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4 21:33:43

아우구스투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우구스투스(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0.35px"
원수정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아우구스투스 | 티베리우스 | 가이우스(칼리굴라) | 클라우디우스 | 네로
네 황제의 해 갈바 |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 | 비텔리우스
플라비우스 왕조 베스파시아누스 | 티투스 | 도미티아누스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네르바 | 트라야누스 | 하드리아누스 | 안토니누스 피우스 | 공동 즉위 루키우스 베루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콤모두스
비정통 아비디우스 카시우스
다섯 황제의 해 페르티낙스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 클로디우스 알비누스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세베루스 왕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공동 즉위 게타 · 카라칼라
- 마크리누스 · 디아두메니아누스
세베루스 왕조 엘라가발루스 |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군인 황제 시대 막시미누스 트라쿠스 | 공동 즉위 고르디아누스 1세 · 고르디아누스 2세 | 공동 즉위 푸피에누스(막시무스) · 발비누스 | 고르디아누스 3세 | 필리푸스 아라부스 · 필리푸스 2세 | 데키우스 | 공동 통치 데키우스 ·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 | 공동 즉위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 호스틸리아누스 · 볼루시아누스 | 아이밀리아누스 | 공동 즉위 발레리아누스 · 갈리에누스 |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 퀸틸루스 | 아우렐리아누스 | 타키투스 | 플로리아누스 | 프로부스 | 카루스 | 공동 즉위 누메리아누스 · 카리누스
비정통 스폰시아누스 · 실반나쿠스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등장
- 카리누스 · 디오클레티아누스
서방 동방
양두정치 막시미아누스 양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사두정치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우스 1세 |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 막센티우스 | 2차 재위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누스 1세 사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 갈레리우스 | 리키니우스 | 막시미누스 다이아 | 발레리우스 발렌스 | 마르티니아누스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누스 1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공동 즉위 콘스탄티누스 2세 · 콘스탄스
비정통 마그넨티우스 · 율리우스 네포티아누스 · 베트라니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 요비아누스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서방 동방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 그라티아누스 | 발렌티니아누스 2세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스
비정통 프로코피우스
비정통 에우게니우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마그누스 막시무스 · 플라비우스 빅토르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통일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서방 동방
테오도시우스 왕조 호노리우스 | 콘스탄티우스 3세 | 발렌티니아누스 3세
비정통 히스파니아의 막시무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아르카디우스 | 테오도시우스 2세 | 마르키아누스
비정통 콘스탄티누스 3세 · 프리스쿠스 아탈루스 · 요안네스
최후의 순간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 아비투스 | 마요리아누스 | 리비우스 세베루스 | 안테미우스 | 올리브리우스 | 글리케리우스 | 율리우스 네포스 |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레오 왕조 레오 1세 | 레오 2세 | 제노 | 바실리스쿠스 · 마르쿠스 | 2차 재위 제노
동방
레오 왕조 2차 재위 제노 | 아나스타시우스 1세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유스티누스 1세 | 유스티니아누스 1세 | 유스티누스 2세 | 티베리우스 2세 | 마우리키우스 · 테오도시우스
- 포카스
이라클리오스 왕조 이라클리오스 | 공동 즉위 콘스탄티노스 3세 · 이라클로나스 · 다비드 티베리오스 | 콘스탄스 2세 · 콘스탄티노스 4세 · 이라클리오스 · 티베리오스 | 유스티니아노스 2세
20년간의 혼란 레온티오스 | 티베리오스 3세 | 2차 재위 유스티니아노스 2세 | 필리피코스 | 아나스타시오스 2세 | 테오도시오스 3세
이사브리아 왕조 레온 3세 | 콘스탄티노스 5세 | 아르타바스도스 · 니키포로스 | 2차 재위 콘스탄티노스 5세 | 레온 4세 | 콘스탄티노스 6세 | 이리니
니키포로스 왕조 니키포로스 1세 | 스타브라키오스 | 미하일 1세 랑가베스 · 테오필락토스 · 스타브라키오스
- 레온 5세 · 콘스탄티노스
아모리아 왕조 미하일 2세 | 테오필로스 | 미하일 3세
마케도니아 왕조 바실리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 레온 6세 | 알렉산드로스 2세 | 콘스탄티노스 7세 | 로마노스 1세 · 흐리스토포로스 레카피노스 · 스테파노스 레카피노스 · 콘스탄티노스 레카피노스 | 로마노스 2세 | 니키포로스 2세 | 요안니스 1세 | 바실리오스 2세 | 콘스탄티노스 8세 | 로마노스 3세 | 미하일 4세 | 미하일 5세 | 공동 즉위 조이 · 테오도라 | 콘스탄티노스 9세 | 2차 재위 테오도라
- 미하일 6세
콤니노스 왕조 이사키오스 1세
두카스 왕조 콘스탄티노스 10세 | 미하일 7세 · 콘스탄티오스 두카스 · 안드로니코스 두카스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로마노스 4세 · 레온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3세
콤니노스 왕조 알렉시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요안니스 2세 · 알렉시오스 콤니노스 | 마누일 1세 | 알렉시오스 2세 | 안드로니코스 1세
앙겔로스 왕조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3세 | 2차 재위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4세 | 알렉시오스 5세
니케아
라스카리스 왕조 테오도로스 1세 | 요안니스 3세 | 테오도로스 2세 | 요안니스 4세 | 미하일 8세
비정통 콘스탄티노스 라스카리스
동방
팔레올로고스 왕조 미하일 8세 | 안드로니코스 2세 | 미하일 9세 | 안드로니코스 3세 |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요안니스 6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안드로니코스 4세 · 요안니스 7세 | 3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7세 · 안드로니코스 5세 | 4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마누일 2세 | 요안니스 8세 | 콘스탄티노스 11세
아우구스투스 · 카이사르
{{{#FCE77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7px; padding: 0 6px"
}}}}}}}}}}}}}}}
아우구스투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0.35px"
{{{-1 {{{#!wiki style=""<tablewidth=100%><tablealign=center> 라틴어 문구
선출 사유(causa) <colbgcolor=#FFEFA5,#1E1B00>
  • rei gerundae causa: 공무 수행을 위해
  • clavi figendi causa: 유피테르 옵티무스 막시무스 신전의 벽에서 행해지는 못질 의식을 위해
  • seditionis sedandae causa: 폭동 진압을 위해
  • comitiorum habendorum causa: 정무관 선거를 위한 민회 개최를 위해
  • ferarium constituendarum causa: 축제 개최를 위해
  • ludorum faciendorum causa: 루디 로마니 개최를 위해
  • Latinarum feriarum causa: 라틴 축제 개최를 위해
  • senatus legendi causa: 칸나이 전투 이후 원로원 의원 선출을 위해
  • legibus faciendis: 법률 제정
  • rei publicae constituendae causa: 공화정 재건을 위해
  • dictator perpetuo: 종신 독재관
기타
  • mortuus est: 집권 중 사망
  • sine magistro equitum: 기병장관을 임명하지 않음
  • non iniit: 취임하지 않음
  • occisus est: 집권 중 암살
}}}}}}
서력기원: 기원전 501년 기원전 496년 기원전 494년 기원전 463년
로마 건국 기원: 253년 255년 260년 291년
독재관: 티투스 라르키우스 플라부스 아울루스 포스투미우스 알부스 레길렌시스 마니우스 발레리우스 볼루수스 막시무스 (가이우스 아이밀리우스 마메르쿠스)
기병장관: 스푸리우스 카시우스 베켈리누스 티투스 아이부티우스 헬바 퀸투스 세르빌리우스 프리스쿠스 스트룩투스 (불명)
선출 사유(causa): rei gerundae causa clavi figendi causa
기원전 458년 기원전 439년 기원전 437년 기원전 435년 기원전 434년
296년 315년 317년 319년 320년
루키우스 퀸크티우스 킨킨나투스 루키우스 퀸크티우스 킨킨나투스 마메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마메르키누스 퀸투스 세르빌리우스 프리스쿠스 피데나스 마메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마메르키누스
루키우스 타르퀴티우스 플라쿠스 가이우스 세르빌리우스 아할라 루키우스 퀸크티우스 킨킨나투스 포스투무스 아이부티우스 헬바 코르니켄 아울루스 포스투미우스 투베르투스
기원전 431년 기원전 426년 기원전 418 년 기원전 408년 기원전 396년
323년 328년 336년 346년 358년
아울루스 포스투미우스 투베르투스 마메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마메르키누스 퀸투스 세르빌리우스 프리스쿠스 피데나스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루틸루스 코수스 마르쿠스 푸리우스 카밀루스
루키우스 율리우스 율루스 아울루스 코르넬리우스 코수스 가이우스 세르빌리우스 악실라 가이우스 세르빌리우스 아할라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말루기넨시스
기원전 390년 기원전 389년 기원전 385년 기원전 380년 기원전 368년
364년 365년 369년 374년 386년
마르쿠스 푸리우스 카밀루스 마르쿠스 푸리우스 카밀루스 아울루스 코르넬리우스 코수스 티투스 퀸크티우스 킨킨나투스 카피톨리누스 마르쿠스 푸리우스 카밀루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포티투스 가이우스 세르빌리우스 아할라 티투스 퀸크티우스 킨킨나투스 카피톨리누스 아울루스 셈프로니우스 아트라티누스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마메르키누스
rei gerundae causa
기원전 368년 기원전 367년 기원전 363년 기원전 362년 기원전 361년
386년 387년 391년 392년 393년
푸블리우스 만리우스 카피톨리누스 마르쿠스 푸리우스 카밀루스 루키우스 만리우스 카피톨리누스 임페리오수스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크라수스 레길렌시스 티투스 퀸크티우스 펜누스 카피톨리누스 크리스피누스
가이우스 리키니우스 칼부스 티투스 퀸크티우스 킨킨나투스 카피톨리누스 루키우스 피나리우스 나타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카풀라 또는 무키우스 스카이볼라 세르비우스 코르넬리우스 말루기넨시스
seditionis sedandae et rei gerundae causa rei gerundae causa clavi figendi causa rei gerundae causa
기원전 360년 기원전 358년 기원전 356년 기원전 353년 기원전 352년
394년 396년 398년 401년 402년
퀸투스 세르빌리우스 아할라 가이우스 술피키우스 페티쿠스 가이우스 마르키우스 루틸루스 티투스 만리우스 임페리오수스 토르콰투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율루스
티투스 퀸크티우스 펜누스 카피톨리누스 크리스피누스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포플리콜라 가이우스 플라우티우스 프로쿨루스 아울루스 코르넬리우스 코수스 아르비나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마메르키누스
rei gerundae causa
기원전 351년 기원전 350년 기원전 349년 기원전 348년 기원전 345년
403년 404년 405년 406년 409년
마르쿠스 파비우스 암부스투스 루키우스 푸리우스 카밀루스 티투스 만리우스 임페리오수스 토르콰투스 (가이우스 클라우디우스 크라시누스 레길렌시스) 루키우스 푸리우스 카밀루스
퀸투스 세르빌리우스 아할라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아울루스 코르넬리우스 코수스 아르비나 (가이우스 리비우스 덴테르) 그나이우스 만리우스 카피톨리누스 임페리오수스
comitiorum habendorum causa comitiorum habendorum causa comitiorum habendorum causa comitiorum habendorum causa
기원전 344년 기원전 342년 기원전 340년 기원전 339년 기원전 337년
410년 412년 414년 415년 417년
푸블리우스 발레리우스 포플리콜라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코르부스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크라수스 퀸투스 푸블릴리우스 필로 가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인레길렌시스
