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eing C-17 Globemaster III |
1. 개요
미국의 항공기 제작사였던 맥도넬 더글라스가 설계하고, 맥도넬 더글라스를 인수합병 한 보잉이 생산 및 납품한 대형 전략/전술 수송기이다.
2. 제원
Boeing C-17 Globemaster III | ||
제조사 | | |
초도비행 | 1991년 9월 15일 | |
배치 | 1995년 1월 17일 | |
생산 | 1991년~2015년[1] | |
생산댓수 | 279대 | |
임무 | 전략 / 전술 수송임무 | |
전장 | 53m (174ft) | |
전폭 | 51.75m (169.8ft) | |
전고 | 16.8m (55.1ft) | |
익면적 | 353m² (3,800ft²) | |
승무원 | 조종사 2명, 기상 수송원 1명 | |
공허중량 | 128,100kg (282,500lb) | |
탑재중량 | 77,520kg (170,900lb) | |
최대이륙중량 | 265,350kg (585,000lb) | |
연료탑재량 | 134,556L | |
엔진 | Pratt & Whitney F117-PW-100 터보팬 엔진 (추력 40,400파운드, 180KN) x4기 | |
순항속도 | 829km/h | |
최고속도 | 917km/h | |
항속거리 | 만재상태 : 4,482km, 공허상태 : 10,390km | |
착륙거리 | 만재상태 : 1,067m (3,000ft) | |
이륙거리 | 만재상태 : 2,300m (7,600ft), 50톤 적재상태[2] : 910m (3,000ft) | |
최소추력중량비 | 0.277 | |
최대익면하중 | 750kg/m² (150lb/ft²) | |
최대상승고도 | 13,716m (45,000ft) |
3. 개발
미 공군은 1950년대에 도입된 전술수송기 록히드 C-130 허큘리스의 대체기를 마련할 계획(AMST: Advanced Medium STOL Transport)을 1970년대부터 추진 중이었고, 그 결과 보잉의 YC-14[3]와 맥도넬 더글라스의 YC-15[4]가 경쟁하게 되었다. 그런데 두 실험기 모두 미 공군의 요구조건을 지나치게 뛰어 넘었고, 그 때문에 AMST는 포기되었다.[5]대신 1979년에 C-X 계획, 즉 고성능 차세대 전략수송기 계획이 추진되었다. 이것은 기존에 쓰던 전략수송기 록히드 C-141 스타리프터가 급격히 노후화됨에 따른 대책이었으며 C-141의 임무 완전 대체, 그리고 초대형 수송기 C-5가 대형화물에만 쓰일 수 있도록 하는 임무 상당량 보완 등이 요구되었다.
C-X 프로젝트에는 3개 회사가 입찰하였다. 보잉은 YC-14를 대형화하고 엔진을 하나 더 추가한 기체, 맥도넬 더글라스는 YC-15를 기반으로 재설계한 기체, 록히드는 C-5의 축소판과 C-141의 확대판을 제안했으며 1981년 8월 28일에 맥도넬 더글라스의 제안이 채택되어 제식명칭 C-17이 부여되었다. 그리고 1993년에는 미 공군 기체로는 C-74, C-124에 이어 세 번째로 Globemaster라는 이름을 이어 받았다.
3.1. 험난했던 과정
시제기는 AMST 계획에서는 기대 이상의 성능을 보여주었지만, 정작 프로젝트가 C-X로 이행하면서부터는 예산문제에 기대 이하의 성능으로 문제가 많았다. 미 공군은 당초 210대를 구매하려 했으나, 냉전이 종식되고 군축의 시대가 도래하자 1990년 딕 체니 당시 국방장관이 구매대수를 120대로 축소해 버린다. 결국 첫 비행은 예정을 1년 넘긴 1991년 9월 15일에 이루어진다.당시 C-X 프로젝트는 국방예산의 축소에 따라서 예산문제에 봉착하였다. 거기에 C-17은 늘어난 중량, 기대치에 못 미치는 연비와 적재력, 항속거리는 물론 병력 공수 시 기류가 낙하산에 미치는 영향, 소프트웨어, 랜딩 기어까지 다양한 문제로 인해서 개발은 계속 지연되었다. 이때문에 맥도넬 더글라스의 손실은 1993년까지 15억 달러에 근접하게 되었다. 계속되는 프로젝트의 지연으로 인해서 1994년에는 구매대수가 32대로 축소되기 직전까지 몰리게 된다.
사업타당성에서도 잡음이 많았다. 1994년 미 회계감사원(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6] 보고서에서는 C-5보다 C-17에 투자되어야 한다는 공군과 국방부의 연구결과가 조작된 것이라고 하면서, 이착륙 가능거리가 단지 활주로의 크기에만 맞춰져 있고 적재중량은 고려하지 않았기에 미국 영토 외의 가용비행장은 공군과 국방부 주장대로 6400개가 아니라 911개에 지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런데 이 보고서조차도, C-17의 저규격 활주로 대응능력을 고려하지 않아 결함이 있었다.
이외에도 GAO의 비판은 계속되었다. 1995년에는 기주문된 120대에 대해서는 도입단가가 계약당시에는 3950만 달러인데, 210대 전체에 대해서는 그 단가가 4180만 달러로 잡혀 있다는 것을 지적하는가 하면, 1997년에는 만재상태에서 표면이 젖은 900m 활주로에 착륙할 수 없고 시뮬레이션 결과 1500m는 필요하다는 골자의 보고서를 냈다. 그 때문에 맥도넬 더글라스는 박물관에 보낸 YC-15를 다시 갖고 와서까지 실험을 다시 해서 기술적 요구사항을 맞추어 내었다. GAO가 지적한 기술적 문제는 지금에는 다 해결된 사항이다.
경영위기에 몰린 맥도넬 더글러스는 1997년 회사 자체가 보잉으로 넘어갔다. 결국 C-X프로젝트에서 초반에 탈락했던 보잉이 최후의 승리자가 된 것이다. C-17은 이후 보잉의 주력상품으로 꾸준히 생산되다가, 2015년 더 이상 구매자가 나타나지 않으면서 단종되었다.
3.2. 타 수송기와의 비교
C-17은 전략/전술 공수 모두 가능한 STOL 대형 수송기이다. 즉 대륙간 물자수송은 물론 전장에 바로 공수할 수 있는 능력도 갖추고 있다. 특히 화물을 만재한 상태에서의 착륙거리가 2700피트(<823m)라는 것은 기적에 가깝다. 화물을 모두 내려놓고 나면 거기서 300피트만 더 있으면 이륙할 수 있다. 즉 공허중량에서의 이륙거리는 3000피트(<915m)로, 1km가 채 안되는 야전 활주로만 있어도 문제없이 수송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C-5의 수송력이 130톤으로 엄청나게 크지만 만재상태의 착륙거리가 4900피트(<1494m)라서 실제 착륙가능한 비행장이 적은 것을 볼 때, C-17의 단거리이착륙성능은 가용성을 비약적으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C-17은 전술 공수에도 대응가능한 전략수송기라고 할 수 있다.보다 알기 쉽게 말하자면, C-130 4대가 할 일을 한 대로 해치우고, 게다가 C-130을 운용가능한 비행장에서도 운용이 가능하다. 물론 단거리 착륙만을 생각한다면 An-70이나 An-124 등 구소련(현재 우크라이나[7])의 대형 수송기의 경우가 뛰어나 보일 수는 있다. 그러나 An-70의 경우는 최소 1500m급의 활주로가 필요하며, 최대적재량이 47톤으로 C-17의 수송력만큼 되지도 않지만, C-17과 같은 급의 활주로를 이용하려면 적재량을 줄여야 한다. An-124의 최소착륙거리는 800m지만 이것은 만재상태가 아니라 공허중량일 때의 이야기로, 더 무거운 기종특성상 만재 시엔 900m를 활주해야 한다고 한다. 단, 탑재량과 연료량, 항속거리를 생각하면 STOL과 기체중량 외의 나머지 개별성능은 전반적으로 An-124가 더 낫긴 하다. 화물을 42.48톤 더 실으면서 동시에 연료도 40.945톤 더 적재되기 때문.[8]
Il-76을 얘기할수도 있는데, 이놈도 이착륙거리가 길다. 심지어 착륙거리는 An-124보다 더 긴 930~1000m 범위이며, 중량에 따라선 착륙시 포장활주로에서 약 1500미터를 내달리며 충분한 감속에 대략 40초 가량을 소모하기도 한다.[9][10] 그리고 결정적으로 C-17의 기체 대수가 절대적으로 많다. 즉 개별 유닛도 뛰어난데 물량까지 많으니 그 앞에 장사 없다라는 결론이다.
