | FJ-2/3(F-1) 퓨리 | F7U 커틀러스 | F-1E(FJ-4) 퓨리 | F-7(F2Y) 씨다트 | F-11(F11F) 타이거 | F-3(F3H) 데몬 | F-102 델타 대거 | F-6(F4D) 스카이레이 | F-8(F8U) 크루세이더 | F-101부두 | F-104 스타파이터 | F-105 썬더 치프 | F-106 델타 다트 | |
1960년대 | F-4(F4H/F-110) 팬텀 II | |
1970년대 | F-14 톰캣 / 슈퍼톰캣 | F-15 이글 / 스트라이크 이글 | F-16 파이팅 팰콘 | |
1980년대 | F-20 타이거 샤크 | F/A-18 호넷 | F-117 나이트호크 | |
1990년대 | F/A-18E/F 슈퍼 호넷 | F-22 랩터 | F-35 라이트닝 II | |
2010년대 | F-15SE 사일런트 이글 | F-16V 바이퍼 | |
2020년대 | F-15EX 이글 II | F-35 라이트닝 II 블록 4 | |
2030년대 | PCA | F/A-XX | |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 협상군 | 동맹군 | |||||||
전간기 | 프랑스 | |||||||||
2차 세계대전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 소련 | 노르웨이 | 스웨덴 | |||||||
핀란드 | 덴마크 | 스위스 | 태국 | |||||||
프랑스 | 중화민국 |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 |||||||
헝가리 왕국 | 스페인 | 만주국 |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미 공군 | 미 해군 | 서독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북미 | 미 공군 | 미 해군 | 캐나다 | 멕시코 | ||||
''' 중미/카리브 '''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 도미니카 공화국 ]] | 쿠바 |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 엘살바도르 ]] | 온두라스 | ||||||
<colbgcolor=#3d3137>남미 | 브라질 | 우루과이 |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 아르헨티나 ]] | 칠레 | ||||||
볼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에콰도르 | |||||||
콜롬비아 | 베네수엘라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아일랜드 | 룩셈부르크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체코 |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슬로바키아 ]] | ||||||
스위스 |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 오스트리아 ]]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 슬로베니아 ]]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 크로아티아 ]] | |||||||
세르비아 |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 몬테네그로 ]]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 북마케도니아 ]] | |||||||
알바니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 우크라이나 ]] | 벨라루스 | 몰도바 | ||||||
조지아 |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 아르메니아 ]]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 아제르바이잔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몽골 | |||||||||
''' 동남아시아 ''' | 태국 | 베트남 |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 말레이시아 ]] | 싱가포르 | ||||||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브루나이 | 미얀마 | |||||||
캄보디아 | 라오스 | |||||||||
''' 중앙아시아 '''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 카자흐스탄 ]]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 우즈베키스탄 ]]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 타지키스탄 ]]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 키르기스스탄 ]] |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 투르크메니스탄 ]]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 방글라데시 ]] | 스리랑카 | ||||||
네팔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 아프가니스탄 ]]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 사우디아라비아 ]] | 이란 | 이라크 | ||||||
쿠웨이트 | 시리아 | 레바논 | 요르단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 아랍에미리트 ]] | 카타르 | 바레인 | 오만 | |||||||
예멘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 파푸아뉴기니 ]] | |||||||
''' 북아프리카 ''' | 이집트 | 리비아 | 튀니지 | 알제리 | ||||||
모로코 | 수단 | 자유 리비아 (~'11) | ||||||||
''' 동아프리카 '''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 에티오피아 ]] | 지부티 | 소말리아 | 케냐 | ||||||
탄자니아 | 모잠비크 | 우간다 | 르완다 | |||||||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 마다가스카르 ]] | 코모로 | |||||||||
''' 서아프리카 '''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 나이지리아 ]] | 세네갈 | 니제르 | 말리 | ||||||
기니 | 모리타니 | 가나 | 토고 | |||||||
''' 중아프리카 ''' | 차드 | 카메룬 | 가봉 |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 콩고 공화국 ]] |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
''' 남아프리카 ''' | 남아공 | 보츠와나 | 나미비아 | 레소토 | ||||||
잠비아 |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 러시아 | 프랑스 | 유럽 | 아시아 | }}}}}}}}}}}} |
{{{#!wiki style="margin: 0 -10px;" {{{#123374,#7697ce {{{#!folding [ 록히드 마틴의 항공기 목록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e5e5e5 | 민항기 | |
쌍발기 | 일렉트라L ‧ 슈퍼 일렉트라L ‧ 로드스타L ‧ 마틴 2-0-2M ‧ 마틴 4-0-4M ‧ 마틴 M-130M | |
3발기 | L-1011L | |
4발기 | L-188L ‧ 제트스타L ‧ 컨스텔레이션L | |
개발 취소 | L-2000L | |
군용기 | ||
전투기 | P-38L ‧ P-80L ‧ F-104L ‧ F-16L ‧ F-22 ‧ F-35 | |
공격기 | F-117L | |
폭격기 | A-28 / A-29 / AT-18 허드슨L ‧ 벤추라L ‧ B-26M | |
수송기 | C-130 ‧ C-141L ‧ C-5L | |
정찰기 | U-2L ‧ SR-71L | |
대잠초계기 | P-2L ‧ P-3 ‧ S-3L | |
무인기 | 데저트 호크 ‧ RQ-3 다크스타 ‧ RQ-170 ‧ X-44A ‧ 코모란트 ‧ 시 고스트 ‧ 스토커 | |
헬리콥터 | ||
군용 | AH-56L | |
윗첨자L: 록히드 단독 설계/생산 항공기 윗첨자M: 마틴 마리에타 단독 설계/생산 항공기 | ||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 |
10. 참고 링크
[1] 미국 공군이 주로 사용하는 붐 방식이 아닌 프로브 방식이다.[2] 활주로의 거품은 동체착륙 시 생긴 불꽃이나 마찰열 등으로 발생하는 화재를 막으려고 소화용 폼을 뿌려둔 거다.[3] 결국 이 일을 해결한 이는 공군총감에 임명된 요하네스 슈타인호프였다. 당시 국방부와 충돌을 빚어가면서 위기를 수습했다고 하며, 오죽했으면 두 번이나 국방부 장관 앞에서 사임한다고 위협했다고 한다.[4] 네덜란드는 인도네시아를 식민지로 지배하였고, 네덜란드에는 말루쿠 인들을 포함한 인도네시아인들이 많이 살고 있었다.[5] 과거 IBM에서도 엔지니어로 근무한 적이 있고, 미 공군에서 통신요원으로도 근무했다고 한다.[6] 거의 정확히 상온 1기압에서의 음속에 해당한다.[7] 로버트 헤레스는 MOL 취소 이후 공군으로 복귀하고 공군 대장까지 진급, 우주사령관과 초대 합동참모차장을 지냈다. 에이브러헴슨 역시 SDI를 이끌며 중장까지 지냈다. 피터슨은 공군에서 장군이 되지는 못했지만 NASA로의 편입에 성공, STS-6 미션으로 정말 우주에 올라갔다.[8] 실제 로켓 모터를 이용한 초음속 비행 이전 처녀비행 및 착륙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