퀸투스 파비우스 암부스투스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마메르키누스 프리베르나스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쿠르소르 데키무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스카이바 가이우스 클라우디우스 호르타토르
ferarium constituendarum causa
기원전 335년 기원전 334년~기원전 333년 기원전 332년 기원전 331년 기원전 327년
419년 420년~421년 422년 423년 427년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마메르키누스 프리베르나스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루피누스 마르쿠스 파피리우스 크라수스 그나이우스 퀸크틸리우스 바루스 또는 그나이우스 퀸크티우스 카피톨리누스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마르켈루스
퀸투스 푸블릴리우스 필로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푸블리우스 발레리우스 포플리콜라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포티투스 스푸리우스 포스투미우스 알비누스
comitiorum habendorum causa clavi figendi causa comitiorum habendorum causa
기원전 325년~기원전 324년 기원전 322년 기원전 321년 기원전 321년 기원전 320년
429년~430년 432년 433년 433년 434년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쿠르소르 아울루스 코르넬리우스 코수스 아르비나 퀸투스 파비우스 암부스투스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파푸스 가이우스 마이니우스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룰리아누스 마르쿠스 파비우스 암부스투스 푸블리우스 아일리우스 파이투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플라쿠스 마르쿠스 포슬리우스 플라키나토르
rei gerundae causa rei gerundae 또는 ludorum faciendorum causa comitiorum habendorum causa comitiorum habendorum causa
기원전 320년 기원전 320년 기원전 316년 기원전 315년 기원전 314년
434년 434년 438년 439년 440년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티투스 만리우스 임페리오수스 토르콰투스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마메르키누스 프리베르나스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룰리아누스 가이우스 마이니우스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쿠르소르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쿠르소르 루키우스 풀비우스 쿠르부스 퀸투스 아울리우스 케레타누스 마르쿠스 포슬리우스 플라키나토르
가이우스 파비우스 암부스투스
rei gerundae causa rei gerundae causa rei gerundae causa
기원전 313년 기원전 312년 기원전 310년~기원전 309년 기원전 306년 기원전 302년
441년 442년 444년~445년 448년 452년
가이우스 포에텔리우스 리보 비솔루스 또는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룰리아누스 가이우스 술피키우스 롱구스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쿠르소르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바르바투스 가이우스 유니우스 부불쿠스 브루투스
마르쿠스 포슬리우스 플라키나토르 Ⅲ 또는 마르쿠스 포에텔리우스 리보 가이우스 유니우스 부불쿠스 브루투스 가이우스 유니우스 부불쿠스 브루투스 푸블리우스 데키우스 무스 마르쿠스 티티니우스
rei gerundae (et clavi figendi) causa rei gerundae causa comitiorum habendorum causa
기원전 301년 기원전 287년 기원전 287년 기원전 285년 기원전 280년
453년 467년 467년 469년 474년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 코르부스 퀸투스 호르텐시우스 mortuus est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카이쿠스)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바르불라)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칼비누스 막시무스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룰리아누스 또는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 (기록 미상) (기록 미상) (기록 미상) (기록 미상)
comitiorum habendorum causa
기원전 276년 기원전 263년 기원전 257년 기원전 249년 기원전 249년
478년 491년 497년 505년 505년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루피누스) 그나이우스 풀비우스 막시무스 켄투말루스 퀸투스 오굴니우스 갈루스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글리키아 아울루스 아틸리우스 카이아티누스
(기록 미상) 퀸투스 마르키우스 필리푸스 마르쿠스 라이토리우스 플란키아누스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clavi figendi causa Latinarum feriarum causa
기원전 246년 기원전 231년 기원전 224년 기원전 221년 기원전 217년
508년 523년 530년 533년 537년
티베리우스 코룬카니우스 가이우스 두일리우스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베루코수스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베루코수스
마르쿠스 풀비우스 플라쿠스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코타 누메리우스 파비우스 부테오 가이우스 플라미니우스 마르쿠스 미누키우스 루푸스
comitiorum habendorum causa comitiorum habendorum causa comitiorum habendorum causa
기원전 217년 기원전 216년 기원전 216년 기원전 213년 기원전 210년
537년 538년 538년 541년 544년
루키우스 베투리우스 필로 마르쿠스 파비우스 부테오 마르쿠스 유니우스 페라 가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켄토 퀸투스 풀비우스 플라쿠스
마르쿠스 폼포니우스 마토 sine magistro equitum 티베리우스 셈프로니우스 그라쿠스 퀸투스 풀비우스 플라쿠스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디베스
comitiorum habendorum causa senatus legendi causa comitiorum habendorum causa comitiorum habendorum causa
기원전 208년 기원전 207년 기원전 205년 기원전 203년 기원전 202년
546년 547년 549년 551년 552년
티투스 만리우스 토르콰투스 마르쿠스 리비우스 살리나토르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푸블리우스 술피키우스 갈바 막시무스 가이우스 세르빌리우스 게미누스
가이우스 세르빌리우스 게미누스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루키우스 베투리우스 필로 마르쿠스 세르빌리우스 풀렉스 게미누스 푸블리우스 아일리우스 파이투스
comitiorum habendorum et ludorum faciendorum causa comitiorum habendorum causa comitiorum habendorum causa comitiorum habendorum causa comitiorum habendorum causa
기원전 82년~기원전 79년 기원전 49년 기원전 48년 기원전 47년~기원전 44년 기원전 44년
672년~675년 705년 706년 707년~710년 710년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 펠릭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occisus est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플라쿠스 sine magistro equitum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가이우스 옥타비우스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칼비누스 (non iniit)
legibus faciendis et rei publicae constituendae causa rei gerundae causa dictator perpetuo rei publicae constituendae causa
{{{#FCE77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7px; padding: 0 6px"
}}}}}}}}}}}}}}}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742em; letter-spacing: -0.35px"
{{{#!wiki style=""<tablewidth=100%><tablealign=center> 라틴어 문구 색상 범례
  • sine collega: 동료 없이 단독 선출
황제 겸 집정관 }}}
기원전 100년 기원전 99년 기원전 98년 기원전 97년 기원전 96년
가이우스 마리우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네포스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플라쿠스 아울루스 포스투미우스 알비누스 티투스 디디우스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가이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
기원전 95년 기원전 94년 기원전 93년 기원전 92년 기원전 91년
루키우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가이우스 코엘리우스 칼두스 가이우스 발레리우스 플라쿠스 가이우스 클라우디우스 풀케르 루키우스 마르키우스 필리푸스
퀸투스 무키우스 스카이볼라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 마르쿠스 헤렌니우스 마르쿠스 페르페르나 섹스투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기원전 90년 기원전 89년 기원전 88년 기원전 87년 기원전 87년 보결
루키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스트라보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 그나이우스 옥타비우스
푸블리우스 루틸리우스 루푸스 루키우스 포르키우스 카토 퀸투스 폼페이우스 루푸스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킨나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메룰라
기원전 86년 기원전 86년 보결 기원전 85년 기원전 84년 기원전 83년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킨나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킨나 그나이우스 파피리우스 카르보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아시아티쿠스
가이우스 마리우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플라쿠스 그나이우스 파피리우스 카르보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킨나 가이우스 노르바누스
기원전 82년 기원전 81년 기원전 80년 기원전 79년 기원전 78년
가이우스 마리우스 마르쿠스 툴리우스 데쿨라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 펠릭스 푸블리우스 세르빌리우스 바티아 이사우리쿠스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그나이우스 파피리우스 카르보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돌라벨라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피우스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풀케르 퀸투스 루타티우스 카툴루스
기원전 77년 기원전 76년 기원전 75년 기원전 74년 기원전 73년
데키무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그나이우스 옥타비우스 루키우스 옥타비우스 루키우스 리키니우스 루쿨루스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 루쿨루스
마메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리비아누스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코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코타 가이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
기원전 72년 기원전 71년 기원전 70년 기원전 69년 기원전 68년
루키우스 겔리우스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수라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 퀸투스 호르텐시우스 호르탈루스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클로디아누스 그나이우스 아우피디우스 오레스테스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크레티쿠스 퀸투스 마르키우스 렉스
기원전 68년 보결 기원전 67년 기원전 66년 기원전 65년 기원전 65년 보결
세르빌리우스 바티아 가이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마니우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코타
마니우스 아킬리우스 글라브리오 루키우스 볼카티우스 툴루스 푸블리우스 아우트로니우스 파이투스 루키우스 만리우스 토르콰투스
기원전 64년 기원전 63년 기원전 62년 기원전 61년 기원전 60년
루키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데키무스 유니우스 실라누스 마르쿠스 푸피우스 피소 프루기 칼푸르니아누스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켈레르
가이우스 마르키우스 피굴루스 가이우스 안토니우스 히브리다 루키우스 리키니우스 무레나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니게르 루키우스 아프라니우스