대표적인 활약상으로 2003년 미국의 이라크 침공이 있다. 이라크 북부에 173공수여단의 보병 1000명을 전투강하를 시켰으며 동시에 M1전차, M2&M113장갑차를 공중수송한 기록이 있다.
|
3.3. 엄청난 수송력
길이 27m, 폭 5.5m, 높이 3.76m의 화물칸에 최대 77.52톤을 수송할 수 있으며, C-17 한 대로, 아래의 조합 중 하나를 한 번에 운반할 수 있다.- AH-64 공격헬기 3대
- AH-64 공격헬기 2대와 OH-58 헬기 3대 동시탑재
- M1 에이브람스 전차 1대
- M2 브래들리 장갑차 3대
- M270 MLRS 1대, 지원차량 3대, 운용요원 47명
- 스트라이커 장갑차 3대
- 패트리어트 지대공미사일 발사차량 1대
- 험비 10대
- 463L 화물팔레트 18개
- 병력 189명
4. 파생형
4.1. C-17A
최초생산버전.4.2. C-17A ER
보잉 내부에서만 부르는 이름으로, 2001년부터의 생산기체인 Block 13부터 연료탱크를 증설하여 항속거리를 늘린 버전.4.3. C-17B
|
4.4. MD-17 (BC-17)
맥도넬 더글라스 시대에 추진된 민수용 버전. 보잉으로의 합병 이후에는 BC-17로 개명되었으나 연비 및 유지비용에서 불리한 군용기를 민수용으로 쓸 항공사가 없었기 때문에 관심을 끌지 못하고, 제안서 수준에서 끝나고 말았다.5. 운용국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17/운용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17/운용국#|]][[C-17/운용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사건사고
강력한 성능을 자랑하는 수송기이지만, 몇몇 사고로 인해서 뼈아픈 흑역사가 생기기도 했다.6.1. 알래스카 엘멘도르프-리차드슨 합동기지 C-17 추락사고
2010 Alaska C-17 crash
어처구니없는 원인으로 일어난 사고로 이 사고와 함께 공군에게 중요한 타산지석이 되고 있다. 말 그대로 인재(人災)라고도 할 수 있다.
2010년 7월 28일 알래스카 주에 위치한 엘멘도르프-리차드슨 합동기지 (Joint Base Elmendorf-Richardson)에서 C-17 수송기(테일넘버 00-0173)가 에어쇼 예행연습을 위해 선회비행을 연습하다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탑승자 4명이 전원 사망했으며, 조사 결과 조종사의 과실로 판명되었다고 한다.[11]
|
|
사고 보고서에 따르면 이러한 조종사의 행동은 에어쇼에서 좋은 시범비행을 보여주려는 데서 기인했다고 한다. 하지만 비행시에는 자신의 실력을 뽐내는 것보다도 안전과 규정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무리 자신의 실력을 자랑해야 하는 자리일지라도 안전규정대로 하지 않으면 돌이킬 수 없는 사고가 나기 마련. 에어쇼 사고 중에서 그러한 실수로 어처구니없이 목숨을 잃는 비행사들이나 공군 조종사들이 많기에, 비행기를 조종하는 사람들은 항상 실력보다 안전을 중요시해야 하는 것이다. 더구나 비슷한 경위로 일어난 사고가 1994년에도 있었기 때문에 이 사건은 비행사들과 공군에게도 교훈이 되고 있다.
본 항목의 참고가 된 전문[14]으로 해당 C-17 사고뿐만 아니라 1994년 일어난 B-52 추락사고도 게재되어 있다. 양쪽 모두 안전규정 미준수로 일어난 사고였다.
6.2. 피터 O. 나이트 공항 착륙 에피소드
큰 사고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작은 사고를 겸한 C-17의 STOL 능력을 보여준 에피소드가 하나 있다.# 2012년 7월 12일, 미국 플로리다 주 탬파[15]의 맥딜 공군기지에 착륙할 예정이었던 뉴저지 맥과이어 공군기지 소속 C-17이 위치를 착각하고 근처의 다른 민간 공항 활주로에 착륙한 것.
민간 활주로에 군용기가 착륙한 것이 뭐가 대단하냐고 할 수도 있지만, 당시 C-17이 착륙한 피터 O. 나이트 공항 (Peter O. Knight Airport)은 소형 경비행기들이 이용하는 작은 공항[16]으로 활주로의 길이가 겨우 1,000m (3,500피트) 남짓했다. 맥딜 공군기지 활주로의 1/3도 안 된다. 여기에 이 대형 항공기가 착륙을 감행한 것.[17] 위 착륙 동영상을 보면 착륙을 구경하던 사람들이 "저거 어떻게 다시 돌아가려고??" 하며 크게 경악한다. 심지어 피터 O. 나이트 공항은 활주로 너비는 약 29m인 반면 맥딜 공군기지는 42m로 13m 너비의 차이가 난다.
다행히 C-17은 무사히 착륙에 성공하였고 뉴스에 출연한 뒤 저녁에 다시 이륙하여 맥딜 공군기지로 돌아갔다. (이륙영상 1 이륙영상 2) 조종사의 실수로 일어난 해프닝이었지만 결과적으론 무사히 이착륙했으니 미국 입장에서는 이 사건을 통해 자신들의 전략공수능력을 과시할수 있는 계기가 되었을지도 모른다.[18]
7. 기타
- 대한민국에 있는 공항들 중 인천국제공항이나 김해국제공항, 대구국제공항 등 대형공항은 물론이고, 포항경주공항, 울산공항, 여수공항 등과 같은 중소규모 공항에서도 이착륙이 가능하다. 또한 정상적인 이착륙이 아니더라도 STOL 성능까지 활용한다면 USAG 험프리스,
캠프 워커[19], 캠프 모빌 등 활주로가 있는 국내 주한미육군 기지나 백령도의 사곶해수욕장 같은 비포장 활주로에도 충분히 이착륙할 수 있다. 실제로 코로나 19 팬데믹 당시 UAE공군 및 나토 소속의 C-17이 인천국제공항에 착륙한 적이 있다.#
- 서울 에어쇼나 오산 에어파워데이 같은 행사가 있을 때마다 STOL 성능을 자랑하러 온다. 착륙 직후 역추진 장치를 이용해 활주로에서 후진을 선보이기도 한다. 비행이 끝나면 조종실 및 화물칸에 들어가 볼 수도 있다.
- 실물깡패로 통하는 비행기들 중 하나다.[20] 사진이나 화면으로 보면 그냥 동글동글하게 생겼지만, 실제로 보면 거대한 크기와 압도적인 위용에 감탄했던 사람들이 많다고.
- 전술 급강하를 할 때 공중에서 엔진 리버스를 이용하는 기체이다. 링크에 들어가 영상을 보면 오토 스로틀을 끄고 기수를 내리는데 엔진 리버스를 키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
- 2013년 5월 록히드 마틴에서 C-17을 이용한 공중발사형 MRBM 실험을 성공시켰다.# eMRBM이라는 표적용 미사일로 MD시스템 테스트용 표적 미사일을 발사하는 용도로 쓰인다고 한다. SM-3 등의 테스트 대상으로 쓰인다는듯.
|
- 한편 C-17을 크루즈 미사일 셔틀로 쓰려는 계획도 있었다.
|
- 2020년 3월 25일, 인천국제공항에 NATO 소속 C-17이 착륙하였다. 루마니아에서 코로나19 대비를 위한 방호복을 긴급 수송하는 목적[21] 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이틀 후인 27일에 다시한번 동일기체가 인천공항에 착륙했다.# 이번엔 추가 방호복과 검사키트를 가져가기 위한 목적이라고 하며, 유럽 각국 공군의 긴급수송 능력을 생각하면 타국용으로 몇 번 더 보게 될 가능성도 있을지도 모른다. 본래 군용기가 타국(민간)공항에 착륙하려면 절차를 거쳐야하지만 시국이 시국인 만큼 단기간에 처리되었거나 눈감아준것으로 보인다.
- 2021년 8월, 아프가니스탄이 탈레반의 총공세 끝에 수도 카불이 함락되는 사태가 벌어지던 와중에 카불 공항에서 미 공군 C-17 수송기들이 아프가니스탄 난민들까지 태우고 필사의 탈출을 감행하는 장면이 보도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인 중 일부는 수송기에 필사적으로 매달렸으며, 기체가 이륙하기 전에 미리 이를 놓지 않았다가 고공에서 추락하여 사망하는 사람들까지 나오고 있다.#
보잉 사가 밝힌 C-17 수송기의 공식 최대 탑승 인원은 134명인데, 이 작전에 투입된 C-17 수송기 중 한 대는 무려 823명의 난민을 태우고 카불 공항을 이륙해 공군판 흥남 철수작전을 성공시켰다.[22] 카불 철수 작전에 투입된 C-17의 모습은 아프간 사태의 처참함을 알리는 동시에 C-17 수송기의 월등한 전략/ 전술 수송능력을 역으로 주목시키고 있기도 하다.#
|
- 2022년 9월 13일, 엘리자베스 2세의 관을 영국 왕립 공군의 C-17(기체번호 ZZ177, 콜사인 KRF01R)이 에든버러에서 런던까지 운구했다.[23] 해당 기체는 약 600만명이 조회함으로서 플라이트레이더24 역사상 가장 많이 조회된 기체가 되었다.
8.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8.1. 게임
- 메탈기어 솔리드 4 - 이 수송기와 An-225를 합치고 어레인지한 미군의 가상의 전술수송기이자 작중 솔리드 스네이크와 오타콘이 사용하는 공중지휘소인 "노매드" 로서 등장한다.
- 에이스 컴뱃 7 Skies Unknown
미션 3에서 에루지아 소속으로, LRSSG의 보급 기지에서 오시아 소속으로 주기된 모습을 볼 수 있다.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의 멀티플레이에서 해금/사용할 수 있는 엠블럼이 존재한다. 해금 조건은 챌린지 '애프터버너(Afterburner)' 완료로 동명의 타이틀과 함께 습득할 수 있으며, 한 라운드에서 공습 계열 킬스트릭인 6킬의 정밀 공습(Precison Airstrike)이나, 7킬의 해리어 공습(Harrier Airstrike), 9킬의 스텔스 폭격기(Stealth Bomber)를 종류에 상관 없이 2번 사용하면 된다. 꼭 사살로 획득하여 사용할 필요는 없고 케어패키지와 긴급 공수를 통해 얻은 것도 인정된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의 멀티플레이에도 모던 2와 동일한 모양으로 등장한다. 해금 조건은 챌린지 'Air Superiority' 완료로, 한 라운드에서 7포인트의 공격 헬리콥터를 두번 사용하면 되며 역시 케어패키지를 통해 얻은 것도 인정된다.
- 콜 오브 듀티: 고스트 - 싱글 캠페인 '끊어진 매듭(Severed Ties)'에서 M1 에이브람스를 투하한다.
- 콜 오브 듀티: 워존 2.0 - 워존 경기 시작 전 인트로에서 등장한다.
- Broken Arrow - 미군 소속의 공중 수송기로 등장할 예정이다.
- 좀비스쿨2 - 지역 5(공군기지)에 배경으로 주기된 수송기로 한기가 나온다.
- 제로 거너 2 - Sea of cloud 스테이지에서 중간 보스로 나온다.
- 에어포트 타이쿤! - 아주 크고 조종하기 힘든 수송기로 등장한다. 크기가 커서 이래저래 쓸모있다.
- 마이크로소프트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2024 - 프리미엄 디럭스 에디션 제공 기체로 등장한다.
- World of Airports - 미군 카타르 등 공군기로 등장 한다.
8.2. 영화,드라마
- 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
- 트랜스포머(영화) - 블랙아웃(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카타르 기지 공격시 주기중인 기체를 볼 수 있고, 이후 대서양을 비행중인 기체도 등장한다.
- 트랜스포머: 패자의 역습 - 네스트팀의 주이동수단으로 등장한다. 디셉티콘의 공격으로 부숴진 옵티머스 프라임도 수송하였다.
- 맨 오브 스틸 - 하디 대령이 C-17 수송기에 침입한 파오라에게 "A good death is its own reward.(훌륭한 죽음은 그 자체가 보상이다.)" 라고 했던 말을 그대로 되돌려주면서, 팬덤존에 그대로 충돌하며 산화한다. [24]
- 에이전트 오브 실드 - 616 팀의 이동지휘소로 사용되며, '버스'라는 코드네임이 붙어있다. 스타크 인더스트리가 한쌍의 추가적 수평미익과 엔진을 2개 추가로 달고, 수직이착륙 기능을 넣는 등의 대규모 개수 작업을 벌였다고 한다.
- 태양의 후예에서 유시진을 본국소환할 때 쓰인다. 하지만 CG로 등장하는 것은 C-130이었다. 대한민국 국군은 실제로 이 기체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것을 대본에서 간과했기 때문에 벌어진 고증오류로 보인다.
- 분노의 질주: 더 세븐 도미닉팀의 차량을 공중낙하 시키기 위해 등장한다.
-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 - 이단과 워커를 공중낙하 시키기 위해 초반부에 등장. 헤일로 점프씬은 실제로 아랍에미리트군의 지원을 받아, 톰 크루즈가 대역없이 찍은 것이라고 한다.
- 007 노 타임 투 다이 - 후반부에서 나토 공군기지에 함께 도착한 제임스 본드와 노미가 Q와 함께 영국 공군의 C-17을 타고 러시아 쿠릴 열도에 위치한 사핀의 기지로 침투한다. 본드와 노미는 하늘에서 글라이더를 타고 하강하여 사핀의 기지로 침투하고, Q는 공중에 남아 이들의 임무 수행을 돕는다.
- 강철비2: 정상회담 - 북한 원산에서 3자 회담 뒤 북한이 보유 중인 핵미사일 탄두를 받아가기 위해 에어포스원 옆 C-17 2기가 언뜻 등장한다.
- 씰팀 - 브라보 팀이 전용 운송 수단 및 작전 기지로 쓰고 있다. 작전에 필요한 화기, 탄약, 차량, 보급품 등을 싣고 세계 어디든지 날아간다. 비행하는 동안 팀원들은 각자 적당한 곳에 해먹을 걸고 휴식 및 수면을 취한다. 작전 중에는 기내에서 통신장비를 이용해 지휘관이 작전을 지휘하고, CIA 파견요원이 작전에 필요한 첩보를 제공하며, 보급담당 부사관은 드론 등 정찰자산을 이용해 적의 위치 및 규모 등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지휘소 역할을 한다.