기원전 59년 기원전 58년 기원전 57년 기원전 56년 기원전 55년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루키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카이소니누스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스핀테르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마르켈리누스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
마르쿠스 칼푸르니우스 비불루스 아울루스 가비니우스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네포스 루키우스 마르키우스 필리푸스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기원전 54년 기원전 53년 기원전 52년 기원전 51년 기원전 50년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칼비누스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 세르비우스 술피키우스 루푸스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파울루스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풀케르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루푸스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피우스 스키피오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마르켈루스 가이우스 클라우디우스 마르켈루스
기원전 49년 기원전 48년 기원전 47년 기원전 46년 기원전 45년
가이우스 클라우디우스 마르켈루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퀸투스 푸피우스 칼레누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크루스 푸블리우스 세르빌리우스 이사우리쿠스 푸블리우스 바티니우스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sine collega
기원전 45년 보결 기원전 45년 보결 기원전 44년 기원전 44년 보결 기원전 43년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가이우스 카니니우스 레빌루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돌라벨라 가이우스 비비우스 판사 카이트로니아누스
가이우스 트레보니우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아울루스 히르티우스
기원전 43년 보결 기원전 43년 보결 기원전 42년 기원전 41년 기원전 40년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옥타비아누스 푸블리우스 벤티디우스 바수스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루키우스 안토니우스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칼비누스
퀸투스 페디우스 가이우스 카리나스 루키우스 무나티우스 플란쿠스 푸블리우스 세르빌리우스 이사우리쿠스 가이우스 아시니우스 폴리오
기원전 40년 보결 기원전 39년 기원전 39년 보결 기원전 39년 보결 기원전 38년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발부스 루키우스 마르키우스 켄소리누스 가이우스 코케이우스 발부스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풀케르
푸블리우스 카니디우스 크라수스 가이우스 칼비시우스 사비누스 푸블리우스 알페누스 바루스 가이우스 노르바누스 플라쿠스
기원전 38년 보결 기원전 38년 보결 기원전 37년 기원전 37년 보결 기원전 36년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 루키우스 겔리우스 포플리콜라
루키우스 마르키우스 필리푸스 루키우스 카니니우스 갈루스 티투스 스타틸리우스 타우루스 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
기원전 36년 보결 기원전 36년 보결 기원전 35년 기원전 35년 보결 기원전 35년 보결
루키우스 노니우스 아스프레나스 루키우스 코르니피키우스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돌라벨라
퀸투스 마르키우스 크리스푸스 섹스투스 폼페이우스 티투스 페두카이우스
기원전 34년 기원전 34년 보결 기원전 34년 보결 기원전 34년 보결 기원전 33년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루키우스 셈프로니우스 아트라티누스 파울루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옥타비아누스
루키우스 스크리보니우스 리보 가이우스 멤미우스 마르쿠스 헤렌니우스 피켄스 루키우스 볼카티우스 툴루스
기원전 33년 보결 기원전 33년 보결 기원전 33년 보결 기원전 33년 보결 기원전 33년 보결
루키우스 아우트로니우스 파이투스 루키우스 플라비우스 마르쿠스 아킬리우스 글라브리오 루키우스 비니키우스
가이우스 폰테이우스 카피토 퀸투스 라로니우스
기원전 32년 기원전 32년 보결 기원전 31년 기원전 31년 보결 기원전 31년 보결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킨나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코르비누스 마르쿠스 티티우스
가이우스 소시우스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옥타비아누스
기원전 31년 보결 기원전 30년 기원전 30년 보결 기원전 30년 보결 기원전 30년 보결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옥타비아누스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가이우스 안티스티우스 베투스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루키우스 사이니우스
기원전 29년 기원전 29년 보결 기원전 28년 기원전 27년 기원전 26년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옥타비아누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옥타비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디비 필리우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디비 필리우스 아우구스투스
섹스투스 아풀레이우스 포티투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 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 티투스 스타틸리우스 타우루스
기원전 25년 기원전 24년 기원전 23년 기원전 23년 보결 기원전 22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디비 필리우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디비 필리우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디비 필리우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세스티우스 알바니아누스 퀴리날리스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마르켈루스 아이세르니누스
마르쿠스 유니우스 실라누스 가이우스 노르바누스 플라쿠스 그나이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루키우스 아룬티우스
기원전 21년 기원전 20년 기원전 19년 기원전 19년 보결 기원전 18년
마르쿠스 롤리우스 마르쿠스 아풀레이우스 가이우스 센티우스 사투르니누스 마르쿠스 비니키우스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마르켈리누스
퀸투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푸블리우스 실리우스 네르바 sine collega 퀸투스 루크레티우스 베스필로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기원전 17년 기원전 16년 기원전 16년 보결 기원전 15년 기원전 14년
가이우스 푸르니우스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 마르쿠스 리비우스 드루수스 리보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프루기
가이우스 유니우스 실라누스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루키우스 타리우스 루푸스 루키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카이소니누스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아우구르
기원전 13년 기원전 12년 기원전 12년 보결 기원전 12년 보결 기원전 11년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네로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아피아누스 가이우스 발기우스 루푸스 가이우스 카니니우스 레빌루스 퀸투스 아일리우스 투베로
푸블리우스 퀸크틸리우스 바루스 푸블리우스 술피키우스 퀴리니우스 루키우스 볼루시우스 사투르니누스 파울루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기원전 10년 기원전 9년 기원전 8년 기원전 7년 기원전 6년
아프리카누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네로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 가이우스 마르키우스 켄소리누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네로 데키무스 라일리우스 발부스
율루스 안토니우스 티투스 퀸크티우스 크리스피누스 술피키아누스 가이우스 아시니우스 갈루스 그나이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가이우스 안티스티우스 베투스
기원전 5년 기원전 5년 보결 기원전 5년 보결 기원전 4년 기원전 4년 보결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디비 필리우스 아우구스투스 퀸투스 하테리우스 가이우스 칼비시우스 사비누스 가이우스 카일리우스 (루푸스)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 루키우스 비니키우스 가이우스 술피키우스 갈바 루키우스 파시에누스 루푸스 갈루스 술피키우스
기원전 3년 기원전 2년 기원전 2년 보결 기원전 2년 보결 기원전 2년 보결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디비 필리우스 아우구스투스 ⅩⅢ 가이우스 푸피우스 게미누스 퀸투스 파브리키우스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메살리누스 마르쿠스 플라우티우스 실바누스 루키우스 카니니우스 갈루스
기원전 1년 기원전 1년 보결 연도 불명
코수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아울루스 플라우티우스 판사 카이트로니아누스
루키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아울루스 카이키나 세베루스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8px; padding: 0 6px"
}}}}}}}}}}}}}}}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4A3800; margin: -5px 0px"
제1차 삼두정치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제2차 삼두정치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옥타비아누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833em; letter-spacing: -0.35px"
기원전 443년 기원전 435년 기원전 430년 기원전 418년 기원전 403년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무길라누스 가이우스 푸리우스 파쿨루스 푸수스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크라수스) (불명) 마르쿠스 푸리우스 카밀루스
루키우스 셈프로니우스 아트라티누스 마르쿠스 게가니우스 마케리누스 푸블리우스 피나리우스 (마메르키누스)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무길라누스 마르쿠스 포스투미우스 알비누스 레길렌시스
기원전 393년 기원전 389년 기원전 380년 기원전 378년 기원전 366년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쿠르소르 (마르쿠스 푸리우스 푸수스) 스푸리우스 포스투미우스 알비누스 레길렌시스 스푸리우스 세르빌리우스 프리스쿠스 가이우스 술피키우스 페티쿠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율루스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무길라누스) 가이우스 술피키우스 카메리누스 퀸투스 클로엘리우스 시쿨루스 (포스투미우스 레길렌시스 알비누스)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말루기넨시스 (보결)
기원전 363년 기원전 351년 기원전 340년 기원전 332년 기원전 319년
마르쿠스 파비우스 암부스투스 그나이우스 만리우스 카피톨리누스 임페리오수스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스푸리우스 포스투미우스 알비누스 카우디누스 가이우스 술피키우스 롱구스
루키우스 푸리우스 메둘리누스 가이우스 마르키우스 루틸루스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퀸투스 푸블릴리우스 필로 (불명)
기원전 318년 기원전 312년 기원전 307년 기원전 304년 기원전 300년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크라수스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카이쿠스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룰리아누스 푸블리우스 술피키우스 사베리오
가이우스 마이니우스 가이우스 플라우티우스 베녹스 가이우스 유니우스 부불쿠스 브루투스 푸블리우스 데키우스 무스 푸블리우스 셈프로니우스 소푸스
기원전 294년 기원전 289년 기원전 283년 기원전 280년 기원전 275년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아르비나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구르게스) (불명)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바르바투스 퀸투스 아이밀리우스 파푸스
가이우스 마르키우스 루틸루스 켄소리누스 (스푸리우스 카르빌리우스 막시무스) 퀸투스 카이디키우스 녹투아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칼비누스 막시무스 가이우스 파브리키우스 루스키누스