- 그린랜드 - 시민을 대피시키기 위해 주기되어 있었는데 연료에 불이 붙어 개박살나고, 그 여파로 옆에 있던 C-5도 박살난다.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315288,#FFF {{{#!folding 맥도넬 더글라스 항공기 목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0,#e5e5e5 | 민항기 | |
<colbgcolor=#eee8aa,#544e10> 쌍발기 | DC-9 ‧ MD-80 ‧ MD-90 ‧ MD-95(B717) | |
3발기 | DC-10 ‧ MD-11 | |
4발기 | DC-8 ‧ | |
군용기 | ||
전투기 | FH 팬텀 ‧ F2H 밴시 ‧ F3H 데몬 ‧ F3D 스카이나이트 ‧ F-6(F4D) ‧ F5D 스카이랜서 ‧ F-4 팬텀 II F-101 ‧ F-15 ‧ F/A-18 ‧ F/A-18E/F | |
공격기 | BTD 디스트로이어 ‧ A-1 ‧ A-3 ‧ A-4 ‧ AV-8B | |
폭격기 | B-18 ‧ A-20 ‧ A-26 | |
급강하폭격기 | SBD 돈틀리스 | |
뇌격기 | TBD 데버스테이터 | |
수송기 | C-17 ‧ C-47 ‧ C-54 | |
공중급유기 | KC-10 | |
훈련기 | T-45 | |
헬리콥터 | ||
군용 | MD 500 ‧ AH-64 | |
더글라스의 1945년 이전 모델 | ||
쌍발기 | DC-1 ‧ DC-2 ‧ DC-3 ‧ DC-5 | |
4발기 | DC-4 ‧ DC-6 ‧ DC-7 | |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보잉 항공기 목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민항기 | ||
협동체 | 광동체 | ||
<colbgcolor=#d4def7,#666> 쌍발기 | 717(MD95) · 737(오리지널 · 클래식 · NG · MAX) · 757 | 767 · 777(-200 · -300 · 777X) · 787 드림라이너 | |
3발기 | 727 | - | |
4발기 | 707 | 747(-100 · -200 · SP · -300 · -400 · -8 · 특수목적용) | |
초창기 모델 | 247 · 307 · 314 · 377 · 367-80 | ||
개발 중단 / 개발 중 | 2707 · 7J7 · 소닉크루저 · NMA | ||
군용기 | |||
훈련기 | T-7 | ||
전투기 | P-26 · F-15E/EX · F/A-18E/F · F-47 | ||
전자전기 | EA-18G | ||
폭격기 | B-9 · B-17 · B-29 · B-47 · B-52 | ||
수송기 | C-135 · C-137 · VC-137 · VC-25 · C-32 · C-17 · C-40 | ||
조기경보기 / 지휘관제기 | OC-135 · RC-135 · WC-135 · EC-135 · E-3 · E-4 • E-6 · E-8 · E-767 · E-7 | ||
공중급유기 | KC-97 · KC-135 · KC-767 · KC-46 | ||
대잠초계기 | P-8 | ||
무인기 | MQ-25 ·MQ-28 | ||
헬리콥터 | CH-46 · CH-47 · A/M/EH-6 · AH-64D/E | ||
개발 중단 / 컨셉 / 실험기 | YC-14 · X-32 · X-48 · YAL-1 · B-1R · F-15SE · 팬텀 레이 • 버드 오브 프레이 | ||
인수 합병 및 공동 개발 | |||
맥도넬 더글라스의 항공기 · F-22 · B-1 · V-22 · 디파이언트 X | |||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5a99> 미합중국 공군 United States Air Force, USAF | ||||
지상 공격기 | A-1, OV-10, F-105, | ||||
제공 전투기 | <colbgcolor=#005a99> 1세대 | F-80C, F-84, F-86A/F, F-86E-6-CAN | |||
2세대 | F-100A/C/D, F-101A/B/C/D, F-102A/B/C, F-104A/C, F-105B/C/D, F-106A/B, | ||||
3세대 | F-4C/D/E, F-5A/B/E, F-111A | ||||
4세대 | F-15A/B/C/D, F-16A/B/C/D | ||||
5세대 | ATF, | ||||
폭격기 | B-26, B-29, B-36, B-45, B-47, B-50, B-57, B-58, B-66, | ||||
수송기 | 전술 수송기 | C-12, C-23, C-54, C-119, C-123, C-130 | |||
전략 수송기 | C-124, C-141A/B, C-5A/B, C-17A | ||||
공중급유기 | KC-135A/B/D, KC-10A | ||||
다목적기 | C-130 | ||||
훈련기 | T-33, T-37, T-38 | ||||
정찰기 | RB-57D, U-2S, SR-71A, RF-4C, RF-16, RC-135, RB-52B/C | ||||
전자전기 | EB-66, EF-111 | ||||
조기경보기 | E-3 | ||||
공중지휘기 | E-4, EC-135 | ||||
회전익기 | UH-19 | ||||
실험기 | VZ-9 | ||||
※ ※ 윗첨자NG: 주방위군에서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5a99> 미합중국 공군 United States Air Force, USAF | ||||
전투기 | <colbgcolor=#005a99> 4세대/4.5세대 | F-16(A/BR, C/D, CM/DM), F-15(C/D/E/EX) | |||
5세대 | F-22A, F-35A, | ||||
6세대 | {F-47} | ||||
공격기 | AT-6B, A-10C, AC-130(H/U/W)R/AC-130J, F-117 | ||||
폭격기 | B-52(H/{J}), B-1B, B-2A, {B-21} | ||||
수송기 | 전술 | C-12(C/D/F), C-12J, C-27J, C-41AR, C-144, C-145, C-146A, LC-130H, C-130(H/J/J-30)NG | |||
전략 | C-17A, C-5M | ||||
지원기 | 조기경보기 | E-3(B/C/G), E-8CR, {E-7}, | |||
정찰기 | E-9A, U-2S, U-28, CN-235 | ||||
통신중계기 | E-11A | ||||
계측통신정보기 | RC-135S | ||||
전자정찰기 | RC-135U, EC-130H/J/SJ, EA-37B | ||||
신호정보수집기 | RC-135V/W, RC-26B | ||||
기상관측기 | WC-130J | ||||
대기분석기 | WC-135(C/W/R) | ||||
관측지원기 | OB-135B | ||||
공중지휘기 | E-4 | ||||
공중급유기 | KC-10AR, KC-135R/T, KC-46A | ||||
회전익기 | V-22, TH-1H, UH-1N, M/HH-60G/U, HH-60W, MH-139, | ||||
무인기 | SUAV | RQ-11B, RQ-20B | |||
UAV | RQ-4A/B, RQ-170, RQ-180 | ||||
UCAV | MQ-1BR, MQ-9A/B, MQ-20, {CCA} | ||||
훈련기 | T-1A, T-41C, T-51A, T-52A, T-53A, TG-16, T-6 II, T-38(A/C), TU-2S, {T-7A} | ||||
다목적기 | UV-18B, U-27, U-28 | ||||
특수목적기 | MC-130(J/H/P), MC-12W | ||||
주요인사 탑승기 | VC-25, C-20(A/B/C), C-20(G/H), C-21A, C-32(A/B), C-37(A/B), C-38A, C-40(B/C) | ||||
※ 윗첨자R: 퇴역 항공기 ※ ※ {중괄호}: 도입 예정 항공기 ※ 윗첨자NG: 주방위군에서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c8102e> {{{#ffffff 영국 왕립 공군 Royal Air Force 영국 왕립 해군 함대항공단 Royal Navy Fleet Air Arm}}} | ||||
회전익기 | <colbgcolor=#c8102e> 공격헬기 | WAH-64D, {AH-64E} | |||
다목적 헬기 | 와일드캣 AH.1/HMA.2육/해, 그리핀 HAR.2, H135육, AS365육, 주피터 HT.1, AW101R, WS-51R | ||||
수송헬기 | 치누크 HC.4/HC.5/HC.6/HC.6A, 멀린 Mk.3i/Mk.4해, 벨 212 AH.(1/3)육/R, 브리스톨 192 벨베데어R, 웨스트랜드 웨섹스R, 웨스트랜드 훨윈드R | ||||
대잠헬기 | 멀린 HM.2해, SH-3R | ||||
전투기 | 1세대 | 글로스터 미티어R, 글로스터 자벨린R, 드 해빌랜드 뱀파이어R, 드 해빌랜드 베놈R, 드 해빌랜드 시빅슨R, 슈퍼마린 어태커R, 슈퍼마린 시미터R, 캐나디어 세이버R, 캔버라 B(I)R, 폴랜드 냇R, 호커 시호크R | |||
2세대 | 호커 헌터*, BAC 라이트닝R | ||||