기원전 272년 기원전 269년 기원전 265년 기원전 258년 기원전 253년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프라이텍스타투스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바르불라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블라시오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루키우스 포스투미우스 메겔루스
마니우스 쿠리우스 덴타투스 퀸투스 마르키우스 필리푸스 가이우스 마르키우스 루틸루스 켄소리누스 가이우스 두일리우스 데키무스 유니우스 페라
기원전 252년 기원전 247년 기원전 241년 기원전 236년 기원전 234년
마니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 코르비누스 메살라 아울루스 만리우스 토르콰투스 아티쿠스 마르쿠스 파비우스 부테오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카우디누스 아울루스 포스투미우스 알비누스
푸블리우스 셈프로니우스 소푸스 아울루스 아틸리우스 카이아티누스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코타 퀸투스 루타티우스 케르코 가이우스 아틸리우스 불부스
기원전 231년 기원전 230년 기원전 225년 기원전 220년 기원전 214년
티투스 만리우스 토르콰투스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베루코수스 가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켄토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파푸스 푸블리우스 푸리우스 필루스
퀸투스 풀비우스 플라쿠스 마르쿠스 셈프로니우스 투디타누스 마르쿠스 유니우스 페라 가이우스 플라미니우스 마르쿠스 아틸리우스 레굴루스
기원전 210년 기원전 209년 기원전 204년 기원전 199년 기원전 194년
루키우스 베투리우스 필로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케테구스 가이우스 클라우디우스 네로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 가이우스 코르넬리우스 케테구스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디베스 푸블리우스 셈프로니우스 투디타누스 마르쿠스 리비우스 살리나토르 푸블리우스 아일리우스 파이투스 섹스투스 아일리우스 파이투스 카투스
기원전 189년 기원전 184년 기원전 179년 기원전 174년 기원전 169년
티투스 퀸크티우스 플라미니누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플라쿠스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아울루스 포스투미우스 알비누스 루스쿠스 가이우스 클라우디우스 풀케르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마르켈루스 마르쿠스 포르키우스 카토 마르쿠스 풀비우스 노빌리오르 퀸투스 풀비우스 플라쿠스 티베리우스 셈프로니우스 그라쿠스
기원전 164년 기원전 159년 기원전 154년 기원전 147년 기원전 142년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 마케도니쿠스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 코르쿨룸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루푸스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
퀸투스 마르키우스 필리푸스 마르쿠스 포필리우스 라이나스 가이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 루키우스 마르키우스 켄소리누스 루키우스 뭄미우스 아카이쿠스
기원전 136년 기원전 131년 기원전 125년 기원전 120년 기원전 115년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풀케르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마케도니쿠스 그나이우스 세르빌리우스 카이피오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발레아리쿠스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디아데마투스 또는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달마티쿠스
퀸투스 풀비우스 노빌리오르 퀸투스 폼페이우스 루키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 라빌라 루키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프루기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
기원전 109년 기원전 108년 기원전 102년 기원전 97년 기원전 92년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스카우루스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에부르누스 가이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카프라리우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플라쿠스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
대 마르쿠스 리비우스 드루수스 가이우스 리키니우스 게타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누미디쿠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루키우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기원전 89년 기원전 86년 기원전 70년 기원전 65년 기원전 64년
루키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루키우스 마르키우스 필리푸스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클로디아누스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불명)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마르쿠스 페르페르나 루키우스 겔리우스 퀸투스 루타티우스 카툴루스 카피톨리누스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코타
기원전 61년 기원전 55년 기원전 50년 기원전 42년 기원전 28년
루키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니게르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풀케르 푸블리우스 술피키우스 루푸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디비 필리우스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 푸블리우스 세르빌리우스 바티아 이사우리쿠스 루키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카이소니누스 가이우스 안토니우스 히브리다 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
기원전 22년 기원전 8년 14년 46년 73년
파울루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디비 필리우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디비 필리우스 아우구스투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 게르마니쿠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베스파시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무나티우스 플란쿠스 티베리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루키우스 비텔리우스 티투스 카이사르 베스파시아누스 }}}}}}}}}}}}}}}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1.4px"
기원전 715년 기원전 509년 기원전 449년 기원전 431년
누마 마르키우스 가이우스 파피리우스 퀸투스 푸리우스 아울루스 코르넬리우스 코수스
기원전 420년 기원전 390년 기원전 332년 기원전 304년
스푸리우스 미누키우스 마르쿠스 파비우스 암부스투스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칼루사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바르바투스
기원전 254년~기원전 243년 기원전 243년~기원전 221년 기원전 221년~기원전 213년 기원전 213년~기원전 212년
티베리우스 코룬카니우스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카우디누스 (공석)
기원전 212년~기원전 183년 기원전 183년~기원전 180년 기원전 180년~기원전 152년 기원전 152년~기원전 150년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디베스 가이우스 세르빌리우스 게미누스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공석)
기원전 150년~기원전 141년 기원전 141년~기원전 132년 기원전 132년~기원전 130년 기원전 130년~기원전 114년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 코르쿨룸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 세라피오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무키아누스 푸블리우스 무키우스 스카이볼라
기원전 114년~기원전 103년 기원전 103년~기원전 89년 기원전 89년~기원전 82년 기원전 82년~기원전 63년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달마티쿠스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 퀸투스 무키우스 스카이볼라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피우스
기원전 63년~기원전 44년 기원전 44년~기원전 13년 기원전 13년~기원후 379년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디비 필리우스 아우구스투스 (로마 황제가 겸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00201, #a00201 20%, #a00201 80%, #800201)"{{{#!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00201><tablebgcolor=#a00201> 파일:아우구스투스 투명.svg아우구스투스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생애 · 평가
가족 관계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8b0000> 가족 아버지 가이우스 옥타비우스 · 계부 루키우스 마르키우스 필리푸스 · 양아버지 율리우스 카이사르 · 어머니 아티아 · 누이 소 옥타비아
부인 첫째 부인 클로디아 풀크라 · 둘째 부인 스크리보니아 · 셋째 부인 리비아 드루실라
자식 대 율리아 · 양아들 가이우스 카이사르 · 양아들 루키우스 카이사르 · 양아들 티베리우스 · 양아들 대 드루수스
전투
내전기 무티나 내전 · 해방자 내전 · 페루시아 내전 · 시칠리아 내전 · 안토니우스-옥타비아누스 내전
전투 필리피 전투 · 옥타비아누스의 일리리아 원정 · 악티움 해전 · 칸타브리아 전쟁 · 갈루스의 아라비아 원정 · 쿠시-로마 전쟁 · 게르마니아 전쟁 · 토이토부르크 전투
반란 일리리아 대반란
기타
장소 아우구스투스 영묘,(), · 판테온
기타 칭호 · 기원전 23년 로마 헌정위기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00201, #a00201 20%, #a00201 80%, #800201)"{{{#!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00201><tablebgcolor=#a00201> 파일:카이사르 투명.svgCAIVS IVLIVS CAESAR
율리우스 카이사르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생애 · 평가 · 대중매체
가족관계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8b0000>가족아버지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 어머니 아우렐리아 코타 · 고모부 가이우스 마리우스 · 첫째 아내 코르넬리아 킨나 · 둘째 아내 폼페이아 술라 · 셋째 아내 칼푸르니아 · 딸 율리아 · 양아들 옥타비아누스 · 사생아 카이사리온
전투
<colbgcolor=#fff,#1f2023>일레르다 전투 · 디라키움 공방전 · 파르살루스 전투 · 알렉산드리아 전쟁 · 젤라 전투 · 탑수스 전투 · 문다 전투 · 코르도바 공방전
대외 전쟁 갈리아 전쟁
휘하 군단 3군단 갈리카 · 4군단 마케도니카 · 5군단 알라우다에 · 6군단 페라타 · 7군단 클라우디아 · 8군단 갈리카 · 9군단 히스파나 · 10군단 에퀴스트리스 · 11군단 클라우디아 · 12군단 빅트리스 · 13군단 게미나 · 14군단 게미나
관련 기록 갈리아 전기 · 내전기
기타
정책 삼두정치,(로마 공화정의 삼두정치), · 독재관
사건 · 사고 율리우스 카이사르 암살 사건
기타 율리우스력 · 카이사르(칭호),(차르 · 카이저),
}}}}}}}}} ||
로마 제국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
AVGVSTVS
파일:Augustus_Caesar.jpg
<colbgcolor=#9F0807><colcolor=#FCE774,#FCE774> 이름 가이우스 옥타비우스 투리누스[1]
CAIVS OCTAVIVS THVRINVS[2]
출생 기원전 63년 9월 23일
로마 공화국 로마 시[3]
사망 기원후 14년 8월 19일 (향년 75세)[4][5]
로마 제국 이탈리아 속주 놀라[6]
재위 기간 로마 황제
기원전 27년 1월 16일 ~ 기원후 14년 8월 19일
(40년 7개월 3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F0807><colcolor=#fecd21> 존호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디비 필리우스 아우구스투스
IMPERATOR CAESAR DIVI FILIVS AVGVSTVS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7]
Imperator Caesar Augustus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옥타비아누스[8]
Gaius Julius Caesar Octavianus
신장 175cm[9]
가족 가이우스 옥타비우스(아버지)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양아버지[10])
아티아(어머니)
소 옥타비아(누이)
부인 클로디아 풀크라(첫째 부인)
스크리보니아(둘째 부인)
황후 리비아 드루실라
자식 대 율리아[11]
가이우스 카이사르(양아들)
루키우스 카이사르(양아들)[12]
티베리우스(양아들)
영묘 아우구스투스 영묘
종교 로마 다신교
왕조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

[clearfix]

1. 개요

Marmoream relinquo, quam latericiam accepi.
나는 벽돌로 지어진 로마를 발견해 대리석의 로마로 남겨 두었다.[13]
아우구스투스
로마 공화국의 마지막 프린켑스 세나투스(원로원 제1인자), 초대 로마 황제이자 로마 제국의 첫 번째 왕조인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의 개창자이다.

2. 상세

본인 스스로는 한 번도 황제나 국왕을 칭하지 않았으나 역대 로마의 프린켑스 가운데 "프린켑스는 곧 종신 임페라토르"라는 공식을 만들고 이를 아들 티베리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자신의 혈육들에게 합법적으로 승계해 프린키파투스(원수정)[14]를 만들어냈다. 그래서 후대 로마인과 역사가들에게 로마 최초의 황제이자 유럽 최초의 황제로 평가받는다. 태어날 당시 이름은 가이우스 옥타비우스 투리누스, 종신독재관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양자 · 후계자로 지명 후 개명한 정식 이름은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옥타비아누스', 기원전 40년 이후 새롭게 사용한 새로운 이름은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다.

카이사르의 누나 율리아의 외손자[15]로, 3월 15일(이두스 마르티아이)[16] 이후 카이사르 유언장에 따라 그의 양자이자 후계자가 되었다. 기원전 43년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와 연합해 제2차 삼두정치 시대를 열었고, 이후 최후의 경쟁자였던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의 오랜 내전은 기원전 31년 9월 2일 악티움 해전에서 옥타비아누스가 승리하면서 사실상 끝나게 된다.

옥타비아누스는 이때 지중해 세계의 권력을 거머쥐었는데, 안토니우스와 연합한 이집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를 멸망시킨 뒤 이집트를 로마의 영토로 만들었다. 그리고 이 시기부터 공화정 로마는 사실상 제정으로 변하게 된다. 기원전 27년, 내전이 종결되었으므로 자신에게 위임된 비정규적 특권을 원로원과 로마 시민에게 반납한다고 선언하면서 로마를 형식상 공화정 체제로 되돌리는 선언을 했고, 이에 원로원은 그에게 아우구스투스(존엄한 자)라는 존칭을 부여했다. 따라서 이때부터 옥타비아누스는 본명 대신 아우구스투스라고 불리게 된다.

서기 4세기까지 모든 로마 황제가 사용한 표준 제호의 기준을 제시한 인물이다. 그는 공식 직함에서 가이우스 율리우스를 공문서상 대체할 칭호로 '임페라토르 카이사르(IMPERATOR CAESAR)'의 표준 명칭을 처음 제시하면서, 원로원이 기원전 27년 1월 16일 준 존칭 아우구스투스(AVGVSTVS)까지 모두 로마 황제 칭호의 표준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아우구스투스는 살아있던 시절, 전임자였던 카이사르처럼 임페라토르라는 칭호를 사용하기보다는 자신을 단지 "제1의 시민(Princeps, 프린켑스)"[17][18]으로 자칭했다.

재위 기간은 기원전 27년부터 서기 14년까지이며, 외치에서는 히스파니아 북부, 아이깁투스(이집트), 달마티아, 판노니아, 노리쿰, 라이티아를 합병하고 파르티아와의 교섭으로 카르헤 전투 때 빼앗긴 군단기를 찾아왔으며 내치에서는 조세 제도를 개편하고 속주와 본토 이탈리아에 걸친 도로망을 구축했고, 상비군, 근위대, 치안기관, 소방기관 등을 신설하고 군을 감축하고 대우를 개편했으며 여러 공공 시설을 확충하여 로마市의 많은 부분을 재개발했고 시민과 군에 수차례 세스테르케스를 기증하는 등 공인으로서도 숱한 업적을 세웠다. 죽기 한 달 전에는 업적록(Res Gestae Divi Augusti) 저술을 마치고 죽은 뒤 원로원과 민회에 의해 신격화되었다. 이후 모든 로마 황제들은 황제명에 아우구스투스가 사용한 존칭 ‘아우구스투스’와 그의 개인성씨 ‘카이사르’를 제호에 넣어 사용했다[19]. 또한 그를 기념하기 위해 기존의 "여섯 번째 달(Sextilis)"을 "아우구스투스"(Augustus: 존엄한 자)로 바꿔 불렀다.[20] 그의 뒤는 아내 리비아 드루실라가 전 남편과의 사이에서 낳은 큰 아들이자 아우구스투스의 양자인 티베리우스가 물려받았다. 옥타비아누스의 친구이자 유능한 군사적 조력자였던 장군 아그리파도 유명하다. 군재는 아그리파에게 맡긴 만큼 부족했지만 집권 과정과 공공 사업은 모두 대성시킨 덕에 정치질에 있어서든 진짜 정치에 있어서든 서양사에서 손꼽히는 능력자로 인정받는 인물이다. 팍스 로마나 또한 그가 내전을 끝내고 개관했기 때문에 아우구스타로 불리기도 한다.

3. 생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우구스투스/생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우구스투스/평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여담

가이우스 플리니우스의 기록에 따르면, 어느날 아우구스투스가 베디우스 폴리오의 집에 방문하였을 때 한 노예가 비싼 유리잔을 깨트린 일이 터졌다고 한다. 그러자 베디우스 폴리오는 그 노예를 평소대로 처벌하겠노라고 했다. 즉, 아우구스투스가 돌아가면 그 즉시 곰치의 밥으로 던지기로 한 것인데, 그 광경을 지켜보던 아우구스투스가 처벌을 멈추라고 명령 후 그 집안의 모든 유리잔을 가져오게 해서, 자기 손으로 모두 깨트리고 정색하면서 노려봤다고 한다.[24][25] 이에 아우구스투스의 의중을 알아챈 폴리오는 사색이 되었고, 노예는 다행히 목숨을 건졌으며 그 자리에서 노예 신분에서 풀려나 자유인이 되었다고 한다(출처: Publius Vedius Pollio, Naturalis Historia, 9장 29절).
이 외에도 자신의 정적이었던 안토니우스의 아이들 중 정치적으로 위협이 되는 아이들을 제외한 나머지들은 죽이지 않고 신분을 유지해주고 돌봐준 점 등을 보면, 정치적으로 냉정하긴 해도 사적인 인품이 잔인무도한 인물은 아니었던 듯하다.[26] 아내 리비아 드루실라의 전남편 소생이자 양아들이었던 티베리우스나 대 드루수스도 비록 정략 결혼에 이용하긴 했어도 오히려 친딸인 대 율리아보다 더 친자식처럼 총애했다. 다만 문란한 사생활로 온갖 문제를 일으킨 친딸 대 율리아에 비해 티베리우스와 대 드루수스는 유능하고 총명했기에 그 역시 특유의 정치적 냉정함으로 쓸모에 따라 대한 것일 수도 있다.

6. 대중매체에서

6.1. 드라마

6.1.1. 로마

파일:ROME.Season 1.Octavian.jpg
파일:Rome.Octavian.jpg
시즌 1의 맥스 퍼킨스 시즌 2의 사이먼 우즈
시즌 1의 배우와 성우는 맥스 퍼킨스[34]김영선. 시즌 2의 배우와 성우는 사이먼 우즈와 김일.[35]

HBO의 드라마 ROME에서 주요 등장인물로 묘사된다. 어린 나이에 권모술수를 부릴 줄 알고 타고난 두뇌와 비범한 명석함의 소유자이다. 그 덕분에 작중에서 이루어지는 계략이나 정치인들의 속셈을 해설하는 역을 맡기도 한다. 하지만 결벽증과 지나친 냉혹함 같은 인성적 결함도 지니고 있다.[36]

유년 시절이 매우 불행했던 것으로 묘사된다. 이는 남자답지 못하다는 이유로 늘 어머니인 아티아에게 모지리 취급을 당했기 때문이다. 옥타비아누스도 그래서 가족에 대한 정이 없고, 어머니에 대한 원한이 깊다.[37] 드라마에서 악독했던 아티아가 더 악독하고 냉혈한이 된 옥타비아누스의 황제 개선식에서 기죽은 표정을 짓는 마지막화의 모습이 백미. 훌륭한 로마인이길 원하는 어머니의 등쌀에 떠밀려서 본인이 제일 하기 싫다는 검술훈련을 하고[38] 강제로 전쟁에 나가게 된다. 그러나 이 시절에도 확실히 비범한 모습도 보이는데 티투스 풀로가 루키우스 보레누스의 아내 니오베의 불륜 사실을 조사할 때에 동행하여 불륜 상대남이 거짓말을 한다는 것을 귀신처럼 꿰뚫어보았고 고문 지시도 아무렇지도 않게 내린다.[39] 이 사실은 자신들이 묻은 것으로 루키우스가 이 사실을 영원히 알지 못하게 하라는 등 인간적인 면모도 보여줬다. 또 똑같이 어머니 때문에 늘상 스트레스를 받고 사는 누나 옥타비아의 멘토가 되어주기도 한다. 그냥 이 때는 똑똑하지만 덜 성숙하고 인간적인 어린 시절의 옥타비아누스를 표현했다고 보면 되겠다.

시즌 2에서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암살당하면서 자신을 후계자로 세운다는 유언장을 확인하지만, 이를 받아들이지 못한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 자신을 어린애 취급하는 아티아 때문에 바지사장 신세가 되어버린다. 그럼에도 자신의 뜻을 관철시키려다 결국 어머니와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를 모욕하고 한바탕 싸움질을 벌인 끝에[40] 집을 뛰쳐나온다.[41] 그리고선 돌아올 땐 강력한 군대와 유능한 친구들을 끌고, 찔러도 피 한방울 안 나올 냉혈한에 새디즘, 마조히즘[42]까지 있는 카리스마형 캐릭터로 재등장한다.