3세대 | 팬텀 FG.1해/R, 팬텀 FGR.2R, 팬텀 F.3R, | ||||
4세대 / 4.5세대 | 타이푼 F2/FGR.4, 토네이도 IDS GR.1/GR.1A/GR.1B/GR.4/GR.4AR, 토네이도 ADV F2/F2A/F3R | ||||
5세대 | 라이트닝 II GR.1 | ||||
6세대 | {GCAP 템페스트}, | ||||
공격기 | 재규어 GR.1/GR.1A/GR.1B/GR.3/GR.3AR, 블랙번 버캐니어R, 호커 시들리 케스트럴R, 해리어 GR.1/GR.3/GR.5/GR.5A/GR.7/GR.9R, 시 해리어R, | ||||
전술폭격기 | 캔버라 B.2R | ||||
전략폭격기 | 빅커스 밸리언트 B.1/B(PR).1/B(PR)K.1R, 아브로 벌컨 B.1/B.1A/B.2R, 핸들리 페이지 빅터 B.1/B.1A/B.2R | ||||
수송기 | 보이저 KC2/KC3, A400M 아틀라스 C1, C-17A ER, 허큘리스 C4/C5, AW.660R, 쇼트 벨파스트R, 블랙번 버벌리R, 브리스톨 브리타니아R, 더글라스 다코타R, 핸들리 페이지 헤이스팅스R | ||||
지원기 | 조기경보기 | {웨지테일 AEW.1}, E-3D, 페어리 가넷 AEW.3R, | |||
대잠초계기 | 포세이돈 MRA1, 넵튠 NR.1R, 님로드R, 아브로 섀클턴R, 페어리 가넷R | ||||
정찰기 | RB-45CR, 에어시커 R1, 섀도우 R1/R1A, 센티넬 R1R, 캔버라 PRR, 코멧 CR, P.66 펨브로크R | ||||
신호정보수집기 | RC-135W | ||||
공중급유기 | 보이저 KC2/KC3, 아브로 벌컨 K.2R, 핸들리 페이지 빅터 BK.1/BK.1AR, 빅커스 밸리언트 BK.1R, 록히드 트라이스타R, 빅커스 VC10R | ||||
무인기 | MQ-9A, 워치키퍼 WK450, 제피르 | ||||
훈련기 | 프롭 | 텍산 T1, 어벤저해, 프리펙트 T1, 튜터 T1, B.125 불독R, DHC-1 칩멍크R, T67 파이어플라이R, 비글 허스키R, HP.137 제트스트림R, 쇼트 투카노 T.1R | |||
글라이더 | 바이킹 T1 | ||||
제트 | 호크 T1/T2, 페놈 T1, 타이푼 T1/T1A/T3, 캔버라 TR, BAe 125R, 냇 T.1R, BAC 제트 프로보스트R | ||||
다목적기 | 팰콘 900LX, BAe 146, BAe 125R, 안도버 CR, 드 해빌랜드 헤론R, 디펜더 R Mk2/T Mk3R, BN-2 아일랜더 R Mk1/CC Mk2R, 파이어니어 CC.1R, DHC-3 오터R | ||||
※ 윗첨자*: 가상적기로 운용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ffdead,#513100> 호주 왕립 공군 (1945~현재) Royal Australian Air Force | ||||
회전익기 | <colbgcolor=#ffdead> 다목적 헬기 | AS.350BR, AW139 SAR, 벨 47G-3B-1/G-2/G-2AR, MRH-90 타이판, S-51R, SA.316BR, Sycamore Mk 3/Mk 14R, | |||
공격헬기 | |||||
수송헬기 | CH-47CR, UH-1B/D/HR, S-70A-9R | ||||
전투기 | 1세대 | 미티어 F Mk 3/F Mk 8/NF MK 11/T Mk 7/U Mk 21AR, 뱀파이어 F MK 30/FB Mk 31/T Mk 33/T Mk 34/T Mk 34A/T Mk 35/T Mk 35AR, CA-27 세이버 Mk 30/Mk 31/Mk 32R, | |||
2세대 | |||||
3세대 | 미라주 IIID/O(A)/O(F)R, F-4ER | ||||
4세대 / 4.5세대 | F/A-18A/BR, F/A-18F, F-111A/C/GR | ||||
5세대 | F-35A | ||||
폭격기 | 밸리언트 B Mk 1R, 링컨 Mk 30/Mk 30A/GR Mk 31/MR Mk 31R, 캔버라 B Mk 2/Mk 20/Mk 21/T Mk 4R | ||||
수송기 | C-17A, C-27A, C-47A/B, C-49, C-50, C-53R, C-130A/E/H/J, DHC-2R, DHC-3R, DHC-4R, 노마드 N24A/N.22BR, 바이킹 C Mk 2R, 요크 C Mk 1R, 프레이터 Mk 21R | ||||
지원기 | 조기경보기 | E-7A 웨지테일 | |||
대잠초계기 | P2V-4/5/7R, P-3B/C, AP-3C, TAP-3B, P-8A | ||||
정찰기 | RF-111CR, MC-55A, 미라주 IIIO(R)R, 리어젯 35R | ||||
공중급유기 | KC-30A MRTT, 보잉 707-338C/368CR | ||||
전자전기 | AP-3C, EF-18A | ||||
무인기 | SUAV | {퀀텀 벡터} | |||
UAV | A45 IAI 헤론, A92 GAF Jindivik Mk I/Mk 2/Mk 2B/Mk 102/Mk 3/Mk 3A, 캠콥터 S-100, MQ-4C | ||||
UCAV | {MQ-28} | ||||
훈련기 | 프롭 | Anson GR Mk I/Mk XII/Mk XIV/T Mk IR, CA-1/3/5/7/8/9/16 WirrawayR, CA-6 WackettR, CA-25 WinjeelR, CAP 10BR, CT/4A/B/E 에어트레이너R, DA40NG, DH.82A 타이거 모스R, DH.94 모스 마이너R, HS 748 Series 2R, PA-34-220TR, PC-9/A, PC-21, 비치크래프트 B200R/350 | |||
제트 | MB-326HR, 호크 127 | ||||
특수목적기 | 604 봄바디어, 737 보잉 비즈니스 젯, BAC 1-11 217EAR, CV-440R, HS.478 Series 2R, 미스테르/팰콘 20CR, 바이카운트 Model 720/756R, 팰콘 7X, 팰콘 900R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캐나다군| 캐나다군 (1968~현재) ]]''' Canadian Armed Forces | Forces armées canadienne | ||
<colbgcolor=#da291c> 회전익기 | <colbgcolor=#da291c> '''[[무장헬기| 경헬기 ]]''' | CH-139 | CH-146 | |
수송헬기 | CH-147 | ||
대잠헬기 | CH-148 사이클론 | ||
'''[[전투기| 전투기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CF-104 | CF-100 | CF-101 | |
'''[[3세대 전투기| 3세대 ]]''' | CF-5 | ||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 CF-18(A/B)/CF-188(A/B) | ||
'''[[5세대 전투기| 5세대 ]]''' | {F-35A} | ||
수송기 | 전략 | CC-177 | |
전술 | C-130J-30 | ||
''' 지원기 '''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 {E-7}NAEW&CF | E-3ANAEW&CF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P-8} | CP-140M | ||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 {CC-330} | CC-150 폴라리스 | ||
'''[[UAV| 무인기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CU-176 가고일■클래스 3 - MALE급 IAI 헤론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차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인도군| 인도군 (1950~현재) ]]''' भारतीय स्थलसेना | Indian Armed Forces | ||
<colbgcolor=#FFF> 회전익기 | <colbgcolor=#FFF> '''[[무장헬기| 경헬기 ]]''' | HAL LUH | 체탁■■■ | 치타 | 휴즈 269C■ | 벨 47G-2 | |
''' 다목적 헬기 ''' | 드루브 Mk.(I/II/III)■■ · Mk.IIIMR■ | Mi-17-1V · Mi-17V-5 | Mi-8(T/MT) | 시킹 Mk.42(C)■ · UH-3H■ | S-62B | Mi-4A | S-55C | ||
수송헬기 | CH-47F 치누크 | Mi-26 | ||
공격헬기 | 프라찬드■■ | 루드라 Mk.(III/IV)■■ | Mi-25 · Mi-35E | AH-64E(I) 아파치 | ||
대잠헬기 | MH-60R 시호크■ | Ka-28■ | 시킹 Mk.42B■ | Ka-25(C/PL)■ | ||
'''[[전투기| 전투기 ]]''' | 프롭 | 스핏파이어 FR.(XIVe/XVIIIe) | 템페스트 Mk. II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뱀파이어 (F.3/FB.52/NF.10/NF.54) | 냇 F.1 | 아지트 Mk.1 | 시호크 (FGA.6/Mk.100)■ | 투파니 | 미스테르 IVA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헌터 (F.56/FGA.56) | MiG-21(F-13/FL/PF/SPS) | ||
'''[[3세대 전투기| 3세대 ]]''' | MiG-21 바이슨 | MiG-21(M/MF/bis) | MiG-23MF | ||
4(.5)세대 | 테자스 Mk.1(A) | {MWF 테자스 Mk.2} | MiG-29(B/UB → UPG) "바아즈" | MiG-29(K/KUB)■ | Su-30MKI | 라팔 (DH/EH) | 미라주 2000(H/I) "바즈라" | {TEDBF}■ | ||
'''[[5세대 전투기| 5세대 ]]''' | {AMCA} | | ||
공격기 | 재규어(IS/IM/IB) "샴셰르" · 재규어 (GR.1/GR.3A) | 시 해리어 FRS.51■ | MiG-27(M/ML/UPG) "바하두르" | MiG-23BN | | ||
폭격기 | B-24J 리버레이터 | 캔버라 (B(I).58/B(I).66) | ||
'''[[정찰기| 정찰기 ]]''' | 전술 | MiG-25(RBK/RU) | 캔버라 (PR.57/PR.67) | 뱀파이어 PR.55 | |
전자 | 봄바디어 글로벌 5000 SIGINT | IAI 아스트라 1125 | B707-337C ELINT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C-295 MRMR}■ | P-8I 넵튠■ | Do 228-201■■ | Il-38SD■ | Tu-142(M/MK-E/MZ)■ | Br.1050 알리제■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ERJ 135 | C-295W | An-32(RE) | HS.748 | Il-14 | DHC-3 오터 | DHC-4A 카리부 | C-47(A/B) 스카이트레인 · 다코타 Mk.IV | DH.104 도브 | |
전술 | C-130J-30 슈퍼 허큘리스 | Tu-124(K/V) | An-12A | L-1049(C/E/G) 슈퍼 컨스텔레이션 | C-119(F/G) 플라잉 박스카 | ||
전략 | C-17A 글로브마스터 III | Il-76MD "가지라지" | ||
다목적기 | BN-2(B/T) 아일랜더■ | 오스터 AOP.6/AOP.9 | SA-6A 시랜드 Mk.I■ | HAOP-27 키리샥 | 와피티 Mk.IIA | 칸푸르 II | ||
''' 지원기 '''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 A-50EI | ERJ145SM 네트라 AEW&C | Ka-31■ | |
전자전기 | 걸프스트림 III SRA-1 | ||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 Il-78MKI | ||
'''[[무인기|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극소형 네트라 V■클래스 1 - 초소형 아이디어포지 스위치■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서처 Mk.(I/II)■■■ | 니샨트■클래스 3 - MALE급 IAI 헤론 TP | IAI 헤론 1■■ | ||
''' UCAV ''' | 클래스 3 - MALE급 {MQ-9B 스카이가디언} | ||
훈련기 | 프롭 | PC-7 Mk.II | 바이러스 SW 80 가루드■■ | HTT-40 | HPT-32 · HTT-34 디팩■■ | CFM 스트릭 SL | DH.82 타이거 모스 | HAL HT-2 | AT-16 하버드 Mk.IIB | 프렌티스 (T.1/T.3) | HUL-26 푸시팍 | |
제트 | 호크 Mk.132■■ | HJT-36 시타라■■ | HJT-16 키란 Mk.(I/IA/II)■■ | 미라주 2000(TH/TI) | 해리어 (T.60/T.4N)■ | 재규어 T.2 | TS-11 이스크라 bis (D/DF) | MiG-21(U/UM) | 캔버라 T.4 | 헌터 T.66 | 마루트 Mk.1T | 뱀파이어 (T.11/T.55)■■ | ||
표적예인 | 파이어플라이 (TT.1/TT.4)■ | ||
VIP 탑승기 | B737-7HI BBJ | B777-337/ER | 엠브라에르 레거시 600 | Mi-8PS | B737-2A7/Adv | 빅커스 비스카운트 | Ae-45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카타르군| 카타르군 (1971~현재)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القطرية | Qatar Armed Forces | ||
<colbgcolor=#FFF> 회전익기 | <colbgcolor=#FFF> '''[[무장헬기| 경헬기 ]]''' | AW109 | SA.342 가젤 | |
''' 다목적 헬기 ''' | NH90 TTH | AW139M | 코만도 Mk.3 | WS-55 훨윈드 | ||
공격헬기 | AH-64E 아파치 | ||
대잠헬기 | NH90 NFH | ||
'''[[전투기| 전투기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헌터 FGA.78 | |
'''[[3세대 전투기| 3세대 ]]''' | 미라주 F1(EDA/DDA) | ||
4(.5)세대 | F-15QA 아바빌 | 유로파이터 타이푼 | 라팔 (EQ/DQ) | 미라주 2000-5(EDA/DDA) | ||
'''[[수송기| 수송기 ]]''' | 전술 | C-130J-30 슈퍼 허큘리스 | |
전략 | C-17A 글로브마스터 III | ||
다목적기 | BN-2 아일랜더 | ||
''' 지원기 ''' |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 {KC-30A} | |
'''[[UAV| 무인기 ]]''' | ''' UCAV ''' | 클래스 2 - 전술헝 바이락타르 TB2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PC-21 | MFI-395 슈퍼 무샤크 | |
제트 | M-346 마스터 | 호크 167 | PC-24 | 알파 제트 E | 헌터 T.79 | ||
헬기 | AW169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둘러보기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쿠웨이트군| 쿠웨이트군 (1949~현재)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الكويتيه | Kuwait Armed Forces | ||
<colbgcolor=#000> 회전익기 | '''[[무장헬기| 경헬기 ]]''' | SA.342K 가젤 | 벨 206 제트레인저 | |
''' 다목적 헬기 ''' | H225M 카라칼 | AS332 M 슈퍼 퓨마 | SA.330L 퓨마 | AB 205 | WS-55 훨윈드 | ||
공격헬기 | AH-64D 아파치 | ||
'''[[전투기| 전투기 ]]''' | <colbgcolor=#FFF> '''[[2세대 전투기| 2세대 ]]''' | 라이트닝 F.53K | 헌터 FGA.57 | |
'''[[3세대 전투기| 3세대 ]]''' | 미라주 F1(CK/BK) | ||
4(.5)세대 | 유로파이터 타이푼 트렌치 3A | F/A-18(E/F) 슈퍼 호넷 | F/A-18(C/D) 호넷 | ||
'''[[공격기| 공격기 ]]''' | A-4KU 스카이호크 | 스트라이크마스터 Mk.83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DHC-4 카리부 | DH.104 도브 | |
전술 | L-100(-20/-30) 허큘리스 | C-9K | 아르고시 C.1 | ||
전략 | C-17A 글로브마스터 III | ||
''' 지원기 ''' |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 KC-130J | |
'''[[UAV| 무인기 ]]''' | ''' UCAV ''' | 클래스 2 - 전술형 바이락타르 TB2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쇼트 투카노 Mk.52 | 오스터 | |
제트 | 호크 64 | TA-4KU | 헌터 T.67 | 제트 프로보스트 T.51 | ||
S-92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둘러보기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아랍에미리트군| 아랍에미리트군 (1968~현재) ]]'''القوات المسلحة لدولة 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 | UAE Armed Forces | ||
<colbgcolor=#FF0000> 회전익기 | <colbgcolor=#FFF> '''[[무장헬기| 경헬기 ]]''' | 벨 407GX■■ | AW109K2 | 벨 206 제트레인저 | Bo 105 | SA.342L 가젤 | SA.316 알루에트 III | |