시즌 2에서 어머니 아티아와 누이 소 옥타비아를 꾸짖을 때와[43] 악티움 해전에서의 대패로 몰락을 눈앞에 둔 클레오파트라에게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를 생사 상관없이 데려오면 클레오파트라와 그녀의 자식들은 물론, 휘하의 이집트 왕국과 백성들도 살려주겠다는 편지를 보냄으로서 클레오파트라가 어쩔 수 없이 본인의 손으로 직접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를 자살하게 만드는[44] 모습에서 이 캐릭터가 얼마나 냉철한 인간인지 보여준다. 특히나 안토니우스가 사망한 뒤 대면한 클레오파트라의 맞장구를 쳐주면서도, 결국 자신의 의지[45]를 끝까지 관철시키고 강요하는 모습은 일부 시청자들조차 소름이 돋을 정도다.[46][47]

다만 시즌 2라고 마냥 유능하게만 나온건 아니고 오히려 실제 역사보다 너프된 편이다. 키케로에게서 집정관 자리를 얻었지만 섣불리 브루투스와 카시우스를 국가의 적으로 선포했다 가진 병력이 적어 위기를 맞았고, 삼두정치 때는 전쟁을 노리고 노골적으로 곡물 수출을 거부하는 안토니우스 때문에 또 한번 위기를 맞기도 했다. 둘다 결정적인 한 방으로 위기를 타개하는데는 성공하지만,[48] 스스로의 힘이라기보다는 조력자의 역할이 컸음을 생각하면 실제 역사만큼의 유능함은 보여주지 못한 셈이다.[49]

내전 중에서 유일하게 전투 장면이 구현된 필리피 전투에서는 마치 신병처럼 안토니우스에게 줄곧 어린애 취급을 당하고 안토니우스가 돌격을 할 때 아그리파만 뒤따라 보내고 자신은 줄곧 본진에 남아있는 모습을 연출한다.[50] 공화파쪽 진영에서도 카시우스만 전투에 나섰을 뿐 브루투스는 계속 본진에 남았기에 역사상 두 사람의 대결은 연출되지 못하고 덕분에 브루투스에게 깨지는 모습은 생략되었다.

6.1.2. 임페리움 시리즈

2003년에 제작된, 로마사를 주제로 한 임페리움 시리즈의 <임페리움: 아우구스투스>에서 주인공으로 나온다. 젊은 날의 활약을 회상하는 노년의 아우구스투스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는데 보통의 매체에서는 잘 드러내지 않는 아우구스투스의 불행한 가족사를 주제로 하고 있다. 즉, 로마를 위해서 딸의 인생을 망칠 수 밖에 없는[51] 아버지의 고뇌를 그리고 있다. 이 작품에서 최종 보스는 아우구스투스를 암살해서 아버지의 복수를 하려는 율리우스 안토니우스. 마지막에 임종 장면에서 부인 리비아 드루실라, 후계자 티베리우스[52]와 신하들 사이에서 유배지를 탈출한 율리아가 나타나서 화해를 하는 장면은 명장면. 피터 오툴이 아우구스투스 역을 맡았다.

6.2. 영화

6.2.1. 박물관이 살아있다 시리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옥타비우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 소설

6.3.1. 나는 황제 클라우디우스다

로버트 그레이브스의 소설 나는 황제 클라우디우스다에서는 3번째 아내이자 초대 황후인 리비아에게 쉽게 조종당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리비아가 자신을 독살할 것을 두려워해 음식을 거절하고 직접 딴 무화과로 연명하나 리비아가 그 무화과에 독을 발라두어 결국 독살당하는 것으로 묘사한다.

6.4. 만화

6.4.1. 클레오파트라(애니메이션)

데즈카 오사무의 클레오파트라(애니메이션)에서는 클레오파트라가 그가 차기 지도자감임을 알고 유혹하지만, 아우구스투스는 게이라서 유혹이 안통해서 결국 역사대로 클레오파트라랑 싸우게 된다.[53]

6.4.2. 권투암흑전 세스타스

파일:세스타스-아우구스투스.png

고대 로마를 다룬 권투암흑전 세스타스에서도 당연히 언급되었다. 작중 배경은 네로의 시대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등장은 없지만, 역사대로 뛰어난 명군이자 불세출의 정치가로 언급된다. 네로를 제외한 나머지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의 황족들[54]은 다 하나 같이 얼간이들로 연출되었기 때문에 아우구스투스가 더 돋보인다. 아우구스투스 말고 정상적으로 나온 황족은 게르마니쿠스 뿐이다.

6.4.3. 무사만리행

콤모두스 황제가 나루와 결투를 벌일 때, 그의 조각상을 무기로 활용한다. 말 그대로 조각상을 들고 몽둥이처럼 휘두른다. 심지어 나루의 빠른 스피드에 대응하기 위해, 무게를 줄여야 한다며 냅다 두동강내서 휘두르기까지 했다. 어찌보면 자식 농사 말아먹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다음으로 욕 보고 있는 로마 황제.

6.4.4. 샌드맨 시리즈

말년의 모습으로 등장. 16세 때, 종조부에게 강간당한 뒤에 후계자로 낙점되었고 로마의 미래를 위한 모든 예언과 계획들을 이어받았다. 하지만 카이사르의 뒤를 이어서 로마의 지배자가 된 후에는 다른 계획을 품게 되고, 종조부를 포함한 로마의 신들에게 자신의 생각을 들킬 것을 두려워하다가 영원 일족이 들려준 충고를 받아들여서[55] 하루 동안 거지로 분장하고 거리로 나가서 자신의 계획을 정리할 시간을 갖는다. 그의 사후, 계획대로 로마의 정복은 정체되고 우리가 아는 역사대로의 길을 걷게 된다.

6.5. 게임

6.5.1. 시드 마이어의 문명 시리즈

문명 4문명 5에서 로마 문명의 지도자로 나온다. 문명 4에서는 양아버지 카이사르와 같이 나왔고, 5에서는 단독 출연. 문명 6에서는 트라야누스가 새로 등장했다. 문명 7에서 다시 지도자로 나온다.

6.5.2. 토탈 워: 로마 2

역사적 전투에서 목소리로만 출연한다. 토이토부르크 전투에서 나오는데, 이때 대사는 그 유명한 "바루스, 내 군단을 돌려다오!" 라는 말을 한다.

그리고 토탈 워: 로마 2에 드디어 그가 주인공으로 나오는 캠페인인 황제 아우구스투스에서 등장한다. 이때는 시대가 BCE 41년도라서 아직 황제는 아니고 레피두스와 안토니우스와 대립 구도로 나온다.

6.5.3. 도미네이션즈

동상 흉갑이 전설 유물로 등장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설 유물/아우구스투스 동상 흉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5.4. Warhammer 40,000

13번째 프라이마크로부테 길리먼의 모티브다. 명문 귀족 출신이면서도 민중파 성향을 가졌던 양부를 두었으며, 그 양아버지를 상대 파벌인 귀족파에 의해 암살로 잃었다는 점이 동일하다. 또한 외모적으로도 금발에 로마인 특유의 짧은 머리스타일이 매우 흡사하다. 두 인물은 뛰어난 정치력과 행정 능력을 가졌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필요할 때는 냉혹한 숙청을 실행해 절대권력을 쟁취했던 옥타비아누스와 달리, 길리먼은 양아버지를 암살한 원수를 상대로도 철저히 법과 제도를 따르는 모습을 보여줘서 정적들을 감화시켜 자발적으로 추대되었다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옥타비아누스는 군사적인 부분에서는 뛰어나지 못했지만, 길리먼은 인류제국에서도 손꼽히는 전술가이며, 개인 무력도 상당히 뛰어나다는 차이도 있다.