''' 다목적 헬기 ''' | UH-60(L/M) 블랙 호크■ | AS332 B1 슈퍼 퓨마■ | AB 412(HP/SP) | IAR 330(L/SM) 퓨마 | 벨 214B | ||
수송헬기 | CH-47(C/F) 치누크■ | ||
공격헬기 | AH-64(A/D/E) 아파치■ | ||
대잠헬기 | AS565 SA 팬서■ | ||
'''[[전투기| 전투기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헌터 FGA.76 | |
4(.5)세대 | {라팔 (EAD/DAD) 스탕타르 F4} | F-16(E/F) 블록 60 데저트 팰콘 | 미라주 2000-9(EAD/DAD) | ||
'''[[공격기| 공격기 ]]''' | AT-802 | 미라주 5(AD/EAD/DAD) | SF.260(TP/W) | ||
'''[[정찰기| 정찰기 ]]''' | 전술 | UC-35A■ | 미라주 2000-9RAD | 미라주 5RAD | 헌터 FR.76A | |
전자 | 봄바디어 글로벌 6000 ELINT | ||
ISR | DHC-6 트윈오터■■ | 세스나 208B EX■ | ||
''' 해상초계기 ''' | CL-600-2B16 챌린저 650 | DHC-8 MPA-D8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C-295W | CN-235-110M | C-212 | G.222 | DHC-5D 버팔로 | DHC-4 카리부 | |
전술 | C-130H(-30) 허큘리스 | L-100(-30) | ||
전략 | C-17A 글로브마스터 III | ||
다목적기 | 다허 코디악 | P-750 XSTOL | PC-6B-H4 터보 포터 | ||
''' 지원기 '''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 글로벌아이 | 사브 340 에리아이 | |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 A330 MRTT | ||
'''[[UAV|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초소형 세이렌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데넬 시커 II | ||
''' UCAV ''' | 클래스 2 - 전술형 바이락타르 TB2클래스 3 - MALE급 윙룽 II | MQ-1 프레데터 XP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PC-21 | PC-7 | B-250T | G 120TP | 비치 B350i 슈퍼 킹에어 | |
제트 | {L-15} | MB-339(A/NAT) | 호크 102 | 호크 63(A) | 호크 61 | MB-326(KD/LD) | 헌터 T.77 | ||
헬기 | 벨 505 제트레인저 X | AS350 B3 에큐워이 | ||
P.180 | AW139 | B707 | AS365 N1 도팽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통합항공사령부■/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둘러보기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헝가리군| 헝가리 방위군 (1989~현재) ]]''' Magyar Honvédség | ||
회전익기 | '''[[무장헬기| 경헬기 ]]''' | H145M | AS350 B2 에큐워이 | Ka-26 | Mi-2 | Mi-1 | |
''' 다목적 헬기 ''' | H225M 카라칼 | Mi-17(N/PP) | Mi-8(P/S/T/TS) | Mi-4A | ||
공격헬기 | Mi-24(D/V/P) | ||
<colbgcolor=#FFF> '''[[전투기| 전투기 ]]''' | <colbgcolor=#FFF> '''[[1세대 전투기| 1세대 ]]''' | MiG-15bis | MiG-17(A/AS/P/F/PF/PFU)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MiG-19(P/PM) | MiG-21(F-13/PF) | ||
'''[[3세대 전투기| 3세대 ]]''' | MiG-21(MF/bis) | MiG-23(MF/MS) | ||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 JAS 39(C/D) 그리펜L | MiG-29(B/UB) | ||
공격기 | Su-22M3 | Il-10 · 아비아 B.33 | ||
폭격기 | Il-28 | Tu-2S | ||
'''[[정찰기| 정찰기 ]]''' | 전술 | An-30 | MiG-17R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An-26B | An-24V | An-2 | Il-14 | Li-2T | |
전술 | C-390 밀레니엄 | A319-112 | ||
전략 | C-17A 글로브마스터 IIISAC | ||
다목적기 | Yak-12 | ||
'''[[지원기| 지원기 ]]'''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 E-3A 센트리NAEW&CF | {E-7}NAEW&CF | |
'''[[무인기|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초소형 스카이라크 (1/I-LEX)■클래스 1 - 소형 스카이라크 3■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Z 242L | Z 143LSi | Yak-52 | Yak-18 | Yak-11 | 레트 C-11 | |
제트 | {L-39NG} | L-39ZO 알바트로스 | L-29 델핀 | Su-22UM3 | MiG-23UB | MiG-21(U/UM) | MiG-15UTI | ||
VIP 탑승기 | 다쏘 팔콘 7X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SAC: NATO SAC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 ■/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둘러보기 : |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 협상군 | 동맹군 | |||||||
전간기 | 프랑스 | |||||||||
2차 세계대전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 소련 | 노르웨이 | 스웨덴 | |||||||
핀란드 | 덴마크 | 스위스 | 태국 | |||||||
프랑스 | 중화민국 |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 |||||||
헝가리 왕국 | 스페인 | 만주국 |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미 공군 | 미 해군 | 서독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북미 | 미 공군 | 미 해군 | 캐나다 | 멕시코 | ||||
''' 중미/카리브 '''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 도미니카 공화국 ]] | 쿠바 | [[틀:현대전/과테말라 항공병기| 과테말라 ]] |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 엘살바도르 ]] | ||||||
온두라스 | ||||||||||
<colbgcolor=#3d3137>남미 | 브라질 | 우루과이 |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 아르헨티나 ]] | 칠레 | ||||||
볼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에콰도르 | |||||||
콜롬비아 | 베네수엘라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아일랜드 | 룩셈부르크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체코 |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슬로바키아 ]] | ||||||
스위스 |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 오스트리아 ]]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 슬로베니아 ]]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 크로아티아 ]] | |||||||
세르비아 |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 몬테네그로 ]]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 북마케도니아 ]] | |||||||
알바니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 우크라이나 ]] | 벨라루스 | 몰도바 | ||||||
조지아 |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 아르메니아 ]]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 아제르바이잔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몽골 | |||||||||
''' 동남아시아 ''' | 태국 | 베트남 |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 말레이시아 ]] | 싱가포르 | ||||||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브루나이 | 미얀마 | |||||||
캄보디아 | 라오스 | |||||||||
''' 남아시아 ''' | 인도 | 파키스탄 |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 방글라데시 ]] | 스리랑카 | ||||||
네팔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 아프가니스탄 ]]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 | ||||||||
''' 중앙아시아 '''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 카자흐스탄 ]]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 우즈베키스탄 ]]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 타지키스탄 ]]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 키르기스스탄 ]] |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 투르크메니스탄 ]]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 사우디아라비아 ]] | 이란 | 이라크 | ||||||
쿠웨이트 | 시리아 | [[틀:현대전/바트주의 시리아 항공병기| | 레바논 | |||||||
요르단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 아랍에미리트 ]] | 카타르 | 바레인 | |||||||
오만 | 예멘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 파푸아뉴기니 ]] | |||||||
''' 북아프리카 ''' | 이집트 | 리비아 | 튀니지 | 알제리 | ||||||
모로코 | 수단 | 자유 리비아 (~'11) | ||||||||
''' 동아프리카 '''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 에티오피아 ]] | 지부티 | 소말리아 | 케냐 | ||||||
탄자니아 | 모잠비크 | 우간다 | 르완다 | |||||||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 마다가스카르 ]] | 코모로 | |||||||||
''' 서아프리카 '''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 나이지리아 ]] | 세네갈 | 니제르 | 말리 | ||||||
기니 | 모리타니 | 가나 | 토고 | |||||||
''' 중아프리카 ''' | 차드 | 카메룬 | 가봉 |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 콩고 공화국 ]] |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
''' 남아프리카 ''' | 남아공 | 보츠와나 | 나미비아 | 레소토 | ||||||
잠비아 |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 러시아 | 프랑스 | 유럽 | 아시아 | }}}}}}}}}}}} |
[1] 2019년 단종.[2] 공중량+(연료+적재) 총합 약 179톤인 상태[3] 날개 위에 엔진을 얹은, 특이한 형태의 쌍발 수송기로 단거리 이착륙에 발군의 성능을 보였다.[4] 오늘날의 C-17의 모태. 엔진은 날개 아래에 장착되었으나 거대한 플랩 덕분에 엔진의 기류를 양력 증강에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우수한 단거리 이착륙 성능을 보였다. 항공정비사의 입장에서는 역시 날개 아래에 엔진이 달린 형태가 접근성 및 정비성이 우수하다.[5] C-130은 오늘날에도 계속 개량형이 나와 이제는 C-130J 수퍼 허큘리스가 생산중이다. 1957년 도입 이래로 계속 개량되며 생산되는 고정익기는 C-130이 유일하다. 대를 이은 장수만세.[6] 대한민국 감사원에 대응하는 기관으로 의회 소속이다. 임기 15년의 회계감사원장이 지휘한다.[7] 소련의 안토노프 설계국은 키예프에 있었고, 소련 붕괴 후 우크라이나가 독립하면서 우크라이나 회사가 되었다.[8] 연료량 차이는 (An-124-100 최대이륙중량-(공중량+수송량 120톤+(러시아 남성 평균체중×화물운반시 승무원수 8명)))-(C-17 최대이륙중량-(공중량+수송량+(미국 남성 평균체중×화물운반시 승무원수 3명))) 공식을 사용함.[9] 벨라루스 항공사 루비스타 항공 소속기에 의해 민스크 국제공항에서 영상기록됨. #[10] 이는 플레어가 거의 없이 수평에 가깝게 착지하는 것과 동체가 비교적 작고, 엔진 역시 비교적 작은 체급을 사용하는(고고도 초음속 요격기 MiG-31과 같은 엔진으로 애프터버너 없이 본체만 쓰는 수송기 버전이다) 기체특성 때문으로 보인다.[11] Aviation Week의 Ares 블로그에 올라온 빌 스위트먼 (Bill Sweetman) http://dunkbear.egloos.com/3080594.[12] 유가족의 심적 충격을 막기 위해 뒷부분을 검열하였다고 영상 공개 시 미 공군에서 언급하였다.[13] 공교롭게도 B-52 추락사고의 순직 인원도 4명이었다.[14] 일부 내용이 잘못되어 있긴 하지만 딱히 내용 이해에는 문제가 없으니 참고하면 좋다.[15] 탬파베이 레이스가 있는 세인트피터즈버그와 탬파 만(탬파베이) 끼고 인접한 도시. 맥딜 공군기지는 만 안에 있는 곶에 자리잡고 있다.[16] 말이 공항이지 뉴스에서는 대놓고 Air Strip이라고 부른다. 그도 그럴 것이 관제탑도 없고. 요트 선착장이랑 바로 붙어 있을 정도로 작은 활주로다. 작은 만을 사이에 두고 있는데 맥딜 공군기지에선 피터 O. 나이트 공항이 잘 안 보일 정도로 작은데 반대로 피터 O. 나이트 공항에 착륙하는 항공기는 맥딜 공군기지가 안 보일 리 없을 만큼 공군기지는 크다는 것. 그것도 날씨도 맑은 플로리다의 대낮 임에도 이런 일이 일어났다. 참고로 피터 O. 나이트 공항의 주활주로 방향이 맥딜 공군기지의 활주로의 방향과 같고 거의 직선상에 있는데 아마 그 때문에 착각한 듯하다.[17] 영상 촬영자도 사고 날 줄 알고 Oh my god를 외치며 탄식하다가 멀쩡히 멈추자 22초에 How on the hell did he stop on that? 이라며 촬영자도 어이없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18] 참고로 C-17보다 거대한 전략 수송기 C-5 역시 2000m도 채 안 되는 활주로에서 이륙에 성공한 적이 있다.# 이쯤되면 마음만 먹는다면 포항공항이나 여수공항에도 착륙이 가능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19] 취소선이 있는 이유는 활주로의 대부분의 구간이 폐쇄되었기 때문[20] C-5, An-124, KC-10 등도 실물깡패로 통한다. 수송기들은 외형 때문인지 사진빨을 잘 안 받는 경우가 많다.[21] 배로 수송하기에는 시간이 너무 걸리고, 루마니아 공군이 자체적으로 구비한 수송기로는 C-130H형 4대가 가장 큰 기종이라 긴급 수송을 위해 페이로드가 넉넉한 C-17을 NATO로부터 대여했다고 한다.[22] 초기에는 640명을 태웠다고 알려졌으나 이 기록은 성인만 카운트된 숫자이고 실제로는 어린이 183명을 포함해 총 823명의 아프간 난민을 태운 것으로 정정보도가 나왔다 #[23] 참고로 위 사진은 2022년 9월 13일 엘리자베스 2세의 관을 싣고 에든버러에서 이륙하는 그 순간에 찍힌 사진이다.[24] 정확히는 수송기와 충돌한게 원인이 아니라 수송기내에 있던 대 팬텀존용 무기가 작동한게 원인이다. 이 대 팬텀존용 무기도 미군이 만든게 아니라 칼 엘이 지구로 올 때 탄 우주선을 이용한 것이다. 원래는 수송기가 근방에서 투하하기로 되어 있었는데 파오라의 습격으로 작전이 실패할 위기에 빠지자 자기 희생을 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