[1] 흔히 옥타비아누스, 아우구스투스로 알려진 이 사람의 본래 이름이다.[2] 라틴어식 표기이며, 영어식 표기로는 Gaius Octavius Thurinus.[3]이탈리아 라치오주 로마[4] 76번째 생일을 1달 4일 남긴 상태에서 사망했다.[5] 75년 320일[6] 나폴리 광역시에 속한 시이다.[7] 본명은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옥타비아누스였지만 로마 제국의 황제로서 사용된 제호 개념의 이름이다. 아우구스투스는 황제가 된 후에 모든 공식기록에서 본명 대신 이 이름을 사용하라고 지시했다. 임페라토르는 프라이노멘으로 사용됐고, 카이사르는 카이사르의 양자가 된 이후부터 사용된 개인 분파 가문 성씨(코그노멘)가 공식직책 임페라토르와 함께 붙여진 이름에 해당된다. 참고로 위에 나온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디위 필리우스'는 사후 신격화되면서 붙여진, 최종 존호 개념이자 기원전 40년 이후 함께 사용된 제호이다.[8] 보통 로마인 이름 중 입양의 경우는 반드시 출생 가문의 끝부분에 -anus 를 붙인다. 옥타비아누스 역시 카이사르의 양자가 되면서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옥타비아누스(Gaius Julius Caesar Octavianus)로 바뀌었다. 즉, 본가 옥타비우스(Octavius) 끝부분에 ‘anus’가 붙어지면서 옥타비아누스(Octavianus)라고 이름이 붙여지고 불리게 된 것이다. 비슷한 사례로는 본래 아이밀리우스 가문 출신이지만 스키피오 가문의 양자가 된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Publius Cornelius Scipio Aemilianus)가 있다.[9] 출처[10] 혈연상으로는 어머니 아티아의 외삼촌이라 외가 쪽 작은할아버지뻘 되는 친척 어른이었다.[11] 아우구스투스의 유일한 친자식, 자기 친구인 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와 결혼했다.[12] 가이우스 카이사르와 루키우스 카이사르는 아우구스투스의 딸인 대 율리아와 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 사이에서 난 아우구스투스의 외손자로 각각 3살, 1살 때 입양됐다.[13] 영어로는 "I found Rome a City of bricks and left it a City of marble(나는 벽돌의 도시 로마를 발견했고 대리석의 도시로 남겨 두었다)"라는 번역으로 알려졌다. 세간에는 "나는 진흙으로 된 로마를 발견해, 대리석의 로마로 남겨 두었다"는 식으로 벽돌이 아닌 진흙으로 번역되는 경우도 있는데, 로마 시대에도 벽돌은 진흙으로 만들었다는 점에서 나온 오역으로 보인다.[14] 아우렐리아누스가 청사진을 그리고 디오클레티아누스콘스탄티누스 1세가 완성한 도미나투스(전제정) 아래에서 로마 황제는 아우구스투스와 달리, 로마 원로원의 원수(프린켑스)에 취임하지 않거나 올라도 특수한 정치적 상황 아래에서만 잠시 취임했다. 왜냐하면 하드리아누스 이래로 모든 국정은 황제자문회의에서 처리할 수 있는데다, 세베루스 왕조의 개혁 이후에는, 근위대 프라이토리아니를 통솔하는 근위대장의 보좌 아래 내각정치가 가능했기 때문이다.[15] 외할아버지가 폼페이우스 마그누스의 고종사촌동생이므로, 폼페이우스와도 혈연상 친척이었다.[16] 카이사르가 암살당한 날이다.[17] 본래 '프린켑스'는 로마 공화정 당시 원로원으로부터 큰 공적을 인정받았다는 의미로 쓰이던 명예로운 호칭이며, 원로원 중심의 공화정 체제를 상징하는 원로원 의장 같은 지위다. 아우구스투스는 키케로 이후 정식으로 이 직위에 올랐는데, 내전 기간 내내 실질적인 프린켑스라서 우리가 제정의 시작이라고 부른 기원전 27년 전부터 자신을 프린켑스라고 칭했다. 이는 그가 카이사르가 암살당한 선례를 알고 있어 군림하는 자로 여겨지기를 경계해, 비교적 겸양의 표현으로 '프린켑스'를 칭했다고 해석된다. '아우구스투스' 역시 '존엄한 자'의 의미이긴 하지만, 프린켑스보다는 높은 어감을 지녔기 때문이다.[18] 프린켑스는 기원전 28년 1차 조정헌법 체제(로마 제정) 아래에서 로마 황제의 전유물이었다. 다만, 군인황제시대로 부른 서기 235년 이후, 서기 275년 타키투스 황제가 제위에 오르기 전까지 약40년 정도 원로원이 프린켑스 세나투스 직을 돌려가며 맡은 시절이 원수정(프린키파투스) 아래에서 있긴 했다. 서기 238년 폼포니우스 바수스가 프린켑스 세나투스에 취임한 사건이 그것인데, 이는 막시미누스 트라쿠스가 국가의 적이 되고, 고르디아누스 1세, 고르디아누스 2세, 푸피에누스, 발비누스, 고르디아누스 3세가 같은 해에 아우구스투스, 카이사르 직에 오른 특수한 사정 때문에 벌어진 일이다. 하지만 이 역시 그 권한은 황제가 관습상 이유로 모두 행사했고, 폼포니우스 바수스 같이 돌아가며 오른 의원들은 외적과의 전쟁으로 바쁜 황제를 대신해 회의 사회자 역할 정도만 맡았다고 한다. 허나 이런 모습도 디오클레티아누스 아래에서 도미나투스(전제정)로 로마 국제가 바뀌면서 달라져, 후기 로마 황제들은 발렌티니아누스 1세처럼 원로원과 힘싸움을 벌일 때만 잠시 취임할 뿐 이 직책에 무조건 오르지 않았다.[19] 단, 티베리우스, 가이우스(통칭: 칼리굴라)는 개인성씨가 카이사르이므로, 제호에 굳이 넣어 사용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 두 사람에게 카이사르라는 이름 자체는 원로원에서 개인 성씨로 사용된 것일 뿐, 황제 제호에 넣어 사용한 황제 명사형 칭호가 아니다. 그러나 아우구스투스의 친혈육 클라우디우스 1세는 아우구스투스 생전, 율리우스 카이사르 가문에 입양되지 않았기에, 여전히 개인 성씨는 '클라우디우스'였다. 따라서 그는 아우구스투스 이래로 같은 카이사르 가문 사람임에도, 즉위 후 정통성을 위한 이름으로 '카이사르'를 제호로 취했다.[20] 로마력 기준으로 6번째 달이다. 카이사르의 율리우스력 기준으로는 현재와 마찬가지로 8월이라고 보면 된다. 그리고 이것이 오늘날 8월을 의미하는 영단어 August의 어원이 된다.[21] 아우구스투스는 이 두 저술을 제외한 카이사르의 모든 저술들을 없애버렸다. 카이사르는 신이었고, 그의 신성성을 모독할 수 있는 것들은 모두 없어져야 했기 때문이다. 그의 사적인 면을 엿볼 수 있는 연애 편지, 지인들과 주고받은 귀중한 기록들은 전부 없어졌다. 후대인들에게는 정말 애석한 일이다.[22] 카이사르의 정적에 대한 무조건 관용에 대해 반 카이사르파 인사들은 카이사르가 '난 관용을 베푼 대인배'라며 우쭐대는 것에 수치심을 느꼈고 카아사르를 비판하면 현란한 말솜씨로 망신 주는 것은 위선이라며 증오했다. 결국 카이사르의 관용이 카이사르 본인의 목숨을 앗아가게 되었고 카이사르의 관용에 칼로 답한 이들은 다시는 관용을 받지못하고 아우구스투스의 손에 끝장났으니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관용에 칼로 답한 반 카이사르파 인사들을 본 아우구스투스가 자신의 권력과 신변에 충분히 위해를 가할 수 있다고 판단된 정적을 끝까지 쫓아가 죽여버린 것은 당연했다.[23] 칠성장어라고 하기도 하는데 이는 오역이다.[24] "어디 나도 한 번 곰치에게 던져봐라."라는 뜻. 그리고 벌을 주려는 의도도 있었을 것이다. 당시 유리는 상당히 고가품이었기 때문.[25] 다른 썰로는 이렇게 던지면서 나도 던져 보거라라고 한 뒤, 경고를 보냈다는 것도 있다. 만일 본문 내용이 진짜라면, 폴리오가 친구라서 유리잔을 깨는 정도로 덮어버렸다고 봐야 한다. 만약 폴리오가 황제의 친구가 아니었다면 황제에게 인육 사료로 키운 고기를 대접한다는 것어떤 의미이고, 어떻게 될지는 뻔했기 때문이다.[26] 이런 점에서 정적에게 매우 잔악했던 술라와 대비된다고 할 수 있다. 술라는 정적의 친인척까지 모조리 살생부에 이름을 올려 추방하거나 목을 날려버렸다.[27] 출처 수에토니우스, 황제열전, 아우구스투스전, 71장[28]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검투사 경기는 무조건 죽음으로 끝나는 것은 아니었다. 물론 어디까지나 시민들의 욕구를 만족할 수 있을 정도로 잘 싸워야 패배하더라도 목숨을 부지할 수 있었을 뿐, 시민들이 보기에 대충 싸우거나 비겁하다고 생각되면 끔찍한 죽음뿐이었다.[29] 고대 로마에서는 연초를 Martius로 두고 1주일에 8일, 1년에 38주(총 10개월, 304일)를 두는 달력을 쓰고 있었고 나머지를 겨울로 부르며 딱히 이름을 부르지 않았다. 따라서 정규 해의 한달은 관습적으로 보통 달의 주기와 비슷한 30일 또는 31일이었다. 이후 겨울에 해당하는 두 달(연초인 Ianuarius와 연말인 Februarius)을 도입하고 매달 홀수인 29일과 또는 그 다음 홀수인 31일을 부여해 1년 356일을 만들고 다시 1년을 홀수로 맞추기 당시 달력에서 마지막 달에 해당하는 Februarius에서 하루를 뺐다고 전해진다. 게다가 2년~3년마다 Februarius 23일부터 한달을 27일로 하는 일종의 윤달인 Mercedinus을 시행했으니 일반적으로 Februarius는 28일을 채우지 못하는 보조적인 달로 취급받았다. 28일로 정하는 건 수백년 간 지켜온 로마의 전통인 셈. 실제로 아우구스투스가 시행한 달력 개혁은 율리우스력에서 확립된 윤년 제도를 재조정하기 위해 당분간 윤년을 미루는 제도를 도입한게 전부였다.[30] 아내 리비아 드루실라의 차남인 대 드루수스는 아우구스투스가 리비아 드루실라와 재혼할 당시 어머니의 뱃속에 있었고 태어난 이후에도 걸음마를 뗄 때까지 아우구스투스가 친아들로 여겨 키우면서 친부의 집에 돌려보내지 않았다. 따라서 풍자 작가들이 불륜으로 태어난 자식이라고 조롱하고 세간에서도 안 좋게 보자 돌려보낸 일화가 있다. 정황상 개선식 이후 정식 양자로 삼아 외손자들이 장성할 때까지 제위를 맡기고 누나의 외손자들인 드루수스의 아이들을 손이 많지 않은 율리우스 가의 자녀들로 받아들일 준비를 했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아우구스투스는 개선식 통과 직전부터 측근들과 원로원에게 "내가 죽으면 내 후계자는 드루수스", "두 외손자 못지 않게 드루수스를 진지하게 후계자로 생각한다"고 떡밥을 던졌다. 대 드루수스는 기원전 9년 게르마니아 전쟁 개선식을 앞두고 낙마 사고 후유증으로 요절했다.[31] 본래 티베리우스 입양 당시 아우구스투스는 포스투무스, 게르마니쿠스, 소 드루수스에게 모두 제위를 약속했고 그에 따라 입양 절차를 완성했다. 하지만 외손자 포스투무스는 학습 부진과 난폭성으로 외할아버지에게 직접 이 문제가 원로원에 상정돼 파양되고 추방됐다. 따라서 아우구스투스 임종 직전까지 그의 지시와 교육 아래 제왕 교육을 공식적으로 받은 이는 게르마니쿠스와 소 드루수스 둘 뿐이었다.[32] 클라우디우스(누나 소 옥타비아의 딸인 소 안토니아의 아들), 칼리굴라(누나 소 옥타비아의 딸인 소 안토니아의 아들인 게르마니쿠스의 아들), 티베리우스 게멜루스(누나 소 옥타비아의 딸인 소 안토니아의 딸인 리빌라의 아들)였다. 다행이라면 양할아버지이자 외종조부인 아우구스투스는 살아생전 클라우디우스가 가진 비범함과 훌륭한 인성을 알고 일찍부터 그에게 로마 귀족이자 자신의 직계 혈육으로서 필요한 모든 교육을 시켰는데 아우구스투스가 직접 담당한 품성 교육, 식사 예절과 원로원을 다루는 대화법, 웅변술부터 각계 최고 명사와 역사가들이 직접 담당한 학문 수업도 포함됐다. 따라서 일찌감치 현실적인 한계로 제위 계승에서 배제됨에도 클라우디우스는 약관의 나이부터 알아주는 역사가가 됐는데 이때 아우구스투스는 정치 활동을 만류하면서도 자신의 보좌사제는 반드시 맡게 했다. 또 사후 발표될 유언장에 "내 친혈육이자 손자인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에게 재산을 남긴다"고 명시해 만일의 사태까지 대비했다.[33] 네로는 입양 관계로 직계 남자 황족이 된 '타 가문 출신의 먼친척'이자 '입양자'였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로마 귀족들이 말하는 가문 번영과 안녕을 위해 데리고 온 자식이었던 셈. 당장 양부가 된 외종조부 클라우디우스에게 그는 입양 전 이름인 아헤노바르부스로만 불렸고 그의 즉위는 궁중 쿠테타였다. 여기에 더해 네로는 그의 외삼촌으로 아우구스투스 일가의 가부장이었던 3대 황제 칼리굴라 생전 아우구스투스 일가의 피를 이었다고 해도 직계 남자 황족에서 사실상 배제된 까닭에 그 정통성이 없었다. 이는 칼리굴라가 중병에서 회복한 직후 결정내린 후계 구도와 연관된 정치적 결정 때문인데 그는 자신의 둘째 여동생 율리아 드루실라와 그의 남편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와 이들 부부의 후손들, 숙부 클라우디우스와 자신이 중매하여 결혼시킨 메살리나 부부와 그 후손들 외에는 상속권을 부여하지 않았다. 로마 귀족 사회에서 통용되는 가문 당주에게 네로는 아우구스투스 일가의 피만 흐른 방계 친척로 공인된 셈. 이런 이유로 네로와 그의 어머니 소 아그리피나는 칼리굴라 생전부터 소 아그리피나의 재혼 전까지 철저히 로마 사회에서 잊혀진 존재가 됐다.[34] 마스터 앤드 커맨더에서 영국 해병 생도 블랭크니 역을 맡았다.[35] 공교롭게도 맥스 퍼킨스와 사이먼 우즈 모두 이튼 스쿨을 졸업한 엘리트이며 2020년대에는 배우 일을 그만둔 상태다.[36] 자신과 살짝 몸이 닿은 여노예의 따귀를 때린다던지, 말 위에서 졸고있는 자신을 깨우는 노예에게 '절대 허락없이 내 몸에 손대지 마라'고 쏘아붙인다.[37] 단, 이는 실제 역사와는 판이한 드라마의 창작이다. 사료에서 아티아는 그라쿠스 형제의 어머니인 코르넬리아, 카이사르의 어머니인 아우렐리아와 함께 로마사의 대표적인 현모양처로 기록되어 있다. 아우구스투스도 카이사르의 아내 칼푸르니아가 사망하자 자신의 친모 아티아를 현숙한 어머니의 상으로 선전했다.[38] 이 때 불러들인 무술사범이 티투스 풀로이다.[39] 덤으로 너는 어차피 여기서 살아서 나갈 수는 없으니, 고통스럽지 않게 죽고 싶다면 사실을 고하라는 협박을 한다. 그리고 한참 고문하고는 '곧 플루토를 만날텐데 거짓말을 하는건 현명치 못하지'라며 악마처럼 꼬드긴다.[40] 물론 안토니우스에게 일방적으로 맞았다. 그럼에도 끝까지 반항했지만.[41] 이때의 연출은 비록 옥타비아누스가 권세와 남자로서의 기세에 눌렸지만 그 속에는 안토니우스가 예감하지 못할 더 큰 야망이 있음을 암시한다.[42] 리비아 드루실라를 아내로 맞아들일 때 리비아에게 자신은 성적 쾌락을 위해 상대방을 때리는 것을 좋아한다고 말해서 S임을 인정했고, 리비아는 옥타비아누스가 실제로는 M 취향임을 알고 관계 중에 옥타비아누스의 뺨을 때리고 질식시키기도 한다.[43] 그리고 어머니와 누이의 입장도 1부와는 확연히 달라진다. 아티아세르빌리아가 죽으면서 한 저주와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의 결별로 야망이 흐트러지면서 1부에서의 독함도 사라졌고, 옥타비아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 정략결혼하면서 안토니우스의 입장을 어느 정도 대변하게 된데다 어린 시절의 비교적 순수했던 동생이 냉혹함만 남은 인간으로 돌아오자 크게 실망해 돌아선 상태.[44] 옥타비아누스가 알렉산드리아에 당도하기 전날 밤 함께 자살하기로 약속했지만 다음날 아침 자신이 먼저 죽었다는 편지를 보냈고, 클레오파트라가 죽었다고 철석같이 믿고 절망한 안토니우스는 루키우스 보레누스에게 부탁하여 그의 칼에 찔려 자살한다. 당연히 편지부터가 거짓말이었고 클레오파트라는 멀쩡히 살아서 안토니우스의 시신과 대면했고 이를 본 루키우스도 어이없어 한다.[45] 승리를 과시하기 위해 클레오파트라와 그녀의 자식들을 로마에 끌고 가는 것.[46] 클레오파트라가 로마로 끌려가지 않도록 이런저런 핑계를 대 보지만 아무렇지도 않게 그 핑계를 가볍게 논파하고 클레오파트라를 굴복시키는 무지막지한 카리스마를 과시한다. 그러나 클레오파트라가 자살할 것을 정확하게 예상한 아그리파와는 달리 그럴 리 없다며 오판하기도 했다. 여기서 자신의 냉혈함을 인정하지 못하는 옥타비아누스에게 팩폭을 날리는 아그리파와 마이케나스가 은근 개그 포인트.[47] 대면한 옥타비아누스에게 안토니우스는 옥타비아누스를 잔혹한 괴물이라고 했지만 자기 눈에 선하고 정직한 사람으로 보인다며, 어떻게든 비위를 맞추려던 클레오파트라마저 자신과 아이들을 로마에 전리품으로 데려가려는 옥타비아누스의 진위를 깨닫고 절망한다. 결국 모든 희망을 잃은 클레오파트라는 혼자 있게 되자마자 안토니우스의 시신에게로 달려가, 당신을 배신하면서까지 살고 싶었는데 옥타비아누스는 날 조리돌림시키려는 속셈이고 이제 다 끝났다며 처절하게 절규한다. 이후 클레오파트라는 안토니우스의 시신 곁에서 독사에 물려 자살하고, 왕궁에 들이닥친 옥타비아누스에게 "네 놈의 영혼은 이미 부패했어"라고 악에 받친 유언을 남긴 뒤 사망한다.[48] 브루투스와의 싸움은 안토니우스와의 동맹으로, 안토니우스와의 싸움은 포스카가 유언장을 빼돌린 덕이 컸다.[49] 이는 제작비와 시청률의 문제로 당초 계획에 비해 축소된 드라마의 시즌 편성 때문이었다. 하지만 그런 축약된 내용 속에서도 드라마 시즌2 속에서 옥타비아누스는 종종 소름끼칠 만큼 상대의 속을 파악하며 낱낱이 읽어낸다던가 상대방을 완전히 물 먹이는 등 멋진 카리스마를 보여준다. 대표적으로는 집정관 자리에 오르자 카이사르 암살파에 대대적으로 선전포고를 하며 당황한 키케로를 권력으로 누르는 장면이다.[50] 이때 안토니우스는 전투 자체를 즐기는 듯한 열혈남아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반면에 옥타비아누스는 전황을 읽지 못하고 아그리파에게 기댄다. 드라마는 단순히 안토니우스를 용기 가득한 장군으로 묘사하고 옥타비아누스는 전투에 있어서는 애송이라는 듯이 묘사해 흔히 두 사람에 갖는 이미지를 묘사하긴 했지만 안토니우스가 단순히 군대를 이끌고 적군을 향해 돌격하는 인물은 아니었다. 이 시기에 전술을 짜고 군대를 지휘하며 전황을 읽을 수 있는 능력이 가장 유능한 장수라고 할 것 같으면 당연히 안토니우스였다.[51] 작중 율리아의 실제 대사이기도 하다.[52] 실제로 아우구스투스의 강요로 진심으로 사랑했던 본처 빕사니아와 이혼한 것 때문에 분노했고, 그 분노를 표출코자 새로 결혼한 율리아를 강간하는 장면이 나온다.[53] 물론 아우구스투스가 게이라는 건 말도 안 되는 소리이다. 애시당초 로마에서 동성애자는 그리 좋게 생각되지 않았고 또, 아우구스투스는 아내를 여러 번 맞이한 적도 있으며 특히 리비아 드루실라를 매우 사랑했기 때문.[54] 네로, 칼리굴라, 클라우디우스[55] 이때 꿈은 경계/한계의 신 터미누스(Terminus)의 부탁으로 아우구스트의 꿈에 나타나 충고를 했다. 로마가 전세계를 정복하게 되면 국경, 즉 경계가 없어지기 때문.